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Driven Architecture
Event‑Driven Architecture(EDA) 는 시스템 내 이벤트 (예: 주문 생성, 결제 완료) 가 브로커/채널을 통해 퍼블리시되고, 이를 구독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하는 패턴이다. 이 구조는 Pub/Sub 기반 메시지 전송, 이벤트 라우팅, 비동기 처리, 이벤트 저장소, Eventual Consistency 등을 활용해 서비스 간 느슨한 결합과 독립적 확장성을 확보한다. 또한, 복잡한 업무 흐름 (Orchestration vs Choreography) 및 CQRS/Event Sourcing 패턴도 지원하며, 이기종 시스템 통합, IoT, 마이크로서비스, 실시간 분석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배경
Event-Driven Architecture 는 전통적인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2000 년대 초반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의 발전과 함께 비동기 메시징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클라우드 컴퓨팅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산으로 EDA 가 주목받게 되었다.
역사적 발전:
- 1960 년대: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의 초기 개념 등장
- 1990 년대: Message-Oriented Middleware (MOM) 발전
- 2000 년대: 대규모 웹 서비스에서의 적용 시작
- 2010 년대: 마이크로서비스와 함께 주류 아키텍처로 발전
목적 및 필요성
목적
- 시스템 분리 (Decoupling): 구성 요소 간 독립성 확보
- 확장성 (Scalability): 개별 구성 요소의 독립적 확장
- 실시간 처리 (Real-time Processing): 이벤트 발생 즉시 처리
- 유연성 (Flexibility): 비즈니스 요구 변화에 대한 빠른 적응
필요성
- 마이크로서비스 환경: 서비스 간 효율적 통신 필요
- 고가용성 요구: 24/7 서비스 운영 요구사항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 필요
- 비즈니스 민첩성: 빠른 기능 개발과 배포 필요
핵심 개념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EDA) 는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상태 변화, 액션 등) 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동작하며, 이벤트 생산자 (Producer) 와 소비자 (Consumer) 가 메시지 브로커 (Broker) 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통신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패턴이다.
카테고리 | 용어/개념 | 설명 |
---|---|---|
기본 구성 요소 | Event (이벤트) | 시스템 내 상태 변화나 사건을 표현하는 불변 메시지 객체. 예: 주문 생성, 결제 완료 등 |
Event Producer / Publisher | 이벤트를 생성하고 브로커에 발행하는 컴포넌트. 생산자는 소비자의 존재를 모름 | |
Event Consumer / Subscriber | 브로커로부터 이벤트를 구독하고 처리하는 컴포넌트 | |
Event Broker / Bus / Channel | 발행자와 구독자 사이에서 이벤트를 라우팅, 전달, 저장하는 미들웨어 (Kafka, RabbitMQ 등) | |
Topic / Stream / Queue | 이벤트의 분류 단위로, 동일한 유형의 이벤트 흐름을 논리적으로 그룹핑 | |
통신 및 구조 원칙 | Asynchronous Communication | 이벤트 발행 시 소비자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비동기 통신) |
Loose Coupling (느슨한 결합) | 컴포넌트 간 직접 의존성을 제거하여 독립적인 배포 및 확장 가능하게 설계 | |
Pub/Sub Pattern | 이벤트 발행자와 구독자 간 관계를 분리하여 확장성과 유연성 확보 | |
Event Choreography | 개별 서비스들이 이벤트를 통해 독립적으로 반응하며 전체 워크플로우를 구성 (탈중앙화) | |
Event Orchestration | 중앙 오케스트레이터가 이벤트 흐름과 작업 순서를 제어 (중앙화 방식) | |
일관성 및 상태 관리 | Eventual Consistency | 비동기 처리 환경에서 시간이 지나면 전체 시스템이 일관된 상태에 도달하는 특성 |
Deferred Execution | 요청 시점과 처리 시점이 분리되어 실행되는 모델 | |
아키텍처 확장 요소 | Event Sourcing | 모든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저장하고 재생을 통해 시스템 상태를 재현하는 패턴 |
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 명령 (쓰기) 과 조회 (읽기) 를 분리하여 성능 및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아키텍처 패턴 | |
Event Mesh | 다수의 이벤트 브로커들을 연결하여 메시지를 전파하는 분산 메시징 네트워크 | |
Hierarchical Topic | 계층적 구조의 토픽 네이밍을 통해 메시지 필터링과 라우팅을 정교하게 구성 가능 | |
연관 도구 및 메커니즘 | Schema Registry | 이벤트 메시지의 스키마를 등록 및 관리하여 형식 일관성과 호환성 유지 |
Correlation ID | 이벤트 흐름을 추적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 분산 트레이싱에 사용됨 | |
Dead Letter Queue (DLQ) | 소비 실패 또는 오류가 발생한 이벤트를 별도로 저장하여 사후 처리 가능하게 함 |
실무 연관성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
1. 적용 분야 | 마이크로서비스 통신 | 이벤트 기반으로 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추고 독립적 배포·확장이 가능하게 함 |
실시간 데이터 처리 | 실시간 이벤트 스트리밍 기반 분석, 대기시간 없는 사용자 응답 시스템 구현 | |
시스템 통합 | 레거시 시스템과 신규 시스템 간 통신을 이벤트로 구성하여 유연한 연계 구현 | |
장애 복구 및 내결함성 | 이벤트 저장 및 재처리 메커니즘으로 장애 복구 및 데이터 유실 방지 가능 | |
분산 시스템 확장 | 서비스별로 독립적으로 수평 확장 가능, 트래픽 급증에도 유연하게 대응 | |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 Choreography, Saga 패턴을 통해 서비스 간 분산 트랜잭션 관리 | |
2. 구현 요소 | 이벤트 브로커 / 메시지 큐 | Kafka, RabbitMQ, Amazon EventBridge, Pulsar, Azure Service Bus 등 |
스키마 관리 및 계약 문서화 | Confluent Schema Registry, AsyncAPI, 이벤트 포맷 (JSON, Avro 등) | |
이벤트 저장 및 재생 | Kafka log-compaction, Event Store, Outbox Pattern 활용 | |
모니터링 및 트레이싱 | Prometheus, Grafana, Jaeger, OpenTelemetry, ELK Stack | |
보안 및 인증/인가 | TLS, OAuth2, JWT, Kafka ACL, IAM 기반 Role 제어 | |
3. 아키텍처 설계 고려사항 | 비동기 이벤트 라우팅 | 토픽 기반 필터링, 와일드카드 구독, 토픽 계층화로 관심사 기반 메시지 수신 |
이벤트 내구성 및 정합성 | 메시지 전달 보장 설정 (At-least/Exactly-once), 중복 방지 (Idempotency) | |
버전 관리 및 진화 가능성 | 이벤트 메시지 스키마의 버전 호환성 설계, 호환되지 않는 변경 시 대비 | |
분산 트랜잭션 관리 | 이벤트 기반으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SAGA 패턴, 보상 트랜잭션 설계 | |
4. 운영 및 유지보수 | 확장성 및 유연성 | 이벤트 기반 구조는 새로운 서비스 추가/변경 시 기존 구성 요소에 영향 최소화 |
장애 격리 및 복원력 | 이벤트 기반 비동기 구조는 서비스 간 장애 전파를 막고 자동 복구 구조 구현 가능 | |
계측 및 알림 설정 | 이벤트 흐름, DLQ 비율, 실패율 등을 기반으로 한 알림 및 자동 대응 | |
다양한 프로토콜/플랫폼 연계 | HTTP, MQTT, gRPC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과 연동 가능 | |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 프로듀서/컨슈머 분리 테스트 가능, Mock Broker 를 통한 통합 테스트 유연성 확보 |
주요 기능 및 역할
주요 기능
- Event Publishing (이벤트 발행): 비즈니스 이벤트 생성 및 전파
- Event Routing (이벤트 라우팅): 관심 있는 소비자에게 이벤트 전달
- Event Processing (이벤트 처리):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비즈니스 로직 실행
- Event Storage (이벤트 저장): 이벤트 이력 및 재처리를 위한 저장
역할
- Decoupling (분리): 서비스 간 직접적 의존성 제거
- Integration (통합): 이기종 시스템 간 통합
- Orchestration (오케스트레이션):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조정
- Monitoring (모니터링): 시스템 상태 및 성능 추적
특징
- 비동기 통신: 컴포넌트 간 직접 호출 없이 이벤트로 상호작용.
- 디커플링: 컴포넌트 간 의존성 최소화.
- 확장성: 컴포넌트별 독립적 확장 가능.
- 실시간 처리: 이벤트 발생 즉시 처리 및 전파.
- 결함 허용성: 이벤트 브로커가 이벤트를 버퍼링하여 장애 시 복구 지원.
핵심 원칙
- 단일 책임 원칙: 각 이벤트는 하나의 명확한 목적을 가짐
- 이벤트 불변성: 발행된 이벤트는 변경되지 않음
- 멱등성: 동일한 이벤트의 반복 처리가 안전해야 함
- 순서 보장: 필요 시 이벤트 처리 순서 보장
- 장애 격리: 한 구성 요소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음
- 결과적 일관성: 모든 시스템이 최종적으로 일관된 상태를 유지
주요 원리
- Loose Coupling (느슨한 결합): 프로듀서 및 컨슈머 간 직접 의존 제거
- Asynchronous Messaging (비동기 메시징): 즉시 응답 없이 이벤트 처리
- Event-First Design: 도메인 핵심 변화는 이벤트를 통해 표현
- Idempotency (멱등성): 중복 처리 발생 시 동일 결과 유지
- Time-Travel through Event Store: 이벤트 재생으로 현재 상태 복원
이벤트 기반 통신
graph TD A[Event Producer] -->|Publish Event| B[Event Broker] B -->|Route Event| C[Event Consumer 1] B -->|Route Event| D[Event Consumer 2] B -->|Route Event| E[Event Consumer 3] subgraph "Event Processing" F[Event Store] --> G[Event Stream] G --> H[Event Handler] H --> I[Business Logic] end B --> F
작동 원리
sequenceDiagram participant P as Producer participant B as Broker participant C as Consumer P->>B: Emit "OrderCreated" B->>C: Notify event C->>C: Process order alt Processing error C->>B: Send to DLQ end note over B,C: 메시징 내구성 & 중복 방지
설명:
- Producer 가 이벤트를 브로커에 발행
- Broker 는 이벤트 저장 및 메시징
- Consumer 가 이벤트를 수신 후 처리
- 오류 발생 시 DLQ 또는 재시도 처리
구조 및 아키텍처
flowchart TD subgraph Producer Layer P[Online Service, IoT Device, DB Trigger] end subgraph Broker Layer B[Event Broker: Kafka / RabbitMQ / EventBridge] Topic[Topic / Channel] end subgraph Consumer Layer C1["Service A (Payment)"] C2["Service B (Inventory)"] C3["Service C (Notification)"] end subgraph Infrastructure Store[Event Store / Audit Log] Orchestrator[Saga / Orchestration] Monitor[Monitoring & Tracing] end P --> B B --> |topic based| C1 B --> |topic based| C2 B --> |topic based| C3 C1 --> B C2 --> B C3 --> B B --> Store Orchestrator --> B Monitor --> B
구성 요소
구분 | 구성 요소 | 기능/역할 | 필수/선택 |
---|---|---|---|
이벤트 브로커 | Kafka, RabbitMQ, AWS EventBridge 등 | 이벤트 게시/구독, 라우팅, 내구성 보장 | 필수 |
프로듀서 | 애플리케이션, DB 트리거, IoT 디바이스 등 | 이벤트 생성 및 게시 | 필수 |
컨슈머 | 처리 서비스 (확장 가능) | 이벤트 수신 및 처리 로직 수행 | 필수 |
이벤트 저장소 | Event Store, Kafka log-compacted | 영속적 이력 저장, 재생 기능 제공 | 선택 |
오케스트레이션 | Saga Coordinator, Orchestrator 서비스 | 분산 트랜잭션 및 워크플로우 관리 | 선택 |
모니터링 · 로깅 | Jaeger, Prometheus, ELK, OpenTelemetry | 이벤트 흐름 가시화 및 진단 | 선택 |
메시지 포맷/계약 | JSON, Avro, Protobuf; Schema Registry | 이벤트 구조 정의 및 변경 관리 | 권장 |
구현 기법
카테고리 | 구현 기법 | 정의 및 구성 요소 | 목적 및 활용 목표 | 대표 예시 시나리오 |
---|---|---|---|---|
1. 메시지 전달 구조 | Pub/Sub (발행/구독) | Producer → Topic → 다수 ConsumerMessage Broker (Kafka, RabbitMQ 등) | 느슨한 결합, 브로드캐스트, 동적 구독 지원 | 주문 생성 시 알림, 재고 차감, 분석 시스템에 동시 전달 |
Point-to-Point (Queue) | Producer → Queue → 단일 Consumer (or competing group) | 일대일 처리, 워크 분산 | 작업 큐 기반 주문 처리 시스템 | |
Message Broker 기반 모델 | Producer → Exchange → Queue → Consumer (RabbitMQ 등) | 라우팅, 필터링, 일관된 메시지 흐름 구현 | Direct/Topic 기반 라우팅, DLQ 구성 | |
2. 상태 저장 및 동기화 | Event Sourcing |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기록, Event Store, Aggregate, Replay 등 구성 | 감사 추적, 시점 복구, 영속성 확보 | 금융 거래, 계좌 잔액 계산, 로그 재처리 시스템 |
CQRS | 명령 (Command) 과 조회 (Query) 모델 분리이벤트 버스/리드 모델 분리 | 성능 향상, 확장성, 조회 최적화 | 주문 서비스에서 Command: 생성/취소, Query: 리포트 조회 | |
Outbox Pattern | DB 트랜잭션과 이벤트 발행 분리 Outbox 테이블 → 메시지 브로커 전송 | DB 정합성 보장, 재처리 용이성 | 주문 저장 후 이벤트 발행을 Outbox → Kafka 로 비동기 전송 | |
CDC (Change Data Capture) | DB 변경 감지 후 이벤트 생성 (Debezium 등 활용) | 기존 DB 기반 시스템에 이벤트 도입 | RDB 변경 사항을 Kafka 이벤트로 생성하여 실시간 처리 | |
3. 워크플로우 처리 패턴 | Saga Pattern | 분산 트랜잭션 처리: Orchestrator or Choreography + Compensating Transaction | 분산 환경에서 일관성 보장 | 주문 → 결제 → 배송 단계 실패 시 보상 로직으로 롤백 |
SEDA | 이벤트 처리 단계별 Queue 로 분리, 비동기 처리 및 리소스 분산 | 병렬성 향상, 부하 제어, 스로틀링 적용 가능 | 대규모 트래픽 처리에서 처리량 유지를 위한 스테이지 분리 | |
Complex Event Processing | 패턴 매칭, 시계열 분석, 복합 이벤트 탐지 엔진 (Flink, Esper 등) | 실시간 인사이트, 복합 조건 처리 | 이상 행동 탐지, 실시간 Fraud Detection | |
4. 배포 구조 | Broker Topology | 중재자 없이 브로커 ↔ 프로세서 간 직접 연결 (Chain 구조) | 단순 구조, 고성능, 직렬화 흐름 처리 | 주문 생성 → 처리 → 알림 프로세서 순차 처리 |
Mediator Topology | 중앙 Orchestrator 가 모든 이벤트 흐름 조정워크플로우 기반 이벤트 제어 | 명시적 제어, 보상 트랜잭션, 장애 관리 | 중앙 이벤트 허브가 각 서비스에 이벤트 순서대로 전파 | |
Event Mesh | 지역/클라우드 간 브로커 네트워크 (Solace, Kafka Connect 등) | 글로벌 이벤트 중계, 이기종 시스템 연동 | AWS ↔ Kafka ↔ 엣지 디바이스 연계 | |
5. 클라우드 기반 처리 | Serverless Event Handling | SNS → SQS → Lambda (or Event Grid + Function) | 인프라 관리 최소화, 비용 효율성 | 사용자가 이벤트 발생 시 자동 알림 또는 비즈니스 로직 실행 |
Event Streaming Platform | Kafka/Pulsar 기반 실시간 이벤트 스트림 처리 Partition, Consumer Group 등 구성 | 고성능, 고가용성, 재생 가능 | 클릭 로그, 사용자 행동 분석, 실시간 추천 시스템 |
Publish-Subscribe 패턴
정의: 발행자가 구독자에게 직접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중간 브로커를 통해 전달하는 기법
구성:
- Publisher (발행자)
- Subscriber (구독자)
- Topic/Channel (주제/채널)
- Message Broker (메시지 브로커)
목적: 느슨한 결합, 동적 구독, 확장성
실제 예시:
Event Sourcing
정의: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저장하여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관리하는 기법
구성:
- Event Store (이벤트 저장소)
- Event Stream (이벤트 스트림)
- Aggregate (집계)
- Snapshot (스냅샷)
목적: 완전한 감사 추적, 시점 복구,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처리
실제 예시:
- 은행 계좌 관리 시스템에서 모든 거래 내역을 이벤트로 저장
- 잔액은 이벤트 스트림을 재생하여 계산
CQRS (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정의: 명령 (쓰기) 과 조회 (읽기) 모델을 분리하여 성능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기법
구성:
- Command Model (명령 모델)
- Query Model (조회 모델)
- Event Bus (이벤트 버스)
- Read Database (읽기 데이터베이스)
목적: 읽기/쓰기 워크로드 최적화, 독립적 확장, 복잡한 조회 지원
실제 예시:
Saga 패턴
정의: 분산 트랜잭션을 일련의 로컬 트랜잭션으로 분해하여 관리하는 기법
구성:
- Saga Orchestrator (조정자)
- Compensating Actions (보상 액션)
- Transaction Steps (트랜잭션 단계)
목적: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일관성 보장
실제 예시:
배포 구조
Broker Topology (브로커 토폴로지)
정의: 중앙 중재자 없이 이벤트 프로세서들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구조
구성:
- Event Broker (이벤트 브로커)
- Event Processors (이벤트 프로세서)
- Processing Events (처리 이벤트)
목적: 단순한 이벤트 플로우에서 높은 성능과 확장성 제공
실제 예시:
|
|
Mediator Topology (중재자 토폴로지)
정의: 중앙 이벤트 중재자가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조정하는 구조
구성:
- Event Queue (이벤트 큐)
- Event Mediator (이벤트 중재자)
- Event Channels (이벤트 채널)
- Event Processors (이벤트 프로세서)
목적: 복잡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오케스트레이션 및 오류 처리
실제 예시:
|
|
장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기술적 근거 / 실무 적합성 | |
---|---|---|---|---|
1. 확장성 (Scalability) | 수평 확장 용이성 | 컴포넌트별 독립적인 확장이 가능하여, 컨슈머 인스턴스를 트래픽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 가능 | Kafka, RabbitMQ 등의 소비자 그룹 구조는 수평 확장을 기본적으로 지원 | |
리소스 효율성 | 이벤트 중심의 비동기 처리로, 불필요한 자원 낭비 없이 필요한 순간만 처리 가능 | Polling 제거 → 온디맨드 소비 기반으로 리소스 절약 가능 | ||
2. 실시간성 (Real-Time Responsiveness) | 즉시 반응성 |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 및 전파 가능 → 빠른 사용자 경험, 알림 및 반응 시스템 구축에 적합 | Kafka Streams, Flink, Lambda 등의 실시간 스트리밍 구조와 호환됨 | |
낮은 지연 시간 | 비동기 큐 기반 처리는 블로킹 없이 빠르게 응답 가능하여 전체 시스템 지연 시간 감소 | 비동기 I/O 기반 이벤트 처리 구조 적용 가능 | ||
3. 느슨한 결합 (Loose Coupling) | 디커플링 구조 | Producer 와 Consumer 는 서로 직접 참조하지 않으며, 메시지 브로커를 통해 연결됨 → 독립성 증가 | API 직접 호출 대신 이벤트 메시지 전송 → 구조 분해 및 유연성 향상 | |
독립 개발·배포 가능 | 컴포넌트 간 의존성이 낮아 팀 간 병렬 개발, 독립적 배포가 가능 | 마이크로서비스 분리 개발에 필수적인 전제 조건 | ||
4. 유연성 (Flexibility) | 서비스 변경 대응 용이 | 새로운 소비자 추가 또는 기존 처리 로직 변경 시 기존 시스템에 영향 없이 확장 가능 | 이벤트 중심 구조이므로 신규 구독자는 메시지를 구독만 하면 됨 | |
이기종 통합 지원 | 서로 다른 언어, 시스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 통합이 쉬움 | Kafka, Pulsar 등의 다양한 클라이언트 언어 SDK 존재 | ||
5. 장애 격리 및 내결함성 (Resilience) | 장애 전파 차단 | Producer, Broker, Consumer 간 경계가 존재하여 하나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 미치지 않음 | 메시지 큐가 일시적인 장애를 버퍼링함으로써 회복 가능성 제공 | |
복구 용이성 | 이벤트 로그 또는 스토어를 통해 실패 후 재처리 가능 | Event Replay, DLQ, Retry Queue 등의 패턴 적용 가능 | ||
6. 통합 및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 | 시스템 통합 용이성 |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을 사용하는 시스템 간 메시지 기반 통합 가능 | AMQP, MQTT, Kafka 등 프로토콜 기반 통합 패턴 적용 가능 | |
API 독립성 | 직접적인 REST API 호출 없이도 서비스 간 데이터 연계 가능 | 이벤트 기반 Publish/Subscribe 모델로 메시지 흐름 설계 가능 | ||
7. 비용 효율성 (Cost Efficiency) | 리소스 최적화 | Polling 제거 및 불필요한 컴퓨팅 자원 사용 감소로 클라우드 비용 절감 가능 | Serverless + 메시징 조합 시 비용 최적화 구조로 확장 가능 | |
온디맨드 처리 | 요청이 있을 때만 이벤트 처리 → 유휴 시간 동안 리소스 소비 없음 | 클라우드 환경의 pay-as-you-go 모델에 적합 |
요약
핵심 특성 | 설명 요약 |
---|---|
확장성 | 소비자 수평 확장, 트래픽 분산 처리 가능 |
실시간성 | 이벤트 발생 즉시 반응, 빠른 사용자 피드백 제공 |
디커플링 | 서비스 간 의존성 최소화 → 독립 개발, 유지보수 쉬움 |
장애 격리 | 개별 장애 발생 시 전체 영향 차단, 메시지 기반 복구 지원 |
비용 절감 | Polling 제거, Serverless 와 결합 시 비용 효율 극대화 |
유연성 및 통합성 | 시스템 간 통합 및 확장 용이, 플랫폼 언어 독립적 메시징 환경 구현 가능 |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항목 | 설명 | 주요 원인 | 해결 방안 |
---|---|---|---|
설계/운영 복잡성 | 이벤트 흐름 관리, 라우팅, 스키마 진화 등으로 아키텍처가 복잡해짐 | 분산 구조, 다양한 컴포넌트 (브로커, 스키마 등) 존재 | Event Portal, AsyncAPI 도입, IaC 관리 자동화 |
디버깅 및 추적 어려움 | 이벤트 기반 비동기 처리로 흐름 파악 및 Root Cause 분석이 어려움 | 비동기, 병렬, 분산 흐름 | OpenTelemetry 기반 분산 트레이싱, 중앙 로깅, Correlation ID 활용 |
데이터 일관성 문제 | Eventually Consistent 모델 특성상 상태 불일치 발생 가능 | 비동기 처리, 병렬성 | Saga 패턴, Outbox 패턴, 보상 트랜잭션 등 도입 |
중복 이벤트 처리 | 재시도 시 멱등성 보장 실패 시 중복 처리 가능성 있음 | 네트워크 장애, 중복 송신 | Idempotency 설계, 고유 메시지 ID, Deduplication 로직 구현 |
이벤트 순서 보장 어려움 | 분산 환경이나 병렬 처리 환경에서 순서 보장이 어려움 | 파티셔닝, 비순차 소비 | Partition Key 기반 순서 보장, Single Writer Principle 적용 |
운영/학습 부담 | 인프라 구성 요소가 다양하고 도입 시 조직적 전환이 필요 | 브로커, DLQ, 모니터링 도구 등 학습 필요 | 클라우드 매니지드 브로커 사용, 교육 및 점진적 전환 |
테스트 자동화 어려움 | 이벤트 시퀀스, 상태 기반 테스트가 복잡하고 불확정성 존재 | 비동기 흐름, 상태 비저장 | 테스트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 자동화 |
문제점
항목 | 설명 | 원인 | 영향 | 탐지 및 진단 | 예방 방법 | 해결 기법/패턴 |
---|---|---|---|---|---|---|
메시지 유실 | 이벤트가 브로커/네트워크 장애로 인해 손실됨 | Ack 실패, 비영속 처리, 버퍼 초과 | 데이터 유실, 상태 불일치 | 브로커 메트릭, 실패 로그 | Durable Queue 구성, Ack 보장 | DLQ 구성, 재처리 스크립트, Kafka EOS 적용 |
메시지 중복 처리 | 동일 이벤트가 여러 번 처리되어 중복된 결과 발생 | 재시도 로직, 멱등성 미보장 | 데이터 중복, 로직 오류 | 메시지 ID 분석, 처리 이력 로깅 | Idempotent Consumer 설계, 키 기반 메시지 추적 | 이벤트 ID 기반 deduplication, 트랜잭션 로그 검증 |
이벤트 순서 왜곡 | 처리 순서가 어긋나 상태 불일치 혹은 비즈니스 로직 충돌 발생 | 파티셔닝 미설정, 병렬 처리 | 순서 의존 로직 오류 | Sequence ID, Timestamp 분석 | Partition Key 기반 순서 보장 | 라미포트 타임스탬프, 정렬 큐, Single Writer 적용 |
스키마 불일치 오류 | Producer/Consumer 간 스키마 변경 불일치로 인해 처리 오류 발생 | Schema Evolution 미관리 | Consumer 오류, 메시지 실패 | Schema Validation 실패 로그 분석 | Schema Registry, 스키마 버전 전략 관리 | Forward/Backward Compatibility 설계, Contract Testing 적용 |
메시지 지연 | 이벤트 처리 지연으로 인해 SLA 위반 또는 실시간 처리 실패 | 브로커 과부하, 소비자 병목 | 응답 지연, 경보 누락 | Consumer Lag, Latency 모니터링 | Auto-scaling, QoS 설정, 파티션 증설 | 스로틀링, 우선순위 큐, Competing Consumer 패턴 |
오작동 루프 | 잘못된 라우팅 혹은 이벤트 재발행 구조로 무한 이벤트 루프 발생 | 이벤트 전파 경로 설계 미흡 | 시스템 과부하, 서비스 불능 | TTL 설정, 순환 감지 트레이싱 | 라우팅 정책 정형화, 이벤트 전파 제어 | TTL 메시지 만료 정책, DLQ 및 Dead Cycle 탐지 로직 도입 |
컨슈머 처리 지연 | 소비자가 이벤트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여 대기열이 증가 | 처리 성능 부족, 리소스 미할당 | 실시간성 저하, 시스템 백업 | Queue Depth, 처리율 모니터링 | 컨슈머 수 확장, 워커 병렬화 | Backpressure 적용, Auto Scaling, SEDA 패턴 |
도전 과제
카테고리 | 도전 과제 | 원인 | 영향 | 탐지/진단 방법 | 예방 전략 | 해결 방법 및 기술 | |
---|---|---|---|---|---|---|---|
1. 확장성 | 대규모 이벤트 처리 | 이벤트 볼륨 급증 | 시스템 과부하, 지연, 브로커 병목 | 메트릭 기반 모니터링, 큐/파티션 지표 추적 | 적절한 파티션/리플리카 수 조정, QoS 설정, Auto Scaling | Kafka 리밸런싱, Consumer Group 병렬 처리, 리소스 최적화 | |
글로벌 멀티리전 메시징 | 지리적 분산 환경 | 레이턴시 증가, 데이터 동기화 지연 | 지역별 전송 지표 추적, 토픽 복제 상태 분석 | Geo-partitioning, 트래픽 분산, Conflict 방지 설계 | Cross-region replication, CRDT 기반 데이터 구조 설계 | ||
2. 일관성 및 순서 | 이벤트 순서 보장 | 분산 환경의 비동기 처리, 다중 소비자 구조 | 이벤트 순서 오류 → 로직 불일치 | 이벤트 흐름 로깅, 이벤트 ID 추적 | 키 기반 파티셔닝, 정렬된 큐 사용 | Partition key 기반 순서 유지, 벡터 클록 사용, Ordered Queue 설계 | |
이벤트 중복 및 멱등성 처리 | 재시도, 브로커 재전송 등 | 중복 이벤트 처리로 상태 오염 | 메시지 해시/ID 비교, 중복 수신율 모니터링 | 이벤트 ID 기반 중복 방지 설계 | 멱등성 보장 로직 구현, Outbox 패턴, DB 유니크 제약 적용 | ||
3. 트랜잭션 및 데이터 일관성 | 분산 트랜잭션 처리 | 서비스 간 연쇄적인 데이터 변경 요구 | 부분 실패 발생 시 데이터 불일치 | 로깅, 보상 트랜잭션 이벤트 추적 | 도메인 분리, 트랜잭션 최소화 | Saga 패턴 (Orchestration/Choreography), 보상 트랜잭션 설계 | |
메시지 유실 방지 | 네트워크/브로커 장애, Ack 미수신 | 데이터 손실 및 상태 오류 발생 | DLQ 누적률, 이벤트 누락률 모니터링 | ACK 보장, 저장 후 전송 방식 (Store & Forward) | Retry + DLQ, At-least-once 처리, Event Store 활용 | ||
4. 스키마 및 메시지 진화 | 스키마 변경/진화 관리 | 이벤트 포맷 변경 | 구독자 장애, 호환성 오류 | Schema Registry 로그, 메시지 파싱 실패 분석 | backward/forward 호환성 설계, 버전 명시화 | Avro/Protobuf + Schema Registry, CI/CD 에서 호환성 검증 자동화 | |
이벤트 크기 관리 | 과도한 페이로드 포함 | 네트워크 대역폭 증가, 처리 지연 | 메시지 크기 추적, 소비자 처리 시간 분석 | 페이로드 최소화, 참조 설계 | 참조 기반 메시지 구조 설계, Compression 적용 | ||
5. 가시성 및 모니터링 | 비동기 흐름 추적 | 메시지 기반 처리의 비직관성 | 디버깅 어려움, SLA 위반 가능성 | 분산 추적 도구, Correlation ID 활용 | 로그 표준화, 이벤트 카탈로그화 | OpenTelemetry, Jaeger/Zipkin, Structured Logging 도입 | |
운영 상태/지표 부족 | 모니터링 체계 미흡 | 병목/장애 발생 시 탐지 지연 | 브로커 메트릭, 소비자 처리율, DLQ 비율 분석 | Prometheus + Grafana 대시보드 구성 | Kafka Exporter, SLA 기반 알람 구성 | ||
6. 보안 및 규제 대응 | 이벤트 보안 및 인증 | 민감 데이터 포함 메시지 처리 | 데이터 유출, 규제 위반 위험 | 접근 로그, 암호화 상태 모니터링 | TLS/mTLS 적용, OAuth2 인증, 최소 권한 설정 | RBAC, 토큰 기반 인증, 데이터 암호화/토큰화, 감사 로그 보관 | |
멀티 테넌시 환경 지원 | 테넌트 간 데이터 격리 필요 | 데이터 누수, 성능 간섭 | 테넌트별 이벤트 흐름 분리 분석 | 네임스페이스 및 ACL 설계 | 테넌트 기반 스트림 분리, 전용 리소스 할당 | ||
7. 이벤트 스토어 및 저장소 | 이벤트 스토어 관리 | 이벤트 지속성 유지로 인한 저장소 급증 | 디스크 부족, 조회 성능 저하 | 스토리지 사용률 추적, 이벤트 수명 분석 | TTL, 아카이빙 정책, 정기 스냅샷 | CQRS 기반 Read Store 설계, Event Archiving, Tiered Storage 활용 |
정리 요약
구분 | 핵심 도전 요소 | 대응 기술 및 전략 요약 |
---|---|---|
확장성 | 대량 이벤트 처리, 글로벌 메시징 | Partition 전략, Geo Replication, Auto Scaling |
일관성 | 순서 보장, 멱등성, 중복 처리 | Key 기반 처리, 이벤트 ID, 멱등성 핸들링 |
트랜잭션 | 분산 트랜잭션, 메시지 유실 방지 | Saga 패턴, Outbox+CDC, DLQ/Retry |
스키마 관리 | 메시지 진화, 스키마 호환성 문제 | Schema Registry, 호환성 검증 파이프라인 |
운영 및 가시성 | 비동기 추적, 지표 모니터링 | OpenTelemetry, Structured Logging, SLA 알람 |
보안 및 규제 | 데이터 보호, 인증/인가, 테넌시 격리 | TLS, OAuth2, RBAC, 토큰화, 감사로그 |
스토리지 관리 | 이벤트 저장소의 용량 증가, 비용/성능 이슈 | TTL, CQRS, Archiving, Read Optimization |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카테고리 | 분류 기준 | 주요 유형/옵션 | 설명 / 특징 |
---|---|---|---|
1. 통신 모델 | 이벤트 전달 방식 | Pub/Sub, Point-to-Point, Event Streaming | Pub/Sub 은 1:N 브로드캐스트, P2P 는 1:1 큐 기반, Streaming 은 순차/재생 기반 전송 |
통신 방향 | 단방향 (Fire-and-Forget), 양방향 (Request-Reply) | WebSocket, gRPC 등 실시간 상호작용 구조에서도 이벤트 처리 가능 | |
소비자 구조 | Fan-out, Competing Consumers, Consumer Group | 부하 분산/브로드캐스트 목적에 따라 소비자 모델 결정 | |
2. 내구성 모델 | 저장 방식 | Transient, Persisted | 메모리 기반 일시 저장 vs 디스크 기반 내구성 확보 |
이벤트 재생 가능 여부 | Volatile, Durable, Replayable | 일시 소비만 필요한 경우 vs 영속성과 재처리를 고려한 구조 설계 | |
3. 브로커 구조 | 배포 토폴로지 | Centralized, Decentralized (Mesh), Hybrid | Kafka 등 중앙 집중형 vs Solace/NATS 기반 분산형, 혼합 구조도 가능 |
아키텍처 토폴로지 | Broker Topology, Mediator Topology | 이벤트 중심 허브형 or 워크플로우 중심 중재자 구조 (오케스트레이션 기반) | |
4. 처리 모델 | 이벤트 처리 방식 | Simple Event Processing, Complex Event Processing | 단순한 이벤트 반응 vs 패턴 매칭, 집계, 조건 기반 복합 분석 등 |
일관성 모델 | Strong Consistency, Eventual Consistency | 동기 기반 강일관성 vs 비동기 기반 지연된 일관성 (성능/확장성 고려) | |
5. 전달 보장 | 메시지 배달 보장 수준 | At-most-once, At-least-once, Exactly-once | 이벤트 유실 허용/중복 허용/정확히 1 회 처리, 복잡도와 성능 트레이드오프 |
6. 이벤트 생성 방식 | 생성 방식 | Event Sourcing, CDC(Change Data Capture), ECST | DB 변경 기반 이벤트 생성, 상태 변경 저장 기반 재구성, 이벤트 자체에 상태 포함 |
7. 이벤트 설계 전략 | 상태 전달 방식 | Stateless, Event Carried State Transfer | 상태 없는 이벤트 vs 상태를 포함하는 이벤트 구조 (서비스 간 상태 동기화에 사용) |
8. 거버넌스 | 관리 체계 | Event Portal, Schema Registry, Versioning | 이벤트 계약, 스키마 진화, 이벤트 버전관리 등으로 안정적인 확장성과 통합 가능 |
9. 최적화 전략 | 성능 패턴 | SEDA, Backpressure, Partitioning | 처리량 제어, 메시지 흐름 제어, 병렬성 향상을 위한 파티셔닝 등 적용 |
10. 패턴 통합 | 아키텍처 통합 전략 | CQRS + EDA, DDD + EDA, Event Sourcing | 명령/조회 분리, 도메인 주도 설계와 결합된 이벤트 처리 구조 등 |
이벤트 유형 분류 전략
이벤트는 역할과 범위에 따라 Domain Event
와 Integration Event
로 나누며, 이는 EDA 설계에서 매우 중요하다.
항목 | Domain Event | Integration Event |
---|---|---|
정의 | 도메인 내부의 의미 있는 상태 변화 | 서비스 간 통합을 위한 이벤트 |
범위 | 내부 서비스 또는 Bounded Context 범위 | 외부 시스템 또는 다른 Bounded Context 에 전달되기 위한 이벤트 |
주 목적 | 내부 비즈니스 로직 흐름 전파 | 시스템 간 데이터 동기화 또는 통합 목적 |
변경 가능성 | 상대적으로 자주 변경될 수 있음 | 변경 시 계약 (contract) 변경에 민감. 변경 최소화 필요 |
구조 (Payload) | 도메인 모델 그대로 또는 추상화된 형태 가능 | API 레벨 DTO 와 유사한 명확한 필드 명세 필요 |
예시 | OrderCreatedEvent , InventoryReservedEvent | UserRegisteredIntegrationEvent , InvoiceGeneratedEvent |
예시
Domain Event
- 내부 도메인 모델에서 상태 변경 발생 시 사용
- Inventory → 내부 Accounting 또는 Notification 으로 흐름 전달
Integration Event
- 회원 가입 결과를 외부 마케팅 플랫폼, CRM, 분석 시스템에 전파
- Event contract 가 강하게 고정되어야 함
Event-Driven Architecture vs. 동기적 REST API Architecture 비교
이벤트 기반은 비동기 협업, 높은 확장성, 장애에 강한 구조가 필요할 때 적합하다. 단, 인프라와 디버깅 복잡도가 높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동기적 REST API는 단순 CRUD 및 실시간 응답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합하고, 도입 및 유지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높은 트래픽 환경에서는 병목 및 장애가 클 수 있어 캐싱, 로드밸런싱과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Event-Driven Architecture
정의: 시스템 내 서비스들이 이벤트를 발행 (publish) 하고, 다른 서비스들이 이를 구독 (subscribe) 하여 비동기적으로 처리하는 구조.
구성 요소:
- 이벤트 프로듀서: 상태 변화나 작업 완료 등의 이벤트를 생성
- 메시지 브로커/이벤트 버스: 이벤트를 중계
- 이벤트 컨슈머: 브로커에서 이벤트를 받아 처리
장점:
- 높은 확장성: Consumer 를 수평으로 늘려 부하 분산 가능
- 느슨한 결합도: Producer 와 Consumer 가 직접 연결되지 않음
- 시스템 전반의 내결함성 향상 가능
단점:
- 디버깅 어려움: 흐름 추적이 까다로움
- 운영 복잡도: 브로커 설정 및 관리 필요
적합한 경우:
- 실시간 알림, 데이터 파이프라인 처리, IoT 이벤트 처리 등
- 시스템 간 비동기 협업이 잦을 때
동기적 REST API Architecture
정의: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을 돌려주는 동기식 요청 - 응답 구조.
구성 요소:
- 클라이언트: RESTful 요청 수행
- 서버 (리소스 제공자): 요청 처리 후 응답
장점:
- 이해·디버깅 쉬움: 요청 - 응답 흐름 명확
- 도구와 표준의 풍부함: HTTP, JSON, JWT 활용
- 보안 구성 직관적
단점:
- 높은 부하 시 성능 저하 및 연결 지연
- 결합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전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적합한 경우:
- 단순 CRUD 기반 서비스, 즉각적인 응답이 필요한 시나리오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간 명확한 상호작용이 필요한 경우
비교 분석
항목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 동기적 REST API 아키텍처 |
---|---|---|
통신 방식 | 비동기 메시지 기반 | 동기 HTTP 요청 - 응답 |
결합도 | 낮음 (느슨한 결합) | 높음 (직접 통신) |
확장성 | 뛰어남 (수평 확장 용이) | 중간 수준 |
성능 | 유연한 처리, 처리량 높음 | 실시간 반응 좋음, 부하 시 지연 발생 |
응답 지연 | 이벤트 처리 후 응답 (대체로 비실시간) | 즉시 응답 (실시간성 제공) |
에러 처리 | 재시도/대기 큐 등 복잡한 접근 필요 | HTTP 상태 코드 기반, 단순 |
추적 및 디버깅 | 분산 추적 필요, 까다로움 | 직관적, 요청 로그 분석 용이 |
운영 복잡도 | 브로커 구성·모니터링 필요 | 비교적 단순 |
적합 시나리오 | 실시간 이벤트 처리, 스트리밍, IoT | CRUD, 인증, 서버 간 직접 통신 |
보안 처리 | 메시지 인증·암호화 필요 | HTTPS, JWT 등 인증 제공 |
도입 난이도 | 도전적, 인프라 비용 증가 | 쉬움, 넓은 도구 지원 |
실무 사용 예시
도메인 | 사용 목적 | 사용 기술 / 패턴 | 기대 효과 | 대표 시나리오 / 설명 |
---|---|---|---|---|
E-Commerce | 주문 처리, 결제, 재고 연동 | Kafka, Redis, Event Sourcing, CQRS, Saga Pattern | 실시간 처리, 데이터 일관성, 장애 격리, 확장성 | 주문 생성 → 결제 처리 → 재고 차감 → 배송 연동 등 마이크로서비스 통합 시나리오 |
금융 / 트레이딩 | 실시간 거래 처리, 사기 탐지, 로그 기록 | Kafka Streams, Flink, Pulsar, Event Sourcing | 밀리초 단위 처리, 사기 탐지, 추적 가능성, 확장성 | 카드 결제 승인, 거래 이상 징후 탐지, 이벤트 기반 회계 처리 등 |
IoT / 제조 | 센서 데이터 수집, 실시간 분석 및 경보 | MQTT, AWS IoT Core, Kinesis, InfluxDB, Node-RED | 대규모 비동기 수집, 서버리스 확장성, 지연 최소화 | 온도/습도 센서 모니터링, 기계 상태 감시, 예측 정비 시스템 등 |
실시간 분석 / BI | 사용자 행동 분석, 추천, 대시보드 갱신 | Flink, Kafka, Dataflow, WebSocket | 실시간 인사이트 도출, 사용자 경험 향상 | 클릭스트림 분석, 실시간 추천 시스템, 실시간 KPI 대시보드 등 |
모니터링 / 경보 | 시스템 상태 모니터링 및 알림 전송 | Prometheus, Grafana, Kafka, PagerDuty, Redis Pub/Sub | 실시간 알림, 장애 대응 속도 향상, SLA 보장 | 시스템 CPU 이상 감지 시 Slack 알림, DLQ 발생 알림 등 |
소셜 / 메시징 | 실시간 피드, 채팅, 알림 전송 | Redis Streams, RabbitMQ, Kafka | 실시간 UX, 확장 가능한 메시징 처리 | 채팅앱 메시지 송수신, 팔로우 피드 생성, 실시간 알림 전송 등 |
게임 / 미디어 | 실시간 게임 상태, 리더보드, 콘텐츠 분석 | Pulsar, Kafka, Storm, MongoDB | 실시간 반영, 확장성, 분석 지연 최소화 | 사용자 행동에 따른 리더보드 갱신, 실시간 방송 트래픽 분석 등 |
백오피스 시스템 | 내부 이벤트 기반 로깅 및 감사 기록 관리 | Event Sourcing, Kafka | 이력 추적, 감사 대응, 변경사항 재생 | 주문 상태 변경 로그 기록, 사용자 활동 이력 기록 등 |
활용 사례
사례 1: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Workflow:
flowchart TD User(사용자) Gateway(API 게이트웨이) OS(Order Service) Payment(Payment Service) Inventory(Inventory Service) Shipping(Shipping Service) Kafka(Kafka Broker) DB(Event Store) User --> Gateway --> OS OS --> Kafka["Topic: order.created"] Kafka --> Payment Kafka --> Inventory Payment --> Kafka["order.paid"] Inventory --> Kafka["inventory.reserved"] Kafka --> Shipping Kafka --> DB
역할 분석:
- Order Service는 주문 생성 이벤트 발행
- Payment/Inventory는 해당 이벤트 구독 후 처리 후, 후속 이벤트 발행
- Shipping은 최종 소비자로서 배송 시작
- Event Store는 이벤트 이력 기록 및 감사/audit, 재생 가능
- Kafka Broker는 모든 이벤트 메시지 전파/라우팅
EDA 도입 전후 비교:
구분 | 사전 (동기 중심) | 도입 후 (이벤트 중심) |
---|---|---|
구조 | 주문⇢결제⇢재고⇢배송 → 단일 흐름 | 서비스 간 독립적 이벤트 방식 |
장애 | 한 서비스 장애 시 전체 중단 | 장애 서비스만 격리, 복구 가능 |
확장성 | 전체 시스템 확장 필요 | 소비자만 개별 확장 가능 |
모니터링 | 단일 흐름 트레이스 어려움 | 이벤트 추적 가능, 모니터링 용이 |
구현 예시:
|
|
|
|
- Order Service는 주문 생성 시 이벤트 발행
- Payment Service는 order.created 메시지를 소비하여 후속 이벤트 발행
- 다른 서비스들(Inventory, Shipping) 은 동일한 방식으로 응답
사례 2: 주문 처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 주문 서비스 → 이벤트 브로커 → 결제, 배송, 알림 서비스
graph LR A[주문 서비스] --> B[이벤트 브로커] B --> C[결제 서비스] B --> D[배송 서비스] B --> E[알림 서비스]
역할:
- 주문 서비스가 주문 이벤트를 브로커에 발행하면, 브로커는 이를 결제, 배송, 알림 서비스에 비동기적으로 전달.
차이점: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가 없으면 서비스 간 직접 호출로 인해 결합도가 높아지고, 확장성과 장애 격리력이 떨어짐.
구현 예시:
|
|
사례 3: Kafka 기반 주문 처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flowchart TB subgraph WebApp U[User 주문 요청] --> API[Order API] end API --> KafkaTopic[OrderCreated Topic] subgraph 미판매 서비스 InventorySvc --> KafkaTopic end subgraph 소비자들 InventorySvc[재고 검사] --> PaymentSvc[청구 서비스] NotificationSvc[알림 발송] AnalyticsSvc[로그 분석] end KafkaTopic --> InventorySvc KafkaTopic --> PaymentSvc KafkaTopic --> NotificationSvc KafkaTopic --> AnalyticsSvc
Workflow:
- WebApp → API 서버가
OrderCreated
이벤트 발행 - Kafka 는 이벤트를
InventorySvc
,PaymentSvc
,NotificationSvc
,AnalyticsSvc
등 컨슈머에게 전달 - 각 컨슈머는 독립적으로 처리 수행
- 장애 발생 시 DLQ 처리 및 자동 복구 가능
핵심 역할:
- 주문 상태 비동기 전파 → 다른 서비스 의존성 최소화
- 확장성: 소비자별 오토스케일링 가능
- 장애 격리: 한 서비스 장애가 전체 시스템 영향 최소화
구현 예시:
|
|
사례 4: Netflix 콘텐츠 추천 시스템
사용자의 시청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개인화된 콘텐츠를 추천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Event Producers" UP[User Playback] UR[User Rating] UV[User Views] US[User Search] end subgraph "Event Infrastructure" K[Apache Kafka] KS[Kafka Streams] end subgraph "Event Consumers" RS[Recommendation Service] AS[Analytics Service] PS[Personalization Service] CS[Content Service] end subgraph "Data Storage" ES[Event Store] RDB[Recommendation DB] UDB[User Profile DB] end UP --> K UR --> K UV --> K US --> K K --> KS KS --> RS KS --> AS KS --> PS KS --> CS RS --> RDB PS --> UDB AS --> ES
Workflow:
- 이벤트 생성: 사용자의 시청, 평가, 검색 활동이 실시간 이벤트로 생성
- 이벤트 스트리밍: Apache Kafka 를 통해 초당 수백만 개의 이벤트 처리
- 실시간 분석: Kafka Streams 를 활용한 실시간 패턴 분석
- 추천 업데이트: 머신러닝 모델을 통한 즉시 추천 알고리즘 업데이트
- 개인화 제공: 사용자별 맞춤 콘텐츠 실시간 제공
Event-Driven Architecture 의 역할:
- 실시간 반응: 사용자 행동 즉시 반영
- 확장성: 전 세계 2 억 이상 사용자 동시 처리
- 장애 복원: 개별 서비스 장애 시에도 서비스 지속
- 데이터 일관성: 이벤트 소싱을 통한 완전한 사용자 히스토리 관리
EDA 유무에 따른 차이점:
- EDA 적용 전:
- 배치 처리 기반 추천 (하루 1-2 회 업데이트)
- 높은 서비스 간 결합도
- 장애 시 전체 시스템 영향
- 확장 시 전체 시스템 재배포 필요
- EDA 적용 후:
- 실시간 추천 업데이트 (밀리초 단위)
- 느슨한 결합으로 독립적 서비스 운영
- 장애 격리 및 빠른 복구
- 개별 서비스 독립적 확장 및 배포
구현 예시:
|
|
사례 5: 전자상거래 주문 시스템 실시간 처리
시스템 구성 요소:
- Event Producer: OrderService (Spring Boot)
- Event Broker: Kafka
- Event Consumer: InventoryService, NotificationService
- Event Store: PostgreSQL Outbox Table + Kafka Connect
graph TD UI[Frontend SPA] --> API[Order API] API --> SVC[OrderService] SVC --> DB[(Order DB)] SVC --> OUTBOX[(Outbox Table)] OUTBOX --> CONNECT[Kafka Connect CDC] CONNECT --> KAFKA[(Kafka)] KAFKA --> INV[Inventory Service] KAFKA --> NOTIF[Notification Service]
Workflow:
- 사용자 주문 → DB 저장 + Outbox insert
- Kafka Connect 가 Outbox 변경 감지 → Kafka 로 publish
- InventoryService 와 NotificationService 가 이벤트 수신 후 처리
차이점 비교:
항목 | 전통적 방식 | EDA 방식 |
---|---|---|
처리 흐름 | 동기 호출 → 트랜잭션 결합 | 비동기 이벤트 흐름 |
확장성 | 단일 트랜잭션 내 처리 | 서비스별 독립 확장 |
장애 복원 | 하나 실패 시 전체 롤백 | 실패한 서비스만 재처리 |
구현 예시:
|
|
|
|
사례 6: Netflix 의 콘텐츠 파이낸스 시스템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Content Finance System" A[Content Planning Service] -->|Budget Events| B[Event Bus - Kafka] C[Spending Tracking Service] -->|Expense Events| B D[Catalog Service] -->|Content Events| B B -->|Financial Events| E[Finance Analytics Service] B -->|Budget Events| F[Budget Management Service] B -->|Report Events| G[Reporting Service] E --> H[Financial Dashboard] F --> I[Budget Alerts] G --> J[Executive Reports] end subgraph "External Systems" K[Production Systems] -->|Production Events| B L[Content Acquisition] -->|Acquisition Events| B end
Workflow:
- 콘텐츠 기획 단계
- 콘텐츠 기획 서비스에서 예산 이벤트 발행
- 예산 관리 서비스에서 예산 할당 처리
- 제작 진행 단계
- 제작 시스템에서 지출 이벤트 실시간 발행
- 지출 추적 서비스에서 예산 대비 진행률 계산
- 분석 및 보고 단계
- 금융 분석 서비스에서 트렌드 분석
- 보고 서비스에서 경영진 대시보드 업데이트
EDA 의 역할:
- 실시간 예산 추적: 제작 비용의 즉시 반영
- 확장성: 글로벌 제작 프로젝트 지원
- 데이터 일관성: 복수의 시스템 간 동기화
- 감사 가능성: 모든 금융 활동의 이벤트 로그
기존 시스템과의 차이점:
구분 | 기존 배치 시스템 | EDA 기반 시스템 |
---|---|---|
데이터 갱신 | 일일 배치 처리 | 실시간 이벤트 처리 |
확장성 | 수직 확장 제한 | 수평 확장 용이 |
장애 복구 | 전체 시스템 재시작 | 부분 서비스 복구 |
개발 속도 | 통합 배포 필요 | 독립적 서비스 배포 |
구현 예시
|
|
사례 7: Netflix 의 금융 데이터 처리
시스템 구성:
- 이벤트 생산자: 금융 데이터 생성 시스템
- 이벤트 브로커: Apache Kafka
- 이벤트 소비자: Spring Boot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flowchart TD A[Finance Data Generator] --> B[Apache Kafka] B --> C[Spring Boot Microservice 1] B --> D[Spring Boot Microservice 2] B --> E[Spring Boot Microservice 3]
워크플로우:
- 금융 데이터 생성 → Kafka 로 이벤트 발행 → 마이크로서비스가 이벤트 구독 및 처리
- 데이터 통합, 분석, 리포트 생성
EDA 의 역할:
- 실시간 데이터 처리, 확장성, 통합, 데이터 일관성 보장
EDA 유무 차이:
- EDA 미적용 시: 데이터 동기화 지연, 확장성 한계, 통합 어려움
- EDA 적용 시: 실시간 처리, 확장성, 통합, 데이터 일관성 보장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 항목 | 설명 | 권장사항 |
---|---|---|---|
1. 이벤트 스키마 및 계약 | 메시지 스키마 안정성 | 스키마 변경 시 하위 호환성과 소비자 영향 발생 | Schema Registry(Avro/Protobuf) + backward/forward 호환 설계 적용 |
스키마 진화 관리 | 점진적인 스키마 변경 및 버전 관리 필요 | CI/CD 연동 자동 검증, 버전 정책 수립, AsyncAPI 문서화 유지 | |
메시지 크기/페이로드 설계 | 과도한 메시지 크기는 네트워크 부하 증가 및 처리 지연 유발 | 페이로드 최소화, 참조 기반 메시지 설계, 이벤트 계약 경량화 | |
2. 장애 처리 및 복구 | DLQ(Dead Letter Queue) 설계 | 반복 실패 메시지 축적 방지 및 재시도 정책 필요 | TTL, Retry Count, 알림 포함한 DLQ 구성 |
재처리 및 이벤트 재생 전략 | 순서/중복/불일치 문제 발생 가능 | 이벤트 ID 기반 멱등성, Offset 관리, Replay 시점 분기점 설정 (snapshot) 사용 | |
에러 처리 및 재시도 정책 | 처리 실패에 대한 유연한 대응 구조 필요 | Retry + Backoff 전략, Circuit Breaker 적용 | |
3. 확장성 및 성능 최적화 | 스케일링 전략 | 트래픽 증가에 대응한 소비자 그룹의 확장성 확보 필요 | Consumer Group 수평 확장, Kafka Rebalancing 전략 설계 |
백프레셔 및 큐 관리 | 소비자 처리 속도 부족 시 큐 증가 및 장애 위험 | 큐 깊이 기반 처리 속도 조정, Adaptive Throttling, 모니터링 기반 Auto Scaling | |
파티션 및 데이터 할당 전략 | 파티션 불균형으로 인한 핫 파티션 발생 위험 | 키 기반 파티셔닝, 파티션 수 조정, 리밸런싱 도구 사용 | |
4. 일관성 및 트랜잭션 보장 | 데이터 일관성 보장 | 중복, 유실, 순서 오류 등으로 인한 데이터 신뢰성 저하 가능 | 멱등성 처리, Outbox + CDC 패턴 적용 |
이벤트 순서 보장 (Ordering) | 순서가 중요한 이벤트는 파티셔닝 및 메시지 정렬 필요 | 동일 키 기반 파티션 전략 유지, 메시지 ordering 확인 로직 추가 | |
5. 모니터링 및 가시성 확보 | 분산 추적 및 트레이싱 | 비동기 메시지 흐름 추적 어려움 | Correlation ID, OpenTelemetry, Jaeger, Zipkin 연동 |
모니터링 및 알람 | 장애 감지 및 이벤트 지연 추적 어려움 | Prometheus + Grafana, Kafka Exporter 기반 메트릭 수집 | |
이벤트 흐름 로깅 및 분석 | 운영 시 흐름 추적 및 장애 디버깅 필수 | 중앙 집중 로그 관리 (EFK/ELK), 표준 로깅 포맷 적용 | |
6. 보안 및 접근 제어 | 이벤트 암호화 및 인증 | 이벤트 위조/탈취/도청 가능성 존재 | TLS/mTLS 적용, OAuth2/JWT, 메시지 무결성 검증 |
권한 관리 및 접근 제어 | 구독자/발행자 간 접근 정책 미비 시 보안 취약 | RBAC/IAM 정책, ACL 기반 구독 제어 | |
민감 데이터 보호 | 개인정보 또는 중요 정보 포함 이벤트 전송 시 보안 요구 | 페이로드 내 암호화, 토큰화, 감사 로그 관리 | |
7. 테스트 및 운영 전략 | 테스트 전략 | 비동기 흐름 테스트 어려움 | Mock Broker, 통합 E2E 테스트 환경 구축 |
배포 전략 | 메시지 변경 시 중단 없는 배포 전략 필요 | Rolling Update, 브로커/서비스 독립 배포 설계 | |
비용 효율화 전략 | 저장소 및 리소스 사용 증가 → 운영비용 상승 | Tiered Storage, 데이터 압축, Retention 정책 설정 | |
조직 및 협업 표준화 | 이벤트 혼재 및 중복 발생 가능 | 이벤트 카탈로그, 이벤트 네이밍/스키마 표준 수립 |
핵심 요약
- 가장 중요한 요소는 스키마 안정성, 장애 복구 전략, 가시성 확보, 보안 강화 네 가지.
- 스키마 Registry와 멱등성 설계, DLQ 정책은 모든 메시징 시스템에서 필수적.
- 운영 자동화를 위해 Prometheus, OpenTelemetry, Kafka Exporter 등의 도구 연동을 강력히 권장.
EDA 기반 SaaS 설계 전략
SaaS 와 EDA 결합 시 설계 목적
- 테넌트 간 격리와 이벤트 흐름의 재사용성 확보
- 확장성 높은 모듈화, 이벤트 기반 플러그인/모듈 구성
- 멀티테넌시 (Multi-tenancy) 환경에서도 비동기 확장 가능
설계 아키텍처
graph TD CLIENT[Multi-Tenant UI/API] CLIENT --> SVC["Domain Service (Order/Invoice/Auth)"] SVC --> OUTBOX[(Outbox Table)] OUTBOX --> CONNECT[CDC/Kafka Connect] CONNECT --> BROKER[Kafka Broker] BROKER --> AUDIT[Audit Service] BROKER --> TENANT1[Tenant-1 Invoice Service] BROKER --> TENANT2[Tenant-2 Invoice Service] BROKER --> ML[Anomaly Detection ML Model]
SaaS 설계 핵심 전략
전략 항목 | 설명 | 적용 예시 |
---|---|---|
멀티테넌시 처리 | 이벤트에 tenant_id 필수 포함 | Kafka Topic 내 Header 또는 Payload |
도메인 분리 | 기능 단위 마이크로서비스 구성 | 주문, 결제, 알림을 분리 |
Outbox Pattern | 데이터 정합성과 메시지 일관성 확보 | DB → Outbox Table → Kafka |
동적 Subscription | 테넌트에 따라 동적 Consumer 구성 | Runtime Topic Routing (Spring Cloud Stream 등) |
확장성 기반 이벤트 필터링 | 토픽 필터, Consumer 분리 | Kafka Streams, Kafka Router 활용 |
테스트 전략
테스트 유형 | 테스트 대상 | 목적/전략 | 주요 도구 및 기법 |
---|---|---|---|
유닛 테스트 | 이벤트 핸들러 로직 | 단일 이벤트 처리 함수의 정확성 검증 | pytest , unittest , MockKafkaConsumer , mock 객체 주입 |
통합 테스트 | Producer ↔ Broker ↔ Consumer 전체 흐름 | 실제 메시지 브로커 포함, end-to-end 이벤트 흐름 검증 | Testcontainers , Embedded Kafka , Spring Test , FastAPI TestClient |
계약 테스트 | Producer ↔ Consumer 간 메시지 계약 | 메시지 스키마 호환성 및 계약 위반 방지 | Pact , AsyncAPI , Kafka Schema Registry |
회귀 테스트 | 과거 이벤트의 재처리 검증 | 기존 이벤트 처리 로직에 대한 후행 이슈 방지 | Event Replay , Kafka Replay , Event Store Replay |
성능 테스트 | Broker 처리량, Consumer 처리 속도 | 처리량/지연/스루풋 측정, 병목 파악 | k6 , Locust , kafka-producer-perf-test.sh , Gatling |
Chaos 테스트 | 브로커 및 컨슈머 장애 대응 시나리오 | 장애 발생 시 복원력과 격리성 확인 | Gremlin , Chaos Monkey , 네트워크 차단 시뮬레이션 등 |
테스트 전략 적용 포인트
항목 | 전략/설명 | 권장 사항 |
---|---|---|
스키마 안정성 | Producer/Consumer 간 메시지 호환성 테스트 | Schema Registry , Mock Registry , 계약 테스트 통합 활용 |
이벤트 순서 보장 | 파티션 키 기준 순서 테스트 (FIFO 보장 여부) | 동일 partition key 로 연속 메시지 발행 |
동시성/경쟁 조건 탐지 | Consumer 그룹 내 병렬 처리 시 Race Condition 검증 | 다중 컨슈머 환경 구성, 처리 순서 로깅 후 분석 |
에러 및 복원력 | 컨슈머 실패 시 DLQ 이동, 재시도 전략 테스트 | Retry Handler , Dead Letter Queue , Circuit Breaker 사용 |
성능 임계 테스트 | 고트래픽 환경에서 처리량 한계 및 메시지 지연 시간 측정 | 대용량 이벤트 발행, 메시지 Queue 적체 시나리오 구성 |
유닛 테스트 코드 검토 및 개선 (Python 기준)
|
|
✅ 의의:
- 이벤트 유효성 검증 추가
- 예외 케이스 테스트 포함
- 단위 테스트의 독립성과 재현성을 강화
퍼블리싱 전달 보증 수준 (Delivery Guarantees)
각 메시징 시스템은 서로 다른 전달 보증 수준을 제공하며, 보증 수준 설계 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보증 수준 | 정의 | 보장 조건 및 전제 | 실현 메커니즘 | 대표 활용 시나리오 | 예시 기술 |
---|---|---|---|---|---|
At-most-once | 최대 한 번 전달 (손실 허용) | 네트워크 오류, Consumer 다운 시 손실 발생 가능 | - 메시지 전송 후 즉시 삭제 - Ack 없이 전송 - Retry 없음 | - 로그 전송 - 실시간 모니터링 - Push 알림 등 손실 허용 가능한 상황 | UDP 기반 전송 Kafka (acks=0) |
At-least-once | 최소 한 번 이상 전달 (중복 허용) | - 메시지 손실 없이 도착 보장 - 중복 발생 가능성 존재 | - 메시지 재시도 (Retry) - Ack 기반 수신 확인 - 브로커 메시지 저장 유지 | - 결제 처리 - 주문 시스템 - 데이터 적재 (중복 필터링 가능 시) | Kafka (acks=1), RabbitMQ, SQS |
Exactly-once | 정확히 한 번 전달 보장 | - 메시지 중복도, 손실도 모두 방지 - 시스템 전반의 idempotency 필요 | - Idempotent Producer 설정 - Transactional Consumer - 메시지 상태 관리, 중복 제거 로직 필요 | - 금융 이체 - 분산 트랜잭션 - 이벤트 소싱 기반 영속성 처리 | Kafka EOS Kafka Streams SQS FIFO + deduplication ID |
핵심 비교 요약
항목 | At-most-once | At-least-once | Exactly-once |
---|---|---|---|
신뢰도 | 낮음 (손실 가능) | 중간 (중복 가능) | 높음 (중복/손실 모두 방지) |
성능 | 매우 빠름 | 중간 | 상대적으로 낮음 (복잡한 처리 필요) |
복잡도 | 낮음 | 중간 | 높음 |
실현 비용 | 거의 없음 | 재시도, 저장소 필요 | 트랜잭션 로그, 상태 관리 등 부가 시스템 요구 |
적합 용도 | 비핵심 정보, 손실 허용 | 핵심 정보, 중복 허용 | 비즈니스 핵심 정보, 중복/손실 모두 금지 |
Kafka - 전달 보증 구현 방법
보증 수준 | 설정 항목 | 설정 방법 및 설명 |
---|---|---|
At-most-once | acks=0 | 프로듀서가 메시지 전송 후 Ack 기다리지 않고 즉시 성공 처리 (손실 가능) |
retries=0 | 재시도 없이 실패 시 메시지 손실 허용 | |
At-least-once | acks=1 또는 acks=all | 브로커가 수신 확인을 해야 전송 성공 처리 (acks=all 은 더 안정적) |
enable.auto.commit=false | 컨슈머가 명시적으로 오프셋 커밋 (처리 실패 시 재시도 가능) | |
retries > 0 | 메시지 전송 실패 시 자동 재시도 | |
Exactly-once | enable.idempotence=true | 동일 메시지 재전송 시 중복 방지 |
transactional.id | 트랜잭션 기반으로 프로듀서 구성 | |
컨슈머 측 read_committed 설정 | 커밋된 메시지만 읽도록 설정 |
RabbitMQ - 전달 보증 구현 방법
보증 수준 | 설정 항목 | 설정 방법 및 설명 |
---|---|---|
At-most-once | auto-ack=true | 컨슈머가 수신 즉시 Ack 전송 → 처리 실패 시 재시도 불가 (손실 허용) |
durable=false , persistent=false | 큐 및 메시지를 메모리 기반으로 유지 | |
At-least-once | auto-ack=false | 컨슈머가 처리 완료 후 수동 Ack 전송 |
durable=true , persistent=true | 큐와 메시지를 디스크에 저장 | |
prefetch > 0 | QoS 제어로 병렬 처리 제어 | |
Exactly-once | 명시적 지원 없음 (RabbitMQ 자체 한계) | 대신 중복 허용 후 Idempotent Consumer 로 구현 필요 |
message deduplication 로직 수동 구현 | 메시지 ID 기반 중복 방지 (Redis/DB 활용 등) |
컴플라이언스 보장 (Compliance Assurance)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권장 전략 및 도구 예시 |
---|---|---|---|
1. 데이터 감사 및 추적성 | 이벤트 이력 관리 (Audit Trail) | 모든 이벤트의 생성, 발행, 소비 내역을 시간 순으로 기록하여 변경 추적 및 감사 대응 가능 | Kafka Topic Logging, Event Store, Kafka Connect + Sink Connectors |
감사 로그 및 액세스 추적 | 누가 언제 어떤 이벤트를 처리했는지에 대한 상세 로그 확보 | SIEM 연동 (예: ELK, Splunk), Prometheus Alert + Loki | |
2.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보호 | PII/PHI 보호 | 개인식별정보, 의료정보 등을 이벤트 내에서 암호화 또는 토큰화하여 보호 | AES256 암호화, Vault, Macaroon Token, Field-Level Encryption |
스키마 기반 보호 | 스키마를 활용하여 민감 필드에 대한 정책 기반 마스킹/제한 | Confluent Schema Registry + Field Rule 정책 | |
3. 인증 및 접근 통제 | 인증/인가 및 권한 관리 | 이벤트 브로커, Consumer, Producer 간의 접근 권한을 엄격히 관리 | Kafka ACL, OAuth2.0, JWT, IAM 정책 기반 제어 |
멀티 테넌시 지원 | 사용자/조직 별 격리된 리소스와 권한 정책 제공 | Topic per Tenant, Resource Quota, Namespace 기반 격리 | |
4. 데이터 보존 및 삭제 정책 | 이벤트 보존 정책 설정 | 법적/규제 요건에 따라 보존 주기 관리 (예: 1 년, 7 년) | Kafka Retention 설정, Tiered Storage, TTL 기반 Cleanup |
규제 기반 데이터 삭제 | 데이터 삭제 요청 (예: GDPR 의 Right to be Forgotten) 에 따른 제거 절차 구현 | 데이터 제거 워크플로우 정의, Kafka Tombstone 메시지 활용 | |
5. 지역 및 규제 준수 | 데이터 주권 및 지역 제한 | 특정 지역 내 데이터 저장 및 전송 요구 (GDPR, HIPAA, 등) | Region 기반 Partition 분리, Cross-Region 암호화 Replication |
국제 규제 대응 | ISO27001, SOC2, HIPAA, GDPR 등 글로벌 기준에 대한 시스템 대응 | 감사 프로세스 문서화, CSP 규제 대응 체크리스트, 데이터 접근 로깅 |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최적화 항목 | 설명 | 권장사항 |
---|---|---|---|
성능 | 배치 처리 (Batching) | 처리량을 높이고 네트워크 호출을 줄이기 위해 다수의 메시지를 일괄 처리 | 적응형 배치 크기 조정, 처리 지연 한계 설정 |
압축 (Compression) | 전송 메시지의 크기를 줄여 네트워크 대역폭과 I/O 부담을 줄임 | Snappy, LZ4, ZSTD 등 경량 압축 알고리즘 | |
캐시 (Caching) | 반복적인 데이터 조회를 줄이고 처리 속도를 개선 | CQRS read-side 에 Redis 등 캐시 계층 도입 | |
메시지 필터링 | 불필요한 메시지 처리 방지로 소비자 부하 경감 | 브로커 수준 필터링 또는 Subscription 조건 지정 | |
브로커 튜닝 | 큐 깊이, I/O 성능, 스레드 풀 설정 등을 통한 메시지 처리 최적화 | Kafka 설정 조정 (num.network.threads 등) | |
확장성 | 파티셔닝 전략 (Partitioning) | 메시지를 키 기반으로 파티셔닝하여 병렬 처리 성능과 확장성 확보 | 비즈니스 키 기반 파티션 키 설계, 핫스팟 방지 |
Consumer Group 병렬 처리 | Consumer 를 여러 인스턴스로 병렬화하여 메시지 처리 속도 증가 | Consumer Group 구성, Partition 수와 동기화 | |
Auto Scaling | 트래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확장 또는 축소 | 큐 깊이, CPU, 메시지 처리율 기반 스케일링 트리거 설정 | |
로드 밸런싱 | 다양한 인스턴스에 부하를 균등 분산 | 라운드로빈, 가중치 기반 로드 밸런서 구성 | |
신뢰성 및 안정성 | 이벤트 순서 보장 | 분산 처리 환경에서 순서를 보장해야 하는 요구사항 대응 | Kafka 파티션 단위 순서 보장, 키 기반 순서 설계 |
멱등성 (Idempotency) | 동일 메시지 중복 처리 방지를 통해 중복 트랜잭션 발생 방지 | 이벤트 ID 사용, 컨슈머 측 중복 체크 로직 구현 | |
복제 및 내결함성 | 브로커 장애 및 데이터 손실 방지 | Kafka 3-way replication, 페일오버 구성 | |
장애 복구 및 재처리 | 실패 메시지에 대한 DLQ 처리 및 재시도 전략 | DLQ 구성, Retry 정책, Backoff 설정 | |
이벤트 크기 제한 | 과도하게 큰 이벤트가 브로커 성능을 저하하지 않도록 제한 | payload 크기 제한, 압축 활용 | |
운영 및 관찰성 | 모니터링 및 경고 | 지연, 오류율, 처리율 등 주요 지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 Prometheus + Grafana 대시보드, Alert 설정 |
추적 (Tracing) | 이벤트 흐름에 대한 분산 추적 가능 | Correlation ID, OpenTelemetry, Jaeger | |
백프레셔 (Backpressure) | 소비자가 따라가지 못할 때 시스템 전체 과부하 방지 | Reactive Streams, 메시지 버퍼 적용, Rate Limiter | |
부하 테스트 및 예측 | 실제 트래픽을 반영한 사전 테스트로 병목 탐지 | Gatling, k6, chaos test 구성 | |
메시지 계약 및 일관성 | 메시지 스키마 관리 | 생산자 - 소비자 간 메시지 계약 안정성 유지 | Schema Registry, 버전 관리, 호환성 정책 |
정확성 보장 전송 방식 | 메시지가 중복되거나 누락되지 않도록 전송 전략 정의 | At-least-once 기본, Exactly-once 필요 시 트랜잭션 연계 | |
메시지 정리 전략 | 처리 완료된 메시지의 보관 주기 및 스토리지 최적화 | Kafka retention 설정, 압축 주기, 아카이빙 정책 |
핵심 정리
분류 | 핵심 체크포인트 |
---|---|
설계 관점 | 파티셔닝, 메시지 크기, 이벤트 모델링 |
처리 관점 | 병렬성, 배치, 캐싱, 필터링, 압축 |
운영 관점 | 모니터링, 트레이싱, DLQ, 백프레셔 대응 |
확장/복구 관점 | 오토스케일링, 페일오버, 복제, 멱등성, 정확한 재처리 설계 |
안정성 관점 | 메시지 스키마 안정성, 순서 보장, 트랜잭션 보장 수준 (at-least, exactly) |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핵심 항목 | 설명 및 기술적 적절성 검토 |
---|---|---|---|
아키텍처 특성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EDA) | 비동기성 | 생산자와 소비자 간 시간적 분리로 시스템 유연성과 확장성 확보 가능. 대기 없이 처리가 가능한 구조. |
확장성 | 리스너 또는 소비자 추가가 쉬워 수평적 확장에 유리.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와 궁합이 좋음. | ||
장애 격리 | 생산자와 소비자의 결합도가 낮아 개별 실패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덜 미침. | ||
실시간성 | 이벤트 발생과 동시에 처리 흐름 시작 가능. 스트리밍 처리 기반 설계에 적합. | ||
패턴 및 설계 | Event Sourcing | 이벤트 기반 상태 재구성 | 모든 변경 사항을 이벤트로 저장하여 상태 복구, 감사 추적 용이. Snapshot 최적화 필요. |
CQRS | 명령 (Command) 과 조회 (Query) 분리 | 성능 최적화, 확장성 향상에 기여. 읽기/쓰기 모델 독립 유지 가능. | |
Event Carried State Transfer | 이벤트에 상태를 포함하여 전달 | 수신자가 자체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처리 가능. 분산 환경에서의 상태 동기화에 적합. | |
Saga Pattern | 분산 트랜잭션 관리 패턴 | Orchestration 또는 Choreography 방식으로 마이크로서비스 간 트랜잭션 보장. | |
Outbox Pattern | DB 트랜잭션 내 메시지 발행 | DB 와 메시지 전송의 원자성 보장. Kafka Connect 등과 연계해 안정성 확보. | |
도구 및 플랫폼 | Apache Kafka | 분산 스트리밍 플랫폼, Streams, KSQL 등 | 고성능/확장성/내결함성 기반 대용량 이벤트 처리. 거의 업계 표준. |
Apache Pulsar | 클라우드 네이티브 메시징, Geo-Replication | Kafka 보다 다양한 멀티테넌시 기능. 성능/기능 균형. | |
RabbitMQ | AMQP 기반 메시지 브로커 | 실시간 처리와 라우팅에 적합. 복잡한 라우팅 및 보안에 유리. | |
NATS | 경량 메시징 시스템 | 마이크로서비스 사이 고속 통신용으로 설계. 낮은 지연 시간에 강점. | |
Event Store | 이벤트 영속 저장소 | Event Sourcing 기반의 스토리지로 Snapshot 지원 필수. | |
Event Mesh | 분산 이벤트 브로커 네트워크 | 서로 다른 메시지 시스템과 클라우드/온프레미스 환경 통합에 강력함. Solace, Confluent 등이 지원. | |
운영 및 모니터링 | Distributed Tracing | Jaeger, Zipkin, OpenTelemetry | 이벤트 흐름 추적 및 디버깅. 메시지 기반 구조에서 추적 필수. |
Observability |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 통합 | OpenTelemetry 기반 수집. 이벤트 손실/지연 모니터링에 유리. | |
보안 | TLS, OAuth, ACL | 이벤트 전송 시 암호화 및 권한 제어는 필수. 메시지 기반 보안 취약점 대비 필요. | |
기술 트렌드 | Serverless EDA | AWS Lambda, Azure Functions | 이벤트 발생에 반응하여 실행되는 함수 기반 처리. 비용 효율적이며 운영 단순. |
AI/ML 통합 | 실시간 스트림 처리에서 추론 | 이벤트 흐름에서 실시간 추론 모델을 직접 실행. 스트림 기반 ML 과 궁합. | |
Edge Computing | IoT/5G 기반 엣지 이벤트 처리 | 중앙 서버가 아닌 말단에서 이벤트 처리 가능. 지연 최소화. | |
Multi-Cloud EDA | Cross-Cloud 메시징 | 이벤트 Mesh + 클라우드 간 라우팅 전략 필수. 장애 회복 및 지리적 확장에 유리. | |
Cloud Native | Kubernetes, Service Mesh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컨테이너 환경에 통합. Sidecar 패턴과 함께 운영 최적화. | |
메시징 패턴 | Pub/Sub | 생산자 - 소비자 간 비동기, 다대다 모델 | 느슨한 결합, 확장성 핵심. 이벤트 기반 시스템의 근간. |
주제와 관련하여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핵심 항목 | 설명 |
---|---|---|---|
1. 핵심 개념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EDA) | 이벤트, Producer, Consumer, Broker, 비동기, 디커플링 | 시스템 구성 요소 간 느슨한 결합을 통해 확장성과 유연성을 확보하는 아키텍처 스타일 |
메시징 패턴 | Pub/Sub, Point-to-Point | 메시지 전달 방식으로 다수 소비자 또는 단일 소비자 구조 선택 가능 | |
비동기 프로그래밍 | Callback, Promise, Future, Async/Await | 시간적으로 분리된 이벤트 기반 처리 메커니즘 | |
분산 시스템 기초 이론 | CAP, ACID vs BASE, Consistency Models | 분산 환경에서의 트레이드오프 이해는 메시징 기반 설계에 필수 | |
2. 아키텍처 패턴 | CQRS | Command-Query 분리 | 쓰기와 읽기를 분리하여 확장성, 성능, 유지보수성 향상 |
Event Sourcing | Event Log, Replay | 상태를 이벤트의 흐름으로 구성하여 재구성 가능 | |
Saga Pattern | 보상 트랜잭션, 롱런 트랜잭션 처리 | 분산 시스템에서 롤백 불가능한 트랜잭션 관리 | |
Outbox Pattern | DB 와 메시지 브로커 간 정합성 확보 | 트랜잭션 로그 기반 이벤트 발행 전략 | |
SEDA | 단계별 큐 분리 구조 | 각 처리 단계를 분리하여 유연한 비동기 처리 구조 구성 | |
3. 이벤트 설계 | 이벤트 모델링 | Domain Event vs Integration Event | 내부 도메인 로직과 외부 통합 메시지를 구분하여 설계 |
이벤트 스키마 관리 | Schema Registry, Schema Evolution | 메시지 포맷의 버전 관리 및 하위 호환성 확보 | |
멱등성 / 중복 방지 | Idempotency Token, Deduplication | 중복 이벤트 처리 방지 및 안전한 재처리 가능성 확보 | |
4. 메시지 브로커 | 주요 브로커 기술 비교 | Kafka, RabbitMQ, Pulsar, NATS | 메시징 기술별 성능, 보장 수준, 프로토콜 특성 비교 |
Kafka 구조 심화 | Topic, Partition, Consumer Group | 병렬 처리, 확장성 확보를 위한 핵심 구조 이해 | |
Routing & Filtering | Topic Routing, Header 기반 필터링 | 이벤트 전달 경로 설정 및 관심사 분리 구현 | |
5. 운영 및 신뢰성 | 메시지 추적 및 장애 대응 | Correlation ID, DLQ, Retry, Backpressure | 안정적 처리를 위한 장애 인식 및 복구 설계 |
모니터링 & 관찰 가능성 | Metrics, Logging, Tracing (Jaeger, Prometheus) | 이벤트 흐름, 지연, 에러에 대한 시각적 추적 가능성 확보 | |
보안 및 인증 | TLS 암호화, OAuth2, 인증/인가 | 메시징 전송의 무결성과 안전성 확보 | |
정확성 보장 | At-least-once, At-most-once, Exactly-once | 처리 보장 수준에 따른 전략 및 보상 설계 | |
6. 연계 기술 및 배포 | DevOps 및 배포 환경 | CI/CD, IaC, Canary, Blue-Green | 메시징 구성 요소의 지속적 배포 및 관리 |
컨테이너 및 오케스트레이션 | Docker, Kubernetes | 메시지 브로커 및 소비자 서비스의 배포 및 확장 | |
스트림 처리 엔진 | Kafka Streams, Apache Flink | 이벤트 스트림 기반의 실시간 분석과 처리 기술 | |
프레임워크 통합 | Spring Cloud Stream, NestJS Event Modules | 언어 및 플랫폼 기반 프레임워크 연계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핵심 개념 | Event (이벤트) | 시스템 내에서 발생하는 의미 있는 상태 변화 또는 비즈니스 사건을 나타내는 불변 메시지 객체 |
Event Producer (발행자) | 이벤트를 생성하고 브로커에 발행하는 컴포넌트 | |
Event Consumer (소비자) | 이벤트를 구독하여 처리하는 컴포넌트 | |
Event Broker / Bus (브로커) | 이벤트를 중계, 라우팅, 전달하는 미들웨어 (예: Kafka, RabbitMQ 등) | |
Event Store (이벤트 저장소) | 이벤트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는 로그 기반 저장소 | |
아키텍처 스타일 | Event-Driven Architecture | 느슨하게 결합된 컴포넌트가 이벤트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아키텍처 |
Event Mesh | 분산 환경에서 여러 이벤트 브로커를 연결해 메시지를 전파하는 메시징 인프라 | |
Broker Topology | 중앙 브로커 기반의 메시지 라우팅 구조 | |
Mediator Topology | 중앙 중재자가 워크플로우나 로직을 조정하는 구조 (ex: BPM, Orchestration 등) | |
아키텍처 패턴 | Event Sourcing | 시스템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기록하여 상태를 복원할 수 있게 하는 아키텍처 패턴 |
CQRS | Command(명령) 와 Query(조회) 를 분리하여 확장성과 성능을 개선하는 패턴 | |
Saga Pattern | 분산 트랜잭션에서 보상 트랜잭션 기반으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장기 실행 트랜잭션 처리 패턴 | |
Outbox Pattern | 데이터베이스와 이벤트 발행 사이의 정합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 기법 | |
SEDA (Staged Event-Driven Arch.) | 각 단계 (stage) 를 독립된 큐로 분리하여 병렬성과 처리 유연성을 높이는 구조 | |
메시징 기술 및 도구 | Apache Kafka | 분산 메시징 플랫폼. 고성능, 파티셔닝, 스트리밍 처리에 적합 |
RabbitMQ | AMQP 기반의 메시지 브로커. 라우팅 유연성과 신뢰성 높은 전송 지원 | |
Schema Registry | 메시지 스키마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시스템 | |
AsyncAPI | 비동기 메시징 시스템의 계약 및 문서를 정의하기 위한 오픈 표준 | |
Jaeger | 트레이싱을 위한 오픈소스 도구로, 이벤트 흐름 추적에 사용됨 | |
운영 및 성능 기법 | DLQ (Dead Letter Queue) | 처리 실패한 메시지를 별도로 보관하여 재처리나 문제 분석에 활용 |
Correlation ID | 요청 - 응답 메시지를 연결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 | |
Idempotency (멱등성) | 동일한 메시지를 여러 번 처리해도 동일한 결과를 보장하는 성질 | |
Exactly-once Delivery | 메시지가 중복 없이 정확히 한 번만 전달되도록 보장하는 전략 | |
Eventual Consistency | 분산 환경에서 일시적으로 불일치하더라도 최종적으로 일관성에 도달하는 속성 | |
Backpressure | 시스템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메시지 흐름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 |
Circuit Breaker | 장애 발생 시 시스템 전체 전파를 막기 위한 보호 장치 | |
처리 기술 | Stream Processing |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흐름을 처리하는 방식 (예: Flink, Kafka Streams 등) |
Message Queue | 메시지를 큐에 임시 저장하고 순서 보장 및 비동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 | |
Partition | 메시지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Kafka 에서 사용하는 논리 단위 |
참고 및 출처
개요 및 개념
- Event-Driven Architecture – Wikipedia
- What is Event-Driven Architecture? – AWS
- Event-Driven Architecture – Microsoft Azure
- Event-Driven Architecture: A Complete Introduction – Confluent
- Event-Driven Architecture – IBM
- Understanding Event-Driven Architecture – Dev.to
- Event-Driven Architecture Overview – Red Hat
- Event-Driven Architecture – Hazelcast
- Mastering Event-Driven Architecture – Dev.to
- Event-Driven Architecture – Spiceworks
- Event (Computing) – Wikipedia
아키텍처 패턴 & 디자인
- Event-Driven Architecture Patterns – Solace
- Event-Driven Architecture Topologies – 3Pillar Global
- Architecture Patterns – O’Reilly
- Enterprise Integration Patterns – Event-Driven Architecture
- 10 Principles for Your Event-Driven Architecture – DEV Community
- Journey to Event Driven – Medium
도구 및 기술 스택
- Apache Kafka – 공식 문서
- RabbitMQ – 공식 문서
- Apache Storm – Wikipedia
- AsyncAPI – Event Contract Design
- Event Sourcing – Martin Fowler
- Saga Pattern – Microservices.io
- Event Sourcing – Microservices.io
- Event-Driven Architecture In Python – PeerDH
실무 적용 사례
- Real-World Applications of EDA – RisingWave
- 10 Event-Driven Architecture Examples – Estuary
- Example Use Cases – Reddit Microservices
- 4 Event-Driven Architecture Use Cases – Ably
- Implementing EDA for Complex Backend – Talent500
- How to Diagram Events – IcePanel
장점과 단점 분석
- Pros and Cons of EDA – Solace
- Pros and Cons of EDA – Victor Leung
- Disadvantages of EDA – 3Pillar Global
- EDA: Benefits and Drawbacks – Medium
- My Top Ten Cons of EDA – LinkedIn
- Scaling EDA: Challenges and Solutions – Analytics In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