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vs.TCP/IP Model

OSI vs.TCP/IP Model TCP/IP(Internet Protocol Suite) 와 OSI 참조 모델은 계층화 철학이 다르다. OSI 는 ISO 표준의 개념적 7 계층으로 기능을 세분해 교육·표준화·원인분석에 적합하고, TCP/IP 는 RFC 기반의 실무적 4 계층 (또는 5 계층 변형) 으로 운영체제·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프로토콜과 직접 매핑된다. 실무에서는 TCP/IP 를 기준으로 시스템 설계·모니터링·보안 배치를 하고, OSI 모델은 문제 구간 식별과 교육용 틀로 병행 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기초 개념 및 배경 비교 개념 정의 및 본질 차이 TCP/IP 와 OSI 는 둘 다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 계층화 ’ 도구다. 다만 TCP/IP 는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 (실무 기준)**이고, OSI 는 통신 기능을 세밀하게 나눈 교육·설계용 참조 모델이다. ...

October 19, 2024 · 47 min · Me

Event Broker

Event Broker 이벤트 브로커는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에서 이벤트 발행자 (Producer) 와 구독자 (Consumer) 사이의 이벤트 메시지 흐름을 중개하는 미들웨어이다. 분산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흐름의 실시간성, 비동기성,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용량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시스템 간의 결합도 감소, 장애 격리 및 이벤트 아카이빙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오늘날 IT 인프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이벤트 브로커는 Pub/Sub, 스트리밍, 다양한 QoS, 보안, 트랜잭션, 확장성, 장애 복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시스템 간 결합도를 낮추고, 실시간 데이터 분배와 비동기 처리를 지원한다. ...

July 18, 2025 · 38 min · Me

Message Broker

Message Broker 메시지 브로커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간 메시지 교환을 중개하는 미들웨어로, 비동기 통신, 결합도 감소, 확장성, 신뢰성, 장애 복원력 등 백엔드 시스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메시지 큐 (Queue), 토픽 (Topic), 교환기 (Exchange) 등 다양한 구조를 통해 Point-to-Point, Publish/Subscribe 등 다양한 패턴을 지원하며, RabbitMQ, Kafka, ActiveMQ, Amazon SQS 등 다양한 솔루션이 존재한다. 메시지 브로커는 마이크로서비스, IoT, 실시간 데이터 처리, 대용량 트래픽 분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Source: https://ademcatamak.medium.com/what-is-message-broker-4f6698c73089 ...

July 18, 2025 · 39 min · Me

서브넷팅 (Subnetting)

서브넷팅 (Subnetting) 서브넷팅(Subnetting)은 네트워크를 더 작은 단위의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IP 주소의 효율적인 사용과 네트워크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서브넷팅은 하나의 IP 클래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Host ID 구간을 분할하여 원래 정의된 Network ID와 함께 Network ID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관리 기법이다. 서브넷팅을 통해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넷(Subnet)라고 한다. 주요 목적 IP 주소 낭비 방지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크기 축소 네트워크 성능 향상 보안성 강화 서브넷팅의 장점 네트워크 관리 용이성 향상 고급 네트워크 보안 구현 가능 네트워크 트래픽 감소 ISP로부터 추가 IP 주소 요청 필요성 감소 서브넷 (Subnet) 서브넷은 ‘Sub Network’의 줄임말로, 더 큰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부분집합을 의미한다. 이는 마치 큰 건물을 여러 개의 사무실로 나누는 것과 비슷한데, 각 사무실(서브넷)은 자신만의 공간을 가지면서도 전체 건물(네트워크)의 일부로 기능한다. ...

October 17, 2024 · 6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