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 Isolation

트랜잭션 격리 (Transaction Isolation) 는 ACID 속성 중 ‘I’ 에 해당하며,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랜잭션 간 상호작용을 제어한다.

ANSI/ISO SQL 표준은

구현 방식에는 MVCC, 2PL, Snapshot Isolation 등이 있으며, 낮은 수준은 성능을 높이지만 일관성을 약화시키고, 높은 수준은 그 반대다.

현대 분산 트랜잭션 환경에서는 SAGA, 2PC, Eventual Consistency 등과 결합해 요구사항에 맞춘 성능·정합성 균형을 설계하며, NoSQL·클라우드 환경에서도 필수 고려 요소로 작용한다.

핵심 개념

동시성 이상 현상 (Concurrency Anomalies)

이상 현상정의/발생 조건대표 예시발생 가능 격리 수준 (일반론)표준 차단 레벨 (ANSI 관점)주요 방지 전략 (실무)엔진별 주의 (요약)
Dirty Read타 트랜잭션의 미커밋 변경을 읽음취소될 금액을 읽어 잔액/보고 반영RURC 이상최소 Read Committed 사용대부분 엔진이 RC 기본 (PSQL/SQL Server), MySQL 은 RR 기본
Non-repeatable Read같은 트랜잭션 내 동일 행 재조회 시 값 변동재조회한 상품 가격/재고가 바뀜RU, RCRR 이상RR/트랜잭션 스냅샷, 필요 시 행 잠금 (FOR UPDATE)PG 의 REPEATABLE READ=스냅샷 읽기 (행 값 재조회 일관)
Phantom Read같은 조건 재조회 시 새/사라진 행으로 집합 변동범위 집계에 중간 삽입 행이 끼어듦RU, RC, RR(표준)Serializable범위/프리디킷 잠금(InnoDB Next-Key/GAP), Serializable/SSI, 인덱스 설계InnoDB RR은 Next-Key 로 사실상 차단. PG는 **Serializable(SSI)** 에서 차단
Lost Update동시 갱신이 충돌하며 한쪽 변경 소실동시 재고 차감 중 하나가 덮여씀RU, RC, (RR 에서도 가능)표준 현상 목록 밖 (설계 이슈)X- 락/행 잠금, 조건부 갱신 (버전 필드/WHERE … AND version=…), first-committer-wins(SI)다수 엔진의 SI/RCSI는 write-write 충돌 시 한쪽 커밋 실패 처리 (소실 방지)
Write Skew서로 다른 행을 스냅샷 기반으로 검증→각자 갱신하여 글로벌 제약 위반" 최소 1 명 on-call" 규칙이 동시 퇴근 처리로 깨짐Snapshot 계열 (SI/RCSI, PG 의 RR)SerializableSerializable/SSI, SELECT … FOR UPDATE로 관련 행 묶기, 제약/트리거(검증)PG: RR 에서 발생 가능, **Serializable(SSI)** 로 차단. InnoDB: 상황 따라 프리디킷/범위락으로 완화 가능

해석 팁

  • 발생 가능 격리 수준은 일반 경향이며, **" 엔진 구현 “**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Phantom/Write Skew).
  • SI/RCSI: 읽기 성능 우수, Lost Update는 보통 막지만 Write Skew는 남는다 → 핵심 규칙 구간만 Serializable/락 강화.

ANSI 표준 격리 수준과 현상 허용/차단

격리 수준Dirty ReadNon-repeatable ReadPhantom Read표준 설명구현·주의 (대표 DBMS)
Read Uncommitted (RU)허용허용허용미커밋 데이터도 읽을 수 있는 최저 격리. ([위키백과][2])PostgreSQL 은 RU 를 RC 로 매핑 (사실상 RC). ([PostgreSQL][1])
Read Committed (RC)차단허용허용읽을 때마다 " 그 순간 커밋된 " 데이터만 보장. 재조회 시 값/집합 변동 가능. ([위키백과][2])SQL Server(RCSI ON): RC 를 문장 스냅샷로 구현 (Dirty 차단, 읽기 - 쓰기 비차단) 이나 트랜잭션 재조회 시 변동 가능. ([Microsoft Learn][6], [SQLPerformance.com][7])
Repeatable Read (RR)차단차단허용 (표준)같은 행 재조회 일관성은 보장되나 범위 삽입/삭제는 막지 못함 (표준 정의). ([위키백과][2])InnoDB RR: Next-Key/GAP 잠금으로 팬텀까지 사실상 차단. PG RR: 스냅샷 일관 (팬텀/Write Skew 가능). ([MySQL Developer Zone][3], [PostgreSQL 위키][4])
Serializable차단차단차단동시 실행 결과가 어떤 직렬 순서와 동일. 표준 상 최상위 격리. ([PostgreSQL][1])PostgreSQL: SSI로 충돌 그래프 기반 차단 (Write Skew/팬텀 포함). SQL Server: 전통적 직렬화 (HOLDLOCK 등). ([PostgreSQL][1], [Microsoft Learn][5])

보충 메모

  • InnoDB 의 팬텀 차단: 인덱스 범위에 대해 Next-Key(=레코드 잠금 + 갭 잠금) 을 부여하여 범위 내 삽입을 봉쇄.
  • SQL Server 스냅샷 계열: RCSI(문장 스냅샷, 기본 RC 의 구현 변화) vs SNAPSHOT(트랜잭션 스냅샷). 전자는 재조회 시 값/집합 변동 가능, 후자는 트랜잭션 동안 고정된 스냅샷을 읽음. 둘 다 버전 스토어 비용이 따른다.

동시성 제어 기법

Write Skew

” 회의실 예약 " 비유

  • 규칙: 항상 한 개 이상의 회의실은 비워둬야 함
  • 두 사람이 동시에 예약 페이지를 열었더니, 두 개의 회의실이 비어 있음
  • 둘 다 " 괜찮네 " 하고 각자 다른 회의실을 예약
  • 예약을 동시에 완료 → 결과적으로 회의실이 하나도 안 남음
왜 Snapshot Isolation 에서 발생하나?
병원 예시 (시각화 버전)

규칙: 최소 한 명 이상 당직 상태여야 함 (on_call = TRUE 가 최소 한 명)

doctor_idon_call
1TRUE
2TRUE
트랜잭션 흐름

T1 (의사 1 퇴근 요청):

  1. 스냅샷 읽기 → 당직자 2 명 있음 → 규칙 통과
  2. UPDATE doctors SET on_call = FALSE WHERE doctor_id = 1
  3. 커밋 준비

T2 (의사 2 퇴근 요청):

  1. 스냅샷 읽기 → 당직자 2 명 있음 → 규칙 통과
  2. UPDATE doctors SET on_call = FALSE WHERE doctor_id = 2
  3. 커밋 준비
%% Write Skew 타임라인 (Snapshot Isolation, MVCC)
sequenceDiagram
    autonumber
    participant T1 as 트랜잭션 T1<br/>(의사1 퇴근)
    participant T2 as 트랜잭션 T2<br/>(의사2 퇴근)
    participant DB as DB<br/>(MVCC / Snapshot Isolation)

    Note over DB: 초기 상태 (t0):<br/>doctor(1)=TRUE, doctor(2)=TRUE

    rect rgba(240,240,255,0.6)
    Note over T1,T2: 동시 실행 구간 (서로 다른 행을 수정 → 직접 충돌 無)

    T1->>DB: BEGIN (스냅샷 시점 = t0)
    T2->>DB: BEGIN (스냅샷 시점 = t0)

    T1->>DB: SELECT COUNT(*) WHERE on_call=TRUE
    DB-->>T1: 2  ▶ 규칙 충족(최소 1명 on_call)
    T2->>DB: SELECT COUNT(*) WHERE on_call=TRUE
    DB-->>T2: 2  ▶ 규칙 충족(최소 1명 on_call)

    %% 서로 다른 행을 수정하므로 락 경합이 발생하지 않음
    T1->>DB: UPDATE doctors SET on_call=FALSE<br/>WHERE doctor_id=1
    T2->>DB: UPDATE doctors SET on_call=FALSE<br/>WHERE doctor_id=2

    T1->>DB: COMMIT
    DB-->>T1: OK
    T2->>DB: COMMIT
    DB-->>T2: OK
    end

    Note over DB: 최종 상태:<br/>doctor(1)=FALSE, doctor(2)=FALSE<br/><b>→ 규칙 위반 (on_call 최소 1명 보장 실패)</b><br/>(동일 스냅샷 기반 검증으로 인한 <b>Write Skew</b>)
최종 결과
doctor_idon_call
1FALSE
2FALSE

규칙 위반: 당직자가 0 명

발생 조건
해결 방법
  1. Serializable Isolation → 읽기 - 쓰기 충돌 감지 후 하나 롤백
  2. SELECT … FOR UPDATE → 읽기 시점에 잠금 걸어 다른 트랜잭션의 변경 차단
  3. DB 제약조건 추가 → CHECK, 트리거 등으로 강제 검증
Serializable(SSI)
%% Write Skew 방지: Serializable Snapshot Isolation(SSI)
sequenceDiagram
    autonumber
    participant T1 as 트랜잭션 T1<br/>(의사1 퇴근)
    participant T2 as 트랜잭션 T2<br/>(의사2 퇴근)
    participant DB as DB(SSI)<br/>(충돌 그래프 감지)

    Note over DB: 초기(t0): doctor(1)=TRUE, doctor(2)=TRUE

    rect rgba(240,240,255,0.6)
    Note over T1,T2: 동시 실행 (스냅샷은 동일, 서로 다른 행 수정)
    T1->>DB: BEGIN (스냅샷=t0)
    T2->>DB: BEGIN (스냅샷=t0)

    T1->>DB: SELECT COUNT(*) WHERE on_call=TRUE
    DB-->>T1: 2 (규칙 통과)
    T2->>DB: SELECT COUNT(*) WHERE on_call=TRUE
    DB-->>T2: 2 (규칙 통과)

    T1->>DB: UPDATE doctors SET on_call=FALSE WHERE doctor_id=1
    T2->>DB: UPDATE doctors SET on_call=FALSE WHERE doctor_id=2

    %% 커밋 시점 충돌 탐지
    T1->>DB: COMMIT
    DB-->>T1: 준비됨(확정 대기)
    T2->>DB: COMMIT
    DB-->>T2: 충돌 그래프 사이클 감지 ▶ 롤백(Serialization failure)
    end

    Note over DB: 최종 상태: doctor(1)=FALSE, doctor(2)=TRUE<br/>→ 규칙 유지(최소 1명 on_call)

둘 다 업데이트를 했더라도 커밋 시점에 SSI 가 읽기 - 쓰기 의존성 그래프에서 사이클을 감지해 한쪽을 실패시키므로 규칙 위반이 발생하지 않는다.

SELECT … FOR UPDATE
%% Write Skew 방지: SELECT ... FOR UPDATE (잠금 기반)
sequenceDiagram
    autonumber
    participant T1 as 트랜잭션 T1<br/>(의사1 퇴근)
    participant T2 as 트랜잭션 T2<br/>(의사2 퇴근)
    participant DB as DB(Locking)<br/>(2PL/Gap Lock 등)

    Note over DB: 초기(t0): doctor(1)=TRUE, doctor(2)=TRUE

    T1->>DB: BEGIN
    T1->>DB: SELECT * FROM doctors WHERE on_call=TRUE FOR UPDATE
    DB-->>T1: 행(doctor 1,2) 잠금 획득

    T2->>DB: BEGIN
    T2->>DB: SELECT * FROM doctors WHERE on_call=TRUE FOR UPDATE
    DB-->>T2: 잠금 대기(블로킹)

    T1->>DB: UPDATE doctors SET on_call=FALSE WHERE doctor_id=1
    T1->>DB: COMMIT
    DB-->>T1: OK (잠금 해제)

    DB-->>T2: 잠금 획득 재개 후 재평가
    T2->>DB: SELECT COUNT(*) WHERE on_call=TRUE
    DB-->>T2: 1 (규칙 임계치) 
    T2->>DB: UPDATE doctors SET on_call=FALSE WHERE doctor_id=2
    DB-->>T2: 제약/비즈니스 로직 실패 ▶ 중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취소
    T2->>DB: ROLLBACK

DBMS 별 기본 격리 수준 및 특징

DBMS기본 격리 수준특징
PostgreSQLRead CommittedSerializable=SSI 구현
MySQL(InnoDB)Repeatable ReadGap Lock 으로 Phantom Read 차단
SQL ServerRead CommittedSNAPSHOT / RCSI 옵션 지원
SpannerSerializableTrueTime 기반 글로벌 직렬화

실무 적용 전략

환경권장 격리 수준비고
OLTP(일반 거래 시스템)Read Committed / RCSI성능 중심, Dirty Read 방지
금융/재고 관리Serializable / SSI데이터 무결성 최우선
분석/리포팅Snapshot Isolation락 경합 완화, 보고 일관성
마이크로서비스SAGA 패턴분산 트랜잭션 성능·복원력 균형

이론/실무/기본/심화

구분핵심 개념설명
기본ACID 와 Isolation트랜잭션의 4 대 특성 중 Isolation 은 간섭 방지 역할
격리 수준Read Uncommitted~Serializable, 현상 차단 범위 정의
동시성 현상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이론동시성 제어 기법Lock-based, MVCC, SSI
직렬화 가능성직렬 실행과 동일한 결과 보장
실무DBMS 별 구현엔진별 기본값과 특성 이해
격리 수준 선택업무 요구에 맞춘 성능·정합성 트레이드오프
심화분산 트랜잭션2PC, SAGA, TrueTime
Snapshot Isolation 한계Write Skew 발생 가능, SSI 로 보완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데이터 정합성시스템 성능 간의 균형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ANSI 표준 격리 수준은 각기 다른 동시성 현상을 허용/차단하며, 실무에서는 Lock 기반 제어나 MVCC 를 활용해 동시성과 성능을 조율한다.
DBMS 별 구현 차이를 이해하고, 업무 특성에 맞는 격리 수준을 선택해야 하며, 분산 환경에서는 SAGA, 2PC, TrueTime 같은 기법을 고려해야 한다. Snapshot Isolation 은 성능이 뛰어나지만 Write Skew 를 막기 위해 SSI 또는 추가 제약이 필요하다.

기초 개념 (Foundation Understanding)

개념 정의 및 본질적 이해

트랜잭션 격리는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의 가시성 규칙을 정해 간섭을 통제하고, 결과를 어떤 직렬 순서와 동치가 되도록 (최대 보장은 직렬화) 만드는 동시성 제어의 핵심이다.
SQL 표준은 더티/비반복/팬텀 읽기를 기준으로 4 수준 격리를 정의하지만, 실제 DBMS 는 MVCC·잠금·SSI 등으로 구현이 달라 동작 차이가 난다 (예: PostgreSQL 은 기본 Read Committed, Uncommitted 은 동일 취급). 결국 격리는 일관성 강화 ↔ 동시성 저하의 균형을 설계하는 문제다.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등장 배경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동시성으로 인한 이상 현상(Dirty Read, Lost Update, Phantom 등) 이 빈발하자, 연구자들은 트랜잭션과 락 기반 통제를 정립했다.
1970 년 Codd 의 관계형 모델이 데이터 일관성·독립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했고, 1976 년 IBM 연구진은 2PL·프레디킷 락으로 직렬가능성 조건을 체계화했다.
1983 년 Härder & Reuter 는 ACID로 신뢰성 요구를 정리했고, 1992 년 SQL-92는 격리수준을 표준화했다. 이후 2PL 의 읽기 스케일 한계를 개선하려 MVCC·SI가 확산되었고, SI 의 한계는 SSI로 보완되었다.
상용 DB 는 RCSI 등으로 읽기/쓰기 경합을 줄이며 현대 워크로드에 맞는 격리 구현을 제공한다.

발전 과정
시기핵심 진전주요 인물/시스템근거
1970관계형 모델 제안 → 데이터 일관성 이론 토대E. F. Codd([Penn Engineering][15], [ACM Digital Library][17])
19762PL·프레디킷 락으로 직렬가능성 조건 정립Eswaran, Gray 등([csd.uoc.gr][1], [ACM Digital Library][2])
1983ACID 정식화, 복구/트랜잭션 체계Härder, Reuter([cs-people.bu.edu][3], [cs.cmu.edu][5])
1992ANSI SQL-92 격리수준 표준화ANSI/ISO([Microsoft][6])
1990sMVCC·SI 상용/오픈소스 확산 (Oracle/PG 등)Oracle, PostgreSQL([Oracle Docs][9], [PostgreSQL][8])
1995ANSI 격리수준 한계·SI 정의 보완 제기Berenson·Bernstein·Gray 등([Microsoft][6], [arXiv][7])
2008SSI 제안 (직렬가능 SI)Cahill·Röhm·Fekete([courses.cs.washington.edu][10], [ACM Digital Library][11])
2010s~PostgreSQL SSI 구현·벤더별 RCSI 도입/권장PostgreSQL, SQL Server([arXiv][12], [Microsoft Learn][13])
timeline
  title Transaction Isolation 발전 타임라인
  1970 : Codd 관계형 모델 제안
  1976 : Eswaran 등 2PL·프레디킷 락
  1983 : Härder & Reuter ACID 체계화
  1992 : ANSI SQL-92 격리수준 채택
  1990s : MVCC·Snapshot Isolation 확산(Oracle/PG)
  1995 : Critique of ANSI SQL, SI 명확화
  2008 : Serializable Snapshot Isolation(SSI) 제안
  2010s~ : PostgreSQL SSI 구현, SQL Server RCSI 보편화

핵심 목적 및 필요성 (문제 해결 관점)

카테고리목적 (동기)필요성 (해결 문제)주요 수단/설계 옵션기대 효과측정/운영 지표
데이터 정합성무결성·일관성 보장Dirty/Non-repeatable/Phantom/Lost Update/Write Skew격리 수준 선택 (READ COMMITTED~SERIALIZABLE), MVCC/SSI, 제약·트리거, SELECT…FOR UPDATE규칙 위반/정합성 결함 감소정합성 결함률, 롤백률, 재시도율
성능/확장성처리량·지연 균형락 경합·교착·긴 트랜잭션로 인한 지연MVCC/RCSI, 락 그라뉴러리티, 인덱스/쿼리튜닝, 배치/파티셔닝TPS↑, p95/p99 지연 안정화TPS, 대기시간, 교착 비율, 버전 GC 비용
예측가능성/품질재현 가능한 결과스냅샷/가시성 혼란, 테스트 난이도표준 격리 계약 준수, 테스트 격리 고정, 리드/라이트 경로 분리디버깅·테스트 단순화테스트 실패 재현률, 회귀 버그 비율
운영/컴플라이언스감사·복구 용이변경 추적/감사, 재해복구트랜잭션 로그, CDC, PITR/백업, 감사 테이블사고 대응·감사 대응 강화RTO/RPO, 감사 쿼리 시간
아키텍처 유연성요구 맞춤 구성단일/분산 트랜잭션 요구2PC/XA, SAGA(보상), 아웃박스/이벤트 소싱서비스 경계별 최적 격리보상 트랜잭션 성공률, 중복 처리율

주요 특징 및 차별점

카테고리기술적 특징대표 DBMS 예시
표준 격리 수준ANSI SQL 4 단계 (RU/RC/RR/SR); 현상 (Dirty/Non-repeatable/Phantom) 으로 정의
구현 메커니즘2PL(공유/배타 락), 타임스탬프, MVCC, SSI 등 혼용 가능InnoDB: MVCC+ 락
PostgreSQL 동작기본 READ COMMITTED; SERIALIZABLE=SSI로 직렬화 위반 감지/차단PostgreSQL
MySQL(InnoDB) 동작기본 REPEATABLE READ; 일관 읽기 (Snapshot)·락 읽기 지원MySQL
SQL Server 동작기본 READ COMMITTED; SNAPSHOT/RC_SNAPSHOT 선택 시 버전 저장소 사용SQL Server
운영 트레이드오프격리 ↑ → 직렬화에 근접, 그러나 동시성·지연·저장소 비용 ↑모든 DBMS

핵심 원리 (Core Theory)

핵심 설계 원칙

카테고리원칙명설명
정확성직렬화 가능성 원칙모든 동시 실행 결과가 특정 순차 실행과 동일하도록 보장
무결성커밋 전 비공개 원칙트랜잭션 변경은 커밋 시점 전까지 외부에 노출 금지
안정성현상 기반 정의 원칙Dirty/Non-repeatable/Phantom Read 방지 목표로 설계
효율성성능 - 일관성 균형 원칙최소 필요 격리 수준으로 성능과 일관성 조율
사용성투명성 원칙격리 메커니즘이 애플리케이션에 투명하게 동작
아키텍처확장성·모듈성 원칙새로운 격리 수준 추가·변경이 독립적으로 가능
표준성표준 호환성 원칙ANSI SQL 및 주요 DBMS 와의 호환성 유지
안전성Fail-safe 원칙이상 탐지 시 무결성을 우선하는 보수적 처리

기본 원리 및 동작 메커니즘

기본 원리
영역기본 원리핵심 구성요소차단/허용 현상 (대표)트레이드오프
Lock 기반 2PL획득→해제 두 단계로 잠금 관리해 직렬성 근사S/X/의도 잠금, 락 테이블, 호환성 매트릭스Dirty/Non-repeatable 차단, 팬텀은 범위락 필요경합·대기·데드락↑, 처리량↓
범위/프리디킷 잠금조건 (범위) 을 잠금해 팬텀 삽입/삭제 차단인덱스 레인지 락, 갭 락, 프리디킷 락팬텀 차단, Lost Update 차단인덱스 의존성↑, 동시성↓
MVCC/Snapshot읽기는 과거 일관 스냅샷을, 쓰기는 새 버전을 생성버전 체인 (xmin/xmax/CSN), 가시성 규칙Dirty/Non-repeatable 차단, Write Skew 가능(SI)저장공간↑, 긴 Tx 가 GC 지연
Lost Update 방지동시 쓰기 충돌을 잠금 또는 검증으로 방지X- 락, 첫 커미터 우선, 비교 - 갱신 (조건부)Lost Update 차단재시도 필요, 충돌 시 지연
SSI(직렬성 검증)MVCC 위에서 충돌 그래프로 위반 검출읽기 - 쓰기 의존 그래프, 위험 구조 감지Write Skew/팬텀 유발 패턴 차단커밋 시 중단·재시도 비용
데드락 처리대기 그래프로 사이클 탐지 후 희생자 중단Wait-for graph/타임아웃교착 상태 해소롤백 비용·스루풋 변동
WAL/복구변경을 로그 선기록해 커밋 원자성·지속성 보장WAL, Checkpoint, Redo/Undo격리 결과 영속화fsync 비용, 지연 관리 필요

현상 정리:

  • Dirty Read: RC 이상에서 차단.
  • Non-repeatable Read: RR/Serializable, SI(트랜잭션 스냅샷) 에서 차단.
  • Phantom: 범위/프리디킷 락 또는 SSI/직렬성으로 차단.
  • Lost Update: X- 락/첫 커미터 우선/조건부 업데이트로 차단.
  • Write Skew: Serializable/SSI 또는 FOR UPDATE+ 제약으로 차단.
동작 메커니즘
flowchart TB
  %% App 계층
  A[BEGIN + 격리 수준 설정] --> B{요청 유형}
  B -->|읽기| R1["스냅샷 확보(MVCC)\n또는 S-Lock/프리디킷 락"]
  B -->|쓰기| W1[쓰기 의도: 새 버전 생성 + X-Lock]

  %% 읽기 경로
  R1 --> R2{범위 스캔?}
  R2 -->|예| R3[갭/레인지/프리디킷 락 부여]
  R2 -->|아니오| R4["가시성 판정(xmin/xmax/CSN)"]
  R3 --> J
  R4 --> J

  %% 쓰기 경로
  W1 --> W2[인덱스 갱신 + WAL 기록]

  %% 엔진 내부 공통 처리
  subgraph Engine
    J{충돌/대기 처리}
    D1["데드락 탐지\n(wait-for graph/timeout)"]
    S1["SSI 검증(Serializable)\n위험 구조 감지"]
  end

  W2 --> J
  J -->|대기| J
  J --> D1
  J --> S1
  D1 -->|사이클| ABORT1[["트랜잭션 중단(희생자)"]]
  S1 -->|위반| ABORT2[["트랜잭션 중단(재시도)"]]

  %% 커밋 단계
  J --> C[COMMIT]
  C --> L1[WAL fsync/Commit Record]
  C --> L2[락/스냅샷 해제]
  C --> V1[오래된 버전 GC/VACUUM]
  L1 --> END[(완료)]
  L2 --> END
  V1 --> END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graph TB
    subgraph Application Layer
        APP[Application/Client]
    end

    subgraph Database Engine
        TM[Transaction Manager]
        CC[Concurrency Control Module]
        LM[Lock Manager]
        MVCC[MVCC Engine & Version Store]
        VR[Visibility Rules Engine]
        LG[Log Manager]
    end

    subgraph Storage Engine
        BM[Buffer Manager]
        DM[Data Manager]
        IM[Index Manager]
        DS[Disk Storage]
    end

    subgraph Optional Distributed Layer
        DC[Distributed Commit Coordinator]
    end

    APP --> TM
    TM --> CC
    CC --> LM
    CC --> MVCC
    MVCC --> VR
    LM --> BM
    VR --> BM
    TM --> LG
    BM --> DM
    DM --> IM
    IM --> DS
    TM --> DC
구성 요소
구성 요소필수/선택설명역할기능특징
트랜잭션 관리자 (Transaction Manager)필수트랜잭션 생명주기 제어시작·커밋·롤백·격리 수준 설정트랜잭션 ID 부여, 상태 관리모든 트랜잭션 처리 흐름의 중심
동시성 제어 모듈 (Concurrency Control Module)필수동시성 보장·간섭 방지Lock·MVCC·충돌 해결2PL·타임스탬프·MVCC 적용DBMS 별 전략 상이
로그 관리자 (Log Manager)필수Undo/Redo 로그 유지장애 복구·데이터 무결성 보장변경 사항 기록·재실행Write-Ahead Logging 기반
저장 엔진 (Storage Engine)필수데이터 저장·검색Buffer·Data·Index 관리메모리 - 디스크 데이터 이동성능·IO 효율 좌우
Lock Manager선택잠금 제어 전담공유/배타/의도락·Deadlock 탐지락 요청·해제·대기열 관리2PL 구현 필수 요소
MVCC 엔진 & 버전 저장소선택다중 버전 데이터 관리읽기 일관성 제공스냅샷 제공·버전 GCPostgreSQL·InnoDB 핵심
가시성 규칙 엔진 (Visibility Rules Engine)선택MVCC 읽기 범위 결정트랜잭션별 읽기 허용 데이터 판별스냅샷 시점 결정MVCC 필수 보조 모듈
분산 커밋 코디네이터선택분산 환경 트랜잭션 일관성2PC·병렬 커밋글로벌 락·Write Intent 관리분산 DB 핵심
Snapshot Manager선택스냅샷 격리 관리스냅샷 생성·만료고정 시점 읽기일부 DBMS 한정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ler선택낙관적 동시성 제어충돌 적은 환경 성능 향상사후 충돌 검증·롤백고성능/저충돌 시 유리
Lock 기반 vs. MVCC 기반 트랜잭션 처리 흐름 비교
구분Lock 기반 (2PL, Strict 2PL)MVCC 기반 (Snapshot Isolation)
읽기 요청공유 락 (S Lock) 획득 후 읽기트랜잭션 시작 시점의 스냅샷에서 버전 읽기 (락 불필요)
쓰기 요청배타 락 (X Lock) 획득 후 수정새 버전 생성, 기존 버전 유지
동시성 제어 방식락 충돌 시 대기 → 교착 상태 감지·해결 필요읽기 - 쓰기 간 충돌 최소화, 쓰기 - 쓰기 충돌 시만 롤백
격리 수준 보장Strict 2PL → 직렬화 보장, 하지만 동시성 저하기본은 Snapshot Isolation(Repeatable Read 수준), 직렬화는 SSI 필요
성능 특징읽기·쓰기 모두 락 경합 발생, 고경합 환경에서 지연 증가읽기 병행성 높음, 버전 저장소 부담 및 GC 필요
교착상태 (Deadlock)가능 → Deadlock Detector 필수거의 없음 (쓰기 충돌 시 abort 처리)
대표 DBMS전통적 SQL Server 기본 모드, 일부 OLTP 전용 DBPostgreSQL, MySQL(InnoDB), Oracle
Lock 기반 (Strict 2PL) Vs MVCC 기반 (Snapshot Isolation) 트랜잭션 처리 플로우 비교
구분단계별 처리 플로우장점단점
Lock 기반 (Strict 2PL)1. 트랜잭션 시작
2. 읽기 시 공유 락 획득 → 데이터 읽기
3. 쓰기 시 배타 락 획득 → 데이터 변경
4. 모든 변경 완료 시 커밋 직전까지 락 유지
5. 커밋 후 락 해제
6. 로그 (Undo/Redo) 기록 및 트랜잭션 종료
직렬화 수준의 강력한 일관성 보장대기·교착상태 가능성 높음, 병행성 낮음
MVCC 기반 (Snapshot Isolation)1. 트랜잭션 시작 시 스냅샷 시점 기록
2. 읽기 시 해당 시점의 데이터 버전 반환 (락 불필요)
3. 쓰기 시 새로운 버전 생성, 기존 버전 유지
4. 동일 행 변경 시 커밋 시점 충돌 검사
5. 충돌 시 롤백, 아니면 커밋 반영
6. 불필요한 버전은 가비지 컬렉션 처리
읽기 병행성 우수, 대기 최소화버전 저장소 관리 비용, Write Skew 등 추가 이상 가능
Lock 기반 vs. MVCC 기반 비교 시퀀스 다이어그램
sequenceDiagram
    participant App as Application
    participant TM as Transaction Manager
    participant LM as Lock Manager
    participant MV as MVCC Engine
    participant DB as Database Storage

    rect rgb(230,230,250)
    Note over App,DB: Lock 기반 (2PL)
    App->>TM: 트랜잭션 시작
    TM->>LM: 공유/배타 락 요청
    LM-->>TM: 락 획득(대기 가능)
    TM->>DB: 읽기/쓰기 수행
    TM->>LM: 커밋 시 락 해제
    TM->>DB: 로그 기록
    TM-->>App: 커밋 완료
    end

    rect rgb(240,255,240)
    Note over App,DB: MVCC 기반 (Snapshot Isolation)
    App->>TM: 트랜잭션 시작(스냅샷 생성)
    TM->>MV: 읽기 요청 → 스냅샷 버전 반환
    MV->>DB: 읽기 시 디스크/메모리에서 해당 버전 로드
    TM->>MV: 쓰기 요청 → 새 버전 생성
    TM->>MV: 커밋 시 충돌 검사
    alt 충돌 발생
        TM-->>App: 롤백
    else 충돌 없음
        TM->>DB: 새 버전 반영
        TM-->>App: 커밋 완료
    end
    end

주요 기능과 역할

기능설명
이상 현상 방지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방지 및 제어
격리 수준 관리트랜잭션 특성에 맞는 격리 수준 (Read Uncommitted~Serializable) 설정
데이터 무결성 유지동시 실행에도 데이터 일관성·정합성 보장
성능 - 일관성 균형 조정격리 수준 조정을 통한 성능 최적화
동시성 제어트랜잭션 간 실행 순서 및 충돌 관리
락 관리2PL·Gap Lock·Predicate Lock 등을 통한 데이터 접근 제어
버전 관리MVCC·Snapshot Isolation 을 통한 읽기 - 쓰기 분리
읽기 일관성 제공커밋된 데이터만 읽게 하여 데이터 정확성 확보
분산 환경 적용2PC, SAGA, Eventual Consistency 에서 데이터 일관성 유지
기능 ↔ 역할 관계
기능역할
이상 현상 방지비즈니스 로직 오동작 방지, 신뢰성 확보
격리 수준 관리워크로드·비즈니스 요구에 맞춘 동시성·일관성 조정
데이터 무결성 유지트랜잭션 전후 데이터 상태의 정합성 보장
성능 - 일관성 균형 조정처리량·응답속도와 데이터 품질 간 최적 지점 설정
동시성 제어트랜잭션 충돌 회피 및 스케줄링 안정성 보장
락 관리읽기·쓰기 경합 방지 및 직렬화 가능성 확보
버전 관리읽기 성능 향상 및 쓰기 지연 최소화
읽기 일관성 제공사용자 쿼리 결과의 예측 가능성 보장
분산 환경 적용노드 간 데이터 불일치 최소화 및 글로벌 정합성 유지

트랜잭션 격리의 주요 기능은 이상 현상 방지격리 수준 관리를 중심으로 데이터 무결성과 성능 간 균형을 맞추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락 기반 (2PL)**과 버전 기반 (MVCC) 접근 방식을 사용하며, 동시성 제어·읽기 일관성·분산 환경 적용까지 포괄한다. 기능과 역할은 서로 맞물려, 하나의 기능이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비즈니스 로직 안정성과 시스템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한다.

ANSI SQL 격리 수준별 기능/역할
격리 수준방지 가능한 이상 현상주요 기능주요 역할
Read Uncommitted없음 (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모두 발생 가능)커밋 여부와 무관하게 읽기 허용 → 최고 성능 제공읽기 지연 최소화, 분석·모니터링 등 비중요 읽기 작업에 활용
Read CommittedDirty Read 방지커밋된 데이터만 읽기, 각 쿼리마다 최신 커밋 데이터 조회운영 데이터 읽기 일관성 확보, 대부분의 OLTP 기본값 (Oracle, SQL Server RCSI)
Repeatable Read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방지 (Phantom Read 허용)트랜잭션 내 동일 조건 조회 시 결과 동일 보장재조회 안정성 확보, 금융·재고 처리 등 중간 변경이 치명적인 업무
SerializableDirty Read, Non-repeatable Read, Phantom Read 모두 방지완전 직렬 가능 스케줄 보장 (2PL·SSI·Predicate Lock)데이터 무결성 절대 보장, 비즈니스 규칙·트랜잭션 충돌 위험이 큰 핵심 업무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장점 및 이점 분석표

구분항목설명기술적 근거 (메커니즘)실무 효과 (측정 지표 예시)
정합성데이터 무결성·일관성 보장동시 실행 중 오염/충돌 차단RC/RR/SI/Serializable, 2PL, 범위/프리디킷 잠금, MVCC, SSI오류·사고 감소 (정합성 결함률↓), 재처리 비용↓
동시성/성능처리량·지연 균형읽기 비차단·충돌 최소화MVCC/RCSI 로 읽기 비차단, X- 락/첫 커미터/조건부 업데이트, 인덱스/튜닝TPS↑, p95/p99 지연 안정, 재시도율·교착 비율 관리
유연성업무별 격리 선택리스크/성능 목표에 따른 레벨 선택RC/RR/SI/Serializable 조합, Gap/Next-Key/Predicate Lock 옵션금융/재고=Serializable, OLTP=RC/RCSI, 리포팅=SI
개발/운영생산성·안정성동시성·복구를 엔진이 담당잠금 관리자·데드락 탐지·WAL/Checkpoint·PITR/CDCMTTR↓, 감사 대응 속도↑, 배포 리스크↓
표준성이식·예측 가능표준 격리 계약 준수ANSI SQL Isolation Levels벤더 독립 설계, 테스트 결정론↑
확장/분산확장성·가용성분산/리전 간 일관성 유지Snapshot/RCSI, SAGA/2PC, 아웃박스·이벤트소싱글로벌 트랜잭션 일관성, 보상 성공률↑
(참고) 격리 수준별 대표 이점
레벨대표 이점적합 워크로드
RC커밋 데이터만 읽어 Dirty Read 차단, 경합 낮음일반 OLTP
RCSI/Snapshot비차단 읽기·일관 스냅샷리포팅/읽기 많은 서비스
RR동일 행 재조회 일관성 확보주문·승인 플로우
Serializable/SSI규칙 위반·Write Skew·팬텀까지 차단금융/재고 등 강한 정합성

단점 및 제약사항과 해결방안

구분항목설명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 방법해결 기법대안 기술
단점RC 의 Non-repeatable Read/Lost Update같은 데이터 재조회 시 값 변동 또는 갱신 유실낮은 격리 수준데이터 불일치쿼리 결과 비교중요 구간만 RR/Serializable앱 레벨 캐시·검증MVCC
단점SI 의 Write Skew제약 우회 가능병렬 업데이트정책 위반트랜잭션 로그체크 제약, 순차 처리SSI, 직렬화 블록검증 트리거
단점Serializable 성능 저하충돌로 인한 Abort·지연 증가Lock 범위 확대처리율 감소락 대기 모니터링트랜잭션 소형화, 인덱스 최적화파티셔닝, 샤딩Snapshot Isolation
단점Gap Lock 경합범위 락으로 쓰기 대기 증가팬텀 방지 메커니즘처리 지연실행계획·락 분석커버링 인덱스, 범위 축소SSI 기반 엔진MySQL InnoDB 튜닝
단점버전 저장소 부하MVCC 버전 관리로 리소스 압박장수 트랜잭션디스크·메모리↑버전스토어 모니터링단위작업 분할타임아웃, 분할 커밋읽기 복제, ETL 분리
문제점Deadlock교착 상태락 경쟁트랜잭션 실패Deadlock 그래프 분석락 순서 표준화피해자 롤백Optimistic Lock
문제점Livelock반복 재시도충돌 빈번CPU 낭비재시도 횟수 모니터링백오프 전략적응형 재시도우선순위 스케줄링
문제점오래된 스냅샷장수 트랜잭션버전 폭증저장소 압박버전스토어 모니터링작업 분할강제 종료TTL 기반 정리
제약분산 환경 지연·장애네트워크·노드 장애지연·Fail복잡한 합의 절차지표 모니터링멱등성 설계지수 백오프, 재시도Eventual Consistency

트랜잭션 격리의 주요 단점은 낮은 수준에서의 데이터 불일치높은 수준에서의 성능 저하로 양극단의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한다.
MVCC·Locking·Gap Lock·Serializable 등의 기법은 각기 다른 부작용을 유발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격리 수준 선택, 인덱스 최적화, 트랜잭션 소형화, 체크 제약 등 다양한 조합의 대응이 필요하다.
운영 환경에서는 Deadlock, Livelock, 장수 트랜잭션, 버전 저장소 부하를 지속 모니터링해야 하며, 분산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지연·장애에 대비한 멱등성·재시도 전략이 필수적이다.

트레이드오프 관계 분석

비교 항목선택지장점단점적용 기준
격리 수준높은 격리 수준데이터 일관성 극대화, 이상 차단처리량·동시성 저하, 잠금 경합↑금융·미션 크리티컬, 정확성 우선
낮은 격리 수준처리량·응답속도·동시성 ↑데이터 무결성 위험, 이상 가능성분석·읽기 중심, 로직 보완 가능
동시성 제어 방식락 기반 (2PL)예측 가능 직렬화, 구현 단순읽기 - 쓰기 경합 대기, 데드락 위험경합 낮고 직렬화 필수
MVCC읽기 동시성 우수, 읽기 블로킹 無버전 저장소·GC 비용, Write Skew 가능읽기 많고 쓰기 충돌 적음
성능 지표 최적화응답 시간 최적화개별 요청 지연 최소전체 처리량 저하 가능실시간 응답 요구 서비스
처리량 최적화전체 효율성 극대화개별 요청 지연 가능대규모 배치·비동기 처리

격리 수준, 동시성 제어 방식, 성능 지표 최적화는 서로 상충하는 목표를 가진다. 높은 격리는 안정성을, 낮은 격리는 성능을 준다. 락 기반은 예측 가능한 직렬화를, MVCC 는 읽기 성능을 준다. 응답 시간과 처리량 최적화는 환경 요구에 따라 선택해야 한다. 실무에서는 업무 특성·SLO·리스크 허용 범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 조합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이다.

높은 격리 수준 vs. 낮은 격리 수준
락 기반 (2PL) Vs 버전 기반 (MVCC)
응답 시간 최적화 Vs 처리량 최적화
graph LR
    subgraph "격리 수준"
        RU[Read Uncommitted]
        RC[Read Committed]
        RR[Repeatable Read]
        S[Serializable]
    end
    
    subgraph "성능"
        HP[높은 성능]
        MP[중간 성능]
        LP[낮은 성능]
    end
    
    subgraph "일관성"
        LC[낮은 일관성]
        MC[중간 일관성]
        HC[높은 일관성]
    end
    
    RU --> HP
    RU --> LC
    RC --> MP
    RC --> MC
    RR --> MP
    RR --> MC
    S --> LP
    S --> HC

성능 특성 및 확장성 분석

읽기는 RCSI/SI 로 비차단화, 쓰기는 충돌을 국소화 (락/조건부 갱신/SSI), 강한 정합성 구간은 Serializable/SSI 로 한정 적용, 스케일 전략은 복제·샤딩·시간 동기화/합의의 조합으로 선택한다.

분류항목핵심 특성기술적 근거/메커니즘비용/리스크적합/적용 가이드
격리 수준Read Uncommitted (RU)최소 제약, 최고 처리량, 정합성 낮음표준 정의Dirty/Non-repeatable/Phantom 허용내부 비핵심 캐시·ETL 등 특수 목적
Read Committed (RC)커밋 데이터만 읽기, 경합 낮음표준/PG 기본, RC=최소 표준 운영 레벨Non-repeatable/Phantom 가능일반 OLTP 기본값
RC + RCSI(SI)비차단 읽기, 일관 스냅샷SQL Server RCSI/ALLOW_SNAPSHOT_ISOLATION버전 스토어 용량·정리 지연 (긴 Tx)읽기 많은 OLTP/리포팅
Repeatable Read (RR)동일 행 재조회 일관RR(+InnoDB Next-Key 로 팬텀 차단)레인지 잠금으로 동시성 저하주문/승인 등 재조회 일관 필요한 흐름
Serializable / SSI가장 강한 정합성, Write Skew/팬텀 차단2PL 또는 SSI 충돌 그래프커밋 시 중단·재시도, 처리량↓금융/재고 핵심 규칙 구간화 적용
워크로드읽기 위주대량 조회, 리포팅MVCC/RCSI 스냅샷 읽기버전 저장·GC 비용보조 인덱스/커버링, 복제본 활용
쓰기/경합단일 키 핫스팟, 재고/카운터X- 락/첫 커미터/조건부 UPDATE대기·교착, 재시도 루프파티션/샤딩, 키 해싱, 배치/큐
혼합읽기/쓰기 공존읽기=RCSI, 쓰기=락/조건부/구간별 Serializable운영 복잡도트랜잭션 경량화, 짧은 Tx 유지
확장Scale-up코어/메모리 증설MVCC 는 메모리↑ 효과, 락 경합은 병목높은 코어에서 공유 구조 경합락 경합 모니터링, 인덱스/쿼리 튜닝
읽기 복제본읽기 분산RC/RCSI 와 궁합 우수복제 지연/정합성 경계읽기 전용/약한 일관 허용 구간에 사용
샤딩쓰기 분산, 핫스팟 완화파티션 키 설계교차 샤드 트랜잭션 복잡로컬 트랜잭션 지향, 사가로 보상
분산 트랜잭션2PC/XA원자 커밋Prepare/Commit 2 라운드지연↑·블로킹 위험소수 리소스·근거리에서 제한 사용
글로벌 일관성TrueTime/외부 일관성전 지구적 직렬화/강한 일관Spanner OSDI'12, TT API하드웨어/운영 비용, 지연미션 크리티컬 글로벌 DB

구현 및 분류 (Implementation & Classification)

구현 기법/방법

분류정의구성 요소원리목적사용 상황특징
2PL (Strict/SS2PL)두 단계 (확장/수축) 로 락을 획득·해제S/X/의도락, 락 테이블, 데드락 검출커밋까지 (Strict) X 락 유지 → 직렬화강한 일관성쓰기 경합 높고 정확성 최우선대기·교착 위험, 예측 가능성 높음
MVCC + SI다중 버전 유지, 스냅샷 기반 읽기버전 체인, 가시성 규칙, GC시작 시점 스냅샷 읽기, 커밋 시 충돌 검사읽기 동시성 극대화읽기 다수/리포팅/HTAP버전 저장/GC 비용, write-skew 가능
SSI (Serializable SI)SI 위반 (의존성 사이클) 탐지·중단RW- 의존성 추적, 히스토리 그래프위험 트랜잭션 abort 로 직렬화 보장SI 성능 + 직렬화 정확도정확성 + 동시성 절충abort 증가 가능, 구현 복잡
범위/갭/넥스트키 락키 범위 자체를 잠금인덱스 범위락, 갭락삽입/범위 읽기 충돌 차단팬텀 방지InnoDB RR/SR인덱스 품질 의존, 경합 증가 가능
Row Versioning (RCSI/SI)읽기는 버전, 쓰기는 락tempdb/버전저장소, Row ID읽기 블로킹 최소화읽기 성능SQL Server OLTP저장소/정리 비용, 설정 의존
Timestamp Ordering (TO)타임스탬프 순서 강제타임스탬프, read/write set순서 위반 시 늦은 트랜잭션 abort직관적 직렬화충돌 드문 환경abort 빈도↑ 가능
Optimistic CC (OCC)락 없이 진행, 커밋 시 검증read/write set, validator검증 단계에서 충돌 시 롤백지연 최소화읽기많고 충돌희박롤백 비용, 멱등 설계 필요
2PL (Strict 2PL)—미니멀 락 매니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deque

class TwoPL:
    def __init__(self):
        self.locks = defaultdict(lambda: {"mode": None, "holders": set(), "wait": deque()})

    def compatible(self, res, req_mode):
        mode, holders = self.locks[res]["mode"], self.locks[res]["holders"]
        if mode is None: return True
        if req_mode == "S" and mode == "S": return True
        return holders == set() and req_mode == "X" and mode is None

    def acquire(self, tx, res, mode):
        L = self.locks[res]
        if L["mode"] in (None, "S") and (mode == "S" or (mode == "X" and not L["holders"])):
            L["mode"] = "X" if mode == "X" else L["mode"] or "S"
            L["holders"].add(tx)
            return True
        L["wait"].append((tx, mode)); return False

    def release_all(self, tx):
        for res, L in self.locks.items():
            if tx in L["holders"]:
                L["holders"].remove(tx)
                if not L["holders"]:
                    L["mode"] = None
                    # 깨운다
                    while L["wait"]:
                        n_tx, n_mode = L["wait"][0]
                        if self.acquire(n_tx, res, n_mode):
                            L["wait"].popleft()
                        else:
                            break
MVCC + SI—스냅샷 읽기/버전 쓰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import bisect, time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class MVCC:
    def __init__(self):
        self.data = defaultdict(list)  # key -> [(ts, value, committed, tx)]
        self.now = lambda: time.monotonic()

    def begin(self):
        return {"start": self.now(), "writes": []}

    def read(self, tx, key):
        chain = self.data[key]
        # 시작 시점 이하의 최신 커밋 버전
        for ts, val, committed, _ in reversed(chain):
            if ts <= tx["start"] and committed:
                return val
        return None

    def write(self, tx, key, value):
        ts = self.now()
        tx["writes"].append((key, ts, value))

    def commit(self, tx):
        # 간단 충돌 검사: 동일 key에 나보다 늦은 커밋이 있으면 실패
        for key, tsw, _ in tx["writes"]:
            for ts, _, committed, owner in self.data[key]:
                if committed and ts > tx["start"]:
                    return False  # 충돌 -> abort
        # 커밋 반영
        for key, tsw, val in tx["writes"]:
            self.data[key].append((tsw, val, True, tx))
        return True
SSI—RW 의존성 (위험 삼각) 감지의 뼈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class SSI:
    def __init__(self):
        self.reads = defaultdict(set)   # key -> set(tx)
        self.writes = defaultdict(set)  # key -> set(tx)
        self.active = set()

    def begin(self, txid):
        self.active.add(txid)

    def read(self, txid, key):
        self.reads[key].add(txid)

    def write(self, txid, key):
        # 나보다 먼저 읽은 Tx가 있고, 그들이 또 다른 write와 교차하면 위험
        for rtx in self.reads[key]:
            if rtx in self.active and rtx != txid:
                # 간단한 휴리스틱: 후발 write Tx abort
                return False
        self.writes[key].add(txid)
        return True

    def commit(self, txid):
        self.active.discard(txid)
        # 실제 구현은 RW-의존 그래프 사이클 탐지까지 수행
        return True
범위/갭/넥스트키 락—간단 범위 잠금 모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class RangeLock:
    def __init__(self):
        self.ranges = []  # [(start,end,tx)]

    def collide(self, a, b):
        (s1,e1),(s2,e2) = a,b
        return not (e1 <= s2 or e2 <= s1)

    def acquire(self, tx, start, end):
        for (s,e,t) in self.ranges:
            if self.collide((start,end),(s,e)) and t != tx:
                return False
        self.ranges.append((start,end,tx))
        return True

    def release(self, tx):
        self.ranges = [(s,e,t) for (s,e,t) in self.ranges if t != tx]
Row Versioning (RCSI/SI)—읽기 전용 버전 스토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deque

class RowVersioning:
    def __init__(self):
        self.store = defaultdict(deque)  # key -> deque of (commit_ts, value)

    def write_commit(self, key, value, ts):
        self.store[key].append((ts, value))

    def read_rcsi(self, key, read_ts):
        # read_ts 이전의 최신 커밋 버전 반환 (읽기 블로킹 없음)
        best = None
        for ts, val in self.store[key]:
            if ts <= read_ts:
                best = val
        return best
Timestamp Ordering (TO)—순서 위반 시 늦은 Tx 중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lass TO:
    def __init__(self):
        self.r_ts, self.w_ts = defaultdict(int), defaultdict(int)  # key->ts

    def read(self, tx_ts, key):
        if tx_ts < self.w_ts[key]:
            return False  # 너무 늦게 읽음 → abort
        self.r_ts[key] = max(self.r_ts[key], tx_ts); return True

    def write(self, tx_ts, key):
        if tx_ts < self.r_ts[key] or tx_ts < self.w_ts[key]:
            return False  # 순서 위반 → abort
        self.w_ts[key] = tx_ts; return True
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 (OCC)—커밋 시 검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class OCC:
    def __init__(self):
        self.committed = {}  # key -> (ts, value)
        self.clock = 0

    def begin(self):
        return {"start": self.clock, "readset": set(), "writes": {}}

    def read(self, tx, key):
        tx["readset"].add(key)
        return self.committed.get(key, (0, None))[1]

    def write(self, tx, key, value):
        tx["writes"][key] = value

    def commit(self, tx):
        end_ts = self.clock + 1
        # 검증: 시작 이후 해당 key가 갱신되었는지 체크
        for k in tx["readset"]:
            if self.committed.get(k, (0, None))[0] > tx["start"]:
                return False
        # 커밋
        for k, v in tx["writes"].items():
            self.committed[k] = (end_ts, v)
        self.clock = end_ts
        return True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구분

분류 기준유형방지 문제허용 문제특징대표 구현/엔진
격리 수준 (ANSI)Read Uncommitted (RU)없음DR, NRR, PR, LU보호 최소, 성능 최상특수 분석·모니터링
격리 수준 (ANSI)Read Committed (RC)DRNRR, PR, LU가장 일반적, Dirty Read 방지Oracle 기본, SQL Server 기본
격리 수준 (ANSI)Repeatable Read (RR)DR, NRRPR반복 읽기 일관성, 일부 팬텀 허용PostgreSQL=SI, MySQL=팬텀 방지
격리 수준 (ANSI)Serializable (SE)DR, NRR, PR, LU없음완전 직렬화 가능, 성능 저하금융·재고 트랜잭션
메커니즘2PL모든 이상 현상 방지-잠금 기반 직렬화, 데드락 가능MySQL 일부, 오래된 엔진
메커니즘MVCC+SIDR, NRR 방지PR, LU(조건부)읽기 블로킹 없음, Write Skew 가능PostgreSQL, Oracle
메커니즘SSIDR, NRR, PR 방지LU(조건부)SI 에 충돌감지 추가PostgreSQL 9.1+
메커니즘Gap/Next-Key LockPR 방지-범위 보호로 팬텀 차단MySQL InnoDB
메커니즘Optimistic ConcurrencyDR, NRR 방지PR(조건부)충돌 시 롤백, 높은 동시성NoSQL, 일부 ORM

격리 수준은 ANSI SQL 표준에 따라 RU→RC→RR→SE 순으로 강해지며, 방지 가능한 이상 현상 범위가 넓어지고 성능은 떨어진다. 하지만 실제 DBMS 구현은 표준 정의와 다를 수 있어, PostgreSQL 의 RR 이 SI 로 동작하거나 MySQL InnoDB 의 RR 이 Gap Lock 으로 팬텀을 차단하는 등 차이가 있다.
구현 메커니즘은 2PL, MVCC, SSI, Gap Lock 등으로 다양하며, 각 메커니즘은 성능·일관성·충돌 가능성 측면에서 트레이드오프를 가진다. 따라서 이론적 표준과 실무 구현의 차이를 모두 이해하고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ANSI 표준 Vs 실제 엔진별 구현 차이 비교
격리 수준ANSI SQL 표준 정의PostgreSQLMySQL InnoDBOracleSQL Server
Read Uncommitted (RU)Dirty Read 허용, NRR·PR 허용RC 와 동일 동작 (Dirty Read 미허용)Dirty Read 허용Dirty Read 미허용 (RC 와 동일)Dirty Read 허용
Read Committed (RC)Dirty Read 방지, NRR·PR 허용MVCC 기반, 각 쿼리마다 새 스냅샷 → NRR·PR 가능Lock 기반, 쿼리 단위 Shared Lock기본 모드, 커밋된 데이터만 읽음기본 모드, Lock 기반 또는 RCSI 옵션
Repeatable Read (RR)Dirty Read·NRR 방지, PR 허용MVCC 기반 Snapshot Isolation → Write Skew·PR 가능Gap Lock 사용 → Phantom Read 방지 (실제로 SE 에 가까움)제공 안 함 (기본 RC 와 SE 사이 튜닝)Lock 기반, PR 가능 (RCSI 사용 시 MVCC 동작)
Serializable (SE)모든 이상 현상 방지, 완전 직렬화SSI(Serializable Snapshot Isolation) 로 MVCC+ 충돌 감지Gap Lock·Next-Key Lock 으로 직렬화Serializable 힌트 또는 트랜잭션 옵션 사용Lock 기반 직렬화 또는 SNAPSHOT+SERIALIZABLE 옵션
특이 사항이론상 이상 현상 허용/방지 범위 명확RR=SI 라 ANSI 정의와 다름RR 이 팬텀까지 방지 → ANSI 정의와 다름ANSI 레벨 대신 Lock/버전 기반 최적화RCSI(Read Committed Snapshot Isolation) 로 RC 에서도 MVCC 동작 가능

도구 및 프레임워크 생태계

카테고리도구/시스템정의특징사용 목적
상용/오픈소스 DBMSOracle DatabaseMVCC 기반, 스냅샷 격리, AWR/ASH안정성·성능 우수, 엔터프라이즈 표준대규모 트랜잭션 환경
MySQL(InnoDB)MVCC+ 락 하이브리드, Gap Lock팬텀 방지, 웹서비스 다수OLTP/웹 서비스
PostgreSQLMVCC+SSI, 세밀한 잠금높은 동시성, 직렬화 정확도금융, 미션크리티컬
SQL ServerRCSI/SI, Row Versioning읽기 블로킹 최소, tempdb 기반ERP, 윈도우 기반
CockroachDB분산 MVCC, 직렬화 보장노드 장애 내성클라우드 네이티브
테스트/검증 도구Jepsen/Elle동시성·격리 위반 검출실전 분산 테스트격리 수준 검증
FoundationDB Fault Injection장애 시나리오 주입안정성 시험DBMS 회복력 테스트
TLA+수학적 모델링격리 속성 증명아키텍처 설계 검증
프레임워크/ORMHibernate/JPAJava ORM격리 수준 지정 API비즈니스 로직 -DB 매핑
Spring Transaction트랜잭션 관리 추상화선언형 트랜잭션엔터프라이즈 앱
Sequelize/TypeORMJS/TS ORMSQL 추상화·격리 설정Node.js 백엔드
모니터링/분석 도구AWR/ASH (Oracle)성능 리포트병목·이상 분석DBA 운영
Performance Schema (MySQL)쿼리/락 추적실시간 성능 모니터운영 최적화
pg_stat_activity (PostgreSQL)세션 상태 조회쿼리·락 모니터성능 튜닝
Datadog/New RelicSaaS 모니터링멀티 DB 지원통합 관제
Percona PMM오픈소스 모니터링시각화·알람MySQL/PostgreSQL 운영

트랜잭션 격리 생태계는 단일 DB 엔진의 기능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표준 및 규격 준수사항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ANSI/ISO SQL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각 DBMS 는 이를 기반으로 자체 확장을 제공한다.

구분표준/규격주요 내용현상 정의문법 예시벤더별 확장
SQL-92 (ANSI/ISO)4 가지 격리 수준 정의RU, RC, RR, SerializableDirty, Non-repeatable, Phantom Read 차단 여부 기준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ERIALIZABLE;-
SQL:1999스냅샷 격리 개념 도입MVCC 기반 읽기 일관성 반영Write Skew 가능성 포함--
SQL:2003기능 확장윈도우 함수, XML 타입---
SQL:2011시계열 데이터 표준화Temporal Table---
Oracle표준 + 확장READ ONLY 트랜잭션, Flashback Query-SET TRANSACTION READ ONLY;Flashback Query
PostgreSQL표준 +SSIDEFERRABLE 트랜잭션, SSI-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ERIALIZABLE READ ONLY DEFERRABLE;SSI, MVCC
MySQL (InnoDB)표준 + 락 확장Gap Lock-SELECT * FROM table_name LOCK IN SHARE MODE;Gap Lock

SQL 표준은 격리 수준과 동시성 제어의 기반을 제공하지만, 각 DBMS 는 표준을 구현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실무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실제 도입 사례

도메인/문제채택 격리/메커니즘이유 (핵심 리스크)운영 팁근거
전자상거래 재고/주문카탈로그: RC/RCSI, 결제/재고: RR+Next-Key 또는 구간별 Serializable/SSI오버셀링/팬텀 방지, 읽기 경합 최소화짧은 Tx, 재시도, 파티셔닝InnoDB Next-Key/GAP, RCSI 가이드, Serializable 재시도
금융 이체/원장Serializable(2PL/SSI) + 외부 시스템 2PC/XA금액 보전·이중지불 방지·원자 커밋직렬화 실패 재시도, 이드엠포턴시, 감사 로그PostgreSQL Serializable, IBM/Oracle XA 개요
의료 처방/검사Serializable/SSI 또는 SELECT … FOR UPDATEWrite Skew/동시 검증 실패 방지제약/트리거 병행, 긴 Tx 회피Serializable 설계 원칙
회계 마감/정산OLTP: RC/RCSI, 리포팅/마감: Snapshot + 국소 Serializable보고 일관성 vs 온라인 경합 완화배치 창 분리, I/O 분리SQL Server Snapshot/RCSI
글로벌 주문/다중 리전TrueTime 기반 DB 또는 RDB+ 사가 (최종 직렬화)전 지구적 일관/유니크, 네트워크 지연리전 경계 모델링, 보상 플로우Spanner OSDI'12 / Brewer 논문

실습 예제 및 코드 구현

실습 예제: PostgreSQL, Python

학습 목표: RC/RR/Serializable 에서 Non-repeatable/Phantom/Write Skew 차이를 실습
시나리오: 재고 감소와 조회가 경합
시스템 구성:

graph TB
  App1[Reader Tx] -->|RC or SI| PG[(PostgreSQL)]
  App2[Writer Tx] --> PG
  PG --> VS[MVCC/SSI]

Workflow

  1. Tx A 가 재고 읽기
  2. Tx B 가 재고 갱신 후 커밋
  3. Tx A 가 재조회 (RC vs RR 비교)

유무 차이

구현 예시: Python/psycop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import psycopg
from contextlib import contextmanager

@contextmanager
def txn(conn, iso):
    # Isolation 수준 설정
    with conn.cursor() as cur:
        cur.execute(f"BEGIN TRANSACTION ISOLATION LEVEL {iso};")
    try:
        yield conn
        conn.commit()
    except Exception:
        conn.rollback()
        raise

def setup(conn):
    with conn.cursor() as cur:
        cur.execute("drop table if exists stock; create table stock(id int primary key, qty int);")
        cur.execute("insert into stock values (1, 10);")
    conn.commit()

# Non-repeatable Read 관찰 (READ COMMITTED)
def non_repeatable_demo(conn_a, conn_b):
    setup(conn_a)
    with txn(conn_a, "READ COMMITTED"):
        with conn_a.cursor() as ca:
            ca.execute("select qty from stock where id=1;")
            print("A first read:", ca.fetchone()[0])  # RC: 10
            # B가 업데이트
            with txn(conn_b, "READ COMMITTED"):
                with conn_b.cursor() as cb:
                    cb.execute("update stock set qty=qty-5 where id=1;")
            ca.execute("select qty from stock where id=1;")
            print("A second read:", ca.fetchone()[0])  # RC: 5 (비반복 읽기 발생)

# Phantom 방지 (SERIALIZABLE에서 범위 조건)
def phantom_block_demo(conn_a, conn_b):
    setup(conn_a)
    with txn(conn_a, "SERIALIZABLE"):
        with conn_a.cursor() as ca:
            ca.execute("select count(*) from stock where qty >= 10;")  # 범위 쿼리
            print("A count:", ca.fetchone()[0])
            # B가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추가하려 시도
            try:
                with txn(conn_b, "SERIALIZABLE"):
                    with conn_b.cursor() as cb:
                        cb.execute("insert into stock values (2, 20);")
            except Exception as e:
                print("B aborted due to serialization:", e)  # SSI가 충돌 감지 가능
실습 예제: 격리 수준별 동작 방식과 동시성 문제 해결 과정 이해

학습 목표: Transaction Isolation 의 각 격리 수준별 동작 방식과 동시성 문제 해결 과정 이해

시나리오: 온라인 도서 대여 시스템에서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같은 책을 대여하려고 할 때의 처리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Client Layer"
        U1[User 1]
        U2[User 2]
        U3[User 3]
    end
    
    subgraph "Application Layer"
        APP[Flask Application]
        CP[Connection Pool]
    end
    
    subgraph "Database Layer"
        PG[PostgreSQL]
        TM[Transaction Manager]
        LM[Lock Manager]
    end
    
    U1 --> APP
    U2 --> APP
    U3 --> APP
    APP --> CP
    CP --> PG
    PG --> TM
    TM --> LM

Workflow:

  1. 사용자가 도서 대여 요청
  2. 애플리케이션이 재고 확인
  3. 재고가 있으면 대여 기록 생성
  4. 재고 수량 감소
  5. 트랜잭션 커밋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import psycopg2
from psycopg2.extras import RealDictCursor
import threading
import time
from contextlib import contextmanager

class BookRentalSystem:
    def __init__(self, connection_string):
        self.connection_string = connection_string
    
    @contextmanager
    def get_db_connection(self, isolation_level):
        """
        데이터베이스 연결 및 격리 수준 설정
        - Transaction Isolation의 핵심: 격리 수준별 동작 제어
        """
        conn = psycopg2.connect(self.connection_string)
        try:
            # 격리 수준 설정 - Transaction Isolation의 실제 적용
            conn.set_isolation_level(isolation_level)
            yield conn
        finally:
            conn.close()
    
    def rent_book_read_uncommitted(self, user_id, book_id):
        """
        Read Uncommitted 격리 수준에서의 도서 대여
        - 커밋되지 않은 데이터도 읽어서 Dirty Read 문제 발생 가능
        """
        with self.get_db_connection(psycopg2.extensions.ISOLATION_LEVEL_READ_UNCOMMITTED) as conn:
            try:
                cursor = conn.cursor(cursor_factory=RealDictCursor)
                
                # 재고 확인 (Dirty Read 가능)
                cursor.execute("SELECT stock FROM books WHERE book_id = %s", (book_id,))
                result = cursor.fetchone()
                
                print(f"User {user_id}: 현재 재고 {result['stock']}")
                
                if result['stock'] > 0:
                    # 의도적 지연으로 동시성 문제 시뮬레이션
                    time.sleep(0.1)
                    
                    # 재고 감소
                    cursor.execute(
                        "UPDATE books SET stock = stock - 1 WHERE book_id = %s", 
                        (book_id,)
                    )
                    
                    # 대여 기록 생성
                    cursor.execute(
                        "INSERT INTO rentals (user_id, book_id, rental_date) VALUES (%s, %s, NOW())",
                        (user_id, book_id)
                    )
                    
                    conn.commit()
                    print(f"User {user_id}: 대여 성공!")
                    return True
                else:
                    print(f"User {user_id}: 재고 부족으로 대여 실패")
                    return False
                    
            except Exception as e:
                conn.rollback()
                print(f"User {user_id}: 오류 발생 - {e}")
                return False
    
    def rent_book_serializable(self, user_id, book_id):
        """
        Serializable 격리 수준에서의 도서 대여
        - Transaction Isolation의 최고 수준: 모든 동시성 문제 방지
        - 직렬화 가능한 스케줄로 실행되어 데이터 일관성 완벽 보장
        """
        with self.get_db_connection(psycopg2.extensions.ISOLATION_LEVEL_SERIALIZABLE) as conn:
            try:
                cursor = conn.cursor(cursor_factory=RealDictCursor)
                
                # 재고 확인 및 잠금 (SELECT FOR UPDATE)
                # Transaction Isolation의 핵심: 읽기와 동시에 배타적 잠금 획득
                cursor.execute(
                    "SELECT stock FROM books WHERE book_id = %s FOR UPDATE", 
                    (book_id,)
                )
                result = cursor.fetchone()
                
                print(f"User {user_id}: 현재 재고 {result['stock']} (잠금 획득)")
                
                if result['stock'] > 0:
                    # 재고 감소
                    cursor.execute(
                        "UPDATE books SET stock = stock - 1 WHERE book_id = %s", 
                        (book_id,)
                    )
                    
                    # 대여 기록 생성
                    cursor.execute(
                        "INSERT INTO rentals (user_id, book_id, rental_date) VALUES (%s, %s, NOW())",
                        (user_id, book_id)
                    )
                    
                    # 트랜잭션 커밋 - Transaction Isolation의 원자성 보장
                    conn.commit()
                    print(f"User {user_id}: 대여 성공! (일관성 보장)")
                    return True
                else:
                    print(f"User {user_id}: 재고 부족으로 대여 실패")
                    conn.rollback()
                    return False
                    
            except psycopg2.extensions.TransactionRollbackError:
                # 직렬화 실패 시 재시도 (Transaction Isolation의 충돌 해결)
                conn.rollback()
                print(f"User {user_id}: 직렬화 충돌로 재시도 필요")
                time.sleep(0.01)  # 짧은 대기 후 재시도
                return self.rent_book_serializable(user_id, book_id)
            except Exception as e:
                conn.rollback()
                print(f"User {user_id}: 오류 발생 - {e}")
                return False

def simulate_concurrent_rentals():
    """
    동시 대여 시뮬레이션
    - Transaction Isolation 유무에 따른 차이점 실증
    """
    rental_system = BookRentalSystem("postgresql://user:password@localhost/bookstore")
    
    print("=== Read Uncommitted 테스트 (문제 상황) ===")
    threads = []
    for i in range(3):
        thread = threading.Thread(
            target=rental_system.rent_book_read_uncommitted, 
            args=(f"user_{i}", 1)
        )
        threads.append(thread)
        thread.start()
    
    for thread in threads:
        thread.join()
    
    print("\n=== Serializable 테스트 (해결 상황) ===")
    threads = []
    for i in range(3):
        thread = threading.Thread(
            target=rental_system.rent_book_serializable, 
            args=(f"user_{i}", 2)
        )
        threads.append(thread)
        thread.start()
    
    for thread in threads:
        thread.join()

# 테스트 실행
if __name__ == "__main__":
    simulate_concurrent_rentals()
실습 예제: 격리 수준별 데이터 정합성 변화 실습

학습 목표: 트랜잭션 격리 수준별 데이터 정합성 변화 실습
시나리오: 두 개 트랜잭션 (트랜잭션 A, B) 이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조회/수정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트랜잭션 A] --> D[(데이터베이스)]
    B[트랜잭션 B] --> D
    D --> E[Isolation Level 컨트롤]

Workflow:

  1. 트랜잭션 A 가 데이터 조회
  2. 트랜잭션 B 가 동일 데이터 수정 및 커밋
  3. 트랜잭션 A 가 재조회 → 격리 수준에 따라 결과 다름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pymysql + SQ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Transaction Isolation Level 실습 예제
import pymysql

# DB 연결 및 트랜잭션 시작 시 격리 수준 설정
conn = pymysql.connect(host='localhost', user='root', password='', db='test')
try:
    with conn.cursor() as cursor:
        cursor.execute('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READ COMMITTED;') # 격리 수준 설정
        conn.begin()
        cursor.execute('SELECT balance FROM account WHERE id=1;')  # 데이터 조회
        # 주석: 동시간대에 다른 트랜잭션에서 데이터롤 변경했을 경우, Read Committed는 변경된 값만 조회 가능
        conn.commit()
finally:
    conn.close()
실습 예제: 주문 → 결제 → 재고 → 정산 흐름에 따른 구간별 권장 격리/락 전략
단계주요 작업권장 격리/락핵심 불변 (비즈 규칙)실패·재시도 전략모니터링 포인트
주문 (Order)장바구니→주문 생성, 가격/쿠폰 확정RC/RCSI로 읽기 비차단, 주문 생성 Tx 는 RC(짧게)주문번호 유니크, 금액·할인 재계산 일관성멱등키(idempotency_key) 로 중복 생성 방지주문 생성 실패율, p95 응답, 멱등 충돌률
결제 (Payment)결제 승인/캡처, 원장 (ledger) 기록PSP 연동은 외부, 내부 원장 기록은 Serializable/SSI(짧은 Tx)이중 결제 방지, 잔액/채권·채무 보존멱등키 + 유니크 제약(payment_key), 재시도 허용결제 재시도율, 직렬화 실패율, 보상 (취소) 율
재고 (Inventory)재고 예약→차감단일 SKU 는 SELECT … **FOR UPDATE**(RR/기본 InnoDB) 또는 조건부 업데이트 (Optimistic). 다중 로트/범위는 Next-Key/갭락(InnoDB) or Serializable/SSI음수 재고 금지, 오버셀링 금지, 예약 만료짧은 Tx + 재시도, SKIP LOCKED로 작업 분산, 예약 TTL/정리재고 경합률, 잠금 대기, 예약 만료/정리 지연
정산 (Settlement)정산 배치, 회계 분개Snapshot/RCSI로 리포팅 일관 스냅샷, 분개 생성 구간만 Serializable복식부기 불변 (차변=대변), 기간별 총계 일치배치 - 온라인 분리, 실패 시 부분 롤백 + 재실행배치 시간, p99 I/O, 재처리 건수
흐름 & 격리 레이어
flowchart LR
  subgraph Client
    U[사용자]
  end
  subgraph Services
    O[Order Svc\nRC/RCSI]
    P[Payment Svc\nPSP연동 + 내부 Ledger=Serializable/SSI]
    I["Inventory Svc\nFOR UPDATE / RR(+Next-Key)"]
    S[Settlement Svc\nSnapshot + 구간별 Serializable]
  end
  subgraph Infra
    MQ[(Kafka/Rabbit Outbox)]
    CACHE[(Redis)]
    SEARCH[(Elasticsearch)]
  end

  U --> O --> P --> I --> S
  O -- Outbox 이벤트 --> MQ
  P -- Outbox 이벤트 --> MQ
  I -- Outbox 이벤트 --> MQ
  O --- CACHE
  O --- SEARCH
엔진별 치트시트
주제PostgreSQLMySQL InnoDBSQL Server
기본 격리Read CommittedRepeatable Read(기본)Read Committed + RCSI(권장)
강한 정합성Serializable=SSI(충돌 그래프)2PL 기반 + RR 에서도 Next-Key/GAP로 팬텀 방지SERIALIZABLE 또는 힌트로 근사 (HOLDLOCK)
행 잠금SELECT … FOR UPDATE/SHARE… FOR UPDATE/LOCK IN SHARE MODE(버전별), RR 에서 범위 잠금WITH (UPDLOCK, ROWLOCK)
범위/팬텀Serializable로 감지/차단Next-Key/GAP(인덱스 필요)HOLDLOCK(Serializable 동작)
읽기 비차단기본 MVCC(문/Tx 스냅샷)세컨더리 읽기엔 주의, 기본은 쓰기 차단 가능RCSI/ALLOW_SNAPSHOT_ISOLATION
실전 SQL 패턴 모음
  1. 주문 생성—멱등키로 중복 방지

     1
     2
     3
     4
     5
     6
     7
     8
     9
    10
    
    -- 공통(모든 엔진): 멱등키 유니크 인덱스
    -- CREATE UNIQUE INDEX ux_order_idem ON orders(idempotency_key);
    
    -- 주문 생성: RC/RCSI에서 짧게 수행
    BEGIN;
      -- 이미 처리된 요청이면 바로 반환
      -- SELECT id FROM orders WHERE idempotency_key = :k FOR UPDATE;
      INSERT INTO orders(idempotency_key, user_id, amount, status)
      VALUES(:k, :user_id, :amount, 'PENDING');
    COMMIT;
    
  2. 결제 원장—Serializable/SSI 구간 (짧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Postgres 예시: 직렬화 보장(SSI)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ERIALIZABLE;
    BEGIN;
      -- 멱등키로 이중 결제 방지
      -- CREATE UNIQUE INDEX ux_pay_key ON payments(pay_key);
      INSERT INTO payments(pay_key, order_id, amount, state) VALUES(:k, :oid, :amt, 'CAPTURED');
    
      -- 복식부기 원장: 차변/대변 동시 기록 (합계 일치 제약은 트리거/제약으로 보강)
      INSERT INTO ledger_entries (entry_id, account, debit, credit)
      VALUES (gen_random_uuid(), 'Cash', :amt, 0),
             (gen_random_uuid(), 'AR',   0, :amt);
    COMMIT;
    -- 직렬화 충돌 시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시도
    
  3. 재고 차감—비관적 (행 잠금) 패턴

     1
     2
     3
     4
     5
     6
     7
     8
     9
    10
    
    -- 단일 SKU: 재고 음수 방지 (Postgres/MySQL 유사)
    BEGIN;
      -- 선택 행 잠금으로 동시 차감 직격
      SELECT qty FROM stock WHERE sku = :sku FOR UPDATE;
      -- 수량 충분할 때만 차감
      UPDATE stock
      SET qty = qty - :n
      WHERE sku = :sku AND qty >= :n;
      -- 적용 여부 확인 (0행이면 부족/다른 Tx가 선점)
    COMMIT;
    
  4. 재고 차감—낙관적 (조건부 갱신) 패턴

     1
     2
     3
     4
     5
     6
     7
     8
     9
    10
    
    -- 스키마: stock(sku PK, qty, version)
    BEGIN;
      -- 현재 버전 조회 (스냅샷/RC)
      SELECT qty, version FROM stock WHERE sku = :sku;
      -- 조건부 업데이트로 충돌 검출
      UPDATE stock
      SET qty = qty - :n, version = version + 1
      WHERE sku = :sku AND qty >= :n AND version = :ver;
    COMMIT;
    -- 영향 행 수=0이면 재시도(버전 충돌 or 수량 부족)
    
  5. 범위 (로트/유통기한 우선) 차감—팬텀 방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 InnoDB: 인덱스( (sku, expire_at) ) 위에서 RR + Next-Key 락 활용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REPEATABLE READ;
    BEGIN;
      -- 가장 빠른 만기 로트부터 집계 & 잠금
      SELECT lot_id, available
      FROM lots
      WHERE sku = :sku AND available > 0
      ORDER BY expire_at
      FOR UPDATE;  -- 인덱스 범위에 Next-Key/GAP 잠금 부여
    
      -- 선택 로트들에서 차감 처리...
    COMMIT;
    
  6. 워커 병렬화—SKIP LOCKED 로 핫큐 처리

    1
    2
    3
    4
    5
    6
    7
    8
    9
    
    -- 대량 주문 재고예약 워커
    BEGIN;
      -- 이미 잠긴 행은 건너뛰고 다른 워커가 병렬 처리
      SELECT id FROM reservations
      WHERE state = 'READY'
      FOR UPDATE SKIP LOCKED
      LIMIT 100;
      -- 처리 후 상태 전이...
    COMMIT;
    
  7. Outbox—이벤트 정확 1 회 전달

    1
    2
    3
    4
    5
    6
    7
    
    BEGIN;
      -- 비즈니스 변경 + 아웃박스 레코드를 동일 Tx에 기록
      UPDATE orders SET status='PAID' WHERE id=:oid;
      INSERT INTO outbox(event_type, aggregate_id, payload, published)
      VALUES('OrderPaid', :oid, :json, false);
    COMMIT;
    -- 별도 퍼블리셔가 outbox(published=false)만 읽어 MQ에 퍼블리시 후 true로 마크
    
운영 팁

실제 도입 사례의 코드 구현

사례: 금융거래 시스템

사례 선정: 금융거래 시스템
비즈니스 배경: 동시 거래 환경에서 부정 거래와 데이터 오염 예방
기술적 요구사항: 모든 트랜잭션이 독립적으로 처리되어 동시에 일어나는 거래 데이터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함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금융 서비스 시스템"
        A[Application 서버] --> B[DB 트랜잭션 관리자]
        B --> C[DB 클러스터]
    end

Workflow:

  1. 서버가 트랜잭션 요청
  2. 트랜잭션 관리자 격리 수준 적용
  3. 트랜잭션 처리 및 결과 반환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Spring Transaction 설정, YAML):

1
2
3
4
5
6
7
8
9
# Spring 환경에서 Serializable 격리 수준 적용 예시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3306/finance
    username: user
    password: pass
  jpa:
    properties:
      hibernate.connection.isolation: 8  # 8(SERIALIZABLE)

성과 분석:

사례: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재고 관리 시스템

사례 선정: 대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재고 관리 시스템

비즈니스 배경:

기술적 요구사항: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Frontend"
        WEB[Web Interface]
        MOBILE[Mobile App]
    end
    
    subgraph "Load Balancer"
        LB[NGINX Load Balancer]
    end
    
    subgraph "Application Cluster"
        APP1[Node.js Server 1]
        APP2[Node.js Server 2]
        APP3[Node.js Server 3]
    end
    
    subgraph "Data Layer"
        MYSQL[(MySQL Master)]
        REDIS[(Redis Cluster)]
        KAFKA[Kafka Cluster]
    end
    
    subgraph "Monitoring"
        METRICS[Prometheus]
        LOGS[ELK Stack]
    end
    
    WEB --> LB
    MOBILE --> LB
    LB --> APP1
    LB --> APP2
    LB --> APP3
    APP1 --> MYSQL
    APP1 --> REDIS
    APP1 --> KAFKA
    APP2 --> MYSQL
    APP2 --> REDIS
    APP2 --> KAFKA
    APP3 --> MYSQL
    APP3 --> REDIS
    APP3 --> KAFKA
    APP1 --> METRICS
    APP2 --> LOGS

Workflow:

  1. 고객이 상품 주문 요청
  2. 로드 밸런서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분산
  3. Redis 에서 재고 캐시 확인
  4. MySQL 에서 트랜잭션 시작 (Repeatable Read)
  5. 재고 차감 및 주문 생성
  6. Kafka 로 이벤트 발행
  7. 트랜잭션 커밋 및 응답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Node.j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const mysql = require('mysql2/promise');
const Redis = require('ioredis');
const { Kafka } = require('kafkajs');

class ECommerceInventorySystem {
    constructor() {
        // 데이터베이스 연결 풀 설정
        this.dbPool = mysql.createPool({
            host: 'mysql-master',
            user: 'ecommerce_user',
            password: 'secure_password',
            database: 'ecommerce',
            waitForConnections: true,
            connectionLimit: 100,
            queueLimit: 0,
            // Transaction Isolation 설정: Repeatable Read
            // 주문 프로세스 중 재고 일관성 보장을 위한 격리 수준
            isolationLevel: 'REPEATABLE READ'
        });
        
        // Redis 클러스터 연결
        this.redis = new Redis.Cluster([
            { host: 'redis-1', port: 6379 },
            { host: 'redis-2', port: 6379 },
            { host: 'redis-3', port: 6379 }
        ]);
        
        // Kafka producer 설정
        this.kafka = new Kafka({
            clientId: 'inventory-service',
            brokers: ['kafka-1:9092', 'kafka-2:9092', 'kafka-3:9092']
        });
        this.producer = this.kafka.producer();
    }
    
    async processOrder(customerId, productId, quantity) {
        /**
         * 주문 처리 메인 로직
         * - Transaction Isolation의 핵심 적용 부분
         * - Repeatable Read 격리 수준으로 재고 일관성 보장
         */
        const connection = await this.dbPool.getConnection();
        
        try {
            // 트랜잭션 시작 - Transaction Isolation 적용 시점
            await connection.beginTransaction();
            console.log(`주문 처리 시작: Customer ${customerId}, Product ${productId}`);
            
            // 1. 캐시에서 빠른 재고 확인 (성능 최적화)
            const cachedStock = await this.redis.get(`stock:${productId}`);
            if (cachedStock && parseInt(cachedStock) < quantity) {
                throw new Error('재고 부족 (캐시 기준)');
            }
            
            // 2. 데이터베이스에서 정확한 재고 확인 및 잠금
            // Transaction Isolation의 핵심: FOR UPDATE로 배타적 잠금 획득
            const [stockRows] = await connection.execute(
                `SELECT stock_quantity, reserved_quantity 
                 FROM product_inventory 
                 WHERE product_id = ? FOR UPDATE`,
                [productId]
            );
            
            if (stockRows.length === 0) {
                throw new Error('상품을 찾을 수 없습니다');
            }
            
            const availableStock = stockRows[0].stock_quantity - stockRows[0].reserved_quantity;
            console.log(`현재 가용 재고: ${availableStock} (잠금 획득됨)`);
            
            if (availableStock < quantity) {
                throw new Error(`재고 부족: 요청 ${quantity}, 가용 ${availableStock}`);
            }
            
            // 3. 재고 예약 (실제 차감 전 단계)
            // Transaction Isolation 보장 하에 안전한 재고 업데이트
            await connection.execute(
                `UPDATE product_inventory 
                 SET reserved_quantity = reserved_quantity + ? 
                 WHERE product_id = ?`,
                [quantity, productId]
            );
            
            // 4. 주문 생성
            const orderId = await this.createOrder(connection, customerId, productId, quantity);
            
            // 5. 재고 실제 차감 및 예약 해제
            await connection.execute(
                `UPDATE product_inventory 
                 SET stock_quantity = stock_quantity - ?,
                     reserved_quantity = reserved_quantity - ?
                 WHERE product_id = ?`,
                [quantity, quantity, productId]
            );
            
            // 6. 트랜잭션 커밋 - Transaction Isolation의 원자성 완성
            await connection.commit();
            
            // 7. 캐시 업데이트 (일관성 유지)
            const newStock = stockRows[0].stock_quantity - quantity;
            await this.redis.set(`stock:${productId}`, newStock, 'EX', 300);
            
            // 8. 이벤트 발행 (비동기 처리)
            await this.publishInventoryEvent(productId, quantity, 'STOCK_DECREASED');
            
            console.log(`주문 처리 완료: Order ${orderId}`);
            return { success: true, orderId, remainingStock: newStock };
            
        } catch (error) {
            // 트랜잭션 롤백 - Transaction Isolation의 원자성 보장
            await connection.rollback();
            console.error(`주문 처리 실패: ${error.message}`);
            
            // 캐시 무효화 (데이터 일관성)
            await this.redis.del(`stock:${productId}`);
            
            return { success: false, error: error.message };
        } finally {
            // 연결 해제
            connection.release();
        }
    }
    
    async createOrder(connection, customerId, productId, quantity) {
        /**
         * 주문 레코드 생성
         * - 동일한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되어 Transaction Isolation 보장
         */
        const [result] = await connection.execute(
            `INSERT INTO orders (customer_id, product_id, quantity, order_status, created_at)
             VALUES (?, ?, ?, 'PENDING', NOW())`,
            [customerId, productId, quantity]
        );
        
        const orderId = result.insertId;
        
        // 주문 상세 정보 추가
        await connection.execute(
            `INSERT INTO order_items (order_id, product_id, quantity, unit_price)
             SELECT ?, product_id, ?, price 
             FROM products WHERE product_id = ?`,
            [orderId, quantity, productId]
        );
        
        return orderId;
    }
    
    async publishInventoryEvent(productId, quantity, eventType) {
        /**
         * 재고 변경 이벤트 발행
         * - Transaction Isolation 외부에서 실행되는 비동기 처리
         */
        try {
            await this.producer.send({
                topic: 'inventory-events',
                messages: [{
                    key: productId.toString(),
                    value: JSON.stringify({
                        productId,
                        quantity,
                        eventType,
                        timestamp: new Date().toISOString()
                    })
                }]
            });
        } catch (error) {
            console.error(`이벤트 발행 실패: ${error.message}`);
            // 별도 재시도 로직 필요
        }
    }
    
    async handleConcurrentOrders() {
        /**
         * 동시 주문 처리 시뮬레이션
         * - Transaction Isolation의 효과 검증
         */
        const productId = 12345;
        const orderPromises = [];
        
        // 10개의 동시 주문 시뮬레이션
        for (let i = 1; i <= 10; i++) {
            const promise = this.processOrder(`customer_${i}`, productId, 1);
            orderPromises.push(promise);
        }
        
        // 모든 주문 처리 완료 대기
        const results = await Promise.all(orderPromises);
        
        // 결과 분석
        const successCount = results.filter(r => r.success).length;
        const failureCount = results.filter(r => !r.success).length;
        
        console.log(`동시 주문 처리 결과:`);
        console.log(`- 성공: ${successCount}건`);
        console.log(`- 실패: ${failureCount}건`);
        console.log(`Transaction Isolation로 재고 일관성 보장됨`);
        
        return results;
    }
}

// Express.js 라우터 설정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inventorySystem = new ECommerceInventorySystem();

app.use(express.json());

app.post('/orders', async (req, res) => {
    /**
     * 주문 API 엔드포인트
     * - Transaction Isolation이 적용된 주문 처리 호출
     */
    try {
        const { customerId, productId, quantity } = req.body;
        
        // 입력 검증
        if (!customerId || !productId || !quantity || quantity <= 0) {
            return res.status(400).json({
                error: '잘못된 요청 데이터'
            });
        }
        
        // 주문 처리 (Transaction Isolation 적용)
        const result = await inventorySystem.processOrder(customerId, productId, quantity);
        
        if (result.success) {
            res.status(201).json({
                message: '주문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orderId: result.orderId,
                remainingStock: result.remainingStock
            });
        } else {
            res.status(409).json({
                error: result.error
            });
        }
        
    } catch (error) {
        console.error('주문 처리 중 오류:', error);
        res.status(500).json({
            error: '서버 내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
});

// 서버 시작
app.listen(3000, () => {
    console.log('E-commerce 재고 관리 시스템이 포트 3000에서 실행 중입니다');
    console.log('Transaction Isolation (Repeatable Read) 적용됨');
});

성과 분석:

사례: 리포팅 트래픽이 많은 주문 시스템

사례 선정: 리포팅 트래픽이 많은 주문 시스템
비즈니스 배경: 리포팅 SELECT 가 OLTP 쓰기를 자주 블로킹
기술적 요구사항: 읽기 비차단, 데이터 읽기 일관성 유지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PI --> SQL[(SQL Server)]
  SQL --> RV[tempdb Row Version Store]

Workflow

  1. DBA 가 DB 단위로 RCSI 활성화
  2.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RC 그대로 사용 (설정만으로 효과)
  3. 읽기는 버전 읽기, 쓰기는 최신 행 갱신

구현 예시 (T-SQL: 운영 설정)

1
2
3
4
-- 이 설정은 '읽기 비차단(READ COMMITTED SNAPSHOT)'을 위한 것
ALTER DATABASE SalesDB SET READ_COMMITTED_SNAPSHOT ON WITH ROLLBACK IMMEDIATE;
-- 일부 트랜잭션에서 강한 격리가 필요하면 명시적으로 요청
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SERIALIZABLE;

근거: RCSI/스냅샷 격리는 tempdb 에 버전을 저장하여 읽기 - 쓰기 경합을 줄인다.

성과 분석

사례: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주문 처리

아키텍처 구성 및 흐름:

graph LR
    A[Order Service] -->|Create Order| B[Payment Service]
    B -->|Charge Card| C[Inventory Service]
    C -->|Reserve Items| D[Shipping Service]
    D -->|Schedule Shipment| A
  1. Order Service 트랜잭션 시작
  2. 각 서비스는 로컬 트랜잭션 실행
  3. 실패 시 보상 트랜잭션 실행 (예: 주문 취소, 결제 취소, 재고 복원)
  4. 전체 흐름은 Eventually Consistent 보장

구현 코드 예시: Python Flask + SQLAlchemy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from sqlalchemy import create_engine
from sqlalchemy.orm import sessionmaker

app = Flask(__name__)
engine = create_engine('postgresql://user:pass@localhost/orderdb')
Session = sessionmaker(bind=engine)

@app.route('/order', methods=['POST'])
def create_order():
    session = Session()
    session.execute('SET TRANSACTION ISOLATION LEVEL REPEATABLE READ')
    try:
        # Create order record
        session.execute("INSERT INTO orders …")
        # Simulate call to payment service
        process_payment()
        session.commit()
    except Exception:
        session.rollback()
        compensate_order()
        raise
    finally:
        session.close()
    return "OK"
사례: 인터넷 뱅킹 " 계좌 이체 " 시스템

사례: 인터넷 뱅킹 " 계좌 이체 " 시스템

시스템 다이어그램 (Mermaid)

graph LR
  UA[User A] --> FE[Front-end Server]
  FE --> TM[Transaction Manager]
  TM --> DB[Database]
  TM --> LOG[Logging System]

구현 예시: Python, MVCC 스타일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단순한 MVCC 기반 격리성 동작 예시
class VersionedValue:
    def __init__(self, value, tid):
        self.value = value
        self.tid = tid  # transaction id(트랜잭션 id)

class SimpleMVCCDB:
    def __init__(self):
        self.data = {}  # col_name: [VersionedValue, …]
    
    def read(self, col, tid):
        # tid 이전에 커밋된 최신값만 노출(격리성 관리)
        versions = self.data.get(col, [])
        for ver in reversed(versions):
            if ver.tid <= tid:
                return ver.value
        return None
    
    def write(self, col, value, tid):
        self.data.setdefault(col, []).append(VersionedValue(value, tid))

db = SimpleMVCCDB()
db.write("balance", 10000, 1)  # 트랜잭션1: 초기값 설정
print(db.read("balance", 2))   # 트랜잭션2: 10000 출력
db.write("balance", 9000, 2)   # 트랜잭션2: 9000으로 변경
print(db.read("balance", 1))   # 트랜잭션1은 10000만 읽음(격리)

부록 4: 고급 응용 시나리오 예제

시나리오:
멀티테넌시 (Multi-Tenancy) SaaS 환경에서 각 테넌트 (Tenant) 데이터가 철저히 격리되어야 하고, 동시에 수천 건의 요청이 실시간으로 처리돼야 하는 상황.

구현 방안:

  1. 기본 격리 수준: Read Committed
  2. 특정 고위험 API(결제/정산): Serializable 격리 수준 적용
  3. DB 연결 풀 (Connection Pool) 내 격리 수준 설정 분리
  4. **MVCC(Snapshot Isolation)**를 기본 구현으로 활용
  5. Observability(관측성) 연계로 격리 수준별 성능 차이 측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Python 예제 - SQLAlchemy 기반 Isolation Level 설정
from sqlalchemy import create_engine

# 연결 엔진 생성 - 기본 Read Committed
engine = create_engine(
    "postgresql+psycopg2://user:pass@localhost/dbname",
    isolation_level="READ COMMITTED"
)

# 특정 트랜잭션 블록에서 Serializable 적용
with engine.connect() as conn:
    conn.execution_options(isolation_level="SERIALIZABLE")
    conn.execute("BEGIN;")
    conn.execute("UPDATE orders SET status='paid' WHERE id=123;")
    conn.execute("COMMIT;")

위 예시에서, 결제 처리 로직에서만 Serializable 수준을 적용하여 결제 데이터의 일관성을 극대화하면서, 전체 시스템 성능은 기본 Read Committed로 유지.

통합 및 연계 기술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단일 DB 엔진 내부뿐 아니라 외부 시스템·패턴과의 통합에서 동작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카테고리기술/패턴주요 기능트랜잭션 격리 연계 포인트사용 사례
DBMS 연계MySQL InnoDBMVCC+ 락 하이브리드, Gap LockPhantom Read 방지, RC/RR 최적화금융 DB
PostgreSQLMVCC+SSIWrite Skew 방지결제 시스템
OracleRead Consistency, Flashback과거 시점 조회와 격리 결합데이터 감사
캐싱 연계Redis커밋 후 캐시 무효화, 분산락Dirty Read 방지세션 관리
MemcachedTTL 기반 캐싱RC 환경에서 캐시 stale 방지API 응답 캐싱
메시지 브로커 연계KafkaOutbox 패턴, Exactly-once커밋 후 이벤트 발행 보장마이크로서비스 이벤트 전달
RabbitMQ보상 트랜잭션, 트랜잭션 메시지격리 수준 유지한 비동기 처리주문 처리
모니터링 연계Prometheus+Grafana성능 메트릭, 데드락 모니터링격리 수준별 성능 영향 시각화실시간 모니터링
ELK Stack로그 분석, 오류 추적격리 위반 패턴 식별장애 분석
분산 아키텍처 연계CQRS+ 읽기 전용 복제본읽기/쓰기 분리, SI 활용OLTP 부하 분산전자상거래
SAGA/워크플로우단계별 보상 트랜잭션글로벌 일관성 보장여행 예약 시스템

트랜잭션 격리 수준은 단순한 DB 내부 설정이 아니라, DBMS·캐시·메시지 브로커·모니터링·분산 패턴과의 조합에서 실질적인 성능과 일관성을 결정한다.

운영 및 최적화 (Operations & Optimization)

보안 및 거버넌스

트랜잭션 격리 보안·거버넌스는 변경 관리, 권한 제어, 감사 로깅, 접근 패턴 모니터링, 규제 준수를 중심으로 한다.
격리 수준 변경은 Change Management 절차에 따라 승인·검증·롤백 계획과 함께 수행되어야 하며, 사용자·역할별 권한에 따라 격리 수준을 제한해야 한다.
모든 변경과 트랜잭션 충돌 (SSI 포함) 은 감사 로그로 추적하며, 장기 실행 트랜잭션 방지를 위해 타임아웃 정책을 적용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접근 패턴을 탐지·차단하는 모니터링을 구축하고, GDPR·SOX·PCI DSS 등 규제에 따라 민감 데이터 처리 시 높은 격리 수준과 암호화를 병행해야 한다.
운영 표준화와 장애 시 롤백 전략 수립은 필수이며, 분산·멀티 리전 환경에서는 글로벌 거버넌스 정책이 일관되게 적용되어야 한다.

구분항목설명구현/운영 방법적용 규제/표준
변경 관리Change Management격리 수준 변경 승인·롤백 계획 필수운영 절차서, 변경 승인 워크플로우ISO 27001
권한 제어Role-based Isolation Control사용자·역할별 격리 수준 제한, 민감 데이터에 높은 수준 강제DB 권한 매핑, 정책 스크립트GDPR, PCI DSS
감사 로깅Audit Logging변경·충돌·실패 이벤트 추적SI/SSI 충돌 이벤트 로깅, 변경 로그 저장SOX, GDPR
타임아웃 보안Transaction Timeout장기 실행 트랜잭션 DoS 방지자동 타임아웃 설정, 알림OWASP ASVS
접근 패턴 모니터링Pattern Monitoring비정상적 읽기·쓰기·격리 우회 탐지실시간 모니터링, 경고 시스템GDPR
규제 준수Compliance Enforcement규제별 보안·일관성 요구 충족정책 템플릿, 감사 리포트GDPR, SOX, PCI DSS
운영 거버넌스Operational Governance표준화·장애시 롤백 전략표준 운영 매뉴얼, DR 계획ITIL, COBIT

트랜잭션 격리의 보안·거버넌스는 변경 시 승인·롤백 계획, 권한 기반 제어, 감사 로깅, 타임아웃 보안, 접근 패턴 모니터링, 규제 준수, 표준 운영 절차가 핵심이다. 이는 단일 DBMS 뿐 아니라 분산·멀티 리전 환경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GDPR·SOX·PCI DSS 와 같은 국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특히 실시간 모니터링과 자동 정책 적용을 통한 사전 대응 체계가 중요하다.

모니터링 및 관측성

레이어무엇을 본다대표 지표수집 지점/도구알림 가이드비고 (격리 연관)
성능처리량/지연TPS, p50/p95/p99DB Exporter, APMp95 +30%/10m격리 상향 시 지연↑ 경향
충돌직렬화·데드락serialization_fail_rate, deadlock_count/rate, rollback_rate엔진 DMVs/뷰, 에러 로그실패율 >2%, 데드락 >0.5%Serializable/SSI·범위락 영향 큼
락/대기락 대기/이벤트lock_wait_ms, top waitspg_locks, Performance Schema, DMVs대기 급증 시 알림RR/범위락, Hot Key 에 민감
MVCC/버전버전 압력/청소version_store_usage, long_running_tx, vacuum_lagRCSI/Version Store 통계, Vacuum 통계사용률 80%↑, 오래된 Tx 경보RCSI/SI 사용 시 필수
자원/용량CPU/IO/메모리/저장소cpu%, io_latency, tempdb%/bloat, 연결수, 복제 지연OS/스토리지/DB 통계, Replicationtempdb 80%↑, lag>10s읽기 복제·스냅샷과 연동
로그/이벤트구조화 로그/계획/데드락tx begin/commit, lock list, plan hash앱/DB 로그, 슬로우쿼리/Deadlock graph데드락 발생 즉시 페이지RCA·재현에 필수
수집·대시보드
알림 규칙 (초안)
원인–대응 플레이북 (요지)
구현 스니펫 (예시)

구조화 로그 예시 (JS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
  "ts": "2025-08-12T10:30:00+09:00",
  "tx_id": "tx_12345",
  "isolation": "SERIALIZABLE",
  "event": "COMMIT",
  "duration_ms": 182,
  "locks": ["orders:ROW_X(42)","inventory:IDX_RANGE(sku=ABC*)"],
  "result": "ok",
  "svc": "order",
  "user": "u_789",
  "trace_id": "4f3b..."
}

Prometheus 규칙 초안 (개념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groups:
- name: isolation
  rules:
  - alert: HighDeadlockRate
    expr: sum(rate(db_deadlocks_total[5m])) / sum(rate(db_tx_total[5m])) > 0.005
    for: 5m
    labels: {severity: page}
    annotations: {summary: "데드락 비율 급증", description: "5분 이동 평균 0.5% 초과"}
  - alert: HighSerializationFailures
    expr: sum(rate(db_serialize_fail_total[5m])) / sum(rate(db_tx_total[5m])) > 0.02
    for: 10m

실무 고려사항 및 주의점

카테고리고려사항위험권장 대응책검증 방법
성능·동시성 관리장수 트랜잭션으로 인한 버전 폭증·락 장기 보유높음트랜잭션 범위 최소화, API Idempotencytx 평균/최대 시간 모니터링
대량 배치 시 락·IO 경합중간배치 -OLTP 시간 분리, 쿼리 최적화실행 계획 분석, 락 대기 시간 측정
인덱스 부족으로 갭락 범위 과대중간커버링 인덱스 설계, 필터 선택도 최적화실행 계획·인덱스 사용률 점검
동시성 충돌·데드락 방지데드락 스파이럴높음일관된 Lock Ordering, Timeout 설정Deadlock 로그 분석
동시성 충돌로 인한 SSI Abort중간Idempotent 재시도 (지수 백오프 +Jitter)충돌률 모니터링
격리 수준·설계 최적화과도한 격리 수준으로 인한 성능 저하높음워크로드별 차등 격리 수준 적용부하·성능 벤치마크
모니터링·운영 관리점진적 성능 저하 미인지중간OpenTelemetry, 성능 대시보드장기 모니터링 데이터 비교
예외 처리·복구캐스케이딩 롤백중간트랜잭션 분리, 보상 트랜잭션 적용롤백 로그 분석
팬텀 리드 오인낮음Serializable 또는 명시적 잠금쿼리 범위 테스트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트랜잭션 격리 최적화는 성능과 정합성의 균형을 잡는 것이 핵심이다.
격리 수준은 워크로드 특성과 데이터 민감도에 맞게 선택하며, 트랜잭션은 가능한 짧게 유지해 락 경합을 줄인다.
인덱스 설계·파티셔닝·캐싱·읽기 복제본을 통해 읽기/쓰기 부하를 분산시키고, MVCC 환경에서는 오래된 버전 제거 및 버퍼 관리가 중요하다.
또한 SSD·로그 분리 등 하드웨어 최적화로 I/O 병목을 줄이고, 락·데드락·리소스 사용률 모니터링을 통해 실시간 튜닝·자동화를 적용해야 한다.

카테고리고려사항권장사항
격리 수준 및 트랜잭션 관리워크로드별 격리 수준 선택, 긴 트랜잭션 분할OLTP 는 RC/RR, OLAP 는 RC/RU, 핵심 업무는 Serializable
인덱스·데이터 구조 최적화적절한 인덱스 설계, 파티셔닝복합·부분 인덱스, 파티션 키 기반 락 분리
동시성·락 충돌 관리Deadlock, Hotspot 데이터 처리낙관적 락, 백오프 재시도, 파티셔닝
리소스·하드웨어 최적화MVCC 버전 저장소 관리, I/O 최적화버전 정리 주기 단축, SSD·로그/데이터 분리
캐싱·복제 활용읽기 캐시, 읽기 복제본 활용Redis/Memcached, Replica 부하 분산
모니터링·자동화락·충돌·리소스 사용량 추적, 실시간 튜닝대시보드·알림 설정, 자동 격리 수준 조정

트랜잭션 격리 최적화는 단순히 격리 수준을 조정하는 것을 넘어, 인덱스·데이터 구조 설계, 락 경합 감소 전략, 리소스·하드웨어 최적화, 캐싱·복제 활용, 그리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화까지 포함해야 한다. 특히 OLTP/OLAP 워크로드에 맞춘 격리 수준 차등 적용과 트랜잭션 단위 최소화는 성능 향상의 핵심이며, MVCC 환경에서는 버전 저장소 관리가 안정성 유지의 핵심 포인트이다.

격리 수준별 성능 비교:

graph LR
    subgraph "성능 지표"
        TPS[처리량<br/>TPS]
        RT[응답시간<br/>ms]
        CPU[CPU 사용률<br/>%]
        MEM[메모리 사용률<br/>%]
    end
    
    subgraph "격리 수준"
        RU[Read Uncommitted<br/>최고 성능]
        RC[Read Committed<br/>균형점]
        RR[Repeatable Read<br/>안정성 우선]
        S[Serializable<br/>최고 일관성]
    end
    
    RU -.-> TPS
    RC -.-> RT
    RR -.-> CPU
    S -.-> MEM

고급 주제 (Advanced Topics)

현재 도전 과제

카테고리도전 과제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완화권장 해결 기법
A. 분산/글로벌전 지구적 직렬화 비용·불확실성네트워크 지연/분할, 클럭 오차, 2PC 오버헤드지연↑, 처리량↓, 실패/스플릿브레인 리스크분산 추적, 리전별 지연·분할 이벤트, 세션 보장 테스트도메인 경계 재설계 (지역 자율), 세션 보장/쿼럼 선택TrueTime/외부 일관성, 사가 + 검증 서비스 (최종 직렬화)
B. 락×MVCC팬텀 방지·버전 유지 동시 비용범위락 (Next-Key/Predicate), 버전 스토어/GC경합↑, 메모리/IO 압박, 긴 Tx 로 청소 지연락 대기/대기 이벤트, 버전 스토어 사용률, 오래된 Tx쿼리/인덱스 최적화, 긴 Tx 금지, 핵심 구간만 강화RR+Next-Key(InnoDB), SSI/Serializable(PG), FOR UPDATE 구간화
C. 클라우드 네이티브오토스케일·재시작과 트랜잭션 경계 불일치무상태 워커·함수, 노드 종료중복/유실, 정확 1 회 실패함수 추적, 아웃박스 지연, 중복 이벤트 비율Outbox+ 멱등키, 상태 저장소 분리, 종료 훅/드레인Transactional Outbox, 로그 테일링, 워크플로우 엔진
D. 마이크로서비스/이벤트서비스 경계≠트랜잭션 경계동기 Tx vs 비동기 이벤트일관성 달성 복잡, 보상 난이도이벤트 라인리지·순서 모니터링설계 초기에 사가/보상 정의, 중복·순서 표준화사가, 이벤트 소싱, 분산 상태 머신
E. 성능/확장성재시도·교착·핫스팟SSI 재시도, 잠금 순서 불일치, 키 편중TPS↓, p95/99↑직렬화 실패율, 데드락 그래프, 핫키 Top-N짧은 Tx, 파티션/샤딩, backoff+jitter조건부 업데이트·FOR UPDATE, 키 해싱, 배치 분리
F. 관측·검증격리 위반·성능 열화의 조기 감지불충분한 지표/로그/테스트장애 장기화, 원인 미상직렬화 실패/데드락/버전 압력 대시보드, JepsenSLO/알림 기준 수립, 격리 라벨링Jepsen/카나리, 카오스·페일오버 리허설

생태계 및 관련 기술

생태계 및 관련 기술은 트랜잭션 격리의 운영·확장성을 위해 다양한 도구, 표준, 프레임워크와 연계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분류정의구성 요소원리목적사용 상황특징
분산·확장 연계 기술여러 서비스/시스템 간 트랜잭션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술SAGA, Outbox, CDC, Service Mesh, Blockchain이벤트 기반 보상 트랜잭션, 합의 알고리즘, MVCC마이크로서비스·분산 환경에서 일관성 확보금융·주문 처리, 크로스 서비스 트랜잭션비동기 직렬화, 유연한 복구 가능
품질·격리 검증 도구격리 수준 위반 및 동시성 문제 탐지 도구Jepsen, Elle, DB 모니터링 뷰워크로드 재현·검증트랜잭션 품질 보증신규 DB 엔진 검증, 장애 재현자동화 테스트, 위반 패턴 보고
표준 및 프로토콜분산 트랜잭션과 모니터링 표준 규격XA, WS-AT, REST-AT, OpenTelemetry, W3C Trace Context표준화된 트랜잭션 API, 추적 컨텍스트 전파상호운용성·가시성 확보이기종 시스템 연계표준 준수로 호환성 보장
지능형 최적화 기술AI/ML 기반 트랜잭션 파라미터 자동 조정강화학습, 워크로드 예측 모델성능 - 일관성 균형 탐색동적 최적화클라우드 네이티브 DB, 변동성 높은 워크로드자율 조정, 예측 기반
분산·확장 연계 기술
실무 적용 예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flowchart LR
    subgraph Service_A[주문 서비스]
        DB1[(Order DB)]
        OutboxTable[Outbox Table]
    end
    subgraph CDC[CDC Connector]
    end
    subgraph KafkaCluster[Kafka Cluster]
        Topic[Order Events]
    end
    subgraph Service_B[결제 서비스]
        DB2[(Payment DB)]
    end
    Service_A --> OutboxTable --> CDC --> KafkaCluster
    KafkaCluster --> Service_B
품질·격리 검증 도구
실무 적용 예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flowchart TB
    Jepsen[Jepsen Test Runner]
    Workload[동시성 테스트 시나리오]
    DB[(DB Instance)]
    Monitor[DB Monitoring Tool]
    Jepsen --> Workload --> DB
    DB --> Monitor
표준 및 프로토콜
실무 적용 예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flowchart LR
    Client[Client Request]
    API[API Gateway]
    Service1[주문 서비스]
    Service2[결제 서비스]
    DB1[(Order DB)]
    DB2[(Payment DB)]
    OTEL[OpenTelemetry Collector]

    Client --> API --> Service1 --> DB1
    Service1 --> Service2 --> DB2
    Service1 --> OTEL
    Service2 --> OTEL
지능형 최적화 기술
실무 적용 예제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flowchart TB
    Metrics[DB Metrics: CPU, Lock Wait, TPS]
    ML[AI Model/Policy Engine]
    DBConfig[DB Config Manager]
    DB[(Database)]
    Metrics --> ML --> DBConfig --> DB

최신 기술 트렌드와 미래 방향

카테고리기술/도구목적 및 특징
서버리스 Isolationtasc서버리스 환경에서 Snapshot Isolation 지원 Shim (EECS at UC Berkeley)
온라인 검증CHRONOS / AION실시간 시리얼리제빌리티 및 SI 상태 확인 (arXiv)
AI 기반 튜닝TxnSailsML 기반 실시간 격리 수준 최적화, 성능 증가 (최대 26.7×) (arXiv)
AI 기반 제어CCaaLF워크로드 변화에 적응하는 학습형 동시성 제어 (arXiv)
검증 도구MTC (Mini-Transactions)작은 트랜잭션으로 빠른 격리 검증 수행 (arXiv)
분산 합의 기반Hybrid Consensus (EPaxos 등)지역/글로벌 일관성을 위해 합의 기반 격리 모델 적용

2025 년 기준 트랜잭션 격리의 미래는 서버리스 통합, 실시간 검증, AI 기반 자동 조정, 검증 효율화, 그리고 분산 합의 기반 격리 모델 확립 방향으로 펼쳐지고 있다. 기능적으로, 각각의 기술은 기존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유연성·성능·정확성을 동시에 추구하도록 진화하고 있다.

DBMS 별 격리 수준 기본값 및 특징

DBMS기본 격리 수준MVCC 지원 여부특징
MySQL (InnoDB)Repeatable Read지원Phantom Read 방지 위해 Next-Key Lock 사용
PostgreSQLRead Committed지원Serializable 구현 시 Snapshot Isolation 확장 사용
Oracle DatabaseRead Committed지원Serializable 구현 시 Optimistic 방식
SQL ServerRead Committed일부 (스냅샷 모드 필요)READ_COMMITTED_SNAPSHOT 옵션으로 MVCC 활성화

멀티 리전 (Multi‑Region) 환경에서의 Isolation Level 설계 전략

멀티 리전 환경 특성:

리전별 Isolation Level 전략:

리전 유형네트워크 특성권장 Isolation Level이유비고
Primary Region (주 리전)낮은 지연, 핵심 데이터 관리Serializable금융·결제 등 강한 정합성 요구메인 DB 쓰기 작업 집중
Secondary Region (보조 리전)복제 지연 발생Read Committed보고·조회 위주, 일부 최신성 허용복제 지연 모니터링 필수
Edge Region (에지 리전)높은 지연, 간헐적 연결Read Uncommitted / Snapshot Isolation빠른 응답, eventual consistency 허용캐시 + 동기화 프로세스 필요

아키텍처 예시:

graph TB
    subgraph "Global Service"
        PR["Primary Region (Serializable)"] --> SR["Secondary Region (Read Committed)"]
        SR --> ER["Edge Region (Snapshot Isolation)"]
        ER --> PR
    end

주 리전은 강한 정합성, 보조·에지 리전은 성능과 지연 해소 중심 설계

구현 고려사항:

운영 로그 기반 문제 탐지

Deadlock 탐지 로그 패턴 (MySQL 예시)
1
2
3
4
5
6
*** (1) TRANSACTION:
TRANSACTION 12345, ACTIVE 5 sec, OS thread id 13992
*** (1) WAITING FOR THIS LOCK TO BE GRANTED:
RECORD LOCKS space id 123 page no 456 n bits 72 index PRIMARY of table `orders`
*** (2) TRANSACTION:
TRANSACTION 12346, ACTIVE 4 sec

해석: 두 트랜잭션이 서로 잠금 자원을 대기하는 교착 상태 → 자동 롤백이나 재시도 로직 필요

Phantom Read 탐지 쿼리 예시 (PostgreSQL)
1
2
3
4
5
6
BEGIN TRANSACTION ISOLATION LEVEL REPEATABLE READ;

SELECT COUNT(*) FROM orders WHERE status = 'PENDING';
-- 다른 트랜잭션에서 상태 'PENDING'으로 신규 삽입
SELECT COUNT(*) FROM orders WHERE status = 'PENDING';
COMMIT;

특징: 두 COUNT 값이 다르면 Phantom Read 발생 → Serializable 필요


최종 정리 및 학습 가이드

내용 종합

Transaction Isolation 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동시 실행되는 트랜잭션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하는 메커니즘이다.
ACID 속성 중 Isolation 을 구현하며, 4 가지 표준 격리 수준 (Read Uncommitted, Read Committed, Repeatable Read, Serializable) 을 통해 성능과 일관성 간의 균형을 제공한다.

현대적 관점에서 Transaction Isolation 은 단순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넘어서 분산 시스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Amazon Aurora DSQL 과 같은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자동 확장과 함께 트랜잭션 격리를 제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 로드맵

단계학습 주제주요 목표실무 연관성예시·실습
1트랜잭션 기초 & ACID기본 개념·격리 수준 이해★★★★★계좌이체, ANSI 수준별 현상 실험
2핵심 메커니즘MVCC·2PL·SSI 동작 이해, 엔진별 비교★★★★☆PostgreSQL MVCC 동작 로그 분석
3트레이드오프 분석성능·일관성 균형 전략 수립★★★★☆OLTP/OLAP 격리 수준 비교 테스트
4분산 트랜잭션다중 노드 일관성 확보★★★★☆SAGA 시나리오, 2PC 프로토콜 실습
5운영·모니터링문제 탐지·해결 및 튜닝★★★★★Deadlock Log 분석, WAL 복구 실험
6고급 주제글로벌 직렬화·클라우드 설계★★★★☆멀티 리전 DB 구성, Paxos 합의 실습

학습 항목 정리

카테고리Phase항목중요도학습 목표실무 연관성설명
기초1ACID/트랜잭션 기본필수트랜잭션/일관성 개념 정립높음모든 결정의 전제 지식
기초1ANSI 4 대 격리수준필수RU/RC/RR/SR 의미·차단 현상높음기본 선택 기준 마련
기초1이상 (Anomalies) 체계필수Dirty/NR/Phantom/Write Skew 등 매핑높음버그 원인 식별 능력
핵심2MVCC 메커니즘필수버전 체인·가시성 규칙·GC높음현대 DB 의 표준 구현 이해
핵심22PL/Strict 2PL필수락 규칙·데드락 모델높음직렬화 달성 원리 이해
핵심3Snapshot Isolation/SSI필수SI 동작·SSI 충돌 감지높음고격리 - 고성능 설계
핵심3트레이드오프 분석필수격리↔지연/스루풋 그래프화높음SLO 기반 의사결정
구현4엔진별 설정 (PSQL/InnoDB/SQL Server)필수SSI/갭락/RCSI 등 설정높음즉시 적용/튜닝 포인트
구현4타임아웃/락 에스컬레이션권장경합 완화·안정화 파라미터중간장애 예방
응용5워크로드 매핑 (OLTP/OLAP/HTAP)권장격리수준·인덱스·배치 전략중간비용 대비 효과 극대화
응용5재시도/멱등성/백오프권장Abort 내성 패턴 설계중간운영 안정성 핵심
운영6관측성 (락/대기/Abort 지표)권장대시보드/알람 기준중간병목 탐지·SRE 협업
운영6테스트/검증 (회귀·카나리)권장격리 회귀 시나리오중간변경 안전성 확보
고급7글로벌 직렬화/TrueTime선택분산 직렬화 모델 이해낮음대규모 시스템 설계
고급7분산 합의/검증 (Jepsen/Elle)선택모델·검증 도구 사용낮음미션 크리티컬 검증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정의관련 개념실무 활용
핵심 개념트랜잭션 (Transaction)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작업 단위, ACID 특성 보유ACID데이터 무결성 기본 단위
핵심 개념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트랜잭션DB 신뢰성 확보
핵심 개념Isolation Level트랜잭션 간 간섭 정도를 정의하는 설정ANSI SQL성능·일관성 균형 조정
격리 이상 현상Dirty Read커밋되지 않은 데이터를 읽는 현상Read Uncommitted비중요 분석 쿼리
격리 이상 현상Non-repeatable Read같은 데이터 재조회 시 값 변경Read CommittedOLTP 읽기 일관성
격리 이상 현상Phantom Read반복 쿼리 시 새 행이 나타남Repeatable Read집계 연산
격리 이상 현상Lost Update동시에 수정 시 일부 변경 유실모든 수준동시 쓰기 제어 필요
동시성 제어 기법2PL확장 - 축소 단계로 나뉜 잠금 프로토콜직렬화 가능성MySQL InnoDB
동시성 제어 기법MVCC다중 버전 기반 동시성 제어Snapshot IsolationPostgreSQL, Oracle
동시성 제어 기법Snapshot Isolation시작 시점 스냅샷 기반 읽기 일관성MVCCOLTP 읽기/쓰기 분리
동시성 제어 기법SSISI 에서 write-skew 방지직렬성 보장PostgreSQL
동시성 제어 기법Gap Lock범위 보호 락Next-Key LockMySQL 팬텀 방지
동시성 제어 기법Predicate Lock조건 기반 락Serializable팬텀 방지
동시성 제어 기법RCSIRead Committed 의 버전 기반 구현tempdbSQL Server 성능 최적화
락 메커니즘Shared Lock읽기 전용 락2PL동시 읽기 허용
락 메커니즘Exclusive Lock쓰기 전용 락2PL모든 작업 차단
락 메커니즘Deadlock교착 상태Lock 순서자동 탐지·해결 필요
락 메커니즘Lock Escalation세밀 락을 대규모 락으로 변경메모리 효율성SQL Server 자동화
락 메커니즘Lock Manager잠금·해제·데드락 관리Concurrency ControlDBMS 핵심 컴포넌트
분산 트랜잭션 기법2PC분산 트랜잭션 전역 커밋 프로토콜Prepare/Commit 단계글로벌 일관성
분산 트랜잭션 기법SAGA보상 트랜잭션 기반 분산 제어 패턴마이크로서비스장기 실행 트랜잭션
분산 트랜잭션 기법Eventual Consistency최종적 데이터 일관성CAP 이론NoSQL, 분산 DB
복구·로그 시스템Transaction Log모든 변경 이력 기록WAL장애 복구
복구·로그 시스템WAL변경 내용을 로그에 먼저 기록ARIESPostgreSQL, MySQL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