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en Authentication vs. OAuth

Token Authentication vs. OAuth 2.0 토큰 인증(Token Authentication)과 OAuth 2.0은 모두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처리하는 기술이지만, 목적과 구현 방식에 있어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토큰 인증(Token Authentication) 토큰 인증은 사용자가 자격 증명(일반적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을 한 번 제공한 후, 서버가 생성한 토큰을 사용하여 이후의 요청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기본 개념 토큰 인증의 핵심 아이디어는 사용자의 자격 증명을 한 번만 확인한 후, 서버가 서명된 토큰을 발급하여 클라이언트가 이 토큰을 사용해 자신을 인증하도록 하는 것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큰 형식은 JWT(JSON Web Token)이다. ...

April 3, 2025 · 7 min · Me

Token Authentication vs. OpenID Connect

Token Authentication vs. OpenID Connect 현대 웹과 애플리케이션의 보안 생태계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토큰 인증(Token Authentication)과 OpenID Connect(OIDC)는 모두 이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목적과 기능 면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토큰 인증(Token Authentication) 토큰 인증은 사용자의 자격 증명(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을 검증한 후, 서버가 발급한 토큰을 통해 이후의 요청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기본 개념 및 작동 원리 토큰 인증의 핵심 아이디어는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가 서명된 토큰을 발급하고, 이후 모든 요청에 이 토큰을 포함시켜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큰 형식은 JWT(JSON Web Token)이다. ...

April 3, 2025 · 7 min · Me

Token Authentication vs. Cookie-Based Auth

Token Authentication vs. Cookie-Based Auth 토큰 인증(Token Authentication) 토큰 인증은 서버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한 후 서명된 토큰을 발급하고, 클라이언트가 이 토큰을 이후의 요청에 포함시켜 자신을 인증하는 방식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큰 형식은 JWT(JSON Web Token)이다. 작동 방식 사용자가 자격 증명(사용자 이름/비밀번호)을 서버에 제출한다. 서버는 자격 증명을 검증하고, 사용자 식별자와 권한 정보를 포함한 토큰을 생성한다. 서버는 비밀 키로 토큰에 서명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한다. 클라이언트는 이 토큰을 저장하고(주로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또는 메모리에 저장), 이후 요청의 Authorization 헤더에 포함시킨다. 서버는 토큰의 서명을 검증하고,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인증한다. 특징 무상태(Stateless): 서버는 클라이언트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확장성: 여러 서버 간에 인증 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플랫폼 독립적: 모바일 앱, SPA, API 등 다양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가능하다. 보안: 토큰에 서명을 통해 변조를 방지한다. 만료 시간 설정 가능: 토큰에 만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쿠키 기반 인증(Cookie-Based Authentication) 쿠키 기반 인증은 서버가 사용자 인증 후 세션 ID를 포함한 쿠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클라이언트가 이 쿠키를 모든 요청에 자동으로 포함시켜 인증하는 방식이다. ...

April 3, 2025 · 4 min · Me

SAML vs. OpenID Connect

SAML vs. OpenID Connect SAML(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과 OpenID Connect는 모두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한 핵심 프로토콜이지만, 역사, 구현 방식, 용도 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SAML (Security Assertion Markup Language) SAML은 2002년에 OASIS(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에 의해 개발된 XML 기반 프레임워크이다. 핵심 특징 XML 형식으로 인증 정보를 교환 주로 엔터프라이즈 환경과 대기업에서 사용 복잡한 구현이지만 높은 보안성 제공 웹 기반 SSO(Single Sign-On)에 최적화 메타데이터를 통한 신뢰 관계 구축 작동 방식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자(SP)에게 접근 요청 SP는 사용자를 신원 제공자(IdP)로 리디렉션 IdP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SAML 어설션(assertion) 생성 사용자는 SAML 어설션과 함께 SP로 리디렉션 SP는 SAML 어설션을 검증하고 사용자 접근 허용 OpenID Connect (OIDC) OpenID Connect는 2014년에 OpenID Foundation에 의해 개발된 OAuth 2.0 위에 구축된 인증 레이어이다. ...

April 3, 2025 · 2 min · Me

Apache Pulsar vs. Kafka

Apache Pulsar vs. Kafka 분산 메시징 시스템은 현대 데이터 중심 아키텍처의 중추 역할을 한다. 기본 개념 및 역사 Apache Kafka Apache Kafka는 2011년 LinkedIn에서 개발된 후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으로 이관된 분산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처음에는 LinkedIn 내부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이후 업계 표준 메시징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다. Kafka는 높은 처리량, 내구성, 확장성을 제공하는 로그 기반의 발행-구독(pub-sub) 메시징 시스템이다. Apache Pulsar Apache Pulsar는 2016년 Yahoo에서 개발되어 2018년에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의 최상위 프로젝트가 되었다. Pulsar는 다중 테넌트, 고성능 서비스로 설계되었으며, Kafka와 같은 발행-구독 메시징 시스템의 특성과 전통적인 메시지 큐의 장점을 결합했다. Pulsar는 처음부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

April 2, 2025 · 10 min · Me

Apache Pulsar vs. RabbitMQ

Apache Pulsar vs. RabbitMQ Apache Pulsar와 RabbitMQ는 메시징 시스템으로서 각각 고유한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 사례에 따라 적합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 기본 개념 및 역사 Apache Pulsar Apache Pulsar는 2016년 Yahoo에서 개발되어 2018년 Apache 소프트웨어 재단의 최상위 프로젝트가 되었다. Pulsar는 처음부터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과 대규모 분산 시스템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높은 처리량과 낮은 지연 시간을 모두 달성하는 메시징 및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RabbitMQ RabbitMQ는 2007년 Rabbit Technologies Ltd.에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VMware의 일부인 Pivotal Software에서 관리되고 있다. Erlang으로 작성된 RabbitMQ는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를 구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메시지 브로커 중 하나이다. 신뢰성, 유연성, 상호 운용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다. ...

April 2, 2025 · 7 min · Me

jwt vs. Basic Authentication

Jwt vs. Basic Authentication JWT(JSON Web Token) 개요 JWT는 당사자 간에 정보를 JSON 객체로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개방형 표준(RFC 7519)이다. 이 정보는 디지털 서명되어 있어 신뢰할 수 있다. JWT는 HMAC 알고리즘이나 RSA/ECDSA를 사용한 공개/개인 키 쌍으로 서명될 수 있다. 구조 JWT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점(.)으로 구분된다: 헤더(Header): 토큰 유형과 사용된 서명 알고리즘을 지정한다. 페이로드(Payload): 클레임(claim)이라고 불리는 엔티티와 추가 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명(Signature): 헤더와 페이로드를 인코딩한 값과 비밀 키를 사용하여 생성된 서명이다. 결과적으로 JWT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

April 2, 2025 · 5 min · Me

Session-Based Auth vs. Basic Authentication

Session-Based Auth vs. Basic Authentication 기본 인증(Basic Authentication) 기본 인증은 HTTP 프로토콜에 내장된 가장 단순한 인증 방식 중 하나이다. 1996년 RFC 2068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현재는 RFC 7617에서 정의되고 있다. 작동 방식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한다. 인증이 필요한 리소스인 경우, 서버는 “401 Unauthorized” 응답과 함께 “WWW-Authenticate” 헤더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콜론으로 결합한 후 Base64로 인코딩한다. 이 인코딩된 값을 “Authorization: Basic [인코딩된 값]” 형태로 헤더에 포함시켜 요청을 재전송한다. 서버는 이 헤더를 디코딩하여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유효한 경우 리소스에 접근을 허용한다. 특징 구현이 매우 간단하다. 모든 HTTP 요청마다 인증 정보가 전송된다. Base64 인코딩은 암호화가 아니므로 HTTPS 없이는 보안에 취약하다. 사용자 세션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Stateless) 로그아웃 메커니즘이 없다 세션 기반 인증(Session-Based Authentication) 세션 기반 인증은 서버 측에서 사용자의 상태를 유지하는 인증 방식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

April 2, 2025 · 3 min · Me

Cookie-Based Auth vs. Basic Authentication

Cookie-Based Auth vs. Basic Authentication 쿠키 기반 인증(Cookie-Based Authentication) 작동 원리 쿠키 기반 인증은 HTTP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인증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로그인 폼에 자격 증명(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을 입력한다. 서버는 자격 증명을 검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세션 ID를 생성한다. 서버는 이 세션 ID를 쿠키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Set-Cookie 헤더 사용). 브라우저는 해당 도메인에 대한 후속 요청에 이 쿠키를 자동으로 포함시킨다. 서버는 쿠키에 포함된 세션 ID를 검증하여 사용자를 식별한다. 장점 사용자 경험: 사용자가 자격 증명을 한 번만 입력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상태 관리: 서버 측에서 세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보안 옵션: HttpOnly, Secure, SameSite 등의 플래그를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만료 및 갱신: 세션 타임아웃과 자동 갱신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로그아웃: 서버에서 세션을 무효화하여 즉시 로그아웃이 가능하다. 단점 CSRF 취약점: 적절한 보호 조치 없이는 사이트 간 요청 위조(CSRF)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확장성 문제: 세션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면 분산 시스템에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메인 제한: 쿠키는 기본적으로 단일 도메인에 제한되어 있어 크로스 도메인 요청에 제약이 있다. 모바일 앱 호환성: 일부 모바일 앱 환경에서는 쿠키 관리가 복잡할 수 있다. 기본 인증(Basic Authentication) 작동 원리 기본 인증은 HTTP 프로토콜에 내장된 간단한 인증 메커니즘이다: ...

April 2, 2025 · 5 min · Me

jwt vs. Cookie-Based Auth

Jwt vs. Cookie-Based Auth 기본 개념 JWT (JSON Web Token) JWT는 당사자 간 정보를 안전하게 JSON 객체로 전송하기 위한 컴팩트하고 독립적인 방식이다. 이 정보는 디지털 서명되어 있어 신뢰할 수 있다. JWT는 HMAC 알고리즘이나 RSA/ECDSA와 같은 공개/개인 키 쌍을 사용하여 서명할 수 있다. 쿠키 기반 인증 쿠키 기반 인증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서버가 세션 ID를 생성하고, 이 세션 ID를 쿠키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 모든 후속 요청에서 클라이언트는 이 쿠키를 서버에 보내고, 서버는 세션 ID를 확인하여 사용자를 인증한다. ...

April 2, 2025 · 5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