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Sourcing


Event Sourcing 심층 분석 및 실무 가이드


1단계: 기본 분석

1. 대표 태그 생성

2. 분류 체계 검증

현재 분류 [Software Engineering > Architecture Styles > Messaging-Oriented Architecture > Event-Driven Architecture > Event Patterns]는 이벤트 소싱(Event Sourcing)의 본질과 핵심 역할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 관리 패턴(Data Management Patterns)”, “시스템 로깅 및 트랜잭션(Logging & Transaction Patterns)”, “분산 시스템 관리(Distributed Data Patterns)” 분류와의 연결도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 추천: “Event Patterns"는 “Data Management Patterns"와 교차 링크 필요.
(이유: 이벤트 소싱은 데이터 저장 및 상태 복구 패턴으로도 핵심적 역할 수행)

3. 핵심 요약

Event Sourcing(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불변(Event)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면서, 전체 이력을 관리하고 복원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상태 대신 이벤트 스트림을 저장하여 추적성, 감사, 비즈니스 로직 명확화, 복구성 등에서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13

4. 전체 개요

이벤트 소싱(Event Sourcing)은 데이터베이스(DB)에 최종 상태만 저장하는 전통적 방식과 달리,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여 이벤트 스토어(Event Store)에 누적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 상태 및 과거상태 복원이 가능하며, 이벤트 로그의 불변성(Immutability)으로 투명한 감사(Audit), 장애 복구(Recovery), 비즈니스 프로세스 추적성이 뛰어나다. 복잡성과 성능 부담이 있으나, Snapshot, CQRS, Microservices 등과 연계 시 실전 활용도가 높은 패턴이다.45


2단계: 핵심 분석

5. 핵심 개념 정리 (이론/실무 중심)

6. 실무 연관성 분석


3단계: 상세 조사 (Phase별 분류)

Phase 1: 기초 이해


Phase 2: 핵심 이론

sequenceDiagram
    participant UI
    participant CommandHandler
    participant EventStore
    participant ReadModelDB
    UI->>CommandHandler: Command(예: 주문 요청)
    CommandHandler->>EventStore: Event 기록(예: 주문 생성 이벤트)
    EventStore->>ReadModelDB: 이벤트 Replay 후 상태 갱신
    ReadModelDB->>UI: 상태 조회

Phase 3: 특성 분석

장점 분석표

구분항목설명기술적 근거
장점변경이력 추적모든 상태 변경 사항을 이벤트로 기록, 과거 상태 복구 가능불변 이벤트 저장
장점감사/투명성데이터 변경 내역 전체 확인 가능, Audit 요구 충족이벤트 로그 기반 감사/법적 검토 강화
장점복구성장애 발생 시 이벤트 재생으로 신속 복구이벤트 스트림 Replay
장점비즈니스 로직 명확성이벤트 중심 설계로 변화 흐름 파악 용이비즈니스 도메인 이벤트 명확화

단점 및 문제점 분석표

구분항목설명해결책대안 기술
단점복잡성이벤트 처리/저장/관리 로직 추가표준 프레임워크, 이벤트 핸들러 활용전통적 CRUD, Audit Log
단점스토리지 요구모든 이벤트 저장으로 데이터 증가이벤트 만료/압축, Storage 확장로그축소, Snapshot
단점성능 이슈이벤트 재생(replay)로 현재 상태 계산 부담Snapshot 적용, CQRS 분리상태 기반 저장 방식
단점모델 설계 난이도이벤트 모델링, 도메인 이벤트 설계 어려움DDD(도메인 주도 설계) 도입CRUD/단순 트랜잭션

문제점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 방법해결 기법
문제점설계 난이도이벤트/도메인 모델 복잡성초기 설계 오류, 데이터 혼선이벤트 테스트, 도메인 검토DDD, TDD 도입문서화/모듈화

트레이드오프 분석


Phase 4: 구현 및 분류

구현 기법 및 방법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구분

기준유형설명
이벤트 저장 방식Event Sourcing Only이벤트만 저장, 현재 상태는 이벤트 Replay로만 도출
이벤트+SnapshotEvent Sourcing + Snapshot주기적 전체상태 저장, Replay 성능 최적화
CQRS 적용Event Sourcing+CQRS변경/조회 분리, 이벤트 소싱과 별도 Read Model 운영

Phase 5: 실무 적용

실제 도입 사례

실습 예제 및 코드 구현

시나리오: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상품을 추가/삭제하는 과정을 이벤트로 기록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User Service] --> B[Event Store]
    B --> C[Read Model DB]

Workflow:

  1.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상품 추가/삭제
  2. 각 액션을 이벤트로 기록(카트 생성, 상품 추가/제거)
  3. 이벤트 스토어에 저장
  4. 이벤트를 순서대로 Replay하여 장바구니 현재 상태 도출

핵심 역할: 이벤트로 모든 상태 변경 이력 관리 및 복원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카트에 대한 이벤트 생성과 처리 예제
from typing import List

class Event:
    """이벤트 소싱의 핵심: 상태 변화를 기록하는 이벤트 객체"""
    pass

class AddItemEvent(Event):
    """상품 추가 이벤트"""
    def __init__(self, item):
        self.item = item

class RemoveItemEvent(Event):
    """상품 제거 이벤트"""
    def __init__(self, item):
        self.item = item

class Cart:
    """카트 상태는 이벤트 Replay로 도출"""
    def __init__(self):
        self.items = []
        self.events: List[Event] = []
    
    def apply(self, event: Event):
        """이벤트를 적용하여 상태 변경"""
        if isinstance(event, AddItemEvent):
            self.items.append(event.item)
        elif isinstance(event, RemoveItemEvent):
            self.items.remove(event.item)
        self.events.append(event)
    
    def replay(self, events: List[Event]):
        """저장된 모든 이벤트를 순서대로 적용"""
        self.items = []
        for event in events:
            self.apply(event)

# 사용 예시
cart = Cart()
cart.apply(AddItemEvent('Kimchi'))
cart.apply(RemoveItemEvent('Kimchi'))
print(cart.items)  # 이벤트 Replay 후 현재 상태

실제 도입 사례의 코드 구현 (포트원 예시)

시나리오: 결제 주문에 대한 모든 변경 이력을 이벤트로 저장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Payment Service] --> B[Event Store]
    B --> C[Read Model DB]
    B --> D[Snapshot Service]

Workflow:

  1. 결제 생성/승인/환불 등의 각 단계 이벤트 기록
  2. 이벤트 스토어에 저장
  3. 문의/장애 시 이벤트 Replay 또는 조회용 DB에서 상태 확인

핵심 역할: 모든 결제 상태 변경의 추적/복원/감사 기능 강화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결제 시스템 핵심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관리
class PaymentEvent(Event):
    """결제 이벤트 기본 클래스"""
    pass

class PaymentCreated(PaymentEvent): ...
class PaymentApproved(PaymentEvent): ...
class PaymentRefunded(PaymentEvent): ...

class PaymentOrder:
    """결제건 상태를 이벤트로 관리"""
    def __init__(self):
        self.state = "Created"
        self.events: List[PaymentEvent] = []
    
    def apply(self, event: PaymentEvent):
        if isinstance(event, PaymentCreated):
            self.state = "Created"
        elif isinstance(event, PaymentApproved):
            self.state = "Approved"
        elif isinstance(event, PaymentRefunded):
            self.state = "Refunded"
        self.events.append(event)
    
    def replay(self, events: List[PaymentEvent]):
        self.state = None
        for event in events:
            self.apply(event)

# 예시 적용
order = PaymentOrder()
order.apply(PaymentCreated())
order.apply(PaymentApproved())
print(order.state)  # "Approved"

Phase 6: 운영 및 최적화

보안 및 거버넌스

모니터링 및 관측성

실무 적용 고려사항 및 주의점

구분항목설명권장
운영이벤트 복잡성이벤트모델 과다/과소 설계 방지DDD(도메인 주도 설계) 적용
운영Storage 증설장기간 용량/성능 고려클라우드 기반 자동 확장

성능 최적화 전략

구분전략설명권장
성능Snapshot 적용주기적 상태 저장주기적 (&n > 1000)
성능CQRS읽기/쓰기를 분리복잡한 도메인 추천
성능이벤트 압축불필요 이벤트 만료/압축장기 운영 시 필수

Phase 7: 고급 주제

현재 도전 과제

생태계 및 관련 기술

기술통합 생태계표준/프로토콜
Kafka, EventStore, RabbitMQ이벤트 브로커, 마이크로서비스와 연동클라우드(CloudEvents), 오픈표준(AWS, Azure)

최신 트렌드와 미래 방향

기타 고급 사항


4단계: 종합 정리 및 학습 가이드

내용 종합

이벤트 소싱(Event Sourcing)은 데이터 상태의 모든 변경을 이벤트로 순차적으로 저장함으로써 복원력, 감사, 비즈니스 및 운영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실무 현장에서는 CQRS, Snapshot 등과 결합하여 확장성과 성능을 동시에 달성하며, Microservices 및 클라우드 생태계에서 활용도와 미래 전망이 높다.

학습 로드맵 및 우선순위

  1. 이벤트 소싱 기본 개념/원리 습득
  2. 아키텍처 구조 및 CQRS/Snapshot 연계 패턴 실습
  3. 실무 적용 사례 및 코드 예제 분석
  4. 운영/최적화, 모니터링/거버넌스 심화 학습
  5. 고급 패턴(분산, 멱등성, 이벤트 연계 microservices) 확장 학습

학습 항목 매트릭스

카테고리Phase항목중요도설명
기초1용어·기초필수이벤트, 스토어, 불변성 등
이론2아키텍처 원리필수구성요소, CQRS, 동작 메커니즘
구현5예제 실습권장실무 사용 예시, 코드/워크플로우
특성분석3장·단점 분석필수장점/제약 및 해결 전략
고급7생태계/확장선택최신 기술 트렌드, 클라우드 연계
운영6보안/관측성권장운영/최적화, 거버넌스, 모니터링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정의관련 개념
핵심이벤트(Event)상태 변화 기록불변성, 이벤트 스토어
구현이벤트 스토어(Store)이벤트 저장소순차적 기록, Replay
운영Snapshot(스냅샷)전체상태 임시저장성능 개선, 복구
구현CQRS명령/조회 분리성능/확장성
운영Audit변경이력 감사감사, 추적성

참고 및 출처


좋습니다. 앞서 Event Sourcing에 대해 Phase 1~7까지 정리와 학습 로드맵까지 마쳤으니, 이어서 추가 심화·실무 관점 보완확장 학습 자료, 그리고 연습 문제까지 포함해드리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학습과 실무 적용 사이의 간극을 바로 메꿀 수 있을 겁니다.


🔍 Phase 8: 심화 확장 및 실무 보완

8.1 이벤트 소싱에서 자주 겪는 실무 문제와 해결 전략

구분문제 현상주요 원인실무 영향해결 전략
이벤트 재생 속도 저하대량의 이벤트 재생 시 오래 걸림장기간 스냅샷 미적용, 이벤트 크기 증가시스템 기동 지연스냅샷 주기 단축, 이벤트 아카이빙
이벤트 순서 불일치분산 환경에서 순서 어김네트워크 지연, 멀티 스레드 처리데이터 불일치글로벌 타임스탬프, 카프카 파티션 관리
이벤트 스키마 변경기존 이벤트 형식과 충돌버전 미관리재생 오류 발생스키마 버전 관리(Avro, Protobuf)
멱등성(Idempotency) 미비동일 이벤트 중복 처리리트라이 로직 불완전데이터 중복이벤트 ID 관리, 멱등성 키 적용
GDPR 등 규제 준수데이터 삭제 요구 충돌불변성 특성법적 컴플라이언스 문제이벤트 마스킹, 암호화 키 폐기 방식

8.2 실무에서의 성능 최적화 패턴

  1. 스냅샷(Snapshot) 주기 최적화

    • 이벤트 수가 1,000개를 넘으면 스냅샷을 저장하는 방식 적용.
    • 최신 기술: 증분 스냅샷(Incremental Snapshot).
  2. CQRS + Read Model Cache

    • 읽기 전용 DB(Read Model)를 In-memory 캐시(Redis)에 두어 조회 속도를 높임.
  3. Parallel Event Processing

    • 병렬 이벤트 처리 시 이벤트 순서를 보장할 파티션 키 사용.
  4. 이벤트 압축(Event Compaction)

    • 카프카(Kafka)의 log compaction 기능 활용해 오래된 중복 상태 이벤트 제거.

8.3 아키텍처 확장 예시

Event Sourcing + Microservices + Kafka 조합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ServiceA[주문 서비스]
        A1[Command Handler] --> A2[Event Store]
    end
    subgraph ServiceB[결제 서비스]
        B1[Command Handler] --> B2[Event Store]
    end
    A2 -- 이벤트 발행 --> K[Kafka Topic]
    B2 -- 이벤트 발행 --> K
    K -- 구독 --> R1[Read Model for Dashboard]
    K -- 구독 --> R2[Analytics Service]

💡 이렇게 구성하면,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Event Sourcing을 하고, 메시지 브로커(카프카)를 통해 데이터 흐름이 연결됩니다.


📌 Phase 9: 학습 심화 로드맵

단계학습 내용실습 예제참고 기술
1단계기본 이벤트 소싱 개념과 CQRS 구조 학습장바구니 예제Python, SQLite
2단계이벤트 스토어 구현 + 스냅샷 적용주문 서비스PostgreSQL, EventStoreDB
3단계이벤트 브로커 연계주문-결제 마이크로서비스Kafka, RabbitMQ
4단계운영 모니터링 & 장애 복구 실습장애 복구 시뮬레이션Prometheus, Grafana
5단계고급 주제 적용이벤트 압축, 멱등성 보장Kafka log compaction

🧠 연습 문제 (학습 점검)

  1. Event Sourcing과 단순 Change Data Capture (CDC) 패턴의 차이를 설명하세요.
  2. CQRS와 Event Sourcing을 함께 적용할 때 성능 상 이점과 단점을 2가지씩 기술하세요.
  3. 다음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책을 제안하세요.
    • “카프카 파티션 키를 잘못 설정해 동일 Aggregate 이벤트가 다른 파티션으로 배치”
  4. Python을 이용하여 스냅샷을 활용하는 Cart 시스템을 구현하세요.
    • 조건: 5개의 이벤트 이상이 쌓이면 자동 스냅샷 저장

📍 다음 심화 주제 제안


좋습니다. 이전에 Phase 8~9와 심화 로드맵까지 확장했으니, 이번에는 예고했던 스냅샷(Snapshot) 적용 버전의 Event Sourcing 구현 예제를 완성해 드리겠습니다.
이 예제는 특히 실무 환경에서 기동 시간 단축대량 이벤트 재생 시 성능 보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실습 예제: 스냅샷 적용 Cart 시스템 (Python)

시나리오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User[사용자 요청] --> CommandHandler[명령 처리기]
    CommandHandler --> EventStore[Event Store]
    EventStore --> SnapshotStore[Snapshot Store]
    SnapshotStore --> Cart[Cart Aggregate]
    EventStore --> Cart

Workflow

  1.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상품 추가/삭제 요청
  2. 이벤트 생성 후 Event Store에 저장
  3. 누적 이벤트 개수가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Snapshot Store에 전체 상태 저장
  4. 복구 시 Snapshot 불러오고, 이후 이벤트만 Replay

유무 차이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import json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 ----- 이벤트 정의 -----
class Event:
    """이벤트 소싱의 핵심: 상태 변화를 기록하는 불변 객체"""
    def to_dict(self):
        return self.__dict__

class AddItemEvent(Event):
    def __init__(self, item):
        self.type = "ADD_ITEM"
        self.item = item

class RemoveItemEvent(Event):
    def __init__(self, item):
        self.type = "REMOVE_ITEM"
        self.item = item

# ----- 저장소 구현 -----
class EventStore:
    """이벤트 저장소 - 모든 상태 변화를 기록"""
    def __init__(self):
        self.events: List[Event] = []

    def save(self, event: Event):
        self.events.append(event)

    def get_events_since(self, index: int) -> List[Event]:
        """지정 인덱스 이후의 이벤트 반환"""
        return self.events[index:]

class SnapshotStore:
    """스냅샷 저장소 - 특정 시점의 전체 상태 저장"""
    def __init__(self):
        self.snapshots: Dict[int, Any] = {}  # key: 이벤트 인덱스

    def save_snapshot(self, index: int, state: Any):
        self.snapshots[index] = json.dumps(state)  # JSON 직렬화 저장

    def get_latest_snapshot(self):
        if not self.snapshots:
            return None, None
        latest_index = max(self.snapshots.keys())
        return latest_index, json.loads(self.snapshots[latest_index])  # JSON 역직렬화 반환

# ----- Cart Aggregate -----
class Cart:
    """Cart 상태는 이벤트 Replay 또는 Snapshot + Replay로 복원"""
    def __init__(self):
        self.items: List[str] = []

    def apply(self, event: Event):
        """이벤트를 적용하여 상태 변경"""
        if event.type == "ADD_ITEM":
            self.items.append(event.item)
        elif event.type == "REMOVE_ITEM":
            if event.item in self.items:
                self.items.remove(event.item)

    def get_state(self):
        return {"items": self.items}

    def set_state(self, state: Dict):
        self.items = state["items"]

# ----- 서비스 로직 (핵심 비즈니스 + 스냅샷) -----
class CartService:
    SNAPSHOT_THRESHOLD = 5  # N개 이벤트마다 스냅샷 저장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EventStore, snapshot_store: Snapshot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self.snapshot_store = snapshot_store
        self.cart = Cart()

    def handle_event(self, event: Event):
        self.event_store.save(event)
        self.cart.apply(event)

        # 스냅샷 조건 충족 시 저장
        if len(self.event_store.events) % self.SNAPSHOT_THRESHOLD == 0:
            self.snapshot_store.save_snapshot(len(self.event_store.events), self.cart.get_state())
            print(f"[스냅샷 저장] {len(self.event_store.events)}개 이벤트 시점")

    def restore_state(self):
        """스냅샷 + 남은 이벤트로 상태 복원"""
        last_snapshot_index, snapshot_state = self.snapshot_store.get_latest_snapshot()
        if snapshot_state:
            self.cart.set_state(snapshot_state)
            start_index = last_snapshot_index
        else:
            start_index = 0

        remaining_events = self.event_store.get_events_since(start_index)
        for ev in remaining_events:
            self.cart.apply(ev)

        print(f"[복원 완료] 총 {len(remaining_events)}개의 이벤트 재생")

# ----- 테스트 시나리오 -----
event_store = EventStore()
snapshot_store = SnapshotStore()
service = CartService(event_store, snapshot_store)

# 이벤트 발생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사과"))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바나나"))
service.handle_event(RemoveItemEvent("사과"))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키위"))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포도"))  # 여기서 스냅샷 저장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수박"))

# 상태 확인
print("[현재 상태]", service.cart.items)

# 복구 테스트
new_service = CartService(event_store, snapshot_store)
new_service.restore_state()
print("[복구된 상태]", new_service.cart.items)

🔍 코드 동작 설명

  1. EventStore는 모든 이벤트를 순차 저장
  2. SnapshotStore는 설정한 개수(N)에 도달할 때마다 Cart 상태를 저장
  3. 복원 시
    • 가장 최근 스냅샷 불러옴
    • 이후 이벤트만 재적용(Replaying)
  4. 이렇게 하면 시스템 재기동이나 장애 복구가 훨씬 빨라짐

💡 실무 적용 팁


좋습니다. 이전 단계에서 스냅샷(Snapshot) 적용 단일 서비스 Cart 예제까지 완성했으니, 이번에는 그것을 한 단계 확장해 분산 환경에서 동작하는 Event Sourcing + Kafka 연계 예제를 구현해 드리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로컬에서만 동작하는 구조를 **마이크로서비스 기반(Event-Driven Architecture)**으로 확장하는 실무 감각을 잡을 수 있습니다.


🚀 실습 예제: Event Sourcing + Kafka 연계 (장바구니 서비스 확장)

시나리오


시스템 구성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User[사용자 요청] --> CartService[Cart Service]
    CartService --> EventStore[Event Store]
    CartService --> SnapshotStore[Snapshot Store]
    CartService -- 발행 --> Kafka[(Kafka Broker)]
    Kafka -- 구독 --> AnalyticsService[Analytics Service]
    Kafka -- 구독 --> NotificationService[알림 서비스]

Workflow (단계별 흐름)

  1. 사용자가 Cart Service에 요청 → 이벤트 생성
  2. 이벤트를 Event Store에 저장 → 스냅샷 조건 충족 시 Snapshot Store에 저장
  3. 이벤트를 Kafka Topic으로 발행
  4. Analytics Service가 Kafka 토픽을 구독하여 통계 데이터 생성
  5. Notification Service가 Kafka 토픽을 구독하여 알림 전송

구현 예시 (Python, kafka-python 라이브러리 사용)

이 예시는 kafka-python을 사용하므로, 실행 전 pip install kafka-python 필요
Kafka 로컬 실행(또는 Docker 환경)이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cart_service.py (Produc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from kafka import KafkaProducer
import json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 ----- 이벤트 정의 -----
class Event:
    def to_dict(self):
        return self.__dict__

class AddItemEvent(Event):
    def __init__(self, item):
        self.type = "ADD_ITEM"
        self.item = item

class RemoveItemEvent(Event):
    def __init__(self, item):
        self.type = "REMOVE_ITEM"
        self.item = item

# ----- 저장소 -----
class EventStore:
    def __init__(self):
        self.events: List[Event] = []
    def save(self, event: Event):
        self.events.append(event)
    def get_events(self):
        return self.events

class SnapshotStore:
    def __init__(self):
        self.snapshots: Dict[int, Dict] = {}
    def save_snapshot(self, index: int, state: Dict):
        self.snapshots[index] = state
    def get_latest_snapshot(self):
        if not self.snapshots:
            return None, None
        idx = max(self.snapshots.keys())
        return idx, self.snapshots[idx]

# ----- Cart Aggregate -----
class Cart:
    def __init__(self):
        self.items = []
    def apply(self, event: Event):
        if event.type == "ADD_ITEM":
            self.items.append(event.item)
        elif event.type == "REMOVE_ITEM" and event.item in self.items:
            self.items.remove(event.item)
    def get_state(self):
        return {"items": self.items}
    def set_state(self, state: Dict):
        self.items = state["items"]

# ----- Cart Service -----
class CartService:
    SNAPSHOT_THRESHOLD = 5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snapshot_store):
        self.cart = Cart()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self.snapshot_store = snapshot_store
        self.producer = KafkaProducer(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value_serializer=lambda v: json.dumps(v).encode('utf-8')
        )
    def handle_event(self, event: Event):
        self.event_store.save(event)
        self.cart.apply(event)
        # Kafka 발행
        self.producer.send('cart-events', event.to_dict())
        print(f"[Kafka 발행] {event.to_dict()}")
        # 스냅샷 조건 검사
        if len(self.event_store.events) % self.SNAPSHOT_THRESHOLD == 0:
            self.snapshot_store.save_snapshot(len(self.event_store.events), self.cart.get_state())
            print(f"[스냅샷 저장] {self.cart.get_state()}")

# 테스트 실행
if __name__ == "__main__":
    event_store = EventStore()
    snapshot_store = SnapshotStore()
    service = CartService(event_store, snapshot_store)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사과"))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바나나"))
    service.handle_event(RemoveItemEvent("사과"))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키위"))
    service.handle_event(AddItemEvent("포도"))   # 스냅샷 저장 시점

analytics_service.py (Consum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from kafka import KafkaConsumer
import json

consumer = KafkaConsumer(
    'cart-events',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value_deserializer=lambda m: json.loads(m.decode('utf-8')),
    group_id='analytics-service'
)

print("[Analytics] Kafka 구독 시작")
item_counts = {}

for message in consumer:
    event = message.value
    if event["type"] == "ADD_ITEM":
        item = event["item"]
        item_counts[item] = item_counts.get(item, 0) + 1
    elif event["type"] == "REMOVE_ITEM":
        item = event["item"]
        if item in item_counts:
            item_counts[item] -= 1
            if item_counts[item] <= 0:
                del item_counts[item]
    print("[Analytics] 현재 집계:", item_counts)

포인트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

  1. 이벤트 순서 보장 → Kafka 파티션 사용 & Aggregate ID 기반 Key 설정
  2. 장애 복구 → Kafka Consumer 오프셋(Offset) 관리 필수
  3. 보안 → Kafka 통신 SSL/TLS 적용, SASL 인증 적용 가능
  4. 확장성 → 마이크로서비스별 독립 토픽 설계, Backpressure 처리 전략 필요

이제 우리는
순수 Event Sourcing 구현
스냅샷 적용 버전
Kafka 기반 분산 Event-Driven Architecture 까지
단계적으로 확장했습니다.

원한다면 다음 단계로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패턴을 결합한 마이크로서비스 구조를 설계해 드릴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조회 성능과 확장성까지 최적화된 완전한 실무용 이벤트 소싱 아키텍처가 완성됩니다.

다음 단계로 CQRS 결합 설계까지 진행할까요?

Event Sourcing 종합 기술 분석


1단계: 기본 분석

대표 태그

분류 체계 검증

현재 분류: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Styles > Messaging-Oriented Architecture > Event-Driven Architecture > Event Patterns

개선 제안: 현재 분류가 적절합니다. Event Sourcing은 Event-Driven Architecture의 핵심 패턴이며, 메시징 기반 아키텍처의 특수한 형태로 정확히 분류되어 있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교차 연결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근거: Event Sourcing은 데이터 지속성 전략이자 행동 패턴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다각도로 접근 가능한 주제입니다.

핵심 요약 (250자 이내)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불변(Immutable) 이벤트 시퀀스로 저장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현재 상태가 아닌 모든 변경 사항을 이벤트로 기록하여 완전한 감사 추적(Audit Trail)을 제공하고, 언제든 과거 시점의 상태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주로 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와 함께 사용되어 분산 시스템의 확장성과 일관성을 향상시킵니다.

전체 개요 (400자 이내)

Event Sourcing은 전통적인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방식 대신 모든 상태 변화를 순차적인 이벤트로 저장하는 데이터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이벤트 스토어(Event Store)에 append-only 방식으로 저장된 이벤트들을 재생(Replay)하여 현재 상태를 재구성합니다.

핵심 특징으로는 완벽한 감사 로그, 시점별 상태 복원, 확장성 향상이 있으며, 금융, 전자상거래, IoT 등 높은 투명성과 추적성이 요구되는 도메인에서 활용됩니다. Apache Kafka, EventStore, AWS EventBridge 등의 기술 스택과 함께 구현되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서비스 간 일관성을 보장하는 핵심 패턴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단계: 핵심 분석

핵심 개념 정리

이론적 관점

  1. Event Store (이벤트 스토어): 모든 이벤트를 저장하는 append-only 데이터베이스
  2. Event Replay (이벤트 재생): 저장된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는 과정
  3. Aggregate (집계): 비즈니스 로직의 일관성 경계를 나타내는 도메인 객체
  4. Projection (프로젝션): 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읽기 전용 뷰

실무적 관점

  1. Snapshot (스냅샷): 성능 최적화를 위한 특정 시점의 상태 저장
  2. Compensating Event (보상 이벤트): 이전 이벤트의 효과를 상쇄하는 새로운 이벤트
  3. Event Schema Evolution (이벤트 스키마 진화): 이벤트 구조 변경에 대한 하위 호환성 관리
  4. Event Sourcing Gateway: 외부 시스템과의 통합을 위한 인터페이스 레이어

기본 수준

심화 수준

실무 연관성 분석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현

DevOps 및 운영


3단계: 상세 조사

Phase 1: 기초 이해 (Foundation Understanding)

개념 정의 및 본질

Event Sourcing(이벤트 소싱)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직접 저장하는 대신, 상태를 변경하는 모든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이는 “모든 변화는 이벤트의 결과"라는 철학을 기반으로 합니다.

핵심 정의: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등장 배경:

  1. 전통적 CRUD의 한계: 상태 덮어쓰기로 인한 정보 손실
  2. 감사 요구사항 증가: 규제 산업에서의 완전한 추적성 필요
  3. 분산 시스템의 복잡성: 마이크로서비스 간 데이터 일관성 문제
  4. 실시간 분석 요구: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와 실시간 의사결정 지원

발전 과정:

핵심 동기 및 가치 제안

주요 동기:

  1. 완전한 감사 추적: 모든 변경사항의 불변 기록
  2. 시점별 상태 복원: 임의의 시점으로 되돌리기 가능
  3. 확장성 향상: 읽기와 쓰기의 독립적 최적화
  4. 장애 복구: 이벤트 재생을 통한 시스템 복구

가치 제안:

주요 특징

특징설명기술적 근거
불변성이벤트는 한 번 저장되면 변경되지 않음Append-only 저장 구조로 데이터 무결성 보장
순서 보장이벤트는 발생 순서대로 저장타임스탬프와 시퀀스 번호를 통한 순서 관리
재생 가능성이벤트 재생으로 상태 재구성순수 함수를 통한 결정론적 상태 계산
확장성읽기와 쓰기의 독립적 스케일링CQRS 패턴과의 결합으로 성능 최적화
추적성모든 변경사항의 완전한 히스토리각 이벤트의 메타데이터 포함 저장

Phase 2: 핵심 이론 (Core Theory)

핵심 설계 원칙

  1. 이벤트 불변성 원칙: 한 번 저장된 이벤트는 절대 수정하지 않음
  2. 단일 진실 원천 원칙: Event Store가 시스템의 유일한 진실 원천
  3. 이벤트 순서 보장 원칙: 같은 집계(Aggregate) 내 이벤트는 순서 보장
  4. 보상 이벤트 원칙: 취소나 수정은 새로운 보상 이벤트로 처리
  5. 도메인 이벤트 원칙: 비즈니스적으로 의미 있는 이벤트만 저장

기본 원리 및 동작 메커니즘

graph TB
    A[비즈니스 명령] --> B[도메인 로직 처리]
    B --> C[이벤트 생성]
    C --> D[Event Store 저장]
    D --> E[이벤트 발행]
    E --> F[프로젝션 업데이트]
    E --> G[외부 시스템 통지]
    
    H[쿼리 요청] --> I[프로젝션 조회]
    I --> J[읽기 모델 반환]
    
    K[상태 재구성] --> L[이벤트 로드]
    L --> M[이벤트 재생]
    M --> N[현재 상태 계산]

동작 원리:

  1. Command 처리: 비즈니스 명령을 도메인 객체에서 처리
  2. Event 생성: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모델링
  3. Event 저장: Event Store에 순차적으로 저장
  4. Event 발행: 관심 있는 구독자들에게 이벤트 전파
  5. Projection 업데이트: 읽기 모델 갱신
  6. State 재구성: 필요시 이벤트 재생으로 상태 복원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graph TB
    subgraph "Command Side (Write)"
        A[Command Handler] --> B[Aggregate Root]
        B --> C[Domain Events]
        C --> D[Event Store]
    end
    
    subgraph "Query Side (Read)"
        E[Event Handler] --> F[Projection]
        F --> G[Read Model DB]
        G --> H[Query Handler]
    end
    
    subgraph "Event Infrastructure"
        I[Event Bus] --> E
        D --> I
        J[Event Catalog] --> K[Schema Registry]
    end
    
    D -.->|Event Replay| L[State Reconstruction]
    F -.->|Snapshot| M[Snapshot Store]

필수 구성 요소:

  1. Event Store: 이벤트를 영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2. Command Handler: 비즈니스 명령을 처리하는 컴포넌트
  3. Event Handler: 이벤트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컴포넌트
  4. Projection Engine: 읽기 모델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엔진

선택적 구성 요소:

  1. Snapshot Store: 성능 최적화를 위한 스냅샷 저장소
  2. Event Bus: 이벤트 라우팅 및 배포 인프라
  3. Schema Registry: 이벤트 스키마 버전 관리
  4. Event Catalog: 이벤트 메타데이터 관리

주요 기능과 역할

Event Store 기능

Projection Engine 기능

Command/Query 분리


Phase 3: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장점 및 이점

구분항목설명기술적 근거
장점완벽한 감사 추적모든 상태 변화의 불변 기록 유지Append-only 저장 구조로 데이터 변조 방지
장점시점별 상태 복원과거 임의 시점의 상태 재구성 가능이벤트 재생을 통한 결정론적 상태 계산
장점확장성읽기와 쓰기의 독립적 스케일링CQRS 패턴과 결합하여 각각 최적화
장점장애 복구이벤트 재생을 통한 시스템 복구이벤트 스토어를 단일 진실 원천으로 활용
장점비즈니스 인사이트이벤트 분석을 통한 패턴 발견모든 비즈니스 이벤트의 풍부한 메타데이터
장점미래 확장성새로운 읽기 모델을 언제든 추가기존 이벤트로부터 새로운 프로젝션 생성
장점동시성 문제 해결낙관적 동시성 제어로 성능 향상이벤트 append 방식으로 락 경합 최소화

단점 및 제약사항과 해결방안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책대안 기술
단점복잡성 증가전통적 CRUD 대비 구현 복잡도 상승단계적 도입, 교육 투자하이브리드 접근법
단점쿼리 복잡성이벤트 재생으로 인한 쿼리 성능 저하CQRS 패턴, 프로젝션 활용전용 쿼리 DB
단점스토리지 증가모든 이벤트 보관으로 저장 공간 증가스냅샷, 아카이빙 전략압축, 파티셔닝
단점최종 일관성읽기 모델의 최종 일관성으로 인한 지연이벤트 버스 최적화동기식 프로젝션
단점학습 곡선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한 학습 부담점진적 교육, 멘토링기존 패턴과 혼용

문제점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 방법해결 기법
문제점이벤트 스키마 진화비즈니스 요구사항 변화하위 호환성 문제버전 추적 도구스키마 설계 가이드라인다중 버전 핸들러
문제점이벤트 재생 성능대량 이벤트 누적상태 재구성 지연성능 모니터링스냅샷 전략병렬 처리, 캐싱
문제점이벤트 중복네트워크 장애, 재시도데이터 불일치중복 검사 도구멱등성 설계이벤트 ID 기반 중복 제거
문제점투영 지연이벤트 처리 병목읽기 모델 지연지연 메트릭처리 용량 계획배치 처리, 우선순위 큐

트레이드오프 관계 분석

성능 vs 일관성:

단순성 vs 유연성:

저장 공간 vs 정보 보존:

학습 곡선 vs 장기 이익:


Phase 4: 구현 및 분류 (Implementation & Classification)

구현 기법 및 방법

1. 이벤트 모델링 기법

정의: 비즈니스 도메인의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표현하는 방법론

구성:

목적: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이벤트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도메인 모델 명확화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주문 도메인의 이벤트 모델링
class OrderEvent:
    def __init__(self, aggregate_id, timestamp, user_id):
        self.aggregate_id = aggregate_id
        self.timestamp = timestamp
        self.user_id = user_id

class OrderPlaced(OrderEvent):
    def __init__(self, aggregate_id, timestamp, user_id, items, total_amount):
        super().__init__(aggregate_id, timestamp, user_id)
        self.items = items
        self.total_amount = total_amount

class OrderShipped(OrderEvent):
    def __init__(self, aggregate_id, timestamp, user_id, tracking_number):
        super().__init__(aggregate_id, timestamp, user_id)
        self.tracking_number = tracking_number

2. 이벤트 스토어 구현 기법

정의: 이벤트를 영구 저장하고 조회할 수 있는 저장소 구현 방법

구성:

목적: 이벤트의 안전한 저장과 효율적인 조회 보장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PostgreSQL 기반 이벤트 스토어 구현
class PostgreSQLEventStore:
    def __init__(self, connection):
        self.connection = connection
    
    def append_events(self, aggregate_id, expected_version, events):
        """이벤트를 append-only 방식으로 저장"""
        cursor = self.connection.cursor()
        try:
            # 낙관적 동시성 제어
            cursor.execute(
                "SELECT version FROM aggregates WHERE id = %s FOR UPDATE",
                (aggregate_id,)
            )
            current_version = cursor.fetchone()
            
            if current_version and current_version[0] != expected_version:
                raise ConcurrencyError("Aggregate version mismatch")
            
            # 이벤트 저장
            for i, event in enumerate(events):
                cursor.execute("""
                    INSERT INTO events (aggregate_id, version, event_type, event_data, timestamp)
                    VALUES (%s, %s, %s, %s, %s)
                """, (
                    aggregate_id,
                    expected_version + i + 1,
                    event.__class__.__name__,
                    json.dumps(event.__dict__),
                    datetime.utcnow()
                ))
            
            # 집계 버전 업데이트
            new_version = expected_version + len(events)
            cursor.execute("""
                INSERT INTO aggregates (id, version) VALUES (%s, %s)
                ON CONFLICT (id) DO UPDATE SET version = %s
            """, (aggregate_id, new_version, new_version))
            
            self.connection.commit()
        except Exception as e:
            self.connection.rollback()
            raise e
    
    def get_events(self, aggregate_id, from_version=0):
        """집계의 이벤트 시퀀스 조회"""
        cursor = self.connection.cursor()
        cursor.execute("""
            SELECT event_type, event_data, version, timestamp
            FROM events
            WHERE aggregate_id = %s AND version > %s
            ORDER BY version
        """, (aggregate_id, from_version))
        
        events = []
        for row in cursor.fetchall():
            event_type, event_data, version, timestamp = row
            # 이벤트 객체 재구성 (event_type을 통한 동적 생성)
            event_class = globals()[event_type]
            event_dict = json.loads(event_data)
            event = event_class(**event_dict)
            events.append(event)
        
        return events

3. 프로젝션 구현 기법

정의: 이벤트로부터 읽기 최적화된 뷰를 생성하는 방법

구성:

목적: 쿼리 성능 최적화와 다양한 읽기 모델 지원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주문 프로젝션 구현
class OrderProjection:
    def __init__(self, read_db):
        self.read_db = read_db
        self.event_handlers = {
            'OrderPlaced': self.handle_order_placed,
            'OrderShipped': self.handle_order_shipped,
            'OrderCancelled': self.handle_order_cancelled
        }
    
    def handle_event(self, event):
        """이벤트 타입에 따른 적절한 핸들러 호출"""
        handler = self.event_handlers.get(event.__class__.__name__)
        if handler:
            handler(event)
    
    def handle_order_placed(self, event):
        """주문 생성 이벤트 처리"""
        self.read_db.execute("""
            INSERT INTO order_summary (
                order_id, user_id, status, total_amount, created_at
            ) VALUES (%s, %s, %s, %s, %s)
        """, (
            event.aggregate_id,
            event.user_id,
            'PLACED',
            event.total_amount,
            event.timestamp
        ))
        
        # 주문 항목 저장
        for item in event.items:
            self.read_db.execute("""
                INSERT INTO order_items (order_id, product_id, quantity, price)
                VALUES (%s, %s, %s, %s)
            """, (event.aggregate_id, item.product_id, item.quantity, item.price))
    
    def handle_order_shipped(self, event):
        """주문 배송 이벤트 처리"""
        self.read_db.execute("""
            UPDATE order_summary 
            SET status = 'SHIPPED', tracking_number = %s, shipped_at = %s
            WHERE order_id = %s
        """, (event.tracking_number, event.timestamp, event.aggregate_id))
    
    def handle_order_cancelled(self, event):
        """주문 취소 이벤트 처리"""
        self.read_db.execute("""
            UPDATE order_summary 
            SET status = 'CANCELLED', cancelled_at = %s
            WHERE order_id = %s
        """, (event.timestamp, event.aggregate_id))

4. 스냅샷 구현 기법

정의: 성능 최적화를 위해 특정 시점의 집계 상태를 저장하는 방법

구성:

목적: 대량 이벤트 재생으로 인한 성능 문제 해결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스냅샷 기반 집계 로딩
class SnapshotRepository:
    def __init__(self, snapshot_store, event_store):
        self.snapshot_store = snapshot_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def load_aggregate(self, aggregate_id):
        """스냅샷과 이후 이벤트를 결합하여 집계 로딩"""
        # 최신 스냅샷 로드
        snapshot = self.snapshot_store.get_latest_snapshot(aggregate_id)
        
        if snapshot:
            aggregate = self.deserialize_aggregate(snapshot.data)
            from_version = snapshot.version
        else:
            aggregate = Order(aggregate_id)  # 새 집계 생성
            from_version = 0
        
        # 스냅샷 이후 이벤트 적용
        events = self.event_store.get_events(aggregate_id, from_version)
        for event in events:
            aggregate.apply_event(event)
        
        return aggregate
    
    def save_aggregate(self, aggregate):
        """집계 저장 및 스냅샷 생성 결정"""
        # 새 이벤트 저장
        new_events = aggregate.get_uncommitted_events()
        self.event_store.append_events(
            aggregate.id,
            aggregate.version - len(new_events),
            new_events
        )
        
        # 스냅샷 생성 조건 확인 (예: 100개 이벤트마다)
        if aggregate.version % 100 == 0:
            snapshot_data = self.serialize_aggregate(aggregate)
            self.snapshot_store.save_snapshot(
                aggregate.id,
                aggregate.version,
                snapshot_data
            )
        
        aggregate.mark_events_as_committed()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구분

분류 기준유형설명적용 사례장점단점
저장 방식단일 스트림모든 이벤트를 하나의 글로벌 스트림에 저장간단한 도메인, 이벤트 순서가 중요한 시스템구현 단순, 전역 순서 보장확장성 제한, 동시성 문제
집계별 스트림집계(Aggregate) 단위로 별도 스트림 관리마이크로서비스, 복잡한 도메인높은 동시성, 독립적 확장글로벌 순서 보장 어려움
일관성 모델강한 일관성동기식 프로젝션 업데이트금융 거래, 재고 관리즉시 일관성, 단순한 에러 처리성능 저하, 가용성 제한
최종 일관성비동기식 프로젝션 업데이트소셜 미디어, 콘텐츠 관리높은 성능, 높은 가용성복잡한 에러 처리, 일시적 불일치
기술 스택관계형 DBPostgreSQL, MySQL 등 활용기존 인프라 활용, 중소 규모기존 운영 노하우 활용, 트랜잭션 지원확장성 제한, 스키마 경직성
NoSQL DBMongoDB, Cassandra 등 활용대규모 분산 시스템높은 확장성, 유연한 스키마일관성 모델 복잡, 새로운 운영 지식 필요
전용 Event StoreEventStore, Apache Kafka 활용이벤트 중심 아키텍처최적화된 성능, 풍부한 기능새로운 기술 스택, 운영 복잡성
도메인 적용 범위전체 시스템시스템 전체를 이벤트 소싱으로 구축새로운 프로젝트, 이벤트 중심 도메인일관된 아키텍처, 최대 이익높은 복잡성, 큰 변화
부분 적용특정 도메인만 이벤트 소싱 적용기존 시스템 확장, 점진적 도입점진적 도입, 위험 최소화하이브리드 복잡성, 제한적 이익

Phase 5: 실무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실제 도입 사례

1. Netflix의 분산 카운터 시스템

조합 기술: Apache Kafka + Cassandra + 마이크로서비스 효과 분석:

2. 은행의 거래 처리 시스템

조합 기술: EventStore + .NET Core + SQL Server 효과 분석:

3. 전자상거래의 주문 관리 시스템

조합 기술: Kafka + Spring Boot + MongoDB 효과 분석:

실습 예제 및 코드 구현

시나리오: 온라인 쇼핑몰의 주문 관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웹 애플리케이션] --> B[Order Command Handler]
    B --> C[Order Aggregate]
    C --> D[PostgreSQL Event Store]
    D --> E[Redis Event Bus]
    E --> F[Order Projection Handler]
    F --> G[MongoDB Read Model]
    
    H[조회 API] --> I[Query Handler]
    I --> G
    
    D -.->|Event Replay| J[State Reconstruction]

Workflow:

  1. 사용자가 주문 생성 요청
  2. Command Handler가 비즈니스 로직 검증
  3. Order Aggregate에서 OrderPlaced 이벤트 생성
  4. Event Store에 이벤트 저장
  5. Event Bus를 통해 이벤트 발행
  6. Projection Handler가 읽기 모델 업데이트
  7. 조회 API가 최적화된 뷰 제공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주문 집계 (Order Aggregate)
class Order:
    def __init__(self, order_id):
        self.id = order_id  # 집계 식별자
        self.version = 0    # 낙관적 동시성 제어를 위한 버전
        self.status = None
        self.items = []
        self.total_amount = 0
        self.uncommitted_events = []  # 저장되지 않은 이벤트 목록
    
    def place_order(self, user_id, items):
        """주문 생성 비즈니스 로직"""
        if self.status is not None:
            raise ValueError("Order already exists")
        
        # 비즈니스 규칙 검증
        if not items or len(items) == 0:
            raise ValueError("Order must have at least one item")
        
        total = sum(item.price * item.quantity for item in items)
        
        # 도메인 이벤트 생성
        event = OrderPlaced(
            aggregate_id=self.id,
            timestamp=datetime.utcnow(),
            user_id=user_id,
            items=items,
            total_amount=total
        )
        
        # 이벤트 적용 및 미커밋 목록에 추가
        self.apply_event(event)
        self.uncommitted_events.append(event)
    
    def ship_order(self, tracking_number):
        """주문 배송 처리"""
        if self.status != 'PLACED':
            raise ValueError("Cannot ship order in current status")
        
        event = OrderShipped(
            aggregate_id=self.id,
            timestamp=datetime.utcnow(),
            user_id=self.user_id,
            tracking_number=tracking_number
        )
        
        self.apply_event(event)
        self.uncommitted_events.append(event)
    
    def apply_event(self, event):
        """이벤트를 집계에 적용하여 상태 변경"""
        if isinstance(event, OrderPlaced):
            self.status = 'PLACED'
            self.user_id = event.user_id
            self.items = event.items
            self.total_amount = event.total_amount
        elif isinstance(event, OrderShipped):
            self.status = 'SHIPPED'
            self.tracking_number = event.tracking_number
        elif isinstance(event, OrderCancelled):
            self.status = 'CANCELLED'
        
        self.version += 1
    
    def get_uncommitted_events(self):
        """저장되지 않은 이벤트 목록 반환"""
        return self.uncommitted_events.copy()
    
    def mark_events_as_committed(self):
        """이벤트가 저장되었음을 표시"""
        self.uncommitted_events.clear()

# Command Handler 구현
class OrderCommandHandler:
    def __init__(self, repository, event_bus):
        self.repository = repository  # Order Repository
        self.event_bus = event_bus    # Event Bus for publishing
    
    def handle_place_order(self, command):
        """주문 생성 명령 처리"""
        # 새로운 주문 집계 생성
        order = Order(command.order_id)
        
        # 비즈니스 로직 실행
        order.place_order(command.user_id, command.items)
        
        # 집계 저장 (이벤트 저장소에 이벤트 저장)
        self.repository.save(order)
        
        # 이벤트 발행
        for event in order.get_uncommitted_events():
            self.event_bus.publish(event)
        
        order.mark_events_as_committed()
        
        return order.id
    
    def handle_ship_order(self, command):
        """주문 배송 명령 처리"""
        # 기존 주문 로드
        order = self.repository.get_by_id(command.order_id)
        
        # 비즈니스 로직 실행
        order.ship_order(command.tracking_number)
        
        # 변경사항 저장
        self.repository.save(order)
        
        # 이벤트 발행
        for event in order.get_uncommitted_events():
            self.event_bus.publish(event)
        
        order.mark_events_as_committed()

# Repository 구현 (Event Store 인터페이스)
class OrderRepository: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def get_by_id(self, order_id):
        """주문 ID로 집계 로드 (이벤트 재생)"""
        events = self.event_store.get_events(order_id)
        
        if not events:
            raise ValueError(f"Order {order_id} not found")
        
        order = Order(order_id)
        for event in events:
            order.apply_event(event)
        
        return order
    
    def save(self, order):
        """집계의 미커밋 이벤트를 저장"""
        uncommitted_events = order.get_uncommitted_events()
        if uncommitted_events:
            expected_version = order.version - len(uncommitted_events)
            self.event_store.append_events(
                order.id, 
                expected_version, 
                uncommitted_events
            )

# Event Bus 구현 (Redis 기반)
class RedisEventBus:
    def __init__(self, redis_client):
        self.redis_client = redis_client
    
    def publish(self, event):
        """이벤트를 Redis 채널에 발행"""
        channel = f"events.{event.__class__.__name__}"
        event_data = {
            'event_type': event.__class__.__name__,
            'aggregate_id': event.aggregate_id,
            'timestamp': event.timestamp.isoformat(),
            'data': event.__dict__
        }
        
        self.redis_client.publish(channel, json.dumps(event_data))
    
    def subscribe(self, event_type, handler):
        """특정 이벤트 타입에 대한 핸들러 등록"""
        channel = f"events.{event_type}"
        pubsub = self.redis_client.pubsub()
        pubsub.subscribe(channel)
        
        for message in pubsub.listen():
            if message['type'] == 'message':
                event_data = json.loads(message['data'])
                handler(event_data)

실제 도입 사례의 코드 구현

시나리오: Netflix의 실시간 시청 데이터 처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Video Player] --> B[Viewing Event Producer]
    B --> C[Kafka Topics]
    C --> D[Stream Processing]
    D --> E[Cassandra Rollup Store]
    C --> F[Real-time Analytics]
    F --> G[Recommendation Engine]
    
    H[User Query] --> I[Aggregation Service]
    I --> E

Workflow:

  1. 사용자 비디오 시청 이벤트 발생
  2. Kafka로 실시간 스트리밍
  3. 스트림 처리를 통한 실시간 집계
  4. Cassandra에 시간 윈도우별 롤업 데이터 저장
  5. 추천 엔진이 실시간 데이터 소비
  6. 사용자별 맞춤 추천 제공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Java + Kafka Stream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 시청 이벤트 정의
public class ViewingEvent {
    private String userId;
    private String contentId;
    private long timestamp;
    private int watchDurationSeconds;
    private String deviceType;
    
    // Netflix 특화: 시청 품질 메트릭
    private double bufferingRatio;
    private String videoQuality;
    
    // 생성자, getter/setter 생략
}

// Kafka Streams를 활용한 실시간 집계
@Service
public class ViewingAnalyticsProcessor {
    
    @Autowired
    private StreamsBuilder streamsBuilder;
    
    @PostConstruct
    public void buildTopology() {
        // 시청 이벤트 스트림 생성
        KStream<String, ViewingEvent> viewingEvents = 
            streamsBuilder.stream("viewing-events");
        
        // 사용자별 실시간 집계
        KTable<String, UserViewingStats> userStats = viewingEvents
            .filter((key, event) -> event.getWatchDurationSeconds() > 30) // 30초 이상 시청만
            .groupBy((key, event) -> event.getUserId()) // 사용자별 그룹화
            .aggregate(
                UserViewingStats::new, // 초기값
                (userId, event, stats) -> {
                    // 시청 통계 업데이트
                    stats.addWatchTime(event.getWatchDurationSeconds());
                    stats.addContentView(event.getContentId());
                    stats.updateLastActivity(event.getTimestamp());
                    
                    // Netflix 특화: 시청 품질 추적
                    stats.updateQualityMetrics(
                        event.getBufferingRatio(), 
                        event.getVideoQuality()
                    );
                    
                    return stats;
                },
                Materialized.<String, UserViewingStats, KeyValueStore<Bytes, byte[]>>as("user-stats-store")
                    .withValueSerde(Serdes.serdeFrom(new JsonSerializer<>(), new JsonDeserializer<>(UserViewingStats.class)))
            );
        
        // 콘텐츠별 인기도 실시간 계산
        KTable<String, ContentPopularity> contentPopularity = viewingEvents
            .filter((key, event) -> event.getWatchDurationSeconds() > 60) // 1분 이상 시청
            .groupBy((key, event) -> event.getContentId())
            .windowedBy(TimeWindows.of(Duration.ofMinutes(5))) // 5분 윈도우
            .aggregate(
                ContentPopularity::new,
                (contentId, event, popularity) -> {
                    popularity.incrementViewCount();
                    popularity.addWatchTime(event.getWatchDurationSeconds());
                    
                    // Netflix 특화: 디바이스별 시청 패턴
                    popularity.trackDeviceUsage(event.getDeviceType());
                    
                    return popularity;
                },
                Materialized.as("content-popularity-store")
            );
        
        // 실시간 추천을 위한 이벤트 발행
        userStats.toStream()
            .filter((userId, stats) -> stats.shouldUpdateRecommendations()) // 추천 업데이트 조건
            .to("recommendation-updates");
        
        // 이상 패턴 감지 (사기 탐지)
        viewingEvents
            .filter(this::detectAnomalousViewing) // 비정상 시청 패턴 감지
            .to("fraud-detection");
    }
    
    private boolean detectAnomalousViewing(String key, ViewingEvent event) {
        // Netflix 특화: 비정상 시청 패턴 감지 로직
        // 예: 짧은 시간에 다수 콘텐츠 시청, 비정상적인 시청 시간 등
        return event.getWatchDurationSeconds() > 86400 || // 24시간 초과 시청
               event.getBufferingRatio() > 0.8; // 버퍼링이 80% 이상
    }
}

// 사용자 시청 통계 집계 객체
public class UserViewingStats {
    private String userId;
    private long totalWatchTimeSeconds;
    private Set<String> uniqueContent;
    private long lastActivityTimestamp;
    private int totalViews;
    
    // Netflix 특화 메트릭
    private double averageBufferingRatio;
    private Map<String, Integer> qualityPreferences; // 화질별 시청 횟수
    private Map<String, Integer> deviceUsage; // 디바이스별 사용 패턴
    private List<String> genrePreferences; // 장르 선호도
    
    public void addWatchTime(int seconds) {
        this.totalWatchTimeSeconds += seconds;
        this.totalViews++;
    }
    
    public void addContentView(String contentId) {
        if (this.uniqueContent == null) {
            this.uniqueContent = new HashSet<>();
        }
        this.uniqueContent.add(contentId);
    }
    
    public void updateQualityMetrics(double bufferingRatio, String quality) {
        // 버퍼링 비율 평균 계산
        this.averageBufferingRatio = 
            (this.averageBufferingRatio * (totalViews - 1) + bufferingRatio) / totalViews;
        
        // 화질 선호도 추적
        qualityPreferences.merge(quality, 1, Integer::sum);
    }
    
    public boolean shouldUpdateRecommendations() {
        // 추천 업데이트가 필요한 조건
        // 예: 새로운 콘텐츠 5개 이상 시청, 1시간 이상 시청 등
        return uniqueContent.size() % 5 == 0 || 
               (System.currentTimeMillis() - lastActivityTimestamp) > 3600000; // 1시간
    }
}

// Cassandra 기반 이벤트 저장소
@Repository
public class CassandraEventStore {
    
    @Autowired
    private CassandraTemplate cassandraTemplate;
    
    public void saveEvent(ViewingEvent event) {
        // 시간 기반 파티셔닝으로 확장성 확보
        String partitionKey = generatePartitionKey(event.getTimestamp());
        
        String cql = """
            INSERT INTO events.viewing_events (
                partition_key, event_id, user_id, content_id, 
                timestamp, watch_duration, device_type, 
                buffering_ratio, video_quality, event_data
            ) VALUES (?, ?, ?, ?, ?, ?, ?, ?, ?, ?)
            """;
        
        cassandraTemplate.execute(cql, 
            partitionKey,
            UUID.randomUUID(),
            event.getUserId(),
            event.getContentId(),
            new Date(event.getTimestamp()),
            event.getWatchDurationSeconds(),
            event.getDeviceType(),
            event.getBufferingRatio(),
            event.getVideoQuality(),
            JsonUtils.toJson(event) // 전체 이벤트 데이터 JSON 저장
        );
    }
    
    public List<ViewingEvent> getEventsForUser(String userId, long fromTimestamp) {
        // 사용자의 특정 시점 이후 이벤트 조회
        String cql = """
            SELECT * FROM events.viewing_events 
            WHERE user_id = ? AND timestamp >= ?
            ORDER BY timestamp ASC
            """;
        
        return cassandraTemplate.select(cql, ViewingEvent.class, userId, new Date(fromTimestamp));
    }
    
    private String generatePartitionKey(long timestamp) {
        // 시간 기반 파티셔닝 (예: 일별)
        LocalDate date = LocalDate.ofEpochSecond(timestamp / 1000, 0, ZoneOffset.UTC);
        return date.format(DateTimeFormatter.ofPattern("yyyy-MM-dd"));
    }
    
    // Netflix 특화: 롤업 데이터 저장
    public void saveRollupData(String timeWindow, String aggregationType, Object data) {
        String cql = """
            INSERT INTO events.rollup_data (
                time_window, aggregation_type, data, created_at
            ) VALUES (?, ?, ?, ?)
            """;
        
        cassandraTemplate.execute(cql,
            timeWindow,
            aggregationType, 
            JsonUtils.toJson(data),
            new Date()
        );
    }
}

Phase 6: 운영 및 최적화 (Operations & Optimization)

보안 및 거버넌스

보안 고려사항

보안 영역고려사항구현 방법모니터링 지표
이벤트 무결성이벤트 변조 방지디지털 서명, 해시 체인해시 불일치 건수
접근 제어이벤트 스토어 접근 권한RBAC, API 게이트웨이권한 위반 시도 횟수
데이터 암호화민감 정보 보호필드 레벨 암호화암호화되지 않은 이벤트 비율
감사 로그시스템 접근 추적별도 감사 시스템감사 로그 누락 건수
개인정보 보호GDPR, CCPA 준수암호화 샤딩, 삭제 가능한 구조개인정보 삭제 요청 처리 시간

구현 예시 (암호화된 이벤트 저장):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개인정보를 포함한 이벤트의 암호화 처리
class SecureEventStore:
    def __init__(self, encryption_service, key_management):
        self.encryption_service = encryption_service
        self.key_management = key_management
    
    def save_event(self, event):
        """개인정보가 포함된 이벤트의 안전한 저장"""
        # 개인정보 필드 식별
        pii_fields = self.identify_pii_fields(event)
        
        # 각 사용자별 암호화 키 생성/조회
        encryption_key = self.key_management.get_user_key(event.user_id)
        
        # 이벤트 복사 및 민감 정보 암호화
        encrypted_event = event.copy()
        for field in pii_fields:
            original_value = getattr(encrypted_event, field)
            encrypted_value = self.encryption_service.encrypt(
                original_value, encryption_key
            )
            setattr(encrypted_event, field, encrypted_value)
        
        # 디지털 서명 추가
        signature = self.create_digital_signature(encrypted_event)
        encrypted_event.signature = signature
        
        return self.store.save(encrypted_event)
    
    def delete_user_data(self, user_id):
        """GDPR 준수를 위한 사용자 데이터 삭제"""
        # 암호화 키 삭제 (crypto-shredding)
        self.key_management.delete_user_key(user_id)
        
        # 메타데이터에서 사용자 연결 정보 제거
        self.store.anonymize_user_events(user_id)

규정 준수

금융 서비스 규정 (SOX, PCI-DSS):

개인정보 보호 규정 (GDPR, CCPA):

모니터링 및 관측성

핵심 메트릭

카테고리메트릭임계값알림 조건대응 방안
처리량초당 이벤트 처리 수> 10,000 TPS처리량 50% 감소인스턴스 스케일 아웃
지연시간이벤트 저장 지연시간< 100ms평균 500ms 초과데이터베이스 최적화
가용성Event Store 가용성99.9%5분간 응답 없음페일오버 실행
일관성프로젝션 지연시간< 1초10초 초과 지연프로젝션 재시작
저장소이벤트 스토어 사용량< 80%85% 초과아카이빙 실행

모니터링 구현 예시 (Prometheus + Grafan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rometheus 메트릭 수집
from prometheus_client import Counter, Histogram, Gauge

class EventStoreMetrics:
    def __init__(self):
        # 이벤트 처리 카운터
        self.events_processed = Counter(
            'events_processed_total',
            'Total number of events processed',
            ['event_type', 'status']
        )
        
        # 이벤트 저장 지연시간
        self.event_save_duration = Histogram(
            'event_save_duration_seconds',
            'Time spent saving events',
            buckets=[0.01, 0.05, 0.1, 0.5, 1.0, 5.0]
        )
        
        # 프로젝션 지연
        self.projection_lag = Gauge(
            'projection_lag_seconds',
            'Lag between event creation and projection update',
            ['projection_name']
        )
        
        # 이벤트 스토어 크기
        self.event_store_size = Gauge(
            'event_store_size_bytes',
            'Size of the event store'
        )
    
    def record_event_processed(self, event_type, success=True):
        status = 'success' if success else 'failure'
        self.events_processed.labels(
            event_type=event_type, 
            status=status
        ).inc()
    
    @contextmanager
    def time_event_save(self):
        with self.event_save_duration.time():
            yield
    
    def update_projection_lag(self, projection_name, lag_seconds):
        self.projection_lag.labels(
            projection_name=projection_name
        ).set(lag_seconds)

로깅 전략

구조화된 로깅:

 1
 2
 3
 4
 5
 6
 7
 8
 9
10
11
{
  "timestamp": "2024-01-15T10:30:00Z",
  "level": "INFO",
  "component": "event-store",
  "event_type": "OrderPlaced",
  "aggregate_id": "order-12345",
  "user_id": "user-789",
  "correlation_id": "req-abc123",
  "duration_ms": 45,
  "result": "success"
}

분산 추적 (Distributed Tracing):

실무 적용 고려사항 및 주의점

구분고려사항권장사항주의점
팀 준비도새로운 패러다임 학습점진적 교육, 전문가 멘토링전체 시스템을 한번에 전환하지 말 것
인프라 준비이벤트 저장소 용량 계획성장률 분석 후 3배 여유분 확보저장소 부족으로 인한 서비스 중단
데이터 모델링이벤트 스키마 설계변경에 유연한 스키마 구조초기 설계 오류로 인한 마이그레이션 비용
성능 최적화읽기 성능 저하CQRS 패턴 필수 적용단순 이벤트 재생으로는 실용성 제한
운영 복잡성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전용 관측성 도구 도입디버깅 복잡성으로 인한 장애 대응 지연
비즈니스 연속성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단계적 마이그레이션 계획비즈니스 중단 없는 전환 전략 필수

성능 최적화 전략 및 고려사항

최적화 영역전략구현 방법기대 효과권장사항
쓰기 성능배치 처리이벤트 묶음 저장처리량 5-10배 향상트랜잭션 크기 조절
읽기 성능프로젝션 최적화쿼리별 맞춤형 뷰응답 시간 90% 단축비정규화 적극 활용
저장소 성능파티셔닝시간/집계 기반 분할쿼리 성능 70% 향상핫 파티션 방지
네트워크 성능이벤트 압축gzip, snappy 압축대역폭 60% 절약CPU vs 대역폭 트레이드오프 고려
메모리 성능스냅샷 전략적응형 스냅샷 생성메모리 사용량 40% 감소스냅샷 빈도 최적화
동시성 성능샤딩집계별 분산 처리동시 처리량 3-5배 증가핫스팟 집계 식별 및 분산

성능 최적화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적응형 스냅샷 전략
class AdaptiveSnapshotStrategy:
    def __init__(self):
        self.snapshot_thresholds = {}  # 집계별 스냅샷 임계값
        self.performance_history = {}  # 성능 이력
    
    def should_create_snapshot(self, aggregate_id, event_count):
        """동적 스냅샷 생성 판단"""
        # 해당 집계의 이벤트 재생 성능 분석
        avg_replay_time = self.get_average_replay_time(aggregate_id)
        
        # 성능 기반 동적 임계값 조정
        if avg_replay_time > 1000:  # 1초 초과
            threshold = 50  # 더 자주 스냅샷
        elif avg_replay_time > 500:  # 0.5초 초과
            threshold = 100
        else:
            threshold = 200  # 덜 자주 스냅샷
        
        self.snapshot_thresholds[aggregate_id] = threshold
        return event_count >= threshold
    
    def optimize_projection_update(self, events):
        """프로젝션 업데이트 최적화"""
        # 이벤트 타입별 배치 처리
        events_by_type = {}
        for event in events:
            event_type = event.__class__.__name__
            if event_type not in events_by_type:
                events_by_type[event_type] = []
            events_by_type[event_type].append(event)
        
        # 타입별 최적화된 배치 처리
        for event_type, event_list in events_by_type.items():
            if event_type == 'OrderPlaced':
                self.batch_update_order_summary(event_list)
            elif event_type == 'PaymentProcessed':
                self.batch_update_payment_status(event_list)
            # ... 다른 이벤트 타입 처리

Phase 7: 고급 주제 (Advanced Topics)

현재 도전 과제

도전 과제원인영향해결방안
이벤트 스키마 진화비즈니스 요구사항 변화, 도메인 모델 발전하위 호환성 문제, 이벤트 재생 실패스키마 버전 관리, 멀티 버전 핸들러, 이벤트 업캐스팅
대용량 이벤트 스트림사업 성장, 실시간 요구사항 증가성능 저하, 저장 비용 증가계층형 저장소, 지능형 아카이빙, 병렬 처리
복합 비즈니스 트랜잭션마이크로서비스 간 데이터 일관성부분 실패, 데이터 불일치Saga 패턴, 프로세스 매니저, 보상 트랜잭션
실시간 이벤트 처리낮은 지연시간 요구, 높은 처리량시스템 복잡성 증가, 운영 부담스트림 처리 플랫폼, 인메모리 계산, 엣지 컴퓨팅
다중 클라우드 환경클라우드 중립성, 재해 복구일관성 관리, 네트워크 지연글로벌 이벤트 복제, 충돌 해결 알고리즘

해결방안 구현 예시 (이벤트 업캐스팅):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이벤트 스키마 진화를 위한 업캐스팅 시스템
class EventUpcaster:
    def __init__(self):
        self.upcasters = {}
        self.register_upcasters()
    
    def register_upcasters(self):
        """버전별 업캐스터 등록"""
        # OrderPlaced v1 -> v2 업캐스터
        self.upcasters[('OrderPlaced', 1, 2)] = self.upcast_order_placed_v1_to_v2
        # OrderPlaced v2 -> v3 업캐스터  
        self.upcasters[('OrderPlaced', 2, 3)] = self.upcast_order_placed_v2_to_v3
    
    def upcast_event(self, event_data, event_type, from_version, to_version):
        """이벤트를 대상 버전으로 업캐스트"""
        current_version = from_version
        current_data = event_data
        
        # 단계별 업캐스팅
        while current_version < to_version:
            next_version = current_version + 1
            upcaster_key = (event_type, current_version, next_version)
            
            if upcaster_key in self.upcasters:
                current_data = self.upcasters[upcaster_key](current_data)
                current_version = next_version
            else:
                raise ValueError(f"No upcaster found for {upcaster_key}")
        
        return current_data
    
    def upcast_order_placed_v1_to_v2(self, v1_data):
        """OrderPlaced v1 -> v2 변환 (배송 정보 추가)"""
        v2_data = v1_data.copy()
        
        # v2에서 추가된 shipping_address 필드
        # v1에서는 billing_address를 shipping_address로 복사
        v2_data['shipping_address'] = v1_data.get('billing_address', {})
        
        # v2에서 추가된 delivery_preference 필드 (기본값)
        v2_data['delivery_preference'] = 'standard'
        
        return v2_data
    
    def upcast_order_placed_v2_to_v3(self, v2_data):
        """OrderPlaced v2 -> v3 변환 (다중 통화 지원)"""
        v3_data = v2_data.copy()
        
        # v3에서 통화 정보 추가 (기본값: USD)
        v3_data['currency'] = 'USD'
        
        # 기존 금액 필드를 currency_amounts 구조로 변환
        if 'total_amount' in v2_data:
            v3_data['currency_amounts'] = {
                'USD': v2_data['total_amount']
            }
            # 하위 호환성을 위해 total_amount 유지
        
        return v3_data

생태계 및 관련 기술

메시지 브로커 및 스트리밍 플랫폼

기술특징적용 분야Event Sourcing 연계
Apache Kafka높은 처리량, 분산 복제대규모 실시간 처리이벤트 스토어, 이벤트 버스
Amazon Kinesis완전 관리형, AWS 통합클라우드 네이티브스트림 처리, 실시간 분석
EventStore DB이벤트 소싱 전용금융, 도메인 복잡성 높은 시스템네이티브 Event Store
Redis Streams인메모리, 빠른 처리실시간 알림, 세션 관리경량 이벤트 버스
Apache Pulsar멀티 테넌트, 지리적 복제글로벌 분산 시스템다중 클라우드 이벤트 복제

프로젝션 및 뷰 생성 도구

도구목적핵심 기능통합 방법
Kafka Streams스트림 처리실시간 집계, 윈도우 연산이벤트 스트림으로부터 프로젝션 생성
Apache Flink복잡한 이벤트 처리상태 관리, 정확히 한 번 처리고급 비즈니스 로직 프로젝션
ksqlDBSQL 기반 스트림 처리선언적 쿼리비개발자도 쉽게 뷰 생성
Materialize실시간 SQL 뷰증분 뷰 유지복잡한 조인 프로젝션

표준 및 프로토콜

CloudEvents 표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specversion": "1.0",
  "type": "com.example.order.placed",
  "source": "order-service",
  "id": "a234-1234-1234",
  "time": "2024-01-15T10:30:00Z",
  "datacontenttype": "application/json",
  "subject": "order/12345",
  "data": {
    "orderId": "12345",
    "customerId": "customer-789",
    "amount": 99.99
  }
}

AsyncAPI 명세:

최신 기술 트렌드와 미래 방향

1. 서버리스 Event Sourcing

트렌드: FaaS(Function as a Service) 환경에서의 이벤트 소싱 기술: AWS Lambda, Azure Functions, Google Cloud Functions 장점:

구현 예시 (AWS Lambd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서버리스 이벤트 핸들러
import json
import boto3
from aws_lambda_powertools import Logger, Tracer, Metrics

logger = Logger()
tracer = Tracer()
metrics = Metrics()

@tracer.capture_lambda_handler
@logger.inject_lambda_context
@metrics.log_metrics
def lambda_handler(event, context):
    """DynamoDB Streams에서 이벤트를 수신하여 프로젝션 업데이트"""
    
    for record in event['Records']:
        if record['eventName'] == 'INSERT':
            # 새 이벤트 처리
            event_data = record['dynamodb']['NewImage']
            process_new_event(event_data)
            
            # 메트릭 기록
            metrics.add_metric(name="EventsProcessed", unit="Count", value=1)
    
    return {
        'statusCode': 200,
        'body': json.dumps('Events processed successfully')
    }

def process_new_event(event_data):
    """이벤트 기반 프로젝션 업데이트"""
    event_type = event_data['event_type']['S']
    
    if event_type == 'OrderPlaced':
        update_order_summary_projection(event_data)
    elif event_type == 'PaymentProcessed':
        update_payment_status_projection(event_data)
    
    logger.info(f"Processed event: {event_type}")

2. Edge Computing과 Event Sourcing

트렌드: IoT와 엣지 환경에서의 이벤트 처리 도전과제: 네트워크 제약, 오프라인 시나리오 해결책: 로컬 이벤트 스토어, 지능형 동기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엣지 디바이스용 경량 이벤트 스토어
class EdgeEventStore:
    def __init__(self, sync_service):
        self.local_store = []  # 로컬 메모리 저장
        self.sync_service = sync_service
        self.last_sync = None
    
    def append_event(self, event):
        """로컬에 이벤트 저장"""
        event.local_timestamp = time.time()
        self.local_store.append(event)
        
        # 네트워크 가용시 백그라운드 동기화
        if self.is_online():
            self.background_sync()
    
    def background_sync(self):
        """클라우드와 비동기 동기화"""
        unsync_events = [e for e in self.local_store 
                        if e.local_timestamp > self.last_sync]
        
        if unsync_events:
            self.sync_service.sync_to_cloud(unsync_events)
            self.last_sync = time.time()

3. AI/ML과 Event Sourcing 통합

트렌드: 이벤트 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머신러닝 응용 분야: 이상 탐지, 추천 시스템, 예측 분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실시간 ML 파이프라인과 Event Sourcing 통합
class MLEventProcessor:
    def __init__(self, model_service):
        self.model_service = model_service
        self.feature_store = FeatureStore()
    
    def process_event(self, event):
        """이벤트 기반 실시간 ML 추론"""
        # 이벤트로부터 피처 추출
        features = self.extract_features(event)
        
        # 실시간 추론
        prediction = self.model_service.predict(features)
        
        # 이상 탐지 결과를 새로운 이벤트로 발행
        if prediction.is_anomaly:
            anomaly_event = AnomalyDetected(
                original_event_id=event.id,
                anomaly_score=prediction.score,
                detected_at=datetime.utcnow()
            )
            self.publish_event(anomaly_event)
        
        # 피처 스토어 업데이트 (모델 재학습용)
        self.feature_store.update_features(event.user_id, features)

4. 양자 컴퓨팅 시대의 Event Sourcing

미래 전망: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의 이벤트 암호화 고려사항: 양자 내성 암호화, 새로운 보안 패러다임

기타 고급 사항

멀티 테넌트 Event Sourcing

도전과제: 테넌트 간 격리, 성능 분리, 데이터 주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멀티 테넌트 이벤트 스토어
class MultiTenantEventStore:
    def __init__(self, partitioning_strategy):
        self.partitioning_strategy = partitioning_strategy
        self.tenant_stores = {}
    
    def get_tenant_store(self, tenant_id):
        """테넌트별 전용 스토어 반환"""
        if tenant_id not in self.tenant_stores:
            # 테넌트별 별도 파티션/DB
            partition_key = self.partitioning_strategy.get_partition(tenant_id)
            self.tenant_stores[tenant_id] = EventStore(partition_key)
        
        return self.tenant_stores[tenant_id]
    
    def append_event(self, tenant_id, event):
        """테넌트 격리된 이벤트 저장"""
        # 테넌트 ID 검증
        if not self.validate_tenant_access(tenant_id, event):
            raise UnauthorizedError("Tenant access denied")
        
        store = self.get_tenant_store(tenant_id)
        return store.append_event(event)

지리적 분산 Event Sourcing

패턴: Active-Active 복제, 충돌 해결 기술: CRDT (Conflict-free Replicated Data Types), Vector Clock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지리적 분산 이벤트 복제
class GeographicallyDistributedEventStore:
    def __init__(self, region, peer_regions):
        self.region = region
        self.peer_regions = peer_regions
        self.vector_clock = VectorClock(region)
    
    def replicate_event(self, event):
        """다중 리전에 이벤트 복제"""
        # 벡터 클록으로 인과관계 추적
        event.vector_clock = self.vector_clock.tick()
        
        # 로컬 저장
        self.local_store.append_event(event)
        
        # 비동기 복제
        for region in self.peer_regions:
            self.async_replicate_to_region(region, event)
    
    def resolve_conflict(self, local_event, remote_event):
        """충돌 해결 알고리즘"""
        # 비즈니스 로직 기반 충돌 해결
        if self.is_concurrent(local_event, remote_event):
            return self.apply_business_rules(local_event, remote_event)
        else:
            # 인과관계가 있는 경우 늦은 이벤트 선택
            return self.get_latest_by_causality(local_event, remote_event)

4단계: 종합 정리

내용 종합

Event Sourcing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 패턴을 넘어서 현대 분산 시스템의 핵심 아키텍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불변 이벤트 로그를 통한 완벽한 감사 추적, 시점별 상태 복원, 확장 가능한 읽기 모델이라는 핵심 가치를 제공하며, 특히 금융, 전자상거래, IoT 등 높은 신뢰성과 투명성이 요구되는 도메인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최신 트렌드로는 서버리스 환경에서의 Event Sourcing, AI/ML과의 통합,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의 경량화, 다중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일관성 관리 등이 주목받고 있으며, Apache Kafka, EventStore, AWS Kinesis 등의 기술 생태계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현 복잡성, 학습 곡선, 운영 오버헤드라는 현실적 도전과제들이 존재하므로, 조직의 성숙도와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면밀히 검토한 후 단계적 도입이 권장됩니다.

학습 로드맵

1단계: 기초 개념 이해 (2-3주)

2단계: 실무 패턴 학습 (4-6주)

3단계: 분산 시스템 적용 (6-8주)

4단계: 고급 주제 및 운영 (8-12주)

5단계: 전문가 수준 (12주+)

학습 항목 매트릭스

카테고리Phase항목중요도설명
기초1Event Sourcing 개념필수패턴의 기본 이해와 동기 파악
기초1이벤트 모델링필수비즈니스 이벤트를 코드로 표현하는 방법
기초1기본 Event Store 구현필수간단한 이벤트 저장소 직접 구현
이론2CQRS 패턴필수읽기/쓰기 분리를 통한 성능 최적화
이론2집계(Aggregate) 설계필수도메인 주도 설계의 핵심 개념
이론2이벤트 재생 메커니즘필수상태 재구성의 핵심 원리
구현4스냅샷 전략권장성능 최적화를 위한 필수 기법
구현4프로젝션 엔진 구현권장읽기 모델 생성 자동화
구현5Apache Kafka 활용권장엔터프라이즈급 이벤트 스트리밍
구현5마이크로서비스 통합권장실제 분산 시스템에서의 적용
운영6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권장프로덕션 환경 안정성 확보
운영6보안 및 암호화권장데이터 보호 및 규정 준수
운영6성능 튜닝권장대용량 처리를 위한 최적화
고급7이벤트 스키마 진화선택장기적 시스템 유지보수성
고급7지리적 분산 처리선택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고급 기법
고급7AI/ML 파이프라인 통합선택차세대 지능형 시스템 구축
고급7커스텀 Event Store선택특수 요구사항을 위한 전문 지식

우선순위별 학습 가이드

1순위 (필수 역량):

2순위 (실무 적용):

3순위 (전문성 강화):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정의관련 개념
핵심Event Sourcing (이벤트 소싱)상태 변화를 이벤트 시퀀스로 저장하는 아키텍처 패턴CQRS, DDD, 감사 로그
핵심Event Store (이벤트 스토어)이벤트를 영구 저장하는 append-only 데이터베이스이벤트 로그, 영속성
핵심Aggregate (집계)비즈니스 일관성의 경계를 나타내는 도메인 객체DDD, 트랜잭션 경계
핵심Event Replay (이벤트 재생)저장된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는 과정상태 복원, 디버깅
구현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명령과 쿼리의 책임을 분리하는 패턴읽기/쓰기 분리, 성능 최적화
구현Projection (프로젝션)이벤트로부터 생성되는 읽기 최적화된 뷰구체화된 뷰, 비정규화
구현Snapshot (스냅샷)특정 시점의 집계 상태를 저장한 최적화 기법성능 튜닝, 메모이제이션
구현Event Handler (이벤트 핸들러)특정 이벤트 타입을 처리하는 컴포넌트이벤트 리스너, 구독자
운영Event Bus (이벤트 버스)이벤트 라우팅 및 배포를 담당하는 메시징 인프라메시지 브로커, 발행-구독
운영Compensating Event (보상 이벤트)이전 이벤트의 효과를 상쇄하는 새로운 이벤트취소, 롤백, Saga 패턴
운영Event Schema Evolution (이벤트 스키마 진화)이벤트 구조 변경에 대한 하위 호환성 관리버전 관리, 업캐스팅
운영Eventual Consistency (최종 일관성)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노드가 일관된 상태에 도달하는 특성분산 시스템, CAP 정리
고급Saga Pattern (사가 패턴)분산 트랜잭션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관리하는 패턴분산 트랜잭션, 보상 트랜잭션
고급Event Upcasting (이벤트 업캐스팅)오래된 이벤트를 새로운 스키마로 변환하는 과정스키마 마이그레이션, 호환성
고급Crypto-shredding (암호 샤딩)암호화 키 삭제를 통한 데이터 삭제 기법GDPR 준수, 개인정보 보호

참고 및 출처

공식 문서 및 표준

기술 블로그 및 실무 사례

학술 자료 및 연구

기업 기술 사례 및 백서

오픈소스 프로젝트

커뮤니티 및 포럼

도서 추천

이상으로 Event Sourcing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 분석을 완료했습니다. 이 문서는 기초 개념부터 고급 운영 기법까지 체계적으로 다루었으며, 실무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최신 기술 트렌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조직의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학습하고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좋습니다. 주어진 작업 순서(## 9. 작업 순서)에 맞춰 Event Sourcing 주제를 심층 분석하겠습니다. 우선 1단계: 기본 분석부터 진행하겠습니다.


1단계: 기본 분석

1. 대표 태그 생성


2. 분류 체계 검증

현재 분류: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Styles > Messaging-Oriented Architecture > Event-Driven Architecture > Event Patterns

검증 결과: 적합함.

개선 제안:

1
2
3
4
5
6
7
8
9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Styles
         └─ Event-Driven Architecture
             └─ Event Patterns
                 └─ Event Sourcing
System Design
 └─ Database Systems
     └─ Event Store

3. 핵심 요약 (250자 이내)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현재 값으로 저장하는 대신, 모든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패턴이다. 이를 통해 이벤트 재생으로 상태 복원, 감사 추적, CQRS와의 결합 등 강력한 이점을 제공한다.


4. 전체 개요 (400자 이내)

Event Sourcing은 데이터베이스에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대신, 상태 변화 자체를 이벤트로 기록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모든 변경은 불변 이벤트로 저장되며, 시스템 상태는 이벤트 스트림을 재생하여 복원된다. 이 접근 방식은 감사 추적(audit trail), 변경 내역 재구성,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의 재처리 등에 유리하며, CQRS 패턴과 자주 함께 사용된다. 다만, 이벤트 저장소 설계, 이벤트 스키마 버전 관리, 재생 성능 문제 등이 고려사항이다.


좋아, 2단계부터 4단계까지 요구한 형식에 맞춰 깊이 있게 이어가겠다. (도식, 표, 코드, 실무 팁 포함)


2단계: 핵심 분석

5. 핵심 개념 정리 (이론/실무/기본/심화)

6. 실무 연관성 분석


3단계: 상세 조사

Phase 1: 기초 이해

개념 정의 및 본질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핵심 동기 및 가치 제안

주요 특징 (기술적 특징 + 근거)


Phase 2: 핵심 이론

핵심 설계 원칙

기본 원리 및 동작 메커니즘 (도식)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lient
  participant CommandAPI
  participant Aggregate
  participant EventStore
  participant Projector(Read)
  participant QueryAPI

  Client->>CommandAPI: PlaceOrder(cmd)
  CommandAPI->>Aggregate: load(events)
  Aggregate->>Aggregate: validate & decide
  Aggregate-->>CommandAPI: DomainEvent(OrderPlaced)
  CommandAPI->>EventStore: append(event, expectedVersion)
  EventStore-->>Projector(Read): publish(event)
  Projector(Read)->>ReadDB: upsert(materialized view)
  Client->>QueryAPI: GET /orders/{id}
  QueryAPI->>ReadDB: select
  ReadDB-->>Client: current view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주요 기능과 역할


Phase 3: 특성 분석

장점 및 이점 (표)

구분항목설명기술적 근거
장점감사 추적모든 상태 변화가 이벤트로 보존이벤트 로그 재생과 과거 시점 조회 가능 (martinfowler.com)
장점모델 진화리드 모델을 자유롭게 재구성리플레이로 새 물질화 뷰 생성 (Microsoft Learn)
장점확장성읽기/쓰기 독립 확장CQRS 결합 시 Read/Write 분리 (Microsoft Learn)
장점성능Append-only 쓰기 경합↓순차 쓰기/파티셔닝 용이(실무 관행), Change Feed 응용 (Microsoft for Developers)

단점 및 제약 + 해결방안 (표)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책대안 기술
단점복잡한 설계이벤트 모델링, 업캐스팅 필요이벤트 스키마 규율, 계약 테스트, Schema Registry단순 CRUD, SCD(Slowly Changing Dimension)
단점리플레이 비용대규모 스트림 리플레이 느림스냅샷, 체크포인트, 파티션, Batch 리플레이CDC(Change Data Capture)
단점데이터 삭제/수정GDPR 삭제 요구와 불변 로그 충돌토큰화/암호화 키 삭제, 이벤트 보정 이벤트 추가소프트 삭제 CRUD
단점운영 난이도멱등성/재처리/순서 보장 과제멱등키, Exactly-once는 지양·At-least-once+보정2PC(비권장), Sagas

문제점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진단예방 방법해결 기법
문제점이벤트 중복재시도/네트워크 장애중복 투영/불일치중복율 메트릭, 리드 모델 불일치 탐지멱등키 저장Upsert with unique constraint
문제점이벤트 순서 역전파티션/샤딩 이슈불변식 위반 위험Lag/Partition skew 모니터키 기반 파티셔닝Aggregate 단일 파티션 보장
문제점버전 충돌동시 업데이트쓰기 실패/유실ExpectedVersion 오류율낙관적 잠금재시도+리드 모델 보정

트레이드오프


Phase 4: 구현 및 분류

구현 기법 및 방법 (정의/구성/목적/예시)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표)

기준유형설명사용 맥락
저장 형태전용 이벤트 스토어EventStoreDB 등풍부한 스트림/프로젝션, 고도 기능 필요
저장 형태범용 DB 기반RDBMS/NoSQL팀 기술 적합성, 비용/운영 단순화
읽기 모델동기 투영트랜잭션 내 투영간단한 시스템, 강한 일관성 선호
읽기 모델비동기 투영큐/체인지피드 사용확장성/격리
이벤트 스키마진화형(업캐스팅)v1→vN장기 수명, 점진 이행
이벤트 스키마고정형(교체)하위 호환 없이 교체내부 도구, 짧은 수명

Phase 5: 실무 적용

실제 도입 사례 (요약)

실습 예제 및 코드 구현

시나리오: 전자상거래의 주문 수명주기(OrderPlacedItemAddedPaidShipped)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C[Client] --> A[Command API]
  A --> ES[(Event Store)]
  ES --> W[Projector Worker]
  W --> R[(Read DB)]
  C --> Q[Query API]
  Q --> R

Workflow:

  1. Command API가 Aggregate 이벤트를 생성 후 Event Store에 Append(낙관적 잠금).
  2. Projector가 오프셋 체크포인트를 읽고 미투영 이벤트를 읽어 Read DB에 Upsert.
  3. Query API는 Read DB만 조회.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 Python (FastAPI + PostgreSQ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핵심: 이벤트 Append, 리플레이, 낙관적 잠금, 멱등성
from fastapi import FastAPI, HTTPException
from pydantic import BaseModel
import psycopg2, json, uuid, time

app = FastAPI()

class Command(BaseModel):
    order_id: str
    payload: dict
    expected_version: int | None = None
    idempotency_key: str | None = None  # 멱등성 보장용

def conn():
    return psycopg2.connect("dbname=es user=es password=es host=localhost")

# 테이블 (예시):
# events(stream_id text, seq int, type text, data jsonb, ts timestamptz, idempotency_key text, primary key(stream_id, seq))
# unique(stream_id, idempotency_key)
# projections.orders(order_id text primary key, status text, total numeric, updated_at timestamptz)

@app.post("/orders/place")
def place_order(cmd: Command):
    event = {
        "type": "OrderPlaced",
        "data": cmd.payload,
    }
    stream_id = f"order-{cmd.order_id}"
    with conn() as c:
        cur = c.cursor()
        # 멱등성 검사 (같은 idempotency_key로 재시도 시 중복 방지)
        if cmd.idempotency_key:
            cur.execute("""select 1 from events where stream_id=%s and idempotency_key=%s""",
                        (stream_id, cmd.idempotency_key))
            if cur.fetchone():
                return {"ok": True, "idempotent": True}

        # 현재 버전 읽기
        cur.execute("select coalesce(max(seq),0) from events where stream_id=%s", (stream_id,))
        current_version = cur.fetchone()[0]
        # 낙관적 잠금
        if cmd.expected_version is not None and cmd.expected_version != current_version:
            raise HTTPException(409, f"version conflict: expected {cmd.expected_version}, got {current_version}")

        next_seq = current_version + 1
        cur.execute("""insert into events(stream_id, seq, type, data, ts, idempotency_key)
                       values(%s,%s,%s,%s,now(),%s)""",
                    (stream_id, next_seq, event["type"], json.dumps(event["data"]), cmd.idempotency_key))
    return {"ok": True, "version": next_seq}

def replay_order(order_id: str):
    # 핵심: 이벤트 리플레이로 Aggregate/상태 복원
    stream_id = f"order-{order_id}"
    state = {"status": "NEW", "items": [], "total": 0}
    with conn() as c:
        cur = c.cursor()
        cur.execute("""select type, data from events where stream_id=%s order by seq asc""", (stream_id,))
        for etype, data in cur:
            if etype == "OrderPlaced":
                state["status"] = "PLACED"
            elif etype == "ItemAdded":
                state["items"].append(data["sku"])
                state["total"] += data["price"] * data.get("qty", 1)
            elif etype == "Paid":
                state["status"] = "PAID"
            elif etype == "Shipped":
                state["status"] = "SHIPPED"
    return state

구현 예시 – Node.js (Express + Upcaster 스케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핵심: 업캐스터 체인으로 과거 이벤트를 최신 모델로 승격
function upcast(event) {
  if (event.type === "ItemAdded" && event.version === 1) {
    // v1 -> v2: qty 필드 기본값 추가
    return { ...event, version: 2, data: { ...event.data, qty: event.data.qty ?? 1 } };
  }
  return event;
}

// Projector 예시: 멱등 upsert
async function projectItemAdded(ev, db) {
  ev = upcast(ev); // 이벤트 진화 처리
  await db.query(`
    insert into order_items(order_id, sku, qty, price)
    values($1,$2,$3,$4)
    on conflict(order_id, sku) do update set qty = order_items.qty + EXCLUDED.qty
  `, [ev.data.orderId, ev.data.sku, ev.data.qty, ev.data.price]);
}

실제 도입 사례의 코드 구현

시나리오: EventStoreDB를 쓰는 주문 서비스의 쓰기 모델(append) + 읽기 모델(프로젝션) 최소 구현. EventStoreDB는 이벤트 스트림/버전/프로젝션을 1급 기능으로 제공. (GitHub)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API[Command API] --> ESDB[(EventStoreDB)]
  ESDB -- subscriptions --> PROJ[Projection Worker]
  PROJ --> R[(Read DB)]
  QAPI[Query API] --> R

Workflow:

  1. API가 AppendToStream(streamId, expectedRevision, eventData) 호출
  2. Projection Worker가 Subscription으로 이벤트 수신
  3. Upsert로 Read DB 갱신

구현 예시 – Node.js + EventStoreDB gRPC SD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주석: EventStoreDB에 Append, ExpectedRevision으로 낙관적 잠금
import { EventStoreDBClient, jsonEvent, FORWARDS } from "@eventstore/db-client";

const client = new EventStoreDBClient({ endpoint: "esdb://localhost:2113?tls=false" });

export async function placeOrder(orderId, payload, expectedRevision) {
  const event = jsonEvent({
    type: "OrderPlaced",
    data: { orderId, ...payload },
  });
  await client.appendToStream(`order-${orderId}`, [event], { expectedRevision });
}

export async function replay(orderId) {
  const events = client.readStream(`order-${orderId}`, { direction: FORWARDS, fromRevision: 0 });
  const state = { status: "NEW" };
  for await (const { event } of events) {
    if (!event) continue;
    switch (event.type) {
      case "OrderPlaced": state.status = "PLACED"; break;
      case "Paid": state.status = "PAID"; break;
    }
  }
  return state;
}

Phase 6: 운영 및 최적화

보안 및 거버넌스

모니터링 및 관측성

실무 적용 고려사항 및 주의점 (표)

구분항목내용권장사항
설계이벤트 명세타입/버전/ID/발생시각/Producer스키마 레지스트리/명확한 네이밍
스토리지파티셔닝Aggregate 키 기반 파티션순서 보장/핫 파티션 모니터링
성능스냅샷N 이벤트마다 저장읽기 지연 목표로 주기 조정
진화업캐스터코드/파이프라인으로 관리회귀 테스트·계약 테스트
복구리플레이체크포인트 기반 재처리백필 전 전략·리밸런싱 계획

성능 최적화 전략 (표)

영역전략설명비고
쓰기배치 AppendNagle 유사 효과로 TPS↑지연-처리량 균형
읽기스냅샷+증분스냅샷 이후만 리플레이큰 Aggregate에 유효
투영병렬 파티션키 파티션 병렬 소비순서 보장 주의
스키마Lean 이벤트최소 필드+레퍼런스PII 분리

Phase 7: 고급 주제

현재 도전 과제

과제원인영향해결방안
장기 스키마 진화비즈니스 변화업캐스터 난이도↑버전 정책, 계약 테스트, 점진적 마이그레이션
대규모 리플레이수십억 이벤트리빌드 시간↑스냅샷 계층화, 백필 파이프라인, 임시 고성능 클러스터
데이터 거버넌스PII 불변 로그규제 충돌암호화 키 폐기, PII 외부화

생태계 및 관련 기술

최신 트렌드와 미래 방향


4단계: 종합 정리

10. 최종 정리 및 학습 가이드

학습 항목 매트릭스

1
2
3
4
5
6
7
| 카테고리 | Phase | 항목 | 중요도 | 설명 |
|----------|-------|------|--------|------|
| 기초     | 1     | 개념/가치 | 필수   | 이벤트로 상태를 저장하고 재생 |
| 이론     | 2     | SSOT/동시성/투영 | 필수 | ExpectedVersion, 멱등성, 리드 모델 |
| 구현     | 5     | ESDB/PG 구현 | 권장   | Append/Replay/Projection 코드 |
| 운영     | 6     | 모니터링/거버넌스 | 필수   | Lag, 충돌률, GDPR 전략 |
| 고급     | 7     | 업캐스터/대규모 리플레이 | 선택   | 스키마 진화·백필 최적화 |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정의관련 개념
핵심이벤트(Event)도메인에서 일어난 불변의 사실도메인 이벤트, 커맨드
핵심이벤트 스토어Append-only 이벤트 저장소SSOT, 스냅샷
구현투영(Projection)이벤트→리드 모델 변환물질화 뷰, Change Feed
구현업캐스터(Upcaster)과거 이벤트를 최신 스키마로 승격스키마 진화
운영리플레이이벤트 재적용으로 상태 복원백필, 체크포인트
운영ExpectedVersion낙관적 잠금용 기대 버전동시성 제어

참고 및 출처


원하면 프로덕션 체크리스트(테이블), Kafka/Outbox와의 결합 예시, 스냅샷 전략 벤치마크 가이드도 이어서 제공하겠다.

좋아. 이어서 프로덕션 관점의 보강 섹션을 덧붙인다. 체크리스트, Outbox/Kafka 통합, 스냅샷 벤치마크, 마이그레이션, 거버넌스(GDPR), 운영 런북, 관측성, DR/멀티 리전, 테스트 전략까지 한 번에 정리했다.


프로덕션 체크리스트 (Production Readiness)

카테고리확인 항목권장 기준/팁
데이터 모델이벤트 명세(타입/버전/ID/발생시각/메타)스키마 레지스트리 도입, 하위 호환 우선
동시성Expected Version(낙관적 잠금)스트림(aggregate) 단위 버전 충돌률 모니터링
멱등성커맨드·프로젝터 멱등키DB 유니크 제약 / upsert 패턴
스냅샷주기/임계치이벤트 N개/시간 T 기준 혼합, 큰 aggregate만 적용
투영체크포인트 관리장애 복구 시 재처리 가능(최소 3일 보존)
거버넌스GDPR/PII 처리PII 분리·암호화·키 폐기 시나리오 마련 (event-driven.io)
배포리드 모델 재빌드 절차백필(Backfill) 작업서·우선순위 큐
관측성핵심 메트릭append 지연, projector lag, 중복률, 리플레이 시간
문서화리플레이/보정 정책“정오(正誤) 이벤트” 표준화, 운영자 가이드
교육사고 대응 훈련순서 역전/중복/버전 충돌 플레이북

Outbox + Kafka 통합 (Exactly-once 착각 대신 멱등 설계)

의도: 도메인 이벤트를 DB 트랜잭션과 함께 안전하게 기록(Outbox)하고, 별도 퍼블리셔가 Kafka로 전달. Dual-write 문제를 제거. (microservices.io, AWS Documentation)

flowchart LR
  A[Command Handler] -->|TXN| DB[(OLTP DB)]
  A -->|insert outbox*| DB
  DB --> P[Outbox Publisher]
  P -->|poll & publish| K[(Kafka Topic)]
  K --> C1[Projector A]
  K --> C2[Projector B]

* 동일 트랜잭션에 도메인 상태 + outbox 레코드 삽입

Outbox 테이블 설계 (예: PostgreSQL)

 1
 2
 3
 4
 5
 6
 7
 8
 9
10
11
create table outbox(
  id uuid primary key,
  aggregate_id text not null,
  type text not null,        -- 이벤트 타입
  payload jsonb not null,    -- 스키마드 페이로드
  occurred_at timestamptz not null,
  published boolean not null default false,
  headers jsonb not null default '{}'::jsonb
);

create index on outbox(published, occurred_at);

Publisher(간략, Node.j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트랜잭션 외부에서 outbox의 미발행 레코드를 Kafka로 퍼블리시
// 멱등성: 메시지 키=aggregate_id, consumer는 upsert로 적용
import { Kafka } from "kafkajs";
import pg from "pg";

const kafka = new Kafka({ clientId: "outbox-publisher", brokers: ["kafka:9092"] });
const producer = kafka.producer();
const pool = new pg.Pool({ connectionString: process.env.PG_URL });

async function publishBatch(limit = 500) {
  const c = await pool.connect();
  try {
    await c.query("begin");
    const { rows } = await c.query(
      "select * from outbox where published=false order by occurred_at asc limit $1 for update skip locked",
      [limit]
    );
    for (const r of rows) {
      await producer.send({
        topic: `domain.${r.type}`,
        messages: [{ key: r.aggregate_id, value: JSON.stringify(r) }],
      });
      await c.query("update outbox set published=true where id=$1", [r.id]);
    }
    await c.query("commit");
  } catch (e) {
    await c.query("rollback");
    throw e;
  } finally {
    c.release();
  }
}

Kafka의 전달 보장 참고: 카프카는 프로듀서 idempotence/트랜잭션으로 프로세싱 관점의 exactly-once를 지원하나, 시스템 전반(외부 DB)에서는 멱등/보정이 필수다. 운영에선 at-least-once + 멱등 소비자가 현실적 기본값. (docs.confluent.io, Apache Kafka)


스냅샷 전략 & 벤치마크 가이드

전략

벤치마크 시나리오

  1. 이벤트 스트림 길이(1e2, 1e3, 1e4) × 스냅샷 주기(없음/200/500/1000)
  2. 재생 지연, CPU, I/O, 캐시 히트율 측정
  3. 목표: 99p 재생 지연 ≤ SLA(예: 50ms) 충족하는 최소 스냅샷 빈도 채택

클라우드 연계: Cosmos DB의 Change Feed로 투영/리빌드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면, projector lag와 확장성을 쉽게 관리 가능. (Microsoft Learn, azure.github.io)


CRUD → Event Sourcing 마이그레이션 로드맵

  1. 도메인 이벤트 정의: 현재 테이블 변경을 “사실”로 모델링
  2. 분리 배포: Outbox 패턴 도입(이벤트 생성·발행) → 기존 읽기 기능은 유지 (microservices.io)
  3. 투영 구축: 신규 Read 모델(Materialized View) 증설
  4. 이중 쓰기 차단: 커맨드는 ES 경유, 조회는 새 Read 모델로 전환
  5. 리플레이 백필: 과거 변경 이력을 이벤트로 재구성(최소한의 이벤트)
  6. 절체(Cut-over): 구(舊) 스키마 Deprecation, 보정 이벤트 체계화

데이터 거버넌스 & GDPR (Right to be Forgotten)


운영 런북 (Runbook)

1) Projector Lag 급증

2) 버전 충돌 폭증

3) 대규모 리플레이/리빌드

4) GDPR 삭제 요청


관측성(Observability) 대시보드


DR/멀티 리전 전략


테스트 전략

간단 예—리플레이 동일성 테스트 (Python/pyt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 상태 재현성: 전체 리플레이 vs 스냅샷+증분 리플레이 결과가 동일해야 함
def fold(events):
    state = {"total": 0}
    for e in events:
        if e["type"] == "ItemAdded":
            state["total"] += e["price"] * e.get("qty", 1)
    return state

def test_replay_equivalence(full_events, snapshot, delta_events):
    state_full = fold(full_events)
    state_delta = fold([snapshot] + delta_events)  # 스냅샷을 이벤트로 취급
    assert state_full == state_delta

참고 리소스 (더 깊게 볼 곳)


원하면 운영 대시보드 예시 쿼리(SQL/PromQL), 리플레이 백필 파이프라인(워크플로우/YAML), 스키마 업캐스터 레이어 샘플까지 추가로 만들어 주겠다.


1. 태그


2. 분류 구조 적합성 분석

현재 분류 구조

1
2
3
4
5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Patterns
         └─ Data Management Patterns

분석 및 근거
이벤트 소싱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의 디자인 및 아키텍처 패턴 중 하나로, 데이터 관리 패턴의 대표적 예시입니다.
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고, 이벤트 스트림을 통해 상태를 재구성하므로,
“Data Management Patterns” 하위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아키텍처 패턴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에 속하므로 현재 분류 구조가 타당합니다.


3. 요약 문장 (200자 내외)

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고, 필요 시 이벤트 스트림을 재생해 상태를 재구성하는 데이터 관리 아키텍처 패턴이다.


4. 전체 개요 (250자 내외)

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해 저장하며, 이벤트 스트림을 통해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재구성할 수 있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무결성, 감사, 복구, 분석 등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5. 핵심 개념


6. 조사 및 분석: “주제와 관련하여 조사할 내용” 중심 정리

(1) 배경

(2) 목적 및 필요성

(3) 주요 기능 및 역할

(4) 특징

(5) 핵심 원칙

(6) 주요 원리

(7) 작동 원리 및 다이어그램

flowchart LR
    User -->|Command| CommandHandler
    CommandHandler -->|Generate Event| EventStore
    EventStore -->|Event Stream| EventProcessor
    EventProcessor -->|Update| ReadModel
    User -->|Query| QueryHandler
    QueryHandler -->|Retrieve| ReadModel

설명

(8) 구조 및 아키텍처

구성 요소기능 및 역할필수/선택
Command상태 변경 명령필수
Command Handler명령 처리 및 이벤트 생성필수
Event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불변 데이터필수
Event Store이벤트 저장 및 관리필수
Event Processor이벤트 스트림 처리 및 상태 갱신필수
Read Model현재 상태(비정규화, 캐시 등 활용)선택(일부 시스템)
Query Handler조회 요청 처리선택(일부 시스템)

설명

(9) 구현 기법

(10) 장점

구분항목설명특성 발생 원인
장점데이터 무결성상태 변화 이력 완전 보존, 감사 및 복구 가능이벤트 기반 기록
감사 및 추적모든 상태 변화 이력 추적 가능이벤트 스트림 보존
복구 및 분석이벤트 재생을 통한 과거 상태 복구, 분석 가능이벤트 재생산
유연성이벤트 기반 시스템 연동(CQRS, 마이크로서비스 등)에 적합이벤트 발행/구독

(11)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책
단점복잡성이벤트 저장, 처리, 재생 등 시스템 복잡도 증가명확한 설계, 문서화
성능대량 이벤트 처리 시 성능 저하 가능성스냅샷, 최적화 기법 적용
저장소 용량이벤트 누적로 저장소 용량 증가이벤트 보관 정책, 아카이빙

문제점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문제점이벤트 중복이벤트 발행 중복데이터 일관성 문제모니터링, 로그 분석이벤트 발행 제어중복 제거, 멱등 처리
이벤트 손실네트워크/장애 등상태 재구성 불가모니터링, 알림신뢰성 확보재시도, 복구 프로세스

(12) 도전 과제

(13)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구분유형설명
유형단일 이벤트 소싱단일 시스템 내 이벤트 소싱 적용
분산 이벤트 소싱분산 시스템(마이크로서비스 등)에서 이벤트 소싱 적용
이벤트 소싱 + CQRS이벤트 소싱과 CQRS 패턴 연동

(14) 실무 사용 예시

예시목적함께 사용되는 기술/패턴효과
금융 거래 시스템거래 이력 관리CQRS, 마이크로서비스감사, 복구, 분석
주문 관리 시스템주문 상태 변화 추적이벤트 버스, NoSQL상태 이력 관리, 복구

(15) 활용 사례

금융 거래 시스템 예시

flowchart LR
    User -->|거래 명령| CommandHandler
    CommandHandler -->|이벤트 생성| EventStore
    EventStore -->|이벤트 스트림| EventProcessor
    EventProcessor -->|상태 갱신| ReadModel
    User -->|거래 조회| QueryHandler
    QueryHandler -->|상태 조회| ReadModel

(16)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이벤트 클래스 예시
class Event:
    def __init__(self, event_type, data):
        self.event_type = event_type
        self.data = data

# 이벤트 저장소 예시
class EventStore:
    def __init__(self):
        self.events = []

    def append(self, event):
        self.events.append(event)

    def get_events(self):
        return self.events

# Command Handler 예시
class CommandHandler: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def handle_command(self, command_data):
        event = Event("Transaction", command_data)
        self.event_store.append(event)

# Event Processor 예시
class EventProcessor: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self.state = {}

    def process_events(self):
        for event in self.event_store.get_events():
            if event.event_type == "Transaction":
                self.state.update(event.data)

# 사용 예시
event_store = EventStore()
command_handler = CommandHandler(event_store)
command_handler.handle_command({"account": "A", "amount": 100})

event_processor = Event2Processor(event_store)
event_processor.process_events()
print(event_processor.state)  # {'account': 'A', 'amount': 100}

EventProcessor 클래스명은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EventProcessor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7. 추가 조사 내용


8. 기타 사항


9.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아키텍처이벤트 소싱이벤트 기반 기록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 이력 보존
데이터 관리이벤트 스트림상태 재구성이벤트 스트림 재생으로 상태 도출
확장성마이크로서비스분산 시스템 연동이벤트 기반 시스템 연동에 적합
최적화스냅샷성능 향상대량 이벤트 처리 시 스냅샷 활용

10.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아키텍처이벤트 소싱이벤트 기반 기록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 이력 보존
데이터 관리이벤트 스트림상태 재구성이벤트 스트림 재생으로 상태 도출
확장성마이크로서비스분산 시스템 연동이벤트 기반 시스템 연동에 적합
최적화스냅샷성능 향상대량 이벤트 처리 시 스냅샷 활용

11.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항목설명권장사항
도메인 복잡성복잡한 도메인에 적합명확한 도메인 경계 정의
이벤트 저장소이벤트 저장 및 관리 필요효율적인 저장소 설계, 아카이빙
이벤트 처리대량 이벤트 처리 성능스냅샷, 분산 처리
데이터 일관성이벤트 기반 동기화 필요이벤트 발행/구독 신뢰성 확보

12.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항목설명권장사항
이벤트 저장소대량 이벤트 저장 효율성아카이빙, 스냅샷
이벤트 처리대량 이벤트 처리 성능스냅샷, 분산 처리
상태 재구성빠른 상태 재구성 필요스냅샷, 캐시
시스템 연동다양한 시스템과의 연동명확한 인터페이스, 이벤트 버스

13.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이벤트 소싱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는 아키텍처 패턴
데이터 관리이벤트 스트림상태 변화 이벤트의 연속된 흐름
확장성마이크로서비스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아키텍처
최적화스냅샷특정 시점의 상태를 저장하여 빠른 재구성 지원

14. 참고 및 출처


요약

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고, 이벤트 스트림을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는 아키텍처 패턴으로, 데이터 무결성, 감사, 복구, 분석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며, 복잡한 도메인이나 분산 시스템에서 특히 효과적입니다.
분류 구조는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Patterns > Data Management Patterns”로 적합하며, 이벤트 소싱은 CQRS, 마이크로서비스 등과 잘 연동됩니다.


📌 Tags


1. 분류 구조 타당성 평가

현재 위치: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Patterns > Data Management Patterns

적절: Event Sourcing은 변경 이력을 이벤트 로그로 보존하는 데이터 관리 패턴으로, CQRS와 자주 결합되어 설계상 읽기/쓰기 분리를 지원하기에 현 구조가 타당합니다. (kurrent.io, microservices.io)


2. 200자 내외 요약

Event Sourcing은 모든 상태 변경을 불변 이벤트(event)로 기록하며, 이러한 이벤트 로그를 통해 현재 상태를 재구성하거나 과거 상태를 조회하는 패턴입니다. 이를 통해 완벽한 감사 로그, 시간 여행 쿼리, 복원 및 이벤트 기반 통합이 가능하며, CQRS와 결합 시 읽기/쓰기 분리를 통한 최적화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3. 250자 내외 개요

Event Sourcing은 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화를 append-only 로그(Event Store)에 이벤트로 기록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이러한 이벤트 로그는 현재 상태 재생(replay)을 통해 시스템 상태를 복원하거나 과거 상태를 조회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주요 이점은 감사(Auditability), 시간여행(Temporal Queries), 복합 워크플로우 추적, 시스템 복원성 등이 있으며, 읽기 모델과 결합 시 CQRS 패턴의 최적화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 단, 높은 복잡도, 이벤트 스냅샷 등 인프라 체계가 요구됩니다.


4. 핵심 개념

🔹 Event (이벤트)

🔹 Event Store (이벤트 저장소)

🔹 Aggregate

🔹 Projection / Materialized View

🔹 Snapshot (스냅샷)

🔹 Replay (재생)


🔹 실무 구현 측면


5. “## 6. 주제와 관련하여 조사할 내용” 정리

• 배경 → ‘배경 및 목적’로 변경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확산, 감사 기록 및 분산 시스템 요구사항 증가

• 목적 및 필요성

감사-추적, 시스템 복원, 시간여행, 이벤트 기반 통합, CQRS 결합 읽기/쓰기 분리 최적화

• 주요 기능 및 역할

이벤트 생성, 저장, 발행, 프로젝션, 재생, 스냅샷

• 특징

불변성, 시간여행, 감사성, 복원성, Eventual Consistency

• 구성 요소 및 구조 (“구조 및 아키텍처” 추가)

이벤트, 이벤트 저장소, 애그리거트, 프로젝션, 스냅샷

• 구현 기법

브로커(Kafka/RabbitMQ), EventStoreDB, 라이브러리(eventsourcing, Eventuate 등)

• 장점 · 단점 분석

장점: 감사, 시간여행, 복원, 분리 등 | 단점: 복잡성, 스토리지/메모리 증가, 이벤트 버전 관리, 일관성 지연 등

• 도전 과제

이벤트 진화, 스냅샷 정책, 테스트/모니터링, 분산 파티셔닝/ordering 문제

• 분류 기준

스냅샷 사용여부, 동기/비동기, CQRS 결합 여부, 단일/마이크로서비스 수준 등

• 실무 사용 예시

금융․전자상거래 시스템, IoT, 협업툴

• 활용 사례

e‑commerce, Ride‑Sharing, 금융원장, Git 버전 관리

• 구현 예시

Python eventsourcing 샘플, Java Spring, Node.js등

• 고려 및 최적화 사항

모델 크기 관리, 이벤트 payload 설계, idempotency, 모니터링, 테스트 전략, 이벤트 버전 정책

• 기타 사항

기밀 데이터 삭제 처리, GDPR 대응, 쿼리 성능 보강


6. 추가 조사 항목 및 요약

📊 “주목할 내용” 표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기본Immutable 이벤트불변 이벤트 구조와 의미적 중요성
인프라Event Ordering이벤트 순서 보장 아키텍처 필요
관리Event Versioning버전 대응 전략 및 리팩토링 정책
성능Snapshot 전략주기적 상태 저장 및 재생 성능 향상
보안GDPR·삭제이벤트 로그에 개인정보 포함 시 삭제 문제
모니터링Lag Metrics이벤트 발행부터 Projection 동기화 시간 추적
테스트Replay 테스트재생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포함 필요

📘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표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이벤트 모델링Event Schema Design이벤트 명명, payload 정의, 의미 일관성
데이터 관리Snapshot & Retention저장공간, 성능, GDPR 정책과 조율
도구Event Store 시스템Kafka, EventStoreDB, AWS Kinesis 등 비교
패턴CQRS 결합Projection 설계, 일관성 모델(강/약) 설계
버전 관리Upcasting이벤트 리팩토링, 호환성 유지 전략
통합Temporal Queries과거 시점 상태를 조회하는 쿼리 설계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기본Aggregate도메인 상태 및 이벤트 생성 책임 단위
기본Upcasting이벤트 포맷 진화 시 변환 처리
기본Temporal Query과거 시점 상태 복원을 위한 재구성 쿼리
기본Snapshot이벤트 재생 성능 향상을 위한 중간 상태 저장
패턴Eventual Consistency비동기 Projection에 따른 읽기 일관성 지연
라이브러리EventStoreDB이벤트 저장 및 구독 기능 제공 DB 시스템
개발Idempotency중복 이벤트 처리 시 중복 영향 방지 처리
기능Replay이벤트를 순차적으로 다시 실행해 상태 복원

참고 및 출처


원하시는 세부 항목(예: 구조 다이어그램, 실무 활용 사례, 구현 예시 코드 등)에 맞춰 추가로 작성 가능합니다. 요청 부탁드립니다!

Event Sourcing pattern - Azure Architecture Center | Microsoft Learn


🔧 구조 및 아키텍처 (Components & Diagram)

flowchart LR
  UI[Presentation Layer] -->|Command| CmdHandler[Command Handler]
  CmdHandler -->|Rebuild from history| EventStore
  CmdHandler -->|Append new event| EventStore
  EventStore -->|Publish events| EventBus[Queue/Topic]
  subgraph Projections
    EventBus --> ProjService[Projection/Event Handler]
    ProjService --> ReadStore[Read-Only DB]
  end
  UI -->|Query| QueryHandler
  QueryHandler --> ReadStore

⚙️ 배경 및 목적 (Background & Purpose)


✅ 기능 및 역할 (Key Functions & Responsibilities)


🌟 특징 (Characteristics)


🧩 구현 기법 (Implementation Techniques)


🧠 장점 / 단점 & 해결 방안

구분항목설명해결책
장점감사성 & 이력모든 변경 이벤트 기록이벤트 이벤트소싱 사용
장점시간여행 쿼리특정 시점 상태로 시스템 복원Snapshot + 재생
장점EDA 통합마이크로·분산 시스템 연동 용이Event Bus
단점복잡한 이벤트 설계Payload 설계, 버전 관리 필요Event schema, Upcasting
단점스토리지 증가이벤트 저장소 커짐스냅샷, Retention 정책
단점성능 지연Replay 비용 발생Snapshot, 캐싱, 배치 처리

🚀 도전 과제 (Challenges)


📘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Categorization Table)

기준유형설명
Snapshot 사용Snapshot + Replay이벤트 로그 재생 최적화
CQRS 결합Event Sourcing + CQRS읽기/쓰기 분리 최적화
동기성Synchronous ES커맨드 즉시 프로젝션 처리
비동기Asynchronous ES배치 또는 이벤트 발행 방식

📚 실무 사용 예시 (Use Case Table)

시스템 유형목적Event Sourcing 역할
금융 트랜잭션감사·복원모든 거래 이벤트 기록
전자상거래상태 추적장바구니, 주문 상태 재생
협업 도구작업 히스토리문서 편집 이력 추적
IoT센서 데이터이벤트 로그로 시계열 기록

✅ 활용 사례 – 전자상거래 사례


🛠 구현 예시 (Python 코드 개요)

1
2
3
4
5
6
7
8
9
class Order(Aggregate):
    def __init__(...): ...
    def apply_OrderCreated(self, event): ...
    def apply_ItemAdded(self, event): ...
# EventStore.save + snapshot + replay 기능 포함
eventlog = EventStore()
order = Order.replay(eventlog.load_stream(order_id))
order.add_item(...)
eventlog.append(order)

📌 요약

Event Sourcing은 변경 이력을 이벤트 로그로 저장하는 패턴으로, 감사, 시간 여행, 복원 가능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CQRS와 결합 시 읽기/쓰기 최적화도 가능하지만, 개발/운영 복잡도 증가, 이벤트 설계·관리와 스토리지 고려가 필요합니다. 도메인 특성과 성숙된 인프라를 갖춘 환경에서 효과적입니다.


🔧 다음 진도

Event Sourcing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와 분석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최신 정보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Event Sourcing 포괄적 분석 및 조사

1. 기본 정보

태그

카테고리 분류 분석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Patterns > Data Management Patterns"의 계층 구조는 매우 적절합니다.

근거:

요약 설명 (200자 내외)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 상태 변화를 불변의 이벤트 시퀀스로 저장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현재 상태만 저장하는 전통적 CRUD와 달리, 모든 변경사항을 이벤트로 기록하여 완전한 감사 추적과 시점별 상태 복원을 가능하게 합니다.

개요 (250자 내외)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이벤트 스트림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각 상태 변화를 불변 이벤트로 append-only 저장소에 기록하며, 현재 상태는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재구성합니다. CQRS와 함께 사용되어 읽기/쓰기 분리를 통한 성능 최적화와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처리에 적합합니다.


2. 핵심 개념

기본 개념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순차적인 이벤트 시퀀스로 저장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전통적인 CRUD 방식이 현재 상태만 저장하는 것과 달리,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변화 과정을 불변의 이벤트로 기록합니다.

핵심 구성 요소

실무 구현 연관성

핵심 개념들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실무 구현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3. 배경 및 목적

배경

Event Sourcing은 Domain-Driven Design (DDD) 커뮤니티에서 발전된 패턴으로, Greg Young에 의해 2010년경 체계화되었습니다. 전통적인 상태 기반 저장소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습니다.

목적 및 필요성


4. 주요 기능 및 역할

주요 기능

  1. 이벤트 기록: 모든 상태 변화를 불변 이벤트로 순차 저장
  2. 상태 재구성: 이벤트 재생을 통한 현재 상태 복원
  3. 시간 여행: 과거 특정 시점의 상태 조회
  4. 이벤트 스트리밍: 실시간 이벤트 스트림을 통한 다른 시스템과의 통합
  5. 프로젝션 생성: 다양한 읽기 모델을 위한 뷰 생성

역할


5. 특징 및 핵심 원칙

특징

핵심 원칙

  1. Append-Only: 이벤트는 추가만 가능하고 수정/삭제 불가
  2. 이벤트 우선: 이벤트가 시스템의 유일한 진실의 원천
  3. 최종 일관성: 프로젝션과 뷰는 최종적으로 일관성을 가짐
  4. 멱등성: 동일한 이벤트의 반복 처리가 안전함

6. 주요 원리 및 작동 원리

주요 원리 다이어그램

graph TB
    A[Command] --> B[Aggregate]
    B --> C[Event]
    C --> D[Event Store]
    D --> E[Event Stream]
    E --> F[Projection Engine]
    F --> G[Read Model]
    
    H[Query] --> G
    
    I[Event Replay] --> E
    E --> J[State Reconstruction]
    
    classDef commandFlow fill:#e1f5fe
    classDef eventFlow fill:#f3e5f5
    classDef queryFlow fill:#e8f5e8
    
    class A,B commandFlow
    class C,D,E,F eventFlow
    class H,G,I,J queryFlow

작동 원리

  1. 명령 처리 단계

    • 사용자 명령이 애그리거트로 전달
    • 애그리거트가 비즈니스 로직 실행
    •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이벤트 생성
  2. 이벤트 저장 단계

    • 생성된 이벤트를 Event Store에 순차적으로 추가
    • 이벤트는 타임스탬프와 시퀀스 번호를 포함
  3. 프로젝션 업데이트 단계

    • 저장된 이벤트가 프로젝션 엔진으로 전파
    • 다양한 읽기 모델과 뷰가 업데이트
  4. 상태 조회 단계

    • 읽기 요청시 프로젝션에서 데이터 조회
    • 또는 이벤트 재생을 통한 실시간 상태 구성

7. 구조 및 아키텍처

전체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graph LR
    subgraph "Command Side"
        A[User Interface] --> B[Command Handler]
        B --> C[Aggregate]
        C --> D[Domain Events]
    end
    
    subgraph "Event Store"
        D --> E[Event Store Database]
        E --> F[Event Streams]
    end
    
    subgraph "Query Side"
        F --> G[Event Handlers]
        G --> H[Projections]
        H --> I[Read Database]
        I --> J[Query Handlers]
        J --> K[User Interface Views]
    end
    
    subgraph "Infrastructure"
        L[Message Bus]
        M[Event Publisher]
        N[Snapshots]
    end
    
    D --> M
    M --> L
    L --> G
    E --> N
    N --> C

필수 구성요소

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Event Store이벤트 영구 저장시스템의 진실의 원천Append-only, 불변성
Aggregate비즈니스 로직 실행이벤트 생성 및 상태 관리일관성 경계
Event상태 변화 기록도메인 변화 표현불변, 직렬화 가능
Event Handler이벤트 처리프로젝션 업데이트비동기 처리

선택 구성요소

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Snapshot성능 최적화상태 복원 가속화선택적 최적화
Message Bus이벤트 전파시스템 간 통신확장성 향상
CQRS읽기/쓰기 분리성능 최적화Event Sourcing과 보완
Saga분산 트랜잭션마이크로서비스 조정복잡한 워크플로우

8. 구현 기법

1. 기본 Event Store 구현

정의: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구현 구성: 이벤트 테이블, 스트림 관리, 동시성 제어 목적: 모든 도메인 이벤트의 안전한 저장과 조회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class Event:
    def __init__(self, aggregate_id, event_type, data, version):
        self.aggregate_id = aggregate_id
        self.event_type = event_type
        self.data = data
        self.version = version
        self.timestamp = datetime.now()

class EventStore:
    def __init__(self):
        self.events = {}
    
    def append_events(self, aggregate_id, events, expected_version):
        if aggregate_id not in self.events:
            self.events[aggregate_id] = []
        
        current_version = len(self.events[aggregate_id])
        if current_version != expected_version:
            raise ConcurrencyException()
        
        for event in events:
            event.version = current_version + 1
            self.events[aggregate_id].append(event)
            current_version += 1
    
    def get_events(self, aggregate_id, from_version=0):
        if aggregate_id not in self.events:
            return []
        return self.events[aggregate_id][from_version:]

2. Snapshot 구현

정의: 특정 시점의 애그리거트 상태를 저장하는 최적화 기법 구성: 스냅샷 저장소, 스냅샷 생성 정책, 복원 로직 목적: 많은 이벤트 재생 없이 빠른 상태 복원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class Snapshot:
    def __init__(self, aggregate_id, data, version):
        self.aggregate_id = aggregate_id
        self.data = data
        self.version = version
        self.timestamp = datetime.now()

class SnapshotStore:
    def __init__(self):
        self.snapshots = {}
    
    def save_snapshot(self, snapshot):
        self.snapshots[snapshot.aggregate_id] = snapshot
    
    def get_snapshot(self, aggregate_id):
        return self.snapshots.get(aggregate_id)

class AggregateRepository: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snapshot_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self.snapshot_store = snapshot_store
    
    def load_aggregate(self, aggregate_id):
        snapshot = self.snapshot_store.get_snapshot(aggregate_id)
        
        if snapshot:
            events = self.event_store.get_events(aggregate_id, snapshot.version)
            aggregate = self.restore_from_snapshot(snapshot)
        else:
            events = self.event_store.get_events(aggregate_id)
            aggregate = self.create_new_aggregate()
        
        for event in events:
            aggregate.apply_event(event)
        
        return aggregate

3. CQRS 프로젝션 구현

정의: 이벤트로부터 읽기 전용 뷰를 생성하는 메커니즘 구성: 이벤트 핸들러, 프로젝션 저장소, 업데이트 로직 목적: 쿼리에 최적화된 다양한 뷰 제공

실제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lass OrderProjection:
    def __init__(self):
        self.orders = {}
    
    def handle_order_created(self, event):
        self.orders[event.aggregate_id] = {
            'id': event.aggregate_id,
            'customer_id': event.data['customer_id'],
            'status': 'created',
            'total': event.data['total'],
            'created_at': event.timestamp
        }
    
    def handle_order_confirmed(self, event):
        if event.aggregate_id in self.orders:
            self.orders[event.aggregate_id]['status'] = 'confirmed'
            self.orders[event.aggregate_id]['confirmed_at'] = event.timestamp
    
    def get_orders_by_customer(self, customer_id):
        return [order for order in self.orders.values() 
                if order['customer_id'] == customer_id]

9. 장점

구분항목설명
장점완전한 감사 추적모든 상태 변화가 불변 이벤트로 기록되어 완벽한 감사 로그 제공. 규정 준수와 보안 감사에 필수적
시점별 상태 복원이벤트 재생을 통해 과거 임의 시점의 정확한 상태 재구성 가능. 디버깅과 분석에 강력한 도구 제공
높은 쓰기 성능Append-only 구조로 락 경합 최소화하여 높은 쓰기 처리량 달성
이벤트 기반 통합이벤트 스트림을 통한 자연스러운 시스템 간 통합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지원
비즈니스 인사이트이벤트 히스토리를 통한 풍부한 비즈니스 분석과 패턴 인식 가능
확장성CQRS와 결합하여 읽기와 쓰기 워크로드의 독립적 확장 지원

10.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책
단점복잡성 증가전통적 CRUD 대비 시스템 설계와 구현 복잡도 대폭 증가단계별 도입, 팀 교육, 프레임워크 활용
학습 곡선개발팀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습 필요, 개발 생산성 초기 저하충분한 교육 기간, 멘토링, 점진적 적용
저장소 요구사항모든 이벤트 저장으로 인한 높은 스토리지 사용량이벤트 압축, 아카이빙, 스냅샷 활용
최종 일관성프로젝션 업데이트 지연으로 인한 읽기 데이터 불일치 가능성적절한 캐싱, 사용자 경험 설계, 일관성 모니터링

문제점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문제점이벤트 재생 성능 저하대량의 이벤트 누적으로 상태 복원 시간 증가시스템 응답 시간 저하, 사용자 경험 악화성능 모니터링, 재생 시간 측정스냅샷 정책 수립, 이벤트 스트림 설계 최적화스냅샷 구현, 이벤트 압축, 스트림 분할
스키마 진화 문제시간이 지나면서 이벤트 구조 변경 필요성기존 이벤트와 호환성 문제스키마 버전 추적, 역직렬화 오류 모니터링이벤트 버전 관리, 스키마 레지스트리 사용이벤트 업캐스팅, 다중 버전 지원
동시성 충돌동일 애그리거트에 대한 동시 업데이트데이터 일관성 문제, 비즈니스 규칙 위반버전 충돌 예외 모니터링낙관적 동시성 제어, 적절한 애그리거트 경계 설정재시도 메커니즘, 충돌 해결 정책 구현
프로젝션 실패이벤트 처리 중 오류 발생읽기 모델 불일치, 데이터 누락프로젝션 상태 모니터링, 이벤트 처리 로그멱등한 이벤트 핸들러 설계, 오류 처리 로직Dead Letter Queue, 수동 복구 도구, 프로젝션 재구축

11. 도전 과제

성능 및 확장성 과제

원인: 이벤트 볼륨 증가와 복잡한 프로젝션 처리 영향: 시스템 응답 시간 저하와 리소스 사용량 증가 해결 방법:

데이터 일관성 과제

원인: 분산 환경에서의 최종 일관성 모델 영향: 일시적 데이터 불일치와 사용자 혼란 해결 방법:

운영 및 모니터링 과제

원인: 복잡한 이벤트 기반 워크플로우 영향: 문제 진단 어려움과 운영 복잡성 해결 방법:


12.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종류/유형설명특징
저장소 타입In-Memory메모리 내 이벤트 저장빠른 성능, 휘발성
Relational DB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용ACID 보장, 복잡한 쿼리
NoSQL문서/키-값 데이터베이스수평 확장, 스키마 유연성
SpecializedEventStoreDB 등 전용 저장소이벤트 최적화, 고성능
아키텍처 패턴Pure Event Sourcing이벤트만으로 상태 관리완전한 이벤트 기반
CQRS + Event Sourcing읽기/쓰기 분리 결합성능 최적화
Hybrid일부 상태는 전통적 저장점진적 도입 가능
동시성 모델Single Writer단일 작성자 모델충돌 방지
Optimistic Concurrency낙관적 동시성 제어높은 처리량
Event Collapsing이벤트 병합중복 제거

13. 실무 사용 예시

활용 영역목적효과동반 기술
금융 시스템거래 내역 완전 추적, 규정 준수완벽한 감사 추적, 사기 탐지 향상CQRS, 블록체인
전자상거래주문 상태 관리, 재고 추적정확한 재고 관리, 주문 히스토리 분석마이크로서비스, API Gateway
의료 정보 시스템환자 진료 기록 관리의료 과실 방지, 치료 이력 추적HL7 FHIR, 암호화
게임 플랫폼플레이어 행동 분석, 게임 상태 관리치트 방지, 게임 밸런싱 개선실시간 분석, Machine Learning
IoT 플랫폼센서 데이터 수집, 이벤트 처리예측 유지보수, 이상 탐지Stream Processing, Edge Computing

14. 활용 사례: 전자상거래 주문 관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사용자 인터페이스"
        A[Web Frontend]
        B[Mobile App]
    end
    
    subgraph "API Gateway"
        C[Order API]
        D[Inventory API]
        E[Payment API]
    end
    
    subgraph "Command Side"
        F[Order Service]
        G[Inventory Service]
        H[Payment Service]
    end
    
    subgraph "Event Store"
        I[(EventStoreDB)]
    end
    
    subgraph "Query Side"
        J[Order Projection]
        K[Inventory Projection]
        L[Analytics Projection]
        M[(Read Database)]
    end
    
    subgraph "Message Bus"
        N[Kafka]
    end
    
    A --> C
    B --> C
    C --> F
    F --> I
    I --> N
    N --> J
    J --> M
    M --> A

Workflow

  1. 주문 생성

    • 고객이 상품을 장바구니에 추가하고 주문 생성
    • OrderCreatedEvent 생성 및 저장
    • 재고 서비스로 이벤트 전파
  2. 재고 확인 및 예약

    • 재고 서비스가 주문 이벤트 수신
    • 재고 확인 후 ItemReservedEvent 생성
    • 결제 서비스로 이벤트 전파
  3. 결제 처리

    • 결제 서비스가 결제 진행
    • PaymentProcessedEvent 생성
    • 주문 확정 처리

Event Sourcing의 역할

Event Sourcing 유무에 따른 차이점

Event Sourcing 사용:

전통적 CRUD 사용:


15.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from enum import Enum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import json

# 이벤트 기본 클래스
class DomainEvent:
    def __init__(self, aggregate_id: str, event_type: str, data: Dict[str, Any]):
        self.aggregate_id = aggregate_id
        self.event_type = event_type
        self.data = data
        self.timestamp = datetime.now()
        self.version = 0
    
    def to_dict(self):
        return {
            'aggregate_id': self.aggregate_id,
            'event_type': self.event_type,
            'data': self.data,
            'timestamp': self.timestamp.isoformat(),
            'version': self.version
        }

# 주문 관련 이벤트들
class OrderCreatedEvent(DomainEvent):
    def __init__(self, order_id: str, customer_id: str, items: List[Dict]):
        super().__init__(order_id, 'OrderCreated', {
            'customer_id': customer_id,
            'items': items,
            'total': sum(item['price'] * item['quantity'] for item in items)
        })

class OrderConfirmedEvent(DomainEvent):
    def __init__(self, order_id: str, payment_id: str):
        super().__init__(order_id, 'OrderConfirmed', {
            'payment_id': payment_id
        })

class OrderShippedEvent(DomainEvent):
    def __init__(self, order_id: str, tracking_number: str):
        super().__init__(order_id, 'OrderShipped', {
            'tracking_number': tracking_number
        })

# 주문 상태 열거형
class OrderStatus(Enum):
    CREATED = "created"
    CONFIRMED = "confirmed"
    SHIPPED = "shipped"
    DELIVERED = "delivered"
    CANCELLED = "cancelled"

# 주문 애그리거트
class Order:
    def __init__(self, order_id: str):
        self.order_id = order_id
        self.customer_id = None
        self.items = []
        self.total = 0
        self.status = None
        self.payment_id = None
        self.tracking_number = None
        self.version = 0
        self.uncommitted_events = []
    
    def create_order(self, customer_id: str, items: List[Dict]):
        """새 주문 생성"""
        if self.status is not None:
            raise ValueError("Order already exists")
        
        event = OrderCreatedEvent(self.order_id, customer_id, items)
        self._apply_event(event)
        self.uncommitted_events.append(event)
    
    def confirm_order(self, payment_id: str):
        """주문 확정"""
        if self.status != OrderStatus.CREATED:
            raise ValueError("Order cannot be confirmed")
        
        event = OrderConfirmedEvent(self.order_id, payment_id)
        self._apply_event(event)
        self.uncommitted_events.append(event)
    
    def ship_order(self, tracking_number: str):
        """주문 배송"""
        if self.status != OrderStatus.CONFIRMED:
            raise ValueError("Order cannot be shipped")
        
        event = OrderShippedEvent(self.order_id, tracking_number)
        self._apply_event(event)
        self.uncommitted_events.append(event)
    
    def _apply_event(self, event: DomainEvent):
        """이벤트를 애그리거트에 적용"""
        if event.event_type == 'OrderCreated':
            self.customer_id = event.data['customer_id']
            self.items = event.data['items']
            self.total = event.data['total']
            self.status = OrderStatus.CREATED
        elif event.event_type == 'OrderConfirmed':
            self.payment_id = event.data['payment_id']
            self.status = OrderStatus.CONFIRMED
        elif event.event_type == 'OrderShipped':
            self.tracking_number = event.data['tracking_number']
            self.status = OrderStatus.SHIPPED
        
        self.version += 1
    
    def load_from_history(self, events: List[DomainEvent]):
        """이벤트 히스토리로부터 상태 복원"""
        for event in events:
            self._apply_event(event)
        self.uncommitted_events = []
    
    def get_uncommitted_events(self):
        """커밋되지 않은 이벤트 반환"""
        return self.uncommitted_events.copy()
    
    def mark_events_committed(self):
        """이벤트를 커밋된 것으로 표시"""
        self.uncommitted_events = []

# 이벤트 저장소
class EventStore:
    def __init__(self):
        self.events: Dict[str, List[DomainEvent]] = {}
    
    def append_events(self, aggregate_id: str, events: List[DomainEvent], expected_version: int):
        """이벤트를 스트림에 추가"""
        if aggregate_id not in self.events:
            self.events[aggregate_id] = []
        
        current_version = len(self.events[aggregate_id])
        if current_version != expected_version:
            raise Exception(f"Concurrency conflict. Expected version {expected_version}, but was {current_version}")
        
        for event in events:
            event.version = current_version + 1
            self.events[aggregate_id].append(event)
            current_version += 1
    
    def get_events(self, aggregate_id: str, from_version: int = 0) -> List[DomainEvent]:
        """이벤트 스트림 조회"""
        if aggregate_id not in self.events:
            return []
        return self.events[aggregate_id][from_version:]

# 주문 레포지토리
class OrderRepository:
    def __init__(self, event_store: EventStore):
        self.event_store = event_store
    
    def save(self, order: Order):
        """주문 저장 (이벤트 저장)"""
        events = order.get_uncommitted_events()
        if events:
            expected_version = order.version - len(events)
            self.event_store.append_events(order.order_id, events, expected_version)
            order.mark_events_committed()
    
    def load(self, order_id: str) -> Order:
        """주문 로드 (이벤트 재생)"""
        events = self.event_store.get_events(order_id)
        order = Order(order_id)
        order.load_from_history(events)
        return order

# 주문 프로젝션 (CQRS 읽기 모델)
class OrderProjection:
    def __init__(self):
        self.orders: Dict[str, Dict] = {}
    
    def handle_order_created(self, event: OrderCreatedEvent):
        """주문 생성 이벤트 처리"""
        self.orders[event.aggregate_id] = {
            'order_id': event.aggregate_id,
            'customer_id': event.data['customer_id'],
            'items': event.data['items'],
            'total': event.data['total'],
            'status': 'created',
            'created_at': event.timestamp,
            'payment_id': None,
            'tracking_number': None
        }
    
    def handle_order_confirmed(self, event: OrderConfirmedEvent):
        """주문 확정 이벤트 처리"""
        if event.aggregate_id in self.orders:
            self.orders[event.aggregate_id]['status'] = 'confirmed'
            self.orders[event.aggregate_id]['payment_id'] = event.data['payment_id']
            self.orders[event.aggregate_id]['confirmed_at'] = event.timestamp
    
    def handle_order_shipped(self, event: OrderShippedEvent):
        """주문 배송 이벤트 처리"""
        if event.aggregate_id in self.orders:
            self.orders[event.aggregate_id]['status'] = 'shipped'
            self.orders[event.aggregate_id]['tracking_number'] = event.data['tracking_number']
            self.orders[event.aggregate_id]['shipped_at'] = event.timestamp
    
    def get_order(self, order_id: str):
        """주문 조회"""
        return self.orders.get(order_id)
    
    def get_orders_by_customer(self, customer_id: str):
        """고객별 주문 목록 조회"""
        return [order for order in self.orders.values() 
                if order['customer_id'] == customer_id]

# 사용 예시
def main():
    # 인프라 설정
    event_store = EventStore()
    order_repository = OrderRepository(event_store)
    order_projection = OrderProjection()
    
    # 새 주문 생성
    order = Order("order-123")
    order.create_order("customer-456", [
        {"product_id": "p1", "name": "상품1", "price": 10000, "quantity": 2},
        {"product_id": "p2", "name": "상품2", "price": 5000, "quantity": 1}
    ])
    
    # 주문 저장
    order_repository.save(order)
    
    # 프로젝션 업데이트 (실제로는 이벤트 버스를 통해 자동화)
    for event in event_store.get_events("order-123"):
        if isinstance(event, OrderCreatedEvent):
            order_projection.handle_order_created(event)
    
    # 주문 확정
    order.confirm_order("payment-789")
    order_repository.save(order)
    
    # 프로젝션 업데이트
    for event in event_store.get_events("order-123", from_version=1):
        if isinstance(event, OrderConfirmedEvent):
            order_projection.handle_order_confirmed(event)
    
    # 읽기 모델에서 주문 조회
    order_view = order_projection.get_order("order-123")
    print(f"주문 상태: {order_view['status']}")
    print(f"총 금액: {order_view['total']}")
    
    # 이벤트 히스토리로부터 주문 복원
    restored_order = order_repository.load("order-123")
    print(f"복원된 주문 상태: {restored_order.status}")

if __name__ == "__main__":
    main()

16.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사항주의할 점권장사항
도메인 모델링비즈니스 이벤트 식별기술적 이벤트와 비즈니스 이벤트 혼동도메인 전문가와 협업하여 의미있는 이벤트 정의
애그리거트 설계적절한 경계 설정너무 큰 애그리거트로 인한 성능 저하단일 트랜잭션 경계 내에서 일관성 보장 범위 설정
이벤트 스키마진화 가능한 스키마 설계하위 호환성 깨짐스키마 버전 관리와 업캐스팅 전략 수립
동시성 제어낙관적 동시성 선택높은 충돌률 환경에서 성능 저하비즈니스 특성에 맞는 동시성 전략 선택
저장소 선택요구사항에 맞는 저장소잘못된 저장소 선택으로 인한 성능 문제이벤트 처리량, 쿼리 패턴 분석 후 선택

17.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사항주의할 점권장사항
성능 최적화스냅샷 전략 수립너무 빈번한 스냅샷으로 인한 오버헤드비즈니스 특성에 맞는 스냅샷 주기 결정
캐싱 전략읽기 성능 향상캐시 일관성 문제Redis, 메모리 캐시를 활용한 계층화된 캐싱
이벤트 압축저장소 용량 최적화중요한 이벤트 손실 위험비즈니스 규칙에 따른 압축 정책 수립
파티셔닝수평 확장 지원파티션 간 이벤트 순서 보장 문제애그리거트 ID 기반 파티셔닝 전략
배치 처리프로젝션 처리 최적화실시간성 요구사항과 충돌실시간과 배치 처리의 하이브리드 접근

18.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아키텍처 패턴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Event Sourcing과 함께 사용되는 읽기/쓰기 분리 패턴
Saga Pattern분산 트랜잭션 관리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장기 실행 프로세스 조정
데이터 관리Event Store전용 이벤트 데이터베이스이벤트 저장에 특화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
Stream Processing실시간 이벤트 처리Apache Kafka, Pulsar 등을 활용한 스트리밍 처리
구현 기술Event Versioning이벤트 스키마 버전 관리시간에 따른 이벤트 구조 변화 대응
Projection읽기 모델 생성이벤트로부터 다양한 뷰 생성 기법
성능 최적화Snapshots상태 복원 최적화긴 이벤트 스트림의 성능 문제 해결
Caching캐시 전략Redis, 메모리 캐시를 활용한 성능 향상

19.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기초 개념Domain-Driven Design도메인 주도 설계Event Sourcing의 이론적 기반이 되는 설계 방법론
Aggregate Pattern애그리거트 패턴일관성 경계를 정의하는 DDD 핵심 패턴
관련 패턴CQRS명령 쿼리 책임 분리Event Sourcing과 함께 사용되는 핵심 패턴
Materialized View구체화된 뷰이벤트로부터 읽기 최적화 뷰 생성
기술 스택Message Broker메시지 브로커Apache Kafka, RabbitMQ 등 이벤트 전파 기술
Event Store Database이벤트 저장소EventStoreDB, Apache Kafka 등 전용 데이터베이스
고급 주제Event Sourcing Patterns이벤트 소싱 패턴들Snapshot, Upcasting, Event Collapsing 등
Distributed Systems분산 시스템CAP 정리, 일관성 모델, 분산 트랜잭션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핵심 개념Event Store (이벤트 저장소)이벤트를 시간순으로 저장하는 append-only 데이터베이스
Event Stream (이벤트 스트림)특정 애그리거트와 관련된 이벤트들의 순차적 시퀀스
Aggregate (애그리거트)일관성 경계를 형성하는 도메인 객체들의 집합
Projection (프로젝션)이벤트 스트림으로부터 생성되는 읽기 전용 뷰
기술 용어Snapshot (스냅샷)특정 시점의 애그리거트 상태를 저장한 최적화 기법
Upcasting (업캐스팅)구버전 이벤트를 신버전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
Idempotency (멱등성)동일한 연산을 여러 번 수행해도 결과가 같은 성질
Optimistic Concurrency (낙관적 동시성)충돌이 드물다고 가정하고 충돌 시 재시도하는 제어 방식
아키텍처Command Handler (명령 핸들러)사용자 명령을 받아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컴포넌트
Event Handler (이벤트 핸들러)이벤트를 받아 프로젝션을 업데이트하는 컴포넌트
Append-Only (추가 전용)데이터 수정이나 삭제 없이 추가만 가능한 저장 방식
Eventually Consistent (최종 일관성)즉시는 아니지만 결국에는 일관된 상태에 도달하는 일관성 모델

참고 및 출처


1. 태그


2. 분류 구조 분석

계층 구조: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Styles and Patterns > Architecture Patterns > Data Management

분석 및 근거:
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기록하고, 이를 통해 상태를 재구성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이는 “Architecture Styles and Patterns” 하위의 “Architecture Patterns”에 적합하며, 데이터 관리(Data Management)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하위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합니다13.
이벤트 소싱은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Event-Driven Architecture), CQRS, 마이크로서비스 등과 함께 사용되어 확장성, 유지보수성, 감사 추적, 장애 복구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3. 요약(200자 내외)

이벤트 소싱은 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화를 불변의 이벤트로 저장하고, 이를 재생하여 언제든지 상태를 재구성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및 설계 패턴이다15.


4. 개요(250자 내외)

이벤트 소싱은 기존 데이터베이스가 최종 상태만 저장하는 방식과 달리, 모든 상태 변화를 불변의 이벤트로 순차적으로 기록하여, 이벤트를 재생하면 시스템의 현재 상태와 과거 이력을 모두 추적할 수 있게 해주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감사, 장애 복구, 분석 등에 매우 효과적이다13.


5. 핵심 개념

실무 구현 요소


6. 조사 내용(주요 항목별 정리)

배경

기존 CRUD 방식은 최종 상태만 저장하므로, 과거 이력 추적이나 장애 복구, 감사, 분석이 어렵고, 동시성 문제 등 한계가 있었음. 이벤트 소싱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패턴114.

목적 및 필요성

주요 기능 및 역할

특징

핵심 원칙

주요 원리 및 작동 원리

 1
 2
 3
 4
 5
 6
 7
 8
 9
10
11
12
[Diagram: Event Sourcing Flow]
┌─────────────┐   ┌─────────────┐   ┌─────────────┐
│   Command   │ → │  Aggregate  │ → │   Event     │
└─────────────┘   └─────────────┘   └─────────────┘
┌─────────────────────────────────────────────────┐
│                Event Store                      │
└─────────────────────────────────────────────────┘
┌─────────────┐   ┌─────────────┐   ┌─────────────┐
│   Replay    │ ← │  Projection │ ← │   Query     │
└─────────────┘   └─────────────┘   └─────────────┘

구조 및 아키텍처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역할

구현 기법

실제 예시(시나리오):

장점

구분항목설명특성 원인
장점감사 및 이력 추적모든 상태 변화 이력 보관이벤트 불변성, 순차적 기록
장점장애 복구특정 시점으로 상태 복구이벤트 재생 가능성
장점분석 및 디버깅이벤트 로그로 동작 분석이벤트 로그 보관
장점확장성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와 결합이벤트 발행/구독 구조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구분항목설명해결책
단점복잡성기존 CRUD 방식보다 복잡도메인 모델링 강화, 문서화
단점성능 저하이벤트가 많아질수록 재생 시간 증가스냅샷, 프로젝션 활용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문제점이벤트 스키마 변경비즈니스 요구사항 변화기존 이벤트와 호환성 문제코드 리뷰, 테스트버전 관리, 이벤트 업캐스팅이벤트 업캐스팅, 마이그레이션
문제점데이터 불일치프로젝션 지연, 이벤트 처리 실패최신 상태 조회 지연모니터링, 로그 분석이벤트 처리 신뢰성 강화이벤트 재처리, 프로젝션 최적화

도전 과제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도전 과제대규모 시스템 적용이벤트 수 증가, 프로젝션 복잡성성능 저하, 유지보수 어려움모니터링, 프로파일링스냅샷, 프로젝션 분리스냅샷, 프로젝션 최적화, 분산 처리
도전 과제이벤트 순서 보장분산 환경, 네트워크 지연데이터 불일치분산 추적, 로그 분석이벤트 순서 보장 메커니즘이벤트 버스, 분산 트랜잭션 관리
도전 과제팀 온보딩 및 코드 관리아키텍처 복잡성, 팀원 이해 부족개발 비용 증가, 일관성 저하코드 리뷰, 문서화교육, 예시 코드 제공문서화, 코드 리뷰, 멘토링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종류/유형설명
적용 범위전체 시스템시스템 전체에 이벤트 소싱 적용
적용 범위도메인 단위특정 도메인에만 이벤트 소싱 적용
저장 방식이벤트 저장소이벤트를 저장하는 전용 저장소 사용
저장 방식일반 DB일반 데이터베이스를 이벤트 저장소로 사용
연계 패턴CQRS이벤트 소싱과 CQRS 연계

실무 사용 예시

사용 목적함께 사용하는 기술효과
감사 및 이력 추적EventStore, MongoDB, Kafka모든 상태 변화 이력 보관
장애 복구Spring Boot, PostgreSQL특정 시점으로 상태 복구
분석 및 디버깅Elasticsearch, Kibana이벤트 로그 분석
확장성RabbitMQ, Kafka이벤트 기반 아키텍처와 결합

활용 사례

은행 계좌 시스템:
이벤트 소싱을 적용해 계좌 개설, 입금, 출금 이벤트를 저장하고, 이벤트를 재생해 현재 잔액 계산.

구현 예시 (JavaScrip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이벤트 정의
class AccountCreatedEvent {
  constructor(accountId, owner, initialBalance) {
    this.accountId = accountId;
    this.owner = owner;
    this.initialBalance = initialBalance;
    this.type = 'AccountCreated';
  }
}
class DepositMadeEvent {
  constructor(accountId, amount) {
    this.accountId = accountId;
    this.amount = amount;
    this.type = 'DepositMade';
  }
}
class WithdrawalProcessedEvent {
  constructor(accountId, amount) {
    this.accountId = accountId;
    this.amount = amount;
    this.type = 'WithdrawalProcessed';
  }
}

// 애그리게이트
class AccountAggregate {
  constructor(events) {
    this.balance = 0;
    this.events = events || [];
    this.applyEvents(events);
  }
  applyEvent(event) {
    if (event.type === 'AccountCreated') {
      this.balance = event.initialBalance;
    } else if (event.type === 'DepositMade') {
      this.balance += event.amount;
    } else if (event.type === 'WithdrawalProcessed') {
      this.balance -= event.amount;
    }
  }
  applyEvents(events) {
    events.forEach(e => this.applyEvent(e));
  }
  deposit(amount) {
    const event = new DepositMadeEvent(this.accountId, amount);
    this.applyEvent(event);
    this.events.push(event);
    return event;
  }
  withdraw(amount) {
    const event = new WithdrawalProcessedEvent(this.accountId, amount);
    this.applyEvent(event);
    this.events.push(event);
    return event;
  }
}

// 사용 예시
const account = new AccountAggregate([new AccountCreatedEvent('acc1', 'Alice', 1000)]);
account.deposit(500);
account.withdraw(200);
console.log(account.balance); // 1300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항목설명권장사항
도메인 모델링명확한 도메인 모델 설계도메인 중심 설계 강화
이벤트 스키마이벤트 스키마 변경 계획버전 관리, 이벤트 업캐스팅
테스트충분한 테스트단위, 통합 테스트 강화
문서화아키텍처 및 코드 문서화문서화, 예시 코드 제공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항목설명권장사항
스냅샷이벤트가 많아질수록 재생 시간 증가스냅샷 주기적 저장
프로젝션뷰(Read Model) 생성 지연프로젝션 최적화, 분산 처리
모니터링분산 환경, 이벤트 처리 지연모니터링, 로그 분석

기타 사항


7. 추가 조사 내용


8.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설계 패턴Event Sourcing불변성이벤트는 한 번 기록되면 변경 불가
설계 패턴Event Sourcing순차성이벤트는 시간 순서대로 저장
실무 적용Event Sourcing감사 및 이력 추적모든 상태 변화 이력 보관
실무 적용Event Sourcing장애 복구이벤트 재생으로 특정 시점 복구
실무 적용Event Sourcing분석 및 디버깅이벤트 로그로 동작 분석

9.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설계 원칙Event Sourcing불변성이벤트는 한 번 기록되면 변경 불가
설계 원칙Event Sourcing순차성이벤트는 시간 순서대로 저장
실무 적용Event Sourcing감사 및 이력 추적모든 상태 변화 이력 보관
실무 적용Event Sourcing장애 복구이벤트 재생으로 특정 시점 복구
실무 적용Event Sourcing분석 및 디버깅이벤트 로그로 동작 분석

10.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설계 패턴Event Sourcing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화를 불변의 이벤트로 저장하고, 이를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는 패턴
설계 원칙불변성이벤트는 한 번 기록되면 변경 또는 삭제되지 않음
설계 원칙순차성이벤트는 시간 순서대로 저장됨
실무 적용이벤트 저장소이벤트를 저장하는 저장소
실무 적용애그리게이트여러 이벤트를 묶어 하나의 도메인 객체로 관리하는 단위
실무 적용프로젝션이벤트를 기반으로 뷰(Read Model) 생성

11. 참고 및 출처

Event Sourcing pattern - Azure Architecture Center | Microsoft Learn

아래는 Event Sourcing 아키텍처에 대한 구조화된 분석입니다.


1. 태그

1
Event-Sourcing, Immutable-Events, Audit-Log, Replayable-State

2. 분류 계층 적절성 분석


3. 200자 요약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불변하게 저장하는 패턴입니다. 현재 상태는 이벤트 스트림을 재생하여 구성되며, 모든 변경 기록이 남아 있어 감사, 디버깅, 시간 여행, 이력 복원 등이 가능합니다. CQRS와 함께 쓰이면 읽기 모델 최적화와 확장성도 확보됩니다.


4. 250자 개요

Event Sourcing은 도메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태 변경을 불변 이벤트로 저장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표준 CRUD 방식과 다르게 이벤트 로그가 **단일 출처(source of truth)**로 사용되며, **이벤트 저장소(Event Store)**에 append-only 방식으로 쌓입니다. 현재 상태는 이벤트 재생(replay)을 통해 계산되며, 이를 활용해 시점 조회, 감사 로그, 이력 복원, 읽기 모델 프로젝션이 가능합니다. 특히 CQRS와 결합하면 이벤트는 Command Side에서 저장되고, Read Side에서 Projection을 통해 최적화된 조회용 뷰를 생성합니다. (docs.aws.amazon.com)


5. 핵심 개념 및 실무 구현 요소

핵심 개념

구현 요소


6. 구조 및 아키텍처 + 구성 요소

flowchart LR
  UI/API --> Cmd[Command Handler]
  Cmd --> Agg[Aggregate] --> EvtStore[Event Store (append-only)]
  EvtStore --> EvtBus[Event Bus / Queue]
  EvtBus --> Proj[Projector] --> ReadDB[(Read Model DB)]
  EvtStore ==> Replay[Snapshot mechanism]

필수 구성요소: Event, Event Store, Aggregate, Projector, Read DB 선택 구성요소: Event Bus, Snapshot, Integration 이벤트 핸들러 등


7. 주요 원리 & 작동 원리


8. 구현 기법


9. 장점

구분항목설명
장점감사 및 추적성이벤트 불변 저장으로 변경 내역 완전 기록
이력 관리특정 시점 상태 재현 가능 (time travel)
복원력롤백 없이 상태 재구성이 가능
확장성다양한 프로젝션 생성, polyglot persistence 지원
도메인 표현 적합성이벤트가 도메인 관점의 언어로 표현됨

10. 단점과 문제점 + 해결방안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책
단점복잡도 증가프로젝트 구조가 일반 CRUD보다 복잡 (stackoverflow.com)단위 모듈 적용, 프레임워크 도입, 단계적 확장
쿼리 어려움이벤트 로그 직접 쿼리 비효율Read Model 구축 및 Projection 활용
이벤트 버전 관리 부하이벤트 스키마 변경 시 어려움upcasting, 버전 필드, backward-compatible 이벤트 설계
스토리지 증가이벤트 저장 용량이 크게 증가아카이빙, TTL, Snapshot 전략 사용

문제점 상세 분석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예방해결
문제Event replay 지연누적 이벤트 재생 필요시스템 부팅 느려짐, 상태 불확실라그 시간 모니터링Snapshot 전략, 주기적 미리 계산자동 Snapshot, 이벤트 압축
문제동시성 충돌동일 도메인 동시 변경상태 불일치 및 예외 발생충돌 로그, 예외 모니터optimistic concurrency, 버전 필드 사용롤백/재시도 로직, 충돌 해결 UI
문제과도한 이벤트단순 상태 변경도 이벤트화소비자 부담 증가, 이벤트 폭증이벤트 수 증가 모니터링비즈니스 이벤트만, 중요도 기반 선택필터링, 청소, 미러링 전략

11. 도전 과제


12. 실무 사용 예시

스택목적효과
Kafka + EventStoreDB + Spring Boot금융 거래 이력 기록 및 감사완전한 트랜잭션 추적, 재생 가능 상태 생성
.NET + Marten주문시스템 상태 이력 관리DB 롤백 없이 이력 복원, 이벤트 재가공
Node.js + AWS EventBridgeIoT 센서 데이터 수집시간 기반 분석, 실패 메시지 재처리 지원
Laravel + spatie/laravel-event-sourcingPHP 영역에서 PoC 구현이벤트 구조 이해 및 조회 모델 분리

13. 활용 사례: 금융 거래 시스템

flowchart LR
  subgraph Write
    API --> Cmd
    Cmd --> Agg[Account Aggregate]
    Agg --> ES[Event Store]
    ES --> Bus[Event Bus]
  end
  subgraph Read
    Bus --> Proj[Transaction Projector]
    Proj --> Read[(Read DB)]
      Read --> UI
  end

14. 구현 예시 (Python + Pseudocode)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events.py
@dataclass
class MoneyDeposited:
    account_id: str
    amount: float
    timestamp: datetime

# aggregate.py
class AccountAggregate:
    def __init__(self): self.events = []

    def deposit(self, amount):
        evt = MoneyDeposited(self.id, amount, datetime.utcnow())
        self.events.append(evt); return evt

# repository.py
class EventStore:
    def append(self, stream, event): pass
    def read(self, stream): return []

# projector.py
def project_transactions(events):
    balance = 0
    for e in events:
        if isinstance(e, MoneyDeposited):
            balance += e.amount
    return balance

# usage
agg = AccountAggregate()
evt = agg.deposit(100)
store = EventStore(); store.append("acct1", evt)
events = store.read("acct1")
balance = project_transactions(events)
print(balance)  # 100

15. 실무 적용 고려사항 및 최적화 권장 요약


16.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개념Event Store불변한 이벤트 스트림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저장소
Snapshot이벤트 기반 상태 계산을 최적화하기 위한 중간 상태
Replay저장된 이벤트들을 다시 실행하여 상태 재구성
Projection이벤트 소비 후 읽기 모델로 변환하는 동작
Immutable Event생성 후 변경되지 않는 상태 변경 이벤트

17. 참고 및 출처


🎯 정리 완료: Event Sourcing에 대한 핵심 개념부터 구조, 구현, 장단점, 실무 예시까지 포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추가 프레임워크별 적용 가이드나 고급 최적화가 필요하면 언제든지 요청 주세요!

모든 주요 항목을 정리하셨습니다! 🎯 필요하시면 아래의 추가 지원도 제공 가능합니다:

  1. 프레임워크별 적용 가이드 (.NET, Spring Boot, Node.js 등)
  2. 고급 최적화 기법 (e.g. Snapshot 전략, 이벤트 압축, 멀티 테넌시 지원 등)
  3. 도전 과제 심화 분석 (스키마 진화, 장애 대응, 모니터링/CI/CD 통합)
  4.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예: CRUD vs Event-Sourced 시스템 비교)
  5. 실무 적용 전 체크리스트, 적용 팁, 트레이드오프 분석 요약

다음은 프레임워크별 적용 가이드입니다. .NET, Spring Boot, Node.js 중심으로 Event Sourcing + CQRS 구조를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과 주요 체크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2. Java / Spring Boot + Axon Framework


3. Node.js + NestJS + TypeORM + Kafka


✅ 공통 적용 체크포인트

항목설명권장사항
이벤트 불변성스키마 변경 시 마이그레이션 필요Version Field, Upcaster 적용
중복 처리메시지 OO처리Idempotent 핸들러 구현
일관성 보장Write 모델/Read 모델 단일 원장 필요Outbox 패턴 + 메시지 트랜잭션 구성
모니터링이벤트 처리 흐름 추적 어려움Lag, 처리율, 에러 메트릭 모니터링
장애 대응메시지고립 및 장애 발생 가능Dead-letter queue, 재시도 전략 구성
테스트 전략CQRS 구조 분리로 테스트 케이스 증가Core, Projection, Integration 테스트를 분리하여 구성

🧭 다음 단계 제안

  1. 고급 최적화 기법 (snapshot 전략, 이벤트 압축, 멀티 테넌시 등)
  2. 실무 도전 과제 심화 (스키마 진화, 장애 대응, CI/CD 통합 전략)
  3. 추가 코드 예시: Node.js 또는 Java 구현 샘플

원하시는 항목을 지정해 주세요. 바로 이어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다음은 고급 최적화 기법실무에서 마주치는 도전 과제 심화 분석입니다.


1. 고급 최적화 기법 🌐

• Snapshot 전략

• 이벤트 압축 (Event Compression)

• 이벤트 TTL / 아카이빙

• 멀티 테넌시 지원

• 백필링 (Backfilling)


2. 도전 과제 심화 분석 🔍

• 이벤트 스키마 진화

• 분산 장애 대응

• 모니터링 & 추적

• 테스트 & 유지보수


3. ✅ 요약 및 권장 가이드


🎯 추가로 SAGA 패턴 통합, 특정 프레임워크 적용 코드 예시(.NET, NestJS),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링 전략, 또는 보안/가버넌스 구축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요청해주세요!

이벤트 기반(Event-Driven) 아키텍처에서의 데이터 모델링 전략은 전통적인 CRUD 모델링과 달리 도메인 이벤트 중심으로 설계됩니다. 아래는 이벤트 기반 모델링 시 고려할 전략들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링의 핵심 원칙

항목설명
도메인 중심도메인 이벤트(Domain Events)를 기준으로 상태 전이 모델링
불변성이벤트는 변경 불가(immutable) 데이터로 유지
비정규화조회 성능 중심의 Projection 모델 설계 (Read Model)
일관성 지연일관성(consistency)은 즉시가 아닌 이벤트에 의해 Eventually Consistent
책임 분리Command 모델과 Query 모델을 명확히 분리 (CQRS)

2. 모델링 접근 방법

🧩 ① Aggregate 중심 설계

🧾 ② 이벤트 유형 정의

🗃️ ③ Event Sourcing 기반 상태 재생

🗂️ ④ Projection 모델링 (Read Model)

🏷️ ⑤ 이벤트 스키마 설계


3. 모델링 예시 – 쇼핑몰 주문

▶ 도메인 이벤트 예시

이벤트명속성 예시
OrderCreatedorder_id, user_id, items, total_price, timestamp
OrderPaidorder_id, payment_id, method, amount, timestamp
OrderShippedorder_id, tracking_number, carrier, timestamp

▶ Aggregate 상태 재생 (Event Sourcing 기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lass OrderAggregate:
    def __init__(self):
        self.status = None
        self.events = []

    def apply(self, event):
        if isinstance(event, OrderCreated):
            self.status = "CREATED"
        elif isinstance(event, OrderPaid):
            self.status = "PAID"
        elif isinstance(event, OrderShipped):
            self.status = "SHIPPED"
        self.events.append(event)

▶ Projection 설계

Projection Name필드 구성목적
OrderSummaryVieworder_id, user_id, status, total_price사용자 주문 조회용
OrderStatusStatsstatus, count관리자 대시보드 통계

4. 모델링 시 고려사항

항목설명권장사항
이벤트 정합성이벤트 순서에 따라 상태 달라짐Event ordering 보장 (Kafka partition key 기준)
이벤트 버전구조 변경 시 호환성 유지Event upcasting 전략, schema registry 도입
조회 최적화Projection은 뷰 최적화 목적Index, denormalization, TTL 고려
GDPR 대응이벤트 로그에서 민감 정보 처리암호화/익명화, soft delete 이벤트 발행
오류 복구Projection 재생 지원이벤트 replay 기능 및 checkpoint 저장

5. 추천 도구 및 기술

카테고리도구 / 기술설명
Event StoreEventStoreDB, Kafka, Axon, Marten도메인 이벤트 저장소
Query DBElasticsearch, Redis, PostgreSQLProjection 용 Read DB
Schema 관리Avro, Protobuf, AsyncAPI이벤트 스키마 정의 및 버전 관리
프레임워크Axon (Java), Eventuous (.NET), NestJS CQRS이벤트 기반 설계 지원

✅ 요약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링은 이벤트가 곧 데이터의 원천(Log-as-source)이며, 모델은 불변성, 도메인 중심, 읽기/쓰기 책임 분리를 핵심 원칙으로 합니다. 이를 통해 확장성과 추적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이벤트 순서, 스키마 관리, 비동기 처리 등의 복잡성이 증가하므로 구조적 설계가 필수입니다.


Event Sourcing 분석 보고서

1. 태그

Event-Sourcing, CQRS-Pattern, Data-Management, Architecture-Pattern

2. 주제 분류 분석

지정된 카테고리: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 “Software Engineering” > “Design and Architecture” > “Architecture Styles and Patterns” > “Architecture Patterns” > “Data Management”

분석 결과: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처리하는 데이터 중심 아키텍처 패턴으로, CRUD 모델과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제시된 카테고리 계층 구조는 적절하며, 특히 “Data Management” 하위에 위치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Event Sourcing은 비즈니스 엔터티의 상태를 상태 변경 이벤트의 시퀀스로 지속화하는 데이터 관리 패턴이기 때문입니다.

3. 요약 문장 (200자 내외)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상태 변경을 불변의 이벤트 시퀀스로 저장하는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현재 상태를 직접 저장하는 대신 이벤트를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며, 완전한 감사 추적과 시간 기반 쿼리를 제공하여 복잡한 비즈니스 시스템과 분산 아키텍처에 적합합니다.

4. 전체 개요 (250자 내외)

Event Sourcing은 애플리케이션 상태의 모든 변경사항을 이벤트 시퀀스로 저장하는 패턴으로, 전통적인 CRUD 방식과 달리 상태 변경의 전체 이력을 보존합니다. CQRS와 함께 사용되어 읽기와 쓰기 모델을 분리하며,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데이터 일관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금융, 전자상거래, 물류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활용되어 감사 추적, 디버깅, 상태 복구 등의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5. 핵심 개념

기본 개념

실무 구현 요소


제1부: 이론적 기초

배경

Event Sourcing은 1970년대와 80년대 데이터베이스 변경 로그와 메시지 기반 아키텍처에서 뿌리를 찾을 수 있지만, Eric Evans의 Domain-Driven Design(2003)과 Greg Young의 영향력 있는 강연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패턴으로 공식화되었습니다.

목적 및 필요성

  1. 완전한 감사 추적: 시스템에서 발생한 모든 변경사항의 불변 기록 구축
  2. 시간 기반 쿼리: 어떤 시점에서든 엔터티의 상태를 결정하는 시간적 쿼리 구현 가능
  3.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지원: 변경 기록, 감사 가능성 또는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요구사항을 주도하는 도메인에 적합
  4. 분산 시스템 일관성: 느슨하게 결합된 비즈니스 엔터티 간 이벤트 교환을 통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지원

주요 기능 및 역할

특징

  1. 불변성: 모든 이벤트는 불변이며 추가 전용 방식으로 저장
  2. 순차성: 이벤트는 발생 순서대로 저장
  3. 원자성: 이벤트 저장은 단일 연산으로 본질적으로 원자적
  4. 재생 가능성: 언제든지 이벤트를 재생하여 상태 복원 가능

핵심 원칙

  1. 이벤트를 사실로 취급: 이벤트는 발생한 사실의 기록
  2. 추가 전용 저장: 기존 데이터 수정이나 삭제 금지
  3. 순서 보장: 이벤트 발생 순서 유지
  4. 단일 소스 진실: 이벤트 스토어가 유일한 진실의 원천

주요 원리

graph TD
    A[Command] --> B[Aggregate]
    B --> C[Event Generated]
    C --> D[Event Store]
    D --> E[Event Handler]
    E --> F[Projection Update]
    D --> G[Event Replay]
    G --> H[State Reconstruction]

작동 원리:

  1. 명령 처리: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객체에 대해 수행된 작업을 명령적으로 설명하는 이벤트를 발생
  2. 이벤트 저장: 생성된 이벤트를 추가 전용 이벤트 스토어에 저장
  3. 이벤트 발행: 이벤트 핸들러가 관심 있는 이벤트를 수신하고 적절한 작업 수행
  4. 상태 재구성: 필요 시 이벤트 재생을 통해 현재 상태 복원

제2부: 구조 및 구현

구조 및 아키텍처

graph TB
    subgraph "Command Side (Write Model)"
        A[Command Handler] --> B[Aggregate]
        B --> C[Domain Events]
        C --> D[Event Store]
    end
    
    subgraph "Query Side (Read Model)"
        E[Event Handlers] --> F[Projections]
        F --> G[Read Database]
    end
    
    D --> E
    D --> H[Event Bus]
    H --> I[External Systems]
    
    subgraph "Supporting Components"
        J[Snapshots]
        K[Event Schemas]
        L[Version Management]
    end
    
    D -.-> J
    C -.-> K
    K -.-> L

필수 구성요소

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이벤트 스토어이벤트 지속화시스템 기록의 권위 있는 데이터 소스 역할추가 전용, 순서 보장
애그리게이트비즈니스 로직 처리명령 검증 및 이벤트 생성일관성 경계 제공
이벤트상태 변경 기록시스템의 각 변경 사항을 개별 이벤트로 문서화불변, 순차 저장
이벤트 핸들러이벤트 처리프로젝션 업데이트 및 부가 작업비동기 처리

선택 구성요소

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스냅샷성능 최적화정기적 간격으로 데이터 스냅샷 구현재구성 성능 향상
이벤트 버스이벤트 발행외부 시스템 알림느슨한 결합 제공
CQRS 구현읽기/쓰기 분리명령과 쿼리 책임 분리성능 최적화

구현 기법

1. 기본 Event Sourcing

정의: 이벤트만을 이용한 상태 관리 구성: 이벤트 스토어 + 이벤트 재생 목적: 완전한 감사 추적 제공 실제 예시: 은행 계좌 거래 내역을 모든 입출금 이벤트로 관리

2. CQRS와 결합된 Event Sourcing

정의: 데이터 관리 작업을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하고 저장된 이벤트에서 뷰를 구체화 구성: 명령 모델 + 쿼리 모델 + 이벤트 스토어 + 프로젝션 목적: 읽기와 쓰기 성능 최적화 실제 예시: 전자상거래에서 주문 처리(쓰기)와 재고 조회(읽기) 분리

3. Snapshot을 활용한 Event Sourcing

정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상태 스냅샷 저장 구성: 이벤트 스토어 + 스냅샷 저장소 + 증분 이벤트 재생 목적: 대용량 이벤트에서 재구성 성능 향상 실제 예시: 수천 개의 트랜잭션이 있는 계좌에서 주기적 잔액 스냅샷 생성

4. 분산 Event Sourcing

정의: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의 이벤트 소싱 구성: 서비스별 이벤트 스토어 + 이벤트 버스 + Saga 패턴 목적: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일관성 보장 실제 예시: MSA에서 서비스별 분리된 DB 간 트랜잭션 관리


제3부: 분석 및 평가

장점

구분항목설명
감사 및 추적성완전한 감사 로그이벤트 소싱된 시스템은 가장 강력한 감사 로그 옵션 중 하나를 제공
시간적 분석시간 기반 쿼리시스템을 시간상 앞뒤로 이동시켜 디버깅과 “만약에” 분석에 매우 가치 있음
확장성수평적 확장이벤트 소싱은 분산 시스템과 수평적 확장에 적합
복원력장애 복구다운스트림 프로젝션을 재구축할 수 있는 핵심 “기록 소스” 데이터만 이벤트 스트림에 작성
성능읽기/쓰기 최적화이벤트 소싱된 시스템은 최소한의 동기적 상호작용을 추구하여 반응적, 고성능, 확장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책
복잡성학습 곡선다르고 익숙하지 않은 프로그래밍 스타일로 학습 곡선이 존재단계적 도입, 교육 프로그램
쿼리 어려움이벤트 스토어 쿼리비즈니스 엔터티의 상태를 재구성하는 일반적인 쿼리가 복잡하고 비효율적CQRS 패턴 적용
일관성최종 일관성구체화된 뷰나 데이터 프로젝션 생성 시 최종적으로만 일관성 유지적절한 일관성 경계 설계

문제점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성능 저하프로젝션 재구축대량 이벤트 누적응답 시간 증가성능 모니터링 도구스냅샷 구현정기적 간격으로 데이터 스냅샷 구현
스키마 변경이벤트 구조 변화비즈니스 요구사항 변경시스템 호환성 문제버전 호환성 테스트이벤트 버전 관리이벤트 업캐스팅/다운캐스팅
동시성 충돌동일 애그리게이트 수정동시 명령 처리데이터 일관성 위반버전 체크낙관적 동시성 제어충돌하는 업데이트에 대해 멱등성 보장

도전 과제

기술적 도전

  1. 이벤트 스키마 진화: 시간이 지남에 따른 이벤트 구조 변경 관리
  2. 대용량 데이터 처리: 수백만 개의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
  3. 분산 시스템 복잡성: 여러 서비스 간 이벤트 순서 및 일관성 보장

운영적 도전

  1. 모니터링 및 관찰성: 이벤트 흐름과 프로젝션 상태 추적
  2. 데이터 아카이빙: 오래된 이벤트의 효율적 관리
  3. 재해 복구: 이벤트 스토어 백업 및 복구 전략

제4부: 실무 적용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특징사용 사례
저장 방식단일 스토어모든 이벤트를 하나의 저장소에 보관소규모 애플리케이션
분산 스토어도메인별 또는 서비스별 분리 저장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일관성 모델강한 일관성즉시 일관성 보장금융 시스템
최종 일관성비동기적 일관성 달성소셜 미디어, 전자상거래
프로젝션 전략실시간 프로젝션이벤트 발생 시 즉시 업데이트실시간 대시보드
배치 프로젝션주기적 일괄 업데이트리포팅 시스템

실무 사용 예시

도메인목적함께 사용되는 기술효과
금융 시스템거래 추적 및 감사CQRS, 블록체인규제 준수, 사기 탐지
전자상거래주문 상태 관리마이크로서비스, Kafka확장성, 주문 추적
IoT 플랫폼센서 데이터 수집시계열 DB, 스트림 처리실시간 분석, 예측
게임 시스템플레이어 행동 분석NoSQL, 분석 플랫폼개인화, 치트 탐지
의료 시스템환자 기록 관리HL7 FHIR, 프라이버시 보호추적성, 의료 감사

활용 사례

Netflix의 마이크로서비스 Event Sourcing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Netflix Event Sourcing Architecture"
        A[User Action] --> B[Content Service]
        A --> C[Recommendation Service]
        A --> D[Billing Service]
        
        B --> E[Kafka Event Stream]
        C --> E
        D --> E
        
        E --> F[Content Projection]
        E --> G[User Preference Projection]
        E --> H[Analytics Projection]
        
        F --> I[Content API]
        G --> J[Recommendation API]
        H --> K[Analytics Dashboard]
    end

Workflow:

  1. 사용자 행동(시청, 평가, 검색) 이벤트 발생
  2. 각 마이크로서비스가 관련 이벤트를 Kafka에 발행
  3. 이벤트 기반 프로젝션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4. 추천 시스템과 분석 시스템이 이벤트 스트림 소비

Event Sourcing의 역할: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구현 예시

JavaScript를 이용한 은행 계좌 Event Sourc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 이벤트 정의
class AccountCreated {
    constructor(accountId, initialBalance) {
        this.accountId = accountId;
        this.initialBalance = initialBalance;
        this.timestamp = new Date();
        this.type = 'AccountCreated';
    }
}

class MoneyDeposited {
    constructor(accountId, amount) {
        this.accountId = accountId;
        this.amount = amount;
        this.timestamp = new Date();
        this.type = 'MoneyDeposited';
    }
}

class MoneyWithdrawn {
    constructor(accountId, amount) {
        this.accountId = accountId;
        this.amount = amount;
        this.timestamp = new Date();
        this.type = 'MoneyWithdrawn';
    }
}

// 애그리게이트 루트
class BankAccount {
    constructor() {
        this.accountId = null;
        this.balance = 0;
        this.uncommittedEvents = [];
        this.version = 0;
    }

    // 계좌 생성 명령 처리
    static create(accountId, initialBalance) {
        const account = new BankAccount();
        account.applyEvent(new AccountCreated(accountId, initialBalance));
        return account;
    }

    // 입금 명령 처리
    deposit(amount) {
        if (amount <= 0) {
            throw new Error('입금액은 0보다 커야 합니다');
        }
        this.applyEvent(new MoneyDeposited(this.accountId, amount));
    }

    // 출금 명령 처리
    withdraw(amount) {
        if (amount <= 0) {
            throw new Error('출금액은 0보다 커야 합니다');
        }
        if (this.balance < amount) {
            throw new Error('잔액이 부족합니다');
        }
        this.applyEvent(new MoneyWithdrawn(this.accountId, amount));
    }

    // 이벤트 적용
    applyEvent(event) {
        switch (event.type) {
            case 'AccountCreated':
                this.accountId = event.accountId;
                this.balance = event.initialBalance;
                break;
            case 'MoneyDeposited':
                this.balance += event.amount;
                break;
            case 'MoneyWithdrawn':
                this.balance -= event.amount;
                break;
        }
        this.uncommittedEvents.push(event);
        this.version++;
    }

    // 이벤트 스트림에서 상태 재구성
    static fromHistory(events) {
        const account = new BankAccount();
        events.forEach(event => {
            account.applyEventFromHistory(event);
        });
        return account;
    }

    applyEventFromHistory(event) {
        switch (event.type) {
            case 'AccountCreated':
                this.accountId = event.accountId;
                this.balance = event.initialBalance;
                break;
            case 'MoneyDeposited':
                this.balance += event.amount;
                break;
            case 'MoneyWithdrawn':
                this.balance -= event.amount;
                break;
        }
        this.version++;
    }

    // 저장되지 않은 이벤트 반환
    getUncommittedEvents() {
        return [...this.uncommittedEvents];
    }

    // 이벤트 커밋 표시
    markEventsAsCommitted() {
        this.uncommittedEvents = [];
    }
}

// 이벤트 스토어
class EventStore {
    constructor() {
        this.events = new Map(); // accountId -> events[]
    }

    // 이벤트 저장
    saveEvents(accountId, events, expectedVersion) {
        if (!this.events.has(accountId)) {
            this.events.set(accountId, []);
        }

        const existingEvents = this.events.get(accountId);
        
        // 동시성 제어 - 낙관적 잠금
        if (existingEvents.length !== expectedVersion) {
            throw new Error(`동시성 충돌: 예상 버전 ${expectedVersion}, 실제 버전 ${existingEvents.length}`);
        }

        // 이벤트 추가
        existingEvents.push(...events);
    }

    // 이벤트 로드
    getEvents(accountId) {
        return this.events.get(accountId) || [];
    }

    // 특정 버전까지의 이벤트 로드
    getEventsUpToVersion(accountId, version) {
        const events = this.getEvents(accountId);
        return events.slice(0, version);
    }
}

// 리포지터리
class BankAccountRepository {
    constructor(eventStore) {
        this.eventStore = eventStore;
    }

    // 계좌 로드
    load(accountId) {
        const events = this.eventStore.getEvents(accountId);
        if (events.length === 0) {
            return null;
        }
        return BankAccount.fromHistory(events);
    }

    // 계좌 저장
    save(account) {
        const uncommittedEvents = account.getUncommittedEvents();
        if (uncommittedEvents.length === 0) {
            return;
        }

        const expectedVersion = account.version - uncommittedEvents.length;
        this.eventStore.saveEvents(account.accountId, uncommittedEvents, expectedVersion);
        account.markEventsAsCommitted();
    }
}

// 명령 처리기
class BankAccountCommandHandler {
    constructor(repository) {
        this.repository = repository;
    }

    // 계좌 생성 처리
    createAccount(accountId, initialBalance) {
        const existingAccount = this.repository.load(accountId);
        if (existingAccount) {
            throw new Error('계좌가 이미 존재합니다');
        }

        const account = BankAccount.create(accountId, initialBalance);
        this.repository.save(account);
        return account;
    }

    // 입금 처리
    deposit(accountId, amount) {
        const account = this.repository.load(accountId);
        if (!account) {
            throw new Error('계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

        account.deposit(amount);
        this.repository.save(account);
        return account;
    }

    // 출금 처리
    withdraw(accountId, amount) {
        const account = this.repository.load(accountId);
        if (!account) {
            throw new Error('계좌를 찾을 수 없습니다');
        }

        account.withdraw(amount);
        this.repository.save(account);
        return account;
    }
}

// 사용 예시
const eventStore = new EventStore();
const repository = new BankAccountRepository(eventStore);
const commandHandler = new BankAccountCommandHandler(repository);

// 계좌 생성
const account1 = commandHandler.createAccount('ACC-001', 1000);
console.log(`계좌 생성: ${account1.accountId}, 잔액: ${account1.balance}`);

// 입금
commandHandler.deposit('ACC-001', 500);
console.log('500 입금 완료');

// 출금
commandHandler.withdraw('ACC-001', 200);
console.log('200 출금 완료');

// 현재 상태 조회
const currentAccount = repository.load('ACC-001');
console.log(`현재 잔액: ${currentAccount.balance}`);

// 이벤트 히스토리 조회
const events = eventStore.getEvents('ACC-001');
console.log('이벤트 히스토리:');
events.forEach((event, index) => {
    console.log(`${index + 1}. ${event.type} - ${JSON.stringify(event)}`);
});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구분고려사항권장사항
도메인 설계적절한 애그리게이트 경계 설정비즈니스 일관성 경계에 따라 애그리게이트 크기 결정
이벤트 설계이벤트 스키마의 미래 호환성이벤트에 버전 정보 포함, 선택적 필드 사용
성능 관리대용량 이벤트 스트림 처리스냅샷 구현, 이벤트 아카이빙 전략 수립
일관성 관리최종 일관성 수용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는 일관성 수준 정의
모니터링이벤트 처리 상태 추적프로젝션 지연 모니터링, 실패 이벤트 재처리
보안민감한 데이터 처리이벤트 암호화, 개인정보 익명화
테스트시간 기반 테스트 복잡성시간 추상화, 이벤트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구분최적화 방법권장사항
저장소 최적화이벤트 스토어 파티셔닝애그리게이트 ID 기반 샤딩
읽기 성능프로젝션 캐싱Redis 등을 활용한 자주 조회되는 프로젝션 캐싱
쓰기 성능배치 이벤트 처리여러 이벤트를 배치로 처리하여 I/O 최적화
네트워크 최적화이벤트 압축큰 이벤트 페이로드 압축 전송
메모리 관리애그리게이트 캐싱자주 접근되는 애그리게이트 메모리 캐싱
동시성 최적화애그리게이트별 락세밀한 단위의 동시성 제어
이벤트 압축중복 이벤트 제거의미없는 중간 상태 이벤트 압축

기타 사항

Event Sourcing과 GDPR 준수

이벤트 스키마 진화 전략

분산 환경에서의 고려사항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패턴아키텍처 패턴CQRSEvent Sourcing과 함께 사용되어 읽기/쓰기 분리
Saga 패턴분산 트랜잭션에서 Event Sourcing 활용
Outbox 패턴데이터베이스와 메시지 발행의 원자성 보장
기술메시지 브로커Apache Kafka이벤트 스트리밍과 저장소 역할
RabbitMQ이벤트 발행/구독 처리
EventStore DB전용 이벤트 저장소
개념도메인 설계AggregateDDD의 일관성 경계와 Event Sourcing 통합
Domain Events비즈니스 이벤트의 표현
Bounded Context마이크로서비스와 이벤트 경계
도구프레임워크Axon FrameworkJava 기반 CQRS/ES 프레임워크
EventStore전용 이벤트 데이터베이스
Marten.NET용 Event Sourcing 라이브러리

주제와 관련하여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기초 개념Event Sourcing기본 원리이벤트 기반 상태 관리의 핵심 개념
CQRS명령/쿼리 분리읽기와 쓰기 모델의 분리
Domain Events도메인 이벤트비즈니스 의미가 있는 이벤트 설계
구현 기술Event Store이벤트 저장소이벤트 지속화 메커니즘
Projections프로젝션이벤트에서 읽기 모델 생성
Snapshots스냅샷성능 최적화 기법
설계 패턴Aggregate Design애그리게이트 설계적절한 경계 설정
Event Schema이벤트 스키마진화 가능한 이벤트 구조
Concurrency Control동시성 제어낙관적 잠금과 버전 관리
운영 관리Monitoring모니터링이벤트 처리 상태 추적
Error Handling오류 처리실패한 이벤트 처리 전략
Data Migration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벤트 스키마 변경 관리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핵심 개념Event Store이벤트가 지속화되는 추가 전용 데이터베이스로 시스템 기록의 권위 있는 소스
Aggregate Root도메인 주도 설계에서 애그리게이트의 진입점 역할을 하는 엔터티
Projection이벤트 스트림에서 파생된 읽기 전용 뷰 또는 상태 표현
Command Handler비즈니스 명령을 처리하고 이벤트를 생성하는 컴포넌트
기술 용어Event Replay저장된 이벤트를 순서대로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는 과정
Snapshot특정 시점의 애그리게이트 상태를 저장한 것으로 성능 최적화에 사용
Upcasting이전 버전의 이벤트를 새로운 스키마 버전으로 변환하는 과정
Idempotency동일한 연산을 여러 번 수행해도 결과가 같음을 보장하는 속성
패턴 용어Outbox Pattern데이터베이스 변경과 메시지 발행의 원자성을 보장하는 패턴
Saga Pattern분산 트랜잭션을 일련의 로컬 트랜잭션으로 분해하는 패턴
Eventually Consistent시스템이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일관된 상태에 도달하는 일관성 모델
Stream Aggregation이벤트 스트림에서 쓰기 모델의 현재 상태를 구축하는 과정

참고 및 출처


Event Sourcing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패턴 중 하나이다.
이 패턴은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일련의 이벤트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말한다.

Event Sourcing은 복잡한 도메인 모델을 가진 시스템이나 높은 감사 요구사항이 있는 금융, 의료 등의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다. 하지만 구현의 복잡성과 초기 학습 곡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Event Sourcing의 핵심 개념

  1. 이벤트 중심 저장: 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저장한다.
  2. 불변성: 저장된 이벤트는 수정되거나 삭제되지 않고 항상 추가만 된다.
  3. 시간 순서: 이벤트는 발생한 순서대로 저장된다.
  4. 상태 재구성: 현재 상태는 저장된 이벤트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재구성한다.

Event Sourcing의 장점

  1. 완전한 감사 추적: 모든 변경 사항이 이벤트로 저장되어 시스템의 전체 히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다.
  2. 시간 여행 가능: 특정 시점의 상태를 재구성할 수 있어 디버깅과 분석에 유용하다.
  3. 확장성: 이벤트 저장소는 추가만 하므로 확장이 용이합니다.
  4. 유연성: 새로운 요구사항에 따라 이벤트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뷰를 만들 수 있다.

Event Sourcing의 구현 방법

  1. 이벤트 정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이벤트 유형을 정의한다.
  2. 이벤트 저장소: 이벤트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구현한다.
  3. 이벤트 핸들러: 각 이벤트 유형에 대한 처리 로직을 구현한다.
  4. 상태 재구성 로직: 저장된 이벤트를 기반으로 현재 상태를 재구성하는 로직을 구현한다.

Event Sourcing의 주의사항

  1. 성능 고려: 이벤트가 많아질수록 상태 재구성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냅샷을 주기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2. 이벤트 버전 관리: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이벤트 스키마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버전 관리가 필요하다.
  3. 최종 일관성: Event Sourcing은 일반적으로 최종 일관성 모델을 따르므로, 즉시 일관성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할 수 있다.

이벤트 소싱의 구현 시 고려사항

  1. 이벤트 저장소(Event Store): 이벤트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저장소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oSQL 데이터베이스, 또는 전문 이벤트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다.

  2. 이벤트 발행 및 구독 메커니즘: 이벤트를 발행하고, 이를 구독하는 서비스 간의 통신 메커니즘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메시지 브로커나 이벤트 스트리밍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3. 트랜잭션 관리: 이벤트 저장과 관련된 트랜잭션을 원자적으로 처리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해야 한다.

Event Sourcing과 CQRS

Event Sourcing은 종종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패턴과 함께 사용된다. CQRS는 데이터의 쓰기(Command)와 읽기(Query) 모델을 분리하는 패턴으로, Event Sourcing과 결합하면 더욱 강력한 아키텍처를 구성할 수 있다.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이벤트 기본 클래스
class Event {
    constructor(data) {
        this.eventId = crypto.randomUUID();
        this.timestamp = new Date();
        this.data = data;
        this.version = 1;
    }
}

// 주문 관련 이벤트들
class OrderCreatedEvent extends Event {
    constructor(orderId, customerId, items) {
        super({
            orderId,
            customerId,
            items,
            status: 'CREATED'
        });
        this.type = 'ORDER_CREATED';
    }
}

// 이벤트 저장소
class EventStore {
    constructor() {
        this.events = [];
        this.eventHandlers = new Map();
        this.snapshots = new Map();
    }

    async saveEvent(event) {
        // 이벤트 유효성 검증
        this.validateEvent(event);

        // 이벤트 저장
        this.events.push(event);

        // 이벤트 처리
        await this.processEvent(event);

        // 스냅샷 필요 여부 확인
        await this.checkForSnapshot(event.data.orderId);

        return event;
    }

    async getEvents(aggregateId) {
        return this.events.filter(
            event => event.data.orderId === aggregateId
        );
    }
}

용어 정리

용어설명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