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s)

분산 시스템 (Distributed System) 분산 시스템은 현대 IT 인프라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기술로, 여러 노드가 협력하여 확장 가능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CAP 정리, 합의 알고리즘, 복제 전략 등의 이론적 기반과 마이크로서비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등의 실무적 구현이 결합되어 있다. 일관성, 가용성, 분할 허용성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관리하며 실무에서는 Netflix, Google 등의 대규모 시스템에서 활용된다. 배경 단일 시스템 구조의 한계 확장성 부족: 사용자 수, 데이터 양 증가에 따라 단일 서버의 처리 능력에 한계 발생. 단일 장애점 (SPOF): 하나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 중단으로 이어짐. 장애 복구 지연: 장애 발생 시 전체 서비스 복구에 시간이 오래 걸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 ...

November 11, 2024 · 48 min · Me

Database Systems and Data Management

Database Systems and Data Management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모든 정보의 저장소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기술이다. DBMS 소프트웨어 위에서 데이터 저장, 조회, 트랜잭션 처리, 동시 제어, 회복, 보안을 수행한다. 관계형, NoSQL, 계층형, 네트워크형 등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제공하며, 3 계층 아키텍처를 통해 데이터 독립성과 보안을 확보한다. 트랜잭션 처리, 동시성 제어, 백업 및 복구 등의 기능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며, 인덱싱과 쿼리 최적화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킨다. 설계 시에는 스키마 설계, 인덱싱, 파티셔닝, 샤딩, 캐싱, 데이터 확장성, CAP 정리 등을 고려해야 한다. ...

June 8, 2025 · 31 min · Me

System Design Overview

System Design System Design 은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대규모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성하는 과정으로, 기능적/비기능적 요구사항을 고려해 컴포넌트 간 관계, 데이터 흐름, 장애 대응, 확장 구조를 정의한다. 이는 클라우드 환경, 분산 시스템, 고가용성 아키텍처 설계 등과 밀접하며, 효율적인 아키텍처 설계를 통해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무에서는 설계 원칙과 패턴, 트레이드오프 분석 등이 핵심이다.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시스템 디자인은 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과 함께 등장했다. 초기 단일 서버 아키텍처에서 시작하여 웹 2.0 시대의 대용량 트래픽 처리 필요성,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편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등장으로 발전해왔다. ...

May 27, 2025 · 16 min · Me

API Design and Implementatio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Design and Implementation API(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교환과 통신을 위한 표준화된 규약 및 인터페이스이다. API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요소로, 개발자가 기존 코드와 서비스를 활용하여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백엔드 시스템, 서드파티 서비스, 내부 시스템 간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데이터와 기능을 안전하게 공유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한다. 효과적인 API는 명확한 계약, 일관된 구조, 적절한 보안 메커니즘, 확장성 있는 설계를 갖추어야 한다. ...

October 19, 2024 · 16 min · Me

Blocking vs Non-Blocking

Blocking vs. Non-Blocking 1. 태그 정리 Concurrency-Models Threading Operating-System Software-Architecture 2. 분류 구조 분석 현재 분류인 Computer Science Fundamentals > Concurrency and Parallelism > Execution Models 은 “Blocking vs. Non-Blocking”의 주요 개념(동시성, 실행 모델, 스레딩, I/O 동작 방식 등)을 매우 적절하게 포괄하고 있음. 대체 분류로는 “Operating Systems > Execution Models”, “Software Engineering > Performance and Optimization” 등을 고려할 수 있으나, 주제의 본질이 실행 흐름과 동시성에 중심을 두고 있으므로 기존 분류가 가장 합리적임. ...

October 6, 2024 · 58 min · Me

System Design Fundamentals

July 20, 2025 · 0 min · Me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기반으로 다양한 컴퓨팅 자원을 임대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주요 서비스 유형은 IaaS(인프라 제공), PaaS(플랫폼 제공), SaaS(소프트웨어 제공) 로 나뉜다. 가상화와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기술로 인프라를 효율화하며, 온디맨드 확장성과 유연한 자원 배분, 글로벌 분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는 혁신을 가능케 한다. 퍼블릭·프라이빗·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배포 모델도 폭넓게 사용되며, 기업은 이를 통해 민첩성과 비용 효율, 보안·규제 대응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한다. 핵심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 를 필요시에 제공받는 기술 및 서비스 모델. ...

June 15, 2025 · 16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