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ce-Based Architecture

Space-Based Architecture(스페이스 기반 아키텍처) 는 대량의 동시 트랜잭션과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환경에서 병목 현상 없이 확장성과 장애 격리를 실현하기 위해 고안된 분산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시스템을 여러 공간 (Space) 으로 분할하고, 각 공간은 자체적으로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관리하며, 중앙 데이터베이스 의존도를 줄여 확장성과 가용성을 극대화한다.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 금융 시스템, 대규모 전자상거래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

Space-based Architecture
https://en.wikipedia.org/wiki/Space-based_architecture#/media/File:Space_based_architecture.GIF

배경

Space‑Based Architecture 는 1997–98 년 마이크로소프트 내부의 Youkon Distributed Caching 플랫폼에서 최초 개발되어 MSN Live Search 등 대용량 서비스에서 사용된 고성능 분산 패턴으로, 이후 금융 및 대규모 웹 서비스에 채택되었다.
전통적 Tier 기반 아키텍처에서 DB 계층이 증가하는 로드와 확장성 한계의 병목이 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 (IMDG) 와 스케일링 가능한 처리 단위 (PU) 를 이용한 분산 구조가 등장했다.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1. 선형적 확장성 달성: 노드 추가에 비례한 성능 향상
  2. 초저지연 데이터 액세스: 마이크로초 단위의 응답시간 제공
  3. 고가용성 보장: 장애 상황에서도 서비스 연속성 유지
  4. 복잡성 최소화: 확장 시 아키텍처 복잡성 증가 방지

필요성

핵심 개념

기본 개념

Tuple Space (튜플 스페이스)

Processing Unit (처리 단위)

In-Memory Data Grid (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

실무 구현 연관성

확장성 (Scalability) 측면

성능 (Performance) 측면

안정성 (Reliability) 측면

주요 기능 및 역할

데이터 관리 기능

처리 기능

관리 기능

특징

아키텍처 특징

성능 특징

핵심 원칙

  1. 분산 처리: 데이터와 처리 로직을 여러 노드에 분산
  2. 메모리 우선: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
  3. 비동기 통신: 컴포넌트 간 비동기 메시징 활용
  4. 자율성: 각 Processing Unit 의 독립적 동작
  5. 탄력성: 동적 확장 및 장애 복구 능력

주요 원리

튜플 스페이스 원리

1
2
Space = {(key, value, metadata) | 모든 튜플}
Operations = {out, in, rd, eval}

데이터 분산 원리

처리 원리

작동 원리 및 방식

graph TD
    A[Client Request] --> B[Message Grid]
    B --> C[Processing Grid]
    C --> D[Processing Unit 1]
    C --> E[Processing Unit 2]
    C --> F[Processing Unit N]
    D --> G[In-Memory Data Grid 1]
    E --> H[In-Memory Data Grid 2]
    F --> I[In-Memory Data Grid N]
    G --> J[Data Grid]
    H --> J
    I --> J
    J --> K[Deployment Manager]
    K --> L[Virtualized Middleware]
    
    style A fill:#e1f5fe
    style B fill:#f3e5f5
    style C fill:#e8f5e8
    style D fill:#fff3e0
    style E fill:#fff3e0
    style F fill:#fff3e0
    style G fill:#fce4ec
    style H fill:#fce4ec
    style I fill:#fce4ec
    style J fill:#e0f2f1
    style K fill:#f1f8e9
    style L fill:#fafafa

작동 단계:

  1. 클라이언트 요청이 메시지 그리드에 도달
  2. 처리 그리드가 적절한 Processing Unit 선택
  3. 선택된 Processing Unit 에서 비즈니스 로직 실행
  4. 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에서 데이터 액세스
  5.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

구조 및 아키텍처

전체 아키텍처 구조

graph TB
    subgraph "Virtualized Middleware"
        MG[Message Grid]
        PG[Processing Grid]
        DG[Data Grid]
        DM[Deployment Manager]
    end
    
    subgraph "Processing Units"
        PU1[Processing Unit 1]
        PU2[Processing Unit 2]
        PU3[Processing Unit N]
    end
    
    subgraph "Each Processing Unit"
        APP[Application Modules]
        IMDG[In-Memory Data Grid]
        APS[Async Persistent Store]
        DRE[Data Replication Engine]
    end
    
    MG --> PU1
    MG --> PU2
    MG --> PU3
    PG --> PU1
    PG --> PU2
    PG --> PU3
    DG --> PU1
    DG --> PU2
    DG --> PU3
    DM --> PU1
    DM --> PU2
    DM --> PU3
    
    PU1 --> APP
    PU1 --> IMDG
    PU1 --> APS
    PU1 --> DRE
    
    style MG fill:#e3f2fd
    style PG fill:#e8f5e8
    style DG fill:#fce4ec
    style DM fill:#fff3e0
    style PU1 fill:#f3e5f5
    style PU2 fill:#f3e5f5
    style PU3 fill:#f3e5f5
    style APP fill:#e1f5fe
    style IMDG fill:#e0f2f1
    style APS fill:#fff8e1
    style DRE fill:#fafafa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필수Processing Unit독립적 실행 단위애플리케이션 로직과 데이터 호스팅자율적, 확장 가능
In-Memory Data Grid메모리 내 데이터 저장초저지연 데이터 액세스 제공분산, 복제 지원
Message Grid요청 라우팅클라이언트 요청을 적절한 PU 로 전달로드 밸런싱
Data Grid데이터 관리분산 데이터 동기화 및 복제일관성 보장
Processing Grid처리 조정분산 처리 및 맵리듀스 조정병렬 처리 지원
선택Async Persistent Store비동기 영속화장애 복구를 위한 데이터 백업선택적 영속성
Data Replication Engine데이터 복제PU 간 데이터 동기화고가용성 향상
Deployment Manager배포 관리동적 PU 배포 및 관리운영 효율성
Monitoring System모니터링시스템 상태 및 성능 모니터링운영 가시성

Cell vs. Processing Unit 비교

항목Cell (Cell-based Architecture)Processing Unit (Space-based Architecture)
정의독립적인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을 포함한 자율 실행 단위메모리 - 기반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위 컴포넌트
구성 요소API 서버, DB, 캐시, 큐, 메시지 브로커 등 전체 서비스 스택 포함PU + In-Memory Data Grid (IMDG) + Messaging + SLA 관리
설계 목적장애 격리와 스케일아웃을 위한 단위화 (셀 간 고립)대규모 동시성 처리와 성능 최적화, 메모리 기반 처리
라우팅 방식요청 Partition Key 기반 라우팅 (예: UserID → 특정 Cell 로)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 (Data Affinity, Collocation 기반 라우팅)
상태 저장일반적으로 상태 저장 서비스 포함 (DB, Redis 등)상태 비저장 또는 IMDG 내 상태 유지
스케일 아웃 방식Cell 단위로 수평 확장 가능 (Cell A, Cell B 등 독립 복제)PU 수 증가로 자동 수평 확장, 클러스터 내 동적 할당
고가용성 및 장애 격리한 Cell 장애 시 다른 Cell 에 영향 없음 (Cell Router 가 fallback 가능)PU 장애 시 다른 PU 가 작업을 takeover 함 (Eventual Recovery)
장애 복구 전략Control Plane 이 감지 후 다른 Cell 로 트래픽 라우팅하거나 Cell 재생성SLA 위반 시 자동으로 PU 를 재시작하거나 백업 PU 활성화
데이터 접근 방식각 Cell 내부 DB 또는 스토리지를 통해 접근중앙 저장소 없이 In-Memory Grid 에서 직접 데이터 조회
사용 시나리오다중 리전 기반 SaaS, 멀티테넌시, 사용자 격리 목적 서비스초고속 트랜잭션 처리, 실시간 이벤트 분석, 트레이딩 시스템, IoT 처리 등
주요 기술 예시AWS Cell-based Design, Netflix Cell ArchitectureGigaSpaces XAP, Hazelcast Jet, Apache Ignite, Oracle Coherence

구현 기법

카테고리기법정의 및 목적주요 구성 요소대표 기술/예시
데이터 저장 및 공유튜플 스페이스 (Tuple Space)분산 공유 메모리 모델 기반 비동기적 데이터 공유 및 통신 제공튜플 저장소, 패턴 매칭 엔진, 동기화 락JavaSpaces, Linda, 직접 구현 예시 (Python)
데이터 분산데이터 파티셔닝 (Data Partitioning)해시 또는 범위 기반으로 데이터를 다수 노드에 분산 저장하여 확장성과 부하 분산 제공해시 함수, 파티션 맵, 분할 알고리즘Consistent Hashing, Range Partitioning
이벤트 처리이벤트 기반 처리 (Event-Driven Processing)이벤트 발생 시 비동기 로직 실행으로 컴포넌트 간 느슨한 결합 유지이벤트 큐, 발행자/구독자, 이벤트 핸들러Queue, Pub/Sub, Python 기반 이벤트 핸들러
데이터 복제 및 가용성분산 캐싱 / 미러링여러 노드에 캐시 및 복제 저장소 구성으로 데이터 접근 지연 최소화 및 장애 복구 대비캐시 노드, 캐시 관리자, 복제 컨트롤러, 일관성 전략Hazelcast, Apache Ignite, 복제 기반 캐시 시스템
실행 단위 관리Processing Unit 설계독립적인 비즈니스 로직 및 메모리 공간으로 구성된 단위 실행 체계PU (로직 + 메모리), 복제 엔진, 라우터GigaSpaces, SATS, 커스텀 PU 컨테이너
미들웨어 구성가상 미들웨어 (Virtual Middleware)메시지 라우팅, 데이터 분산, 이벤트 오케스트레이션 기능 제공메시지 큐, 처리 그리드, 라우터, 오케스트레이터Jini, GigaSpaces Message Grid
확장성 관리오토스케일링 및 SLA 기반 제어부하에 따라 PU 를 자동으로 배치하거나 제거하며 SLA 충족 유지SLA 모니터링, Deployment Manager, 자원 스케줄러Kubernetes, GigaSpaces SLA Manager

튜플 스페이스 구현

정의: 분산 공유 메모리를 통한 데이터 저장 및 액세스 메커니즘

구성:

목적: 프로세스 간 비동기적, 익명적 통신 제공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JavaSpaces 기반 튜플 스페이스 구현 예시
class TupleSpace:
    def __init__(self):
        self.tuples = []
        self.lock = threading.Lock()
    
    def out(self, tuple_data):
        """튜플을 스페이스에 추가"""
        with self.lock:
            self.tuples.append(tuple_data)
    
    def in_tuple(self, template):
        """패턴에 맞는 튜플을 제거하며 반환"""
        with self.lock:
            for i, tuple_data in enumerate(self.tuples):
                if self.match(tuple_data, template):
                    return self.tuples.pop(i)
        return None
    
    def rd(self, template):
        """패턴에 맞는 튜플을 복사하여 반환"""
        with self.lock:
            for tuple_data in self.tuples:
                if self.match(tuple_data, template):
                    return tuple_data
        return None

데이터 파티셔닝 구현

정의: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기법

구성:

목적: 부하 분산 및 확장성 향상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lass DataPartitioner:
    def __init__(self, num_partitions):
        self.num_partitions = num_partitions
        self.partitions = [[] for _ in range(num_partitions)]
    
    def partition_key(self, key):
        """키를 기반으로 파티션 결정"""
        return hash(key) % self.num_partitions
    
    def put(self, key, value):
        """데이터를 적절한 파티션에 저장"""
        partition_id = self.partition_key(key)
        self.partitions[partition_id].append((key, value))
    
    def get(self, key):
        """키를 기반으로 데이터 조회"""
        partition_id = self.partition_key(key)
        for k, v in self.partitions[partition_id]:
            if k == key:
                return v
        return None

이벤트 기반 처리 구현

정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비동기 처리 메커니즘

구성:

목적: 컴포넌트 간 느슨한 결합 및 비동기 처리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class EventDrivenProcessor:
    def __init__(self):
        self.event_handlers = {}
        self.event_queue = queue.Queue()
    
    def register_handler(self, event_type, handler):
        """이벤트 핸들러 등록"""
        if event_type not in self.event_handlers:
            self.event_handlers[event_type] = []
        self.event_handlers[event_type].append(handler)
    
    def publish_event(self, event_type, data):
        """이벤트 발행"""
        self.event_queue.put((event_type, data))
    
    def process_events(self):
        """이벤트 처리"""
        while not self.event_queue.empty():
            event_type, data = self.event_queue.get()
            if event_type in self.event_handlers:
                for handler in self.event_handlers[event_type]:
                    handler(data)

분산 캐싱 구현

정의: 여러 노드에 걸쳐 데이터를 캐싱하는 기법

구성:

목적: 데이터 액세스 성능 향상 및 확장성 제공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class DistributedCache:
    def __init__(self, nodes):
        self.nodes = nodes
        self.ring = ConsistentHash(nodes)
    
    def put(self, key, value):
        """데이터를 분산 캐시에 저장"""
        node = self.ring.get_node(key)
        node.put(key, value)
        # 복제를 위해 추가 노드에도 저장
        replica_node = self.ring.get_replica_node(key)
        replica_node.put(key, value)
    
    def get(self, key):
        """분산 캐시에서 데이터 조회"""
        node = self.ring.get_node(key)
        value = node.get(key)
        if value is None:
            # 복제 노드에서 조회 시도
            replica_node = self.ring.get_replica_node(key)
            value = replica_node.get(key)
        return value

장점

카테고리항목설명
성능 (Performance)초저지연 처리 (Low Latency)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디스크 I/O 를 제거하여 마이크로초 단위의 응답시간을 보장함
고성능 트랜잭션 처리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 구조와 네트워크 최소화 설계로 고속 처리 가능
데이터 지역성 최적화데이터와 연산이 같은 PU 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함
확장성 (Scalability)선형 확장성 (Linear Scalability)PU 를 수평으로 추가함으로써 처리 성능이 선형적으로 증가함
탄력적 확장 (Elastic Scaling)부하 증가 시 PU 를 동적으로 추가하고, 부하 감소 시 제거 가능
단순한 확장 구조중앙 집중형 DB 를 제거함으로써 아키텍처 복잡성 없이 수평 확장이 용이함
가용성 & 복원력 (Availability & Resilience)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데이터 복제 및 페일오버 메커니즘으로 단일 장애 지점 제거
장애 격리 (Fault Isolation)각 PU 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함
아키텍처 유연성 (Modularity & Flexibility)자율성 및 격리성 (Autonomy & Isolation)각 PU 는 독립적으로 개발·테스트·배포 가능하여 CI/CD 및 마이크로서비스 스타일에 적합함
유연한 비즈니스 대응로직과 데이터를 느슨하게 결합하여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 가능
이벤트 기반 처리 (Event-Driven Architecture)비동기 이벤트 기반 처리튜플 스페이스 기반의 메시지 패싱 구조로 느슨한 결합과 비동기 처리가 가능함
장애 회복 (Resilience)자동 복구 및 페일오버 지원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다른 PU 로 트래픽 분산 또는 재시작 가능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항목설명해결 방안 전략
메모리 비용 부담모든 데이터를 인메모리에 유지하므로 하드웨어 요구량이 높고 비용 증가티어링 저장소 도입, 핫 데이터 위주 캐싱, Hybrid 구조 도입
데이터 일관성 확보 어려움분산된 공간 간 동기화 지연 및 충돌 가능성 존재Eventual Consistency 전략, CQRS, 이벤트 소싱
구현 및 운영 복잡성PU, 미러링, 라우팅 등 설계 복잡도와 유지 보수 난이도 상승GigaSpaces, Hazelcast 등 검증된 플랫폼 활용, 설정 자동화
리소스 중복공간 간 독립성이 강해 동일 데이터나 기능을 중복 배치하게 됨공통 컴포넌트 리팩토링, 공유 인프라 구성, 멀티테넌시 최적화
분석 연산의 어려움데이터가 분산되어 있어 전체 집계나 분석에 비효율 발생MapReduce, 분산 쿼리 엔진 (Presto, Spark SQL 등) 활용
네트워크 의존성PU 간 통신이 잦아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성능 급락 가능로컬 캐싱, 중복 경로 구성, 네트워크 장애 탐지 및 회복 전략 도입

문제점

항목원인/상황영향탐지/진단 방법예방/대응 전략
메모리 누수GC 최적화 부족, 튜플 잔존시스템 성능 저하, Crash 위험Heap Dump, 프로파일링 도구정기적인 GC 튜닝, GC 알고리즘 선택 (G1GC 등)
데이터 불일치복제/동기화 지연, 네트워크 파티션무결성 저하, 처리 오류 유발벡터 클록, 일관성 체크도구Conflict Resolver, 동기화 주기 최적화
핫스팟 발생특정 키 또는 노드에 트래픽 집중성능 저하, 특정 PU 과부하트래픽 분석, 노드 로드 모니터링Consistent Hashing, 가상 노드 (Virtual Nodes)
스플릿 브레인 현상네트워크 분리 시 다중 마스터 발생데이터 충돌, 시스템 안정성 저하Quorum 모니터링Paxos, Raft, 리더 선출 알고리즘 적용
캐시 미스 급증예기치 못한 부하 상승, TTL 만료 등응답 시간 증가, 사용자 체감 속도 저하Cache Hit Ratio 분석예측 기반 캐싱, 캐시 워밍업, 적응형 캐싱 (Adaptive Caching)
장애 감지 지연모니터링 부족, 헬스체크 실패 무시복구 지연, 서비스 중단 시간 증가실시간 헬스체크, 트레이싱자동화된 장애 감지 및 Failover 시스템
디버깅 난이도분산 환경에서 동시성 문제 발생테스트 및 문제 추적 어려움분산 트레이싱 도구 (Zipkin, Jaeger)트랜잭션 로그, 추적 ID 기반 전파
데이터 손실 위험IMDG 의 비영속 특성, 장애 발생 시 복구 어려움영구 데이터 소실, 비즈니스 로직 장애Write-Ahead Logging, Snapshot 관리지속적 체크포인트, 디스크 기반 백업 + WAL 적용

도전 과제

카테고리과제원인 / 영향해결 방향 (분석 기반 보완)
확장성 & 네트워크네트워크 오버헤드노드 증가 시 데이터 분산으로 인한 트래픽 폭증→ 성능 저하 발생 가능데이터 로컬리티 보장, 엣지 컴퓨팅 도입, 네트워크 토폴로지 최적화
PU 오토스케일링 정책의 정밀성 부족SLA 기반 PU 스케일링이 비효율적일 경우 비용 과잉 또는 자원 부족 초래예측 기반 오토스케일링 알고리즘, SLA-Event 동기화 정책
데이터 일관성실시간 데이터 복제 지연분산된 PU 간 복제 타이밍 불일치→ 데이터 불일치 발생 가능최종 일관성 모델 + 이벤트 소싱, Pub/Sub 기반 CQRS
강한 일관성 보장 어려움CAP 정리상 가용성과의 트레이드오프 존재→ 금융/정합성 요구 시스템에서 제약분산 트랜잭션 (2PC 개선), CRDT, 시계 동기화 전략 강화
운영 복잡성분산 노드 운영 및 장애 대응 어려움PU 수 증가에 따른 로그, 트레이스, 상태 추적 복잡도 증가관찰성 도구 통합 (OTel, Grafana), 자동 Healing 및 상태 기반 경고 체계
테스트 및 디버깅 난이도재현 환경 구성의 어려움 및 E2E 테스트 자동화 부재Chaos Engineering 기법, 시뮬레이션 테스트 인프라
비용 및 자원 최적화메모리 자원 낭비복제 구조로 인한 중복 저장 → 메모리 사용률 증가Hybrid Memory-Disk 구조, LRU 기반 캐시 정책
인프라 사용률 불균형PU 간 자원 부하 편중 → 특정 노드 과부하 또는 유휴 노드 발생자원 사용률 기반 로드 밸런싱, Auto-Rebalancing
보안 및 격리성접근 제어 및 데이터 격리 미흡인메모리 기반 공유 구조에서 인증·인가 정책 미비 시 보안 위협 발생 가능PU 별 접근 제어 정책, TLS 통신 암호화, 인증 토큰 활용
운영 도구 부족SBA 특화된 관찰성 도구 미비Zipkin, Jaeger 등 외부 도구 의존도 높음→ 분산 환경 통합 가시성 부족SBA 전용 대시보드/분산 로그 수집 플랫폼 개발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설명특징/선택 기준
데이터 저장 및 분산Partitioned Space데이터를 키/범위 기반으로 분할하여 PU 에 수평 분산 저장확장성 중심, 부하 분산 우수
Replicated Space모든 PU 에 동일한 데이터를 복제 저장고가용성 중심, 읽기 부하 분산, 쓰기 비용 증가 가능
파티셔닝 전략해시 기반 분할키 해시값 기반으로 데이터 위치 결정균등 분산에 유리, 범위 쿼리 어려움
범위 기반 분할특정 범위 (날짜, ID 등) 에 따라 파티션 분할범위 쿼리에 적합, 불균형 가능성 있음
수직 분할 (기능별)데이터 속성을 기능 도메인별로 분리도메인 중심 최적화, 서비스 독립성 확보
데이터 일관성 모델Strong Consistency모든 노드가 동일한 데이터를 즉시 유지정합성 중요 시스템 적합, 쓰기 성능 저하 가능
Eventual Consistency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관된 상태에 도달높은 처리량, 임시 불일치 허용, 분산 환경 최적화
복제 방식Single Mirror한 개의 백업 노드 (PU) 에만 데이터 복제단순 구조, 리스크 존재
Multi Mirror여러 PU 에 다중 복제 저장고가용성 보장, 리소스 비용 증가 가능
장애 복구 전략Active-PassivePrimary PU + Backup PU 구성, 장애 시 페일오버 수행안정적 복구 구조, 자원 비효율 가능
Active-Active모든 PU 가 동시에 동작하며 Failover 없음성능 균형, 충돌 해결 로직 필요
처리 모델Synchronous요청/응답 기반의 동기 통신일관성 및 직관적인 흐름 보장, 지연 발생
Asynchronous (Event-driven)이벤트 기반 메시지 처리, 비동기 응답높은 처리량, 복잡한 상태/에러 관리 필요
노드 확장 방식Static Cluster수동으로 노드 및 PU 구성제어 용이, 운영 비용 증가 가능
Dynamic ClusterSLA 기준으로 PU 자동 확장/축소자원 최적화, 운영 자동화 가능
배포 모델On-Premise자체 데이터 센터에 배포높은 제어권, 고비용
Cloud-Native클라우드 환경에 완전 배포탄력적 확장, 플랫폼 종속성 가능
Hybrid Deployment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혼합 배포유연성 확보, 네트워크/운영 복잡성 증가

실무 사용 예시

분야사용 목적기술/환경달성 효과
금융 거래 시스템고속 트랜잭션 처리, 무중단 운영GigaSpaces XAP, Event Sourcing, IMDG (In-Memory Data Grid)마이크로초 단위 응답, 고가용성, 장애 격리
전자상거래대규모 주문 및 결제 처리Spring PU Framework, Apache Ignite, CQRS, Event Queue병목 없는 트랜잭션 흐름, 실시간 재고/결제 처리
실시간 추천 시스템사용자 행동 기반 실시간 개인화 추천Machine Learning 모델, PU 기반 인메모리 분석추천 속도 향상, 사용자 이탈률 감소
IoT/센서 처리실시간 센서 이벤트 수집 및 분석Hazelcast, Apache Ignite, Stream Processing + PU병렬 처리 및 지연 최소화, 수평 확장 용이
소셜 플랫폼수백만 세션 관리, 대규모 사용자 활동 처리PU 기반 세션 클러스터링, WebSocket, Redis세션 안정성 확보, 수평 확장에 유리, 빠른 실시간 반응성
게임 서버 백엔드상태 동기화 및 초저지연 인터랙션 관리Redis Cluster + Lua, GigaSpaces 기반 실시간 메모리 처리게임 상태 공유 최적화, 부하 분산, 지연 최소화
사기 탐지/보안실시간 거래 이상 징후 탐지Rule Engine + PU, ML Model, Streaming Engine실시간 탐지 및 차단, 위협 최소화
캐시 중심 웹 서비스DB 의존도 감소 및 빠른 응답 제공Apache Ignite + Space 기반 캐시 처리 구조DB 부하 완화, 페이지 렌더링 속도 향상

활용 사례

사례 1: 전자상거래 대규모 주문 처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여러 공간 (Space) 에 주문 데이터 파티셔닝, 각 공간에 프로세싱 유닛 배치

graph TD
    User(사용자) --> LB(로드 밸런서)
    LB --> PU1(프로세싱 유닛 1)
    LB --> PU2(프로세싱 유닛 2)
    PU1 --> Space1(공간 1)
    PU2 --> Space2(공간 2)
    Space1 -- 미러링 --> Space2

워크플로우: 주문 요청 → 로드 밸런서 → 적절한 공간 → 프로세싱 유닛에서 처리 → 데이터 미러링

역할: 장애 발생 시 해당 공간만 격리, 전체 서비스는 정상 운영

차이점: 미적용 시 주문 폭주로 중앙 DB 병목, 적용 시 공간별로 병렬 처리 및 장애 격리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주문 ID 기반으로 공간(Space)을 결정하는 예시
class SpaceRouter:
    def __init__(self, space_count):
        self.space_count = space_count

    def route(self, order_id):
        # order_id를 해시하여 공간 번호 결정
        return order_id % self.space_count

# 사용 예시
space_router = SpaceRouter(space_count=2)
order_id = 20230711
space_number = space_router.route(order_id)
print(f"주문 {order_id}는 공간 {space_number}로 라우팅됩니다.")

사례 2: 금융 실시간 결제 시스템

시스템 구성

flowchart TD
  Client --> Router
  Router --> PU1["PU1 (Primary)"]
  Router --> PU2["PU2 (Primary)"]
  PU1 --> SpaceP1[(Tuple Space Partition)]
  PU2 --> SpaceP2[(Tuple Space Partition)]
  PU1 <--> Backup1[PU1 Backup]
  PU2 <--> Backup2[PU2 Backup]

Workflow:

  1. 고객 결제 요청 → Router → 특정 PU
  2. PU 에서 Tuple 로 insert → Backup 으로 복제
  3. Polling Container 가 튜플 꺼내며 비즈니스 로직 처리
  4. 결제 결과 튜플 등록 및 응답
  5. PU 장애 시 Backup 이 자동 사용

SBA 도입 전/후 비교:

항목SBA 적용 전SBA 적용 후
처리속도중앙 DB 병목, 지연 발생메모리 공간 기반 병목 해소, 지연 감소
장애 대처 시간장애 시 서비스 전체 중단PU 단위 장애 격리, 자동 복구
확장성수직 확장 및 복잡한 샤딩노드 증설만으로 간편한 수평 확장

사례 2: 고빈도 거래 (HFT) 시스템 사례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Market Data Sources"
        MDS1[Exchange A]
        MDS2[Exchange B]
        MDS3[News Feed]
    end
    
    subgraph "Space-Based Trading System"
        MG[Message Grid]
        
        subgraph "Processing Units"
            PU1[Equity Trading PU]
            PU2[FX Trading PU]
            PU3[Options Trading PU]
        end
        
        subgraph "Data Grids"
            DG1[Market Data Grid]
            DG2[Position Data Grid]
            DG3[Risk Data Grid]
        end
    end
    
    subgraph "External Systems"
        OMS[Order Management]
        RISK[Risk Management]
        SETTLE[Settlement]
    end
    
    MDS1 --> MG
    MDS2 --> MG
    MDS3 --> MG
    
    MG --> PU1
    MG --> PU2
    MG --> PU3
    
    PU1 --> DG1
    PU1 --> DG2
    PU2 --> DG1
    PU2 --> DG2
    PU3 --> DG1
    PU3 --> DG2
    
    DG3 --> RISK
    PU1 --> OMS
    PU2 --> OMS
    PU3 --> OMS
    
    OMS --> SETTLE
    
    style MG fill:#e3f2fd
    style PU1 fill:#e8f5e8
    style PU2 fill:#e8f5e8
    style PU3 fill:#e8f5e8
    style DG1 fill:#fce4ec
    style DG2 fill:#fce4ec
    style DG3 fill:#fce4ec

Workflow:

  1. 시장 데이터 수신 및 Message Grid 를 통한 라우팅
  2. 해당 상품 담당 Processing Unit 에서 데이터 처리
  3. 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에서 포지션 및 리스크 데이터 조회
  4. 거래 알고리즘 실행 및 주문 결정
  5. 주문 관리 시스템으로 주문 전송
  6. 실시간 포지션 및 리스크 업데이트

Space-Based Architecture 의 역할: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import time
import threading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from queue import Queue
from typing import Dict, List, Optional
import json

class TradingData:
    """거래 데이터 클래스"""
    def __init__(self, symbol: str, price: float, volume: int, timestamp: float):
        self.symbol = symbol
        self.price = price
        self.volume = volume
        self.timestamp = timestamp

class Position:
    """포지션 데이터 클래스"""
    def __init__(self, symbol: str, quantity: int, avg_price: float):
        self.symbol = symbol
        self.quantity = quantity
        self.avg_price = avg_price
        self.pnl = 0.0

class InMemoryDataGrid:
    """Space-Based Architecture의 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
    def __init__(self):
        self.data = {}  # 메모리 내 데이터 저장소
        self.lock = threading.RLock()  # 동시성 제어
        self.event_handlers = defaultdict(list)  # 이벤트 핸들러
    
    def put(self, key: str, value: any) -> None:
        """데이터 저장 및 이벤트 발생"""
        with self.lock:
            old_value = self.data.get(key)
            self.data[key] = value
            # 데이터 변경 이벤트 발생
            self._fire_event('data_changed', key, old_value, value)
    
    def get(self, key: str) -> Optional[any]:
        """데이터 조회"""
        with self.lock:
            return self.data.get(key)
    
    def register_event_handler(self, event_type: str, handler) -> None:
        """이벤트 핸들러 등록"""
        self.event_handlers[event_type].append(handler)
    
    def _fire_event(self, event_type: str, *args) -> None:
        """이벤트 발생"""
        for handler in self.event_handlers[event_type]:
            try:
                handler(*args)
            except Exception as e:
                print(f"Event handler error: {e}")

class TradingProcessingUnit:
    """거래 처리 단위 (Processing Unit)"""
    def __init__(self, symbol: str, data_grid: InMemoryDataGrid):
        self.symbol = symbol
        self.data_grid = data_grid
        self.positions = {}  # 포지션 관리
        self.market_data_queue = Queue()  # 시장 데이터 큐
        self.is_running = False
        self.processing_thread = None
        
        # 시장 데이터 변경 이벤트 핸들러 등록
        self.data_grid.register_event_handler(
            'data_changed', 
            self._on_market_data_changed
        )
    
    def start(self) -> None:
        """처리 단위 시작"""
        if not self.is_running:
            self.is_running = True
            self.processing_thread = threading.Thread(target=self._process_market_data)
            self.processing_thread.start()
            print(f"Trading PU for {self.symbol} started")
    
    def stop(self) -> None:
        """처리 단위 중지"""
        self.is_running = False
        if self.processing_thread:
            self.processing_thread.join()
        print(f"Trading PU for {self.symbol} stopped")
    
    def _on_market_data_changed(self, key: str, old_value: any, new_value: any) -> None:
        """시장 데이터 변경 이벤트 처리"""
        if key.startswith(f"market_data_{self.symbol}"):
            self.market_data_queue.put(new_value)
    
    def _process_market_data(self) -> None:
        """시장 데이터 처리 스레드"""
        while self.is_running:
            try:
                # 시장 데이터 대기 (타임아웃 설정)
                market_data = self.market_data_queue.get(timeout=0.1)
                
                # 거래 알고리즘 실행
                trading_signal = self._generate_trading_signal(market_data)
                
                # 거래 실행
                if trading_signal:
                    self._execute_trade(trading_signal)
                
                # 포지션 업데이트
                self._update_positions()
                
            except Exception as e:
                if self.is_running:  # 정상 종료가 아닌 경우만 에러 출력
                    print(f"Processing error in {self.symbol}: {e}")
    
    def _generate_trading_signal(self, market_data: TradingData) -> Optional[Dict]:
        """거래 신호 생성 (간단한 알고리즘 예시)"""
        # 현재 포지션 조회
        current_position = self.positions.get(self.symbol, Position(self.symbol, 0, 0.0))
        
        # 간단한 평균 회귀 전략
        historical_data = self.data_grid.get(f"historical_{self.symbol}")
        if historical_data and len(historical_data) > 10:
            avg_price = sum(data.price for data in historical_data[-10:]) / 10
            
            # 현재 가격이 평균보다 5% 이상 낮으면 매수
            if market_data.price < avg_price * 0.95 and current_position.quantity < 1000:
                return {
                    'action': 'BUY',
                    'symbol': self.symbol,
                    'quantity': 100,
                    'price': market_data.price
                }
            
            # 현재 가격이 평균보다 5% 이상 높으면 매도
            elif market_data.price > avg_price * 1.05 and current_position.quantity > 0:
                return {
                    'action': 'SELL',
                    'symbol': self.symbol,
                    'quantity': min(100, current_position.quantity),
                    'price': market_data.price
                }
        
        return None
    
    def _execute_trade(self, signal: Dict) -> None:
        """거래 실행"""
        print(f"Executing trade: {signal}")
        
        # 포지션 업데이트
        position = self.positions.get(signal['symbol'], Position(signal['symbol'], 0, 0.0))
        
        if signal['action'] == 'BUY':
            new_quantity = position.quantity + signal['quantity']
            new_avg_price = ((position.avg_price * position.quantity) + 
                           (signal['price'] * signal['quantity'])) / new_quantity
            position.quantity = new_quantity
            position.avg_price = new_avg_price
        
        elif signal['action'] == 'SELL':
            position.quantity -= signal['quantity']
            if position.quantity < 0:
                position.quantity = 0
        
        self.positions[signal['symbol']] = position
        
        # 데이터 그리드에 포지션 업데이트
        self.data_grid.put(f"position_{self.symbol}", position)
    
    def _update_positions(self) -> None:
        """포지션 업데이트"""
        for symbol, position in self.positions.items():
            current_price = self.data_grid.get(f"market_data_{symbol}")
            if current_price:
                position.pnl = (current_price.price - position.avg_price) * position.quantity
                self.data_grid.put(f"position_{symbol}", position)

class MessageGrid:
    """메시지 그리드 - 요청 라우팅 담당"""
    def __init__(self):
        self.processing_units = {}  # 심볼별 처리 단위 매핑
        self.data_grid = InMemoryDataGrid()
    
    def register_processing_unit(self, symbol: str, processing_unit: TradingProcessingUnit) -> None:
        """처리 단위 등록"""
        self.processing_units[symbol] = processing_unit
    
    def route_market_data(self, market_data: TradingData) -> None:
        """시장 데이터 라우팅"""
        # 데이터 그리드에 시장 데이터 저장
        self.data_grid.put(f"market_data_{market_data.symbol}", market_data)
        
        # 이력 데이터 업데이트
        historical_key = f"historical_{market_data.symbol}"
        historical_data = self.data_grid.get(historical_key) or []
        historical_data.append(market_data)
        
        # 최근 100개 데이터만 유지
        if len(historical_data) > 100:
            historical_data = historical_data[-100:]
        
        self.data_grid.put(historical_key, historical_data)

class SpaceBasedTradingSystem:
    """Space-Based Architecture 기반 거래 시스템"""
    def __init__(self):
        self.message_grid = MessageGrid()
        self.processing_units = {}
        self.is_running = False
    
    def add_trading_symbol(self, symbol: str) -> None:
        """거래 심볼 추가"""
        pu = TradingProcessingUnit(symbol, self.message_grid.data_grid)
        self.processing_units[symbol] = pu
        self.message_grid.register_processing_unit(symbol, pu)
    
    def start(self) -> None:
        """시스템 시작"""
        self.is_running = True
        for pu in self.processing_units.values():
            pu.start()
        print("Space-Based Trading System started")
    
    def stop(self) -> None:
        """시스템 중지"""
        self.is_running = False
        for pu in self.processing_units.values():
            pu.stop()
        print("Space-Based Trading System stopped")
    
    def feed_market_data(self, symbol: str, price: float, volume: int) -> None:
        """시장 데이터 피드"""
        if self.is_running:
            market_data = TradingData(symbol, price, volume, time.time())
            self.message_grid.route_market_data(market_data)
    
    def get_positions(self) -> Dict[str, Position]:
        """모든 포지션 조회"""
        positions = {}
        for symbol in self.processing_units.keys():
            position = self.message_grid.data_grid.get(f"position_{symbol}")
            if position:
                positions[symbol] = position
        return positions

# 사용 예시
if __name__ == "__main__":
    # Space-Based Trading System 초기화
    trading_system = SpaceBasedTradingSystem()
    
    # 거래 심볼 추가
    trading_system.add_trading_symbol("AAPL")
    trading_system.add_trading_symbol("GOOGL")
    trading_system.add_trading_symbol("MSFT")
    
    # 시스템 시작
    trading_system.start()
    
    # 시장 데이터 시뮬레이션
    import random
    
    try:
        symbols = ["AAPL", "GOOGL", "MSFT"]
        base_prices = {"AAPL": 150.0, "GOOGL": 2500.0, "MSFT": 300.0}
        
        for i in range(1000):
            symbol = random.choice(symbols)
            price_change = random.uniform(-0.05, 0.05)  # ±5% 변동
            new_price = base_prices[symbol] * (1 + price_change)
            volume = random.randint(100, 1000)
            
            trading_system.feed_market_data(symbol, new_price, volume)
            base_prices[symbol] = new_price
            
            # 포지션 상태 주기적 출력
            if i % 100 == 0:
                positions = trading_system.get_positions()
                print(f"\n=== Positions at iteration {i} ===")
                for symbol, position in positions.items():
                    print(f"{symbol}: Qty={position.quantity}, "
                          f"Avg=${position.avg_price:f}, PnL=${position.pnl:f}")
            
            time.sleep(0.01)  # 10ms 간격
    
    except KeyboardInterrupt:
        print("\nShutting down…")
    
    finally:
        trading_system.stop()

구현 특징:

  1. Processing Unit 분리: 각 거래 심볼별로 독립적인 처리 단위
  2. 인메모리 데이터 그리드: 모든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초저지연 달성
  3. 이벤트 기반 처리: 시장 데이터 변경 시 자동으로 처리 로직 실행
  4. 메시지 그리드: 데이터 라우팅 및 처리 단위 간 조정
  5. 확장성: 새로운 심볼 추가 시 독립적인 Processing Unit 생성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 항목설명권장 방식 / 최적화 전략
설계 전략PU 구성 전략기능 또는 데이터 파티션 단위로 PU 분리 설계→ 독립성 및 장애 격리 가능도메인 기반 설계, ID 기반 수평 분산
파티셔닝 전략트래픽/데이터 특성 기반 분할 방식 선택→ 핫스팟/불균형 방지일관 해싱, 범위 기반 파티셔닝, 동적 리밸런싱
데이터 모델링객체지향 + 문서 기반 데이터 모델링 병행Domain 중심 스키마 설계, Query 최적화 고려
확장성 & 자동화PU 오토스케일링SLA 기반 자동 확장 정책 수립CPU/Memory/Latency 기반 HPA or KEDA 활용
배포 전략클러스터 기반 롤링 배포 또는 Blue/Green 배포Canary 또는 무중단 롤링 배포 전략 적용
운영 자동화배포, 테스트, 확장 등 반복 작업 자동화CI/CD + IaC(Terraform, ArgoCD 등)
데이터 & 일관성영속성 확보IMDG 기반 데이터 휘발성 이슈 대응WAL, Snapshot, SSD 기반 백업 구조 구성
분산 일관성실시간 동기화 어려움 해결최종 일관성, 이벤트 소싱, CDC, Conflict Resolver 전략 활용
복제 전략싱글/멀티 미러 구성 시 자원 비용 vs 가용성 고려리드 중심 멀티 복제, 쓰기 PU 제한 또는 Write-Master 모델 적용
관찰성 & 운영 관리모니터링 체계PU 및 클러스터 상태 실시간 추적 필요Prometheus + Grafana + Alertmanager 통합
분산 트레이싱비동기 이벤트 흐름 가시화 및 디버깅OpenTelemetry, Zipkin, Jaeger 연동
로그 집계 및 분석장애 추적 및 감사 로그 분석Loki, Fluent Bit, EFK/ELK Stack
성능 최적화네트워크 최적화PU 간 통신 비용 절감, 데이터 지역성 강화gRPC, 이중 NIC 구성, 데이터 - 연산 PU 병렬 배치
메모리 관리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 GC 및 압축 필요LRU 캐시 정책, 데이터 티어링, 압축 엔진 사용
장애 대응 & 복구장애 감지 및 전환PU 장애 시 자동 전환과 상태 복구 필요헬스체크 기반 Failover, Leader Election, Retry/Timeout 구성
백업 및 복구복구 시점 제어 및 데이터 손실 최소화 필요증분 백업, Async Snapshot, 스케줄 기반 WAL 아카이브 적용
보안메모리 & 네트워크 보안PU 간 통신 및 IMDG 접근 보안mTLS, VPN, TLS 적용, In-Memory 암호화 사용
인증 및 권한 관리PU 별 접근 제어 및 중앙화된 인증 체계 필요OAuth2, RBAC, API Key, Token 기반 인증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최적화 요소설명권장사항
메모리 최적화데이터 압축메모리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실시간 압축 처리LZ4, Snappy 등 경량 압축 알고리즘 적용
가비지 컬렉션GC 지연 최소화를 통한 처리 성능 향상G1GC, ZGC, 정기적 튜닝 및 메모리 프로파일링
복제 전략전체 데이터 복제 대신 Hot 영역 중심 복제Hot/Cold Tier 적용, 세분화된 파티셔닝
네트워크 최적화배치 처리빈번한 네트워크 호출을 줄이기 위한 묶음 처리마이크로배치 + 파이프라이닝 구조
프로토콜 최적화직렬화/역직렬화 효율성 향상Protocol Buffers, Avro 사용
로컬 우선 처리PU 간 통신을 최소화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줄임로컬 튜플 우선 처리 로직 적용
네트워크 병목 방지공간 간 네트워크 부하 최소화네트워크 구조 개선, QoS 적용, CDN 연계
처리 최적화병렬 처리멀티코어 활용 극대화 및 지연 최소화워크 스틸링, async/task 기반 비동기 구조
캐시 친화 구조CPU 캐시 활용 극대화를 위한 데이터 구조 최적화캐시 라인 정렬, Prefetching 적용
상태 추적메시지 처리 상태 관리로 장애 감지 및 복구 용이Distributed Tracing (e.g. Jaeger, Zipkin) 도입
저장소 최적화티어링 전략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만 고속 메모리에 저장자동화된 Hot/Cold 분류 및 정책 기반 이동
인덱싱빠른 검색을 위한 인메모리 색인 구조블룸 필터, 계층 인덱스, 인메모리 B+ Tree
확장성 최적화자동 스케일링부하에 따라 PU 수를 동적으로 조절SLA 기반 Auto-scaler, 예측 기반 리소스 관리
로드 밸런싱요청을 고르게 분산시켜 특정 PU 과부하 방지가중치 기반 라우팅, Health Check 기반 우선순위 분산
자원 효율화공간 단위 리소스 낭비 방지공통 인프라 재사용, 리소스 사용률 모니터링
정합성/일관성 최적화데이터 정합성 유지분산 환경에서 일관성 보장CDC 기반 정합성 보정, 버전 태깅, 벡터 클록 적용
Eventually Consistent 접근강한 일관성 대신 지연된 동기화 허용CQRS, Event Sourcing 기반 처리 모델 적용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세부 주제핵심 항목설명 및 중요도
1. 아키텍처 구조장애 격리 구조공간 기반 격리 아키텍처PU 간 독립성 확보로 전체 장애 전파 방지 및 빠른 복구 가능
데이터 파티셔닝해시/범위 기반 분산 전략병목 없이 균등한 부하 분산과 수평적 확장성 확보
오토스케일링 구조SLA 기반 PU 자동 조정실시간 부하 기반 탄력적 확장 및 자원 효율화
복제 전략Master-Slave 또는 Multi-Replica고가용성 및 데이터 신뢰성 확보
2. 성능 최적화메모리 최적화JVM 튜닝 / GC 최적화짧은 응답시간 유지 및 GC Pause 방지
네트워크 처리 최적화직렬화/역직렬화 방식 개선메시지 크기 최소화 및 전송 효율 향상 (예: Protobuf, Avro)
캐싱 계층 활용인메모리 다층 캐싱 전략DB I/O 최소화 및 응답 속도 개선
3. 데이터 일관성일관성 모델최종 일관성 or 강한 일관성 선택CAP 정리에 따라 시스템 요구사항에 맞는 일관성 모델 선택 필요
동기화 기법벡터 클록, 타임스탬프 기반 동기화데이터 충돌 감지 및 순서 보장
충돌 해결CRDT 적용 등 Conflict-Free 구조분산 환경에서도 일관성 있는 데이터 병합 가능
4. 가용성 및 복구장애 복구 메커니즘자동 Failover 및 Health CheckPU 상태 기반 전환으로 무중단 운영 가능
백업 및 영속성 확보Snapshot, Checkpoint, WALIMDG 기반 휘발성 데이터에 대한 내구성 확보
5. 운영 및 모니터링모니터링 지표 수집Prometheus, Grafana 기반 메트릭 수집성능 모니터링, 용량 예측, SLA 추적 가능
분산 추적OpenTelemetry, Zipkin 연동이벤트 흐름과 병목 구간 시각화 및 추적
장애 탐지 자동화Alert Rule 기반 자동화 체계운영 효율성과 빠른 대응 시간 확보
6. 보안암호화 및 보호메모리 내 암호화 / 전송 중 암호화TLS/mTLS, at-rest/in-transit 보안 강화
접근 제어RBAC 및 토큰 기반 인증PU 및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교한 권한 제어 필요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핵심 항목설명 및 학습 포인트
기초 이론분산 시스템 설계 원칙CAP 정리, 합의 알고리즘 (Raft, PBFT 등)SBA 는 분산된 공간 간 강한 일관성이 어려우므로 일관성 - 가용성 트레이드오프 이해 필수
분산 해시 및 노드 배치Consistent HashingPU 간 데이터 파티셔닝과 핫스팟 방지의 핵심 전략
동시성 제어Lock-free 알고리즘, 메시지 기반 동기화SBA 는 공유 상태보다 메시지 기반 비동기 처리에 최적화된 모델을 지향
데이터 구조/공간 개념Tuple Space, Linda 모델공간 기반의 분산 메시징 구조에 대한 이론적 기반
아키텍처 및 구현 기술이벤트 기반 처리Event-Driven Architecture, 비동기 QueueSBA 의 PU 간 통신 및 트리거 기반 처리 구조의 핵심
인메모리 데이터 관리IMDG (Hazelcast, Ignite, XAP 등)SBA 의 핵심 저장소로 고속 처리와 복제 구조 학습 필수
데이터 파티셔닝 및 복제 전략해시 파티셔닝, 범위 파티셔닝, 미러링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위한 PU 간 데이터 분산 및 복제 로직 학습
비동기 I/O & 직렬화Netty, Protocol Buffers, Avro 등고성능 메시징 구현을 위한 필수 구성 요소
GC 및 메모리 최적화G1GC, ZGC, Memory Tiering인메모리 기반 아키텍처의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 기술 요소
플랫폼 및 운영 기술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Kubernetes, DockerSBA 는 PU 를 컨테이너 단위로 배포 및 확장하므로 클라우드 오케스트레이션 기술이 필수
서비스 메시 및 네트워크 정책Istio, LinkerdPU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서비스 메시 + 정책 기반 라우팅 구성
SLA 기반 오토스케일링HPA, Custom AutoscalerPU 의 부하, 지연 시간, 메시지 큐 상태 기반으로 자동 스케일링 적용
운영 자동화 및 배포 전략CI/CD, GitOpsSBA 기반 시스템은 지속적인 롤아웃 및 리소스 자동 복구를 요구함
관찰성 및 추적 도구Prometheus, Grafana, Jaeger, OTelPU 간 흐름, 이벤트 추적, 장애 진단을 위한 분산 트레이싱 및 메트릭 기반 모니터링 체계 구축 필요
보안 아키텍처Zero Trust, TLS, 네트워크 분할SBA 는 노드 간 직접 통신이 많아 전송 계층 보안 및 인증 정책 적용 필수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공간 (Space)데이터와 프로세스를 저장·관리하는 분산 메모리 그리드
아키텍처프로세싱 유닛 (Processing Unit)공간 내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독립적 실행 환경
네트워크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요청을 여러 공간/프로세싱 유닛으로 분산하는 장치
데이터파티셔닝 (Partitioning)데이터를 여러 공간에 분산 저장하는 전략
데이터미러링 (Mirroring)장애 대비를 위한 공간 간 데이터 복제
운영관리 콘솔 (Admin Console)시스템 모니터링 및 관리 도구

📌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Tuple Space데이터를 공유하는 메모리 공간, SBA 의 핵심 구성
시스템 구성Processing Unit (PU)로직, 메모리, 복제가 통합된 실행 단위
데이터 관리Partitioning데이터 분할 저장 전략
데이터 관리Replication데이터 복제 전략으로 내결함성 확보
메시징/이벤트Event-Driven이벤트 기반 비동기 처리 모델
장애 복구Active-Passive장애 시 백업 노드가 Primary 로 승격
운영SLA (Service Level Agreement)처리 속도, 용량 기준의 서비스 품질 보장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Tuple Space분산 시스템에서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공유 메모리 공간으로, 데이터를 튜플 형태로 저장하고 패턴 매칭을 통해 접근
아키텍처Processing UnitSBA 의 기본 실행 단위로, 애플리케이션 로직과 데이터를 포함하여 독립적으로 확장 가능한 컴포넌트
아키텍처Virtualized Middleware메시지 그리드, 데이터 그리드, 처리 그리드 등을 포함하는 가상화된 미들웨어 계층
데이터In-Memory Data Grid메모리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분산 캐싱 시스템으로, 초저지연 데이터 액세스 제공
데이터Data Locality데이터와 처리 로직을 동일한 노드에 배치하여 네트워크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기법
데이터Consistent Hashing분산 해시 테이블에서 노드 추가/제거 시 데이터 재배치를 최소화하는 해싱 기법
성능Linear Scalability노드 수 증가에 비례하여 성능이 향상되는 확장성 특성
성능Microsecond Latency마이크로초 단위의 매우 낮은 응답 지연시간
성능Horizontal Scaling서버 수를 늘려서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평적 확장 방식
처리Event-Driven Processing이벤트 발생에 기반하여 비동기적으로 처리하는 프로그래밍 모델
처리MapReduce Pattern대용량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서 병렬로 처리하는 분산 처리 패턴
처리Asynchronous Replication데이터 복제를 비동기적으로 수행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
보안Zero Trust Network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트래픽을 신뢰하지 않고 검증하는 보안 모델
보안RBAC (Role-Based Access Control)역할 기반 접근 제어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권한을 부여
운영Observability시스템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는 능력으로, 메트릭, 로그, 트레이스 포함
운영Service Mesh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을 관리하는 인프라스트럭처 계층
운영Circuit Breaker장애가 발생한 서비스에 대한 호출을 차단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보장하는 패턴
클라우드Container Orchestration컨테이너의 배포, 관리, 확장을 자동화하는 시스템
클라우드Auto Scaling시스템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를 조정하는 기능
클라우드Infrastructure as Code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방법론

참고 및 출처

🔗 참고 및 출처

참고 및 출처

🔗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