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Sent Events vs. Webhook

Server-Sent Events vs. Webhook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서버 전송 이벤트(Server-Sent Events, SSE)와 웹훅(Webhook)은 모두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이지만, 그 작동 방식과 적합한 사용 사례가 크게 다르다. 서버 전송 이벤트(SSE) 기본 개념 서버 전송 이벤트(SSE)는 HTTP 연결을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단방향 실시간 이벤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HTML5 표준의 일부로, 웹 브라우저에서 EventSource API를 통해 구현된다. SSE는 표준 HTTP 프로토콜 위에서 작동하며, 별도의 프로토콜 전환 없이 실시간 데이터 푸시가 가능하다. ...

March 8, 2025 · 7 min · Me

Web Socket vs. Long Polling

Web Socket vs. Long Polling 실시간 웹 통신은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사용자들은 새로고침 없이 즉시 정보를 받아보기를 기대하며,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여러 기술이 발전해왔다. 그중에서도 Long Polling과 WebSocket은 실시간 통신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 각각의 특징과 적용 사례가 다르다. 기본 개념 WebSocket WebSocket은 TCP 연결을 통해 전이중(full-duplex)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초기 HTTP 핸드셰이크 후 연결이 WebSocket 프로토콜로 업그레이드되어,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지속적이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진다. 연결이 한 번 수립되면 두 방향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요청 없이도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푸시할 수 있다. ...

March 9, 2025 · 6 min · Me

Server-sent Events vs. Websocket

Server-sent Events vs. Websocket 웹 애플리케이션이 점점 더 실시간적이고 동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효율적인 통신 방식이 중요해졌다. 전통적인 HTTP 요청-응답 모델은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 서버 전송 이벤트(Server-Sent Events, SSE)와 웹소켓(WebSocket)이 등장했다. 두 기술 모두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 작동 원리와 적합한 사용 사례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서버 전송 이벤트(SSE) 개념과 작동 원리 서버 전송 이벤트(SSE)는 HTTP 연결을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단방향으로 스트리밍하는 웹 기술이다. HTML5 표준의 일부로, EventSource API를 통해 구현된다. SSE는 기존 HTTP 프로토콜을 활용하며, 특별한 프로토콜 전환 없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실시간 데이터 푸시가 가능하다. ...

March 3, 2025 · 8 min · Me

Websocket API vs. Websocket

Websocket API vs. Websocket WebSocket이란? WebSocket은 단일 TCP 연결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양방향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HTTP와 달리, 연결이 한 번 수립되면 계속 유지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독립적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WebSocket 프로토콜은 RFC 6455에 정의되어 있으며, ‘ws://’ 또는 암호화된 연결을 위한 ‘wss://’ URI 스키마를 사용한다. WebSocket은 HTTP 핸드셰이크를 사용하여 연결을 시작한 다음, 프로토콜을 WebSocket으로 업그레이드한다. WebSocket API란? WebSocket API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WebSocket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이것은 W3C에서 표준화한 웹 API로,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WebSocket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

February 28, 2025 · 3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