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ch Processing
배치 처리 (Batch Processing) 는 여러 데이터 작업을 묶어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방식이다. 이는 주로 대용량 데이터 집계, 변환, 백업, 보고서 생성 등 반복적이고 대규모 작업에 적용된다. 배치 처리는 데이터 흐름 아키텍처의 한 형태로, 자동화, 확장성, 일관성, 오류 복구 등에서 강점을 가지며, 실시간 처리와는 다른 효율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현대 IT 시스템에서는 분산 처리, 스케줄링, 장애 복구 등과 결합되어 다양한 산업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배경
- 대규모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처리될 필요가 없을 때, 리소스 효율성과 자동화, 신뢰성을 위해 배치 처리 방식이 도입됨.
- 초기 메인프레임 환경에서부터 현대의 분산 시스템, 클라우드 환경까지 널리 사용됨.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 시스템 리소스의 효율적 활용
- 대용량 데이터 처리 능력 확보
- 운영 비용 절감
- 처리 품질 및 일관성 보장
필요성
- 실시간 처리로는 불가능한 대용량 연산
- 시스템 부하 분산 및 관리
- 정기적인 데이터 분석 및 보고서 생성
- 규제 준수 및 감사 요구사항 충족
핵심 개념
배치 처리 (Batch Processing) 란, 대량의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이나 조건에 따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방식이다. 실시간 처리 (Real-time Processing) 와 달리, 즉각적인 결과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데이터가 충분히 모인 후 한 번에 처리한다.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Data-Flow Architecture) 내에서, 데이터가 여러 처리 단계를 거치며 흐르는 구조로 설계된다.
기본 개념
배치 처리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핵심 개념들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 | 정의 | 주요 특징 및 목적 |
---|---|---|
배치 작업 (Batch Job) | 사용자 개입 없이 자동 실행되는 일련의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 집합 | - 순차 실행 - 정해진 스케줄 기반 실행 - 무인 처리, 반복 가능 |
청크 처리 (Chunk Processing) | 대용량 데이터를 작은 단위 (청크) 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처리 | - 메모리 사용 최소화 - 장애 발생 시 청크 단위 복구 - 효율적 리소스 관리 |
배치 윈도우 (Batch Window) | 시스템이 배치 작업을 실행하도록 허용된 특정 시간 구간 | - 낮은 트래픽 시간 활용 - 시스템 부하 최소화 - 운영 안정성 확보 |
ETL 패턴 | 데이터를 추출 (Extract) 하고, 변환 (Transform) 하여, 적재 (Load) 하는 3 단계 처리 패턴 | - 데이터 웨어하우스, BI 시스템의 기본 - 주로 배치 작업으로 수행됨 |
실무 구현을 위한 연관성 분석
핵심 개념들이 실무 구현에서 갖는 연관성을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처리 효율성 측면
- 청크 처리와 메모리 관리의 연관성
- 병렬 처리와 스케줄링의 상호작용
시스템 안정성 측면
- 체크포인트와 장애 복구 메커니즘
- 재시작 기능과 상태 관리
운영 관리 측면
- 모니터링과 로깅 시스템 통합
- 알림 시스템과 에러 핸들링
주요 기능 및 역할
데이터 수집 및 집계
-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 수집
- 데이터 품질 검증 및 정제
- 통계 및 집계 연산 수행
스케줄링 및 워크플로우 관리
- 시간 기반 또는 이벤트 기반 실행
- 작업 간 의존성 관리
- 실행 순서 제어
리소스 관리
- CPU, 메모리, 스토리지 최적화
- 네트워크 대역폭 효율적 사용
- 시스템 부하 분산
특징
구분 | 특징 | 설명 |
---|---|---|
처리 방식 | 일괄 처리 |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 |
실행 시점 | 지연 처리 | 실시간이 아닌 스케줄된 시점에 실행 |
리소스 사용 | 집중적 사용 | 특정 시간대에 리소스를 집중 활용 |
처리량 | 고처리량 | 단위 시간당 많은 데이터 처리 가능 |
핵심 원칙
단순성 (Simplicity)
- 복잡한 실시간 동기화 없이 단순한 순차 처리
확장성 (Scalability)
- 데이터 양과 처리 요구사항에 따른 수평적 확장
내결함성 (Fault Tolerance)
- 장애 발생 시 복구 및 재시작 능력
재현성 (Reproducibility)
- 동일한 입력에 대해 일관된 결과 보장
주요 원리
- 입력 데이터 집합을 모아 한 번에 처리
- 각 처리 단계는 독립적이거나 파이프라인 형태로 연결됨
- 작업 단위 (Job) 로 분할하여 관리
graph TD A[데이터 소스] --> B[데이터 수집] B --> C[큐/버퍼] C --> D[배치 작업 스케줄러] D --> E[배치 프로세서] E --> F[데이터 변환] F --> G[결과 저장] G --> H[모니터링 및 로깅] D --> I[작업1] D --> J[작업2] D --> K[작업N] I --> L[청크 처리] J --> M[청크 처리] K --> N[청크 처리]
배치 처리의 핵심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수집 단계: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임시 저장소에 축적
- 스케줄링 단계: 미리 정의된 스케줄에 따라 배치 작업 실행
- 처리 단계: 수집된 데이터를 청크 단위로 나누어 순차적 또는 병렬 처리
- 출력 단계: 처리 결과를 목적지 시스템에 저장
작동 원리 및 방식
Batch Processing 은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sequenceDiagram participant Scheduler participant Source participant Staging participant Processor participant Target participant Monitor Scheduler->>Source: Trigger Batch Job Source->>Staging: Extract Data Staging->>Processor: Provide Raw Data Processor->>Target: Load Transformed Data Processor->>Monitor: Emit Logs & Metrics Monitor-->>Scheduler: Notify Completion/Error
- Trigger: 특정 시간/이벤트 기반으로 배치 작업 시작
- Ingestion: 원본 시스템에서 데이터 추출
- Staging: 임시 저장소에 데이터 저장 (HDFS, S3 등)
- Processing: Spark, Hadoop, SQL 등으로 처리 수행
- Validation: 처리 결과 유효성 검사 (null, outlier 등)
- Load: 결과를 Data Warehouse 또는 DB 에 저장
- Logging/Monitoring: 실행 이력 및 에러 로깅
- Alerting: 실패 시 알림 전송
구조 및 아키텍처
Batch Processing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주요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이 구조는 데이터 수집 → 처리 → 저장 → 모니터링/알림까지 전체 워크플로우를 포괄한다.
graph TD A[Data Source] --> B[Data Ingestion] B --> C[Staging Area / Raw Storage] C --> D["Batch Scheduler (e.g., Airflow, StepFn)"] D --> E["Batch Processing Engine (e.g., Spark, Hadoop)"] E --> F["Target System (e.g., Data Warehouse)"] E --> G[Monitoring & Logging] G --> H["Alerting System (e.g., SNS, Email)"]
구성 요소
구분 | 구성 요소 | 설명 | 기능 및 역할 |
---|---|---|---|
필수 | Data Source | 원본 데이터 | 운영 DB, 로그, API, 파일 등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 수집 |
Ingestion Layer | 데이터 수집 계층 | 배치 주기 또는 이벤트 기반으로 원본 데이터를 수집 | |
Staging / Raw Storage | 임시 저장소 | 수집된 원본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후 처리나 검증을 위한 중간 저장소 역할 | |
Batch Scheduler | 작업 스케줄러 | 정해진 시간이나 조건에 따라 배치 작업 흐름 제어 (예: cron, Airflow 등) | |
Processing Engine | 데이터 처리 엔진 | Spark, Hadoop, SQL 엔진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환, 가공, 집계 | |
Target System | 결과 저장소 | 처리된 데이터를 적재할 최종 저장소 (예: DWH, 데이터 마트, 분석 시스템 등) | |
선택 | Monitoring System | 모니터링 도구 | 작업 실행 상태 모니터링, 성능 분석, 리소스 사용량 시각화 (예: Grafana, CloudWatch) |
Alerting System | 알림 시스템 | 오류/실패 발생 시 즉시 알림 전송 (예: SNS, Slack, PagerDuty 등) | |
Metadata Store | 메타데이터 저장소 | 배치 작업 실행 이력, 파이프라인 버전 관리, 작업 상태 저장 | |
Lineage Tracker | 데이터 라인리지 추적 시스템 | 데이터가 어디서 왔고 어떻게 가공되었는지를 추적하여 거버넌스와 감사 용도로 사용 |
구현 기법
카테고리 | 구현 기법 | 정의/핵심 기술 | 대표 도구/프레임워크 | 적용 시나리오/예시 |
---|---|---|---|---|
처리 단위 설계 | 청크 기반 처리 (Chunking) | 대용량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분할하여 메모리 효율적 처리 | Spring Batch, JSR-352 | 1 천만 건 주문 데이터 → 1 천 건 단위로 청크 처리 |
증분 처리 (Incremental Load) | 변경된 데이터만 추출하여 적재; 전체 리소스 소모 절감 | Airbyte, dbt, Kafka Connect | 전날 이후 변경된 사용자 로그만 적재 | |
파이프라인 구성 | 파이프라인 처리 (Pipeline) | 데이터 흐름을 단계별로 처리 (필터링, 변환, 집계 등) | Spring Batch, Cascading, NiFi | 로그 → 파싱 → 필터링 → 집계 → 저장 |
파이프라인 추상화 | Source-Pipe-Sink 추상화 구조로 흐름 재사용 | Cascading, StreamSets | 재사용 가능한 데이터 흐름 구성 | |
실행 및 스케줄링 | 정기 스케줄링 (Scheduling) | 정해진 시간에 자동 실행; 주로 cron 기반 | Linux Cron, Windows Scheduler | 매일 새벽 2 시 로그 집계 작업 수행 |
워크플로 오케스트레이션 | 작업 간 의존성, 재시도, 분기 흐름을 제어하는 복합 스케줄링 | Apache Airflow, AWS Step Functions, Luigi | 단계별 ETL 처리: 추출 → 정제 → 분석 → 적재 | |
병렬 및 분산 처리 | 병렬 처리 (Parallelism) | 병렬로 독립적인 작업 실행; 처리 시간 단축 | Java ThreadPool, Python multiprocessing | 지역별 데이터 집계 병렬 수행 |
분산 처리 (Distributed Batch) | 여러 노드/서버에 작업 분산; 대용량 고속 처리 | Hadoop MapReduce, Apache Spark | 수 TB 규모의 로그 처리 작업 분산 수행 | |
이벤트 기반 | 이벤트 트리거 처리 | 이벤트 발생 시 배치 트리거 실행 (on-demand batch) | AWS Lambda + S3, Cloud Functions + PubSub | 파일 업로드 → 자동 데이터 추출 및 적재 실행 |
트랜잭션/복구 | 트랜잭션 및 롤백 처리 | 청크 단위 트랜잭션, 실패 시 롤백 및 재처리 지원 | Spring Batch, Quartz | 일부 실패 시 재시도 가능하도록 트랜잭션 설정 |
체크포인트/라인리지 | 처리 중단 시 상태 저장 → 이후 이어서 실행 가능 | Apache Spark Lineage, Apache Flink Checkpoint | 실패 시 체크포인트부터 다시 실행 | |
최적화 기법 | 파티셔닝 | 파티션 기준으로 데이터 분할 → I/O 최적화 | Hive, BigQuery, Delta Lake | 일자별 파티션으로 로그 처리 속도 향상 |
병렬 청크 처리 | 청크 단위로 병렬 처리 및 병합; 트랜잭션 범위 내에서 동작 | Spring Batch Parallel Steps | 고객 데이터 10 만 건 병렬 청크 처리 | |
ETL 구성 | 전통적 ETL 패턴 | Extract → Transform → Load 순서의 일괄 처리 | Informatica, Talend, Apache Beam | ERP 데이터 → 정규화 → 분석용 적재 |
장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
1. 자원 효율성 | 리소스 집중 사용 | 오프피크 시간대에 작업 수행하여 유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 |
높은 처리량 | 대량 데이터를 청크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병렬 처리 가능 | |
시스템 리소스 최적화 | 특정 시간대에 집중 처리하여 전체적인 시스템 리소스 사용률 향상 | |
2. 신뢰성과 일관성 | 데이터 일관성 보장 | 트랜잭션 단위 처리와 검증을 통해 정합성과 무결성 유지 가능 |
장애 복구 능력 | 처리 중 장애 발생 시 중단된 청크부터 재처리 가능, 복구 메커니즘 내장 | |
예측 가능성 | 정해진 흐름과 순서로 동작하여 안정적이고 일관된 결과 제공 | |
3. 자동화 및 운영 효율 | 자동화된 실행 | 스케줄러 또는 이벤트 기반으로 무중단 자동 실행 가능 |
운영 효율성 |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적 개입 최소화, 오류 가능성 감소 | |
4. 확장성과 유연성 | 확장성 | 분산 처리 엔진 (Spark 등) 과 결합해 대규모 워크로드도 손쉽게 확장 가능 |
다양한 처리 방식 지원 | 청크 처리, 병렬 처리, 파이프라인 구성 등 다양한 처리 전략 적용 가능 | |
5. 비용 최적화 | 인프라 비용 절감 | 고성능 실시간 시스템 대신 저비용 인스턴스로도 운영 가능 |
온디맨드 자원 사용 | 클라우드 환경에서 작업 시간에만 리소스를 할당하여 비용 효율 극대화 |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대표 해결책 |
---|---|---|---|
1. 실시간성 부족 | 지연 시간 | 배치 주기 사이의 공백으로 인해 실시간 피드백 불가 | 마이크로 배치, Lambda/Kappa 아키텍처 구성 |
실시간성 미지원 | 긴 주기 또는 단일 대량 처리로 인해 실시간 이벤트 대응 어려움 | 실시간 처리와의 하이브리드 구성 | |
2. 리소스 문제 | 리소스 집중 | 특정 시간대 (배치 윈도우) 에 과도한 부하 발생 | 작업 분산, Auto-Scaling, 스케줄링 최적화 |
자원 경합 | 복수 배치 병렬 실행 시 CPU, IO 병목 발생 | 실행 타임슬롯 분리, QoS 기반 스케줄링, 쓰로틀링 적용 | |
3. 복잡성 및 운영 이슈 | 시스템 복잡성 | 클러스터, 의존성, 스케줄, 실패 처리 등 복잡한 오케스트레이션 필요 | 표준화된 파이프라인 설계, 워크플로우 엔진 사용 |
디버깅 어려움 | 대량 처리 중 발생한 오류를 찾기 어려움 | 세분화된 로그, 샘플링 기반 테스트, APM 도구 도입 | |
의존성 관리 어려움 | 순서와 의존성이 많은 경우 관리가 복잡해짐 | 의존성 그래프 및 워크플로우 엔진 활용 | |
4. 장애에 대한 취약성 | 전체 실패 위험 | 하나의 오류로 전체 작업 실패 가능성 | 청크 단위 처리, 단계별 체크포인트, 실패 격리 로직 적용 |
문제점
카테고리 | 항목 | 원인 | 영향 | 탐지 및 진단 방식 | 예방 전략 | 해결 기법 |
---|---|---|---|---|---|---|
1. 처리 실패 | 작업 실패 | 네트워크 장애, 시스템 다운 등 | 전체 작업 실패, 데이터 유실 | 시스템/네트워크 모니터링, 알림 시스템 | 장애 복구 구조 (Failover), 이중화 | 재시도 로직, 체크포인트 복원 |
스케줄 실패 | 트리거 누락, 시간 이벤트 불일치 | 배치 누락, 데이터 손실 | 스케줄 모니터링, 로그 분석 | 이벤트 조합 기반 스케줄링 | 재스케줄링, 예외 알람 | |
2. 데이터 무결성 | 데이터 불일치 | 처리 도중 원본 데이터 변경 | 결과 오류, 비즈니스 영향 | 버전 관리, 체크섬 검증 | 스냅샷 처리, 락 메커니즘 적용 | 트랜잭션 격리, 재처리 로직 |
부분 실패 시 전체 실패 | 일괄 커밋 구조에서 일부 청크 오류가 전체 실패로 확대됨 | 재처리 비용 증가, 운영 지연 | 에러 로그 추적, 청크 단위 상태 기록 | 청크 단위 커밋, 중간 체크포인트 적용 | 실패 청크 재처리, Retry 로직 적용 | |
3. 리소스 관리 실패 | 메모리 부족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중 메모리 초과 | 작업 실패, OOM, 성능 저하 | JVM 모니터링, 메모리 사용량 추적 | 청크 크기 조정, 힙 메모리 설정 최적화 | GC 튜닝, 스트리밍 처리 적용 |
리소스 과다 사용 | 동시 작업 및 대량 데이터 투입 | 시스템 전체 성능 저하, 비용 상승 | Prometheus, CloudWatch 등 리소스 모니터링 | 배치 분산, 시간대 분리 | 분산 처리 엔진 도입, 리소스 제한 설정 | |
4. 의존성 오류 | 의존성 충돌 및 순서 오류 | 설계 미비, 선행 작업 실패 | 데이터 누락, 오류 전파 | 워크플로우 상태 시각화, 그래프 기반 검증 | 순서 명확화, 의존성 도식화 | 작업 재설계, 조건 기반 실행 제어 |
도전 과제
카테고리 | 도전 과제 | 원인/배경 | 영향 | 해결 방안 | 적용 아키텍처/기법 |
---|---|---|---|---|---|
실시간성 통합 | 실시간성 요구 증가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속도 요구 증가 | 기존 배치 처리의 지연 한계 노출 | Kappa/Lambda 구조, 하이브리드 처리 설계 | Lambda, Kappa, Streaming + Batch 병합 |
복잡도 관리 | 워크플로우 복잡성 증가 | 의존성, 조건 분기, 트랜잭션 제어 로직 증가 | 설계/테스트/운영 난이도 상승 | Airflow/Luigi 등 DSL 기반 워크플로 도구 활용, 작업 단위 모듈화 | DAG 기반 워크플로우, Step Functions |
장애 복구/안정성 | 분산 환경에서의 장애 대응 | 병렬·분산 처리 환경 확대로 오류 감지/복구 어려움 | 처리 실패 후 전체 재처리 부담, SLA 위반 위험 | 체크포인트, 라인리지, 멱등성 설계, 이벤트 소싱 | Spark Lineage, Flink Checkpoint |
데이터 품질 | 자동 검증/정합성 보장 | 대량 처리 시 수동 검증 불가, 오류 발생 위치 추적 어려움 | 품질 저하, 데이터 분석/ML 결과 왜곡 | 검증 파이프라인 삽입, 테스트 더블, Schema Registry, Validation Rule 자동화 | Great Expectations, dbt tests |
규제 대응/보안 | 데이터 거버넌스 및 컴플라이언스 | GDPR, SOC2, ISMS 등 외부 감사 기준 강화 | 로그 누락/무단 접근 시 법적 이슈 | Masking, Logging 강화, Role 기반 접근제어, 감사로그 기록 | Fine-grained Audit Logging |
클라우드 전환 | 클라우드 네이티브 최적화 | 온프레미스 배치 시스템의 클라우드 이식성 부족 | 리소스 낭비, 배포 복잡성, 비용 상승 | 서버리스 (FaaS) 배치, 자동 스케일링 도구, 관리형 워크플로우 도입 | AWS Batch, GCP Dataflow, Argo |
확장성/성능 | 대규모 데이터 볼륨 증가 | 로그, IoT, 이벤트 기반 시스템에서 데이터 폭증 | 처리 지연, I/O 병목, 스토리지 비용 증가 | 데이터 파티셔닝, 병렬 청크 처리,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분산 설계 | Kafka + Spark, Containerized Batcher |
비용/리소스 | 리소스 최적화 요구 | 클라우드 과금 모델로 비용 예측 어려움 | 비효율적인 리소스 할당으로 비용 급등 | Auto-scaling, 비용 예측 모델링, 스팟 인스턴스 활용 | Kubernetes CronJob + Horizontal Autoscaler |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 | 유형 | 설명 | 주요 특징 및 기술 예시 |
---|---|---|---|
1. 실행 시점 | 시간 기반 (Time-based) | 지정된 시간에 정기적으로 실행됨 (예: cron) | 예측 가능성 높음, 주기적 데이터 수집 |
이벤트 기반 (Event-driven) | 특정 트리거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실행 | 실시간 연계 가능, 동적 처리 | |
2. 처리 방식 | 순차 처리 (Sequential) | 단일 스레드 또는 단일 노드에서 순차적으로 실행 | 단순 구조, 디버깅 용이 |
병렬 처리 (Parallel) | 다중 스레드/프로세스를 활용한 동시 실행 | 처리 성능 향상, 리소스 최적화 | |
분산 처리 (Distributed) | 클러스터 기반 병렬 처리 (예: Hadoop, Spark) | 대규모 데이터 처리 적합, 복잡한 인프라 필요 | |
3. 실행 환경 | 온프레미스 (On-Premises) | 자체 서버 또는 데이터센터 기반에서 실행 | 보안/제어 용이, 초기 투자 비용 큼 |
클라우드 (Cloud-based) | AWS Batch, Google Dataflow 등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 실행 | 확장성, 유연성, 사용량 기반 비용 구조 | |
4. 스케줄링 방식 | 정기적 배치 (Scheduled) |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방식 (시간 기반) | 크론, Airflow 등 활용 가능 |
이벤트 기반 배치 | 메시지 수신, 파일 도착 등 이벤트 발생 시 트리거 | Lambda, Step Functions 등과 연계 | |
5. 데이터 범위 | Full Batch | 전체 데이터를 매번 새로 적재/처리 | 데이터 재처리 중심, 정확도 중시 |
Incremental / Micro-Batch | 변경된 데이터만 처리 또는 수초 단위의 소규모 배치 처리 | 성능/자원 최적화, 실시간성과 유사 | |
6. 처리 위치 | 단일 서버 (Single-node) | 하나의 서버에서 전체 파이프라인 처리 | 설정 간편, 확장성 낮음 |
분산 시스템 (Multi-node) | 여러 서버에서 역할 분산하여 처리 (ETL/저장 등 분리) | 병목 방지, 안정성 향상 | |
7. 저장소 유형 | 파일 기반 배치 | CSV, Parquet 등 파일 입출력을 중심으로 처리 | S3, HDFS 등과 연계, 로그 기반 처리에 적합 |
DB 기반 배치 | RDB, NoSQL 등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 | 정형 데이터 중심, 트랜잭션 보장 필요 시 적합 |
실무 사용 예시
도메인/산업 | 사용 목적 | 대표 기술 스택 | 성과/효과 |
---|---|---|---|
금융 | 일일 거래/지급 내역 정산 | RDBMS + 배치 스케줄러 (Quartz, cron), ETL | 회계 정확도 향상, 규정 준수, 수작업 90% 감소 |
전자상거래 | 상품 추천 모델 학습 전처리 | Spark, Kafka, ML Pipeline | 개인화 향상, 학습 시간 2 배 단축, 매출 증대 |
헬스케어 | 의료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 | AI/ML 플랫폼 (TensorFlow, PyTorch), Object Storage | 진단 정확도 향상, 처리 시간 단축 |
제조업 | 생산/품질 데이터 집계 및 분석 | IoT 센서 + Data Warehouse (Snowflake, BigQuery) | 생산성 향상, 품질 제어, 불량률 감소 |
통신 | 통화/네트워크 로그 분석 | Hadoop, Flink, Spark | 네트워크 부하 분석, 요금 계산 정확도 개선 |
웹/플랫폼 서비스 | 서버/접속 로그 집계 | MapReduce, Spark, CloudWatch Logs | 탐지 시간 단축 (24h → 1h), 스토리지 비용 절감 |
관리/운영 | 정기 리포트 및 보고서 자동화 | Airflow, Excel Automation, PDF Generator | 반복 작업 자동화, 인적 오류 감소, 의사결정 속도 향상 |
시스템 관리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백업 | DB 덤프 + 정기 스케줄러, S3, Rsync | 안정성 확보, 데이터 정합성 유지, 수작업 제거 |
활용 사례
사례 1: 데이터 웨어하우스 ETL 배치 처리
시스템 구성:
- 입력 데이터 소스 (운영 DB) → 배치 스케줄러 → ETL 처리 (추출, 변환, 적재) → 데이터 웨어하우스 → 모니터링/알림
Workflow
- 운영 DB 에서 데이터 추출
- 변환 및 정제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적재
- 결과 모니터링, 오류 발생 시 알림 및 재처리
flowchart TD A[운영 DB] --> B[배치 스케줄러] B --> C[ETL 처리] C --> D[데이터 웨어하우스] C --> E[모니터링/알림]
주제의 역할: 대량의 운영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집계·정제·적재하여 분석 환경에 제공
유무에 따른 차이점: 배치 처리 미적용 시, 데이터 적재 지연, 인적 오류, 일관성 저하 발생
사례 2: 은행 EOD(Transaction Reconciliation)
구성: DB→추출→Spark MapReduce 집계→데이터 웨어하우스 로드
워크플로:
- Trigger: 23:00 스케줄러 실행
- Extract: 당일 트랜잭션 추출
- Transform: MapReduce 집계
- Load: 보고용 테이블에 저장
- Report: 알림 및 리포트 전송
flowchart TD SCHEDULER-->EXTRACT[Extract DB] EXTRACT-->MAPREDUCE[Batch Transform] MAPREDUCE-->LOAD[Load to Warehouse] LOAD-->REPORT[Generate Reports]
사례 3: 전자상거래 상품 추천 시스템
시스템 구성
- 데이터 소스: 사용자 행동 로그, 상품 정보, 거래 내역
- 처리 엔진: Apache Spark 클러스터
- 스케줄러: Apache Airflow
- 저장소: HDFS, Redis, PostgreSQL
- 모니터링: Grafana, Prometheus
graph TB subgraph "상품 추천 배치 시스템" A[웹/앱 로그] --> B[데이터 수집] C[거래 DB] --> B D[상품 DB] --> B B --> E[데이터 전처리] E --> F[특성 추출] F --> G[모델 학습] G --> H[추천 결과 생성] H --> I[Redis 캐시] H --> J[추천 DB] K[Airflow] --> E K --> F K --> G K --> H end
Workflow
- 매일 새벽 2 시에 Airflow 가 배치 작업 실행
- 전날 수집된 사용자 행동 데이터 전처리
- Spark 클러스터에서 협업 필터링 모델 학습
- 모든 사용자에 대한 추천 결과 생성
- Redis 와 데이터베이스에 결과 저장
배치 처리의 역할
- 대용량 사용자 데이터 효율적 처리
- 복잡한 머신러닝 모델 학습
- 시스템 리소스 최적화
배치 처리 유무에 따른 차이점
- 배치 처리 적용: 일관된 품질의 추천, 시스템 안정성
- 실시간 처리만 사용: 즉시성은 높지만 모델 품질 저하, 높은 시스템 부하
구현 예시
Python: 전자상거래 상품 추천 배치 처리 시스템
|
|
Python + PySpark: EOD 집계 배치
|
|
Python: 파일 읽기
|
|
- 설명: 입력 CSV 파일을 읽어 각 행에 처리 시각을 추가하여 출력 파일로 저장하는 단순 배치 처리 예시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 항목 | 설명 | 권장 사항 | 대표 도구/기술 |
---|---|---|---|---|
스케줄 관리 | 스케줄링 충돌 방지 | 동일 자원 접근 배치 간 충돌 방지 | 실행 시간 분산, 큐잉 처리 | Apache Airflow, AWS Step Functions |
워크플로우 및 의존성 관리 | 작업 간 선후 관계 명확히 정의 필요 | DAG 기반 설계, 조건 분기 관리 | Prefect, Azure Data Factory | |
스케줄러 통합 | 작업 스케줄의 중앙 집중적 통제 | 통합 스케줄러 도입 | Airflow, Control-M | |
장애 대응 및 복구 | 체크포인트/재시도 설계 | 실패 시 중단 지점부터 재실행 | 정기적 상태 저장, 청크 재처리 적용 | Spark Checkpoint, Retry Policies |
트랜잭션 및 롤백 관리 | 데이터 상태 변경 시 원자성 보장 필요 | DB 트랜잭션 또는 청크 단위 트랜잭션 로그 적용 | Spring Batch, Kafka Transactions | |
실행 로그 기반 복구 | 장애 발생 시 원인 추적 및 대상 청크 복구 | 세밀한 로그 기록, 재처리 가능 로그 저장 | ELK Stack, Cloud Logging | |
데이터 무결성 보장 | 데이터 품질/일관성 검증 | 입력/출력 간 정확성 확보, 수량·형식 오류 방지 | 체크섬, 데이터 프로파일링, Validation Rule 정의 | Great Expectations, Deequ |
입력 데이터 사전 검증 | ETL 시작 전 품질 문제 탐지 | Schema Validation, Null/Outlier 체크 | JSON Schema, Marshmallow | |
출력 데이터 검증 | 출력 결과값 신뢰성 보장 | 샘플링 비교, 요약값 해시, 히스토그램 검증 | Custom QA Pipeline | |
성능 및 자원 최적화 | 청크 크기 조절 | 처리 효율성과 메모리 사용량 균형 | 사전 벤치마킹 통한 최적 크기 산정 | Spring Batch, Spark Partitioning |
리소스 할당 최적화 | 메모리, CPU, 네트워크 등 과부하 방지 | 사전 예측 기반 Auto-scaling 설계 | K8s HPA, AWS Batch | |
비용 효율화 | 비효율적 리소스 사용에 따른 과금 방지 | Spot 인스턴스, 실행 시간 모니터링, Job 종료 조건 설정 | AWS Fargate, Google Cloud Composer | |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 접근 제어 및 암호화 적용 | 민감 정보 처리 시 권한 분리 및 암호화 | Role-Based Access Control (RBAC), KMS 연동 | IAM, KMS, Vault |
규정 대응 (GDPR 등) | 데이터 보호법 등 외부 감사 대응 | 마스킹, 감사 로그, 민감 필드 비식별화 | Data Catalog, Data Loss Prevention | |
감사 로그 기록 | 작업/접근 내역 추적 가능하도록 로그화 | 사용자/작업별 세부 이벤트 기록 | Cloud Audit Logs, Splunk | |
운영 및 모니터링 | 실행 상태 및 성능 모니터링 | 배치 진행률, 처리량, 실패율 추적 | 대시보드 구축, 알림 연동, 지표 기반 Alert 설정 | Prometheus + Grafana, CloudWatch |
알림 및 자동 대응 | 이상 발생 시 실시간 알림 및 대응 | Slack/SNS 연동, 알림 기반 자동 롤백/재시작 | PagerDuty, Opsgenie |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 요소 | 설명 | 권장 사항 및 최적화 전략 |
---|---|---|---|
1. 리소스 최적화 | 메모리 활용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 힙 메모리 초과 방지 및 GC 부하 최소화 | Executor 메모리 설정 조정, 인메모리 캐시, 지연 로딩 |
병렬 처리 수준 조절 | 과도한 병렬화는 오히려 자원 경합 초래 | 스레드/워크 수 조정, 백프레셔 (backpressure) 적용 | |
리소스 스케줄링 | 피크 시간 자원 충돌 방지 | 비업무 시간대 작업 예약, 우선순위 기반 실행 | |
캐시 및 임시 저장소 활용 | 반복 연산이나 조회 성능 최적화를 위한 임시 데이터 저장 | Redis, in-memory cache, 임시 파일 활용 | |
2. 처리 성능 | 병렬/분산 처리 | 독립적인 작업들을 병렬 또는 분산 처리하여 처리량 극대화 | Spark, Hadoop, 병렬 스레드 처리 |
I/O 최적화 | 디스크 또는 네트워크 병목 해소 | 컬럼형 포맷 (Parquet), 인덱스 최적화, 파티셔닝, 압축 | |
데이터 전송 최적화 | 네트워크 대역폭 사용량 감소 | 데이터 배치 전송, 압축 전송 적용 | |
3. 데이터 처리 전략 | 파티셔닝 전략 | 데이터 분할을 통해 병렬 처리 및 where 절 필터링 성능 개선 | 날짜, 범위 기반 파티셔닝, 파티션 푸시다운 적용 |
데이터 스킵 | 불필요한 데이터 조회 제거로 I/O 비용 절감 | 파티션 기반 필터링, 메타데이터 활용 | |
청크 크기 설정 | 과소/과대 설정 시 성능 저하 또는 장애 발생 가능 | 10K~100K rows 수준에서 실험 후 설정 | |
데이터 양 추적 | 갑작스런 입력 증가 시 병목 또는 장애 발생 | 사전 검증, 입력 샘플링, 데이터 프로파일링 도구 사용 | |
4. 시스템 안정성 | 중복 실행 방지 | 중복된 배치 실행으로 인한 데이터 오염 방지 | 실행 이력 저장, idempotent 처리, 로그 기반 실행 기록 검증 |
작업 실패 복구 전략 | 장애 발생 시 전체 작업 실패 방지 | 체크포인트 기반 재시도, 단계별 커밋, 청크 단위 격리 | |
실행 오류 및 병목 탐지 | 오류 지점 파악과 지속적인 성능 개선 | 모니터링 도구 (Prometheus, Datadog), 로그 시각화 | |
5. 실행 계획 및 운영 | 작업 분산 스케줄링 | 시스템 전체 부하 균형 조절 | 크론/스케줄러 기반 시간 분산, 우선순위 기반 운영 |
전략적 실행 간격 설정 | 업무 영향과 처리 속도를 균형 있게 조정 | Full vs Incremental 배치 구성, 주간/야간 전략 | |
디버깅 및 테스트 전략 | 문제 발생 시 원인 식별 및 반복 테스트 효율화 | 로그 샘플링, A/B 테스트 기반 검증, 시뮬레이션 환경 운영 |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핵심 주제 | 핵심 항목 | 설명 및 의미 |
---|---|---|---|
실행 아키텍처 | 순차 vs 병렬 처리 | 순차 처리, 병렬 처리 | 순차는 단순하지만 느림, 병렬은 빠르지만 동기화와 리소스 조절 필요 |
클라우드 환경 | 서버리스 배치 처리 | AWS Lambda, Google Cloud Functions | 인프라 관리 없이 이벤트 기반 실행 가능, 작은 단위 배치에 적합 |
클라우드 환경 | 관리형 배치 서비스 | AWS Batch, Azure Batch | 컴퓨팅 자원 자동 할당/해제, 대규모 배치 처리에 적합 |
오케스트레이션 | 워크플로우 제어 | Apache Airflow, Prefect, AWS Step Functions | 작업 의존성, 실패 대응, 재시도 정책 등을 코드로 선언하고 자동 제어 가능 |
실행 제어 및 자동화 | 스케줄링 정책 | 정기 스케줄, 이벤트 트리거 기반 | 시간 기반 실행 (cron) 또는 이벤트 기반 트리거 가능 |
데이터 처리 방식 | 파이프라인 처리 | ETL/ELT, 데이터 흐름 기반 처리 | 단계별 처리 (추출 - 변환 - 적재) 로 구성, 병렬 처리 및 장애 대응 구조와 결합 가능 |
성능 최적화 | 처리 효율성 향상 | 파티셔닝, 병렬화, 인크리멘탈 로딩 | I/O 병목 완화, 중복 제거, 처리 시간 및 리소스 절감 |
신뢰성 및 복구 | 장애 복구 메커니즘 | 체크포인트, 트랜잭션 복원, 재시도 정책 | 실패 시 중단점부터 이어서 실행 가능, 멱등성 처리 등으로 안정성 확보 |
모니터링 및 가시성 | 옵저버빌리티 확보 | Prometheus, Grafana, 로깅 시스템 | 작업 진행률, 성능 지표 시각화 및 알림 연동을 통한 실시간 대응 |
데이터 품질 관리 | 데이터 검증 및 정합성 | 스키마 검증, 데이터 프로파일링, 품질 규칙 | 입력/출력의 정확성 및 완전성 확보, 오류 탐지 및 자동 리포팅 지원 |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1. 아키텍처 패턴 | 배치 처리 패턴 | ETL / ELT | 추출 → 변환 → 적재 방식 또는 순서를 바꾼 현대적 처리 패턴 |
스트리밍 병합 패턴 | Lambda / Kappa Architecture | 실시간 처리와 배치 처리를 통합하여 실시간성과 일괄성의 균형 확보 | |
분산 처리 구조 설계 | 수평 확장, 파티셔닝 | 고가용성 및 확장 가능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를 위한 핵심 기법 | |
2. 데이터 처리 | 배치 처리 기본 개념 | 일괄 처리 개념 이해 | 트리거 기반이 아닌 주기적/대량 데이터 중심의 처리 전략 |
병렬/분산 처리 프레임워크 | Spark, Hadoop, Spring Batch |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엔진과 실행 방식 이해 | |
3. 시스템 구성 요소 | 워크플로 오케스트레이션 | Apache Airflow, Step Functions | 배치 작업 간 의존성, 순서, 재시도 등의 흐름 제어 및 자동화 |
작업 스케줄링 | Cron, Trigger 기반 실행 | 시간 또는 이벤트 기반으로 워크플로 실행 제어 | |
관리형 배치 플랫폼 | AWS Batch, Azure Data Factory | 클라우드 기반의 확장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쉬운 배치 플랫폼 활용 | |
4. 성능 최적화 및 복구 | 메모리 관리 / 튜닝 | GC, Memory Config | Out-of-Memory 방지 및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세부 설정 |
체크포인트 및 재시도 전략 | 실패 지점 복구, 상태 저장 | 중간 상태 저장을 통해 장애 발생 시 재시도 및 롤백 구현 | |
스케일링 전략 | Auto Scaling, 분산 처리 | 처리량 증가 시 자동 확장 또는 부하 분산 처리 구조 설계 | |
5. 클라우드 기반 배치 | 클라우드 환경 구성 및 사용 | GCP Dataflow, AWS Glue |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배치 파이프라인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역량 |
서버리스 오케스트레이션 | Step Functions, Cloud Composer | 유지보수 없는 상태에서 복잡한 배치 워크플로를 구성 가능 | |
6. 데이터 품질 및 신뢰성 | 데이터 검증 및 품질 보장 | 무결성, 정합성, 오류 감지 | 배치 처리 결과의 품질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사전/사후 검증 기법 |
데이터 중복 처리 방지 | Idempotency, 실행 기록 관리 | 배치 중복 실행으로 인한 데이터 오염 방지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1. 기본 개념 및 처리 방식 | 배치 처리 (Batch Processing) | 대용량 데이터를 일정 주기나 조건에 따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
청크 (Chunk) | 대용량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처리하여 메모리 효율성과 장애 복원력 확보 | |
배치 윈도우 (Batch Window) | 배치 작업이 실행되는 특정 시간대 (오프피크 시간 활용) | |
ETL (Extract, Transform, Load) | 데이터를 추출 → 변환 → 적재하는 전통적 배치 처리 패턴 | |
ELT (Extract, Load, Transform) | 데이터를 적재한 후 변환하는 현대적 배치/분산 처리 패턴 | |
병렬 처리 (Parallel Processing) | 여러 스레드 또는 노드에서 동시에 처리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 | |
2. 아키텍처 및 설계 패턴 | Pipe-and-Filter | 각 단계 (필터) 를 파이프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구조화된 아키텍처 |
Lambda Architecture | 배치 처리 + 실시간 스트리밍 처리를 통합한 아키텍처 모델 | |
Kappa Architecture | 배치 없이 스트리밍 기반으로 모든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간 지향 아키텍처 | |
DAG (Directed Acyclic Graph) | 워크플로우의 실행 순서를 나타내는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 (의존성 표현용) | |
3. 실행 및 스케줄링 | Scheduler | 배치 작업의 실행 시점과 주기를 제어하는 도구 (예: Cron, Airflow 등) |
Cron | UNIX/Linux 기반의 대표적인 시간 기반 스케줄링 도구 | |
Batch Window | 배치 작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시간대로, 시스템 부하를 분산하는 데 사용됨 | |
4. 장애 복구 및 안정성 | Checkpoint | 작업 도중 상태를 저장하여 실패 발생 시 복구가 가능한 지점 확보 |
Backpressure | 소비자의 처리 속도보다 공급 속도가 빠를 때 속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 |
Watermark | 스트리밍에서 이벤트 시간 기준 진행 상태를 추적하는 메타데이터 | |
5. 실행 환경 및 플랫폼 | YARN | Hadoop 에코시스템의 클러스터 자원 관리 플랫폼 |
RDD (Resilient Distributed Dataset) | Spark 에서 불변성을 가진 분산 데이터 컬렉션 구조 | |
Spot 인스턴스 | AWS 에서 저비용으로 제공하는 선점형 컴퓨팅 인스턴스 | |
6. 데이터 분산 및 처리 최적화 | Partitioning (파티셔닝) |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병렬 처리와 I/O 최적화를 가능하게 함 |
Sharding (샤딩) | 데이터를 여러 DB 서버에 물리적으로 분산 저장하여 확장성과 성능 확보 |
참고 및 출처
- Apache Spark 공식 문서
- Spring Batch 레퍼런스 가이드
- Apache Airflow 공식 문서
- Google Cloud Dataflow 개발자 가이드
- AWS Batch 사용자 가이드
- Kubernetes Jobs 가이드
- Hadoop MapReduce 튜토리얼
- Data Flow Architecture - TutorialsPoint
- Batch-Based Architecture - AWS HPC Lens
- Spring Batch Tutorial - Apps Developer Blog
- Lambda vs Kappa Architecture – Confluent
- What Is Data Flow Architecture - Airbyte
- Batch Processing: How It Works – Confluent
- Batch vs Stream vs Microbatch – Upsolver
- Batch Processing vs. Stream Processing – Estuary
- Batch vs Real-Time Data Processing – Confluent
- Martin Fowler의 Batch Processing 패턴
- Batch Processing Explained – Acceldata
- How to Design a Modern Data Ingestion Architecture – Monte Carlo
- What is Batch Processing? - AWS
- Batch Processing 개요 – IBM Z/OS
- Batch Processing – Couchbase
- ETL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 Coalesce
- Data Warehousing & ETL Processing – Ora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