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 Handling and Retries

Error Handling and Retries 현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서 API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불안정성, 서버 과부하,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 등 다양한 이유로 API 호출은 항상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오류 처리와 재시도 메커니즘은 안정적인 API 설계의 핵심 요소이다. API 오류 처리의 중요성 오류 처리가 중요한 이유 효과적인 오류 처리는 다음과 같은 여러 이유로 중요하다: 사용자 경험 향상: 명확한 오류 메시지는 사용자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디버깅 용이성: 상세한 오류 정보는 개발자가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시스템 안정성: 적절한 오류 처리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이 계속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보안 강화: 오류 처리는 민감한 정보 노출을 방지하고 잠재적인 공격 벡터를 감소시킨다. API 사용성: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오류 응답은 API의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부적절한 오류 처리의 결과 오류 처리가 제대로 구현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February 13, 2025 · 35 min · Me

Short Polling

Short Polling Short polling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실시간에 가까운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술이다. Short polling은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하지만 진정한 실시간성이 중요하지 않은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이 간단하고 호환성이 좋은 솔루션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많아지거나 지연 시간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Long Polling, SSE, WebSockets 같은 더 효율적인 기술의 사용을 고려해야 한다. Short Polling의 개념 Short polling은 클라이언트가 주기적으로 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내 새로운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클라이언트는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 순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아직 받지 않은 데이터를 응답한다. ...

February 1, 2025 · 3 min · Me

Long Polling

Long Polling Long polling은 전통적인 short pollin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발전된 웹 통신 기법으로,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술은 특히 웹소켓(WebSocket)이 등장하기 전에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에 널리 사용되었다. Long polling은 WebSockets의 대중화 이전에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기술이었으며, 오늘날에도 특정 상황에서 유용한 접근 방식이다. 특히 WebSockets 지원이 제한된 환경이나, 단순한 실시간 요구사항을 가진 애플리케이션에서 여전히 가치 있는 솔루션이다. 최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WebSockets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지만, Long polling은 폴백(fallback) 메커니즘으로 구현되어 WebSockets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실시간에 가까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February 1, 2025 · 6 min · Me

RFC 9457

RFC 9457 RFC 9457은 그 후속 버전으로, HTTP API의 오류 응답을 구조화된 형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이다. 이 문서는 RFC 7807을 대체하며, 이전 버전에서의 경험과 피드백을 반영하여 몇 가지 중요한 개선사항을 도입했다. RFC 9457의 주요 개선사항 RFC 9457은 RFC 7807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개선점을 포함하고 있다. 문제 유형(type) 필드의 명확화 기존: type 필드는 문제의 유형을 식별하는 URI로 사용되었지만, 그 사용 방식이 모호할 수 있다. 개선: type 필드의 사용을 명확히 정의하고, 공용 레지스트리를 통해 표준화된 문제 유형을 관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여러 문제의 표현 지원 ...

December 15, 2024 · 2 min · Me

RFC 7807

RFC 7807: Problem Details for HTTP APIs RFC 7807은 HTTP API에서 오류 상황을 일관되고 기계가 처리하기 쉬운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표준이다. 이 규격은 “Problem Details for HTTP APIs"라는 제목으로 2016년 3월에 공식 발표되었으며, HTTP API에서 발생한 오류 상황을 구조화된 JSON 또는 XML 형식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정의한다. 발표: 2016년 3월 저자: Mark Nottingham 외 상태: Proposed Standard (표준화 단계의 공식 규격) RFC 7807의 배경과 목적 HTTP API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며, 여러 오류 상황에 직면한다. 전통적으로 각 API는 자체적인 오류 응답 형식을 정의했는데, 이로 인해 클라이언트 개발자는 API마다 다른 오류 처리 로직을 구현해야 했다. ...

December 15, 2024 · 9 min · Me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아래는 “Authentication(인증)” 주제에 대한 IT 백엔드 개발자 관점의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분석 결과입니다. 1. 태그(Keyword-Tag) Authentication Identity-Verification Security-Protocol Access-Control 2. 카테고리 계층 구조 검토 제시된 계층 구조: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Cybersecurity and Information Security > Access Control 분석 및 근거: 인증(Authentication)은 정보 보안(Cybersecurity and Information Security)의 핵심 요소로, 접근 제어(Access Control)의 필수 전제 조건이다.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는 인증은 컴퓨터 공학(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의 실무적 적용 사례로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제시된 계층 구조는 논리적이고 타당하다. ...

November 6, 2024 · 26 min · Me

HATEOAS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

HATEOAS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하이퍼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동적으로 제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RESTful API 설계의 중요한 개념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동적이고 유연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 하이퍼미디어를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사용한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동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API 응답에 관련 리소스에 대한 링크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전통적인 API와 HATEOAS API의 차이점 기존 API: 1 2 3 4 5 { "orderId": "123", "total": 100, "status": "pending" } HATEOAS API: ...

October 19, 2024 · 4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