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t-Server Architecture

4. 250 자 개요

Client‑Server Architecture 는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 (Client) 가 요청을 보내고, 서버 (Server) 가 처리하여 응답하는 전통적 분산 시스템 모델이다. 클라이언트는 UI/로컬 상태 관리를 담당하며, 서버는 데이터 저장, 비즈니스 로직, 보안, 상태 관리 등 중앙 집약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 구조로 중앙 집중 관리를 통한 보안, 확장성, Fault Resistance 를 확보할 수 있으며, HTTP 웹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서버, 이메일 시스템 등 다양한 현대 시스템에서 활용된다.

배경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는 1960 년대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대에 시작되어, 다음과 같은 발전 과정을 거쳤다:

  1. 메인프레임 시대 (1960-1980 년대): 중앙 집중식 처리 방식
  2. PC 네트워크 시대 (1980-1990 년대): 분산 컴퓨팅의 등장
  3. 웹 시대 (1990 년대 - 현재): HTTP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편화
  4. 클라우드 시대 (2000 년대 - 현재): 마이크로서비스 및 서버리스 아키텍처로의 진화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필요성:

핵심 개념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는 분산 컴퓨팅의 핵심 개념으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실무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프로토콜 및 통신 측면:

보안 측면:

성능 및 확장성 측면:

주요 기능 및 역할

클라이언트 역할:

서버 역할:

특징

핵심 특징

  1. 분산성: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물리적으로 분리
  2. 비대칭성: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이 명확히 구분
  3. 확장성: 각 계층의 독립적 확장 가능
  4. 투명성: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내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음

통신 특징

핵심 원칙

  1. 관심사 분리 원칙 (Separation of Concerns)

    • 프레젠테이션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 분리
    • 데이터 접근 로직의 독립성 유지
    • 각 계층의 책임 명확화
  2.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집중
    • 서버는 비즈니스 로직 처리에 집중
  3. 느슨한 결합 원칙 (Loose Coupling)

    •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 구현 세부사항 숨김
    • 독립적인 배포 및 확장

작동 원리 및 방식

기본 작동 원리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lient as 클라이언트
    participant Server as 서버
    participant DB as 데이터베이스
    
    Client->>Server: 1. 서비스 요청
    Server->>DB: 2. 데이터 조회/수정
    DB-->>Server: 3. 결과 반환
    Server-->>Client: 4. 응답 전송
    Client->>Client: 5. 결과 처리 및 표시
  1. 연결 설정: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 요청
  2. 요청 전송: 클라이언트가 서비스 요청 메시지 전송
  3. 요청 처리: 서버가 요청을 분석하고 비즈니스 로직 실행
  4. 응답 생성: 서버가 처리 결과를 응답 메시지로 생성
  5. 응답 전송: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전송
  6. 결과 처리: 클라이언트가 응답을 받아 처리 및 표시

구조 및 아키텍처

graph TB
    subgraph "클라이언트 계층"
        UI[사용자 인터페이스]
        CL[클라이언트 로직]
        CC[통신 컴포넌트]
    end
    
    subgraph "네트워크 계층"
        NET[네트워크 프로토콜]
    end
    
    subgraph "서버 계층"
        SC[서버 통신]
        BL[비즈니스 로직]
        DAL[데이터 접근 계층]
    end
    
    subgraph "데이터 계층"
        DB[(데이터베이스)]
        FS[파일 시스템]
    end
    
    UI --> CL
    CL --> CC
    CC --> NET
    NET --> SC
    SC --> BL
    BL --> DAL
    DAL --> DB
    DAL --> FS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기능역할
필수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사용자 요청 수집 및 결과 표시
통신 프로토콜데이터 전송 규약클라이언트 - 서버 간 통신 표준
서버 애플리케이션비즈니스 로직 처리클라이언트 요청 처리 및 응답 생성
데이터 저장소데이터 영속성 보장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선택로드 밸런서트래픽 분산여러 서버 인스턴스 간 요청 분배
캐시 서버성능 최적화자주 사용되는 데이터 임시 저장
프록시 서버보안 및 성능요청 중계 및 보안 강화
메시지 큐비동기 통신시스템 간 비동기 메시지 전달

구현 기법

구현 영역구현 기법/패턴정의 및 설명적용 기술/프레임워크예시 또는 구현 코드 형태
통신 방식동기식 통신 (HTTP/REST)요청 → 응답 순차 처리, 직관적 구조HTTP, REST API, fetch, axiosfetch('/api/user') → await response
비동기식 통신 (WebSocket, 메시지 큐)요청 후 응답 대기 없이 처리, 실시간성/유연성WebSocket, Kafka, RabbitMQ, EventBussocket.send(), onmessage()
API 설계RESTful API 패턴자원 기반 설계, 상태 비저장, HTTP 메서드 활용Flask, Express, Django REST, Spring BootGET /api/users, POST /api/items
실시간 API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및 상태 반영Socket.IO, gRPC, WebRTCWebSocket, Pub/Sub, Push
세션 및 인증세션 기반 인증서버에 세션 정보 저장, 클라이언트는 쿠키 전송Session, Cookie, Express-session, RedisSet-Cookie, req.session.user
토큰 기반 인증JWT 또는 OAuth2.0 기반, 상태 비저장 인증JWT, OAuth2.0, OpenID, Auth0, Spring SecurityAuthorization: Bearer <token>
로드 밸런싱요청 분산 처리다수 서버에 트래픽 분산으로 확장성/가용성 확보NGINX, HAProxy, AWS ELB, Ingress Controllerround-robin, least connections
스케일링 전략수평 확장 (Scale-out)동일한 서버 인스턴스 증가로 처리량 증가Kubernetes, Auto Scaling, Docker SwarmPod/EC2/Container 증설 자동화
수직 확장 (Scale-up)서버 자원 (CPU, RAM) 증설EC2 Instance 변경, VM 업그레이드단일 서버 확장 (한계 존재)
캐싱 전략Cache-Aside, Read-through, Write-through데이터 접근시 캐시 우선 조회 → 캐시 부재 시 DB 접근Redis, Memcached, CDN, Varnish, Nginx Cacheif cache miss → fetch from DB → update cache
데이터 압축HTTP 압축 전송응답 데이터 크기 축소로 대역폭 절약Gzip, Brotli, Deflate, NGINX, Express compressionres.set('Content-Encoding', 'gzip')
보안 구현HTTPS 적용클라이언트 - 서버 간 전송 데이터 암호화TLS/SSL, Let's Encrypt, Certbot, Cloudflarehttps://example.com
입력 검증 및 보안 정책 적용XSS/SQLi 방지, CSRF 보호, 보안 헤더 적용OWASP, Helmet, CSRF Token, Input Sanitizationsanitize(input), X-XSS-Protection
오류/예외 처리공통 예외 핸들러 / 상태 코드일관된 에러 응답 제공try/catch, Express error middleware, Spring @ControllerAdvicereturn 404, return 500

Client-Server Architecture 구현 기법은 단순한 요청/응답을 넘어서, 통신 방식, 인증/보안, API 설계, 확장성, 성능 최적화, 실시간 처리까지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되고, 프레임워크 선택과 운영 전략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장점

카테고리항목설명
1. 구조적 장점관심사 분리 (Separation of Concerns)클라이언트는 UI/UX, 서버는 로직/데이터를 담당하여 역할이 명확히 분리됨
계층화 구조 (Layered Architecture)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계층으로 나뉘어 설계·유지보수 용이
역할 분리 (Responsibility Division)기능 모듈화로 각 영역의 독립적 관리 및 테스트가 가능
2. 운영 및 확장성수평/수직 확장성 (Scalability)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독립적 확장 가능, 클라우드 인프라와 결합 시 유연한 확장성 확보
중앙 집중 관리 (Centralized Management)데이터, 보안, 정책, 로깅 등을 서버에서 일괄 관리하여 운영 효율성 증가
클라이언트 경량화 (Thin Client)클라이언트는 최소한의 UI 처리만 담당하고, 복잡한 처리는 서버가 담당하여 리소스 부담 감소
3. 유지보수 및 재사용성유지보수 용이성 (Maintainability)모듈화 구조로 인해 특정 계층 변경 시 전체 시스템 영향 최소화
재사용성 (Reusability)서버의 API 나 기능을 여러 종류의 클라이언트 (웹, 모바일 등) 에서 재사용 가능
테스트 용이성 (Testability)각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 가능
4. 보안 및 신뢰성보안성 (Security)서버에 인증/인가, 데이터 보호, 접근 제어를 집중시켜 관리 효율성과 정책 일관성 확보
통신 보안 (Communication Security)HTTPS, TLS, mTLS 등을 통해 클라이언트 - 서버 간 데이터 전송을 안전하게 보호
백업 및 복구 (Data Recovery)서버 중심 데이터 저장 구조 덕분에 정기 백업과 장애 복구 대응이 용이
5. 플랫폼 및 기술 독립성플랫폼 독립성 (Platform Independence)다양한 클라이언트 플랫폼 (브라우저, 모바일, IoT 등) 에서 동일한 서버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음
인터페이스 일관성 (Consistent API)공통 API 규격을 통해 다양한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운용성 보장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카테고리항목설명대표 해결책
아키텍처 구조단일 장애점 (Single Point of Failure)서버가 단일 구성일 경우, 장애 발생 시 전체 서비스 중단서버 이중화, 클러스터링, 자동 페일오버 구성
성능네트워크 병목 / 오버헤드모든 요청이 서버를 거치므로 네트워크에 부담 발생, 통신 지연CDN, 캐시 전략, 압축 적용, gRPC 등 고성능 프로토콜 사용
확장성확장 한계 / 비용 문제인프라 증설 시 고성능 장비 또는 라이선스 비용 부담 증가수평 확장 기반 클라우드 아키텍처, 오픈소스 기반 도입
운영 복잡성복잡한 버전 관리 / 분산 시스템 운영클라이언트·서버 간 API 버전 충돌, MSA 도입 시 인프라/배포 복잡도 증가API 버전 관리, 백워드 호환성 유지, GitOps 기반 자동화 도입
의존성네트워크 의존성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시스템 기능 마비오프라인 캐싱, 로컬 데이터 동기화, 네트워크 이중화

문제점

문제점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서버 과부하동시 요청 폭증, 예측 실패응답 지연, 서비스 중단CPU/Memory 모니터링, APM트래픽 예측, 큐 기반 처리, 오토스케일링 도입서버 증설, 로드밸런서 적용, Throttling
네트워크 지연지역 간 거리, 라우팅 비효율성, 혼잡사용자 경험 저하응답시간 추적, 지연율 분석CDN 도입, 캐싱, 지역 분산 서버 구성경로 최적화, 네트워크 압축 프로토콜 적용
데이터 일관성비동기 요청 처리, 분산 환경의 동기화 부족데이터 불일치, 중복 또는 누락 발생테스트 케이스, 트랜잭션 로그 검토트랜잭션 경계 명확화, 일관성 레벨 조정DB 트랜잭션, 분산 트랜잭션, 이벤트 소싱 적용
보안 취약점인증/인가 미흡, 입력 검증 부족서비스 마비, 데이터 유출, 악성 접근WAF 로그, IDS/IPS 탐지 도구보안 패치, 표준 인증체계 적용 (JWT, OAuth 등)보안 감사, 침투 테스트, WAF 및 방화벽 설정 강화
클라이언트 위협악성 클라이언트 조작, 인증 미흡자원 낭비, 비인가 접근서버 로그 및 요청 패턴 분석CAPTCHA, 사용자 행위 분석, 입력 검증 강화요청 제한, 클라이언트 레벨 접근 제어
버전 불일치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API 변경 미반영기능 실패, 호환성 오류클라이언트 오류 로깅, 통계 기반 버전 분석하위 호환 API 유지, SDK 문서화API Deprecation 정책, 슬로우 롤아웃 전략 적용

도전 과제

카테고리도전 과제주요 원인영향해결 전략
1. 성능/확장성트래픽 증가 대응- 동시 접속 사용자 증가
- 대용량 데이터 처리
- CPU/메모리 부하
- 서버 응답 지연
- 스루풋 감소
- 사용자 이탈 증가
- 오토스케일링
- 캐싱 계층 도입 (Redis, CDN)
- 데이터 샤딩
- Load Balancing
2. 고가용성장애 전파 차단- 단일 장애점 (SPOF)
- 장애 복구 미흡
- 전체 시스템 중단
- 서비스 SLA 하락
- 서버 이중화 (HA)
- Auto Failover
- 무중단 배포 전략 (Blue/Green, Canary)
3. 보안인증·인가·통신 보안 강화- 인증/토큰 위변조
- 미암호화 API 호출
- 권한 누락
- 개인정보 유출
- 무단 접근
- 공격 노출
- HTTPS 통신
- JWT, OAuth2 인증
- API Gateway + WAF
- 보안 감사 로그
4. 실시간성저지연 통신 및 이벤트 처리- 폴링 기반 구조
- 요청 - 응답 지연
- 브라우저 한계
- 사용자 경험 저하
- UI 반응 속도 저하
- WebSocket / gRPC 도입
- SSE, Kafka 기반 비동기 이벤트 처리
5. 일관성/데이터 무결성분산 환경에서의 데이터 정합성 문제- 네트워크 파티션
- 동시성 충돌
- DB Replication 지연
- 데이터 불일치
- 트랜잭션 실패
- 분산 트랜잭션 처리 (SAGA, 2PC)
- CQRS + Event Sourcing
- Eventual Consistency
6. 운영/유지보수배포와 모니터링 자동화- 수동 운영
- 로그/지표 미수집
- 문제 대응 지연
- 시스템 가시성 부족
- CI/CD + GitOps
- IaC (Terraform)
- OpenTelemetry + Prometheus + ELK
7. API/버전 관리API 확장과 호환성 유지- API 변경 시 서비스 중단
- 클라이언트 업데이트 지연
- 장애 확산
- 고객 경험 저하
- API 버전 명시 (v1, v2)
- 하위 호환 유지
- API 문서화 (OpenAPI, Swagger)
8. 네트워크 안정성네트워크 품질 저하- 패킷 유실
- 지역 간 지연
- 경로 불안정성
- 응답 속도 저하
- 요청 실패 증가
- CDN 사용
- Retry, Circuit Breaker
- QoS 기반 네트워크 경로 설정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특징적용 예시
계층 구조 (Tier)2-Tier클라이언트 ↔ 서버 (DB 포함) 직접 통신소규모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3-Tier프레젠테이션 ↔ 애플리케이션 서버 ↔ 데이터베이스 서버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구조
N-Tier (Multi-tier)계층을 추가적으로 분할 (로깅, 인증, 캐시 등 포함)엔터프라이즈급 아키텍처, B2B 시스템 등
클라이언트 유형Thin Client (씬 클라이언트)로직 대부분 서버에서 처리, 클라이언트는 UI 역할 중심브라우저 기반 시스템, 웹뷰 앱
Thick Client (팻 클라이언트)많은 처리 로직을 클라이언트 측에서 수행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CAD 소프트웨어
Rich Client (리치 클라이언트)UI 는 클라이언트에 존재하나 서버와 활발히 상호작용, 일부 비즈니스 로직 포함Electron, SPA + API
통신 방식동기 (Synchronous)요청 후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 (블로킹)REST API, HTTP 요청
비동기 (Asynchronous)요청 후 즉시 반환, 응답은 콜백/이벤트로 수신 (논블로킹)메시지 큐, WebSocket, Kafka
상태 관리Stateful서버가 세션 또는 상태를 기억함온라인 게임, Stateful Session
Stateless서버가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 요청 단위로 처리REST API, 서버리스 함수 처리
서버 역할웹 서버정적 콘텐츠 및 HTTP 요청 처리Apache, Nginx
애플리케이션 서버비즈니스 로직 수행 및 데이터 처리 중간 계층Node.js, Spring Boot, Express.js
데이터베이스 서버데이터 저장, 조회, 갱신 등 DB 기능 제공PostgreSQL, MongoDB
메시지 브로커비동기 이벤트 전달 및 비동기 워크플로우 구성RabbitMQ, Kafka
상태 기반 확장성단일 서버모든 기능을 하나의 서버에 집중초기 MVP 개발, 로컬 테스트용
다중 서버요청/기능을 분산하여 처리, 확장성과 가용성 향상클러스터, 컨테이너 기반 아키텍처
UI 실행 위치Thin UIUI 로직 거의 없음 (HTML 렌더링 수준)전통적인 서버 템플릿 렌더링 구조
Client-heavy UI클라이언트에서 UI 처리 + 상태 유지React, Vue 기반 SPA

실무 사용 예시

분야활용 목적클라이언트서버 구성 / 기술 스택효과 및 특징
웹 애플리케이션사용자 서비스 제공웹 브라우저React, Node.js, NGINX, PostgreSQL, REST API확장성, 중앙 집중 관리, 멀티 디바이스 지원
모바일 앱백엔드 연동 및 실시간 서비스iOS/Android, Flutter 앱Spring Boot, Firebase, REST API빠른 응답, 크로스 플랫폼 대응, 실시간 데이터 처리
게임 서비스실시간 멀티플레이어 게임Unity 게임 클라이언트ASP.NET Core, Redis, Photon Server실시간 동기화, 지연 최소화, 세션/상태 관리
이메일 시스템이메일 송수신 및 보관Outlook, Thunderbird, 웹메일 클라이언트SMTP/POP3/IMAP 서버, 클라우드 스토리지안정적 메시지 전달, 동기화 및 백업 지원
파일 공유 시스템파일 업로드/다운로드 및 관리FTP 클라이언트, 웹 기반 파일 매니저FTP/NFS 서버, SFTP, WebDAV사용자 접근 제어, 대용량 파일 전송, 로그 기록
금융 시스템안정적인 트랜잭션 및 거래 처리금융 클라이언트 앱, 웹 포털Java, Spring, Oracle, Kafka보안 강화, ACID 트랜잭션 보장, 고가용성 구조
BI/분석 시스템대시보드 제공 및 데이터 분석Tableau, Power BI, 전용 BI 클라이언트Spark, Presto, DWH (Snowflake/BigQuery), API Gateway대용량 분석, 실시간 리포팅, 비즈니스 의사결정 지원
IoT 플랫폼센서 데이터 수집 및 원격 제어IoT 장치, 모바일 앱Python, MQTT, InfluxDB, Node-RED저지연 데이터 수집, 상태 제어, 디바이스 관리
클라우드 서비스리소스 관리 및 API 제공웹 인터페이스, CLI, API 클라이언트AWS/GCP/Azure, Kubernetes, REST/gRPC API리소스 프로비저닝 자동화, 셀프서비스 구조, API 기반 확장성
마이크로서비스서비스 분산 및 독립 배포 구조웹/모바일 프론트엔드, API 게이트웨이Spring Cloud, Istio, Kafka, Consul, 각종 Microservices서비스 독립성, 장애 격리, 독립 배포 가능
엔터프라이즈 시스템기업 내부 업무 자동화 및 통합 관리ERP, CRM, 사내 전용 클라이언트Java EE, SAP, Oracle DB, MS Active Directory통합 인증, 복잡한 업무 처리, 대규모 사용자 및 데이터 처리

활용 사례

사례 1: 웹 기반 쇼핑몰 시스템

시스템 구성: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 웹 서버 (서버), 데이터베이스

graph TD
    User(사용자) --> Browser(웹 브라우저)
    Browser -->|HTTP 요청| WebServer(웹 서버)
    WebServer -->|DB 질의| DB(데이터베이스)
    DB -->|결과| WebServer
    WebServer -->|HTTP 응답| Browser

워크플로우: 사용자가 상품 검색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 →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 조회 후 응답 → 클라이언트에 결과 표시

역할: 클라이언트는 UI/UX 제공, 서버는 데이터 관리 및 비즈니스 로직 처리

차이점: 아키텍처 미적용 시 모든 처리가 단일 시스템에 집중되어 확장성, 유지보수성, 보안성 저하

사례 2: 전자상거래 플랫폼 사례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클라이언트 계층"
        WEB[웹 애플리케이션]
        MOBILE[모바일 앱]
    end
    
    subgraph "로드 밸런서"
        LB[ELB]
    end
    
    subgraph "애플리케이션 서버"
        API1[API 서버 1]
        API2[API 서버 2]
        API3[API 서버 3]
    end
    
    subgraph "데이터베이스"
        MONGO[(MongoDB)]
        REDIS[(Redis)]
    end
    
    WEB --> LB
    MOBILE --> LB
    LB --> API1
    LB --> API2
    LB --> API3
    API1 --> MONGO
    API2 --> MONGO
    API3 --> MONGO
    API1 --> REDIS
    API2 --> REDIS
    API3 --> REDIS

Workflow:

  1. 사용자가 웹/모바일 앱에서 상품 검색
  2. 클라이언트가 API 서버에 검색 요청
  3. 로드 밸런서가 요청을 적절한 서버로 분배
  4. API 서버가 MongoDB 에서 상품 정보 조회
  5. 결과를 Redis 에 캐싱하여 성능 향상
  6. 클라이언트에게 검색 결과 응답

클라이언트 - 서버 아키텍처의 역할:

아키텍처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클라이언트 측 구현 (React)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axios from 'axios';

const ProductList = () => {
    const [products, setProducts] = useState([]);
    const [loading, setLoading] = useState(true);
    const [error, setError] = useState(null);

    useEffect(() => {
        // 서버에서 상품 목록 요청
        const fetchProducts = async () => {
            try {
                setLoading(true);
                // API 서버로 HTTP 요청 전송
                const response = await axios.get('/api/products');
                setProducts(response.data);
            } catch (err) {
                // 에러 처리
                setError('상품 정보를 불러오는데 실패했습니다.');
                console.error('API 요청 실패:', err);
            } finally {
                setLoading(false);
            }
        };

        fetchProducts();
    }, []);

    if (loading) return <div>로딩 </div>;
    if (error) return <div>에러: {error}</div>;

    return (
        <div>
            <h2>상품 목록</h2>
            {products.map(product => (
                <div key={product.id}>
                    <h3>{product.name}</h3>
                    <p>가격: {product.price}</p>
                    <p>{product.description}</p>
                </div>
            ))}
        </div>
    );
};

export default ProductLi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서버 측 구현 (Node.js Expres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const redis = require('redis');

const app = express();
const redisClient = redis.createClient();

// 상품 스키마 정의
const productSchema = new mongoose.Schema({
    name: String,
    price: Number,
    description: String,
    category: String
});

const Product = mongoose.model('Product', productSchema);

// 상품 목록 조회 API
app.get('/api/products', async (req, res) => {
    try {
        const cacheKey = 'products:all';
        
        // Redis 캐시에서 데이터 확인
        const cachedProducts = await redisClient.get(cacheKey);
        if (cachedProducts) {
            console.log('캐시에서 데이터 반환');
            return res.json(JSON.parse(cachedProducts));
        }

        // MongoDB에서 상품 정보 조회
        const products = await Product.find({});
        
        // 결과를 Redis에 캐싱 (10분 TTL)
        await redisClient.setex(cacheKey, 600, JSON.stringify(products));
        
        //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전송
        res.json(products);
    } catch (error) {
        console.error('상품 조회 실패:', error);
        res.status(500).json({ error: '서버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
});

// 새 상품 추가 API
app.post('/api/products', async (req, res) => {
    try {
        const { name, price, description, category } = req.body;
        
        // 데이터 유효성 검증
        if (!name || !price) {
            return res.status(400).json({ error: '상품명과 가격은 필수입니다.' });
        }

        // 새 상품 생성
        const newProduct = new Product({
            name,
            price,
            description,
            category
        });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await newProduct.save();
        
        // 캐시 무효화
        await redisClient.del('products:all');
        
        res.status(201).json(newProduct);
    } catch (error) {
        console.error('상품 추가 실패:', error);
        res.status(500).json({ error: '서버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
});

// 서버 시작
const PORT = process.env.PORT || 3000;
app.listen(PORT, () => {
    console.log(`서버가 포트 ${PORT}에서 실행 중입니다.`);
});

Express.js + Redis + NGINX 기반 Client-Server Architecture

구성 요소:

구성 요소역할
Express.js (Node.js)RESTful API 서버, 비즈니스 로직 처리
Redis세션/캐시 저장소 (인메모리)
NGINXReverse Proxy + Load Balancer
Client (웹/모바일)프론트엔드 또는 외부 API 호출자
Database (예: PostgreSQL)영속적인 데이터 저장소
1
2
3
4
5
6
7
Client
[ NGINX ]
[ Express.js API Server ]
   ↙           ↘
[ Redis ]   [ PostgreSQL ]
핵심 구성 및 구현

NGINX (Reverse Proxy + Load Balancer)

Express.js 서버 (RESTful API):

Redis (세션 + 캐시):

예: API 캐시 미들웨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onst cacheMiddleware = (req, res, next) => {
  const key = `__data__${req.originalUrl}`;
  redisClient.get(key, (err, data) => {
    if (data != null) {
      return res.json(JSON.parse(data));
    } else {
      res.sendResponse = res.json;
      res.json = (body) => {
        redisClient.setex(key, 3600, JSON.stringify(body));
        res.sendResponse(body);
      };
      next();
    }
  });
};

// 적용
app.get('/api/data', cacheMiddleware, async (req, res) => {
  const data = await fetchFromDatabase();
  res.json(data);
});

Client‑Server Vs. Peer-to-Peer 비교

비교 항목Client‑Server ArchitecturePeer-to-Peer Architecture
구조클라이언트와 중앙 서버로 계층 구조 구분모든 노드가 클라이언트이자 서버 역할 수행
중앙 집중 vs 분산중앙 서버에서 자원 관리 및 제어노드 간 자원 직접 공유, 중앙 서버 없음
확장성서버 확장 필요, 수평/수직 확장 가능새로운 노드 추가 시 자원 공유 및 자동 확장
장애 대응중앙 서버 장애 시 전체 시스템 영향일부 노드 장애 시 전체 네트워크 영향 적음
복잡성API, 라우팅, 보안 TLS 구성 필요분산 환경 동기화, 보안, 탐색 로직 설계 필요
적합 분야웹·모바일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중심 시스템파일 공유, 블록체인, P2P 스트리밍 환경

🧭 요약: 클라이언트 - 서버는 중앙 제어와 단순함이 강점이며, 피어 투 피어는 자율 분산과 자원 공유가 우위 dlek.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영역항목설명권장 방식 / 고려사항
1. 아키텍처 설계계층 분리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데이터 계층을 분리하여 관심사 분리MVC 또는 Hexagonal Architecture 적용
API 설계 표준화클라이언트 - 서버 통신을 위한 일관된 API 규약REST, GraphQL, gRPC 중 도메인 특성에 따라 선택
상태 관리 전략Stateless 우선 설계로 확장성 확보필요한 경우 세션 기반 상태 저장도 병행
API 버전 관리API 변경에 따른 호환성 확보URL 버전 관리 (/v1, /v2), deprecation 전략 포함
마이크로서비스 분해 전략시스템 복잡도 및 유연성 요구에 따라 선택초기에는 모놀리식 → 점진적 MSA 전환 추천
2. 성능 및 확장성로드 밸런싱트래픽을 다수의 인스턴스로 분산 처리L4/L7 기반 Load Balancer, Health Check 적용
캐싱 전략DB 부하 감소 및 응답 속도 개선Cache-Aside, TTL 설정, Redis/Memcached 활용
오토스케일링트래픽 증가에 자동 대응클라우드 기반 오토스케일링 + CPU/Memory 모니터링 연동
비동기 처리장시간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하여 응답성 확보메시지 큐 (RabbitMQ, Kafka), Task Queue (Celery, Sidekiq 등) 사용
프로파일링 및 최적화병목 지점 식별 및 리소스 낭비 방지APM 도구, flame graph 등 활용하여 기반 분석 후 최적화
3. 보안인증 및 인가사용자 식별 및 권한 제어JWT, OAuth 2.0, mTLS, RBAC 적용
암호화통신 및 저장 데이터 보안HTTPS, TLS,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e.g. TDE)
입력 검증 및 필터링공격 방지 (XSS, SQLi, CSRF 등)서버 측 입력 유효성 검증, 웹 방화벽 (WAF), 정적 분석 도구 사용
CORS 정책 설정크로스 도메인 요청 보안최소 허용 정책, 도메인 화이트리스트 방식 적용
API 접근 제한남용 방지 및 서비스 보호Rate Limiting, IP 화이트리스트, API Key 관리 도입
4. 고가용성 및 복원력장애 감지 및 자동 복구서버 중단 시 빠른 복구Health Check + Auto Recovery, Self-Healing 인프라 구성
페일오버 및 이중화단일 장애점 제거Active-Passive 구성, 다중 Zone 배포, 클러스터링 기술 적용 (e.g. Redis Sentinel)
서킷 브레이커 및 재시도 전략연쇄 장애 방지 및 일시 장애 대응Hystrix, Resilience4j, 지수 백오프 (Exponential Backoff)
서비스 디스커버리동적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서버 찾기 가능Consul, Eureka, DNS 기반 SRV 레코드 등 활용
데이터 백업 및 복제데이터 유실 방지 및 복구 대응주기적 백업 + 복제본 구성 (Hot/Warm Standby)
5. 개발 및 배포 운영CI/CD 자동화코드 → 빌드 → 테스트 → 배포 자동화GitOps, Jenkins, GitHub Actions, ArgoCD 등 사용
무중단 배포 전략배포 중 서비스 중단 방지블루 - 그린, 카나리 배포, 트래픽 분할 전략 적용
테스트 자동화기능 안정성 보장단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 컨트랙트 테스트 + E2E 테스트 조합
문서화API 및 시스템 가시성 확보Swagger (OpenAPI), README, 시퀀스 다이어그램 등 포함
형상 관리 및 감사 추적변경 이력 추적 및 협업 효율화Git 기반 소스 관리, PR 리뷰 문화 정착
6. 모니터링 및 관찰성로그 수집 및 분석장애/성능 이슈 식별 및 분석구조화 로그 + Fluent Bit/Logstash → Elasticsearch/CloudWatch
메트릭 수집시스템 상태를 수치화하여 가시화Prometheus, CloudWatch, Grafana 등
분산 트레이싱요청 흐름 파악 및 병목 분석OpenTelemetry, Jaeger, Zipkin 등
알림 시스템 연동이상 감지 시 실시간 알림Slack, PagerDuty, Opsgenie, 이메일 연동 등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최적화 영역고려사항주의할 점권장 사항
1. 서버 측 리소스 관리DB/HTTP 연결 풀 최적화과도한 연결 유지로 인한 메모리 누수 위험연결 수명 주기 관리, 커넥션 풀 크기 조정
비동기 처리 / 병렬 처리동시성 제어 실패 시 Race Condition 발생 가능성이벤트 루프, 스레드풀, 큐 기반 구조 활용
메모리 캐시 활용캐시 메모리 누수 또는 TTL 설정 오류LRU/LFU, TTL 기반 관리, Redis 도입
2. 데이터베이스 처리읽기/쓰기 분리복제 지연 시 데이터 일관성 문제Replica 모니터링, Eventually Consistent 설계
쿼리 최적화 / 인덱스 설계N+1 문제 또는 과도한 조인 발생인덱스 튜닝, ORM LazyLoad 주의
샤딩 및 파티셔닝파티션 키 선정 실패 시 데이터 불균형트래픽 기반 파티셔닝, 샤딩 재조정 정책 수립
3. 네트워크 최적화데이터 압축 (GZIP, Brotli 등)과도한 압축은 CPU 부하 유발압축 비율/속도 트레이드오프 고려
HTTP Keep-Alive / HTTP/2Keep-Alive 오용 시 커넥션 고갈커넥션 타임아웃 관리, HTTP/2 사용 고려
일괄 처리 / 배치 요청클라이언트 상태 변경 지연중요도 높은 요청은 개별 처리 고려
CDN 및 에지 컴퓨팅 활용TTL 설정 오류로 오래된 콘텐츠 제공 가능성계층별 TTL 전략, 에지 TTL 동기화 관리
4. 캐싱 전략계층적 캐시 적용캐시 무효화 부재 시 데이터 불일치클라이언트, CDN, API, DB 계층 분산 캐싱 설계
캐시 친화적 API 설계URL 구조, 헤더 설정 미흡 시 캐시 효율 저하정적 자원 분리, Cache-Control 설정
5. 응답 시간/처리량병목 구간 제거특정 API/쿼리/연산에서 병목이 집중될 수 있음APM, 프로파일링 기반 튜닝
요청 큐잉 / Rate Limit큐 설정 잘못 시 요청 지연 발생우선순위 기반 큐, Circuit Breaker 연계
6. 운영 및 확장성자동 확장 구성 (Auto-scaling)오토스케일링 조건 미정의 시 자원 낭비/부족 가능성CPU, QPS, 메모리 기반 트리거 설정
로드밸런싱 전략상태 저장 서비스는 Load Balancer 에 비효율적Stateless 설계 + Sticky Session 최소화
지리적 분산 / 리전 이중화네트워크 지연, DNS Failover 실패 가능성다중 리전 배포 + Anycast 전략 적용
7. 모니터링 및 진단APM, 분산 추적 적용오버헤드 발생 또는 노이즈 로그 유입 가능샘플링/필터링 적용, 로그 구조화
부하 테스트/성능 측정실제 트래픽과 다른 테스트 구성사용자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설계
8. 보안과 성능 균형압축/캐시 사용 시 보안 고려보안 헤더 미적용 시 정보 노출 가능성Cache-Control: private, TLS 적용 확인
인증 및 암호화 로직 최적화과도한 암호화 처리 또는 토큰 검증 병목JWT 서명 검증 속도 향상, Stateless 인증 고려
9. 클라이언트 측 최적화리소스 지연 로딩, 번들링초기 렌더링 지연, 과도한 자바스크립트Tree Shaking, Lazy Loading, CDN 활용
클라이언트 캐싱 및 저장소 활용업데이트 반영 실패 위험ETag, Service Worker, IndexedDB 등과 병행 사용
WebSocket 또는 데이터 구독연결 과다/누수 가능연결 수명주기 관리 및 재연결 처리 설계

분석 요약

요소내용
주요 최적화 대상서버 리소스, DB 처리, 네트워크 효율, 캐시 전략, 응답 속도
주의할 점오버엔지니어링, 캐시 무효화 누락, 인증 병목, 리소스 누수
권장 전략계층 캐싱 + 병렬처리 + 오토스케일링 + 측정 기반 최적화 + 관찰성 강화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핵심 항목설명
1. 아키텍처 설계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역할 분리클라이언트 (UI) 와 서버 (API/비즈니스 로직) 의 책임 분리로 독립적인 개발 및 유지보수 가능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서비스 분해서버를 도메인 단위로 쪼개어 서비스 간 결합도 감소, 확장성 및 장애 격리 강화
서버리스 아키텍처함수 기반 컴퓨팅 (FaaS)서버 인프라 관리 없이 함수 단위로 요청 처리, 리소스 사용에 따라 비용 청구
2. 통신 및 인터페이스 기술REST/HTTP요청 - 응답 기반 전통 통신클라이언트가 명시적으로 서버 리소스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는 방식
GraphQL선언적 쿼리 언어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선택적으로 요청, 과/부족 데이터 문제 해소
WebSocket실시간 양방향 통신HTTP 업그레이드를 통해 지속적인 커넥션 유지, 실시간 게임/채팅 등에 사용
3. 인증 및 보안OAuth 2.0권한 위임 프레임워크외부 클라이언트가 리소스 소유자의 권한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JWT토큰 기반 인증 방식서버가 상태를 저장하지 않고도 인증 정보 전송, 마이크로서비스에 적합
인증/인가 관리접근 제어리소스 보호 및 사용자 권한 분리, 클라이언트 - 서버의 핵심 보안 계층
4. 성능 및 캐싱 기술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정적 자산을 지리적으로 분산된 캐시 서버에서 제공하여 응답 시간 단축
Redis인메모리 키 - 값 저장소세션 저장, 캐시 등 실시간 성능 최적화에 사용되는 고속 데이터 저장소
로드 밸런싱트래픽 분산다수 서버에 요청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성능 및 가용성 확보
5. 운영 및 관찰성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애플리케이션 성능 추적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서버 처리 흐름을 분석하여 병목 지점 식별
분산 추적 (Distributed Tracing)마이크로서비스 호출 추적각 서비스 간 요청 흐름을 추적하여 장애 원인 및 지연 시간 분석
장애 대응 (HA/클러스터링)이중화 및 자가 복구 구조서버 장애 시 자동 전환 및 무중단 운영 구조 구성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학습 주제핵심 항목설명
네트워크HTTP/HTTPS요청/응답 구조, 상태코드, REST 통신 방식 이해웹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 클라이언트 - 서버 요청 처리 흐름 학습
TCP/IP & 소켓TCP/IP 계층, 포트, 소켓 프로그래밍 등인터넷 통신의 기반, 실제 데이터 송수신 이해
HTTP/2, gRPC스트리밍, 멀티플렉싱, 커넥션 재사용 등고성능 통신 프로토콜 이해 및 적용
API 설계RESTful API 설계리소스 모델링, 상태 관리, HTTP 메서드 등클라이언트 - 서버 간 인터페이스 규약 설계
GraphQL / gRPC클라이언트 중심 쿼리, 서비스 정의, 프로토콜 버퍼 사용 등데이터 요청 최적화, 경량 API 방식
보안인증/인가 (OAuth 2.0, JWT 등)토큰 기반 인증, 세션 관리, 접근 제어 등API 접근 보안 및 클라이언트 권한 제어
전송 계층 보안 (TLS/SSL)암호화 알고리즘, 인증서, HTTPS 통신 구조클라이언트 - 서버 간 데이터 보호
OWASP 보안 위협 대응API 공격 벡터, 취약점 탐지, 방어 기법Client-Server 기반 보안 위협 대응
데이터 처리SQL / NoSQL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비관계형 데이터 저장 구조 이해백엔드와 연동되는 데이터 계층 설계
캐싱 전략Redis, CDN, Cache 무효화 및 일관성API 응답 시간 개선 및 트래픽 절감
성능 최적화로드 밸런싱Round Robin, IP Hash, Layer 7 Proxy서버 부하 분산 및 장애 대응을 위한 핵심 기술
APM 및 성능 모니터링트랜잭션 추적, 병목 분석, 메트릭 수집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서버 응답 성능 모니터링
인프라 및 운영CI/CD 및 배포 자동화Build, Test, Deploy 자동화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지속적인 통합 및 릴리즈
컨테이너 및 오케스트레이션Docker, Kubernetes서버 자원의 효율적 운영과 스케일링
Infrastructure as Code (IaC)Terraform, Pulumi 등 인프라 선언형 코드서버 및 API 인프라의 코드 기반 프로비저닝
장애 대응 및 고가용성 (HA)자동 복구, 셀프 힐링, 이중화무중단 서비스를 위한 서버 및 인프라 구성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기본 개념클라이언트 (Client)서비스를 요청하고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시스템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Server)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
API애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RESTHTTP 기반의 자원 중심 아키텍처 스타일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마이크로서비스 (Microservices)작고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서비스 집합으로 구성된 아키텍처 방식
애플리케이션 서버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버 (Middleware 역할 포함)
미들웨어 (Middleware)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통신 및 데이터 처리 지원
통신 방식요청 - 응답 패턴클라이언트가 요청하고 서버가 응답하는 기본 통신 방식
HTTP/HTTPS클라이언트 - 서버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본 웹 프로토콜 (TLS 포함 시 HTTPS)
HTTP/2멀티플렉싱 및 헤더 압축 등을 지원하는 고성능 HTTP 프로토콜
WebSocket클라이언트 - 서버 간 양방향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gRPCHTTP/2 기반의 고성능 RPC 프레임워크
상태 비저장 (Stateless)요청 간 상태를 저장하지 않는 서버 처리 방식
상태 저장 (Stateful)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는 방식
세션 (Session)상태 저장 방식 구현을 위한 클라이언트 - 서버 간 상태 관리 메커니즘
네트워크 인프라TCP/IP인터넷 통신의 핵심 프로토콜 스택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트래픽 분산 및 장애 감지, SSL 종료 등 수행
프록시 / 리버스 프록시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 중계 역할 / 서버 앞단의 중계 역할
CDN콘텐츠 전송을 위해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 (Service Mesh)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인증, 로깅 등을 처리하는 인프라 계층
보안인증 (Authentication)사용자의 신원 확인 과정
인가 (Authorization)인증된 사용자에게 자원 접근 권한 부여
SSL/TLS데이터 전송 중 암호화를 통한 보안 통신
OAuth 2.0토큰 기반의 인증 및 권한 부여 프레임워크
mTLS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를 검증하는 양방향 인증 방식
아키텍처 특성씬 클라이언트 (Thin Client)서버에 의존하고 최소한의 기능만 가진 클라이언트
씩 클라이언트 (Thick Client)많은 기능과 처리 로직을 자체 보유한 클라이언트
서버리스 (Serverless)서버 인프라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코드 실행만 하는 컴퓨팅 모델
에지 컴퓨팅 (Edge Computing)사용자 가까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응답 시간 단축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장애 발생 시에도 지속 가능한 시스템 특성
수평 확장 (Horizontal Scaling)서버 인스턴스를 추가하여 확장
수직 확장 (Vertical Scaling)기존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켜 확장
성능 최적화캐싱 (Caching)자주 조회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여 성능 향상
연결 풀링 (Connection Pooling)DB 연결을 미리 열어두고 재사용하는 기법
Auto Scaling부하 기반으로 서버 수를 자동 조절하는 기능
배포 및 운영CI/CD빌드 - 테스트 -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는 파이프라인
GitOpsGit 상태를 기준으로 자동 배포하는 DevOps 방식
APM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로그 (Log)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기록
메트릭 (Metric)성능을 수치로 표현하는 지표
추적 (Tracing)요청이 시스템을 어떻게 흐르는지 추적하는 기술
데이터 처리직렬화 / 역직렬화객체를 데이터로 변환 / 데이터로부터 객체 복원
트랜잭션 (Transaction)일관성과 원자성을 보장하는 DB 작업 단위
N+1 쿼리 문제반복적인 DB 접근으로 인해 발생하는 성능 저하 문제
벡터 데이터베이스 (Vector DB)벡터 임베딩을 저장하고 검색하는 DB 시스템

참고 및 출처

주요 참고 자료

추가 참고 및 표준 문헌

웹 기반 튜토리얼 및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