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y Pattern
실제 서비스 객체 대신 프록시 객체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며, 필요에 따라 실제 객체로 요청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보안, 캐싱, 지연 로딩, 로깅 등의 횡단 관심사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서비스와 분산 시스템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프록시 패턴은 객체 지향 설계에서 접근 제어와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핵심 패턴이다. 객체 생성 또는 메서드 호출 시, 원본 객체 (RealSubject) 앞에 대리자 (Proxy) 를 두어 접근과 실행을 통제하는 구조이다.
세부 유형에는 Protection Proxy(권한 제어), Virtual Proxy(지연 초기화), Remote Proxy(원격 접근), Caching Proxy 등이 포함된다.
프록시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클라이언트는 실제 객체와 동일하게 호출할 수 있고, 부가 기능 삽입, 보안 강화, 네트워크 추상화, 성능 최적화 등에 효과적이다.
배경
프록시 패턴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 리소스 집약적 객체: 생성 비용이 높은 객체의 효율적 관리 필요
- 원격 객체 접근: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객체 접근 시 복잡성 해결
- 접근 제어: 보안, 권한 검사 등의 요구사항
- 성능 최적화: 캐싱, 지연 로딩을 통한 성능 향상
프록시 패턴은 클라이언트가 실제 객체의 존재 여부나 동작 방식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객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설계 기법이다. 객체의 생성, 접근, 보안, 원격 호출, 성능 관리 등 다양한 목적에 맞춰 프록시 객체를 활용하면 유연한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다.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 실제 객체에 대한 접근 제어
- 성능 최적화를 위한 지연 로딩
- 횡단 관심사의 분리
-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객체 간의 결합도 감소
필요성:
- 대용량 데이터나 복잡한 연산을 수행하는 객체의 효율적 관리
- 분산 시스템에서의 원격 객체 접근
- 보안 및 접근 제어 요구사항
- 시스템 성능 최적화
핵심 개념
Proxy Pattern(프록시 패턴)
- 실제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거나 추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대리 객체를 사용하는 구조적 디자인 패턴
- 실제 객체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클라이언트는 프록시와 실제 객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음
- 보안, 캐싱, 지연 로딩, 원격 접근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
항목 | 설명 |
---|---|
Proxy 객체는 실제 객체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져야 한다 | 클라이언트는 Proxy 와 Real 객체를 구분하지 않아야 한다 |
Proxy 는 접근 제어, 성능 향상, 보안 적용, 리소스 절약 등에 활용됨 | 예: 데이터베이스 연결 지연, 이미지 로딩 지연 |
다양한 형태로 진화 | Remote Proxy, Virtual Proxy, Protection Proxy 등으로 활용 가능 |
기본 개념
- 대체 객체 (Proxy): 클라이언트 요청을 대신 받고, 실제 객체로 전달 여부 및 방식 결정
- Subject 인터페이스: Proxy/RealSubject 간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보장
- 접근 제어: 권한 체크, 호출 제한, 인증 기능
- 지연 초기화 (Lazy Init): 리소스 사용 최소화
- 원격 접근 추상화: 로컬 객체처럼 사용하며 네트워크 세부 사항 은닉
- 추가 기능 삽입: 캐싱, 로깅, 트랜잭션, 감사 (Auditing) 등
의도 (Intent)
다른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거나, 부가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대리 객체 (Proxy) 를 제공한다.
다른 이름 (Also Known As)
- 대리자 패턴 (Surrogate Pattern)
- Placeholder Pattern
동기 (Motivation / Forces)
- 객체 생성 비용이 매우 높은 경우 지연 생성 필요
- 원격 객체에 대한 로컬 접근점 제공 필요
- 보안이 중요한 객체에 대한 접근 제어 필요
- 객체 사용 패턴 추적 및 최적화 필요
적용 가능성 (Applicability)
- 객체 접근을 제어하거나, 부가 기능을 추가해야 할 때
- 리소스가 무거운 객체의 생성을 지연시키고 싶을 때
- 원격 객체, 보안, 캐싱, 로깅, 트랜잭션 등 부가 기능이 필요한 경우.
참여자 (Participants)
- Subject: RealSubject 와 Proxy 에 공통 인터페이스 정의
- RealSubject: 프록시가 대표하는 실제 객체
- Proxy: 실제 객체에 대한 참조 유지 및 접근 제어
협력 (Collaboration)
프록시는 요청을 받으면 필요한 전처리를 수행한 후 RealSubject 에게 요청을 전달하고, 후처리 작업을 수행한 뒤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
실무 연관성
- Protection Proxy: 민감한 API, 관리자 권한 제어
- Virtual Proxy: 이미지, 리포트, 대용량 객체 등 초기화 지연
- Remote Proxy: Microservice 간 RPC 또는 원격 서비스 호출
- Caching Proxy: 데이터베이스, 외부 API 결과 캐싱
- 추가 기능: 로그, 요청 속도 제한 (Rate Limiting), circuit breaker
주요 기능 및 역할
핵심 기능
- 접근 제어: 실제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 검증
- 지연 로딩: 실제 필요 시점까지 객체 생성 지연
- 캐싱: 결과나 자원을 저장하여 반복 접근 최적화
- 로깅 및 모니터링: 객체 접근 추적 및 기록
- 네트워크 통신 관리: 원격 객체와의 통신 처리
주요 역할
- 중개자 역할: 클라이언트와 실제 객체 사이의 중간 계층
- 보안 게이트웨이: 인증 및 권한 검증
- 성능 최적화: 자원 사용량 및 응답 시간 개선
- 추상화 제공: 복잡한 내부 구현 숨김
특징
- 구조적 투명성: 클라이언트는 Proxy 인지 RealSubject 인지 구분 없이 사용 가능
- 확장성: 부가 기능을 분리하여 재사용 가능
- 캡슐화: RealSubject 의 복잡한 로직을 감추고 단순 인터페이스 제공
핵심 원칙
-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각 프록시는 특정 목적을 위해 설계
- Open/Closed Principle: 기존 코드 수정 없이 기능 확장
-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프록시가 실제 객체를 완전히 대체 가능
-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추상화에 의존하여 결합도 최소화
주요 원리
- Client 는 Subject 인터페이스로 Proxy 객체를 사용
- Proxy 는 필요에 따라 RealSubject 객체를 생성/호출
- Proxy 는 접근 제어, 로깅, 캐싱, 지연 로딩 등 부가 기능 수행
- RealSubject 에 실제 요청 위임 후 결과 반환
작동 원리 및 방식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lient participant Proxy participant RealSubject Client->>Proxy: request() Proxy->>Proxy: accessCheck() alt authorized Proxy->>RealSubject: request() RealSubject-->>Proxy: result Proxy-->>Client: result else unauthorized Proxy-->>Client: access denied end
- 클라이언트 요청: 클라이언트가 Subject 인터페이스를 통해 요청
- 프록시 가로채기: 프록시가 요청을 가로채어 전처리 수행
- 조건부 처리: 캐시 확인, 권한 검사 등의 조건부 로직 실행
- 실제 객체 호출: 필요시 실제 객체에 요청 위임
- 후처리: 결과에 대한 캐싱, 로깅 등의 후처리 수행
- 응답 반환: 최종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반환
구조 및 아키텍처
classDiagram class Subject { <<interface>> +request() void } class RealSubject { +request() void -performRealOperation() void } class Proxy { -realSubject: RealSubject -cache: Map +request() void +checkAccess() boolean +logRequest() void +getCachedResult() Object } class Client { -subject: Subject +doSomething() void } Subject <|.. RealSubject Subject <|.. Proxy Client --> Subject Proxy --> RealSubject : delegates to note for Proxy "프록시는 실제 객체에 대한\n참조를 유지하고 필요시\n실제 객체를 생성하거나 호출" note for RealSubject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n수행하는 객체"
구성요소
구분 | 구성요소 | 기능 및 역할 | 특징 |
---|---|---|---|
필수 | Subject (인터페이스) | 프록시와 실제 객체가 공통으로 구현할 인터페이스 정의 | 클라이언트 코드의 투명성 보장 |
RealSubject (실제 객체) |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객체 | 리소스 집약적이거나 원격에 위치 | |
Proxy (프록시 객체) | 실제 객체에 대한 대리자 역할 수행 | 접근 제어, 캐싱, 지연 로딩 담당 | |
선택 | Cache | 이전 요청 결과를 저장하여 성능 향상 | 반복적인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 단축 |
Logger | 요청 및 응답에 대한 로깅 기능 | 디버깅 및 모니터링 지원 | |
AccessController | 권한 검사 및 접근 제어 | 보안 요구사항 충족 |
Proxy Pattern 구현 기법
유형 | 정의/목적 | 핵심 구성 요소 | 활용 예시 |
---|---|---|---|
Virtual Proxy | 비용이 큰 객체의 생성을 지연하여 리소스를 절약함 | - Lazy Initialization - 실제 객체 참조 | 대용량 이미지, DB 연결, 보고서 렌더링 등 |
Protection Proxy | 사용자 권한 검사를 통해 객체 접근을 제어 | - 인증/인가 로직 - 권한 관리 정책 | 관리자만 접근 가능한 기능, 파일 시스템 보호 등 |
Remote Proxy | 원격 객체에 대한 로컬 대리자 역할을 수행 | - 네트워크 통신 - 직렬화/역직렬화 처리 | RPC, gRPC, REST API 클라이언트 등 |
Caching Proxy | 이전 요청 결과를 캐싱하여 성능 최적화 | - 캐시 저장소 - 캐시 만료 정책 등 | DB 쿼리 결과, 외부 API 응답 재사용 등 |
Smart Proxy | 참조 시 추가 기능(로깅, 동기화, 참조 카운팅 등) 수행 | - 메타데이터 관리 - 로깅, 동기화, 모니터링 | 객체 생명주기 관리, 다중 스레드 동기화 등 |
Static Proxy | 컴파일 시점에 프록시 클래스를 직접 구현 | - 고정된 인터페이스 - 정적 클래스 작성 | 특정 API 호출 전후 로깅, 접근 제한 등 |
Dynamic Proxy | 런타임 시점에 프록시 객체를 **반사 (reflection)**로 생성 | Reflection APIInvocation Handler | AOP, 로깅, 트랜잭션 처리 등 범용 프록시 |
Virtual Proxy (지연 로딩)
|
|
Protection Proxy (접근 제어)
|
|
Remote Proxy (간단한 RPC 시뮬레이션)
|
|
Caching Proxy (결과 캐싱)
|
|
Smart Proxy (추가 로직 내장)
|
|
Static Proxy (고정된 프록시)
Dynamic Proxy (Python 의 __getattr__
활용)
|
|
Proxy + Behavioral / Creational 조합 전략
패턴 유형 | 조합 대상 | 조합 전략 |
---|---|---|
Proxy + Factory Method | 다양한 Proxy 객체 생성 | 권한 별 Proxy, Lazy 객체 Proxy 생성 |
Proxy + Singleton | RealSubject 를 싱글톤으로 유지 | 자원 사용 최소화 |
Proxy + Strategy | 실행 방식 선택 (캐싱/인증 등) | Proxy 내 전략 선택 실행 |
Proxy + Command | 요청을 객체화하여 Proxy 가 제어 | 요청 큐잉, 로깅, 우선순위 조정 가능 |
Proxy + Observer | Proxy 가 상태 변화를 알림 | 모니터링, 감사 (audit) 이벤트 처리 |
Proxy + Chain of Responsibility | 다중 Proxy 로 연속 책임 처리 | 인증 → 로깅 → 캐싱 등 계층화 Proxy 가능 |
Tip: GoF 패턴은 " 단독 사용 " 보다 조합 사용에서 아키텍처적 강점이 극대화된다.
장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원인 또는 구조적 특성 |
---|---|---|---|
보안 및 접근 제어 | 접근 제어 | 민감하거나 제한된 객체에 대한 직접 접근을 프록시가 중개하여 제어함 | 프록시가 중간 계층 역할 수행 |
권한 기반 분기 처리 | 사용자 권한에 따라 요청 처리 여부 결정 가능 | 보호 프록시 (Protection Proxy) 구조 | |
성능 및 최적화 | 지연 로딩 (Lazy Loading) | 객체 생성을 실제로 필요할 때까지 지연시켜 초기 자원 낭비 방지 | 가상 프록시 (Virtual Proxy) 구조 |
결과 캐싱 | 반복되는 요청에 대해 결과를 캐싱하여 성능 향상 | 캐싱 프록시 (Caching Proxy) 구현 | |
리소스 관리 | 무거운 객체 생성을 줄이고, 참조 수 등을 제어하여 시스템 자원 효율화 | 스마트 프록시 (Smart Proxy) 구조 | |
분산 시스템 대응 | 네트워크 추상화 | 원격 객체 호출을 로컬 객체처럼 다루어 분산 시스템의 복잡도 감소 | 원격 프록시 (Remote Proxy) 구조 |
소프트웨어 품질 | 투명성 | 클라이언트는 프록시와 실제 객체를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므로 구조 변경 없이 확장 가능 | 인터페이스 기반 설계 원칙 |
횡단 관심사 분리 | 로깅, 인증, 트랜잭션 같은 부가 기능을 핵심 로직과 분리하여 코드의 응집도 향상 | 프록시 내부에서 부가 기능 처리 | |
유연성 | 런타임 시 프록시 구현체를 교체하거나 기능을 동적으로 추가 가능 | 의존성 주입 및 위임 구조 | |
OOP 설계 원칙 준수 | OCP(Open/Closed) 준수 | 기존 클래스는 수정하지 않고 프록시를 통해 기능 확장이 가능 | 확장에는 열려 있고 수정에는 닫힌 구조 |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항목 | 설명 | 해결책 |
---|---|---|
복잡성 증가 | 프록시 계층 도입으로 클래스 구조와 흐름이 복잡해짐 | 명확한 책임 분리, 인터페이스 기반 설계, 문서화 |
성능 오버헤드 | 프록시를 거치는 호출로 인해 추가적인 연산 및 네트워크/메모리 비용 발생 | 캐싱 활용, 필요한 경우에만 프록시 적용 |
메모리 사용 증가 | 프록시 객체 및 부가 구조 (캐시, 로그 등) 로 인해 메모리 소모가 늘어남 | 객체 풀링, 생명주기 관리, 경량 프록시 구현 |
실 객체 변경 의존성 | RealSubject 인터페이스 변경 시 Proxy 도 함께 수정해야 할 가능성 존재 | 인터페이스 안정성 확보, 테스트 자동화, 어댑터 조합 가능성 검토 |
설계 및 유지보수 부담 | 패턴에 대한 이해 없이 적용 시 오히려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이 악화됨 | 팀 내 교육, 공통 템플릿화, 설계 리뷰 강화 |
문제점 정리표
항목 | 원인 | 영향 | 탐지 및 진단 | 예방 방법 | 해결 방법 및 기법 |
---|---|---|---|---|---|
순환 참조 | Proxy ↔ RealSubject 간 강한 상호 참조 | 메모리 누수, GC 불가 | 메모리 프로파일링 도구, 참조 그래프 분석 | 약한 참조 (WeakRef) 활용 | 참조 방향 재설계, 의존성 역전 적용 |
캐시 일관성 오류 | 캐시된 결과와 실제 데이터 간의 불일치 | 잘못된 결과 반환, 데이터 무결성 문제 | 캐시 무효화 로그, 모니터링 알람 | TTL 설정, 캐시 스탬프 전략 도입 | Write-through, Invalidate-on-Change 등 전략 적용 |
동시성 문제 | 멀티스레드 환경에서의 동시 접근 또는 상태 공유 | 경합 조건, Race Condition 발생 | 동시성 테스트, Lock-Free 도구 활용 | 프록시 내부 상태 공유 금지, Thread-safe 구조 설계 | Lock, Synchronization, ThreadLocal 적용 |
보안 검증 누락 | 인증/인가 로직이 프록시 레이어에 누락되거나 우회되는 경우 | 권한 없는 접근, 데이터 노출 가능성 | 침투 테스트, 로그 모니터링 | 통합 인증/인가 프록시 계층 구성 | AuthProxy 통합, Policy 기반 접근 제어 적용 |
네트워크 예외 은닉 | Remote Proxy 내부에서 네트워크 장애를 정상 처리로 간주해 예외 감지 실패 | 장애 탐지 지연, 신뢰성 저하 | 장애 시나리오 테스트, 외부 서비스 헬스체크 | 네트워크 상태 로깅, 오류 전파 정책 명확화 | Circuit Breaker, Retry, Timeout 패턴 적용 |
도전 과제
카테고리 | 도전 과제 | 원인/영향 요약 | 탐지 및 진단 도구 | 예방 및 해결 전략 |
---|---|---|---|---|
성능 | 프록시 계층의 호출 지연 | 중첩된 프록시 호출, 캐싱/지연 로딩의 오버헤드 발생 | APM, 분산 트레이싱 | 프록시 최소화, 경량 로직 유지, 지능형 캐싱, 필요 시 직접 접근 허용 |
가용성 | Remote Proxy 실패 대응 | 네트워크 불안정 또는 원격 서비스 장애 → 전체 서비스 가용성 저하 | 헬스 체크, 예외 로깅, 네트워크 상태 알람 | Circuit Breaker, Retry, Fallback 적용 |
보안 | 인증/인가 우회 및 검증 누락 | 인증 프록시 누락 시 민감 리소스 직접 접근 가능 | 침투 테스트, 보안 로그 분석 | AuthProxy 통합, 네트워크 ACL, 프록시 계층에서 공통 인증 적용 |
데이터 정합성 | 캐시 무효화 실패 | 캐시와 실제 데이터 간 불일치 → 잘못된 결과 반환 | Cache hit/miss 로그, 모니터링 | TTL 설정, 캐시 무효화 정책, 데이터 변경 시 강제 무효화 적용 |
설계 복잡성 | 프록시/RealSubject 결합도 증가 | 프록시 구조가 많아질수록 클래스 수 증가, 추적 어려움 | 클래스 다이어그램, 코드 복잡도 분석 | 공통 추상화 계층 도입, AOP 기반 횡단 관심 분리, 문서화 강화 |
테스트/유지보수 | 테스트 복잡도 | 프록시 계층 추가로 테스트 범위 및 단위 테스트 작성 복잡화 | 테스트 커버리지 분석, 모킹 도구 활용 | 인터페이스 분리, Proxy-Stub 구조 분리, DI 로 프록시 주입 |
동시성 | 스레드 안전성 문제 | 공유 상태를 가진 프록시에서 동시 접근 시 경합 조건 (Race Condition) 발생 | 동시성 테스트, 로그 기반 상태 추적 | Thread-safe 자료구조, Lock, 불변 객체 패턴, 동기화 적용 |
메모리 관리 | 메모리 누수 | 프록시가 실제 객체에 강한 참조를 유지 → GC 불가 | 메모리 프로파일링, 참조 추적 도구 사용 | WeakReference 사용, 프록시 생명주기 관리, 리팩토링 |
프록시 체인 | 중첩 프록시로 인한 혼란 | 여러 기능이 중첩된 프록시가 체인 구조로 결합되어 흐름 파악 어려움, 성능 저하 발생 | 로그 흐름 분석, 계층 구조 시각화 | 프록시 체인 최적화, 불필요한 계층 제거, 공통 기능은 AOP 로 추출 |
중복 로직 | 다양한 프록시에 중복 기능 존재 | 로깅, 보안, 캐싱 등이 여러 프록시에 흩어져 관리됨 | 코드 리뷰, 기능 맵핑 도구 | 횡단 관심사 분리 (AOP), 공통 프록시 도입, Decorator 패턴 조합 적용 |
최적화 균형 | 적용 범위 과다 | 모든 객체에 프록시를 적용 → 오히려 비효율 유발 | 성능 벤치마크, 필요성 기반 적용 분석 | 핵심 객체에만 적용, 정량적 성능 평가 후 선택적 적용 |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 | 유형 | 설명 | 사용 사례 |
---|---|---|---|
목적별 | Virtual Proxy | 지연 로딩을 위한 프록시 | 대용량 파일, 이미지 처리 |
Protection Proxy | 접근 제어를 위한 프록시 | 사용자 권한 관리 | |
Remote Proxy | 원격 접근을 위한 프록시 | 마이크로서비스 통신 | |
Smart Reference | 스마트 참조를 위한 프록시 | 메모리 관리, 로깅 | |
구현별 | Static Proxy | 컴파일 타임에 생성되는 프록시 | 코드 생성 도구 활용 |
Dynamic Proxy | 런타임에 생성되는 프록시 | Java Reflection, CGLib | |
위치별 | Local Proxy | 동일 프로세스 내 프록시 | 인메모리 캐싱 |
Remote Proxy | 네트워크를 통한 프록시 | RPC, REST API |
실무 적용 예시
프록시 유형 | 적용 분야/사례 | 함께 사용되는 기술/패턴 | 주요 목적 | 효과 |
---|---|---|---|---|
Protection Proxy | 관리자 콘솔, 파일 시스템 권한 제어 | Spring Security, JWT, OAuth2 | 인증/인가 기반 접근 제어 | 보안 강화, 권한 기반 리소스 보호 |
Virtual Proxy | 대용량 이미지 뷰어, 리포트 생성, 지연 초기화 | Lazy Loading, ORM(JPA), React Suspense | 무거운 리소스의 초기화를 필요 시점으로 지연 | 메모리 사용 절감, 초기 응답 시간 단축 |
Remote Proxy | 마이크로서비스 통신, RPC, 원격 API 호출 | gRPC, REST API Client, Java RMI | 원격 객체를 로컬처럼 추상화 | 네트워크 로직 캡슐화, 통신 복잡도 감소 |
Caching Proxy | API 결과 캐싱, DB 질의 결과 재활용 | Redis, Memcached, CDN, HTTP Cache | 반복 연산 및 중복 요청 방지 | 응답 속도 향상, 시스템 부하 감소 |
Smart Proxy | 객체 수명 제어, 세션 동기화, 로드밸런싱 | HikariCP, Spring Session, HAProxy | 프록시에 리소스 관리 및 상태 유지 로직 추가 | 세션 일관성 유지, 병목 완화 |
Dynamic Proxy | AOP 기반 트랜잭션/로깅, 메서드 모니터링 | Spring AOP, Python Decorator, Java Proxy | 핵심 로직과 횡단 관심사 (트랜잭션, 로깅) 분리 | 유지보수성 향상, 코드 재사용성 증가 |
Static Proxy | 정적 구조 기반 API/이미지 대리자 | 수동으로 작성한 Proxy 클래스 | 호출 인터페이스 고정 시 성능 최적화 | 안정적, 단순한 프록시 로직 제공 |
활용 사례
사례 1: 이커머스 상품 이미지 로딩 시스템
시스템 구성:
graph TB A[웹 브라우저] --> B[이미지 프록시 서버] B --> C{캐시 확인} C -->|Hit| D[로컬 캐시] C -->|Miss| E[CDN 서버] E --> F[원본 이미지 스토리지] F --> G[이미지 리사이징 서비스] G --> H[압축 처리] H --> I[메타데이터 추가] I --> B B --> J[캐시에 저장] J --> A D --> A K[모니터링 시스템] --> B L[로그 수집기] --> B subgraph "프록시 기능" M[접근 제어] N[성능 모니터링] O[이미지 최적화] P[캐시 관리] end B --> M B --> N B --> O B --> P style A fill:#e1f5fe style B fill:#fff3e0 style D fill:#e8f5e8 style F fill:#f3e5f5
Workflow:
- 사용자가 상품 페이지 접근
- 이미지 프록시가 요청을 가로채어 캐시 확인
- 캐시 미스 시 CDN 또는 원본 스토리지에서 이미지 로드
- 이미지 최적화 (리사이징, 압축) 수행
- 최적화된 이미지를 캐시에 저장 후 클라이언트에 전달
프록시의 역할:
- 이미지 캐싱을 통한 로딩 속도 향상
- 자동 이미지 최적화 (포맷 변환, 압축)
- 접근 로그 수집 및 성능 모니터링
- 트래픽 제어 및 과부하 방지
프록시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분 | 프록시 없음 | 프록시 있음 |
---|---|---|
로딩 시간 | 원본 이미지 로딩으로 느림 | 캐시된 최적화 이미지로 빠름 |
대역폭 사용량 | 원본 크기 그대로 전송 | 최적화된 크기로 전송 |
모니터링 | 제한적인 로그 수집 | 상세한 접근 패턴 분석 |
확장성 | 원본 서버 직접 부하 | 프록시에서 부하 분산 |
사례 2: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Remote Proxy + Protection Proxy 조합
시스템 구성
- API Gateway → AuthProxy → RemoteProxy → OrderService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lient participant AuthProxy participant RemoteProxy participant OrderService Client->>AuthProxy: request(orderId) AuthProxy->>RemoteProxy: validated request RemoteProxy->>OrderService: call(orderId) OrderService-->>RemoteProxy: order data RemoteProxy-->>AuthProxy: response AuthProxy-->>Client: response
Proxy 역할
AuthProxy
: 토큰 검증 및 권한 확인RemoteProxy
: 네트워크 연결 및 gRPC 호출 래핑
결과
- 클라이언트는 보안 및 원격 호출 세부사항을 몰라도 됨
- 각 기능을 유연하게 확장 가능 (ex. 로깅 추가)
사례 3: 메시징 시스템 적용
상황: Proxy 패턴을 Kafka 기반 메시지 발행 서비스에 적용
구조
- 클라이언트 →
AuthProxy
→KafkaPublisherProxy
→ 실제KafkaClient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lient participant AuthProxy participant KafkaProxy participant KafkaClient Client->>AuthProxy: publish(event) AuthProxy->>KafkaProxy: verified event KafkaProxy->>KafkaClient: send() KafkaClient-->>KafkaProxy: ack KafkaProxy-->>AuthProxy: success AuthProxy-->>Client: complete
코드 스니펫
|
|
사례 3: 비동기 프로그래밍 환경에서의 Proxy 패턴 활용 전략
활용 방식:
- Proxy 는 비동기 호출 추상화, 결과 추후 처리 (deferred handling), Circuit Breaker 적용 포인트로 유용하다.
예시 아키텍처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lient participant AsyncProxy participant Service Client->>AsyncProxy: request() AsyncProxy->>Service: async call() Note right of Service: 작업 처리 중… Service-->>AsyncProxy: future/promise AsyncProxy-->>Client: return future
기술 적용 예:
환경 | 적용 기법 | 설명 |
---|---|---|
Python asyncio | async def , await 내 Proxy | 비동기 작업의 중간 조정자 |
Java CompletableFuture | Proxy.getOrder().thenApply(…) | 결과 핸들링 후처리 |
Node.js | Proxy.request().then(…) | REST API Proxy 를 비동기적으로 래핑 |
주의 사항:
- Race condition 방지: Proxy 내 상태 공유 금지
- 에러 전파 체계 설계: Future 실패 핸들링 명시적 설계
- Timeout 및 Circuit Breaker 필요
사례 4: 기업용 ERP 시스템의 문서 접근 제어
상황: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기밀 문서 접근을 제한해야 하는 시스템이 있음.
적용 패턴: Protection Proxy
구성 요소:
Document
: 실제 문서DocumentProxy
: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프록시User
: 권한 정보를 가진 사용자
시스템 구성도
Workflow
- 사용자가 문서를 요청
- DocumentProxy 는 사용자 권한 확인
- 권한이 충분하면 실제 Document 에 접근
- 부족할 경우 예외 반환 또는 접근 거부
역할:
- 프록시는 인증/인가 처리 전담
- 실제 문서는 비즈니스 로직 전담
사례 5: 캐시 프록시를 활용한 사용자 정보 조회
시스템 구성:
- Subject: UserService
- RealSubject: UserServiceImpl(DB 접근)
- Proxy: UserServiceProxy(캐시)
- Client: Controller/Service
Workflow:
- Client 는 UserService 인터페이스로 프록시 호출
- Proxy 는 캐시에서 데이터 확인, 없으면 RealSubject 호출 후 캐시에 저장
- Client 는 프록시만 알면 됨, DB/캐시 구조 몰라도 됨
사례 6: 전자상거래 시스템
대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상품 이미지 로딩 최적화 및 사용자 접근 제어를 위한 Proxy Pattern 적용
시스템 구성
|
|
Workflow:
-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가 상품 페이지 접근
- 프록시 검증: 이미지 프록시가 사용자 권한 확인
- 캐시 확인: 캐시 서버에서 이미지 존재 여부 확인
- 지연 로딩: 캐시 미스 시 실제 이미지 서비스에서 로딩
- 캐시 저장: 로딩된 이미지를 캐시에 저장
- 응답 전달: 클라이언트에게 이미지 전달
구현 코드:
|
|
구현 예시
Python
|
|
Python: 이미지 서비스
|
|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사항 | 설명 | 권장 전략 및 해결책 |
---|---|---|---|
설계 원칙 | 인터페이스 일관성 유지 | 클라이언트는 실제 객체와 프록시를 구분하지 않도록 동일 인터페이스 필요 | Subject 인터페이스 명세화, 프록시 - 실제 객체 동일 구현 |
구조 복잡도 증가 관리 | Proxy 가 과도하게 쌓이면 유지보수성 및 가독성 저하 | 공통 프록시 추상화, 레이어 수 최소화, 설계 문서화 | |
성능 최적화 | 오버헤드 최소화 | 프록시 계층이 호출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핵심 기능만 프록시에 구현, 벤치마킹 통한 측정, 필요 시 직접 접근 병행 |
캐싱 전략 설계 | Proxy 내 캐시가 일관되지 않으면 데이터 불일치 발생 가능 | TTL, LRU 정책 적용, 캐시 무효화 동기화 | |
보안/권한 | 인증/인가 로직 누락 방지 | 보호 프록시 적용 시 권한 검증 로직이 누락되면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민감 리소스는 반드시 프록시를 거치도록 구성, 인증 모듈과 프록시 분리 |
동시성/메모리 | 스레드 안전성과 메모리 관리 |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공유 객체 접근 시 오류 가능, 참조 유지로 인한 누수 가능 | Thread-safe 구조, 불변 객체, 약한 참조 (WeakRef) 및 수명 주기 관리 적용 |
확장성 설계 | 프록시 체인 구조 고려 | 복수의 프록시를 체인처럼 연결해야 하는 경우 설계가 난해할 수 있음 | 체인 가능한 구조 설계, AOP 등으로 관심사 분리 |
예외 처리 | 장애 대응 및 복구 전략 | Remote Proxy 또는 외부 서비스 실패에 취약할 수 있음 | Circuit Breaker, Retry, Fallback 도입 |
모니터링 | 동작 추적 및 지표 수집 | 프록시 계층은 흐름을 숨길 수 있어 디버깅 어려움 | Trace ID, APM, 로그 컨텍스트 전파 등 모니터링 체계 구축 |
테스트 | 테스트 구조 확보 | 프록시 포함 시스템은 테스트 커버리지 확보가 어려움 | DI 설계 기반, Mock/Stub 활용, 자동화 테스트 설계 |
리팩토링 전략
리팩토링 대상 | 문제점 | 리팩토링 전략 |
---|---|---|
중첩 Proxy | 성능 저하 및 추적 어려움 | Proxy Factory 로 계층 구성 자동화 |
권한 로직 분산 | 여러 Proxy 마다 인증 로직 중복 | 공통 인증 서비스 모듈화 |
테스트 커버리지 부족 | 실/가짜 객체 혼용 시 누락 가능 | 테스트 더블 (Mock, Stub) 설계 및 DI 적용 |
요청/응답 로그 없음 | 감시 및 추적 어려움 | SmartProxy 로 감시 기능 내장 추가 |
성능 최적화 고려사항 및 주의점
카테고리 | 고려사항 | 설명 | 권장 전략 및 해결책 |
---|---|---|---|
캐싱 전략 | 캐시 정책 최적화 | 응답 속도 향상과 반복 작업 최소화를 위해 캐시 적용 필요 | TTL 설정, LRU/LFU 캐시 알고리즘 도입, 캐시 무효화 전략 설계 |
캐시 크기 및 메모리 관리 | 과도한 캐시는 메모리 낭비, 객체 누수 위험 | 캐시 모니터링, 동적 크기 조정, 가비지 컬렉션 최적화 | |
지연 초기화 | Lazy Loading 적용 시점 조정 | 실제 사용 시점까지 객체 생성을 미루어 자원 사용 최소화 | 사용 패턴 분석 기반 지연 로딩 시점 결정, Virtual Proxy 활용 |
연결 및 리소스 관리 | 커넥션 풀링 | DB 및 네트워크 연결을 반복 재사용하여 성능 향상 | DB 커넥션 풀 (HikariCP 등), HTTP 커넥션 풀 사용 |
리소스 자동 해제 | 연결 누수 및 메모리 낭비 방지 | 컨텍스트 매니저 사용, 약한 참조 (WeakRef), 명확한 생명주기 관리 적용 | |
비동기 및 병렬 처리 | 논블로킹 처리 | 요청 병렬화, IO 지연 최소화 | 비동기 프로그래밍 모델 적용, asyncio / Promise / Future 활용 |
요청 집약화 (Batching) | 개별 호출보다 집약된 처리로 네트워크 오버헤드 감소 | 배치 처리, Bulk API 활용 | |
예외 및 네트워크 처리 | Remote Proxy 안정성 확보 | 네트워크 오류 시 시스템 전파 방지 필요 | Timeout 설정, Retry 메커니즘, Circuit Breaker, Fallback 전략 적용 |
프록시 구조 최적화 | 프록시 중첩 최소화 | 프록시가 겹치면 복잡성 증가 및 오버헤드 유발 | 불필요한 프록시 제거, 핵심 기능만 남기고 부가기능은 AOP 로 분리 |
프록시 로직 경량화 | 복잡한 로직은 병목의 원인 | 최소한의 작업만 수행, 비즈니스 로직은 별도 계층 분리 | |
동기화 및 동시성 | 스레드 안전성 확보 |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데이터 정합성 유지 | 불변 객체, 락 최소화, Concurrent 자료구조 활용 |
성능 모니터링 | 성능 병목 지점 분석 | 최적화 여부 판단을 위한 실측 필요 | APM, 분산 트레이싱, 프로파일링 도구 (e.g., py-spy, Chrome DevTools 등) |
알고리즘 선택 | 캐시 교체 알고리즘 선택 | 빈번한 데이터에 유리한 알고리즘 선택 필요 | LRU, LFU, ARC 등 캐시 적중률을 높이는 전략 도입 |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설계 원칙/패턴 | Proxy Pattern | 패턴 조합 | 여러 프록시를 조합하여 복잡한 문제 해결 가능 |
OCP / SRP | 확장성과 책임 분리 | 기능 확장 시 기존 코드 변경 없이 가능, 단일 책임 원칙에 적합 | |
Decorator / Adapter Pattern | 유사 구조, 목적 차이 | 구조는 유사하지만, 기능 확장 (Decorator), 인터페이스 변환 (Adapter) 차이점 존재 | |
아키텍처 | Proxy 계층 분리 | 구조적 유지보수성 확보 | Subject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결합도 낮추고, 프록시 계층을 독립적으로 설계 |
API Gateway | 서비스 프록시 역할 | 마이크로서비스의 진입점으로 인증, 로깅, 라우팅 등을 프록시 계층에서 처리 | |
컨테이너 프록시 | Docker/K8s 프록시 패턴 | 인프라 환경에서 요청을 라우팅하거나 제어하는 구조에 활용 | |
프레임워크/언어 | Spring AOP / JPA | 동적 프록시, 지연 로딩 | 런타임 프록시를 활용한 AOP, ORM 프레임워크의 Lazy Loading 구현 |
JDK Proxy / CGLIB | 동적 바이트코드 기반 프록시 | 인터페이스 기반 (JDK) 또는 클래스 기반 (CGLIB) 의 런타임 프록시 생성 | |
Kotlin Delegation | 언어 차원의 위임 프록시 | by 키워드를 통해 위임 프록시 구현 가능 | |
NestJS Interceptor | 프록시 기반 요청 가로채기 | Node.js 기반 프레임워크에서 프록시를 통한 인증, 로깅 등 가로채기 구조 구현 | |
보안/컴플라이언스 | Protection Proxy | 접근 제어 강화 | 민감 API, 관리자 기능 등에 인증/인가 프록시 도입 필수 |
Reverse Proxy | 내부 시스템 보호 | SSL 종료, 인증/인가, 내부 자원 보호 등 네트워크 보안 강화 역할 수행 | |
동적 보안 정책 | 실시간 위협 대응 | 동적으로 보안 규칙을 갱신하고 위협에 대응하는 프록시 구조 | |
성능 최적화 | Virtual Proxy | 지연 로딩 전략 | 객체 생성 비용을 줄이기 위한 Lazy Initialization |
Caching Proxy | 캐싱 전략 적용 | TTL 및 일관된 캐시 무효화 정책을 통한 응답 속도 개선 | |
CDN / HTTP/3 Proxy | 콘텐츠 프록시 / 성능 개선 | 전송 계층에서의 캐싱, QUIC 기반 고성능 통신 지원 | |
테스트 자동화 | Mock / Stub Proxy | 테스트 프록시 활용 | 테스트용 가짜 객체 구현, 단위 및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구성 가능 |
분산 시스템/관찰성 | Remote Proxy / gRPC Stub | 원격 호출 추상화 | 원격 객체를 로컬처럼 사용하며, 장애에 대비한 예외 처리 및 추상화 구조 적용 |
OpenTelemetry | 분산 추적 프록시 모니터링 | Trace ID 기반으로 프록시 체인을 통한 요청 흐름 추적 | |
자동화/진화 | 자가 치유 프록시 | 장애 감지 및 자동 복구 | 상태 모니터링과 회복을 프록시가 자동 수행 (Self-healing Architecture) |
하이브리드 패턴 | 프록시 + 데코레이터 + 어댑터 | 다양한 패턴을 조합하여 유연한 구조 설계 가능 |
주제 관련 추가 학습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기술 | 설명 |
---|---|---|---|
디자인 패턴 | 프록시 패턴 유형 구분 | Virtual / Protection / Remote / Smart / Caching | 다양한 목적에 따라 분류되는 프록시 패턴 유형 및 구조적 차이 이해 |
프록시 패턴 vs 데코레이터/어댑터 | 구조/목적 비교 |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확장성 (Decorator), 호환성 (Adapter) 중심으로 목적이 다름 | |
Lazy Initialization | Virtual Proxy 연계 | 객체 생성을 실제로 필요할 때까지 지연하는 전략 | |
Composite + Proxy | 트리 구조에 프록시 결합 | 구조 패턴과의 조합으로 복합 객체 구조 제어 가능 | |
언어/프레임워크 | Java / TypeScript / Python | 언어별 Proxy 구현 | 동적 Proxy(Proxy , super().__getattr__ ) 및 정적 프록시 구현 이해 |
Kotlin Delegation | by 위임 프록시 | 언어 레벨에서 위임 기반 프록시 구현을 제공 | |
Spring AOP | 런타임 동적 프록시 | 인터페이스 기반 (JDK Proxy) 또는 클래스 기반 (CGLIB) 프록시를 통해 횡단 관심사 구현 | |
NestJS Interceptor | Node.js 기반 프록시 | 요청/응답 가로채기 구조로 인증, 로깅 등 처리 | |
보안 / 인증 | Protection Proxy | 인증/인가 제어 프록시 | 민감 메서드 접근 제한, RBAC, ABAC 등의 정책 적용 |
OAuth2 / JWT | 인증 토큰 기반 프록시 | OAuth 프록시, JWT 토큰 기반 보안 흐름 적용 | |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 프록시 기반 신뢰 검증 구조 | 실시간 위협 감지 및 보안 컨텍스트 기반 접근 제어 | |
네트워크 / 클라우드 | Reverse Proxy (Nginx 등) | 요청 중계 / SSL 종료 | 로드 밸런싱, 내부 시스템 보호, 보안 및 고가용성 지원 |
CDN Proxy / HTTP/3 Proxy | 고성능 콘텐츠 프록시 | 분산 캐시, QUIC 기반 고속 통신 지원 | |
Service Mesh (Istio/Envoy) | 사이드카 프록시 통한 통신 제어 | 서비스 간 통신 제어, 트래픽 정책, mTLS, Rate Limiting 등 포함 | |
API Gateway (Kong, Zuul 등) | 프록시 기반 API 집중 제어 | 인증, 로깅, 라우팅, 제한 정책 등을 API 단일 진입점에서 수행 | |
분산 시스템 | Remote Proxy / RMI / RPC | 원격 서비스 호출 프록시 | 로컬처럼 보이는 프록시 객체를 통해 원격 서비스와 통신 |
Circuit Breaker | 장애 격리 프록시 | Remote Proxy 사용 시 네트워크 장애 격리, fallback 전략 적용 | |
성능 최적화 / 캐싱 | Caching Proxy | TTL, LRU 등 캐시 전략 | 응답 시간 단축, 자원 절약을 위한 다양한 캐시 정책 적용 |
Cache Invalidation | 일관성 보장 전략 | 캐시 무효화 시점/정책 관리로 데이터 일관성 유지 | |
비동기 프록시 / 배치 프록시 | 네트워크/DB 최적화 | 병렬 처리, I/O 감소를 위한 요청 묶기 전략 | |
테스트 / 유지보수 | Mock / Stub Proxy | 테스트 자동화 프록시 | 테스트 환경에서 실제 객체 대신 사용하는 테스트 전용 대역 구현 |
프록시 테스트 전략 | DI 기반 구조 / Mock 대체 | 프록시 계층 테스트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 설계 필요 | |
모니터링 / 관찰가능성 | OpenTelemetry, Jaeger, Zipkin | 분산 추적 기반 모니터링 프록시 | Trace ID 기반 요청 추적, 메트릭 수집, 병목 식별 |
APM Tools (New Relic 등) | 성능 병목 분석 | 실시간 모니터링 도구로 프록시 계층의 성능 영향 분석 | |
운영 전략 / 자동화 | Self-healing Proxy | 자동 복구 프록시 | 장애 감지 후 자동 재시도, 상태 전이 기반 복구 흐름 포함 |
Proxy 자동 생성 도구 | 코드 생성기 / AOP 컴파일러 | 프록시 계층 자동화 및 반복 제거를 위한 도구 사용 | |
Proxy 계층 설계 | 계층 구조화 / 책임 분리 | 기능, 보안, 로깅 등을 목적별로 분리하여 관리 가능하게 설계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패턴 구성요소 | Proxy | 실제 객체에 대한 대리자, 접근 제어·로깅·지연 초기화 등 기능 수행 |
RealSubject | 실제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는 주체 객체 | |
Subject | Proxy 와 RealSubject 가 구현하는 공통 인터페이스 | |
프록시 유형 | Virtual Proxy | 리소스가 큰 객체의 생성을 지연하여 필요할 때 생성하는 프록시 |
Protection Proxy | 인증, 권한 검사 등 접근 제어를 담당하는 보안용 프록시 | |
Remote Proxy |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객체 접근을 로컬처럼 추상화한 프록시 | |
Caching Proxy | 호출 결과를 캐시에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프록시 | |
Smart Proxy (Smart Reference) | 접근 시 부가 기능 (로깅, 참조 계수, 잠금 등) 을 수행하는 지능형 프록시 | |
프록시 구현 전략 | Static Proxy | 컴파일 시점에 명시적으로 정의되는 프록시 클래스 구현 방식 |
Dynamic Proxy | 런타임에 리플렉션 등으로 동적으로 생성되는 프록시 객체 | |
Lazy Initialization | Virtual Proxy 와 연결되는 전략, 객체 생성을 지연시켜 리소스 절약 | |
Delegation | 프록시가 실제 처리를 다른 객체 (RealSubject 등) 에게 위임하는 구조 | |
Placeholder | 실제 객체가 준비될 때까지 대체 역할을 수행하는 임시 객체 | |
보안 / 인증 | Access Control |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보안 메커니즘 (Protection Proxy 와 연계) |
OAuth2 / JWT Proxy | 토큰 기반 인증 시스템에서 프록시를 통해 권한 부여 흐름 구현 | |
Zero Trust Architecture | 모든 접근 요청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는 보안 중심 설계 모델 (프록시 기반 필수 구성 요소) | |
시스템 최적화 | Cache Hit Rate | 캐싱된 결과로 응답된 요청 비율 (Caching Proxy 성능 지표) |
TTL (Time To Live) | 캐시된 데이터의 유효 시간 설정, 만료 정책 관리 | |
Circuit Breaker | 장애 전파를 방지하는 회로 차단 패턴 (Remote Proxy 와 함께 사용됨) | |
Fallback | 장애 발생 시 대체 처리를 수행하는 전략 (Circuit Breaker 와 연계) | |
분산 시스템/네트워크 | RMI Proxy / gRPC Proxy | 원격 객체 호출을 프록시로 캡슐화하여 로컬 객체처럼 사용 |
Sidecar Proxy |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와 함께 배포되는 통신 제어용 프록시 (예: Istio, Envoy) | |
API Gateway / Reverse Proxy | 요청 라우팅, 인증, 보안 등을 담당하는 인프라 프록시 계층 구성 요소 | |
AOP/프레임워크 연계 | AOP (Aspect-Oriented Programming) | 횡단 관심사 (로깅, 트랜잭션 등) 를 별도 모듈로 처리하는 프로그래밍 방식 |
Spring AOP / JDK Proxy |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프록시 기반으로 AOP 구현 (인터페이스 기반 프록시 생성) | |
CGLIB Proxy | 클래스 기반의 프록시 생성 기술 (인터페이스 없이도 가능) | |
NestJS Interceptor | Node.js 기반 프레임워크에서 요청/응답 가로채기 구조로 프록시 역할 수행 | |
Kotlin Delegation (by ) | 언어 차원에서 제공하는 위임 기반 프록시 구현 문법 | |
추상화 특성/기타 | Surrogate | 일반적으로 Proxy 와 동일 의미로 사용되며, 객체의 대리자 역할을 함 |
Transparency | 클라이언트가 Proxy 와 RealSubject 를 구분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특성 |
참고 및 출처
공식 문서 및 전문가 자료
- Proxy Pattern (Refactoring Guru)
- Proxy Design Pattern (SourceMaking)
- Proxy Design Pattern in .NET (DoFactory)
- Spring AOP Reference (Spring Docs)
- gRPC – Remote Proxies via Stub
- Proxy Pattern (GeeksforGeeks)
- The Proxy Pattern in Java (Baeldung)
- Martin Fowler – Patterns of Enterprise Application Architecture: Proxy
- Java Dynamic Proxy Documentation (Oracle)
- Design Patterns: Proxy Pattern (DigitalOcean)
- Proxy Pattern (Java Design Patterns)
- Microservices Design Patterns – Proxy (TutorialsPoint)
블로그 및 실무 활용 사례
- 프록시 패턴 - Refactoring Guru (Korean)
- 프록시 패턴 마스터하기 – Inpa Dev
- 디자인 패턴 – 프록시 패턴 상세 설명 – velog
- Spring에서 Proxy Pattern을 활용한 AOP 적용기 – sabarada
- Proxy Pattern 적용기 – eunvelo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