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Audit)

감사(Audit) 독립적인 검토자들이 소프트웨어 산출물과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검사하고 평가하는 공식적인 검토 과정이다. 이는 마치 회계 감사와 유사하게,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철저하게 검증하는 과정이다. 외부 또는 독립적인 감사자에 의해 수행되며, 주로 규정 준수와 품질 표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둔다. Audit의 주요 특징 공식성과 체계성 Audit은 가장 공식적인 검토 형태. 모든 과정이 문서화되며, 정해진 절차와 체크리스트에 따라 진행된다.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Audit 계획서 1. 검토 범위: 사용자 인증 모듈 전체 2. 검토 일정: 2024.01.15 - 2024.01.19 3. 참여자 역할: - 주검토자: 김철수 (보안팀) - 부검토자: 이영희 (품질관리팀) - 기술지원: 박지민 (개발팀) 4. 검토 기준: ISO/IEC 27001 보안 표준 독립성 Audit을 수행하는 검토자들은 해당 프로젝트나 코드 개발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독립적인 인원들로 구성된다. 이는 객관적인 평가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

October 29, 2024 · 2 min · Me

페어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페어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 페어 프로그래밍에서는 두 명의 개발자가 서로 다른 역할을 맡는다. ‘드라이버(Driver)‘는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는 사람이고, ‘네비게이터(Navigator)‘는 코드를 검토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사람이다. 이 두 역할은 주기적으로 교대한다. 실제 페어 프로그래밍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페어 프로그래밍 세션 예시 // Driver가 코드를 작성하고, Navigator가 실시간으로 리뷰와 제안을 합니다 // Navigator: "사용자 등록 기능을 구현해볼까요? 먼저 입력값 검증부터 시작하는게 좋겠어요." // Driver: "네, 동의합니다.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유효성을 체크하는 메서드부터 작성할게요." public class UserRegistration { public boolean registerUser(String username, String email) { // Navigator: "null 체크도 필요할 것 같네요." // Driver: "네, 좋은 지적입니다. 추가하겠습니다." if (username == null || email == null) { return false; } // Navigator: "이메일 형식 검증도 필요할 것 같아요." // Driver: "이메일 정규식을 사용해서 검증하면 좋겠네요." if (!validateEmailFormat(email)) { return false; } // Navigator: "사용자 이름 길이 제한도 있어야 할 것 같아요." // Driver: "네, 최소 3자, 최대 20자로 제한하겠습니다." if (username.length() < 3 || username.length() > 20) { return false; } // 실제 등록 로직 구현… return saveUser(username, email); } } 페어 프로그래밍의 주요 이점 실시간 코드 리뷰 두 명이 함께 작업하면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

October 29, 2024 · 3 min · Me

Inspection

인스펙션 (inspection) 인스펙션(Inspection)은 정적 테스팅의 한 형태로, 가장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리뷰 방법이다. 인스펙션은 FTR(Formal Technical Review)라고도 불리며, 정형화된 절차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산출물의 결함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는 정적 테스트 방법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하고 가장 공식적인 프로세스를 따른다. 주요 목적 결함 발견: 코드나 문서의 오류를 조기에 식별한다. 품질 향상: 소프트웨어 산출물의 전반적인 품질을 개선한다. 프로세스 개선: 개발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한다. 인스펙션 대상 인스펙션은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 산출물에 적용된다: ...

October 29, 2024 · 2 min · Me

관리 검토(Management Review)

관리 검토(Management Review) 관리 검토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 목표 달성도, 리스크 등을 경영진과 프로젝트 관리자가 검토하는 공식적인 프로세스이다. 이는 기술적 세부사항보다는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상태와 비즈니스 목표 달성 여부에 초점을 맞춘다. 관리 검토의 주요 목적 프로젝트 현황 평가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검토하고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1 2 3 4 1. 계획된 진행률 2. 실제 진행률 3. 현재 식별된 리스크 4. 예산 현황 비즈니스 목표 정렬성 확인 개발되고 있는 소프트웨어가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와 부합하는지 검토한다: ...

October 29, 2024 · 2 min · Me

기술 검토(Technical Review)

기술 검토(Technical Review) 기술 검토는 소프트웨어의 기술적 측면을 전문가들이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공식적인 검토 프로세스이다. 이는 코드의 품질, 아키텍처의 적절성, 기술적 의사결정의 타당성 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마치 건축가들이 건물의 설계도를 검토하는 것과 유사하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시스템의 기술적 측면을 심도 있게 검토한다. 기술 검토의 주요 목적 기술적 완성도 평가 시스템의 기술적 설계와 구현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기술적 리스크 식별 잠재적인 기술적 문제점과 리스크를 조기에 발견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기술 리스크 체크리스트 1. 성능 관련 □ 응답 시간 요구사항 충족 □ 확장성 고려사항 □ 리소스 사용 효율성 2. 보안 관련 □ 인증/인가 메커니즘 □ 데이터 암호화 □ 취약점 대응 방안 3. 유지보수성 □ 코드 모듈화 □ 문서화 수준 □ 테스트 용이성 기술 검토의 주요 영역 아키텍처 검토 시스템 구조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

October 29, 2024 · 2 min · Me

체크리스트 기반 테스팅 (Checklist-based Testing)

체크리스트 기반 테스팅 (Checklist-based Testing) Checklist-based Testing은 테스트 대상의 중요한 항목들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험 기반 테스트 기법이다. 숙련된 테스터가 제품 검증을 위한 일련의 규칙이나 기준, 또는 참고/확인/기억해야 하는 상위수준 아이템 목록을 사용한다. 주요 특징 구조화된 접근 방식: 테스트 과정에 체계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일관성과 반복성: 모든 테스터가 동일한 단계를 따르고 동일한 항목을 확인하도록 보장한다. 중요 항목 누락 방지: 체크리스트를 통해 중요한 테스트 항목을 놓치지 않도록 한다. 경험 활용: 테스터의 경험과 지식을 체크리스트에 반영하여 활용한다. 적용 분야 Checklist-based Testing은 다양한 테스트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

October 27, 2024 · 3 min · Me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은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한 접근 방식으로, 테스터의 창의성, 경험, 직관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탐색하며 결함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이 방법은 사전에 정의된 테스트 케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테스트 설계와 실행을 동시에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주요 특징 테스터 중심: 테스터의 경험, 지식, 창의력을 최대한 활용한다. 유연성: 미리 정의된 테스트 케이스 없이도 즉시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다. 학습과 실행의 동시 진행: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발견 중심: 문서화보다는 결함 발견과 해결에 집중한다. 핵심 구성 요소 테스트 차터: 테스트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하는 간단한 문서. 시간 제한(Time Boxing): 정해진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한다. 테스트 노트: 테스트 중 발견한 사항과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요약 보고(Debriefing): 테스트 결과와 발견된 이슈를 팀과 공유한다. 장점 속도와 비용 효율성: 사전 준비가 적어 빠르게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다. 예상치 못한 버그 발견: 정형화된 테스트로는 찾기 어려운 버그를 발견할 수 있다. 사용성 개선: 사용자 관점에서 제품을 평가할 수 있다. 요구사항 변화에 대응: 애자일 개발 환경에 적합하다. 단점 주관성: 테스터의 개인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테스트 범위 확인 어려움: 체계적인 계획이 없어 테스트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관리와 통제의 어려움: 테스트의 양과 질을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적용 사례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앱을 테스트할 때 다음과 같은 탐색적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다: ...

October 27, 2024 · 2 min · Me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는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중 하나로, 테스터의 경험, 지식, 직관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오류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 이 기법은 다른 테스트 기법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운 결함을 보완적으로 찾아내는 데 유용하다. 오류 예측 검사의 특징 경험 기반 접근: 과거의 경험, 유사한 시스템에서 발견된 오류 유형, 그리고 직관을 활용하여 잠재적 오류를 예측한다. 특정한 규칙이나 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테스터의 전문성과 감각에 의존한다. 보충적 검사 기법: ...

October 27, 2024 · 3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