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vs. XML vs. Protobuf vs. MessagePack vs. Parquet

JSON vs. XML vs. Protobuf vs. MessagePack vs. Parquet 데이터 직렬화 형식은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교환의 핵심 요소이다. 세 가지 직렬화 형식은 각각 고유한 장단점이 있어 특정 사용 사례에 더 적합하다: JSON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이상적이다. 단순성과 광범위한 지원이 특징이다. XML은 복잡한 문서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 적합하다. 강력한 스키마 지원과 메타데이터 처리 능력이 있다. Protobuf는 고성능 시스템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최적화되어 있다. 속도와 효율성이 중요한 경우에 탁월하다. 선택은 프로젝트 요구사항, 팀 전문성, 상호운용성 요구사항, 성능 고려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일 프로젝트 내에서도 다양한 부분에 서로 다른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

October 26, 2024 · 4 min · Me

Format

Format 데이터 포맷은 정보를 구조화하고, 저장하며, 교환하는 표준화된 방식이다. 데이터 포맷은 IT 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통신과 데이터 처리의 기반이 되며,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데이터 포맷은 현대 IT 환경에서 정보 교환과 저장의 핵심 요소이다. 적절한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시스템의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데이터 포맷의 기본 개념 데이터 포맷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구조화된 양식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데이터 구조화: 원시 데이터를 의미 있는 형태로 구조화한다. 데이터 교환: 서로 다른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저장: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처리 방식을 표준화하여 호환성을 보장한다. 주요 데이터 포맷 유형 텍스트 기반 데이터 포맷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JSON은 경량화된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사람이 읽고 쓰기 쉬우며 기계가 파싱하고 생성하기 쉽다. ...

December 16, 2024 · 16 min · Me

YAML vs. JSON vs. XML

YAML vs. JSON vs. XML 데이터 교환과 구성 파일 형식으로 YAML, JSON, XML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형식이다. 개요 및 역사 YAML (YAML Ain’t Markup Language) YAML은 2001년에 클라크 에반스(Clark Evans), 이니 넷(Ingy döt Net), 오렌 벤-코바(Oren Ben-Koki)에 의해 개발되었다. 원래는 “Yet Another Markup Language"의 약자였으나, 후에 “YAML Ain’t Markup Language"라는 재귀적 약자로 변경되었다. YAML은 인간 친화적인 구문과 읽기 쉬운 형식에 중점을 둔 데이터 직렬화 형식이다. ...

October 26, 2024 · 7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