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Based Architecture
Cell-based architecture 는 마이크로서비스를 넘어, 서비스와 인프라를 ‘cell’ 이라 불리는 완전 자립 단위로 격리하는 설계 방식이다. 각 cell 은 자체 API, 데이터 저장소, 오토스케일 등 완전 독립실행이 가능하며, cell router 가 트래픽을 cell 로 분배한다. 장애나 부하 발생 시 해당 cell 만 영향을 받으므로 전체 시스템 안정성이 높아진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에서 초대규모 시스템 운영 시 적합하며 fault isolation, 수평 확장, 보안 기준에서도 유리한 구조로 평가받는다.
배경
Cell-Based Architecture 의 등장 배경은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서비스의 한계
- 마이크로서비스 확산으로 인한 복잡성 증가
- 서비스 간 의존성 관리의 어려움
- 장애 전파 및 디버깅의 복잡성
대규모 시스템의 운영 과제
- 시스템 규모 확장에 따른 운영 복잡성
- 단일 장애점 (Single Point of Failure) 의 위험
- 글로벌 서비스의 지연 시간과 가용성 요구사항
클라우드 환경의 특성
- 클라우드 인프라의 불안정성과 예측 불가능한 장애
- 다중 가용 영역과 리전 활용의 필요성
- 탄력적 확장과 비용 최적화 요구
목적 및 필요성
장애 영향 범위 최소화
- 전체 시스템 다운타임 방지
- 부분적 장애 허용으로 서비스 연속성 보장
- 평균 복구 시간 (MTTR) 단축
확장성 향상
- 수평적 확장 (Scale-out) 지원
- 독립적인 셀 단위 확장으로 효율성 증대
- 트래픽 분산을 통한 성능 최적화
운영 효율성 개선
- 셀별 독립적 배포와 관리
- 팀 단위 소유권과 책임 분담
- 개발 및 운영 프로세스 간소화
핵심 개념
Cell-Based Architecture 의 개념들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파악해야 한다:
셀 (Cell) 의 정의
- 셀은 시스템의 기본 구성 단위로,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기능 단위
- 각 셀은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스택을 포함 (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계층)
- 셀 간에는 상태를 공유하지 않으며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 각 셀은 독립적으로 배포 및 운영이 가능해, 마이크로서비스 (Microservices) 와 유사한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적용이 용이.
장애 격리 (Fault Isolation)
- 선박의 격벽 (Bulkhead) 패턴을 적용한 개념
- 하나의 셀에서 발생한 장애가 다른 셀로 전파되지 않도록 차단
- 전체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이는 핵심 원리
분할 키 (Partition Key)
- 요청을 적절한 셀로 라우팅하기 위한 식별자
- 고객 ID, 리소스 ID, 지역 등이 분할 키로 사용됨
- 셀 간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
독립성과 자율성
- 각 셀은 독립적으로 배포, 확장, 관리 가능
- 셀별로 다른 기술 스택이나 버전 사용 가능
- 팀 단위의 소유권과 책임 부여
트래픽 분산
-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 와 셀 라우팅을 통해 각 셀에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
- 셀 라우팅 (Cell Routing): 요청을 적절한 셀로 분배하는 메커니즘.
실무 구현을 위한 연관 개념
컨테이너화와 오케스트레이션
- Kubernetes, Docker 를 활용한 셀 배포 및 관리
- 각 셀을 컨테이너 집합으로 구성하여 이식성 확보
- 자동 확장과 복구 메커니즘 구현
API 게이트웨이 패턴
- 셀의 진입점 역할을 하는 게이트웨이
- 인증, 인가, 라우팅, 모니터링 기능 제공
- 셀 간 통신의 제어점 역할
데이터 분할 전략
- 셀별 독립적인 데이터 저장소 구성
- 데이터 일관성과 트랜잭션 처리 방안
- 데이터 동기화 및 복제 전략
주요 기능 및 역할
트래픽 라우팅
- 셀 라우터를 통한 지능적 트래픽 분산
- 분할 키 기반 요청 처리
- 로드 밸런싱과 장애 조치
격리 및 보안
- 셀 간 네트워크 격리
- 독립적인 보안 정책 적용
- 데이터 격리와 접근 제어
모니터링 및 관찰성
- 셀별 독립적 모니터링
- 성능 지표 수집과 분석
- 장애 감지와 알림
특징
독립성 (Independence)
- 각 셀은 완전히 독립적으로 작동
- 셀 간 상태 공유 없음
- 독립적인 배포와 확장
자립성 (Self-Containment)
- 셀 내부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 포함
- 외부 의존성 최소화
- 완전한 기능 제공
격리성 (Isolation)
- 장애, 보안, 성능 격리
- 셀 간 격벽 역할
- 폭발 반경 (Blast Radius) 제한
확장성 (Scalability)
- 수평적 확장 지원
- 셀 단위 동적 확장
- 트래픽 기반 자동 확장
핵심 원칙
격벽 원칙 (Bulkhead Principle)
- 선박의 격벽과 같은 장애 격리
- 하나의 구역 실패가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음
- 피해 범위 최소화
독립성 원칙 (Independence Principle)
- 각 셀의 완전한 독립성 보장
- 셀 간 느슨한 결합
- 개별 셀의 생명주기 관리
분할 원칙 (Partitioning Principle)
- 명확한 분할 키 기반 데이터 분산
- 셀 간 최소한의 상호작용
- 데이터 소유권 명확화
투명성 원칙 (Transparency Principle)
- 클라이언트에게 셀 구조 숨김
- 단일 진입점 제공
- 셀 변경이 클라이언트에 영향 없음
주요 원리
항목 | 설명 |
---|---|
셀 단위 분리 (Self-contained Cells) | 시스템을 다수의 셀 (Cell) 로 분할하며, 각 셀은 자체적으로 서비스, 게이트웨이, 데이터 저장소를 포함하는 완전한 단위이다. |
기능 중복을 통한 독립성 확보 | 모든 셀은 동일한 기능 세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장애 격리 (Fault Isolation)**와 **독립적 확장 (Scalable Units)**이 가능하다. |
라우팅 기반 분산 처리 | 클라이언트 요청은 셀 라우터 (Cell Router) 를 통해 **분할 키 (예: 고객 ID, 지역, 테넌트 등)**를 기준으로 적절한 셀로 라우팅된다. 이는 데이터 파티셔닝 및 트래픽 샤딩의 기반이 된다. |
수평적 확장성 (Horizontal Scalability) | 새로운 셀을 추가함으로써 성능과 처리량을 수평적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특정 셀에만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유지보수 및 롤링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
서비스 격리 및 장애 범위 제한 | 특정 셀의 장애는 다른 셀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전체 시스템의 가용성과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는 멀티 테넌시 환경이나 고가용성 시스템에 매우 유리하다. |
셀 단위의 게이트웨이 및 데이터 저장소 | 각 셀은 자체 게이트웨이를 통해 요청을 처리하며, 해당 셀만 접근 가능한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또는 스토리지를 가진다. 이는 데이터 일관성과 보안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
graph TD A[클라이언트 요청] --> B[셀 라우터] B --> C[분할 키 분석] C --> D{라우팅 결정} D -->|고객 ID: 1-1000| E[셀 1] D -->|고객 ID: 1001-2000| F[셀 2] D -->|고객 ID: 2001-3000| G[셀 3] E --> H[게이트웨이 1] F --> I[게이트웨이 2] G --> J[게이트웨이 3] H --> K[마이크로서비스 집합 1] I --> L[마이크로서비스 집합 2] J --> M[마이크로서비스 집합 3] K --> N[데이터베이스 1] L --> O[데이터베이스 2] M --> P[데이터베이스 3]
클라이언트 요청이 셀 라우터에 도달하면 분할 키를 분석하여 적절한 셀로 라우팅된다. 각 셀은 독립적인 게이트웨이, 마이크로서비스 집합,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어 완전한 기능을 제공한다.
작동 원리 및 방식
요청 흐름 (Data Plane)
- 클라이언트 → Router: Partition Key 확인하여 매핑 조회.
- Router → 지정 Cell → LB 를 거쳐 Compute & DB 처리.
- 응답은 다시 Cell → Router → Client 순으로 전달.
셀 할당 및 확장
- Control Plane 이 셀 생성 명령 및 매핑 업데이트 수행.
- Router 가 매핑 반영 후 신규 cell 을 대상으로 트래픽 분산.
- 확장은 수평적 Scale-Out 방식으로 이루어짐.
Fault Isolation
- 특정 cell 장애 시 해당 partition 만 영향 → Blast Radius 최소화
- 동기식 호출 지양, 셀 간 통신은 비동기 메시지 큐 사용 권장
요청은 셀 라우터에서 분할 키를 기반으로 적절한 셀로 라우팅되고, 각 셀 내에서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 as 클라이언트 participant R as 셀 라우터 participant G1 as 게이트웨이 1 participant M1 as 마이크로서비스 1 participant D1 as 데이터베이스 1 participant H as 헬스체크 C->>R: 요청 (고객 ID: 500) R->>R: 분할 키 분석 R->>G1: 셀 1로 라우팅 G1->>G1: 인증/인가 G1->>M1: 비즈니스 로직 처리 M1->>D1: 데이터 조회/수정 D1->>M1: 응답 M1->>G1: 처리 결과 G1->>R: 응답 R->>C: 최종 응답 Note over H: 지속적 헬스체크 H->>G1: 상태 확인 G1->>H: 정상 상태
구조 및 아키텍처
Cell-Based Architecture 는 다음과 같은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graph TB subgraph "셀 기반 아키텍처" subgraph "제어 평면 (Control Plane)" CP[셀 프로비저닝] CM[셀 관리] CD[셀 해제] end subgraph "데이터 평면 (Data Plane)" subgraph "셀 라우터 계층" LB[로드 밸런서] RT[라우팅 로직] HM[헬스 모니터] end subgraph "셀 1" GW1[API 게이트웨이 1] subgraph "마이크로서비스" MS1[서비스 A] MS2[서비스 B] MS3[서비스 C] end DB1[데이터베이스 1] CACHE1[캐시 1] end subgraph "셀 2" GW2[API 게이트웨이 2] subgraph "마이크로서비스" MS4[서비스 A] MS5[서비스 B] MS6[서비스 C] end DB2[데이터베이스 2] CACHE2[캐시 2] end subgraph "셀 N" GWN[API 게이트웨이 N] MSN[마이크로서비스들] DBN[데이터베이스 N] CACHEN[캐시 N] end end subgraph "관리 평면 (Management Plane)" MON[모니터링] LOG[로깅] ALERT[알림] CONFIG[설정 관리] end end CP --> GW1 CP --> GW2 CP --> GWN LB --> GW1 LB --> GW2 LB --> GWN GW1 --> MS1 GW1 --> MS2 GW1 --> MS3 MS1 --> DB1 MS2 --> DB1 MS3 --> DB1 MS1 --> CACHE1 MON --> GW1 MON --> GW2 MON --> GWN
구성 요소 | 설명 | 주요 기능 |
---|---|---|
1. Cell Router (데이터 플레인) | 클라이언트 요청을 Partition Key에 따라 특정 Cell 로 라우팅 | - 라우팅 전용 경량 컴포넌트 - 비즈니스 로직 없음 - 고성능, 고신뢰성 보장 |
2. Cells (셀 단위 인스턴스) | 컴퓨팅, 로드밸런서, DB 등을 포함한 자율 실행 단위 | - 상태 비공유 - 최소 Cell 간 통신 - 독립 확장/격리 가능 |
3. Control Plane | 셀의 라이프사이클과 구성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 관리 컴포넌트 | - 셀 생성/삭제/이동 - Partition Mapping 관리 - Router 와 동기화 유지 |
4. Partition Mapping Store | Partition Key ↔ Cell 매핑 정보를 저장 | - Hashing 또는 저장소 (S3, DB 등) 기반 - Control Plane 에서 사용 |
5. Management Plane | 셀 단위의 관찰성 (Observability) 제공 | - 모니터링, 로그 수집, 경보 - 운영/관제 목적 |
구현 기법
카테고리 | 구현 기법 | 핵심 구성 요소 | 목적 | 비고 / 예시 |
---|---|---|---|---|
1. 셀 분할 전략 | Cell Partitioning | - 분할 키 설계 - 데이터 분포 기준 (ID, 지역 등)- 셀 수 설정 - 의존성 최소화 | 장애 격리, 트래픽 분산 | customer_id % n 또는 region → cell 기반 매핑 |
데이터 파티셔닝 | - 샤딩 알고리즘 Consistent Hashing- 데이터 복제/동기화 | 데이터 격리, 확장성 확보 | Consistent Hash Ring 을 통한 파티션 지정 | |
2. 라우팅 및 요청 분산 | Cell Routing Pattern | - 라우팅 키 추출 - 상태 기반 셀 선택 - 장애 조치 로직 - 로드 밸런싱 연계 | 요청 분산, 가용성 확보 | 건강하지 않은 셀 우회 처리 포함 |
라우팅 알고리즘 유형 | - 해시 기반 라우팅 - 지역 기반 라우팅 - 라운드로빈 등 | 효율적인 라우팅 및 트래픽 정책 구성 | Hash(customer_id) → Cell | |
3. 자동 확장 및 셀 관리 | Cell Auto-Scaling | - 메트릭 수집기 (CPU, 요청량 등)- 확장 정책 정의 - 셀 생성/제거 자동화 | 자원 탄력성, 비용 효율화 | HPA/VPA, 사용자 정의 스케일링 |
셀 생성/제거 오케스트레이션 | - 동적 생성 API- 신규 라우팅 반영 - 리소스 할당 정책 | 트래픽 변화에 빠른 적응 | Kubernetes 기반 셀 템플릿 동적 배포 | |
4. 운영 및 배포 전략 | 독립 배포 파이프라인 | - 셀 단위 CI/CD 구성 GitOps or ArgoCD- 셀 버전 관리 | 독립 배포, 롤백 유연성 확보 | 셀 간 충돌 없이 Canary 가능 |
모니터링 및 제어 평면 연동 | Health Check- 셀 상태 피드백 - 중앙 제어 (Controller) 연계 | 장애 대응, 셀 상태 추적 | Prometheus, Control Plane 연동 |
셀 분할 전략 (Cell Partitioning Strategy)
정의: 전체 시스템을 독립적인 셀로 분할하는 방법론
구성:
- 분할 키 선택
- 데이터 분산 방식
- 셀 크기 결정
- 셀 간 통신 최소화
목적: 효율적인 트래픽 분산과 장애 격리
실제 예시:
셀 라우팅 패턴 (Cell Routing Pattern)
정의: 클라이언트 요청을 적절한 셀로 전달하는 메커니즘
구성:
- 로드 밸런서
- 라우팅 로직
- 헬스 체크
- 장애 조치
목적: 효율적인 트래픽 분산과 가용성 보장
실제 예시:
|
|
데이터 파티셔닝 (Data Partitioning)
정의: 데이터를 셀별로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법
구성:
- 샤딩 전략
- 일관성 해시
- 데이터 복제
- 동기화 메커니즘
목적: 데이터 격리와 성능 최적화
실제 예시:
|
|
셀 자동 확장 (Cell Auto-Scaling)
정의: 트래픽 변화에 따라 셀을 자동으로 확장하는 메커니즘
구성:
- 메트릭 수집
- 확장 정책
- 셀 생성/삭제
- 트래픽 재분산
목적: 탄력적 확장과 비용 최적화
실제 예시:
|
|
장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
설계 유연성 | Fault Isolation (장애 격리) | 셀 단위 격리 구조로 인해 하나의 셀에 발생한 장애가 전체 시스템으로 전파되지 않음 |
독립적 버전 관리 및 배포 | 셀마다 CI/CD 적용이 가능해 서비스별로 릴리즈 주기와 전략을 독립적으로 가져갈 수 있음 | |
운영 효율성 | 운영 분리 및 팀 독립성 | 셀 별 운영 환경과 배포 파이프라인을 독립적으로 구성 가능 → 팀 단위 책임 분리 및 빠른 문제 해결 |
셀 단위 장애 대응 및 복구 | 각 셀은 독립적인 모니터링 및 복구 로직을 가질 수 있어 빠른 장애 대응이 가능 | |
확장성 및 탄력성 | 수평 확장성 (Scale-Out) | 특정 셀만 선택적으로 확장하거나, 기능 또는 지역 기반으로 분산 배치 가능 |
셀 기반 오토스케일링 | 셀 단위로 HPA/VPA 등 오토스케일링 정책을 적용하여 리소스 최적화 가능 | |
보안 강화 | 셀 경계 기반 보안 제어 | 각 셀에 독립된 인증·인가 체계를 적용해 최소 권한 원칙을 실현할 수 있음 |
정책 격리 및 공격 범위 제한 | 침해 사고 시 피해 범위를 해당 셀에 한정하여 blast radius 최소화 가능 | |
성능 최적화 | 트래픽 분산 및 로컬 최적화 | 셀을 지역, 고객, 도메인 기준으로 분산하여 지연 시간 감소 및 응답 성능 향상 |
네트워크 병목 최소화 | 셀 내 호출 우선으로 설계 가능해 내부 네트워크 부하 감소 | |
테스트 용이성 | 독립 테스트 및 QA 자동화 가능 | 셀 단위 테스트 환경 구축이 쉬워 개별 기능 검증 및 rollback 이 간편함 |
- 장애 격리와 확장성은 Cell Architecture 의 핵심 강점으로, 고가용성과 무중단 운영의 기반이 됨.
- 보안 및 테스트 전략에서도 셀 단위 분리가 리스크 분산과 대응 속도 향상에 효과적임.
- 클라우드 기반 대규모 서비스에서는 셀 단위로 고객, 지역, 도메인 등을 분할해 트래픽을 분산하고, 지연 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사용 중 (예: Netflix Cell, AWS Cell Routing).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분류 | 항목 | 설명 | 해결 방안 |
---|---|---|---|
구조적 | 아키텍처 복잡성 증가 | Router, Control Plane, Partition Mapping 등 구성요소 추가로 인한 복잡도 상승 | IaC 도입, 표준화된 셀 템플릿 설계, GitOps 적용 |
인프라 | 리소스 중복 및 비용 증가 | 각 셀이 컴퓨팅, DB, 캐시 등 독립 구성 → 인프라 자원 중복 | Cold Standby, Serverless, 셀 자원 공유 최소화 |
설계 | Partition Key 설계 난이도 | 부적절한 키 설계는 트래픽 불균형 (Hot Cell) 을 유발 | 해시 기반 파티셔닝, 트래픽 기반 동적 재파티셔닝 |
운영 | 운영 및 모니터링 복잡성 | 셀마다 별도의 메트릭, 로그, 트레이싱 구성 필요 | 통합 관찰 플랫폼 활용 (e.g., Prometheus, Grafana, Datadog) |
데이터 | 데이터 정합성 관리 어려움 | 셀 간 상태 공유 없음 → 동기화, 일관성 유지 어려움 | Eventual Consistency, Event Sourcing, CDC |
디버깅 | 분산 환경 디버깅 어려움 | 장애 원인 추적/디버깅이 셀 단위로 분산됨 | 분산 트레이싱, 통합 로깅, Correlation ID 활용 |
문제점
항목 | 원인 | 영향 | 탐지 및 진단 | 예방 방안 | 해결 방안 |
---|---|---|---|---|---|
Hot Cell 현상 | 트래픽 집중, 잘못된 분할 키 | 성능 저하, 레이턴시 증가 | Router 로그, APM 분석 | 해시 기반 키 설계, 균등 분할 | 셀 자동 스케일링, 트래픽 재분배 |
셀 간 데이터 불일치 | 상태 비공유, 동기화 실패 | 정합성 오류, UX 혼란 | 데이터 검증 Job, Audit Log | 단일 책임 셀 설계, 이벤트 소싱 | CDC, Conflict Resolution 전략 |
장애 감지 지연 | 셀 별 메트릭 격리, 헬스체크 누락 | SLA 저하, 대응 지연 | Prometheus, Alertmanager | 셀 상태 Heartbeat 전송 | 자동 장애 감지 및 Failover |
운영 오버헤드 증가 | 셀 수 증가 → DevOps 부담 증가 | 인적 오류, 유지 비용 상승 | 시간/비용 측정, 셀 운영 효율 분석 | IaC, Auto-healing | 운영 자동화 플랫폼 도입 |
카스케이드 실패 | 셀 간 강한 의존성 | 장애 전파 → 전체 시스템 영향 | 의존성 시각화, 실패율 추적 | 서킷 브레이커, 벌크헤드 패턴 | 장애 격리, 셀 간 비동기화 통신 |
라우팅 오류 | 매핑 테이블 불일치, 키 처리 오류 | 요청 누락, 잘못된 셀 전달 | 라우팅 로그, 에러율 모니터링 | 알고리즘 검증, Mapping Consistency 체크 | 재라우팅 로직 개선, Mapping Sync 구성 |
Hot Cell 현상
Hot Cell 현상은 Cell-Based Architecture 또는 샤딩 기반 분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리소스 불균형 문제 중 하나로, 특정 셀 (Cell) 에 트래픽이 집중되면서 과부하 상태가 되는 현상을 말한다.
Hot Cell 현상 정의
Hot Cell이란, 특정 Partition Key 범위 또는 특정 셀에 유난히 많은 트래픽이 몰려 셀 자원이 고갈되거나 응답 지연, 장애, 서비스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발생 원인
분류 | 원인 | 설명 |
---|---|---|
Partition 설계 | 정적 키 분할 | 고객 ID, 지역 등의 정적인 키 범위가 실제 트래픽 분포와 맞지 않음 (예: 고객 ID 1000~2000 번이 80% 요청 차지) |
데이터 편중 | 인기 리소스 집중 | 일부 리소스 (상품, 유저, 콘텐츠 등) 에 요청 집중 (ex. 인기 유저 페이지) |
시간 기반 트래픽 | 특정 시간대 셀 과부하 | 셀이 지역/시간대 기반으로 나뉘어 있을 때, 시간대에 따라 트래픽 급증 |
동적 트래픽 증가 | 이벤트 기반 요청 폭증 | 한 셀에 집중되는 이벤트성 트래픽 (예: 마케팅 캠페인, 실시간 채팅, 랭킹 요청 등) |
주요 증상
- 특정 셀 CPU, 메모리, IOPS 초과
- 해당 셀의 응답 지연 또는 타임아웃
- 장애까지는 아니어도 전체 시스템의 SLA 저하
- 비정상적인 셀 단위 메트릭 불균형
- 장애 감지는 어려우나 성능 저하가 체감됨
진단 방법
도구/기법 | 설명 |
---|---|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 셀 단위 트래픽/지연 시간/에러율 분석 (Datadog, NewRelic 등) |
Cell Router Log 분석 | 특정 Partition Key 범위에 요청이 집중되고 있는지 확인 |
Prometheus + Grafana | 셀별 CPU, 메모리, QPS, Latency 시각화 |
분산 트레이싱 | 특정 셀 또는 서비스 호출 경로에 병목 발생 여부 추적 (OpenTelemetry 등) |
예방 방법
전략 | 설명 |
---|---|
Hash 기반 Partitioning | 범위 기반 분할 대신 Consistent Hashing 등 무작위 해시를 이용해 트래픽 균등 분산 |
동적 파티셔닝 재조정 | 트래픽 분석 기반으로 셀 범위를 주기적으로 재설계 또는 재분배 |
트래픽 분산 전략 | 인기 API 에 대해 CDN, 캐시 계층, 읽기 복제본 도입 |
Rate Limiting + Quota | 셀당 QPS 제한, 사용자별 API 사용량 제한으로 과부하 방지 |
Prewarming + Autoscaling | 예상 트래픽 증가 시 사전 리소스 확보 또는 자동 셀 생성 |
해결 방법
대응 기법 | 설명 |
---|---|
셀 재분할 (Cell Split) | 트래픽 집중 셀을 쪼개어 새로운 셀로 분산 |
트래픽 재라우팅 | 실시간으로 특정 셀의 트래픽을 우회하거나 다른 셀로 재분산 |
셀 클러스터 스케일 아웃 | 해당 셀의 리소스를 확장 (Horizontal Scaling) |
핫 리소스 캐싱 | 인기 있는 데이터는 Redis, CDN 등에 미리 캐싱하여 셀 호출 감소 |
Failover 대응 | Hot Cell 과부하로 인한 장애 발생 시, 백업 셀로 빠르게 전환 |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 | 유형 | 설명 |
---|---|---|
구성 기준 (Deployment Scope) | Zonal Cell | 단일 가용 영역 (AZ) 내에서 셀을 구성. 네트워크 지연 최소화. 주로 개발·테스트 환경에 적합 |
Regional Cell | 하나의 리전 내 여러 AZ 에 걸쳐 구성. 가용성과 내결함성 확보에 유리 | |
Global Cell | 여러 지역에 분산 배치. 사용자 위치 기반 트래픽 처리에 유리. 지연 시간 최소화 | |
** 데이터 분할 기준 (Partitioning Strategy)** | Customer-based Cell | 고객 ID/테넌트 기반으로 분할. SaaS 환경, 멀티 테넌시 구조에 적합 |
Function-based Cell | 결제, 인증, 검색 등 도메인 또는 기능 단위로 분할. 모듈화/분리 배포에 유리 | |
Geolocation-based Cell | 국가, 대륙, 도시 등 지리적 기반으로 분할. 법적 규제 대응, 성능 최적화 목적 | |
라우팅 전략 (Routing Strategy) | Static Mapping | 고정 매핑 테이블 기반으로 셀 라우팅. 예측 가능하나 유연성 부족 |
Hash-based Routing | 사용자 ID 등 키 기반 해싱으로 셀 선택. 균등 분산에 유리 | |
Dynamic Routing | 현재 상태, 부하에 따라 실시간 라우팅. 고가용성 및 탄력성 강화 | |
서비스 운영 방식 (Service Composition) | Single-service Cell | 특정 서비스 전용 셀. 격리와 장애 영향도 최소화에 유리 |
Multi-service Cell | 여러 서비스가 함께 배치된 셀. 공유 인프라 기반 효율적 운영 가능 | |
** 데이터 일관성 전략 (Consistency Strategy)** | Shared-nothing | 셀 간 상태 완전 독립. 장애 전파 차단, 운영 격리 극대화 |
Partially Shared State | 인증 토큰, 공통 설정 등 일부만 공유. 유연성과 자원 최적화의 균형 |
- 구성 기준은 배포 단위를 기준으로 나누며, Global > Regional > Zonal 순으로 가용성과 복잡성이 증가.
- 데이터 분할 기준은 주로 사용자 식별자 (예: customer_id) 또는 기능 단위로 결정됨.
- 라우팅 전략은 유연성과 제어 가능성의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하며, 실시간성과 확장성 고려 필요.
- 서비스 운영 방식은 시스템 안정성 ↔ 자원 효율성 사이의 균형 설계에 영향을 줌.
- 일관성 전략은 시스템의 회복력과 상태 동기화 전략에 결정적 역할.
실무 사용 예시
업계/도메인 | 적용 목적 | 구현 방식 / 기술 스택 | 실질적 효과 |
---|---|---|---|
글로벌 서비스 | 트래픽 확장성, 장애 격리 | - 지역 기반 셀 구성 - CDN + 셀 라우팅 - Cloud Load Balancer | 지연 시간 감소, 장애 전파 방지, 글로벌 QoS 확보 |
금융/결제 시스템 | 보안 강화, 테넌시 격리 | - 거래 유형/테넌트 기반 셀 분리 - mTLS + RabbitMQ + Postgres | 민감 정보 보호, 트랜잭션 안전성, 규제 준수 |
전자상거래 (e-Commerce) | 고객 요청 분산, 개인화 | - 고객 ID 기반 Cell 분할 - GCP Pub/Sub + Redis Cluster | 트래픽 부하 분산, 서비스 연속성 확보, 개인화 최적화 |
스트리밍/콘텐츠 전송 | 지역 기반 분산, 실시간 QoS | - 지역 셀 구성 + 엣지 전송 경로 - CDN + Kubernetes | 실시간 스트리밍 안정성, 글로벌 응답 속도 최적화 |
소셜 미디어 | 사용자 세션 분리, 성능 확보 | - 사용자 그룹 기반 셀 구성 - Kafka 기반 메시지 분리 처리 | 성능 최적화, 사용자 격리로 장애 전이 차단 |
게임 서비스 | 게임 월드 분리, 세션 성능 유지 | - 게임 월드/서버별 셀 구성 - 오토스케일 + 상태 유지 처리 | 세션 안정성, 서버 간 독립성, 성능 스케일 확보 |
B2C SaaS 플랫폼 | 고객별 맞춤 스케일링 | - 고객 단위 셀 구성 - AWS EKS + Cell Router | 셀 단위 장애 범위 축소, 고객 기준 스케일 업/다운 |
고객지원/운영 시스템 | 조직별 업무 격리 및 유연한 배포 | - 부서별 셀 + API Gateway - Azure AKS | 부서별 장애 격리, 롤백/배포 속도 향상 |
활용 사례
사례 1: AWS 셀 기반 아키텍처 - Amazon EKS 기반 B2C 플랫폼
시스템 구성:
graph TD A[Client Request] --> B[Cell Router] B --> C1["Cell A (US-East)"] B --> C2["Cell B (EU-West)"] C1 --> D1["API Service + DB + Cache"] C2 --> D2["API Service + DB + Cache"] E[Partition Mapping DB] --> B
- 고객 위치 혹은 customer ID 에 따라 Cell A 또는 B 로 라우팅
- Cell 은 EKS 기반으로 구성되며 DB, Redis, API 서버 포함
- Partition Mapping DB 는 DynamoDB 로 구성되어 실시간 routing 데이터 제공
Workflow:
- Client 가 요청
- Cell Router 는 Partition Key 로 Cell 을 결정
- 해당 Cell 의 API 가 처리
- 결과를 Client 에 응답
역할 및 비교:
항목 | Cell-Based 미적용 | Cell-Based 적용 |
---|---|---|
장애 확산 | 전체 서비스 영향 | 특정 Cell 격리 |
트래픽 증가 | 전체 시스템 확장 필요 | Cell 개별 확장 |
고객별 SLA | 통합 처리 불가 | 고객 그룹별 SLA 가능 |
사례 2: 구글의 셀 기반 아키텍처 적용 사례
시스템 구성: 여러 데이터센터에 동일 구조의 셀 배치, 각 셀은 자체 서비스와 데이터 저장소 보유
graph TD User(사용자) --> LB(로드 밸런서) LB --> CellA(셀 A) LB --> CellB(셀 B) CellA --> ServiceA(서비스) CellA --> DataA(데이터) CellB --> ServiceB(서비스) CellB --> DataB(데이터)
워크플로우: 사용자의 요청은 로드 밸런서를 통해 특정 셀로 전달, 셀 내부에서 서비스 처리
역할: 장애 발생 시 해당 셀만 격리, 전체 서비스는 정상 운영
차이점: 셀 기반 아키텍처 미적용 시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확산, 적용 시 장애가 국지적으로 제한됨
사례 3: Amazon Prime Video 의 Cell-Based Architecture 적용
Amazon Prime Video 는 대규모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해 Cell-Based Architecture 를 도입했다. 이 사례는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 셀 기반 아키텍처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다.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Amazon Prime Video Cell-Based Architecture" subgraph "글로벌 라우터" GLB[Global Load Balancer] GR[Geographic Router] end subgraph "북미 슈퍼셀" subgraph "셀 1 (서부)" GW1[API Gateway] VS1[Video Service] MS1[Metadata Service] US1[User Service] CDN1[CDN Edge] DB1[Database] end subgraph "셀 2 (동부)" GW2[API Gateway] VS2[Video Service] MS2[Metadata Service] US2[User Service] CDN2[CDN Edge] DB2[Database] end end subgraph "유럽 슈퍼셀" subgraph "셀 3 (서유럽)" GW3[API Gateway] VS3[Video Service] MS3[Metadata Service] US3[User Service] CDN3[CDN Edge] DB3[Database] end end subgraph "아시아 슈퍼셀" subgraph "셀 4 (동아시아)" GW4[API Gateway] VS4[Video Service] MS4[Metadata Service] US4[User Service] CDN4[CDN Edge] DB4[Database] end end end GLB --> GR GR --> GW1 GR --> GW2 GR --> GW3 GR --> GW4 GW1 --> VS1 GW1 --> MS1 GW1 --> US1 VS1 --> CDN1 MS1 --> DB1 US1 --> DB1
Workflow:
- 사용자가 비디오 시청 요청을 전송
- 글로벌 로드 밸런서가 지리적 라우터로 전달
- 지리적 라우터가 사용자 위치 기반으로 최적 셀 선택
- 선택된 셀에서 비디오 스트리밍 처리
- CDN 을 통해 사용자에게 콘텐츠 전달
Cell-Based Architecture 의 역할:
- 지역별 최적화: 각 지역의 네트워크 특성과 규제 요구사항에 맞춤
- 장애 격리: 한 지역의 장애가 다른 지역에 영향을 주지 않음
- 확장성: 지역별 트래픽 증가에 따른 독립적 확장
- 성능 최적화: 지역별 CDN 과 연계하여 지연 시간 최소화
Cell-Based Architecture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분 | 기존 모놀리식 | Cell-Based Architecture |
---|---|---|
장애 영향 | 전체 서비스 중단 | 특정 지역만 영향 |
확장성 | 전체 시스템 확장 필요 | 지역별 독립적 확장 |
성능 | 글로벌 단일 엔드포인트 | 지역별 최적화된 성능 |
운영 | 중앙 집중식 관리 | 지역별 독립적 관리 |
배포 | 전체 시스템 배포 | 지역별 독립적 배포 |
구현 예시:
- Amazon Prime Video 와 유사한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Cell-Based Architecture 구현 예시:
|
|
이 구현 예시는 다음과 같은 Cell-Based Architecture 의 핵심 기능들을 보여줍니다:
- 셀 라우팅: 사용자 지역과 부하 상태를 고려한 최적 셀 선택
- 장애 격리: 개별 셀의 장애가 다른 셀에 영향을 주지 않음
- 부하 분산: 일관성 해시와 부하 상태를 고려한 트래픽 분산
- 헬스 모니터링: 주기적인 셀 상태 확인과 자동 장애 조치
- 지역별 최적화: 사용자 위치 기반 최적 셀 선택
구현 예시
Python - Cell Router Simulation
|
|
역할 설명:
partition_map
: 실시간 매핑 DB 의 간단한 시뮬레이션get_cell_for_customer
: 실제 라우터에서 Partition Key 를 매핑하는 핵심 로직- 실무에서는 이 매핑 정보를 Redis, DynamoDB 또는 Postgres 로 구성하고 캐싱 전략을 병행
Cell-Based Architecture vs. Microservices Architecture 비교
비교 항목 | Cell-Based Architecture | Microservices Architecture |
---|---|---|
단위 | 여러 마이크로서비스 + 인프라 + 상태가 포함된 독립 단위 (셀) | 독립적인 비즈니스 기능 단위의 서비스 |
격리 수준 | 인프라, 상태, 서비스 모두 격리 | 주로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격리 |
장애 영향 범위 (Blast Radius) | 셀 단위로 제한 (격리 우수) | 네트워크/데이터 공유로 인해 확산 가능 |
확장성 | 셀 단위 수평 확장 (tenant, region 등) | 서비스 단위 확장 (기능 중심) |
복잡도 | 라우팅, 파티셔닝, 데이터 일관성 등 아키텍처 복잡 | 서비스 간 통신, DB 공유 등 복잡도 있음 |
관찰 가능성 (Observability) | 셀 단위 모니터링 필요 (cross-cell tracing 복잡) | 서비스 단위 tracing 주로 사용 |
운영 자동화 | 셀 생성, 배포, failover 자동화 필요 | 서비스 배포 및 모니터링 집중 |
사용 예시 | SaaS 멀티테넌트 플랫폼, 글로벌 확장 서비스 | 기능 중심 모듈화된 일반 서비스 아키텍처 |
- Microservices는 " 기능 분리 " 중심이고,
- Cell-Based는 " 격리, 독립성, 영향 범위 축소 " 에 집중된 고차원 분산 구조이다.
→ 대규모 트래픽 처리, 멀티테넌시, 글로벌 확장 등에서는 Cell-Based 가 적합하다.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카테고리 | 고려 항목 | 주요 설명 | 권장 사항 및 전략 |
---|---|---|---|
셀 설계 및 분할 | 셀 크기 및 분할 기준 | 트래픽, 데이터 볼륨, 팀 조직 구조 기반으로 셀 단위 결정 | 사용자/도메인 기준 파티셔닝, 샤딩 고려 |
Partition Key 설계 | 해시 기반 라우팅 또는 ID 기반 파티셔닝 설계 필요 | 균등 분산 가능하고 일관된 키 선택 | |
데이터 일관성 관리 | 셀 간 데이터 동기화 | 이벤트 기반 동기화 또는 eventual consistency 전략 적용 | Kafka, CDC, CQRS 활용 |
데이터 일관성 모델 | 강한 일관성 vs. 최종 일관성 선택은 업무 특성에 따라 달라짐 | 정합성 요구에 따라 패턴 조합 | |
통신 및 네트워크 | 셀 간 통신 최적화 | 네트워크 레이턴시 증가 방지 및 셀 간 호출 최소화 | 비동기 메시징, 로컬 우선 캐싱 |
Circuit Breaker 적용 | 장애 셀로의 전파 차단 및 리소스 보호 | 서킷 브레이커 + 재시도 전략 병행 | |
모니터링 및 관찰성 | 셀 단위 모니터링 구성 | 각 셀의 상태 및 성능을 개별 단위로 추적 가능해야 함 | Prometheus, ELK, Grafana |
장애 감지 및 격리 | 셀 단위로 장애 탐지 및 자동 격리 필요 | 헬스체크 + 자동 리라우팅 | |
분산 추적 및 디버깅 | 셀 간 요청 흐름 파악 어려움으로 Observability 필수 | OpenTelemetry, Jaeger | |
보안 및 경계 제어 | 셀 간 인증/인가 관리 | 셀 별 인증 체계 구성 및 인증정보 공유 필요 | mTLS, JWT, OAuth2, RBAC |
표준 보안 프레임워크 적용 | 셀의 보안 일관성 및 유지관리 용이성 확보 | Zero Trust Architecture | |
테스트 전략 | 셀 단위 테스트 환경 구성 | 각 셀을 독립적으로 테스트 가능한 환경 필요 | Contract Testing, Canary Deploy |
테스트 자동화 | 서비스 독립성 유지하면서도 배포 전 품질 확보 | GitOps + 테스트 파이프라인 구성 | |
운영 자동화 및 DevOps | IaC 기반 셀 구성 자동화 | 코드 기반으로 셀 전체를 구성 및 재현 가능 | Terraform, Pulumi |
배포 자동화 및 분리 | 셀 단위 CI/CD 파이프라인으로 장애 범위 최소화 | GitOps, Blue-Green, Rolling 배포 | |
Auto-Scaling | 셀 단위로 HPA/VPA 적용해 부하에 따른 리소스 조절 | 수요 기반 확장 정책 정의 |
- 운영 자동화는 반드시 IaC + GitOps와 함께 설계되어야 하며, 이는 장애 복원력 + 민첩성을 함께 확보하는 구조적 기반이 됨.
- 통신 전략은 반드시 latency 관리와 장애 전파 차단을 병행 고려해야 하며, 서킷 브레이커 + 비동기 메시징의 병용이 권장됨.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최적화 항목 | 주의점 또는 한계 | 권장 전략 / 설계 방향 |
---|---|---|---|
** 아키텍처 설계 최적화** | 셀 크기 조정 (Cell Sizing) | 셀을 과도하게 작게 나누면 오히려 오버헤드 증가 | 도메인 기반 설계 (DDD), 트래픽/격리 단위 고려한 적절한 사이징 |
Cell 배포 전략 분리 | CI/CD 복잡도 증가, 배포 실패로 전체 영향 가능성 있음 | 셀 단위 GitOps 또는 ArgoCD 도입으로 자동화 | |
라우팅 구조 최적화 | 과도한 복잡도나 라우팅 지연 | Hash-based Routing + Path-Aware Logic 조합 | |
** 리소스/비용 최적화** | 셀 수량/구성 조정 | 고정 셀 수 유지 시 리소스 낭비 | 트래픽 기반 동적 생성 (predictive provisioning) |
컴퓨팅 리소스 최적화 | 과잉 프로비저닝 또는 병목 | CPU/MEM 리밋 설정, Request/Limit 밸런스 최적화 | |
공통 인프라 통합 | 중복 컴포넌트로 관리 비용 증가 | 관찰성, 보안, 인증, 로그 수집 등은 공통 셀 외부로 분리 설계 | |
성능 최적화 | Router 병목 해소 | 고복잡도 라우터 로직은 응답 지연 원인 | Stateless Router + LRU 캐시 적용 |
캐시 전략 설계 | TTL 또는 동기화 실패 시 일관성 문제 | 계층형 캐싱 + TTL 제어 + Cache-Aside 패턴 적용 | |
확장성 확보 | Auto-scaling 구조화 | 셀 단위 스케일링이 느릴 경우 대응 지연 | HPA (Pod), VPA (Node), DB Sharding 을 조합하여 다층 스케일링 |
셀 동적 생성/제거 | 예기치 못한 셀 증식으로 인한 혼란 | 이벤트 기반 오토스케일링 + 사전 예측 기반 배치 (Predictive scale) | |
** 장애 복원력 확보** | Failover 및 Self-healing | 특정 셀 장애가 전체로 확산 가능성 | Standby Cell 준비 + Readiness Probe + Circuit Breaker 적용 |
Blast Radius 최소화 | 셀 간 의존 관계가 존재할 경우 의미 없음 | 도메인 완전 분리 + DB 격리 + 장애 격리 테스트 (Chaos Engineering) | |
** 운영 자동화 및 제어** | 헬스체크 및 관찰성 확보 | 셀 상태 모니터링 누락 시 대응 지연 | Prometheus, Jaeger, FluentBit 등 통한 관찰 가능성 확보 |
Control Plane 설계 | 지나치게 중앙화된 제어는 SPOF 로 작용 | 제어 평면은 이중화 + ReadOnly fallback 지원 설계 |
- 작게 나눌수록 좋다? → ❌ 오히려 운영 오버헤드 증가. 도메인 경계 + 트래픽 기반 최적 크기 필요
- 자동 확장만으로 충분한가? → ❌ 확장 타이밍 예측 실패 시 서비스 지연. 예측 기반 확장이 핵심
- 라우팅이 단순하면 충분한가? → ❌ 캐시/라우팅/라우터 병목도 병렬 최적화 대상
- 장애 회복은 일시적 조치가 아닌가? → ❌ Self-healing, Redundancy, Blast Isolation까지 포함되어야 완전한 설계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아키텍처 설계 | 셀 기반 분산 시스템 | 장애 격리 (Fault Isolation) | 셀 단위 장애 분리로 시스템 전체 영향 최소화. Blast Radius 감소 목적. |
라우팅 전략 | Partition Key 기반 해시 라우팅을 통해 트래픽을 특정 셀로 분배 | ||
데이터 일관성 모델 | 셀 간 데이터 복제를 전제로 한 eventual consistency 전략 적용 | ||
운영 자동화 | 스케일링 | 오토스케일링 (Auto Scaling) | 트래픽 부하에 따라 셀 단위로 동적 확장/축소 수행 |
배포 전략 | Canary / Blue-Green 배포 | 셀 단위 배포 시 오류 최소화를 위한 점진적 배포 전략 적용 | |
제어 계층 구성 | Control Plane / Data Plane | 제어 평면은 셀 배포/정책 관리, 데이터 평면은 트래픽 처리 담당 | |
데이터 관리 | 스토리지 분산 | Sharding / Partitioning | 셀 단위로 분산된 DB 구성. 사용자/리소스 기반 파티셔닝으로 확장성 확보 |
캐싱 계층 | Redis / Memcached | 셀 내부 처리 속도 향상을 위한 인메모리 캐싱 구조 | |
데이터 이벤트 | CDC / Event Sourcing |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저장하거나, DB 변경을 이벤트로 전파 (비동기 데이터 흐름) | |
보안 및 인증 | 셀 간 통신 보안 | mTLS + SPIFFE | 셀 간 보안 통신을 위한 상호 인증 및 서비스 아이덴티티 기반 인증체계 |
API 인증/인가 | OAuth2 / JWT | 셀 내부 또는 외부 API 요청에 대한 인증·인가 처리 | |
모니터링 및 관찰성 | 메트릭 수집 | Prometheus / Grafana | 셀의 자원 사용량, 요청 수, 응답 시간 등 실시간 성능 지표 수집 |
분산 추적 | Jaeger / Zipkin | 셀 간 요청 흐름 추적 및 병목 지점 분석을 위한 트레이싱 | |
로그 통합 수집 | ELK Stack / Fluentd | 셀별 로그를 통합 저장·분석하여 장애 원인 파악 및 감시 강화 | |
클라우드/구현 기술 |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 Kubernetes | 셀 컨테이너의 배포/스케일링/복구를 담당하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
서버리스 실행 환경 | AWS Lambda / Azure Functions | 셀 내부 마이크로서비스 기능을 FaaS 기반으로 경량 실행 | |
비동기 메시징 | Kafka / RabbitMQ | 셀 간 비동기 이벤트 전달을 위한 메시지 브로커 구성 |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핵심 항목 | 설명 및 학습 포인트 |
---|---|---|---|
분산 시스템 이론 | CAP 이론 | Consistency, Availability, Partition Tolerance | 셀 간 통신 설계 및 데이터 분산 시 발생하는 트레이드오프 이해 |
합의 알고리즘 | Raft, Paxos | 셀 내부 또는 셀 간 상태 동기화 및 장애 복구 시 활용 | |
아키텍처 패턴 | Fault Isolation | Bulkhead, Blast Radius | 장애를 셀 단위로 격리하여 전파 방지하는 설계 전략 |
Event-Driven Architecture | 이벤트 기반 통신 모델 | 셀 간 비동기 통신, 느슨한 결합, 장애 허용성 향상 | |
CQRS / Event Sourcing | Command-Query Responsibility 분리 | 상태 변경과 조회 분리로 확장성과 일관성 향상 | |
네트워킹 & 라우팅 | 서비스 라우팅 | Cell-aware Routing (Partition 기반) | 셀 간 요청을 지역적으로 라우팅하여 지연 최소화 |
서킷 브레이커 | Circuit Breaker, Retry, Timeout | 셀 간 통신 장애 대응을 위한 탄력성 패턴 | |
데이터 처리 및 일관성 | 데이터 샤딩 | Key-based Partitioning | 셀 단위 데이터 분산 저장 및 처리 확장성 확보 |
최종 일관성 | Eventual Consistency | 글로벌/다중 셀 환경에서 데이터 동기화 전략 | |
Cross-cell Sync | Kafka, Change Data Capture 등 활용 | 셀 간 상태 전파 및 정합성 보장 메커니즘 | |
운영 자동화 및 DevOps | 인프라 자동화 | Terraform, Pulumi, CloudFormation | 셀 인프라의 선언적 정의 및 자동 구축 |
배포 자동화 | GitOps, CI/CD per Cell | 셀 단위의 독립 배포, 롤백 및 검증 가능한 파이프라인 구성 | |
오토스케일링 | HPA/VPA, Cell-based Scaling | 트래픽 또는 지표 기반 동적 확장 제어 | |
모니터링 & 관찰성 | 분산 추적 및 로깅 | OpenTelemetry, Jaeger, ELK | 셀 간 흐름 추적, 문제 분석, SLA 관리 |
메트릭 기반 자동 대응 | Prometheus, Grafana | 성능 변화 탐지 및 자동 조치 기반 시스템 구축 | |
보안 및 경계 관리 | 인증 및 인가 | API Gateway + JWT, mTLS | 셀 간 호출 인증/권한 분리 및 통신 암호화 |
Zero Trust Architecture | 경계 기반 보안모델 | 셀을 독립적 보안 경계로 간주하여 내부/외부 구분 없음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기본 개념 | Cell (셀) | 독립적인 기능 단위로, 서비스, 데이터 저장소, 실행 환경을 포함하는 최소 배포 단위. 장애 격리와 확장성 확보에 유리 |
Supercell (슈퍼셀) | 여러 셀 (Cell) 을 그룹화한 상위 계층의 배포 단위. 글로벌 리전, 멀티 리전 구성 시 사용 | |
Bulkhead (격벽) | 하나의 셀 또는 컴포넌트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격리하는 설계 패턴 | |
Blast Radius (폭발 반경) | 장애 발생 시 영향을 받는 범위. 격리 설계로 줄이는 것이 목표 | |
아키텍처 구성 요소 | Control Plane (제어 평면) | 셀의 생성, 배포, 스케일링, 정책 적용 등을 담당하는 관리 계층 |
Data Plane (데이터 평면) | 실제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고 서비스 로직이 실행되는 계층 | |
Cell Router (셀 라우터) | 요청을 적절한 셀로 전달하고, 인증·경로 결정을 처리하는 컴포넌트 | |
트래픽 및 라우팅 | Partition Key (분할 키) | 요청을 어떤 셀에 전달할지를 결정하는 해시 기반 식별자 (예: 사용자 ID) |
Hash-based Routing | 분할 키를 기반으로 셀 또는 노드에 요청을 분산시키는 방식 | |
Load Balancer (로드 밸런서) | 여러 셀에 걸쳐 트래픽을 균등 분산시키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장치 | |
데이터 및 일관성 | Sharding (샤딩) | 데이터를 수평적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셀 또는 DB 노드에 분산 저장하는 기법 |
Eventual Consistency (최종 일관성) | 분산 시스템에서 시간이 지나면 일관성이 수렴됨을 보장하는 일관성 모델 | |
Event Sourcing (이벤트 소싱) | 상태를 이벤트 로그로 관리하여 변경 내역 추적 및 복원이 가능한 아키텍처 패턴 | |
CDC (Change Data Capture) | 데이터베이스 변경 사항을 감지하고 이벤트로 발행하는 데이터 동기화 기법 | |
운영 및 자동화 | Auto Scaling (자동 확장) | 트래픽 변화에 따라 셀 또는 노드 수를 자동 조정하여 리소스를 최적화하는 기능 |
Health Check (헬스체크) | 셀 또는 서비스의 정상 동작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메커니즘 | |
Failover (장애 조치) | 셀이 비정상일 경우 다른 정상 셀로 트래픽을 우회 전환하는 기능 | |
Canary Deployment (카나리 배포) | 일부 셀에만 새로운 버전을 먼저 배포하여 문제 여부를 점검하는 점진적 배포 전략 | |
보안 및 인증 | mTLS (Mutual TLS) | 셀 간 통신 시 상호 인증을 통해 보안을 강화하는 암호화 프로토콜 |
Circuit Breaker (서킷 브레이커) | 장애 발생 시 셀 또는 서비스 호출을 차단하여 장애 확산을 방지하는 안정성 패턴 | |
클라우드 인프라 | Region / Availability Zone (AZ) | 지리적 위치 또는 물리적 격리에 기반한 리소스 배치 단위로, 셀의 이중화나 재해 복구 구성에 사용 |
참고 및 출처
-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 Cell-Based Architecture
- How Cell‑Based Architecture Enhances Modern Distributed Systems – InfoQ
- Exploring Cell‑Based Architecture vs Microservices – TechTarget
- Grokking Cell‑Based Architecture: Comprehensive Guide – DZone
- Cell‑Based Architecture: New Decentralized Approach for Cloud‑Native Patterns – The New St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