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erver

Web Server 웹 서버는 인터넷, 인트라넷 등 각종 네트워크 환경에서 HTTP, HTTPS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정적 파일 (HTML, CSS, JS, 이미지 등) 및 동적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연동, API 등) 를 응답하는 서버 소프트웨어다. Apache HTTP Server, Nginx, Microsoft IIS(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대규모 서비스, 기업 시스템, 클라우드 등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보안, 고가용성, 확장성, 성능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확장 모듈과 복합 구조로 구성된다. ...

October 21, 2024 · 43 min · Me

Domain Name System

Domain Name System DNS(Domain Name System) 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와 같은 역할을 한다. 사람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 (예: <www.example.com>) 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 (예: 192.0.2.1) 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이 변환 과정은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웹사이트나 API 에 접근할 때 필수적인 단계이다. DNS 의 작동 방식 DNS 변환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는 분산 시스템이다. 이 과정을 “DNS 조회 " 또는 “DNS 해석 " 이라고 부른다. DNS 조회 과정 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 이름 (api.example.com) 을 입력한다. 로컬 DNS 캐시 확인: 브라우저와 운영체제는 먼저 자체 캐시를 확인하여 최근에 방문한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는다. 리커시브 DNS 서버 질의: 캐시에서 찾지 못하면, 요청은 일반적으로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가 제공하는 리커시브 DNS 서버로 전달된다. 루트 DNS 서버 질의: 리커시브 서버는 전 세계에 분산된 루트 DNS 서버에 질의한다. 루트 서버는 최상위 도메인 (TLD) 서버의 위치를 알려준다. TLD DNS 서버 질의: 리커시브 서버는 TLD 서버 (예:.com,.org,.net) 에 질의하여 해당 도메인의 권한 있는 네임서버의 위치를 알아낸다. 권한 있는 네임서버 질의: 리커시브 서버는 권한 있는 네임서버에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요청한다. 응답 반환: IP 주소는 리커시브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로 반환된다. 이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 캐시된다. 연결 설정: 브라우저는 이제 해당 IP 주소를 사용하여 웹 서버 또는 API 서버에 연결한다.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는 인터넷 및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명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분산형 네임 서비스로, 브라우저 등 응용 프로그램이 사람 친화적인 도메인 명을 네트워크 자원 (서버) 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계층적 구조로 설계되어 전 세계에 분산된 수많은 DNS 서버가 협력해 트래픽 분산, 보안, 확장성을 실현하며, 인터넷 서비스의 접근성과 신뢰성, 확장성을 높이는 필수적인 시스템 컴포넌트이다. ...

April 1, 2025 · 33 min · Me

Content Delivery Networks

Content Delivery Networks Content Delivery Network(CDN) 은 이미지, 동영상, JS/CSS 파일, API 응답 등의 정적/동적 콘텐츠를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서버를 분산 배치한 네트워크이다. CDN 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가장 가까운 엣지 서버 (Edge Server) 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원본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Push/Pull 방식, 캐싱 정책, TLS 종료, 보안 제어, DDoS 대응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성능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으며, 글로벌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인 인프라이다. ...

February 17, 2025 · 41 min · Me

프록시(Proxy)

프록시 (Proxy) 프록시 (Proxy) 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중계자로 동작하면서 통신 요청을 대신 처리하는 네트워크 컴포넌트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내부적으로 서버에 재요청하거나, 서버의 응답을 가로채 가공 후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IP 마스킹, 접근제어, 웹 캐싱, 트래픽 분석 등 다양한 부가가치 기능이 가능하며, 기업환경/개인/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유익한 네트워크 인프라의 핵심 요소로 자리한다. 프록시는 네트워크의 투명성 (Transparency) 또는 비투명성, 규칙 기반 접근 관리 등 다채로운 활용법을 지원한다. 핵심 개념 **프록시 (Proxy)**는 네트워크의 중간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프록시는 요청 (Request) 및 **응답 (Response)**을 자체적으로 가공, 분석, 전달, 필터링, 캐싱,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최적화 (캐싱), 보안 강화 (차단, 인증), 로깅 및 모니터링, 익명성 보장, 접근제어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된다. 투명 (Transparent) 프록시는 요청이 중계되는 사실이 클라이언트나 서버에 숨겨져 있고, 비투명 (Non-transparent) 프록시는 명시적으로 중계가 이루어진다. 실무 구현을 위한 연관성 아키텍처 측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API 게이트웨이 (API Gateway) 역할을 수행하며, 서비스 간 통신을 중재한다. 보안 측면: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WAF, Web Application Firewall) 과 연동하여 멀티 레이어 보안을 구현한다. 성능 측면: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과 연계하여 글로벌 콘텐츠 배포와 캐싱을 최적화한다. 운영 측면: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동하여 실시간 트래픽 분석과 성능 메트릭을 수집한다.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프록시 개념은 1990 년대 초 인터넷의 상용화와 함께 등장했다. 초기에는 네트워크 대역폭 절약과 캐싱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웹 트래픽 증가와 보안 요구사항 강화로 인해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었다. 2000 년대 이후 클라우드 컴퓨팅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산으로 로드 밸런싱과 서비스 메시 (Service Mesh) 구성 요소로 발전했다. ...

October 19, 2024 · 39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