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Based Architecture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는 호스트 OS 위에서 컨테이너 런타임 (예: Docker) 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설정 파일을 하나의 단위로 사용자 공간 (User Space) 에 격리하여 실행한다. 이 방식은 VM 대비 오버헤드가 작고, CI/CD 와 연계하기 용이해 개발→테스트→배포까지 일관된 환경을 보장한다. 또한 Kubernetes 같은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확장성, 셀프 힐링, 로드밸런싱 등을 지원하여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핵심 개념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과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 단위로 패키징하여 운영체제 수준에서 격리된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기본 개념

컨테이너 (Container)

컨테이너 이미지 (Container Image)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Container Orchestration)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icroservices Architecture)

실무 구현을 위한 연관성

DevOps 및 CI/CD 연관성:

클라우드 네이티브 연관성:

보안 및 규정 준수 연관성:

배경

Container-Based Architecture 는 전통적인 가상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2013 년 Docker 의 출현으로 컨테이너 기술이 대중화되면서,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 방식에 혁신을 가져왔다. Google 의 내부 시스템인 Borg 에서 영감을 받은 Kubernetes 가 2014 년 오픈소스로 공개되면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형성되었다.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필요성:

주요 기능 및 역할

핵심 기능:

  1. 애플리케이션 패키징: 코드, 런타임, 라이브러리, 설정을 하나의 단위로 묶음
  2. 환경 격리: 프로세스,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수준의 격리 제공
  3. 자동 확장: 트래픽과 리소스 사용량에 따른 동적 스케일링
  4. 서비스 디스커버리: 동적으로 변하는 서비스 위치 자동 탐지
  5. 로드 밸런싱: 다수의 컨테이너 인스턴스 간 트래픽 분산

역할:

특징

  1. 경량성: VM 대비 낮은 오버헤드와 빠른 시작 시간
  2. 이식성: 다양한 환경에서 동일한 실행 보장
  3. 확장성: 수평적 확장과 자동 스케일링 지원
  4. 격리성: 애플리케이션 간 간섭 없는 독립적 실행
  5. 버전 관리: 이미지 태깅을 통한 체계적 버전 관리
  6. 불변성: 배포 후 변경 불가능한 이미지 구조

핵심 원칙

12-Factor App 원칙 준수:

  1. Codebase: 버전 관리되는 단일 코드베이스
  2. Dependencies: 명시적 종속성 선언
  3. Config: 환경별 설정 외부화
  4. Backing Services: 연결된 리소스로 취급
  5. Build, Release, Run: 단계별 명확한 분리
  6. Processes: 무상태 프로세스 실행
  7. Port Binding: 포트 바인딩을 통한 서비스 노출
  8. Concurrency: 프로세스 모델을 통한 확장
  9. Disposability: 빠른 시작과 우아한 종료
  10. Dev/Prod Parity: 개발과 운영 환경 일치
  11. Logs: 로그를 이벤트 스트림으로 처리
  12. Admin Processes: 관리 작업을 일회성 프로세스로 실행

주요 원리

graph TB
    A[Application Code] --> B[Container Image]
    B --> C[Container Runtime]
    C --> D[Container Orchestrator]
    D --> E[Distributed System]
    
    F[Registry] --> B
    G[Configuration] --> C
    H[Monitoring] --> E
    I[Storage] --> C
    J[Networking] --> D

개발자가 이미지를 빌드하고 저장소에 업로드, 런타임 및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이 이미지를 받아 컨테이너를 관리·실행한다.

컨테이너화 원리:

  1. 단일 책임 원칙: 하나의 컨테이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만 실행
  2. 이미지 불변성: 빌드된 이미지는 변경되지 않으며 새 버전으로 대체
  3. 런타임 제약: 리소스 사용량 제한을 통한 시스템 안정성 보장
  4. 생명주기 관리: 컨테이너의 시작, 실행, 중지, 재시작 자동화

작동 원리 및 방식

sequenceDiagram
    participant Dev as Developer
    participant Registry as Container Registry
    participant Orchestrator as Orchestrator
    participant Node as Worker Node
    participant App as Application
    
    Dev->>Registry: Push Container Image
    Orchestrator->>Registry: Pull Image
    Orchestrator->>Node: Schedule Container
    Node->>App: Start Container
    App->>Orchestrator: Health Check
    Orchestrator->>Node: Monitor & Scale

작동 과정:

  1. 이미지 빌드: 소스 코드와 종속성을 컨테이너 이미지로 패키징
  2. 레지스트리 저장: 빌드된 이미지를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에 저장
  3. 배포 요청: 오케스트레이터에 배포 명세서 제출
  4. 스케줄링: 가용한 노드에 컨테이너 배치 결정
  5. 실행: 선택된 노드에서 컨테이너 인스턴스 시작
  6. 모니터링: 컨테이너 상태 감시 및 자동 복구
  7. 확장/축소: 트래픽과 리소스 사용량에 따른 동적 조정

구조 및 아키텍처

전체 아키텍처 구조

graph TB
    subgraph "Application Layer"
        A1[Microservice A]
        A2[Microservice B]
        A3[Microservice C]
    end
    
    subgraph "Container Layer"
        C1[Container A]
        C2[Container B]
        C3[Container C]
    end
    
    subgraph "Orchestration Layer"
        O1[Scheduler]
        O2[Service Discovery]
        O3[Load Balancer]
        O4[Health Monitor]
    end
    
    subgraph "Infrastructure Layer"
        I1[Node 1]
        I2[Node 2]
        I3[Node 3]
    end
    
    A1 --> C1
    A2 --> C2
    A3 --> C3
    
    C1 --> O1
    C2 --> O2
    C3 --> O3
    
    O1 --> I1
    O2 --> I2
    O3 --> I3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필수컨테이너 런타임컨테이너 실행 환경 제공이미지 실행, 생명주기 관리containerd, Docker Engine, CRI-O
컨테이너 이미지애플리케이션 패키징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번들계층화, 불변성, 태깅
오케스트레이터클러스터 관리배포, 스케일링, 서비스 관리Kubernetes, Docker Swarm
레지스트리이미지 저장소이미지 배포와 버전 관리Docker Hub, ECR, GCR
네트워킹서비스 간 통신트래픽 라우팅, 로드 밸런싱CNI, Service Mesh
선택서비스 메시마이크로서비스 통신 관리트래픽 제어, 보안, 관찰성Istio, Linkerd, Consul Connect
모니터링시스템 상태 감시메트릭, 로그, 추적 수집Prometheus, Grafana, Jaeger
CI/CD 도구자동화된 배포빌드, 테스트, 배포 파이프라인Jenkins, GitLab CI, GitHub Actions
보안 도구컨테이너 보안 강화취약점 스캔, 정책 적용Twistlock, Aqua, Falco
스토리지데이터 영속성볼륨 관리, 백업CSI, PV/PVC, 분산 스토리지

장점

카테고리항목설명핵심 원인/기술 기반
1. 이식성 및 표준화이식성 (Portability)동일한 이미지로 개발, 테스트, 운영 환경 간 일관된 실행 가능이미지 기반 배포, OS 종속성 제거, OCI 호환성
표준화된 개발 환경개발자마다 동일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개발 가능Dockerfile, Devcontainer, Compose 등 도구 활용
버전 관리 용이성이미지 태깅과 저장소 관리를 통해 명확한 버전 추적 가능레지스트리 기반 이미지 관리
2. 성능 및 효율성경량 리소스 사용VM 보다 메모리/CPU 사용 효율적, 컨테이너 밀도 증가 가능커널 공유 기반 경량 격리 (containerd, CRI-O 등)
빠른 시작 및 배포 속도수 초 내 컨테이너 시작, 이미지 기반 배포로 빠른 롤아웃 가능이미지 레이어 캐시, Immutable infrastructure
리소스 제어 및 격리성네임스페이스, cgroups 로 프로세스 및 자원 분리리눅스 커널 격리 기술 활용
3. 확장성 및 안정성수평 확장성수요 증가 시 오케스트레이터 기반 자동 확장 가능Kubernetes, HPA, VPA 기반 오토스케일링
Self-Healing (자가 복구)장애 발생 시 자동 재시작 또는 대체 배포 자동화오케스트레이터의 헬스 체크 및 상태 기반 제어
고가용성 아키텍처 구성 용이여러 인스턴스 배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로 무중단 서비스 제공클러스터링, 로드 밸런싱, 스케줄링 기반 복원력
4. 운영 및 자동화운영 효율성관리 도구,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 용이Prometheus, Fluentd, Grafana, ELK 등과의 통합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 연계CI/CD 통합이 쉬워 반복 가능한 배포 자동화 가능GitOps, Jenkins, GitLab CI, ArgoCD 등과 연계
통합 모니터링 및 로깅분산 환경에서도 로그와 메트릭 수집을 중앙화 가능Sidecar, Exporter, 로그 집계 도구 활용
5. 개발 생산성빠른 피드백 루프컨테이너화된 환경으로 인해 로컬에서 즉시 테스트 및 통합 가능dev→build→test→deploy 단축 루프 구조
DevOps 친화성개발자와 운영팀 간 협업 최적화선언형 구성, 코드 기반 배포, 자동화된 운영 구성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항목설명해결책
복잡성 증가다양한 오케스트레이션 구성, 네트워크, 보안 설정 등으로 관리 복잡도 상승관리형 서비스 (EKS, AKS 등), 자동화 도구 도입 (Terraform), DevOps 교육 강화
보안 취약성이미지·런타임 보안 및 네트워크 권한 통제의 복잡성 존재이미지 스캔, 런타임 보안 도구 (Falco), 최소 권한 원칙 및 네트워크 정책 적용
네트워킹 복잡성CNI 구성, NAT, 서비스 디스커버리 등으로 복잡한 네트워크 관리 필요서비스 메시 (Istio 등) 도입, 네트워크 정책 자동화, IP 설계 최적화
상태 관리 제약상태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DB 등) 의 컨테이너화 및 복원 전략이 어려움StatefulSet, PVC, 외부 DBMS 연동, 데이터 복제/백업 전략 수립
모니터링 복잡성분산되고 짧은 수명의 컨테이너로 인해 로그 및 메트릭 수집이 어려움중앙 로깅 스택 (ELK, Fluentd), APM 도구 (Prometheus, Grafana 등) 도입
디버깅 난이도컨테이너 격리 환경에서 실시간 디버깅 어려움원격 디버깅 구성, Sidecar 로깅·프록시 활용
이미지 최적화 어려움불필요한 레이어 누적으로 이미지 용량 증가, 빌드 속도 저하멀티스테이지 빌드, 경량 베이스 이미지 (alpine, distroless) 사용, 캐시 전략 도입

문제점

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컨테이너 탈출커널 취약점, 권한 설정 오류호스트 시스템 접근 위험런타임 보안 모니터링, 이상 행위 탐지 (Falco 등)rootless 런타임, 보안 컨텍스트 적용, Seccomp 사용커널 패치 적용, 컨테이너 격리 강화
이미지 취약점오래된 이미지, 취약한 종속성 포함악성 코드 실행, 시스템 침해이미지 스캐닝 (Trivy, Clair 등), SBOM 분석안전한 이미지 사용, 주기적 업데이트자동화된 CI 내 취약점 차단, 신뢰 이미지 검증 적용
리소스 경합/스로틀링cgroup 설정 미비, limit/requests 비효율적 설정서비스 성능 저하, 장애 가능성리소스 메트릭 수집 (Prometheus), 노드 상태 모니터링적절한 limit 설정, QoS Class 활용수평 확장 (HPA/VPA), Pod 리소스 튜닝
네트워크 지연/분할CNI 오류, NAT 중첩, 정책 설정 오류트래픽 병목, 서비스 간 통신 단절트래픽 지연 모니터링, 패킷 캡처, 로그 분석네트워크 설계 가이드 준수, 서비스 메시 적용정책 수정, 오버레이 제거, 노드 간 네트워크 최적화
오케스트레이터 과부하Pod 수 과다, 컨트롤 플레인 리소스 부족API Server 지연, 스케줄 실패K8s 상태 모니터링, Event 분석클러스터 샤딩, HPA/TTA 설계control plane 분산, 노드 증설, 큐/워크로드 분리
데이터 손실비영속 저장소 사용, 백업 정책 부재중요 데이터 유실, 복구 불가능백업 상태 확인, PVC 상태 점검, 데이터 무결성 검증영속적 볼륨 사용, 정기 백업/스냅샷 전략 수립복원 자동화 스크립트, 외부 스토리지 연동
이미지 저장소 포화불필요한 이미지 누적, TTL 정책 미적용Registry 용량 초과, 이미지 배포 실패저장소 사용량 모니터링, 태그/레이어 수 분석TTL 정책 적용, 캐시 관리 도구 사용Garbage Collection 실행, 이미지 최적화

도전 과제

카테고리도전 과제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및 해결 방안
보안 및 무결성 관리이미지 보안 자동화 및 무결성 검증취약 이미지 사용, 라이브러리 누적, SBOM 미생성보안 위협, 법적 규제 위반, 이미지 신뢰도 저하SBOM 자동 생성, 취약점 스캐너 (Falco, Trivy), 정책 위반 탐지Cosign, Notary 기반 서명/검증, SLSA 레벨 정의, CI 내 무결성 검사 적용
Rootless/Unprivileged 컨테이너 운영루트 권한 남용, 커널 취약점호스트 보안 노출, 컨테이너 간 권한 상승 가능성커널 행위 모니터링 (Falco), 네임스페이스·Capabilities 감사rootless 표준화, buildkit + user namespace 조합, 보안 정책 적용
Zero Trust 기반 통신 보안인증/암호화 누락, 내부 신뢰 가정트래픽 도청, 인증 우회, 서비스 간 취약점 노출TLS 인증, mTLS 미적용 탐지, 트래픽 모니터링서비스 메시 (Istio 등) 적용, 네트워크 정책 강화, 인증 강제화
운영 및 관찰성관찰성 부족 (Observability Gaps)분산 아키텍처, 컨테이너 수명 짧음장애 진단 지연, 성능 병목 원인 추적 어려움APM, 로그 집계, 분산 추적 (Jaeger, OpenTelemetry 등)통합 모니터링 스택 구성, SRE 기반 운영, 자동 알림 시스템 구축
운영 자동화의 미비수작업 중심 운영, IaC/CI/CD 미흡릴리즈 실패, 휴먼 에러, 복구 지연운영 실패율/시간 지표 분석, 워크플로우 모니터링IaC(Terraform), GitOps(ArgoCD), 자동 백업·복구 시스템
멀티환경 운영멀티클러스터 운영 관리클러스터 간 정책 불일치, 인증체계 분산운영 일관성 저하, 보안 사각지대, 오버헤드 증가크로스 클러스터 모니터링 (Prometheus + Thanos), IAM 감사Federation, ArgoCD 중앙제어, 멀티테넌시 IAM 설계
멀티클라우드/하이브리드 대응벤더 종속, API 차이, 레거시 통합 복잡성이식성 부족, 유지보수 비용 증가클라우드 성능/호환성 평가, 벤더 잠금 위험 분석Terraform 등 멀티클라우드 IaC, 추상화 계층 도입, 클라우드 중립형 설계
아키텍처 설계Stateful 컨테이너 관리상태 기반 워크로드 (DB, MQ 등) 의 복잡성스케줄링/재시작 시 데이터 손실 위험, 고가용성 어려움볼륨 스냅샷/복제 모니터링, Pod 복구 시나리오 시뮬레이션StatefulSet, VolumeClaimTemplate, 외부 스토리지 연동
서버리스와 컨테이너의 통합이벤트 기반 FaaS 와 장기 실행 컨테이너의 리소스 모델 차이예측 불가한 비용/성능 문제, 오토스케일링 충돌비용/성능 분석, 리소스 사용량 추적Fargate + K8s 조합 최적화, 리소스 한계 정책 설정, SLA 기반 분리 운영
네트워크 및 엣지 운영에지 컴퓨팅 환경의 제한적 오케스트레이션네트워크 불안정, 노드 스펙 부족업데이트 실패, 데이터 동기화 누락, 관찰성 결여노드 상태 모니터링, 분산 로그 수집K3s/MicroK8s 활용, 간소화된 Helm 배포, 리소스 경량화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설명
배포 환경온프레미스자체 데이터센터 또는 물리 인프라에서 컨테이너 환경 운영 (보안/규제 요건 반영 용이)
클라우드 네이티브퍼블릭 클라우드의 컨테이너 서비스 (Kubernetes, Fargate 등) 를 활용한 배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혼합 환경으로, 이식성과 유연성 확보 목적
엣지 컴퓨팅경량 K8s(K3s, MicroK8s) 기반의 디바이스·지점 단위 분산 배포
오케스트레이션 방식Kubernetes풍부한 API, 대규모 배포 지원, 업계 표준 플랫폼
Docker SwarmDocker 네이티브의 간단한 오케스트레이션 기능
HashiCorp Nomad다중 워크로드 (컨테이너, VM, 배치 등) 스케줄링 가능
관리형 Kubernetes 서비스EKS(AWS), AKS(Azure), GKE(GCP) 등 클라우드 관리형 오케스트레이터
런타임 종류Docker초기 컨테이너 표준, 개발/테스트 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
containerdDocker 에서 분리된 경량화 런타임, K8s 에 널리 통합됨
CRI-OKubernetes CRI 와 호환되는 전용 런타임
아키텍처 패턴마이크로서비스각 기능을 독립적인 컨테이너로 분리하여 운영 (도메인 중심 설계)
모놀리식 분해레거시 모놀리식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컨테이너화하여 전환
서버리스 컨테이너이벤트 기반 실행 단위로 컨테이너를 활용 (AWS Fargate, Google Cloud Run 등)
단일 호스트 기반개발/테스트용 단일 노드 실행 환경
클러스터 기반다수의 노드로 구성된 확장 가능한 분산 환경
네트워크 구성Flannel간단한 오버레이 네트워크, 빠른 설치 및 설정 가능
Calico고성능 L3 네트워크, 네트워크 정책 및 보안 강화
Cilium + eBPF고성능 데이터 경로 처리, 네트워크 보안 및 관찰성 통합
스토리지 전략HostPath로컬 노드 디스크를 직접 활용하는 간단한 방식
Persistent Volume (PV/PVC)Kubernetes 리소스를 통한 동적/정적 볼륨 관리
CSI 기반 스토리지다양한 스토리지 공급자 연동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지원
보안 수준기본 보안네임스페이스, RBAC, 이미지 서명 등 기초 보안 적용
강화 보안Seccomp, AppArmor, NetworkPolicy, 이미지 스캐닝 등 적용
Zero Trust서비스 간 모든 통신에 대해 인증·인가·암호화를 강제하는 아키텍처
배포 패턴단일 컨테이너하나의 컨테이너에 하나의 서비스 또는 앱만 배포 (간단한 구조)
다중 컨테이너여러 컨테이너를 Pod 단위로 구성 (ex. main + sidecar)
마이크로서비스여러 독립적인 컨테이너가 API, 메시지로 상호작용하는 구조
서버리스 컨테이너짧은 수명과 자동 스케일을 가지는 이벤트 기반 컨테이너 실행

실무 사용 예시

카테고리사용 목적주요 컴포넌트기대 효과적용 분야
마이크로서비스 운영마이크로서비스 배포 및 관리Kubernetes, Docker, Istio, API Gateway, Helm독립적 배포, 수평 확장, 장애 격리, 셀프힐링전자상거래, 핀테크, SaaS 플랫폼
서비스 메시 기반 통신 제어Istio, Linkerd트래픽 라우팅, 보안 정책 적용, 통신 관측성 향상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배포 자동화CI/CD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성Jenkins, GitLab CI, ArgoCD빠른 피드백 루프, 릴리스 속도 향상, 안정적 배포모든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GitOps 선언형 배포 자동화ArgoCD, FluxGit 기반 상태 동기화, 자동 롤백, 구성 이력 관리DevOps 환경, 멀티클러스터 운영
데이터/배치 처리정기적인 배치 작업 처리Kubernetes CronJob, Persistent Volume일관된 스케줄링, 영속적 데이터 보존정산 시스템, 리포트 생성 등
데이터 상태 관리StatefulSet, PVC, Volume SnapshotDB 등 상태 기반 워크로드의 안정적 운영데이터베이스, 세션 서비스
모델 및 애플리케이션 서빙머신러닝 모델 배포 및 실험 운영Docker, Kubernetes, Istio, Grafana모델 A/B 테스트, 롤링 업데이트, 메트릭 기반 평가AI 서비스, 추천 시스템
모니터링 및 로깅통합 관찰성 확보Prometheus, Fluentd, Grafana, Loki, OpenTelemetry메트릭/로그/트레이싱 통합 분석, 장애 원인 추적마이크로서비스, 운영 플랫폼 전반
개발 생산성로컬 개발 환경 통일 및 간소화Docker Compose, DevContainer, Skaffold, Vagrant환경 표준화, 협업 간 충돌 감소, 빠른 로컬 테스트협업 개발팀, 멀티서비스 개발 환경
엣지 및 분산 컴퓨팅에지 환경 배포 및 업데이트K3s, MicroK8s, containerd, CI/CD경량화 클러스터 운영, OTA(Over-the-Air) 자동 업데이트IoT, CDN, 현장 장비 관리
클라우드 현대화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및 이식성 확보Kubernetes, Helm, Terraform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으로 전환On-Prem → Cloud 전환 프로젝트

활용 사례

사례 1: 넷플릭스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Frontend Layer"
        UI[Web/Mobile UI]
        API[API Gateway]
    end
    
    subgraph "Microservices Layer"
        US[User Service]
        CS[Content Service]
        RS[Recommendation Service]
        PS[Payment Service]
        VS[Video Service]
    end
    
    subgraph "Container Platform"
        K8S[Kubernetes Cluster]
        LB[Load Balancer]
        SM[Service Mesh]
    end
    
    subgraph "Infrastructure Layer"
        AWS[AWS Cloud]
        CDN[Content Delivery Network]
        DB[(Databases)]
    end
    
    UI --> API
    API --> US
    API --> CS
    API --> RS
    API --> PS
    API --> VS
    
    US --> K8S
    CS --> K8S
    RS --> K8S
    PS --> K8S
    VS --> K8S
    
    K8S --> AWS
    K8S --> CDN
    K8S --> DB

Workflow:

  1. 사용자 요청: 클라이언트에서 API Gateway 로 요청 전송
  2. 서비스 라우팅: API Gateway 가 적절한 마이크로서비스로 요청 라우팅
  3. 컨테이너 실행: Kubernetes 가 필요한 컨테이너 인스턴스 스케줄링
  4. 서비스 간 통신: 서비스 메시를 통한 안전한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5. 데이터 처리: 각 마이크로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데이터 처리
  6. 응답 반환: 처리된 결과를 API Gateway 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반환

Container-Based Architecture 의 역할:

Container-Based Architecture 유무에 따른 차이점:

사례 2: Netflix 사용자 요청 스케일 대응

구성: 앱 컨테이너 + Sidecar 로 TLS + 모니터링 + Config 관리

워크플로: CI/CD 통해 이미지 빌드 → Canary 배포 → Prometheus 로 모니터링 → 자동 롤아웃

차이점: 기존 VM 기반은 느린 롤아웃, 오버헤드 큼 → 컨테이너는 배포 자동화, 자원 효율↑

graph LR
  CI/CD --> Registry
  Registry --> K8s
  K8s --> AppPod[App + Sidecar]
  AppPod --> Istio[Service Mesh]
  AppPod --> Prometheus
  Istio --> Grafana

구현 예시

다음은 넷플릭스와 유사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Container-Based Architecture 로 구현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user_service.py - 사용자 서비스 컨테이너
from flask import Flask, jsonify, request
import logging
import os

app = Flask(__name__)

# 컨테이너 환경변수에서 설정 읽기
DATABASE_URL = os.getenv('DATABASE_URL', 'postgresql://localhost/users')
SERVICE_PORT = int(os.getenv('SERVICE_PORT', 5000))

# 로깅 설정 (컨테이너 환경에서 표준출력으로 로그 출력)
logging.basicConfig(level=logging.INFO)
logger = logging.getLogger(__name__)

@app.route('/health', methods=['GET'])
def health_check():
    """
    컨테이너 상태 확인을 위한 헬스체크 엔드포인트
    Kubernetes 등 오케스트레이터에서 활용
    """
    return jsonify({"status": "healthy", "service": "user-service"}), 200

@app.route('/users/<user_id>', methods=['GET'])
def get_user(user_id):
    """
    사용자 정보 조회 서비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독립적으로 동작
    """
    try:
        # 실제 구현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연동 로직
        user_data = {
            "user_id": user_id,
            "name": "John Doe",
            "subscription": "premium",
            "region": "US"
        }
        
        logger.info(f"User {user_id} data retrieved successfully")
        return jsonify(user_data), 200
        
    except Exception as e:
        logger.error(f"Error retrieving user {user_id}: {str(e)}")
        return jsonify({"error": "Internal server error"}), 500

@app.route('/users', methods=['POST'])
def create_user():
    """
    새 사용자 생성 서비스
    컨테이너 간 독립적인 데이터 처리
    """
    try:
        user_data = request.get_json()
        
        # 사용자 데이터 검증 및 생성 로직
        new_user = {
            "user_id": "12345",
            "name": user_data.get('name'),
            "email": user_data.get('email'),
            "created_at": "2024-01-01T00:00:00Z"
        }
        
        logger.info(f"New user created: {new_user['user_id']}")
        return jsonify(new_user), 201
        
    except Exception as e:
        logger.error(f"Error creating user: {str(e)}")
        return jsonify({"error": "Bad request"}), 400

if __name__ == '__main__':
    # 컨테이너 환경에서 실행 (0.0.0.0으로 바인딩하여 외부 접근 허용)
    app.run(host='0.0.0.0', port=SERVICE_PORT, debug=Fals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 kubernetes-deployment.yaml - Kubernetes 배포 설정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user-service
  labels:
    app: user-service
    version: v1
spec:
  replicas: 3  # 고가용성을 위한 다중 인스턴스
  selector:
    matchLabels:
      app: user-service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user-service
        version: v1
    spec:
      containers:
      - name: user-service
        image: user-service:1.0.0  # 컨테이너 이미지
        ports:
        - containerPort: 5000
        env:
        - name: DATABASE_URL
          valueFrom:
            secretKeyRef:
              name: database-credentials
              key: url
        - name: SERVICE_PORT
          value: "5000"
        
        # 리소스 제한으로 컨테이너 안정성 보장
        resources:
          limits:
            cpu: 500m
            memory: 512Mi
          requests:
            cpu: 200m
            memory: 256Mi
        
        # 헬스체크 설정으로 컨테이너 상태 모니터링
        livenessProbe:
          httpGet:
            path: /health
            port: 5000
          initialDelaySeconds: 30
          periodSeconds: 10
        
        readinessProbe:
          httpGet:
            path: /health
            port: 5000
          initialDelaySeconds: 5
          periodSeconds: 5

---
# 서비스 노출을 위한 Service 리소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user-service
spec:
  selector:
    app: user-service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5000
  type: ClusterIP  # 클러스터 내부 통신

---
# 수평 자동 확장 설정
apiVersion: autoscaling/v2
kind: HorizontalPodAutoscaler
metadata:
  name: user-service-hpa
spec:
  scaleTargetRef: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name: user-service
  minReplicas: 3
  maxReplicas: 10
  metrics:
  - type: Resource
    resource:
      name: cpu
      target:
        type: Utilization
        averageUtilization: 70
  - type: Resource
    resource:
      name: memory
      target:
        type: Utilization
        averageUtilization: 8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Dockerfile - 컨테이너 이미지 빌드 설정
# 멀티스테이지 빌드로 최적화된 이미지 생성
FROM python:3.9-slim as builder

# 의존성 설치를 위한 임시 패키지
RUN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
    gcc \
    && rm -rf /var/lib/apt/lists/*

# Python 의존성 설치
COPY requirements.txt .
RUN pip install --user -r requirements.txt

# 실행 단계 - 최소화된 이미지
FROM python:3.9-slim

# 보안을 위한 비특권 사용자 생성
RUN groupadd -g 1000 appuser && \
    useradd -r -u 1000 -g appuser appuser

# 애플리케이션 디렉토리 생성
WORKDIR /app

# 빌더 스테이지에서 의존성 복사
COPY --from=builder /root/.local /home/appuser/.local
COPY --chown=appuser:appuser . /app

# 비특권 사용자로 실행
USER appuser

# PATH 환경변수 설정
ENV PATH=/home/appuser/.local/bin:$PATH

# 헬스체크 설정
HEALTHCHECK --interval=30s --timeout=3s --start-period=5s --retries=3 \
  CMD curl -f http://localhost:5000/health || exit 1

# 컨테이너 실행 명령
EXPOSE 5000
CMD ["python", "user_service.py"]

이 구현 예시는 Container-Based Architecture 의 핵심 특징들을 보여준다:

  1. 컨테이너화: 애플리케이션과 종속성을 단일 이미지로 패키징
  2. 마이크로서비스: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서비스 단위 구성
  3. 오케스트레이션: Kubernetes 를 통한 자동화된 배포와 관리
  4. 확장성: HPA 를 통한 자동 스케일링
  5. 관찰성: 헬스체크와 로깅을 통한 모니터링
  6. 보안: 비특권 사용자와 리소스 제한을 통한 보안 강화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사항설명권장 사항
설계서비스 경계 정의마이크로서비스 단위의 명확한 책임 분리 및 도메인 모델 정합성 확보DDD 기반 설계, 단일 책임 원칙 적용
상태 관리 전략스테이트풀 서비스의 영속성 및 일관성 유지외부 DB 사용, PVC + 백업 전략
배포 및 인프라이미지 표준화빌드 이미지, 보안 정책, 네트워크 구조 등 표준화표준 템플릿 및 정책 코드화 (IaC)
배포 전략오류 복구 용이성 및 무중단 배포 실현롤링 업데이트, Canary, Blue-Green 배포
CI/CD 자동화이미지 버전 혼동, 릴리즈 오류 방지Semantic 버전 태그, GitOps 적용
리소스 최적화과소/과다 리소스 할당 시 성능 및 비용 손실 발생requests/limits 설정, HPA 활용
스토리지 구성데이터 유실 및 스토리지 충돌 방지스토리지 클래스, 스냅샷 백업 구성
비용 관리클라우드 자원 과다 사용 방지모니터링 기반 리소스 제한, 자동 확장 정책
보안컨테이너 이미지 보안악성코드/취약점 포함된 이미지 실행 가능성 존재Trivy/Clair 로 이미지 스캔, Rootless 모드
서비스 간 보안 정책인증/인가 누락 및 평문 통신 위험mTLS 적용, RBAC 설정, OPA 기반 정책 관리
API 인증/인가무분별한 외부 접근 가능성OAuth2.0, JWT, API Gateway 기반 인증
네트워크통신 정책 및 보안무제한 통신 허용 시 공격 표면 증가CNI 정책 구성 (Calico 등), 서비스 메시 보안 적용
운영 및 가시성모니터링 및 로그 수집장애 원인 파악 및 성능 병목 식별 어려움Prometheus, Grafana, ELK, Fluentd, Alertmanager
분산 추적 및 APM복잡한 요청 흐름에서 병목 위치 파악 어려움OpenTelemetry, Jaeger, Zipkin 도입
운영 가시성장애 발생 시 전체 서비스 영향 파악 어려움로그/메트릭 중앙화, 트레이스 시각화
회복력 및 장애 대응장애 복구 전략서비스 장애 시 자동 회복 실패 가능성SRE 기반 운영, Circuit Breaker, Retry/Fallback
Chaos Engineering운영 환경에서 복원력 테스트 부족주기적 카오스 테스트 및 알람 시스템 연계
플랫폼 및 문화개발자 플랫폼 구성 (IDP)개발 환경의 일관성 부족, 설정 반복Self-service 플랫폼화 (Backstage 등)
운영 문화 및 협업 구조운영팀/개발팀 간 지식 단절DevOps 문화 정착, 문서화 강화, SRE 도입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항목설명권장사항
성능리소스 최적화CPU, 메모리 사용량 조절 및 불필요한 자원 낭비 방지리소스 프로파일링 기반 설정, HPA/VPA 적용, 적절한 Limit/Request 설정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CNI 오버레이 구조로 인한 지연 및 병목 현상 발생 가능서비스 메시 도입, IP SLA 모니터링, 네트워크 최적화
싱글톤 서비스 중복 실행 방지StatefulSet 기반 서비스에서 Leader Election 미구현 시 중복 실행 위험ConfigMap + Lease 기반 Election, 컨트롤러 로직 명확화
보안보안 강화공격면 최소화, 실행 격리, 신뢰할 수 없는 코드 차단Zero Trust 설계, 정책 기반 제어, 서비스 메시 도입
이미지 보안과다한 베이스 이미지 및 오래된 이미지로 인한 공격 위험Alpine/distroless 사용, 이미지 서명 및 취약점 스캐닝 자동화
런타임 보안시스템 콜 남용이나 프로세스 과다 생성 가능성 존재Seccomp, AppArmor 등 커널 보안 기능 적용
비용인프라 비용 최적화과도한 리소스 요청, 미사용 리소스 지속 실행 등으로 인한 비용 증가스팟 인스턴스 활용, 자동 스케일링 정책, 비활성 리소스 정리 자동화
확장성수평 확장 전략예측 불가능한 부하에 대한 적절한 대응 필요예측 기반 오토스케일링, 멀티 리전 배포, CDN 활용
가용성고가용성 설계단일 장애 지점 존재 시 전체 시스템 중단 위험다중 AZ 배포, 헬스체크 강화, 셀프힐링 리소스 구성
운영 자동화운영 자동화 및 관리 효율화반복적인 운영 작업으로 인한 인적 오류 및 비효율 발생IaC (Terraform 등), 자동화된 백업/복구, 스케줄 기반 운영 태스크 자동화
배포배포 단위 과도 분할지나치게 쪼개진 컨테이너 구성은 관리 오버헤드 및 네트워크 비용 유발관련 컴포넌트는 Pod 단위로 묶고, Sidecar 패턴 적용 고려
CI/CD 자동화릴리즈 파이프라인이 수동일 경우 릴리즈 지연 및 오류 증가 가능GitOps 기반 선언형 파이프라인, 멀티환경 대응 배포 전략 도입
스토리지상태 데이터 처리컨테이너 재시작 시 데이터 손실 및 일관성 문제 발생 가능Persistent Volume 사용, StatefulSet 구성, 자동 백업 정책 수립
캐시 및 로컬 저장소 사용로컬 저장소 과도 사용 시 노드 불균형 및 복구 지연 발생 가능EmptyDir, ConfigMap 활용, 공유 스토리지 구성
개발 생산성로컬 개발 환경 표준화개발 환경 불일치로 인한 배포 실패 및 생산성 저하Devcontainer, Skaffold, 로컬 Kubernetes 환경 통일화
이미지 빌드 최적화빌드 시간 과다 및 용량 초과로 인한 배포 지연멀티스테이지 빌드, 캐시 재사용, 최소 베이스 이미지 활용
모니터링중앙화된 관찰성 확보로그/메트릭 분산 시 문제 추적 및 장애 분석 어려움Prometheus, Fluentd, Grafana, Loki 통합 구성
분산 추적마이크로서비스 간 요청 흐름 불분명 시 병목 및 장애 원인 파악 어려움Jaeger, OpenTelemetry 활용한 전체 호출 경로 추적 시스템 구축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오케스트레이션KubernetesYAML 매니페스트선언적 구성 기반으로 Pod, Service, Deployment 등 정의 및 배포
Kubernetes셀프힐링, 오토스케일링장애 자동 복구 및 수요 기반 리소스 확장 자동화
Docker Swarm스웜 모드Docker 네이티브 클러스터링 오케스트레이션 기능
배포 자동화CI/CD 통합파이프라인 자동화테스트, 빌드,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여 빠른 피드백과 롤백 지원
GitOps선언적 배포Git 저장소 상태를 기준으로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자동 동기화
보안컨테이너 이미지이미지 스캐닝, 서명이미지 내 취약점 사전 탐지 및 신뢰성 검증 (Cosign, Notary 등 활용)
런타임 보안Seccomp, AppArmor시스템 콜 및 권한 제한을 통한 런타임 보안 강화
네트워크 보안서비스 메시TLS, 인증, 정책 기반 보안 트래픽 제어 (Istio, Linkerd 등)
격리 및 멀티테넌시Namespace (PID, NET 등)워크로드 간 격리를 통한 보안 및 독립성 보장
리소스 관리커널 리소스 제한cgroupsCPU, 메모리, I/O 등 자원 사용을 제어하여 클러스터 안정성 확보
네트워킹CNI네트워크 플러그인 구조Calico, Flannel 등으로 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연결성과 보안 정책 구현
서비스 메시L7 트래픽 관리 및 정책 통제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흐름 제어, 트래픽 분산, 장애 대응 포함
스토리지영속적 저장소Persistent Volume컨테이너 수명과 무관한 데이터 영속성 확보 (DB, 세션 등)
이미지 관리빌드 최적화멀티 스테이지 빌드빌드 용량 최소화 및 보안 취약점 노출 최소화를 위한 이미지 구성 전략
운영 및 관찰성모니터링Prometheus, Grafana 등메트릭 기반 성능 모니터링 및 시각화 대시보드 제공
로깅Fluentd, Loki 등분산 환경의 로그 수집 및 중앙 통합 로그 관리
분산 추적Jaeger, OpenTelemetry마이크로서비스 간 요청 흐름 추적 및 병목 지점 식별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기초 개념컨테이너화Docker 기본컨테이너 생성, 실행, 이미지 관리 등 기초 원리 학습
가상화 비교컨테이너 vs VM가상화 기술의 차이점과 장단점 비교 분석
런타임컨테이너 런타임 비교containerd vs CRI-O주요 런타임의 구조 및 특징 이해
보안 격리 실행 환경WSL2, gVisor, rootless mode리눅스 내 격리 실행 환경 및 경량 보안 샌드박스 구조 이해
리눅스 보안 프로파일Seccomp, AppArmor시스템 콜 제어 및 커널 리소스 접근 제한
오케스트레이션Kubernetes 핵심 리소스Pod, Service, Deployment컨테이너 집합, 내부 통신, 배포 전략의 기본 구성 요소 학습
고급 배포 관리Helm, Operators템플릿 기반 배포 및 커스텀 리소스 자동 운영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로드밸런싱DNS, ClusterIP, Ingress내부 서비스 탐색과 외부 트래픽 유입 제어
GitOps 및 멀티클러스터 전략Argo CD, Flux선언형 구성 및 자동 동기화 기반 운영
네트워크네트워크 구성CNI, Flannel, Calico클러스터 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격리 정책 구성
서비스 메시Istio, Linkerd서비스 간 트래픽 제어, 인증, 로깅, 모니터링 처리
고급 보안 모니터링eBPF, Cilium패킷 수준 필터링과 L7 보안 통제 구현
보안접근 제어RBAC사용자 역할 기반 자원 접근 제어 시스템
이미지 보안이미지 서명 (Cosign), 스캐닝 (Notary)컨테이너 이미지의 위조 방지 및 취약점 검사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SBOM, SLSA구성요소 명세 및 공급망 신뢰성 확보
개발 및 운영CI/CD 파이프라인자동화 빌드, 테스트, 배포지속적 통합 및 배포 자동화 구조 설계
GitOps 운영 모델선언적 구성 관리Git 저장소를 소스로 삼아 인프라 및 앱 상태 관리
모니터링메트릭 및 로그 수집Prometheus, Fluentd, Grafana운영 가시성 확보를 위한 수집·시각화 도구
분산 추적Jaeger, OpenTelemetry마이크로서비스 간 요청 흐름 추적 및 성능 병목 분석
아키텍처 설계마이크로서비스 구조 설계도메인 기반 서비스 분할, API 게이트웨이독립적 배포 가능한 서비스 단위 설계 및 통신 엔트리포인트 구성
상태 관리 및 데이터 연동볼륨, 백업, 복구 전략컨테이너의 외부 데이터 영속성 확보 및 장애 대응 전략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컨테이너 기술컨테이너 (Container)애플리케이션과 실행 환경을 패키징한 경량화 단위
컨테이너 런타임 (Container Runtime)컨테이너 실행 및 관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예: containerd, CRI-O, Docker 등)
컨테이너 레지스트리 (Registry)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배포하는 저장소 (예: Docker Hub, Harbor 등)
OCI (Open Container Initiative)컨테이너 이미지 및 런타임 표준을 정의하는 개방형 프로젝트
Layer (레이어)컨테이너 이미지의 불변 계층 구조
오케스트레이션오케스트레이션 (Orchestration)컨테이너 자동 배포·확장·관리를 위한 기술 (Kubernetes, Docker Swarm 등)
Kubernetes Pod여러 컨테이너를 하나의 단위로 묶은 스케줄링 대상
Node (노드)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워커 머신
Namespace (네임스페이스)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단위, Kubernetes 격리 도메인
Operator쿠버네티스 API 를 확장하여 사용자 정의 리소스에 대한 운영 자동화
HPA (Horizontal Pod Autoscaler)부하 기반 자동 수평 확장 기능
네트워킹CNI (Container Network Interface)컨테이너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플러그인 표준
Ingress외부에서 클러스터 내부 서비스로의 HTTP/HTTPS 트래픽을 제어하는 리소스
Service Mesh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을 제어하고 보안·관측을 제공하는 인프라 계층 (예: Istio, Linkerd)
Network Policy네트워크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는 Kubernetes 규칙
시스템 격리 및 자원관리Linux Namespace프로세스, 네트워크, 파일시스템 등 컨테이너 격리를 위한 커널 기능
cgroupCPU, 메모리, I/O 등 리소스를 제한·추적하는 리눅스 커널 기능
보안RBAC (Role-Based Access Control)역할 기반 리소스 접근 제어 시스템
SBOM (Software Bill of Materials)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명세, 공급망 보안 관리에 필수
SLSA아티팩트 공급망 보안 기준 레벨 정의 프레임워크 (Google 주도)
Cosign컨테이너 이미지에 대한 서명 및 검증을 위한 보안 도구
런타임 격리gVisor구글이 개발한 사용자 공간 컨테이너 격리 런타임
개발 운영GitOpsGit 저장소 기반의 선언적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운영 방식
카나리 배포 (Canary Deployment)새 버전을 일부 사용자에게 점진적으로 배포하는 전략
모니터링 및 관찰성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도구군
분산 추적 (Distributed Tracing)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요청 흐름 추적 및 병목 식별에 사용

참고 및 출처

컨테이너 설계 원칙 및 아키텍처 가이드

기술 표준 및 생태계 자료

아키텍처 및 시스템 디자인 이해 자료

리눅스 커널 기반 기술 (컨테이너 격리의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