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chronous Execution

동기 실행은 각 작업이 완료된 뒤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순차적 모델로, 흐름이 단순하고 예측 가능해 디버깅·검증·일관성에 유리하다.
트랜잭션 처리, 배치/이관, 초기화·종료 루틴처럼 정확한 순서와 원자성이 중요한 영역에 적합하다.
다만 장시간 I/O 나 외부 호출이 포함되면 전체 경로가 대기하며 자원 활용과 확장성이 떨어질 수 있다.
실무에서는 핵심 경계는 동기로 단순화하고, 지연이 큰 단계는 비동기 위임(큐·워커) 으로 분리하며, 타임아웃·재시도·멱등성을 더해 신뢰성과 성능을 함께 달성하는 혼합 설계가 권장된다.

핵심 개념

관점필수 개념설명실무 포인트
이론순차성/차단선형 실행·앞 작업 완료 대기테스트·검증 용이, 처리량 한계 존재
이론결정성동일 입력→동일 결과·경로재현성·회귀 테스트 강점
이론HoL Blocking선두 지연 전파큐/배치 설계 시 주의
실무트랜잭션/롤백ACID 흐름에 적합DB 트랜잭션 경계 최소화
실무스레드/커넥션 풀Thread-per-Request최대 동시성=풀 크기 한계
실무타임아웃/재시도느린 리소스 보호지수 백오프·재시도 예산
기본동기 호출 패턴파일/DB/HTTP 요청 동기 처리명확한 오류 전파/로그
심화동기↔비동기 경계병목 국지화외연 I/O 는 비동기·큐로 분리
심화관측성/배압큐 지연·p95·에러율스로틀/Admission Control

실무 구현 연관성 및 적용 방식

상황권장 접근구현 포인트체크 지표
DB 트랜잭션 처리동기짧은 트랜잭션, 커넥션 풀 상한트랜잭션 시간, 풀 점유율
초기화/부트스트랩동기의존 순서 명시, 실패시 페일패스트부트 시간, 실패 로그
순차 검증 파이프라인동기단계 실패 시 즉시 중단/롤백단계별 실패율
외부 API 연계 (지연 큼)비동기 경계로 분리큐·워크플로, 타임아웃/재시도큐 체류시간, 재시도율
고동시성 읽기 (Report)비동기/캐시Read-through 캐시, 배압히트율, p95 지연
CLI/배치 작업동기일괄 처리 + 장애 시 롤백처리량, 실패시 재처리
동기 실행이 중요한 대표 사례

동기 실행과 비동기 실행 비교

항목동기 실행 (Synchronous)비동기 실행 (Asynchronous)
처리 흐름순차적, blocking병렬, non-blocking
예측 가능성높음낮을 수 있음
확장성낮음높음
복잡도낮음높음
디버깅 용이성상대적으로 쉬움복잡, 상태 추적 어려움
실무 적용 예시트랜잭션, 준비/정리 작업, 초기화, 배치 처리 등실시간 알림, 대용량 일괄 처리, 비동기 API 등
병목 발생비교적 쉽게 발생분담 처리로 병목 완화 가능

기초 개념 (Foundation Understanding)

개념 정의 및 본질적 이해

동기 실행 (Synchronous Execution) 은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이전 작업이 완료된 후에야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실행 모델이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은 작성된 순서를 그대로 따라가며, 동일한 입력에 대해 항상 동일한 실행 순서와 결과를 보장한다. 본질적 특성은 차단성 (Blocking), 순차성 (Sequential), 결정론성 (Deterministic) 이며, 이러한 구조는 상태 의존성이 큰 로직에서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만 I/O·네트워크 지연 시 자원이 유휴 상태가 되어 전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등장 배경

동기 실행은 이전 작업이 완료된 뒤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순차 모델로, 초기 하드웨어 제약과 절차적 언어의 호출 규약에 가장 잘 부합했다.
데이터 일관성과 원자성이 핵심인 금융·배치·설정 스크립트 등에서는 예측 가능성·검증 용이성이 큰 가치를 지녔고, 운영체제가 진화해도 프로세스 내부 제어 흐름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대규모 네트워크 I/O 와 멀티코어 보편화로 비동기가 부상했지만, 실무에선 핵심 비즈니스 경로의 동기성지연 구간의 비동기 위임을 결합하는 설계가 효과적이다.

발전 과정
시기기술/환경동기 실행의 역할/특징한계·전환점
1940–1950s초기 컴퓨터, 폰 노이만 구조명령의 순차 실행이 기본 모델병렬성 미비, 자원 제약
1960s배치 처리 → 시분할 OS프로세스 내부 동기 제어 정착동시 사용자 증가로 I/O 대기 노출
1970–1980s구조적 프로그래밍, 트랜잭션순서·원자성 강조, 디버깅 용이실시간/대화형 수요 증가
1990s웹/클라이언트 - 서버, HTTP요청 - 응답 동기 패턴 확산네트워크 지연이 병목화
2000s멀티코어·대규모 I/O동기 한계 노출 → 비동기 병행스레드·이벤트 루프 도입
2010s~클라우드/마이크로서비스/서버리스하이브리드 (동기 + 비동기) 정착구조적 동시성, 취소/타임아웃 표준화
timeline
  title Synchronous Execution: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1940-1950 : 순차 실행 기본 모델 확립
  1960      : 배치→시분할, 프로세스 내부 동기 제어 정착
  1970-1980 : 구조적 프로그래밍/트랜잭션으로 동기성 강화
  1990      : 웹/HTTP 요청-응답 동기 패턴 대중화
  2000      : 멀티코어·대규모 I/O로 비동기 병행 확산
  2010-현재 : 클라우드/마이크로서비스, 동기+비동기 하이브리드

목적 및 필요성

문제 영역동기 실행의 가치 (해결 효과)적합 시나리오한계/주의보완 전략
순서·의존성 관리정확한 순서 보장, 단계적 검증 용이결제/정산, 마이그레이션, 초기화 시퀀스선두 차단 (HoL)장기 I/O 는 큐로 오프로딩
데이터 정합성원자적 커밋/롤백 단순DB 트랜잭션, 재고/계정 처리트랜잭션 시간 길어지면 락 경쟁짧은 트랜잭션·재시도 정책
디버깅/테스트콜스택 기반 추적 쉬움배치·CLI, 규칙 엔진처리량 한계단위테스트·계약테스트 강화
운영·추적성감사 로그 일관성회계/감사 요구 시스템처리 지연 누적단계별 타임아웃·페일 - 패스트
자원 모델단순한 스레드/연결 관리저동시성 API, 내부 도구Thread-per-Request 상한풀 사이징·백프레셔 도입

주요 특징 및 차별점

동기 실행 (Synchronous Execution) 은 모든 작업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이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작업이 대기하는 블로킹 실행 모델이다. 이 특성은 예측 가능성과 디버깅의 단순성을 제공하지만, 외부 I/O 나 긴 연산이 있을 경우 리소스 활용률과 확장성에 제약이 생긴다.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도 요청 단위에서는 동일한 순차·블로킹 흐름이 유지되며, 강한 일관성이 필요한 시스템에서 선호된다.

특징설명기술적 근거차별점
순차적 실행작업이 정해진 순서대로 하나씩 실행CPU 가 단일 명령 흐름을 순차 처리비동기는 작업을 병렬/병행 처리 가능
블로킹 처리현재 작업 완료 전까지 다음 작업 대기스레드가 I/O 완료 또는 연산 종료까지 대기 상태 유지논블로킹은 대기 중에도 다른 작업 수행
결정론적 결과동일 입력은 항상 동일한 실행 순서·결과 보장실행 경로와 상태 변화가 예측 가능병렬 실행은 스케줄링에 따라 순서·결과 변동 가능
디버깅 용이성실행 흐름과 스택 트레이스가 단순선형적 흐름 덕분에 제어 흐름 추적이 명확비동기는 콜백/이벤트 체인으로 복잡

핵심 원리 (Core Theory)

핵심 설계 원칙 및 철학

동기 실행은 선형적 흐름을 통해 상태 변화를 예측 가능하게 만든다.
설계는

  1. 순차성으로 의존 관계를 명시하고,
  2. 일관성으로 동일 조건에서 동일 결과를 보장하며
  3. 단순성으로 사고 비용을 낮춘다.

원자성/불변식 유지, 결정성, 명시적 블로킹 경계와 타임아웃/재시도, 오류 전파·정리 규율, 리소스 수명 주기 관리를 더하면 동기 모델의 강점을 살리면서 운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철학적으로는 안정성·검증가능성 우선을 견지하되, 지연이 큰 단계는 동기 경로 밖으로 분리 (오프로드) 하는 단순한 핵심 + 경계 분리 사고방식을 취한다.

카테고리원칙/개념의도/근거설계 지침주의/한계적용 예
실행 흐름순차성의존/선후관계 명확화단계·의존 그래프를 코드 순서에 반영긴 I/O 시 HoL 블로킹가입→결제→발송 순차 처리
실행 흐름일관성동일 입력→동일 결과순서·상태 전이 표준화외부 시간/랜덤 의존 최소화배치 이관 스크립트
설계 단순화단순성인지 부하 축소함수·모듈 단일 책임, 깊은 호출 금지과도한 일반화 지양설정/마이그레이션 도구
무결성원자성/불변식중간 상태 누수 방지트랜잭션 경계 명시, 실패 시 롤백장기 트랜잭션 지양주문 생성 + 재고 차감
예측가능성결정성재현·테스트 용이순수 함수화·입력 고정외부요인 주입 (시간/IO) 격리리포트 산출
성능/경계명시적 블로킹병목 파악타임아웃/재시도/폴백 규정무한 대기 금지동기 HTTP 호출 정책
안정성오류 전파 규율빠른 실패·정리예외 정책 통일, try-finally예외 삼키기 금지파일/락 해제 보장
자원관리수명 주기 관리누수·교착 방지스코프 기반 해제, 임계구역 단축중첩 락 금지DB 커넥션 핸들링
운영관측 가능성원인 추적단계별 로그·메트릭·트레이스과도한 로깅 지양단계별 상태 로깅

기본 원리 및 동작 메커니즘

기본 원리

동기 실행은 이전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을 시작하는 순차 처리 모델이다.
이는 결과의 의존성을 보장하고, 상태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작업 간 동기화를 통해 데이터와 실행 흐름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원리명설명관련 개념
명령어 순차 실행 (Sequential Execution)이전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작업 시작프로그램 카운터 (PC), 명령어 파이프라인
결과 의존성 (Result Dependency)다음 작업은 이전 작업의 출력값을 필요로 함함수 호출 체인,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상태 일관성 유지 (State Consistency)실행 중인 상태 (스택, 레지스터, 메모리) 가 작업 완료까지 유지컨텍스트 유지, ACID 의 Consistency
동기화 메커니즘 (Synchronization)작업 완료 신호에 따라 다음 작업 진행블로킹 호출, 조건 변수, 세마포어
동작 메커니즘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aller as 호출자(Caller)
    participant CPU as CPU
    participant Memory as 메모리
    participant IO as I/O 장치

    Caller->>CPU: 작업 요청(Task A)
    CPU->>Memory: 명령어/데이터 읽기
    CPU->>CPU: 명령어 실행
    Note over CPU: 작업 A 완료까지 대기
    
    CPU-->>Caller: 결과 반환
    Caller->>CPU: 다음 작업 요청(Task B)
    CPU->>IO: I/O 요청
    Note over CPU,IO: I/O 완료까지 CPU 대기
    IO-->>CPU: I/O 완료 신호
    CPU->>CPU: 후속 명령 실행
    CPU-->>Caller: 결과 반환

동기 실행의 흐름은 호출자가 작업을 요청 → CPU 가 명령을 실행 → 필요 시 I/O 요청 후 대기 → 작업 완료 후 결과 반환의 순서를 반복한다.
각 단계는 이전 단계가 끝날 때까지 진행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전체 흐름의 예측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동기 실행 아키텍처는 호출 스택과 프로그램 카운터를 축으로, 각 함수 호출이 스택 프레임을 쌓으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I/O 또는 공유자원 접근 시에는 동기 시스템 콜이나 동기화 프리미티브가 호출되어 현재 스레드가 대기한다 (커널은 스레드를 슬립 처리 후 완료 시 웨이크업). 이때 타임아웃/취소 규칙리소스 수명주기 관리가 누수·교착을 방지한다.

운영 관점에서는 요청→단계별 실행→응답 구간에 로깅/메트릭/트레이스를 삽입해 병목 (예: 블로킹 I/O 지점) 과 실패를 진단한다. 필요 시 동기 큐로 순서를 직렬화하고, 경계가 긴 작업은 분리된 워커에 위임하여 핵심 동기 경로를 단순·짧게 유지한다.

flowchart TB
  subgraph U["User Space (동기 경로)"]
    A["요청 처리 함수 call()"] --> B[호출 스택에 프레임 push]
    B --> C{계산/검증 단계}
    C -->|계속| D[동기 I/O 필요?]
    D -->|아니오| E[로직 계속 실행]
    D -->|예| F[동기 시스템 콜 호출]
    E --> H[결과 생성 → return]
  end

  subgraph K["Kernel Space"]
    F --> G[커널 I/O 서브시스템]
    G --> I{I/O 완료?}
    I -->|아니오| J[스레드 sleep/대기]
    I -->|예| L[데이터 준비/상태 코드]
    J --> I
    L --> M[스레드 wakeup]
  end

  M --> N[User Space로 복귀]
  N --> O[호출 스택 pop + PC 재개]
  O --> P{타임아웃/에러?}
  P -->|예| Q[예외 전파/롤백/정리]
  P -->|아니오| H[정상 결과 반환]
구성 요소
구분구성 요소설명역할기능특징
필수호출 스택 (Call Stack)함수 호출·리턴을 쌓는 스택 프레임 집합제어 흐름·지역 상태 보존리턴 주소/로컬 변수/레지스터 저장선형 실행의 근간, 오버플로 주의
필수프로그램 카운터 (PC)다음 실행 명령어 주소순차 흐름 진행분기/점프/리턴 위치 지정CPU 아키텍처 종속
필수실행 컨텍스트/스택 프레임한 호출의 환경 스냅샷독립적 단계 수행매개변수/로컬/저장 레지스터 유지재진입성·결정성에 영향
필수시스템 콜 인터페이스커널 I/O/자원 접근 경로동기 작업 위임read/write/open 등블로킹 지점의 핵심
필수동기화 프리미티브 (락/조건변수/세마포어)공유자원 상호배제·순서 제어경쟁 상태 방지lock/unlock, wait/signal임계구역 최소화 필요
필수커널 스케줄러/웨이크업슬립/런큐 관리블로킹 스레드 재개sleep/wakeup, 컨텍스트 스위치우선순위·공정성 영향
필수타이머/타임아웃 관리자무한 대기 방지경계 시간 설정timeout, deadline실패·재시도 정책과 결합
선택동기 큐 (Synchronous Queue)순차 실행 대기열직렬화·순서 보장FIFO/우선순위 큐처리율·지연 트레이드오프
선택리소스 수명주기 관리자파일/DB/락의 스코프 관리누수·교착 방지acquire/release, RAII스코프 기반 해제 권장
선택예외/에러 처리기오류 탐지·전파·복구빠른 실패·정리try/finally, 롤백예외 삼키기 금지
선택관측성 훅 (로그/메트릭/트레이스)단계 가시화병목·원인 추적구간 타이머, 상태 로깅SLO·알람과 연계

주요 기능과 역할

기능 ↔ 역할 관계
기능 (What)핵심 책임 (Responsibility)시스템 역할 (Role)실패/리스크권장 기법/도구대표 적용 예
실행 흐름 제어단일 제어 흐름에서 단계적 실행로직 단순화, 이해도↑HoL 차단으로 지연 전파타임아웃·페일 - 패스트, 단계 분리초기화 시퀀스, 배치 작업
순서/의존성 관리의존 순서 강제, 결과 전달예측 가능한 결과순서 강제에 따른 처리량↓단계 병합/분할, 불변 데이터 전달검증 파이프라인, ETL
자원 접근 관리파일/DB/네트워크 직렬 접근레이스·무결성 이슈 감소락 경합·대기↑짧은 크리티컬 섹션, 커넥션 풀 튜닝동기 DB I/O, 파일 머지
상태 일관성 유지단계별 상태 전이 명시디버깅·관찰성↑장기 실행 시 상태 꼬임상태 기계 (State Machine) 로그결제 상태 전이, 주문 처리
오류 처리/복구예외 전파·롤백 경로 단순신뢰성·가용성↑광역 롤백 비용↑트랜잭션 경계 최소화, 세분화된 예외트랜잭션 실패 처리
트랜잭션 관리ACID 보장데이터 정합성긴 트랜잭션→경합/타임아웃짧은 트랜잭션, 적절한 격리 수준재고 차감, 회계 분개
관측성/감사구조화 로그/Trace-Id준거성·문제 재현낮은 가시성 시 MTTR↑코리레이션 ID, 단계 로그 스키마감사 추적, 원인 분석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장점 및 이점

동기 실행은 작업이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구조 덕분에 예측 가능성, 데이터 일관성, 동시성 문제 회피 측면에서 강점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디버깅 용이성, 유지보수 효율성, 성능 병목 파악에 유리하며, 금융·의료 등 무결성이 필수인 환경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또한 단일 스레드 기반이라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없고, 로그 및 상태 추적이 간단해 운영 효율이 높다.

구분항목설명기술적 근거실무 효과
개발 편의성명확한 실행 순서작업 흐름이 직관적이고 선형적Call Stack 기반 순차 실행디버깅 및 유지보수 용이
안정성예측 가능한 동작동일 입력에 대해 동일 결과 보장결정론적 실행 모델테스트 신뢰성, 운영 안정성 향상
안정성데이터 일관성상태 변경이 순차적으로 처리원자적 연산 순차 실행금융·의료 트랜잭션 무결성 확보
보안성Race Condition 회피동시 상태 변경이 발생하지 않음직렬 자원 접근동시성 보안 취약점 감소
성능 분석병목 지점 식별 용이실행 순서가 고정되어 문제 위치 명확I/O 또는 함수 단위 병목 파악 쉬움최적화 포인트 명확화
효율성컨텍스트 스위칭 오버헤드 없음단일 스레드 실행상태 저장/복원 불필요CPU 자원 효율적 사용
운영 효율로그 추적 용이실행 경로가 단순순차 실행 기반 이벤트 흐름장애 분석 속도 향상

동기 실행은 선형적 구조 덕분에 개발·운영 전반에서 직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
데이터 무결성, Race Condition 회피, 병목 분석 용이성, 컨텍스트 스위칭 부재 등의 특성으로 금융·의료·보안 민감 시스템에 적합하며, 장애 분석과 로그 추적이 쉽다.

단점 및 제약사항 분석

동기 실행은 순차·예측 가능성이 강점이지만, 긴 I/O·외부 호출이 끼어들면 선두 차단으로 전체 경로가 지연되고, 처리량은 직렬화 때문에 쉽게 상한을 맞는다. 또한 임계구역이 길거나 외부 의존이 많으면 락 경합·장애 전파가 커지고, 드문 장기 작업이 테일 레이턴시를 악화시킨다.

대응은

  1. 핵심 동기 경로를 짧게 유지하고 느린 단계는 큐·워커로 오프로딩
  2. 타임아웃/재시도 (지터)·서킷브레이커·격벽으로 실패 전파를 차단
  3. 캐싱·배치·스레드/프로세스 풀로 블로킹 비용을 상쇄
  4. 락 규율·임계구역 축소로 경합을 줄이는 것.
  5. 운영 측면에서는 event-loop/스레드 블로킹 지표, 큐 길이, p95/99 지연을 상시 감시해 임계 구간을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
카테고리항목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해결/대안
성능Head-of-Line 블로킹선행 작업 장기 지연전체 응답 지연, 타임아웃 급증단계별 구간 타이밍, 프로파일링경로 슬라이싱 (핵심 < 300ms)느린 단계 비동기 오프로딩 (큐/워커), 캐싱
처리량직렬화로 인한 스루풋 한계단일 경로 순차 처리TPS 포화, 스케일 불가부하 테스트, RPS/TPS 추세읽기/쓰기 분리멀티프로세스/스레드 풀, 샤딩
자원유휴 시간 증가I/O 대기 동안 CPU 놀림비용/효율 저하CPU 사용률 vs I/O 대기I/O 축소·배치논블로킹 I/O 대체, prefetch/배치
안정성장애 전파외부 의존 실패를 동기 경로가 전파연쇄 장애, MTTR 증가실패율/동시 재시도율실패 격벽 (Bulkhead)서킷 브레이커 + 타임아웃 + 지수 백오프
동시성락 경합/데드락긴 임계구역·락 순서 불규칙대기 폭증, 교착락 대기시간, 스레드 덤프락 순서 규약, 임계구역 단축낙관적 잠금, 불변 구조, 파티셔닝
지연테일 레이턴시 악화드문 장기 작업/콜드스타트p99/999 악화, 사용자 체감 저하히스토그램 (p95~p999)핫패스 예열·프리워밍우선순위 큐, 타임아웃/폴백
운영관측 취약블로킹 지점 미계측원인 추적 지연단계별 스팬/메트릭관측 표준화 (상관 ID/trace)구간별 지표 의무화, 알람

동기 실행의 병목은 직렬·블로킹에서 시작한다. 핵심 경로를 짧게 유지하고, 느린 단계는 비동기 위임으로 분리한다.
타임아웃/재시도/서킷브레이커/격벽으로 실패 전파를 차단하고, 락 규율·캐싱·배치·멀티프로세싱/스레딩으로 효율을 끌어올린다. 마지막으로 p95/99·큐 길이·락 대기를 꾸준히 관찰해 조기 대응한다.

트레이드오프 관계 분석

트레이드오프 축A: 동기 중심 선택 시 장점A 단점/리스크B: 비동기/동시성 중심 선택 시 장점B 단점/리스크선택 기준 (질문)핵심 지표완화책 (권장)
단순성 vs 성능가독성·구현 용이, 오류 여지↓대기 누적, 처리량 제한처리량↑, 자원 효율↑복잡성↑, 버그 유형 다양" 읽기 쉬움 vs 처리량 " 어느 쪽이 더 중요?RPS, p95/p99, CPU/스레드 점유동기는 핫패스 최소화, 긴 I/O 는 큐 오프로딩
결정성/일관성 vs 확장성결정적 흐름, 정합성·감사 용이HoL 로 테일 지연↑수평 확장, 탄력 처리일관성 모델 관리 필요" 정합성·감사 vs 확장성 " 우선순위?오류율, 트랜잭션 충돌/락 대기강한 트랜잭션 구간을 짧게, 외연은 Eventually Consistent
디버깅 용이성 vs 자원 활용콜스택 추적 쉬움, 테스트 결정성↑Thread-per-Request 상한스레드/메모리 효율↑비동기 스택 추적 난이도↑“MTTR vs 비용/밀도 " 무엇이 더 중요?MTTR, 메모리/코어당 처리량비동기엔 분산 추적/구조화 로그 표준화
제어권 명확성 vs 유연성트랜잭션 롤백 단순긴 트랜잭션→경합부분 성공·보상 (사가) 가능보상 로직 복잡" 원자적 롤백 vs 부분 성공 허용?”롤백률, 경합/타임아웃트랜잭션 경계 최소화, 보상은 표준 사가 템플릿
HoL 회피 vs E2E 일관성선두 지연 전파큐로 버퍼링·스무딩E2E 추적/순서 보장 복잡" 스파이크 완화 필요?"큐 길이/체류시간, 드롭률멱등키, 순서 파티션, Outbox + Dispatcher 패턴
운영 단순성 vs 기능 풍부함러닝커브 낮음스케일 한계기능 다변화 (백프레셔/재시도)운영 복잡도↑" 팀 숙련도·운영 여력?"알람 소음, 재시도율표준 런북/리미터/서킷·재시도 예산 도입

성능 특성 및 확장성 분석

구분항목장점병목/제한 요인개선/완화 전략관측 지표 (추천)
성능CPU-bound 처리순차 실행 + 캐시 지역성으로 효율↑단일 스레드가 긴 작업 점유워커/프로세스 풀로 오프로딩CPU 사용률, run queue, GC pause
성능응답 시간 예측 가능선형 호출·스택 추적 용이체인 중 하나의 지연이 전체 블로킹타임아웃·서킷·리트라이 (지수 백오프)P50/P95/P99, 타임아웃 비율
성능낮은 오버헤드컨텍스트 스위칭·락 경합 감소I/O 대기 시 스레드 고갈커넥션 풀 튜닝, 비동기 I/O 병행풀 사용률, 대기열 길이
확장성수직 확장코어/클럭↑로 성능↑병렬성 자체는 제한핫패스 최적화, 배치화단건 vs 배치 처리당 지연
확장성수평 확장인스턴스 증설로 TPS↑상태 공유/세션 스티키스테이트리스, 외부 세션/캐시인스턴스별 RPS, 캐시 히트율
확장성동시성직렬처리로 단순·안정I/O 병목, 락 대기CQRS, 읽기 캐시, 메시지 큐락 대기시간, serialization 실패율

동기 실행은 예측 가능한 레이턴시와 단순한 운영이 강점이지만, I/O 대기와 락 경합에서 처리량이 급격히 떨어진다. 확장은 수직 중심이 되기 쉽고, 수평 확장 시에는 상태 외부화·캐싱·비동기 오프로딩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설계가 실무적으로 가장 효과적이다.

구현 및 분류 (Implementation & Classification)

구현 기법 및 방법

분류정의구성 요소원리목적사용 상황특징
직접 함수 호출 파이프라인함수를 순서대로 호출·반환값 전달호출 스택, 스택 프레임호출→완료→다음 단계 선형 진행가독성·검증 용이단일 경로 처리, 초기화/정리 루틴제어 흐름 단순, 테스트 쉬움
블로킹 I/O 처리I/O 완료까지 현재 스레드 대기시스템콜, 파일/소켓read/write/connect 완료 후 복귀일관성 보장, 단순 제어파일 읽기/쓰기, 동기 HTTP대기 중 CPU 유휴, 타임아웃 필수
순차 루프/배치 처리컬렉션/배치를 순차 처리반복문, 배치 분할요소/배치를 하나씩 처리 후 다음안정적 대량 처리로그 변환, 리포트 생성중간 저장/리커버리, 진행률 추적
트랜잭션 기반 처리트랜잭션 경계 내 순차 실행커넥션, 트랜잭션, 롤백ACID 보장, 실패 시 전체 롤백정합성·원자성결제/정산, 재고 이동예외 처리·리소스 해제 중요
Thread-per-request요청당 1 스레드로 동기 처리스레드풀, 락, 컨텍스트각 요청은 순차/독립, 병렬은 스레드풀단순한 동시성 모델전통 웹서버, 서블릿 계열락 경합·스위칭 오버헤드 주의
동기 API 통신요청 후 응답까지 대기HTTP 클라이언트, 타임아웃Request→Blocking→Response예측 가능한 흐름동기 RPC/HTTP 호출재시도/서킷브레이커와 결합
동기 + 논블로킹 폴링순차 흐름 유지, 준비 여부 폴링소켓, select/poll준비 신호가 올 때만 처리부분 대기 회피간단한 프로토콜, 파이프구현 복잡도↑, 여전히 선형
직접 함수 호출 파이프라인—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def load_user(uid):
    # DB/파일 등 외부 의존이 없다고 가정(순수 계산)
    return {"id": uid, "tier": "basic"}

def upgrade(user):
    user["tier"] = "pro"
    return user

def persist(user):
    # 실제론 DB 저장(여기선 프린트로 대체)
    print("saved:", user)

def upgrade_flow(uid):
    user = load_user(uid)          # 1) 로드
    updated = upgrade(user)        # 2) 변환
    persist(updated)               # 3) 저장
    return "OK"

print(upgrade_flow(1))
블로킹 I/O 처리—Python
1
2
3
4
5
6
7
8
9
from pathlib import Path

def read_config_sync(path: str) -> str:
    # 파일 읽기 완료 전까지 이후 코드 진행 없음(블로킹)
    with open(path, "r", encoding="utf-8") as f:
        return f.read()

content = read_config_sync("config.ini")
print("length:", len(content))
순차 루프/배치 처리—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def process_batch(batch):
    # 시간이 걸리는 배치 처리(예: 해시 계산/압축)
    return [str(x).upper() for x in batch]

def process_all(items, size=1000):
    out = []
    for i in range(0, len(items), size):     # 배치를 순차 처리
        batch = items[i:i+size]
        out.extend(process_batch(batch))
        # 중간 커밋/체크포인트 가능
    return out

result = process_all(list(range(5000)))
print("processed:", len(result))
트랜잭션 기반 처리—Python (sqlite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import sqlite3

def transfer(conn, from_id, to_id, amount):
    # with 블록: 예외 시 자동 롤백, 정상 종료 시 커밋
    with conn:
        cur = conn.execute("SELECT balance FROM accounts WHERE id=?", (from_id,))
        bal = cur.fetchone()[0]
        if bal < amount:
            raise ValueError("insufficient")
        conn.execute("UPDATE accounts SET balance = balance - ? WHERE id=?", (amount, from_id))
        conn.execute("UPDATE accounts SET balance = balance + ? WHERE id=?", (amount, to_id))
        # 여기까지 모두 성공해야 커밋됨(ACID)

conn = sqlite3.connect(":memory:")
conn.executescript("""
CREATE TABLE accounts(id INTEGER PRIMARY KEY, balance INTEGER);
INSERT INTO accounts VALUES(1, 100), (2, 0);
""")
transfer(conn, 1, 2, 50)
print(conn.execute("SELECT * FROM accounts").fetchall())
Thread-per-request 서버 모델—Python(Flask, threade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pip install flask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app = Flask(__name__)

@app.get("/sum")
def calc_sum():
    # 각 요청은 독립 스레드에서 동기적으로 처리됨
    a = int(request.args.get("a", "0"))
    b = int(request.args.get("b", "0"))
    # 긴 작업이 있다면 이 스레드가 블로킹됨
    return {"sum": a + b}

if __name__ == "__main__":
    # threaded=True: 요청마다 스레드 할당(스레드풀 관리)
    app.run(host="0.0.0.0", port=5000, threaded=True)
동기 API 통신 (Request-Response)—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 pip install requests
import requests

def fetch_user(uid: int, timeout=(2, 5)):
    # 연결/응답 타임아웃 설정으로 무한 대기 방지
    r = requests.get(f"https://api.example.com/users/{uid}", timeout=timeout)
    r.raise_for_status()
    return r.json()

# 호출이 끝날 때까지 이후 로직 진행 안 됨
# print(fetch_user(1))
동기 + 논블로킹 폴링—Python(selec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import socket, select

def sync_poll_read(host, port):
    sock = socket.socket()
    sock.setblocking(False)             # 논블로킹 소켓
    try:
        sock.connect((host, port))
    except BlockingIOError:
        pass                            # 연결 진행 중

    # 순차 흐름을 유지하면서 준비 여부만 폴링
    while True:
        rlist, _, _ = select.select([sock], [], [], 5)  # 준비되면 반환
        if sock in rlist:
            data = sock.recv(4096)
            if not data: break
            # 읽은 데이터를 동기적으로 가공
            print("got:", len(data))
    sock.close()

# sync_poll_read("example.com", 80)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동기 실행은 호출자가 결과를 기다리는 제어 흐름이며, 아래 축들의 조합으로 실무 유형이 결정된다.

분류 기준유형핵심 특징장점한계/주의대표 적용 예
I/O 방식블로킹 I/O 동기호출이 완료될 때까지 스레드 대기구현 단순, 디버깅 용이스레드 점유, HoL 지연동기 DB 쿼리, 파일 I/O
I/O 방식논블로킹 I/O 동기 (폴링)상태 확인·타임아웃 루프로 동기 제어 유지메인 흐름 통제 쉬움바쁜 대기/폴링 비용간단한 소켓 폴링, 상태 폴링 API
실행 구조단일 스레드 동기하나의 스레드에서 순차 실행단순·예측 가능확장성 낮음CLI, 초기화 루틴
실행 구조멀티 스레드 동기요청마다 스레드/풀에서 동기 처리코어 활용, 확장성↑풀 상한=동시성 상한전통적 웹 서버 (스레드 - 퍼 - 리퀘스트)
실행 구조멀티 프로세스 동기프로세스 단위 격리·동기 흐름장애 격리, 확장성IPC 비용Apache MPM, 워커 프로세스
실행 범위함수 레벨 동기함수 호출/리턴 기준 순차지역적 단순성시스템 수준 영향 제한알고리즘·검증 루틴
실행 범위스레드/프로세스 레벨 동기단일 실행 단위 내 순차제어 명확단위 간 조율 필요배치/스크립트, 워커
처리 모드즉시 (온라인) 순차 처리요청 즉시 순차 실행UX 단순대기 시간 누적동기 API 처리
처리 모드배치 순차 처리일정량 묶음 순차 처리처리량·효율↑지연↑ETL, 데이터 청산
처리 모드단계별 파이프라인엄격 순서의 단계 진행정합성↑HoL 확대 위험검증/정산 파이프라인
통신 패턴로컬 동기 호출프로세스 내부 함수/모듈 호출비용 낮음결합도↑서비스 내부 계층 호출
통신 패턴원격 동기 호출 (RPC/HTTP)응답 대기형 요청 - 응답직관적네트워크 지연 전파REST/RPC 클라이언트
트랜잭션단일 트랜잭션 동기ACID 경계 내 순차 처리강한 정합성락 경합/지연재고/결제/회계
트랜잭션부분 동기형 (핵심만 동기)핵심만 동기, 외연은 큐로균형·복원력경계 설계 필요주문 생성 동기 + 알림 비동기

도구 및 프레임워크 생태계

동기 실행 생태계는 전통적으로 요청 - 응답 패턴에서 결과 반환 전까지 처리가 블로킹되는 구조를 기반으로 발전해왔다.
언어별로 표준 라이브러리와 주요 프레임워크에서 동기 실행 API 를 제공하며, 이는 간결한 제어 흐름과 예측 가능한 동작을 장점으로 한다.

웹 서버 및 프레임워크 (예: Apache HTTP Server, Django) 는 요청마다 별도의 쓰레드/프로세스를 할당하거나 이벤트 루프를 사용하며, HTTP 클라이언트 (예: requests),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JDBC, psycopg2) 등도 동기 방식이 널리 쓰인다.
다만, 일부 환경 (Node.js 등) 에서는 초기 동기 API 에서 비동기 모델로 전환되었으며, 실무에서는 성능 및 확장성 고려로 비동기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카테고리도구/프레임워크언어특징사용 사례
언어 기본 지원함수 호출, 파일 I/OPython, Java, Go, JavaScript실행 완료 전까지 블로킹기초 연산, 스크립트 실행
웹 서버Apache HTTP ServerC멀티프로세스 동기 처리정적 웹, PHP
웹 프레임워크Django / FlaskPython동기 기반 요청 처리전통적 웹 서비스
웹 프레임워크Spring MVCJavaThread-per-request 모델엔터프라이즈 웹 앱
웹 프레임워크GinGo동기 핸들러 호출경량 API 서버
HTTP 클라이언트requestsPython블로킹 HTTP 요청API 호출, 웹 스크래핑
HTTP 클라이언트http.clientPython표준 동기 HTTP 지원저수준 통신
데이터베이스JDBC, HibernateJava동기 DB 연결OLTP, ERP
데이터베이스psycopg2, SQLAlchemyPython동기 쿼리 처리데이터 분석
파일 I/Ofs (sync)Node.js블로킹 파일 접근설정 파일, 로그
RPCgRPC (sync mode)다양한 언어동기 원격 호출마이크로서비스 통신

표준 및 규격 준수사항

동기 실행의 표준 준수사항은 OS/언어 수준, 통신·데이터 표준, 보안 가이드라인으로 나뉜다.

구분표준/규격적용 범위주요 내용실무 고려사항
국제 표준POSIX (IEEE 1003)OS, 시스템 콜동기 I/O, 파일·네트워크 호출 규격OS 별 구현 차이 고려
국제 표준ISO/IEC 9899 (C 표준)언어함수 호출·블로킹 처리 명세컴파일러 구현 확인
업계 표준HTTP/1.1통신요청 - 응답 동기 구조Keep-Alive, 타임아웃 설정
업계 표준ANSI/ISO SQLDBACID, 트랜잭션 격리 수준Isolation Level 선택
업계 표준JDBC자바 DB API동기 데이터 접근 규격커넥션 풀·타임아웃 조정
API 규격OpenAPI/SwaggerAPI 문서SLA, 타임아웃, 오류 코드 명시408, 504 처리 로직 구현
보안 표준TLS/SSL네트워크 보안암호화 통신, 인증최신 프로토콜 버전 사용
보안 표준OWASP앱 보안리소스 고갈·DoS 방지Rate Limit, 요청 검증
보안 표준NIST SP 800-53보안·가용성가용성 유지 제어모니터링·Failover 설계

동기 실행은 OS·언어 표준, 통신·DB·API 업계 표준, 보안 가이드라인 등 다양한 규격의 영향을 받는다. POSIX·HTTP/1.1·SQL·TLS 같은 규격은 동기 흐름에서 필수적으로 지켜야 하며, 타임아웃·재시도·리소스 제한을 통해 블로킹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 위험을 줄여야 한다.

실무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실제 도입 사례

동기 실행은 정합성·가시성·순서 보장이 최우선인 경로에 채택된다.
예를 들어, 결제 게이트웨이는 결제 의사 확인을 요청 - 응답 내에서 완료해야 사용자 경험과 보안 정책을 동시에 만족시킨다.
CI/CD 에선 테스트·빌드·배포의 직렬 단계가 실패 지점을 명확히 하고 롤백 결정을 단순화한다.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은 결정적 순서가 핵심이므로 Flyway/Liquibase 가 버전 이력으로 적용 순서를 보장한다.
전통 Servlet/Tomcat 및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 (Spring MVC) 는 요청당 스레드 모델과 DispatcherServlet 으로 예측 가능한 동기 요청 - 응답을 구현한다.
클러스터 운영에선 Kubernetes Init 컨테이너가 앱 시작 전 준비 작업을 순차 완료시켜 초기화 의존성을 안전하게 해소한다.

범주/플랫폼적용 분야동기 실행 구간도입 목적핵심 효과
Stripe (PaymentIntents)결제confirm 요청 시 동기 승인/거절사용자 피드백·위험결정 즉시성UX·보안 정책 일치
GitHub ActionsCI/CDsteps순차, jobs.needs직렬화실패 지점 명확화디버깅/롤백 단순화
Flyway/LiquibaseDB 마이그레이션정해진 순서로 스크립트 적용스키마 정합성결정적 배포·이력 관리
Tomcat(서블릿)웹 서버요청당 스레드로 동기 처리단순한 동시성 모델예측 가능한 지연·문맥
eGovFrame(Spring MVC)공공 웹DispatcherServlet 기반 요청→응답표준화·유지보수성절차·흐름 일원화
Kubernetes Init Containers플랫폼 초기화앱 시작 전 순차 완료 보장의존 초기화·보안안전한 부팅 경로

실습 예제 및 코드 구현

실습 예제: 웹 API 서버가 사용자 정보 → 주문 정보 → 배송 상태를 순차적으로 조회

학습 목표: 동기 실행의 기본 구조와 블로킹 방식의 흐름을 이해하고, 네트워크 지연이 전체 응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실습한다.

시나리오: 웹 API 서버가 사용자 정보 → 주문 정보 → 배송 상태를 순차적으로 조회하는 경우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Client --> API[Flask API Gateway]
    API --> U[User Service]
    API --> O[Order Service]
    API --> D[Delivery Service]

Workflow:

  1. Client 가 API Gateway 에 요청
  2. API 는 사용자 정보 → 주문 정보 → 배송 상태 순으로 호출
  3. 이전 응답 없이는 다음 호출 불가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 Flas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from flask import Flask, jsonify
import requests

app = Flask(__name__)

@app.route("/track/<user_id>")
def track_user(user_id):
    """
    동기 방식으로 사용자 → 주문 → 배송 상태를 순차 조회
    """
    # 1단계: 사용자 정보 조회 (Blocking)
    user_info = requests.get(f"http://user-service/{user_id}").json()

    # 2단계: 주문 정보 조회 (Blocking)
    order_info = requests.get(f"http://order-service/{user_info['order_id']}").json()

    # 3단계: 배송 상태 조회 (Blocking)
    delivery_info = requests.get(f"http://delivery-service/{order_info['tracking_id']}").json()

    return jsonify({
        "user": user_info,
        "order": order_info,
        "delivery": delivery_info
    })

# Flask 실행
# $ flask run
실습 예제: 주문 처리 시스템에서 재고 확인 → 결제 처리 → 배송 준비의 순차적 과정

학습 목표: 동기 실행의 기본 개념과 블로킹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구현 경험 습득

시나리오: 온라인 쇼핑몰의 주문 처리 시스템에서 재고 확인 → 결제 처리 → 배송 준비의 순차적 과정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고객 주문 요청] --> B[주문 서비스]
    B --> C[재고 확인]
    C --> D[결제 처리]
    D --> E[배송 준비]
    E --> F[주문 완료 응답]
    
    G[데이터베이스] --> C
    H[결제 게이트웨이] --> D
    I[배송 시스템] --> E

Workflow:

  1. 고객이 상품 주문 요청 전송
  2. 재고 확인 서비스에서 재고 수량 검증 (블로킹)
  3. 결제 서비스에서 결제 처리 (블로킹)
  4. 배송 서비스에서 배송 준비 (블로킹)
  5. 각 단계 완료 후 다음 단계 진행
  6. 모든 단계 완료 후 고객에게 완료 응답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import time
import logging
from typing import Dict, Any

class OrderProcessingSystem:
    """
    동기 실행 기반 주문 처리 시스템
    - 각 단계는 이전 단계 완료 후 실행 (동기 실행의 순차성)
    - 실패 시 명확한 롤백 지점 제공 (동기 실행의 예측 가능성)
    """
    
    def __init__(self):
        self.inventory = {"laptop": 10, "phone": 20}
        self.orders = {}
        
    def process_order_sync(self, order_data: Dict[str, Any]) -> Dict[str, Any]:
        """
        동기적 주문 처리 메인 함수
        - 각 함수 호출은 이전 함수 완료 후 실행 (블로킹 방식)
        """
        order_id = order_data["order_id"]
        
        try:
            # 1단계: 재고 확인 (동기 실행 - 완료까지 대기)
            logging.info(f"재고 확인 시작: {order_id}")
            inventory_result = self._check_inventory(order_data)
            logging.info(f"재고 확인 완료: {order_id}")
            
            # 2단계: 결제 처리 (이전 단계 완료 후 시작)
            logging.info(f"결제 처리 시작: {order_id}")
            payment_result = self._process_payment(order_data)
            logging.info(f"결제 처리 완료: {order_id}")
            
            # 3단계: 배송 준비 (결제 완료 후 시작)
            logging.info(f"배송 준비 시작: {order_id}")
            shipping_result = self._prepare_shipping(order_data)
            logging.info(f"배송 준비 완료: {order_id}")
            
            # 모든 단계 완료 후 최종 처리
            return {
                "status": "success",
                "order_id": order_id,
                "message": "주문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except Exception as e:
            # 동기 실행의 장점: 명확한 실패 지점 추적
            logging.error(f"주문 처리 실패: {order_id}, 오류: {str(e)}")
            self._rollback_order(order_id)
            return {
                "status": "failed", 
                "order_id": order_id,
                "error": str(e)
            }
    
    def _check_inventory(self, order_data: Dict[str, Any]) -> bool:
        """
        재고 확인 - 블로킹 I/O 시뮬레이션
        - 이 함수가 완료될 때까지 다음 단계 대기
        """
        time.sleep(1)  # 데이터베이스 조회 시뮬레이션 (블로킹)
        
        product = order_data["product"]
        quantity = order_data["quantity"]
        
        if self.inventory.get(product, 0) < quantity:
            raise Exception(f"재고 부족: {product}")
            
        # 재고 예약 (동기적 상태 변경)
        self.inventory[product] -= quantity
        return True
    
    def _process_payment(self, order_data: Dict[str, Any]) -> bool:
        """
        결제 처리 - 외부 결제 게이트웨이 호출 시뮬레이션
        - 결제 완료까지 프로그램 대기 (동기 실행)
        """
        time.sleep(2)  # 결제 게이트웨이 응답 대기 (블로킹)
        
        # 결제 실패 시뮬레이션 (10% 확률)
        import random
        if random.random() < 0.1:
            raise Exception("결제 처리 실패")
            
        return True
    
    def _prepare_shipping(self, order_data: Dict[str, Any]) -> bool:
        """
        배송 준비 - 배송 시스템 연동
        - 배송 정보 등록 완료까지 대기
        """
        time.sleep(1)  # 배송 시스템 등록 시뮬레이션
        
        order_id = order_data["order_id"]
        self.orders[order_id] = {
            "status": "shipping_prepared",
            "timestamp": time.time()
        }
        return True
    
    def _rollback_order(self, order_id: str):
        """
        주문 롤백 - 동기 실행의 명확한 실행 순서 덕분에 
        정확한 롤백 지점 파악 가능
        """
        logging.info(f"주문 롤백 시작: {order_id}")
        # 재고 복구, 결제 취소 등의 롤백 로직
        
# 사용 예시
def main():
    """
    동기 실행 시스템 테스트
    - 각 주문이 순차적으로 처리됨을 확인
    """
    processor = OrderProcessingSystem()
    
    # 여러 주문 동기적 처리
    orders = [
        {"order_id": "ORD001", "product": "laptop", "quantity": 2},
        {"order_id": "ORD002", "product": "phone", "quantity": 1},
        {"order_id": "ORD003", "product": "laptop", "quantity": 5}
    ]
    
    for order in orders:
        # 각 주문은 이전 주문 완료 후 처리 (동기 실행)
        print(f"\n주문 처리 시작: {order['order_id']}")
        result = processor.process_order_sync(order)
        print(f"처리 결과: {result}")
        print(f"현재 재고: {processor.inventory}")

if __name__ == "__main__":
    logging.basicConfig(level=logging.INFO)
    main()
실습 예제: 웹 서버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 읽고, 처리하고, 반환하는 워크플로우

학습 목표: 동기 실행 모델의 핵심 원리와 블로킹 동작을 실습으로 익힘

시나리오: 웹 서버에서 순차적으로 데이터 읽고, 처리하고, 반환하는 워크플로우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D
    C[Client] --> S[Web Server]
    S --> D[Database]

Workflow:

  1. 클라이언트가 요청 전송
  2.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동기적으로 데이터 조회
  3. 데이터 처리 후 클라이언트에 응답

핵심 역할: 동기 실행이 데이터 처리 순서와 일관성 보장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app = Flask(__name__)

@app.route('/process', methods=['POST'])
def process_data():
    """
    동기 실행 예제: 요청받고 DB 읽고 처리 후 응답까지 선형적으로 처리
    - 각 단계가 순차적으로 끝나야 다음 단계로 진행됨
    """
    data = request.json
    # DB에서 데이터 읽기 (동기적 호출)
    result = read_from_db(data['id'])
    processed = do_processing(result)
    return {"result": processed}

def read_from_db(id):
    # 실제 DB 조회 함수 (동기적 처리)
    pass

def do_processing(data):
    # 데이터 처리 함수
    pass

실제 도입 사례의 코드 구현

은행 계좌 이체 시스템

사례 선정: 은행 계좌 이체 시스템

비즈니스 배경:

기술적 요구사항: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KB국민은행 이체 시스템"
        A[이체 요청] --> B[거래 검증]
        B --> C[출금 계좌 잠금]
        C --> D[잔액 확인]
        D --> E[출금 처리]
        E --> F[입금 처리]
        F --> G[거래 기록]
        G --> H[계좌 잠금 해제]
        H --> I[고객 알림]
        I --> J[이체 완료]
    end
    
    subgraph "데이터베이스"
        K[계좌 테이블] 
        L[거래 내역 테이블]
        M[감사 로그 테이블]
    end
    
    C --> K
    E --> K
    F --> K
    G --> L
    G --> M

Workflow:

  1. 고객 이체 요청 수신
  2. 계좌 정보 및 한도 검증 (동기 처리)
  3. 출금 계좌 레코드 락 설정
  4. 잔액 확인 및 출금 처리 (원자적 연산)
  5. 입금 계좌 입금 처리
  6. 거래 내역 및 감사 로그 기록
  7. 계좌 락 해제
  8. 고객 알림 전송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Java Spr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AccountTransferService {
    
    @Autowired
    private AccountRepository accountRepository;
    
    @Autowired
    private TransactionRepository transactionRepository;
    
    @Autowired
    private AuditService auditService;
    
    /**
     * 동기 방식 계좌 이체 처리
     * - 모든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됨 (동기 실행의 핵심)
     * - @Transactional로 원자성 보장
     */
    public TransferResult transferMoney(TransferRequest request) {
        String transactionId = generateTransactionId();
        
        try {
            // 1단계: 거래 유효성 검증 (동기 처리 - 완료까지 대기)
            validateTransfer(request);
            auditService.logStart(transactionId, request);
            
            // 2단계: 계좌 잠금 및 잔액 확인 (데드락 방지를 위한 순서 보장)
            Account fromAccount = lockAndGetAccount(request.getFromAccountId());
            Account toAccount = lockAndGetAccount(request.getToAccountId());
            
            // 3단계: 잔액 확인 (동기 실행으로 정확한 시점의 잔액 확인)
            if (fromAccount.getBalance().compareTo(request.getAmount()) < 0) {
                throw new InsufficientBalanceException("잔액 부족");
            }
            
            // 4단계: 출금 처리 (동기적 상태 변경)
            BigDecimal newFromBalance = fromAccount.getBalance().subtract(request.getAmount());
            fromAccount.setBalance(newFromBalance);
            accountRepository.save(fromAccount);  // 즉시 반영 (동기 I/O)
            
            // 5단계: 입금 처리 (출금 완료 후 진행)
            BigDecimal newToBalance = toAccount.getBalance().add(request.getAmount());
            toAccount.setBalance(newToBalance);
            accountRepository.save(toAccount);  // 즉시 반영
            
            // 6단계: 거래 내역 기록 (모든 계좌 변경 완료 후)
            Transaction transaction = new Transaction(
                transactionId,
                request.getFromAccountId(),
                request.getToAccountId(),
                request.getAmount(),
                TransactionStatus.COMPLETED,
                LocalDateTime.now()
            );
            transactionRepository.save(transaction);
            
            // 7단계: 감사 로그 기록 (거래 완료 후)
            auditService.logCompletion(transactionId, fromAccount, toAccount);
            
            // 8단계: 알림 전송 (모든 처리 완료 후)
            sendNotification(request, transactionId);
            
            return new TransferResult(transactionId, "SUCCESS", "이체가 완료되었습니다");
            
        } catch (Exception e) {
            // 동기 실행의 장점: 명확한 실패 지점과 일관된 상태
            auditService.logFailure(transactionId, e.getMessage());
            throw new TransferException("이체 처리 실패: " + e.getMessage(), e);
        }
    }
    
    /**
     * 계좌 잠금 및 조회 - 동시성 제어
     * - 동기 실행으로 락 획득 순서 보장
     */
    @Lock(LockModeType.PESSIMISTIC_WRITE)
    private Account lockAndGetAccount(String accountId) {
        // 데이터베이스 락 획득까지 대기 (블로킹)
        return accountRepository.findByAccountId(accountId)
            .orElseThrow(() -> new AccountNotFoundException("계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
    
    /**
     * 거래 유효성 검증
     * - 각 검증은 이전 검증 완료 후 실행
     */
    private void validateTransfer(TransferRequest request) {
        // 계좌 존재 여부 확인 (동기 DB 조회)
        if (!accountRepository.existsByAccountId(request.getFromAccountId())) {
            throw new AccountNotFoundException("출금 계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if (!accountRepository.existsByAccountId(request.getToAccountId())) {
            throw new AccountNotFoundException("입금 계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 한도 확인 (동기 처리)
        if (request.getAmount().compareTo(new BigDecimal("10000000")) > 0) {
            throw new TransferLimitExceededException("이체 한도를 초과했습니다");
        }
        
        // 계좌 상태 확인 (순차 검증)
        Account fromAccount = accountRepository.findByAccountId(request.getFromAccountId()).get();
        if (fromAccount.getStatus() != AccountStatus.ACTIVE) {
            throw new AccountInactiveException("출금 계좌가 비활성 상태입니다");
        }
    }
    
    /**
     * 알림 전송 - 모든 거래 완료 후 실행
     */
    private void sendNotification(TransferRequest request, String transactionId) {
        // SMS 발송 (동기 처리)
        smsService.sendTransferNotification(
            request.getFromAccountId(), 
            request.getAmount(), 
            transactionId
        );
        
        // 이메일 발송 (SMS 완료 후)
        emailService.sendTransferConfirmation(
            request.getFromAccountId(),
            transactionId
        );
    }
}

/**
 * 거래 요청 DTO
 */
@Data
public class TransferRequest {
    private String fromAccountId;
    private String toAccountId;
    private BigDecimal amount;
    private String description;
}

/**
 * 거래 결과 DTO  
 */
@Data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ransferResult {
    private String transactionId;
    private String status;
    private String message;
}

성과 분석:

빌드 파이프라인 동기 실행

사례 선정: GitHub Actions 의 빌드 파이프라인 동기 실행

비즈니스 배경: 소프트웨어 빌드, 테스트, 배포를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실패 발생 시 조기 종료 및 디버깅을 용이하게 함

기술적 요구사항: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D
    CI/CD --> Build
    Build --> Test
    Test --> Deploy

Workflow:

  1. 커밋 발생 → Actions 트리거
  2. 빌드 (Job A) 성공 시 테스트 (Job B) 실행
  3. 테스트 성공 시 배포 (Job C) 실행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GitHub Actions YAM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name: CI Pipeline

on: [push]

jobs:
  build:
    runs-on: ubuntu-latest
    steps:
      - name: Checkout
        uses: actions/checkout@v2
      - name: Build App
        run: npm run build

  test:
    runs-on: ubuntu-latest
    needs: build
    steps:
      - name: Run Tests
        run: npm test

  deploy:
    runs-on: ubuntu-latest
    needs: test
    steps:
      - name: Deploy to Production
        run: ./deploy.sh

성과 분석:

전자상거래 결제 처리 API

사례 선정: 전자상거래 결제 처리 API (E-Commerce Payment Processing API)

비즈니스 배경: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결제 단계 (Payment Stage)**에서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순차 실행 (Order Guarantee) 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결제 승인, 결제 금액 차감, 영수증 발급까지의 과정이 하나라도 실패하면 전체 결제를 취소해야 하므로, 동기 실행이 필수이다.

기술적 요구사항: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LR
    C[Client] --> G[API Gateway]
    G --> P[Payment Service]
    P -->|Sync DB Transaction| D[(Database)]
    P --> R[Receipt Service]

Workflow:

  1. 클라이언트가 결제 요청 (Payment Request) 전송
  2. API Gateway 가 요청을 Payment Service 로 전달
  3. Payment Service 에서 결제 승인 진행 (결제사 API 동기 호출)
  4. 승인 성공 시 DB 에 동기적으로 기록
  5. 결제 완료 후 영수증 생성 및 반환
  6. 중간 단계 실패 시 모든 단계 롤백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Flas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import uuid

app = Flask(__name__)

def approve_payment(payment_info):
    """
    결제 승인 API 동기 호출
    - 이 단계가 성공해야 다음 단계로 넘어감
    """
    print(f"결제를 승인 중… {payment_info}")
    return {"status": "success", "transaction_id": str(uuid.uuid4())}

def save_payment_record(transaction_id, amount):
    """
    결제 기록 저장 (동기 DB 호출)
    - 실패 시 예외 발생 → 롤백 처리
    """
    print(f"DB에 결제 기록 저장 중… TXN: {transaction_id}, 금액: {amount}")
    return True

def generate_receipt(transaction_id):
    """
    영수증 생성
    - 반드시 결제 승인과 저장이 끝난 후 실행
    """
    receipt_id = str(uuid.uuid4())
    print(f"영수증 생성 완료: {receipt_id}")
    return {"receipt_id": receipt_id}

@app.route('/payment', methods=['POST'])
def process_payment():
    """
    결제 전체 플로우 - 동기 실행 방식
    결제 승인 → DB 기록 → 영수증 생성 순서로 진행
    """
    data = request.json
    try:
        # 1. 결제 승인
        approval = approve_payment(data)
        if approval["status"] != "success":
            raise Exception("결제 승인 실패")

        # 2. 결제 기록 저장
        if not save_payment_record(approval["transaction_id"], data["amount"]):
            raise Exception("결제 기록 저장 실패")

        # 3. 영수증 생성
        receipt = generate_receipt(approval["transaction_id"])

        return jsonify({
            "status": "success",
            "transaction_id": approval["transaction_id"],
            "receipt": receipt
        })

    except Exception as e:
        # 실패 시 롤백 처리 (실제 구현에서는 DB 트랜잭션 롤백)
        print(f"오류 발생, 롤백 실행: {e}")
        return jsonify({"status": "failure", "reason": str(e)}), 500

if __name__ == '__main__':
    app.run(debug=True)

성과 분석: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시스템

시나리오: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시스템에서 주문 데이터 검증, 재고 확인, 결제 처리, 배송 준비 과정을 순차적으로 처리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고객 주문 요청] --> B[주문 관리 서비스]
    B --> C[주문 데이터 검증]
    C --> D[재고 관리 시스템]
    D --> E[재고 확인 및 예약]
    E --> F[결제 처리 시스템]
    F --> G[결제 승인 처리]
    G --> H[배송 관리 시스템]
    H --> I[배송 정보 생성]
    I --> J[주문 완료 응답]
    
    B --> K[주문 DB]
    D --> L[재고 DB]
    F --> M[결제 DB]
    H --> N[배송 DB]
    
    style A fill:#e1f5fe
    style J fill:#e8f5e8
    style K,L,M,N fill:#fff3e0

Workflow:

  1. 고객으로부터 주문 요청 수신
  2. 주문 데이터 형식 및 필수 정보 검증
  3. 상품별 재고 수량 확인 및 임시 예약
  4. 결제 정보 검증 및 결제 처리 요청
  5. 결제 승인 후 재고 확정 차감
  6. 배송 정보 생성 및 물류 시스템 연동
  7. 주문 상태 업데이트 및 고객 응답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import logging
from typing import Dict, Any
from dataclasses import dataclass

@dataclass
class OrderResult:
    success: bool
    order_id: str
    message: str
    details: Dict[str, Any] = None

class OrderProcessingService:
    def __init__(self):
        self.logger = logging.getLogger(__name__)
    
    def process_order(self, order_data: Dict[str, Any]) -> OrderResult:
        """
        주문을 동기적으로 처리하는 메인 함수
        각 단계는 이전 단계의 완료를 기다린 후 실행됨
        """
        try:
            # 1단계: 주문 데이터 검증
            self.logger.info("주문 데이터 검증 시작")
            validation_result = self.validate_order_data(order_data)
            if not validation_result['valid']:
                return OrderResult(False, "", validation_result['error'])
            
            # 2단계: 재고 확인 및 예약
            self.logger.info("재고 확인 및 예약 시작")
            inventory_result = self.check_and_reserve_inventory(order_data['items'])
            if not inventory_result['success']:
                return OrderResult(False, "", inventory_result['error'])
            
            # 3단계: 결제 처리
            self.logger.info("결제 처리 시작")
            payment_result = self.process_payment(order_data['payment_info'])
            if not payment_result['success']:
                # 재고 예약 롤백
                self.rollback_inventory_reservation(inventory_result['reservation_id'])
                return OrderResult(False, "", payment_result['error'])
            
            # 4단계: 배송 정보 생성
            self.logger.info("배송 정보 생성 시작")
            shipping_result = self.create_shipping_info(order_data['shipping_address'])
            if not shipping_result['success']:
                # 결제 및 재고 롤백
                self.rollback_payment(payment_result['transaction_id'])
                self.rollback_inventory_reservation(inventory_result['reservation_id'])
                return OrderResult(False, "", shipping_result['error'])
            
            # 5단계: 주문 완료 처리
            order_id = self.finalize_order({
                'order_data': order_data,
                'inventory': inventory_result,
                'payment': payment_result,
                'shipping': shipping_result
            })
            
            self.logger.info(f"주문 처리 완료: {order_id}")
            return OrderResult(
                True, 
                order_id, 
                "주문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payment_id': payment_result['transaction_id'],
                    'shipping_id': shipping_result['shipping_id']
                }
            )
            
        except Exception as e:
            self.logger.error(f"주문 처리 중 예외 발생: {str(e)}")
            return OrderResult(False, "", f"시스템 오류: {str(e)}")
    
    def validate_order_data(self, order_data: Dict[str, Any]) -> Dict[str, Any]:
        """주문 데이터 검증 - 동기 처리"""
        required_fields = ['customer_id', 'items', 'payment_info', 'shipping_address']
        for field in required_fields:
            if field not in order_data:
                return {'valid': False, 'error': f'필수 필드 누락: {field}'}
        return {'valid': True}
    
    def check_and_reserve_inventory(self, items: list) -> Dict[str, Any]:
        """재고 확인 및 예약 - 동기 처리"""
        # 실제 구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사용
        for item in items:
            if not self.check_inventory_availability(item['product_id'], item['quantity']):
                return {'success': False, 'error': f'재고 부족: {item["product_id"]}'}
        
        reservation_id = self.reserve_inventory(items)
        return {'success': True, 'reservation_id': reservation_id}
    
    def process_payment(self, payment_info: Dict[str, Any]) -> Dict[str, Any]:
        """결제 처리 - 동기 처리 (외부 결제 시스템 호출)"""
        # 결제 시스템 API 호출 (블로킹)
        transaction_id = self.call_payment_gateway(payment_info)
        if transaction_id:
            return {'success': True, 'transaction_id': transaction_id}
        return {'success': False, 'error': '결제 처리 실패'}
    
    def create_shipping_info(self, shipping_address: Dict[str, Any]) -> Dict[str, Any]:
        """배송 정보 생성 - 동기 처리"""
        shipping_id = self.generate_shipping_label(shipping_address)
        return {'success': True, 'shipping_id': shipping_id}
    
    # 헬퍼 메서드들 (실제 구현에서는 각각의 서비스와 연동)
    def check_inventory_availability(self, product_id: str, quantity: int) -> bool:
        # 재고 DB 조회
        return True
    
    def reserve_inventory(self, items: list) -> str:
        # 재고 예약 처리
        return "RES_" + str(hash(str(items)))
    
    def call_payment_gateway(self, payment_info: Dict[str, Any]) -> str:
        # 외부 결제 시스템 호출
        return "TXN_" + str(hash(str(payment_info)))
    
    def generate_shipping_label(self, address: Dict[str, Any]) -> str:
        # 배송 라벨 생성
        return "SHIP_" + str(hash(str(address)))
    
    def finalize_order(self, order_details: Dict[str, Any]) -> str:
        # 주문 정보 DB 저장
        return "ORDER_" + str(hash(str(order_details)))
    
    def rollback_inventory_reservation(self, reservation_id: str):
        """재고 예약 롤백"""
        self.logger.info(f"재고 예약 롤백: {reservation_id}")
    
    def rollback_payment(self, transaction_id: str):
        """결제 롤백"""
        self.logger.info(f"결제 롤백: {transaction_id}")

# 사용 예시
if __name__ == "__main__":
    service = OrderProcessingService()
    
    order_data = {
        'customer_id': 'CUST_001',
        'items': [
            {'product_id': 'PROD_001', 'quantity': 2},
            {'product_id': 'PROD_002', 'quantity': 1}
        ],
        'payment_info': {
            'card_number': '****-****-****-1234',
            'amount': 50000
        },
        'shipping_address': {
            'address': '서울시 강남구',
            'zip_code': '12345'
        }
    }
    
    # 동기적 주문 처리
    result = service.process_order(order_data)
    print(f"처리 결과: {result}")

통합 및 연계 기술 분석

동기 실행 환경에서의 통합·연계 기술은 다음 다섯 카테고리로 나뉜다.

카테고리주요 기술목적예시실무 고려사항
메시징/이벤트 연계RabbitMQ, Kafka동기 처리 후 비동기 알림·이벤트 발행결제 승인 후 영수증 발행 이벤트트랜잭션 경계 설계 필요
데이터 성능 최적화Redis, Memcached캐싱, DB 부하 감소사용자 세션 데이터 캐싱TTL 관리, 캐시 일관성
인프라 확장성 및 고가용성HAProxy, Nginx, Consul, Eureka요청 분산, 장애 서버 제외, 서비스 디스커버리API 서버 로드밸런싱헬스 체크 주기 최적화
관측 가능성Prometheus, Grafana, New Relic, Datadog성능·병목 모니터링API 응답 시간 대시보드알람 임계치 설정
운영/보안 통합OAuth2, JWT, 2PC, Saga, Jenkins, GitLab CI인증·보안, 배포 자동화, 트랜잭션 관리인증 서버 동기 호출인증 토큰 유효성 검증, 롤백 처리

운영 및 최적화 (Operations & Optimization)

보안 및 거버넌스

동기 실행 보안의 핵심은 선형 경로를 안전하게 게이팅하는 것이다.
외부 입력은 사전 인증/인가로 걸러내고, 요청마다 타임아웃·레이트리밋을 적용해 블로킹으로 인한 자원 고갈을 막는다.
민감 데이터는 TLS 등 전송 암호화와 저장 암호화를 기본값으로 하고, 트랜잭션 경계에서 멱등키·중복 방지로 무결성을 확보한다.

운영·거버넌스 측면에선 감사 추적 (선형 로그·상관 ID), 변경관리·권한 분리, 데이터 최소화/보유기간을 정책으로 강제한다. 도메인별로는 PCI DSS(결제), GDPR(개인정보), HIPAA(의료), ISO/IEC 27001(ISMS), NIST 800-63(신원) 의 요구사항을 참조해 표준화된 통제 세트를 구축한다.

영역위험/이슈고려사항권장 방안운영 체크리스트관련 표준/가이드
자원 고갈 (DoS)블로킹 요청 적체동시 연결/큐 길이 상한레이트리밋, 연결·응답 타임아웃, 대역폭 상한p95/99 지연·큐 깊이 알람OWASP API Top10/DoS CS ([OWASP Foundation][1], [cheatsheetseries.owasp.org][2])
인증/세션컨텍스트 유실, 재사용세션 고정·재연공격사전 인증, MFA, 세션 회전·만료토큰 수명·MFA 적용률NIST 800-63, ASVS ([NIST][7], [OWASP Foundation][8])
데이터 무결성중복·부분 실패순차 커밋·롤백트랜잭션 경계, 멱등키, 감사 로그실패율·롤백율 모니터PCI DSS(무결성), ASVS ([PCI Security Standards Council][3], [OWASP Foundation][8])
전송/저장 보안스니핑·유출암호화 정책TLS 적용, 저장 암호화, 키 관리TLS 버전·암호군 점검PCI DSS, ISO 27001 ([PCI Security Standards Council][3], [ISO][6])
입력 검증인젝션·우회동기 검증 체계스키마/화이트리스트, 서버측 검증실패 패턴·WAF 룰ASVS(입력 검증) ([OWASP Foundation][8])
로깅/감사순서 불명확선형 추적성상관 ID, 단계별 로그, 불변 감사표로그 무결성 점검ISO 27001(로그), GDPR 기록성 ([ISO][6], [European Commission][4])
개인정보최소화·보유법적 근거·권리최소 수집, 보유기간·파기, 접근 통제DPIA/접근 로그GDPR ([European Commission][4])
규정 준수도메인별 요구범위/스코프 정합PCI DSS(결제), HIPAA(의료) 맵핑정기 갭 분석PCI SSC, HHS HIPAA ([PCI Security Standards Council][3], [HHS.gov][5])

모니터링 및 관측성 (Observability)

영역핵심 SLI/지표권장 계측/수집기준·임계 예시 (초기값)대시보드 뷰경보 룰 (예시)동기 특화 팁
사용자 지연p50/p95/p99, 타임아웃율히스토그램 타이머p95 < 500ms, 타임아웃율 < 1%서비스/엔드포인트별 지연 히트맵5 분 p95>슬랙 20%↑ 지속stage 별 레이블로 병목 단계 식별
처리량RPS/TPS, 큐 소비율카운터목표 RPS 대비 ±10%시계열·버킷급락/급증 알람 (디도스/장애)RPS 급증시 풀/큐 포화 동시 체크
오류4xx/5xx, 예외율카운터오류율 < 0.5%오류율·원인 상위5xx 급증, 예외율 급증에러 트레이스 100% 샘플링
포화도CPU/메모리/FD/스레드/커넥션 풀게이지스레드풀 점유 < 80%리소스 패널임계 초과 지속풀 대기시간 (ms) 별도 계측
DB/락트랜잭션 시간, 락 대기, 슬로우쿼리요약/이벤트락대기 p95 < 50msSQL Top N슬로우쿼리율 상승격리 수준·인덱스·N+1 점검
I/O 대기디스크/네트워크 대기, syscall iowaitNode/OS Exporteriowait < 10%Node 패널iowait 상승캐시/배치 시간 조정
HoL/큐단계별 p95 편차, 큐 길이/체류시간히스토그램/요약체류 p95 < SLA/3큐/파이프라인체류 급증·드롭률Outbox/Dispatcher 레벨 계측
트레이싱단계 span, 외부호출, 오류 스택OTel SDK/Collector오류 스팬=0 목표서비스맵/플레임그래프오류스팬>0 즉시 알람로그↔트레이스 상호링크
로깅JSON 구조화, 상관 IDLog shipper필수 필드 누락 0필드 완전성누락 비율 알람trace_id/exec_id/stage 표준화

실무 적용 고려사항 및 주의점

동기 실행 모델은 직관적인 제어 흐름과 예측 가능한 동작을 제공하지만, 운영 환경에서는 자원 점유, 성능 병목, 장애 전파, 보안 취약점 등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실무 적용 시에는 리소스 관리, 타임아웃과 풀링 같은 기술적 제어, 장애 격리 설계, 모니터링 강화가 필수이며, 필요 시 비동기 모델과 혼합 설계로 병목을 완화할 수 있다.
특히 동기와 비동기 호출이 혼합된 시스템에서는 경계 정의와 상태 정합성 보장이 중요하다.

카테고리고려사항설명권장사항
리소스 관리CPU/I-O 대기블로킹 대기 중 자원 활용 저하불필요한 I/O 최소화, 캐싱, 커넥션 풀
성능·확장성처리량 한계동시 요청 증가 시 대기열 증가멀티프로세싱, 로드밸런싱, 비동기 병행
장애 대응장애 전파하나의 실패가 전체 흐름 중단Circuit Breaker, Retry, Fallback
설계 원칙작업 단위/의존성과도한 순차 처리, 복잡한 의존 관계작업 분할, DAG 기반 설계
보안블로킹 공격장기 요청으로 서비스 마비요청 크기 제한, 타임아웃 강화
모니터링·운영병목 분석지연 구간 파악 어려움분산 추적, 단계별 로깅, 실시간 메트릭
혼합 모델 주의동기·비동기 경계흐름 제어 혼선, 상태 불일치clear boundary 설계, 상태 동기화 로직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동기 실행 최적화는 단순한 속도 향상이 아니라, 성능·안정성·자원 활용·관측·분산 운영의 균형을 맞추는 과정이다.

카테고리전략설명구현 방법권장사항
성능 개선캐싱반복 호출 데이터 메모리 적재Redis, Memcached캐시 만료·동기화 전략 수립
성능 개선알고리즘 최적화효율적 로직/순서 설계토폴로지 정렬, O(n) 이하 알고리즘프로파일링 기반 적용
성능 개선배치 처리요청 합병·일괄 처리DB Bulk Insert, 네트워크 배치배치 크기 테스트
성능 개선네트워크 최적화호출 최소화·압축gRPC, HTTP 압축지역성 (Locality) 활용
안정성타임아웃지연 차단서비스별 Timeout 설정SLA 기반 값 조정
안정성서킷 브레이커장애 전파 방지Resilience4j, Hystrix재시도·Fallback 구현
안정성예외 처리롤백·보상 처리트랜잭션 관리, Saga 패턴재처리 로직 명확화
자원 관리스레드 풀 튜닝최적 스레드 수 조정ThreadPoolExecutorCPU/I/O 비율 고려
자원 관리연결 풀 최적화DB·네트워크 연결 재사용HikariCP, HTTP Keep-Alive풀 크기 동적 조정
자원 관리메모리 최적화객체 재사용, 힙 튜닝Object Pool, GC 튜닝메모리 누수 점검
관측모니터링성능·장애 지표 수집Prometheus, Grafana알람 임계값 설정
관측프로파일링병목 분석PyInstrument, JProfiler주기적 실행
관측부하 테스트사전 성능 검증k6, JMeter트래픽 패턴 기반 시뮬레이션
분산 최적화Partial Synchrony안정성 + 반응성 절충분산 합의 알고리즘 설계타임바운드 설정
분산 최적화데이터 일관성캐시·DB 동기화Cache Aside, Write-Through무효화 전략 필수

동기 실행 최적화는 캐싱·배치·알고리즘 개선 같은 성능 측면만이 아니라, 장애 전파 차단 (타임아웃·서킷 브레이커), 자원 효율성 (스레드·연결·메모리), 관측 체계 강화, 그리고 분산 환경의 안정성·일관성까지 아우르는 종합 설계가 필요하다.

고급 주제 (Advanced Topics)

현재 도전 과제

동기 실행은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이 강점이지만, 긴 I/O 나 외부 의존이 끼어드는 순간 선두 차단 (HoL)p99 지연 확대를 야기한다.
thread-per-request 모델은 동시성 상한과 컨텍스트 스위칭 오버헤드로 처리량 한계를 맞기 쉽고, 트랜잭션 경계가 넓을수록 락 경합/데드락/연쇄 롤백 위험이 커진다.
분산·글로벌 환경에서는 리전 간 RTT 가 동기 호출 경로를 비효율적으로 만들고, 컨테이너 오토스케일과 상태 유지형 동기 흐름이 충돌한다.

해결은

  1. 핵심 동기 경로를 짧게 슬라이싱하고 느린 단계는 비동기 오프로딩
  2. 타임아웃·재시도 (지터)·서킷브레이커·벌크헤드로 실패 전파를 차단
  3. 락 규율·격리레벨·배치/캐시로 데이터 경합을 줄이고
  4. 에지 캐시/리드 레플리카/리전 현지화로 네트워크 지연을 완화
  5. 관측성 표준화로 병목을 상시 탐지·교정하는 방식이 유효하다.
카테고리도전 과제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해결 방안 (실무 팁)
아키텍처/확장성thread-per-request 상한스레드/컨텍스트 스위칭 비용TPS 포화, 비용 증가스레드풀 포화율, 컨텍스트 스위칭/CPU idle스레드풀 상한, 경량 엔드포인트핵심 동기만 유지, 후속은 큐/워커; 일부 NIO/이벤트 기반으로 전환
성능/지연HoL 차단·p99 악화긴 I/O, 외부 API 대기체감 성능 저하, 타임아웃구간 히스토그램, 슬로쿼리/슬로콜경로 슬라이싱, 준비 데이터 프리워밍캐시·배치·프리페치, 동시성 제한 (semaphore) 로 팬아웃 제어
동시성/락락 경합·데드락넓은 트랜잭션 경계, 락 순서 무질서대기 폭증, 교착락 대기시간, 데드락 로그/덤프락 순서 규약, 임계구역 단축낙관적 잠금, 파티셔닝, 격리레벨 조정 (예: RR→RC+ 보상절차)
데이터/트랜잭션글로벌 일관성 비용SERIALIZABLE·2PC 남용처리량 급감, 롤백 증가롤백율, 재시도율경계 최소화SAGA/보상 트랜잭션, 멱등키, 분해 가능한 일관성 (CQRS)
플랫폼/운영컨테이너 오토스케일 충돌상태 유지 동기 세션스케일 반응 느림HPA 지표, 세션 분포스테이트리스화세션 외부화 (캐시/스토어), init/헬스체크로 게이트
글로벌/모바일리전 RTT·전력/망 제약원격 동기 호출지연·배터리 소모지역별 p95, 실패율근접 배치/오프라인 전략에지 캐싱/리드 레플리카, 오프라인 - 퍼스트, 요청 축약
신뢰성연쇄 장애 전파강결합 동기 체인전체 실패, MTTR↑실패 상관관계, 버스 에러율격벽 분리서킷브레이커, 폴백 경로, 재시도에 지터·상한
보안/거버넌스DoS/자원 고갈블로킹 적체가용성 저하동시 연결·큐 길이레이트리밋·타임아웃프록시/방화벽 한도, 요청 당 작업 상한, 스텝 - 다운 응답
관측성/진단원인 불명 병목구간 지표/트레이스 부재MTTR↑분산 트레이싱, 상관 ID지표 표준화단계별 스팬·로그, 알람 (큐 깊이/p99/에러율) 운영

생태계 및 관련 기술

통합 기술 생태계
카테고리기술/제품 (예)연계 목적핵심 활용 포인트주의점
통신/호출HTTP/1.1 REST, gRPC Unary, Thrift동기 요청–응답단순 흐름/명확한 에러 전파네트워크 지연 전파, HoL 위험
데이터/트랜잭션RDBMS(게시/조회), JDBC, psycopg2, JPA/MyBatisACID/SQL트랜잭션 경계 최소화, 인덱스/슬로우쿼리 관리락 경합, 긴 트랜잭션 금지
성능 최적화Redis/Memcached, Caffeine/Guava, HikariCP지연·부하 감소캐시 키/TTL 전략, 커넥션 풀 사이징캐시 일관성, 풀 포화
회복 탄력성Resilience4j/Hystrix 패턴, Retry/Timeout장애 전파 차단지수 백오프 + 지터, 폴백 시나리오폭풍 재시도, 숨은 타임아웃
게이트웨이/BFFKong, NGINX, Spring Cloud Gateway, BFF호출 순서·정책 집행인증/Rate Limit/관측성 헤더 주입단일 장애점, 설정 복잡성
관측성/운영Prometheus/Grafana, ELK, OpenTelemetry, APM병목·장애 가시화p95/풀·락·큐 지표, Trace ↔ Log 상관과도한 라벨/샘플링 비용
하이브리드 연계Kafka, RabbitMQ, Outbox 패턴동기 핵심 + 비동기 외연멱등키, DLQ, 순서 파티셔닝E2E 일관성 관리 복잡
보안/거버넌스TLS, OAuth2/OIDC, WAF, Rate Limit/Quota안전/정책 준수토큰 수명/스코프, 정책 일관성인증 지연, 오탐/차단
표준/프로토콜
카테고리표준/프로토콜역할동기 적용 포인트대표 구현/도구
통신HTTP/1.1, HTTP/2요청–응답, 멀티플렉싱동기 REST/Unary 에 적합NGINX, Envoy
통신gRPC(Proto3)고성능 RPCUnary 동기 호출gRPC 게이트웨이
데이터ANSI SQL질의 표준동기 트랜잭션/쿼리PostgreSQL/MySQL/Oracle
데이터ACID트랜잭션 속성원자성/격리/일관성RDB 엔진
보안TLS 1.2+, OAuth2/OIDC암호화/인증·인가동기 API 보호Keycloak, Cognito 등
관측성OpenTelemetry추적/지표/로그 표준동기 체인 스팬 계측OTel Collector
컨테이너OCI, Kubernetes배포/오케스트레이션동기 앱 컨테이너화K8s + HPA

최신 기술 트렌드와 미래 방향

2025 년 현재, 동기 실행은 단독 모델로 사용되기보다 비동기 처리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가 주류로 자리잡았다.
서버리스 환경에서는 짧고 예측 가능한 동기 흐름이 비용과 확장성 면에서 유리하며, 에지·IoT 환경에서는 초저지연 동기 처리가 강점을 가진다.
머신러닝을 활용한 실행 패턴 분석 및 적응형 실행 전환 기술이 점차 도입되고 있으며, 관측성 강화는 필수 요소로 자리잡았다.
미래에는 양자 컴퓨팅과 블록체인 기반 분산 동기 프로토콜이 동기 처리 영역에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카테고리트렌드 항목설명동기 실행과의 관계
실무형 트렌드하이브리드 실행 모델동기/비동기 혼합 설계핵심 로직은 동기, 대규모 병렬은 비동기
실무형 트렌드서버리스 환경 통합Lambda, Cloud Functions 등짧은 동기 흐름 최적, Cold Start 완화
실무형 트렌드고성능 동기 최적화Netty, IoT, 5G/6G 초저지연예측 가능한 응답 요구 시 유리
실무형 트렌드관측성 강화OpenTelemetry, 트레이싱 설계동기 호출 경로 분석 용이
지능형 최적화AI 기반 성능 최적화실행 패턴 분석, 예측 캐싱자원 효율 향상, 지연 최소화
지능형 최적화적응형 동기 실행상태에 따라 동기/비동기 전환실시간 최적 실행 모드 선택
미래 지향 기술양자 동기 컴퓨팅양자 연산 기반 초고속 동기 처리보안·연산 속도 혁신 가능
미래 지향 기술분산 동기 프로토콜글로벌 분산 환경 동기 합의블록체인 기반 일관성 보장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설계 (Synchronous + Asynchronous)

예시: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흐름

  1. 주문 생성 → 동기 (결제 승인, 재고 차감)
  2. 결제 완료 후 즉시 응답 반환
  3. 응답 이후 별도의 비동기 큐를 통해 배송 요청, 고객 알림, 이벤트 로그 전송

시스템 구성

graph LR
    U[User] --> API[Order API Gateway]
    API --> SYNC[Sync Payment & Stock Service]
    SYNC --> DB[Database]
    SYNC -->|Response| U
    SYNC --> MQ[Message Queue]
    MQ --> ASYNC1[Shipping Service]
    MQ --> ASYNC2[Notification Service]
    MQ --> ASYNC3[Analytics Service]
동기 & 비동기 구간 구분
구분작업 예시설명이유
동기 (Sync)결제 승인, 재고 차감반드시 완료 후 응답 반환데이터 무결성 보장
동기 (Sync)핵심 비즈니스 로직트랜잭션 내 순차 처리오류 전파 방지
비동기 (Async)배송 요청외부 API 호출 부담 완화빠른 응답 반환
비동기 (Async)고객 알림 (SMS/Email)비핵심 경로병렬 처리로 효율성
비동기 (Async)이벤트 로그 저장분석 목적으로 별도 처리메인 서비스 부하 경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from celery import Celery
import time, uuid

app = Flask(__name__)

# Celery 비동기 설정 (Redis를 브로커로 사용)
celery_app = Celery('tasks', broker='redis://localhost:6379/0')

@celery_app.task
def send_notification(order_id):
    """비동기 알림 발송"""
    time.sleep(1)  # 알림 발송 지연 시뮬레이션
    print(f"[Async] 주문 {order_id}에 대한 알림 발송 완료")

@celery_app.task
def log_order_event(order_id):
    """비동기 로그 기록"""
    time.sleep(0.5)
    print(f"[Async] 주문 {order_id} 로그 기록 완료")

@app.route('/order', methods=['POST'])
def create_order():
    data = request.json
    order_id = str(uuid.uuid4())

    # 1. 동기 처리: 결제 승인 (모의 처리)
    print(f"[Sync] 결제 승인 요청 for {order_id}")
    time.sleep(1)  # 결제 API 호출 지연 시뮬레이션
    print(f"[Sync] 결제 승인 완료")

    # 2. 동기 처리: 재고 차감
    print(f"[Sync] 재고 차감 처리 for {order_id}")
    time.sleep(0.5)
    print(f"[Sync] 재고 차감 완료")

    # 3. 응답 반환 (핵심 로직 완료 후 즉시)
    response = {
        "status": "success",
        "order_id": order_id
    }

    # 4. 비동기 처리 (응답 이후 실행)
    send_notification.delay(order_id)
    log_order_event.delay(order_id)

    return jsonify(response), 200

if __name__ == '__main__':
    app.run(debug=True)
설계 효과 분석
항목동기 전용 vs. 하이브리드성과
응답 시간평균 2.5 초 → 1.5 초40% 개선
서버 부하피크 타임 CPU 사용량 감소자원 효율성 향상
안정성핵심 로직만 동기 실행 유지데이터 무결성 보장
확장성비동기 큐 워커 (worker) 수 확장 가능고부하 대응 용이
실무 적용 가이드
  1. 핵심 로직 식별 → 실패 시 비즈니스에 치명적인 작업은 동기 처리
  2. 비핵심 작업 비동기화 → 응답 속도와 서버 확장성 확보
  3. 메시지 브로커 필수 → RabbitMQ, Redis, Kafka 중 선택
  4. 에러 처리 전략 → 동기 구간은 롤백, 비동기 구간은 재시도 (Replay) 구조 설계
경계 설계 실습: 주문 생성 (동기 트랜잭션) → 알림/영수증 발행 (비동기 큐)

핵심은 트랜잭션 내부 (동기) 에서는 주문 + 아웃박스 이벤트 까지 원자적으로 커밋하고, 이후 아웃박스 디스패처 → 큐 → 워커 (비동기) 로 실제 발송을 처리.

실행 준비
1
2
3
python -V  # 3.9+
pip install flask redis
export REDIS_URL=redis://localhost:6379   # 필요 시 조정

터미널 3~4 개를 열고 아래 순서로 실행.

 1
 2
 3
 4
 5
 6
 7
 8
 9
10
11
12
# 1) DB 스키마 생성(최초 1회)
python order_boundary_case.py setup-db

# 2) API 서버(동기 트랜잭션: 주문+아웃박스 삽입)
python order_boundary_case.py api --port 5000

# 3) 아웃박스 디스패처(동기 커밋된 이벤트를 비동기 큐로 밀어넣음)
python order_boundary_case.py dispatcher

# 4) 워커들(비동기 처리)
python order_boundary_case.py worker-notify
python order_boundary_case.py worker-receipt

테스트 (새 터미널):

1
2
3
4
5
6
7
8
# 주문 생성(동기 트랜잭션) → outbox 이벤트 생김
curl -X POST http://localhost:5000/orders \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 '{"user_id":"u-123","amount":19900}'

# 처리 현황 조회
curl http://localhost:5000/orders
curl http://localhost:5000/receipts
전체 코드: order_boundary_case.p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usr/bin/env python3
# -*- coding: utf-8 -*-
"""
경계 설계 실습: "주문 생성(동기 트랜잭션) → 알림/영수증 발행(비동기 큐)"

구성요소
- 동기: SQLite 트랜잭션(Orders + Outbox)  ← 경계
- 비동기: Outbox Dispatcher → Redis Queue → Workers(알림/영수증)

모드
- setup-db         : SQLite 스키마 생성
- api              : Flask API 서버(POST /orders)
- dispatcher       : Outbox 미처리 이벤트를 Redis 큐로 전송
- worker-notify    : 알림 이벤트 소비/발송(Stub)
- worker-receipt   : 영수증 발행 이벤트 소비/처리(Stub)

의존
- pip install flask redis
- REDIS_URL=redis://localhost:6379
"""

import os, json, time, argparse, sqlite3, signal, uuid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timezone
from typing import Any, Dict, List, Tuple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import redis

DB_PATH = os.environ.get("DB_PATH", "orders.db")
REDIS_URL = os.environ.get("REDIS_URL", "redis://localhost:6379")

Q_NOTIFY = "q:notify"
Q_RECEIPT = "q:receipt"

STOP = False

def now_iso() -> str:
    return datetime.now(timezone.utc).isoformat()

def connect_db() -> sqlite3.Connection:
    # check_same_thread=False → Flask/다중 스레드 접근 허용(간단 실습용)
    conn = sqlite3.connect(DB_PATH, check_same_thread=False)
    conn.row_factory = sqlite3.Row
    return conn

def log(tag: str, data: Any = ""):
    print(f"[{datetime.now().isoformat()}] [{tag}] {data}")

# ──────────────────────────────────────────────────────────────────────────────
# 1) DB 스키마
# ──────────────────────────────────────────────────────────────────────────────
def setup_db():
    conn = connect_db()
    cur = conn.cursor()
    cur.executescript(
        """
        PRAGMA journal_mode=WAL;
        PRAGMA synchronous=NORMAL;

        CREATE TABLE IF NOT EXISTS orders(
            id TEXT PRIMARY KEY,
            user_id TEXT NOT NULL,
            amount INTEGER NOT NULL,
            status TEXT NOT NULL,
            created_at TEXT NOT NULL
        );

        /* Outbox: 트랜잭션과 함께 커밋되는 "미래 작업" 저장소 */
        CREATE TABLE IF NOT EXISTS outbox(
            id INTEGER PRIMARY KEY AUTOINCREMENT,
            event_type TEXT NOT NULL,      -- 'NotifyUser' | 'IssueReceipt'
            payload TEXT NOT NULL,         -- JSON 문자열
            created_at TEXT NOT NULL,
            dispatched INTEGER NOT NULL DEFAULT 0,  -- 0: 미전송, 1: 전송됨
            dispatched_at TEXT
        );

        /* 영수증(비동기 처리 결과) 저장 */
        CREATE TABLE IF NOT EXISTS receipts(
            id TEXT PRIMARY KEY,
            order_id TEXT NOT NULL,
            issued_at TEXT NOT NULL,
            FOREIGN KEY(order_id) REFERENCES orders(id)
        );
        """
    )
    conn.commit()
    conn.close()
    log("SETUP-DB", f"initialized at {DB_PATH}")

# ──────────────────────────────────────────────────────────────────────────────
# 2) API(동기 트랜잭션 경계): 주문 + 아웃박스 삽입까지 원자적 커밋
# ──────────────────────────────────────────────────────────────────────────────
def start_api(port: int):
    app = Flask(__name__)
    conn = connect_db()

    @app.route("/orders", methods=["POST"])
    def create_order():
        """
        동기 트랜잭션:
          BEGIN;
            - 주문 행 삽입
            - outbox에 NotifyUser, IssueReceipt 이벤트 삽입
          COMMIT;
        실패 시 전체 롤백 → '주문만 있고 이벤트 없음' 같은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음.
        """
        body = request.get_json(force=True) or {}
        user_id = body.get("user_id")
        amount = int(body.get("amount") or 0)
        if not user_id or amount <= 0:
            return jsonify({"ok": False, "error": "user_id와 amount가 필요합니다."}), 400

        order_id = str(uuid.uuid4())
        cur = conn.cursor()
        try:
            cur.execute("BEGIN")
            cur.execute(
                "INSERT INTO orders(id, user_id, amount, status, created_at) VALUES (?, ?, ?, ?, ?)",
                (order_id, user_id, amount, "CREATED", now_iso()),
            )
            # Outbox 이벤트 2건 삽입(알림, 영수증)
            notify_payload = json.dumps({"order_id": order_id, "user_id": user_id, "kind": "ORDER_CREATED"})
            receipt_payload = json.dumps({"order_id": order_id, "user_id": user_id, "amount": amount})

            cur.execute(
                "INSERT INTO outbox(event_type, payload, created_at) VALUES (?, ?, ?)",
                ("NotifyUser", notify_payload, now_iso()),
            )
            cur.execute(
                "INSERT INTO outbox(event_type, payload, created_at) VALUES (?, ?, ?)",
                ("IssueReceipt", receipt_payload, now_iso()),
            )
            conn.commit()
            log("API:CREATE-ORDER", {"order_id": order_id, "user_id": user_id, "amount": amount})
            return jsonify({"ok": True, "order_id": order_id})
        except Exception as e:
            conn.rollback()
            log("API:ERROR", str(e))
            return jsonify({"ok": False, "error": str(e)}), 500

    @app.route("/orders", methods=["GET"])
    def list_orders():
        cur = conn.cursor()
        rows = cur.execute("SELECT * FROM orders ORDER BY created_at DESC LIMIT 50").fetchall()
        return jsonify([dict(r) for r in rows])

    @app.route("/receipts", methods=["GET"])
    def list_receipts():
        cur = conn.cursor()
        rows = cur.execute("SELECT * FROM receipts ORDER BY issued_at DESC LIMIT 50").fetchall()
        return jsonify([dict(r) for r in rows])

    app.run(host="0.0.0.0", port=port, debug=False)

# ──────────────────────────────────────────────────────────────────────────────
# 3) Outbox Dispatcher(동기 커밋된 이벤트 → 비동기 큐)
# ──────────────────────────────────────────────────────────────────────────────
def start_dispatcher(poll_interval: float = 0.5, batch: int = 50):
    """
    Outbox에서 dispatched=0 레코드를 찾아 '전송 표시 + 전송시간'을 원자적으로 찍고,
    그 다음 Redis 큐로 push한다. (간단한 2단계이지만, 실무에선 락/상태전이 더 정교화)
    """
    conn = connect_db()
    r = redis.from_url(REDIS_URL, decode_responses=True)
    log("DISPATCHER:START", {"redis": REDIS_URL})

    while not STOP:
        cur = conn.cursor()
        # 미전송 이벤트 조회
        rows = cur.execute(
            "SELECT id, event_type, payload FROM outbox WHERE dispatched=0 ORDER BY id ASC LIMIT ?",
            (batch,),
        ).fetchall()

        if not rows:
            time.sleep(poll_interval)
            continue

        for row in rows:
            oid = row["id"]
            etype = row["event_type"]
            payload = row["payload"]

            try:
                # 1) 먼저 dispatched=1로 마킹(경쟁 방지: WHERE dispatched=0)
                cur.execute(
                    "UPDATE outbox SET dispatched=1, dispatched_at=? WHERE id=? AND dispatched=0",
                    (now_iso(), oid),
                )
                if cur.rowcount != 1:
                    # 다른 디스패처가 선점
                    continue
                conn.commit()

                # 2) 큐로 전송
                if etype == "NotifyUser":
                    r.lpush(Q_NOTIFY, payload)
                elif etype == "IssueReceipt":
                    r.lpush(Q_RECEIPT, payload)
                else:
                    log("DISPATCHER:WARN", f"unknown event_type={etype}")
                    continue

                log("DISPATCHER:PUSH", {"id": oid, "type": etype})
            except Exception as e:
                conn.rollback()
                log("DISPATCHER:ERROR", str(e))
                # 롤백되면 dispatched=0 상태 유지 → 다음 루프에서 재시도
        time.sleep(0.05)  # 너무 바쁘지 않게 쉬어줌

# ──────────────────────────────────────────────────────────────────────────────
# 4) Workers(비동기 큐 소비자)
# ──────────────────────────────────────────────────────────────────────────────
def start_worker_notify():
    """
    알림 워커: NotifyUser 이벤트 처리
    - 실제 SMS/이메일/푸시는 외부 연동이지만 여기선 콘솔로 대체
    """
    r = redis.from_url(REDIS_URL, decode_responses=True)
    log("WORKER:NOTIFY:START", {"queue": Q_NOTIFY})

    while not STOP:
        try:
            item = r.brpop(Q_NOTIFY, timeout=1)  # (queue, payload)
            if not item:
                continue
            _, payload = item
            data = json.loads(payload)
            # 실제로는 템플릿/채널 라우팅/멱등키 검증 등 수행
            log("WORKER:NOTIFY:SEND", {"user_id": data["user_id"], "order_id": data["order_id"], "kind": data.get("kind")})
        except Exception as e:
            log("WORKER:NOTIFY:ERROR", str(e))

def start_worker_receipt():
    """
    영수증 워커: IssueReceipt 이벤트 처리
    - 단순히 receipts 테이블에 발행 기록을 남김(실무에선 PDF 생성/저장/메일첨부 등)
    """
    r = redis.from_url(REDIS_URL, decode_responses=True)
    conn = connect_db()
    log("WORKER:RECEIPT:START", {"queue": Q_RECEIPT})

    while not STOP:
        try:
            item = r.brpop(Q_RECEIPT, timeout=1)
            if not item:
                continue
            _, payload = item
            data = json.loads(payload)

            receipt_id = str(uuid.uuid4())
            cur = conn.cursor()
            cur.execute(
                "INSERT INTO receipts(id, order_id, issued_at) VALUES (?, ?, ?)",
                (receipt_id, data["order_id"], now_iso()),
            )
            conn.commit()
            log("WORKER:RECEIPT:ISSUED", {"receipt_id": receipt_id, "order_id": data["order_id"], "amount": data.get("amount")})
        except Exception as e:
            conn.rollback()
            log("WORKER:RECEIPT:ERROR", str(e))

# ──────────────────────────────────────────────────────────────────────────────
# 유틸: 종료 핸들러
# ──────────────────────────────────────────────────────────────────────────────
def install_signal_handlers():
    def _h(signum, frame):
        global STOP
        STOP = True
        log("SIGNAL", f"stop={signum}")
    for s in (signal.SIGINT, signal.SIGTERM):
        signal.signal(s, _h)

# ──────────────────────────────────────────────────────────────────────────────
# main
# ──────────────────────────────────────────────────────────────────────────────
if __name__ == "__main__":
    install_signal_handlers()
    ap = argparse.ArgumentParser(description="Order Boundary Case: Sync Order + Async Notification/Receipt")
    sub = ap.add_subparsers(dest="cmd", required=True)

    sub.add_parser("setup-db")
    p_api = sub.add_parser("api")
    p_api.add_argument("--port", type=int, default=5000)

    sub.add_parser("dispatcher")
    sub.add_parser("worker-notify")
    sub.add_parser("worker-receipt")

    args = ap.parse_args()

    if args.cmd == "setup-db":
        setup_db()
    elif args.cmd == "api":
        start_api(args.port)
    elif args.cmd == "dispatcher":
        start_dispatcher()
    elif args.cmd == "worker-notify":
        start_worker_notify()
    elif args.cmd == "worker-receipt":
        start_worker_receipt()
설계 포인트 (경계가 드러나는 지점)
Outbox 패턴 기반 이벤트 처리 설계

핵심 원칙:

아키텍처 개요
graph TB
    C[Client] --> A[Sync API]
    A --> T[DB Transaction]
    T --> ORDERS[(orders)]
    T --> OUTBOX[(outbox)]
    T --> OK[commit]
    D[Outbox Dispatcher] --> OUTBOX
    D --> Q[(Queue/Broker)]
    W1[Worker: Notification] --> Q
    W2[Worker: Receipt] --> Q
    W1 --> EXT[External Services]
    W2 --> SIDE[(Side Effects)]
    W1 --> DLQ[(DLQ)]
    W2 --> DLQ
Workflow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 as Client
    participant API as Sync API
    participant DB as Database
    participant DSP as Dispatcher
    participant Q as Queue
    participant W as Worker
    participant S as External

    C->>API: POST /orders
    API->>DB: BEGIN
    API->>DB: INSERT orders
    API->>DB: INSERT outbox(events)
    API->>DB: COMMIT
    API-->>C: 200 OK (order_id)

    DSP->>DB: SELECT outbox WHERE dispatched=0
    DSP->>DB: UPDATE outbox SET dispatched=1 WHERE id=... AND dispatched=0
    DSP->>Q: ENQUEUE event

    W->>Q: CONSUME event
    W->>S: Send notification / Issue receipt
    W->>Q: ACK or RETRY
    W->>DLQ: after max attempts
표준 스키마 (예시, RDB 공통 SQ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주문
CREATE TABLE orders (
  id           UUID PRIMARY KEY,
  user_id      TEXT NOT NULL,
  amount       BIGINT NOT NULL,
  status       TEXT NOT NULL DEFAULT 'CREATED',
  created_at   TIMESTAMPTZ NOT NULL DEFAULT now()
);

-- Outbox (트랜잭션 경계 안에서 함께 커밋)
CREATE TABLE outbox (
  id              BIGSERIAL PRIMARY KEY,
  event_type      TEXT NOT NULL,                  -- 'NotifyUser' | 'IssueReceipt' | ...
  aggregate_id    UUID NOT NULL,                  -- order_id 등
  idem_key        TEXT,                           -- 멱등 키(옵션)
  payload         JSONB NOT NULL,
  created_at      TIMESTAMPTZ NOT NULL DEFAULT now(),
  dispatched      BOOLEAN NOT NULL DEFAULT FALSE,
  dispatched_at   TIMESTAMPTZ
);
CREATE INDEX idx_outbox_undispatched ON outbox (dispatched, id);
CREATE UNIQUE INDEX IF NOT EXISTS ux_outbox_idem ON outbox (idem_key) WHERE idem_key IS NOT NULL;

-- DLQ 보관(옵션)
CREATE TABLE dlq (
  id            BIGSERIAL PRIMARY KEY,
  event_type    TEXT NOT NULL,
  payload       JSONB NOT NULL,
  error         TEXT NOT NULL,
  attempts      INT NOT NULL,
  created_at    TIMESTAMPTZ NOT NULL DEFAULT now()
);

이벤트 엔벨롭 (권장 JSON 스키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event_id": "uuid",
  "event_type": "NotifyUser",
  "aggregate_id": "order-uuid",
  "occurred_at": "2025-08-14T12:00:00Z",
  "attempts": 0,
  "idem_key": "order-{uuid}-notify",
  "data": {
    "order_id": "order-uuid",
    "user_id": "u-123",
    "amount": 19900
  }
}
Python 표준 템플릿

의존: psycopg(또는 sqlite3 로 대체), redis
큐는 Redis Streams(권장) 또는 List 로 대체 가능. 여기선 Streams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requirements: psycopg[binary] redis==5.*
import json, os, time, uuid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timezone
import psycopg
from redis import Redis

PG_DSN = os.getenv("PG_DSN", "dbname=app user=app password=app host=localhost")
REDIS_URL = os.getenv("REDIS_URL", "redis://localhost:6379")
STREAM = os.getenv("STREAM", "events.outbox")
GROUP = os.getenv("GROUP", "workers")
CONSUMER = os.getenv("CONSUMER", f"w-{uuid.uuid4()}")

def now(): return datetime.now(timezone.utc).isoformat()

# ---------- 1) 동기 트랜잭션: 주문 + Outbox ----------
def create_order(user_id: str, amount: int):
    with psycopg.connect(PG_DSN) as conn:
        with conn.cursor() as cur:
            cur.execute("BEGIN")
            order_id = str(uuid.uuid4())
            cur.execute("""
                INSERT INTO orders(id, user_id, amount, status, created_at)
                VALUES (%s, %s, %s, 'CREATED', now())
            """, (order_id, user_id, amount))
            # Outbox 두 건
            env_notify = {
                "event_id": str(uuid.uuid4()),
                "event_type": "NotifyUser",
                "aggregate_id": order_id,
                "occurred_at": now(),
                "idem_key": f"notify:{order_id}",
                "attempts": 0,
                "data": {"order_id": order_id, "user_id": user_id}
            }
            env_receipt = {
                "event_id": str(uuid.uuid4()),
                "event_type": "IssueReceipt",
                "aggregate_id": order_id,
                "occurred_at": now(),
                "idem_key": f"receipt:{order_id}",
                "attempts": 0,
                "data": {"order_id": order_id, "user_id": user_id, "amount": amount}
            }
            cur.execute("""
                INSERT INTO outbox(event_type, aggregate_id, idem_key, payload)
                VALUES (%s, %s, %s, %s)
            """, ("NotifyUser", order_id, env_notify["idem_key"], json.dumps(env_notify)))
            cur.execute("""
                INSERT INTO outbox(event_type, aggregate_id, idem_key, payload)
                VALUES (%s, %s, %s, %s)
            """, ("IssueReceipt", order_id, env_receipt["idem_key"], json.dumps(env_receipt)))
            conn.commit()
            return order_id

# ---------- 2) 디스패처: Outbox → Stream ----------
def dispatcher(poll_ms=200, batch=100):
    r = Redis.from_url(REDIS_URL)
    with psycopg.connect(PG_DSN, autocommit=True) as conn:
        while True:
            rows = conn.execute(
                "SELECT id, payload FROM outbox WHERE dispatched=false ORDER BY id ASC LIMIT %s", (batch,)
            ).fetchall()
            if not rows:
                time.sleep(poll_ms / 1000)
                continue
            for oid, payload in rows:
                # 경쟁 방지: 상태 전이(낙관 락) 후 push
                updated = conn.execute(
                    "UPDATE outbox SET dispatched=true, dispatched_at=now() WHERE id=%s AND dispatched=false",
                    (oid,)
                ).rowcount
                if updated != 1:
                    continue
                # Streams로 전송(XADD)
                r.xadd(STREAM, {"event": payload})
            # 살짝 휴식
            time.sleep(0.02)

# ---------- 3) 워커: 재시도/DLQ ----------
def ensure_group():
    r = Redis.from_url(REDIS_URL)
    try:
        r.xgroup_create(STREAM, GROUP, id="$", mkstream=True)
    except Exception:
        pass  # 이미 존재

def worker(max_attempts=5, backoff_base=0.5):
    r = Redis.from_url(REDIS_URL)
    ensure_group()
    while True:
        resp = r.xreadgroup(GROUP, CONSUMER, {STREAM: ">"}, count=32, block=1000)
        if not resp:
            continue
        for _stream, entries in resp:
            for entry_id, fields in entries:
                try:
                    env = json.loads(fields[b"event"].decode())
                    et = env["event_type"]
                    if et == "NotifyUser":
                        # 실제 발송 로직 자리
                        pass
                    elif et == "IssueReceipt":
                        # 영수증 발행 로직 자리
                        pass
                    r.xack(STREAM, GROUP, entry_id)
                except Exception as e:
                    # 재시도 횟수 증가 및 지수 백오프
                    env = json.loads(fields[b"event"].decode())
                    env["attempts"] = env.get("attempts", 0) + 1
                    if env["attempts"] >= max_attempts:
                        # DLQ로 이동
                        r.lpush("dlq.events", json.dumps({"error": str(e), "event": env}))
                        r.xack(STREAM, GROUP, entry_id)
                    else:
                        delay = min(backoff_base * (2 ** (env["attempts"] - 1)), 10.0)
                        time.sleep(delay)
                        # 재게시(간단화) 후 원본 ack
                        r.xadd(STREAM, {"event": json.dumps(env)})
                        r.xack(STREAM, GROUP, entry_id)
운영 템플릿 (체크리스트)
구성 파라미터 (권장 기본값)
항목기본메모
worker.maxAttempts5업무 중요도에 따라 3–7
worker.backoffBase0.5s(Python), 500ms(Node)지터 추가 권장
dispatcher.batch100DB·브로커 한계 고려
stream/queueevents.outbox서비스별 prefix 권장
dlq keydlq.events보존기간·재처리 런북 필요

동기 실행을 현대 아키텍처에 적용할 때 자주 쓰는 패턴

레이어드 모놀리식 + 동기 트랜잭션 + Outbox (하이브리드)
flowchart LR
  Client-->API[REST Controller]
  API-->Svc["Domain Service (Sync)"]
  Svc-->DB[(RDB - ACID Tx)]
  Svc-->|Tx내 기록|Outbox[(Outbox Table)]
  Outbox-->|Tx후 비동기 발행|Bus[[Event Bus]]

  classDef sync fill:#e9f5ff,stroke:#2573d5,color:#0a2a66;
  classDef async fill:#fff4e6,stroke:#e07a00,color:#5a2d00;
  class API,Svc,DB sync;
  class Outbox,Bus async;
마이크로서비스: 핵심 경로 동기, 주변은 이벤트 기반
sequenceDiagram
  autonumber
  participant U as User
  participant ORD as OrderSvc (Sync API)
  participant PAY as PaymentSvc (Sync API)
  participant INV as InventoryProj (Async)
  participant BUS as EventBus

  U->>ORD: POST /orders (sync)
  ORD->>PAY: POST /charge (sync)
  PAY-->>ORD: 200 OK (authorized)
  ORD->>ORD: ACID Commit (order_created)
  ORD->>BUS: Publish OrderCreated (async)
  BUS-->>INV: Consume & Project (async)
  ORD-->>U: 201 Created (sync)
CQRS: Command 는 동기 직렬, Read 는 비동기 프로젝션
flowchart TB
  Client --> CMD["Command API (Sync)"]
  CMD -->|Tx| Aggregate[Domain/Aggregate]
  Aggregate -->|Commit| DB[(Write DB)]
  Aggregate --> Outbox[(Outbox)]
  Outbox --> BUS[[Event Bus]]
  BUS --> PRJ[Projection Worker]
  PRJ --> READ[(Read DB/Cache)]
  Client --> QRY[Query API]
  QRY --> READ

  class CMD,Aggregate,DB sync;
  class Outbox,BUS,PRJ,READ,QRY async;
  classDef sync fill:#e9f5ff,stroke:#2573d5;
  classDef async fill:#fff4e6,stroke:#e07a00;
API 게이트웨이 + 동기 핵심/보호 (리밋·서킷브레이커)
flowchart LR
  Client --> GW[API Gateway]
  GW --> RL[RateLimiter]
  RL --> CB[CircuitBreaker]
  CB --> Core["Core Service (Sync)"]
  Core --> DB[(RDB Tx)]
  CB -.fallback.-> Cache[(Read-Through Cache)]
  CB -.fallback.-> Msg[[Fallback Queue]]

  classDef sync fill:#e9f5ff,stroke:#2573d5;
  classDef guard fill:#eefbea,stroke:#2a7b37;
  classDef async fill:#fff4e6,stroke:#e07a00;

  class GW,Core,DB sync;
  class RL,CB guard;
  class Cache,Msg async;
서버리스 동기 엔드포인트 + 비동기 워크플로 연계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 as Client
  participant FN as Sync Function (FaaS)
  participant RDB as RDB (Tx)
  participant OB as Outbox
  participant WF as Workflow(Async)

  C->>FN: HTTPS Invoke (sync)
  FN->>RDB: Begin Tx / Write / Commit (sync)
  FN->>OB: Record outbox (sync within Tx)
  FN-->>C: 200 OK (sync)
  OB-->>WF: Trigger workflow (async)

정리 및 학습 가이드

내용 정리

동기 실행 (Synchronous Execution) 은 모든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각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작업이 대기하는 Blocking 방식의 실행 모델이다. 1940 년대 초기 컴퓨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오래되고 안정적인 모델로, 코드 가독성과 예측 가능성, 데이터 일관성 보장이 특징이다.

이 방식은 호출 스택, 실행 컨텍스트, 프로그램 카운터와 같은 핵심 구성 요소를 통해 순차적 흐름을 유지하며,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핵심 상태 변경 로직 등 반드시 순차 실행이 보장되어야 하는 영역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I/O 대기 시간에 따른 성능 저하, 자원 비효율, 확장성 한계와 같은 단점도 있다.

멀티코어 환경에서도 동기 실행은 단일 스레드 흐름을 유지하므로 병렬성을 활용하기 위해선 멀티프로세싱이나 병렬 처리 구조를 병행해야 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동기 모델과 혼합한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Connection Pool 과 캐싱, 배치 처리와 같은 최적화 기법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서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서버리스, 에지 컴퓨팅, AI 기반 성능 최적화와의 결합 등 새로운 적용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결국 동기 실행의 본질과 한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최적의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고성능·고신뢰 시스템 설계의 핵심이다.

구분내용
정의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며, 각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작업 대기하는 Blocking 방식
장점예측 가능성, 데이터 일관성, 디버깅 용이, 코드 가독성
단점I/O 대기 시 성능 저하, 확장성 제한, 자원 비효율, 데드락 가능성
핵심 구성 요소호출 스택, 실행 컨텍스트, 프로그램 카운터
활용 분야DB 트랜잭션, 핵심 상태 변경 로직, 제조/금융 시스템
성능 최적화캐싱, Connection Pool, 배치 처리, 멀티프로세싱
현대 트렌드동기·비동기 혼합, 하이브리드 모델, 마이크로서비스·클라우드·서버리스 통합
운영 고려사항OS 스케줄러 이해, 병목 분석, Race Condition 예방, 모니터링 도구 활용

학습 로드맵

단계기간학습 목표세부 학습 내용실습 예시
초급자1~2 개월기본 개념 및 동작 원리 이해동기/비동기 비교, 순차 실행 원리, Blocking I/O, 디버깅 기초파일 처리 프로그램, 간단 계산기
중급자2~3 개월심화 개념 및 실무 적용성능 병목 분석, 프로파일링, 동기 REST API 구현, 멀티스레드 동기화FastAPI 기반 API, k6 부하 테스트
고급자3~6 개월전문가 수준 설계 및 최적화대규모 동기 시스템 설계, 고급 최적화, 보안 고려, 최신 트렌드 연구분산 트랜잭션 설계, Connection Pool 튜닝

학습 항목 정리

카테고리Phase항목중요도학습 목표실무 연관성설명
기초1개념/정의필수동기 실행의 본질·용어 정립높음순차·차단·결정성의 의미 파악
기초1동기 vs 비동기, 블로킹/논블로킹필수모델 차이·적용 기준 이해높음언제 동기/비동기를 쓸지 기준 수립
기초1호출 스택·제어 흐름필수콜스택/리턴·예외 전파 이해중간디버깅 기초 체력 확보
핵심2동작 원리·아키텍처필수스레드/커넥션 풀·락·I/O 이해높음병목의 구조적 원인 파악
핵심2트랜잭션·격리 수준필수ACID·격리의 효과·비용 이해높음정합성 보장·경합 튜닝
핵심2자원 모델 (Thread-per-Request)필수풀 상한=동시성 한계 인지높음용량 계획·풀 사이징
특성 (분석)3장단점/트레이드오프필수단순성 vs 확장성 판단높음아키텍처 의사결정 능력
특성 (분석)3성능 특성 (HoL, p95/p99)권장테일 지연·선두 차단 이해중간SLO/SLA 대응
구현4에러 처리·롤백필수예외 전파·롤백 표준화높음안정적 실패 처리
구현4타임아웃·재시도 예산필수체인 전체 시간 예산 설계높음테일 지연 억제
구현4경계 설계 (Outbox 패턴)필수동기 핵심/비동기 외연 분리높음병목 국지화·내고장성
구현4테스트 전략 (결정성/계약/장애주입)권장재현성 높은 테스트 구축중간회귀·신뢰성 강화
응용5실습: 주문 +Outbox→워커권장표준 템플릿 구현높음팀 내 레디메이드
응용5배치/ETL 순차 파이프라인권장순차 처리 최적 패턴 학습중간운영 자동화
운영6관측성 (Trace/Metric/Log)필수코리레이션·지표 대시보드높음MTTR 단축
운영6성능 튜닝 (풀·쿼리·락)권장락 대기·풀 점유 최적화중간처리량/지연 개선
운영6장애 대응 (서킷/페일 - 패스트)권장연쇄 지연 차단중간안정성 향상
고급7하이브리드·리액티브 비교선택모델 조합 전략 수립중간시스템 전반 최적화
고급7마이그레이션 전략선택동기→혼합 전환 로드맵중간점진적 리스크 관리
고급7의사결정 프레임/ADR선택기준·근거 문서화중간팀 합의·지속성 확보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정의관련 개념실무 활용
실행 모델/원리동기 실행 (Synchronous Execution)이전 작업 완료 후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순차적 실행 방식비동기 실행, 논블로킹트랜잭션 처리, 순차 의존 작업
실행 모델/원리순차 처리 (Sequential Execution)정해진 순서로 하나씩 처리하여 흐름이 선형으로 진행파이프라인, 흐름 제어배치 스크립트, 마이그레이션
실행 모델/원리Thread-per-request요청마다 스레드를 할당해 동기 흐름을 보장하는 서버 모델스레드 풀, 컨텍스트 스위칭서블릿/전통 웹서버 구조
제어 흐름/데이터 구조호출 스택 (Call Stack)호출/반환을 관리하는 LIFO 구조의 메모리 영역스택 프레임, 재귀함수 호출 흐름·오류 추적
제어 흐름/데이터 구조실행 컨텍스트 (스택 프레임)한 호출에 필요한 지역 상태·리턴주소·레지스터 저장 단위재진입성, 결정성단계별 상태 보존/복구
제어 흐름/데이터 구조프로그램 카운터 (PC)다음에 실행할 명령어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분기/점프, 호출/반환순차 실행의 하드웨어 근간
I/O·동기화블로킹 (Blocking)작업 완료까지 호출이 대기하여 흐름이 멈추는 상태Blocking I/O, HoL파일/DB/네트워크 호출
I/O·동기화Blocking I/Oread/write 등 완료 전까지 스레드가 대기하는 I/O논블로킹 I/O동기 HTTP, 디스크 접근
I/O·동기화임계구역 / 락 (뮤텍스)공유 자원에 배타적 접근을 보장하는 동기화 영역/프리미티브조건변수, 세마포어데이터 일관성 보호
I/O·동기화데드락 (Deadlock)상호 자원 대기로 영원히 대기하는 상태락 순서, 타임아웃락 정책·순서 규약 필요
I/O·동기화Head-of-Line Blocking선행 작업 지연이 뒤 작업 전부를 막는 현상큐잉, 직렬화긴 I/O 가 전체 경로 지연
일관성/트랜잭션트랜잭션 (Transaction)원자적 단위로 묶인 작업 집합롤백, 커밋주문/결제/정산
일관성/트랜잭션ACID 일관성원자성·일관성·격리성·지속성을 만족하는 DB 속성격리 레벨, 잠금금융·인증·정합성 요구 업무
운영 지표/성능응답 시간 (Response Time)요청→응답까지 소요 시간지연시간, p95/p99SLO/성능 모니터링
운영 지표/성능처리량 (Throughput)단위 시간 처리 건수 (QPS/TPS)동시성, 자원 한계용량 계획·부하 테스트
운영 지표/성능병목 (Bottleneck)전체 성능을 제한하는 느린 구간프로파일링, Amdahl최적화·경로 재설계
운영 지표/성능컨텍스트 스위칭CPU 가 실행 중인 스레드/프로세스를 전환하는 동작캐시 미스, 오버헤드스레드 과다 시 성능 저하
운영/신뢰성 패턴타임아웃 (Timeout)최대 대기 시간을 넘기면 호출을 중단하는 정책재시도, 폴백무한 대기 방지/안정성 확보
운영/신뢰성 패턴서킷 브레이커실패율이 높을 때 호출을 차단해 보호하는 패턴재시도, 격벽외부 의존 장애 전파 차단
운영/신뢰성 패턴배치 처리 (Batch Processing)데이터를 모아 한 번에 순차 처리파이프라인오프라인 대량 처리 최적화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