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chronous Execution 동기 실행은 각 작업이 완료된 뒤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순차적 모델로, 흐름이 단순하고 예측 가능해 디버깅·검증·일관성에 유리하다.
트랜잭션 처리, 배치/이관, 초기화·종료 루틴처럼 정확한 순서와 원자성이 중요한 영역에 적합하다.
다만 장시간 I/O 나 외부 호출이 포함되면 전체 경로가 대기하며 자원 활용과 확장성이 떨어질 수 있다.
실무에서는 핵심 경계는 동기로 단순화하고, 지연이 큰 단계는 비동기 위임(큐·워커) 으로 분리하며, 타임아웃·재시도·멱등성을 더해 신뢰성과 성능을 함께 달성하는 혼합 설계가 권장된다.
핵심 개념 동기는 예측·검증·정합성을 극대화하는 대신, 대기 시간 누수와 자원 낭비 위험이 있으므로, 경계 분리와 풀/타임아웃 관리가 필수 관점 필수 개념 설명 실무 포인트 이론 순차성/차단 선형 실행·앞 작업 완료 대기 테스트·검증 용이, 처리량 한계 존재 이론 결정성 동일 입력→동일 결과·경로 재현성·회귀 테스트 강점 이론 HoL Blocking 선두 지연 전파 큐/배치 설계 시 주의 실무 트랜잭션/롤백 ACID 흐름에 적합 DB 트랜잭션 경계 최소화 실무 스레드/커넥션 풀 Thread-per-Request 최대 동시성=풀 크기 한계 실무 타임아웃/재시도 느린 리소스 보호 지수 백오프·재시도 예산 기본 동기 호출 패턴 파일/DB/HTTP 요청 동기 처리 명확한 오류 전파/로그 심화 동기↔비동기 경계 병목 국지화 외연 I/O 는 비동기·큐로 분리 심화 관측성/배압 큐 지연·p95·에러율 스로틀/Admission Control 실무 구현 연관성 및 적용 방식 언제 동기로? 순서/정합성·예측가능성이 최우선 (결제, 정산, 재무 배치). 어떻게 병목을 피하나? 풀 사이징 + 타임아웃 + 경계 분리 + 큐 완충. 혼합 패턴: 핵심 크리티컬 섹션은 동기 트랜잭션, 외부 호출/느린 I/O 는 비동기 큐로 오프로딩. 상황 권장 접근 구현 포인트 체크 지표 DB 트랜잭션 처리 동기 짧은 트랜잭션, 커넥션 풀 상한 트랜잭션 시간, 풀 점유율 초기화/부트스트랩 동기 의존 순서 명시, 실패시 페일패스트 부트 시간, 실패 로그 순차 검증 파이프라인 동기 단계 실패 시 즉시 중단/롤백 단계별 실패율 외부 API 연계 (지연 큼) 비동기 경계로 분리 큐·워크플로, 타임아웃/재시도 큐 체류시간, 재시도율 고동시성 읽기 (Report) 비동기/캐시 Read-through 캐시, 배압 히트율, p95 지연 CLI/배치 작업 동기 일괄 처리 + 장애 시 롤백 처리량, 실패시 재처리 동기 실행이 중요한 대표 사례 주문/결제/재고/배송 등 중요한 상태 변화를 수반하는 트랜잭션 실행 순서가 비즈니스상 매우 중요할 때 (재고 차감 후 결제 X - 결제 성공 후 재고 차감 O) 시스템 초기화,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백업 등 일괄 처리 동기 실행과 비동기 실행 비교 항목 동기 실행 (Synchronous) 비동기 실행 (Asynchronous) 처리 흐름 순차적, blocking 병렬, non-blocking 예측 가능성 높음 낮을 수 있음 확장성 낮음 높음 복잡도 낮음 높음 디버깅 용이성 상대적으로 쉬움 복잡, 상태 추적 어려움 실무 적용 예시 트랜잭션, 준비/정리 작업, 초기화, 배치 처리 등 실시간 알림, 대용량 일괄 처리, 비동기 API 등 병목 발생 비교적 쉽게 발생 분담 처리로 병목 완화 가능 기초 개념 (Foundation Understanding) 개념 정의 및 본질적 이해 동기 실행 (Synchronous Execution) 은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이전 작업이 완료된 후에야 다음 작업이 시작되는 실행 모델이다.
이 과정에서 프로그램은 작성된 순서를 그대로 따라가며, 동일한 입력에 대해 항상 동일한 실행 순서와 결과를 보장한다. 본질적 특성은 차단성 (Blocking), 순차성 (Sequential), 결정론성 (Deterministic) 이며, 이러한 구조는 상태 의존성이 큰 로직에서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만 I/O·네트워크 지연 시 자원이 유휴 상태가 되어 전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