Clean Code

클린 코드 (Clean Code) 클린 코드 (Clean Code) 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핵심 원칙과 실천 방법을 의미한다. 단순히 동작하는 코드가 아니라, 읽기 쉽고, 명확하며, 유지보수와 확장이 쉬운 코드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명확한 네이밍, 함수 단순화, 중복 제거, 일관성 유지, 테스트 용이성 등 다양한 원칙과 기법을 적용한다. 클린 코드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밀접하게 연관되며, 팀 협업과 프로젝트의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핵심 개념 클린 코드 (Clean Code):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높은 코드를 의미하며, 명확한 구조와 일관된 스타일을 갖춘 코드를 지향한다. ...

September 19, 2024 · 23 min · Me

Framework vs. Library

Framework vs. Library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각각의 목적과 사용 방식이 다르다. 라이브러리는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코드 집합으로 개발자가 직접 호출해 사용한다. 반면,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흐름을 정의하며,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필요에 따라 호출하는 ’ 제어의 역전 ’ 원칙을 따른다. 이 차이는 시스템 설계의 핵심 원리와 실무 적용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각 도구의 장단점, 적용 사례, 최적화 및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 등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핵심 개념 제어의 역전 (Inversion of Control, IoC):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이 전통적인 방식과 반대로 동작하는 설계 원칙 Hollywood Principle: “Don’t call us, we’ll call you” - 프레임워크가 개발자 코드를 호출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객체의 의존성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방식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Application Framework): 특정 도메인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포괄적인 구조 코드 라이브러리 (Code Library): 재사용 가능한 함수와 클래스의 집합 Framework vs. Library 비교 구분 프레임워크 (Framework) 라이브러리 (Library) 정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구조와 제어 흐름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집합으로, 필요 시 개발자가 직접 호출 제어 흐름 (Control Flow) 프레임워크가 전체 흐름을 제어하며,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 (제어의 역전: IoC) 개발자가 라이브러리를 직접 호출하여 제어 흐름을 관리 사용 방식 프레임워크의 구조에 맞춰 코드를 작성하고, 확장 지점을 통해 기능 구현 필요한 기능만 선택적으로 가져와 호출 구조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 및 구성 방식을 정의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음 확장성 명확한 확장 포인트 제공 (예: Hook, 인터페이스 등) 함수 단위로 조합하여 사용 가능 유연성 프레임워크의 구조를 따르므로 상대적으로 유연성은 낮음 특정 기능 단위로 자유롭게 사용 가능 재사용성 특정 프레임워크에 종속적일 수 있음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재사용 가능함 예시 Spring, Angular, Django, React (의견 분분하지만 구조 제공 시 프레임워크로 분류되기도 함) Lodash, NumPy, jQuery, Requests 사용 시나리오 비교 구분 Framework Library 적합한 프로젝트 대규모,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특정 기능이 필요한 프로젝트 팀 규모 대규모 팀 (일관성 중요) 소규모 팀 (유연성 중요) 유지보수 프레임워크 업데이트에 의존 개별적으로 관리 가능 테스트 프레임워크 테스트 환경 사용 독립적인 단위 테스트 구조 및 아키텍처 Framework 아키텍처 graph TD A[Framework Core] --> B[Application Lifecycle] A --> C[Dependency Injection Container] A --> D[Configuration Management] A --> E[Plugin System] B --> F[Initialization] B --> G[Execution] B --> H[Cleanup] C --> I[Bean Factory] C --> J[Dependency Resolution] D --> K[XML/Annotation Config] D --> L[Environment Properties] E --> M[Extension Points] E --> N[Custom Components] F --> O[Developer Code] G --> O H --> O Framework 구성요소: ...

November 20, 2024 · 16 min · Me

Decompose by Business Capability vs Decompose by Subdomain

Decompose by Business Capability vs. Decompose by Subdomain Decompose by Business Capability 정의: 비즈니스의 기능적 역량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조직의 주요 기능(예: 판매, 마케팅, 고객 서비스 등)에 따라 모듈을 나누는 방법. 특징: 비즈니스의 주요 역량을 중심으로 서비스나 모듈을 설계. 시스템의 경계가 기능적인 책임(Functional Responsibility)에 맞춰 설정됨. 기술적으로 독립적이고 명확한 책임 분리가 가능. 조직 구조와 자연스럽게 연계되므로 비즈니스와 IT의 연계성이 높아짐. 비즈니스의 장기적 확장성과 변화를 쉽게 수용할 수 있음. 예시: 주문 관리 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 재고 관리 시스템(Inventory Management System) 등으로 분할. Decompose by Subdomain ...

November 13, 2024 · 2 min · Me

GRASP vs. SOLID

GRASP vs. SOLID GRASP 와 SOLID 는 상호 보완적인 객체지향 설계 원칙으로, GRASP 는 " 누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에 대한 구체적인 책임 할당 패턴을 제공하고, SOLID 는 "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 에 대한 포괄적인 설계 원칙을 제시한다. 두 원칙 모두 낮은 결합도, 높은 응집도,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목표로 하며,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필수적인 설계 가이드라인이다. 핵심 개념 구분 항목 정의/설명 설계 목적 및 효과 GRASP 정의 객체지향 설계에서 책임 할당과 객체 간 협력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9 가지 설계 패턴 세트 책임 분산, 구조적 안정성 확보, 결합도 최소화 핵심 패턴 - Information Expert - Creator - Controller - Low Coupling - High Cohesion - Polymorphism - Pure Fabrication - Indirection - Protected Variations 객체 간 책임 할당 원칙, 협력 방식 정의 주요 설계 방향 객체에 적절한 책임 부여, 변화에 강한 유연한 구조 설계 응집도 ↑, 결합도 ↓, 변경 영향 최소화 SOLID 정의 객체지향 설계에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5 가지 원칙을 나타내는 약어 확장 가능하고 견고한 소프트웨어 구조 확립 핵심 원칙 - SRP (단일 책임 원칙) - OCP (개방 - 폐쇄 원칙) -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 -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DIP (의존 역전 원칙) 클래스와 모듈 단위의 구조 품질 향상 주요 설계 방향 변화에 유연한 클래스 설계, 테스트 용이성 강화, 인터페이스 기반 추상화 유지보수성 ↑, 재사용성 ↑, 확장성 ↑ GRASP vs. SOLID 비교 GRASP 와 SOLID 는 객체지향 설계에서 서로 다른 측면을 강조한다. GRASP 는 객체에 책임을 어떻게 할당할지를 중심으로 하며, SOLID 는 클래스 설계의 원칙을 통해 코드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을 강조한다. ...

June 3, 2025 · 14 min · Me

명령형 (Imperative) vs. 선언적 (Declarative) 프로그래밍

명령형 프로그래밍(Imperative Programming) vs. 선언적 프로그래밍(Declarative Programming)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선언적 프로그래밍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기본적인 두 가지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이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과 코드 작성 철학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보인다.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선언적 프로그래밍은 서로 배타적이지 않으며, 각각 고유한 장점과 적합한 사용 사례가 있다.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두 패러다임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세밀한 제어와 최적화가 필요한 영역에서 강점을 발휘하며, 선언적 프로그래밍은 높은 수준의 추상화와 간결함이 중요한 영역에서 유리하다. 개발자로서 두 패러다임 모두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문제 영역에서 효과적인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

February 9, 2025 · 9 min · Me

Hollywood Principle

Hollywood Principle Hollywood Principle 은 객체지향 설계 및 프레임워크 설계에서 널리 쓰이는 원칙으로, “Don’t call us, we’ll call you” 라는 문구로 대표된다. 이 원칙은 저수준 (구현) 모듈이 고수준 (프레임워크, 추상화) 모듈을 직접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모듈을 필요할 때 호출하도록 구조를 설계한다. 이를 통해 의존성 부패 (Dependency Rot) 를 방지하고, 시스템의 유연성, 확장성, 테스트 용이성을 높인다. 대표적으로 Inversion of Control, Dependency Injection, Observer, Template Method, Strategy 패턴 등에서 적용된다. ...

February 4, 2025 · 22 min · Me

Architectue Patterns

Architectue Patterns 1. 주제의 분류 적절성 주제인 “Architectural Patterns” 는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Architecture Knowledge > Architectural Styles and Patterns” 에 속하며,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1. 주제 분류의 적절성 “Architectural Patterns(아키텍처 패턴)” 은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Architecture Knowledge > Architectural Styles and Patterns” 분류에 매우 적합합니다. 아키텍처 패턴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구조적 설계와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문제에 대한 검증된 해결책을 제공하는 핵심 지식 체계로, 이 카테고리의 주요 주제에 해당합니다 [2][3][5]. ...

December 21, 2024 · 28 min · Me

API Key Authentication

API Key Authentication API Key Authenticatio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인증 방식이다. API Key Authentication은 클라이언트가 API에 접근할 때 고유한 식별자(API 키)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이다. 이 키는 서버에서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며, 클라이언트는 API 요청 시 이 키를 포함시켜 자신의 신원을 증명한다. API Key Authentication은 구현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보안 측면에서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중요한 데이터나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서비스에는 OAuth2나 JWT와 같은 더 강력한 인증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CORS

COR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패턴의 보안 측면에서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RS는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된 보안 메커니즘으로, 다른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체계이다. 이는 동일 출처 정책(Same-Origin Policy)의 제한을 안전하게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 CORS는 MSA 환경에서 안전하고 유연한 리소스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올바르게 구현된 CORS는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며, 전체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한다. CORS의 작동 원리 브라우저가 다른 출처로 HTTP 요청을 보낼 때 Origin 헤더를 추가한다. 서버는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로 응답하여 해당 출처의 접근을 허용할지 결정한다. 브라우저는 이 헤더를 확인하여 요청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Origin의 정의 Origin은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OAuth2/OIDC (OpenID Connect)

OAuth2/OIDC (OpenID Connect)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패턴의 보안 측면에서 OAuth2와 OIDC(OpenID Connect)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두 프로토콜은 분산 시스템에서의 인증과 권한 부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OAuth 2.0과 OIDC를 적절히 활용하면 MSA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 및 권한 부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안전한 통신과 사용자 데이터 보호에 큰 도움이 된다. OAuth 2.0 OAuth 2.0은 권한 부여를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