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T Compiler vs AOT Compiler

JIT Compiler vs. AOT Compiler JIT 컴파일러와 AOT 컴파일러는 모두 소스 코드 또는 중간 표현(바이트코드)을 기계어 코드로 변환한다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언제 그리고 어떻게 컴파일하는지에 큰 차이가 있다. JIT와 AOT 컴파일러는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 환경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합한 접근 방식이 달라진다. JIT 컴파일러는 런타임 정보를 활용한 최적화와 플랫폼 독립성을 제공하는 반면, AOT 컴파일러는 빠른 시작 시간과 예측 가능한 성능을 제공한다.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이 두 접근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앞으로는 기계 학습, 특화된 하드웨어 활용, WebAssembly 확산 등의 동향이 컴파일러 기술의 발전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

October 14, 2024 · 6 min · Me

Poetry vs uv vs Rye

Poetry vs. Uv vs. Rye Poetry, uv, Rye는 모두 파이썬 프로젝트 관리와 패키지 설치를 위한 도구들이다. 각각의 도구는 고유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개발자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있다. Poetry는 파이썬 프로젝트의 의존성 관리와 패키징을 위한 도구로, 2018년에 출시되었다. 주요 특징으로는 의존성 해결, 가상 환경 관리, 프로젝트 패키징 등이 있다. uv는 Rust로 작성된 초고속 파이썬 패키지 설치 및 의존성 해결 도구이다. pip와 pip-tools의 대체제로 설계되었으며, 속도와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Rye는 Flask의 개발자인 Armin Ronacher가 개발한 올인원 파이썬 프로젝트 관리 도구이다. 파이썬 버전 관리, 의존성 관리, 가상 환경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Poetry, uv, Rye에 대한 비교를 요청하신 카테고리별로 표로 정리했습니다. 각 도구의 특징을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

November 27, 2024 · 3 min · Me

Callback vs Promise vs Async/Await

Callback vs. Promise vs. Async/Await JavaScript의 비동기 처리 방식은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막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기능이다. 주요 비동기 처리 방식에는 콜백(Callbacks), 프로미스(Promises), 그리고 async/await가 있다. 특성 콜백 (Callback) Promise Async/Await 정의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어 특정 시점에 실행되는 함수 비동기 작업의 최종 완료 또는 실패를 나타내는 객체 Promise를 기반으로 비동기 코드를 동기 코드처럼 작성할 수 있게 해주는 문법 도입 시기 JavaScript 초기부터 사용 ES6 (2015) ES8 (2017) 문법 function(err, result) { … } new Promise((resolve, reject) => { … }) async function() { await … } 에러 처리 콜백 함수의 첫 번째 인자로 에러 객체 전달 .catch() 메서드 사용 try-catch 구문 사용 장점 - 간단한 비동기 처리에 적합 - 모든 환경에서 지원 - 체이닝 가능 - 에러 처리 용이 - 병렬 처리 가능 (Promise.all) - 동기 코드와 유사한 구조 - 가독성 향상 - 직관적인 에러 처리 단점 - 콜백 지옥 발생 가능 - 에러 처리 복잡 - 약간의 학습 곡선 존재 - 브라우저 지원 고려 필요 - 항상 Promise를 반환 - 오래된 환경에서 지원 안 됨 비동기 처리 방식 콜백 함수를 통해 결과 처리 then() 메서드를 통해 결과 처리 await 키워드로 결과를 기다림 중첩 처리 콜백 안에 콜백을 계속 넣어야 함 .then() 체이닝으로 처리 일반적인 동기 코드처럼 작성 가능 병렬 처리 복잡한 로직 필요 Promise.all() 사용 Promise.all()과 함께 사용 순차적 처리 콜백 중첩으로 처리 .then() 체이닝으로 처리 일반 동기 코드처럼 작성 타입스크립트 통합 타입 추론이 어려움 제네릭을 통해 타입 안정성 확보 가장 타입 안정적 테스트 용이성 테스트 작성이 복잡할 수 있음 테스트 작성이 비교적 쉬움 가장 테스트 작성이 쉬움 디버깅 콜백 중첩으로 인해 어려움 스택 트레이스가 깔끔함 동기 코드와 유사해 가장 쉬움 메모리 사용 콜백 중첩 시 메모리 사용량 증가 체이닝으로 인한 약간의 오버헤드 일반적으로 가장 효율적 취소 가능성 직접 구현 필요 취소 불가능 (별도 구현 필요) 취소 불가능 (별도 구현 필요) 구현 예시 콜백 함수 (Callback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콜백 함수를 사용한 비동기 처리 예시 function fetchData(callback) { // 데이터를 가져오는 비동기 작업 시뮬레이션 setTimeout(() => { const data = { id: 1, name: "John" }; callback(null, data); // 성공시 첫 번째 인자는 null }, 1000); } fetchData((error, data) => { if (error) { console.error('에러 발생:', error); return; } console.log('데이터:', data); }); 하지만 콜백 방식은 여러 비동기 작업을 연달아 처리해야 할 때 “콜백 지옥"이라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November 23, 2024 · 4 min · Me

setup.cfg vs pyproject.toml

setup.cfg vs. pyproject.toml setup.cfg와 pyproject.toml은 Python 프로젝트의 구성과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파일 형식이다. 이 두 파일은 프로젝트 설정, 의존성, 빌드 시스템 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있다. setup.cfg는 setuptools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Python 패키징 시스템의 일부이다. 형식: INI 스타일의 설정 파일 주요 용도: 프로젝트 메타데이터 정의 (이름, 버전, 설명 등) 의존성 선언 패키지 데이터 및 스크립트 설정 특징: setup.py와 함께 사용되어 왔음 정적 메타데이터를 선언적으로 정의하는 데 적합 레거시 도구와의 호환성 유지 pyproject.toml은 PEP 518에서 도입된 새로운 표준 구성 파일이다. ...

November 27, 2024 · 3 min · Me

NodeJS vs. Javascript

NodeJS vs. Javascript JavaScript는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동적이며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이벤트 중심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며, HTML 문서와 함께 사용된다.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1 2 3 4 5 6 7 8 9 10 // JavaScript 예시 // DOM 조작 document.getElementById('my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alert('버튼이 클릭되었습니다!'); }); // 비동기 처리 fetch('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console.log(data));**** Node.js는 JavaScript를 서버 측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런타임 환경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November 23, 2024 · 2 min · Me

import vs require

Import vs. Require 참고 및 출처

November 23, 2024 · 1 min · Me

select_related

select_related select_related는 SQL의 JOIN 연산을 활용하여 외래 키(Foreign Key) 관계가 있는 객체를 단일 쿼리로 함께 가져오는 메서드이다. 이는 “many-to-one” 관계(ForeignKey)나 “one-to-one” 관계(OneToOneField)에서 특히 유용하다. 1 2 3 4 5 # 기본 사용법 book = Book.objects.select_related('publisher').get(id=1) # 이제 book.publisher에 접근할 때 추가 쿼리 없이 바로 접근 가능 publisher_name = book.publisher.name # 추가 데이터베이스 호출 없음 Django의 select_related는 관계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가져오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올바르게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ForeignKey와 OneToOneField 관계에서 N+1 쿼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탁월하다. ...

February 8, 2025 · 6 min · Me

Typescript vs. Javascript

Typescript vs. Javascript JavaScript와 TypeScript는 둘 다 웹 및 기타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지만, 설계와 사용 목적에 있어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JavaScript는 인터프리터(또는 JIT 컴파일러)에 의해 실행되는 동적 타입의 스크립트 언어로, 유연성과 간편함을 제공하며 브라우저와 Node.js 등에서 기본 언어로 사용된다. TypeScript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JavaScript의 상위 집합(superset)으로, 정적 타입 시스템과 클래스, 인터페이스, 제네릭 등 강력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기능을 추가하여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JavaScript JavaScript는 1995년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용 스크립트 언어이다. 원래는 웹 페이지에 상호작용을 추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현재는 브라우저 환경 외에도 서버 사이드(Node.js), 모바일 앱 개발(React Native),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Electron)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

January 19, 2025 · 4 min · Me

Currying vs. Partial Application

Currying vs. Partial Application 자바스크립트의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두 가지는 커링(Currying)과 부분 적용(Partial Application)이다. 이 두 기법은 콜백 함수를 다루는 강력한 패턴으로, 코드의 재사용성과 모듈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커링과 부분 적용은 자바스크립트의 콜백 함수를 더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강력한 기법이다. 두 패턴 모두 함수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코드를 더 모듈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두 기법의 핵심 차이는 인자 처리 방식과 최종 함수의 구조에 있다. 커링은 항상 단일 인자 함수의 체인을 만들고, 부분 적용은 일부 인자를 고정한 새로운 함수를 만든다. ...

December 26, 2024 · 9 min · Me

Partial Application

Partial Application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콜백 함수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핵심 기법 중 하나가 부분 적용(Partial Application)이다. 부분 적용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강력한 도구로, 함수의 재사용성과 조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커링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지만, 둘 다 함수를 더 작고 재사용 가능한 단위로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분 적용의 주요 이점: 코드 중복 감소: 공통 인자를 가진 함수 호출을 단순화한다. 의도 명확화: 특화된 함수 이름을 통해 코드의 의도를 명확히 한다. 조합성 향상: 함수를 더 작고 조합 가능한 단위로 분해한다. 유연성: 필요에 따라 어떤 인자든 부분 적용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의 콜백 패턴과 함께 부분 적용을 사용하면, 보다 선언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특히 이벤트 처리, API 호출, 데이터 변환 같은 영역에서 부분 적용은 코드 품질을 향상시키는 실용적인 도구가 된다. ...

December 26, 2024 · 10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