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ch Sequential
Batch Sequential 은 데이터‑플로우 아키텍처의 전통적 형태로, 큰 단위의 데이터를 일괄 처리 (batch) 하면서 순차적 단계 (연속 처리) 를 거치는 구조다. 각 단계는 독립 실행되며 임시 저장을 통해 이전 단계 결과를 전달한다. 과거 메인프레임 및 비즈니스 시스템 (회계, 청구 등) 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대량 데이터 처리, ETL, 스케줄 기반 작업 등에서 활용된다. 장점으로 모듈화∙재사용성, 단순화된 디버깅 등이 있으며 단점으로 높은 지연 시간, 낮은 실시간 대응성, 병렬 처리 부족이 있다.
배경
배치 순차 처리는 1950 년대 메인프레임 시대부터 시작된 개념으로, 컴퓨터 자원이 제한적이던 시절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개발되었다.
역사적 발전:
- 1950 년대: 메인프레임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배치 작업
- 1970 년대: 유닉스 파이프라인과 명령어 체인의 개념 도입
- 1980 년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ETL 프로세스에 적용
- 2000 년대: 웹 스케일 데이터 처리를 위한 분산 배치 시스템
- 2010 년대: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Apache Hadoop, Spark 등의 프레임워크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 대용량 데이터 처리: 메모리 제약을 극복한 효율적 처리
- 복잡한 변환 작업: 다단계 데이터 변환의 체계적 관리
- 시스템 신뢰성: 단계별 검증과 오류 복구 지점 제공
- 자원 효율성: 시스템 자원의 최적 활용
필요성:
- 메모리 제약 해결: 전체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할 수 없는 상황
- 처리 복잡도 관리: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의 단계별 분해
- 오류 격리: 특정 단계의 오류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 재처리 용이성: 특정 단계부터 재처리 가능
핵심 개념
Batch Sequential(배치 순차 처리) 는 데이터를 일정한 배치 단위로 모아, 여러 독립적인 처리 단계 (프로그램/모듈) 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처리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각 단계는 입력 파일을 받아 처리 후 결과를 출력 파일로 저장하며, 이 출력이 다음 단계의 입력이 된다.
- 배치 (Batch): 정해진 주기나 대기 조건에 따라 묶음으로 처리되는 데이터 단위.
- 순차 처리 (Sequential Processing): 이전 단계 완료 후 다음 단계 수행. 동시 실행 없음.
- 중간 저장소 (Intermediate files): 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 매체.
- 비상호작용식 (Non-interactive): 사용자 개입 없이 자동 실행.
실무 구현과의 연관성
시스템 설계 측면
- 모듈화: 각 처리 단계를 독립적인 모듈로 설계
- 확장성: 단계별 독립적인 스케일링 가능
- 유지보수성: 단계별 개별 수정 및 테스트 가능
성능 최적화 측면
- 리소스 관리: 단계별 리소스 할당 최적화
- 병렬 처리: 동일 단계 내 배치 병렬 처리
- 메모리 효율성: 배치 크기 조정을 통한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
주요 기능 및 역할
핵심 기능:
- 데이터 분할 (Data Partitioning):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배치로 분할
- 순차 처리 (Sequential Processing): 각 단계의 순차적 실행 보장
- 중간 결과 저장: 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
- 상태 관리: 처리 진행 상황과 오류 상태 추적
시스템 내 역할:
- 데이터 변환 엔진: 원시 데이터를 최종 형태로 변환
- 워크플로우 조정자: 복잡한 처리 흐름의 순서 관리
- 리소스 중재자: 시스템 자원의 단계별 할당 및 해제
특징
배치 기반 처리
- 개별 항목이 아닌 데이터 묶음 단위 처리
- 배치 크기에 따른 성능 특성 변화
순차적 실행 흐름
- 엄격한 단계별 순서 준수
- 이전 단계 완료 후 다음 단계 시작
단계별 독립성
- 각 단계의 독립적인 실행 환경
- 단계 간 느슨한 결합 (Loose Coupling)
완전한 데이터 전달
- 한 단계의 전체 출력이 다음 단계 입력
- 부분적 데이터 전달 없음
핵심 원칙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각 단계는 하나의 명확한 기능만 수행
- 기능별 명확한 경계 설정
데이터 무결성 원칙
- 단계 간 완전한 데이터 전달 보장
- 데이터 손실 방지 메커니즘
독립성 원칙
- 각 단계의 독립적인 실행 가능성
- 단계 간 최소한의 의존성
재사용성 원칙
- 단계별 모듈의 다른 파이프라인에서 재사용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
주요 원리 및 작동 원리
- 데이터가 파일 또는 큐에 저장되어 다음 처리 단계로 전달
- 각 단계는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
-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
작동 원리
graph LR A[Input Data] --> B[Stage 1: Extract] B --> C[Intermediate Storage 1] C --> D[Stage 2: Transform] D --> E[Intermediate Storage 2] E --> F[Stage 3: Load] F --> G[Output Data] H[Batch Controller] --> B H --> D H --> F I[Error Handler] --> B I --> D I --> F
처리 흐름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ontroller as 배치 컨트롤러 participant Stage1 as 단계 1 participant Stage2 as 단계 2 participant Stage3 as 단계 3 participant Storage as 중간 저장소 Controller->>Stage1: 배치 처리 시작 Stage1->>Storage: 처리 결과 저장 Stage1->>Controller: 완료 신호 Controller->>Stage2: 다음 단계 시작 Stage2->>Storage: 데이터 읽기 Stage2->>Storage: 처리 결과 저장 Stage2->>Controller: 완료 신호 Controller->>Stage3: 최종 단계 시작 Stage3->>Storage: 데이터 읽기 Stage3->>Controller: 전체 완료
작동 메커니즘:
- 배치 초기화: 입력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배치로 분할
- 단계별 순차 실행: 각 단계가 완전히 완료된 후 다음 단계 시작
- 중간 결과 저장: 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
- 상태 추적: 각 단계의 진행 상황과 결과 모니터링
- 오류 처리: 단계별 오류 발생 시 적절한 복구 또는 중단
구조 및 아키텍처
graph TB subgraph "Input Layer" A[Data Source] B[Data Partitioner] end subgraph "Processing Pipeline" C[Stage 1] D[Intermediate Storage 1] E[Stage 2] F[Intermediate Storage 2] G[Stage N] end subgraph "Control Layer" H[Batch Controller] I[Scheduler] J[Monitor] end subgraph "Storage Layer" K[Persistent Storage] L[Temporary Storage] end subgraph "Error Handling" M[Error Handler] N[Recovery Manager] end A --> B B --> C C --> D D --> E E --> F F --> G H --> C H --> E H --> G I --> H J --> H M --> C M --> E M --> G D --> L F --> L G --> K
구성요소
구분 | 구성요소 | 기능 | 역할 | 특징 |
---|---|---|---|---|
필수 | 배치 컨트롤러 | 전체 처리 흐름 제어 및 조정 | 단계별 실행 순서 관리, 상태 추적 | 중앙집중식 제어, 오류 감지 및 대응 |
필수 | 처리 단계 (Stages) | 실제 데이터 변환 및 처리 수행 | 특정 비즈니스 로직 실행 | 독립적 실행, 재사용 가능한 모듈 |
필수 | 중간 저장소 | 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 | 데이터 버퍼링, 백프레셔 관리 | 고성능 읽기/쓰기, 자동 정리 |
필수 | 데이터 분할기 |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배치로 분할 | 메모리 효율성 보장, 병렬 처리 지원 | 동적 배치 크기 조정, 데이터 특성 고려 |
선택 | 스케줄러 | 배치 작업의 시간 기반 실행 관리 | 자동화된 작업 실행, 리소스 최적화 | 조건부 실행, 의존성 관리 |
선택 | 모니터링 시스템 | 실시간 성능 모니터링 및 알림 | 시스템 상태 가시성 제공 | 메트릭 수집, 대시보드 제공 |
선택 | 캐싱 계층 |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의 캐시 관리 | 성능 향상, 네트워크 부하 감소 | 지능형 캐시 정책, 분산 캐시 지원 |
선택 | 부하 분산기 | 여러 처리 인스턴스 간 작업 분산 | 시스템 확장성 제공 | 동적 부하 분산, 장애 감지 |
구현 기법
구현 전략 | 정의 및 구성 방식 | 주요 목적 | 대표 도구 및 예시 |
---|---|---|---|
1. 커스텀 스크립트 기반 | 단계별 Shell, Python 스크립트 작성 + Cron/Task Scheduler 로 순차 실행 | 간단한 구조, 빠른 프로토타이핑 | bash + cron , Python + schedule , Airflow CLI 등 |
2. 프레임워크 기반 배치 | Job , Step , Reader/Writer 등 명세 중심 처리. 상태 저장, 재시작, 병렬 처리 지원 | 재시작, 로깅, 트랜잭션 제어, 대용량 처리 | Spring Batch , terasoluna-batch , Quartz 등 |
3.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 | DAG(Task Graph) 기반으로 단계 연결, 스케줄링 + 모니터링 + 재실행 자동화 | 복잡한 워크플로우 구성, 장애 대응, 확장성 | Apache Airflow , AWS Step Functions , Argo Workflow |
4. GUI 기반 ETL 도구 | Drag & Drop 방식의 시각적 흐름 정의, 연동된 임시 저장소 또는 메타데이터 기반 처리 | 빠른 설계, 비개발자 접근성, 시각화 | Informatica , Talend , Pentaho , Nifi |
5. 분산 실행 기반 배치 | Spark/Flink 기반 Job 을 순차 구성하고, YARN/Oozie 등으로 실행 흐름 제어 | 분산 병렬 처리, 대용량 데이터 파이프라인 | Apache Spark + Oozie , Flink Batch + Airflow |
6. 파이프라인 기반 처리 | 각 단계를 독립 프로세스로 구성하고, 메시지 큐/파일/표준 I/O 기반으로 연결 | 유연한 단계 연결, 시스템 격리, Fault Isolation | UNIX pipeline , Kafka → ETL → Loader , GStreamer |
7. 스트리밍 - 배치 하이브리드 | 실시간 스트림을 시간 윈도우 단위로 배치화하여 마이크로 배치 처리 | 실시간성과 안정성 결합 | Spark Structured Streaming , Flink with Windowing |
8. 메모리 매핑 처리 | 대용량 파일을 가상 메모리에 매핑하여 페이지 단위로 처리 | 메모리 효율적 접근, 랜덤 액세스 | mmap (Unix), memoryview , Apache Arrow |
9. 체크포인트 기반 복구 | 각 단계 실행 후 상태를 저장하여 장애 시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하게 구성 | 장애 대응, 증분 복구, 안정성 확보 | Airflow XCom , Spring Batch JobRepository , Flink Savepoint |
장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
성능 및 처리 효율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적합 | 전체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배치 단위로 처리함으로써, 메모리 효율적으로 수 TB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 가능 |
병렬 처리 지원 | 동일 단계 내에서 배치를 분할하여 병렬로 실행할 수 있어 처리량 증가 및 Throughput 향상 가능 | |
예측 가능한 리소스 사용 | 단계별로 필요한 리소스를 정적으로 추산하고 할당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성능 보장 및 비용 최적화 | |
운영 및 관리 용이성 | 오류 격리 | 각 Step 이 독립적이므로 한 단계의 오류가 전체 플로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 |
재시작 용이성 | 각 단계별 완료 시점이 명확히 기록되어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부터 재처리 가능 | |
디버깅 및 추적 용이 | 중간 결과가 저장되므로 실행 로그 및 중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 추적 및 원인 파악이 쉬움 | |
설계 및 구조적 유연성 | 모듈화 및 유지보수성 향상 | 각 처리 단계를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모듈로 분리하여 개발, 테스트, 배포가 용이함 |
로직 단순화 및 명확한 흐름 | 순차적 실행 흐름이 명확하여 복잡한 로직 없이도 전체 시스템 이해가 쉬움 | |
재사용성 | 공통 처리 로직을 단일 모듈로 구성하여 다른 플로우에서도 쉽게 재사용 가능 | |
시스템 안정성 | 낮은 결합도 (Loose Coupling) | 각 단계가 Intermediate Storage 를 통해 연결되어 시스템 간 결합도를 낮춰 변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
구간별 테스트 가능성 | 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가 용이함 | |
장애 영향 최소화 | 전체 시스템이 아닌 개별 단계에 대한 장애 대응이 가능하여 전체 다운 타임 최소화 |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구분 | 항목 | 설명 | 해결 방안 |
---|---|---|---|
처리 지연 | 지연 시간 증가 | 모든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전체 처리 시간이 길어짐 | 마이크로 배치 도입, 스트리밍과의 하이브리드 처리 병행 |
운영 복잡성 | 복잡한 제어 로직 | 실행 순서, 의존성, 에러 처리를 수동 제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어려움 | 워크플로우 엔진 (Airflow, Spring Batch 등) 도입, 선언적 파이프라인 사용 |
저장소 오버헤드 | 중간 파일/저장소 과다 사용 | 각 단계의 결과를 파일이나 테이블로 저장하면서 스토리지 사용량 증가 | 임시 저장소 최적화, 주기적 정리 자동화, 메모리 기반 임시 저장소 활용 |
실시간성 부족 | 실시간 요청에 대응 불가 | 사용자 요청에 대해 실시간 응답이 불가능하며 인터랙티브한 시스템과 병행 사용 불가 | 이벤트 기반 시스템 또는 스트림 처리 병행 구조 설계 |
리소스 독점 | 외부 트랜잭션 영향 | 대용량 배치가 시스템 전체 리소스를 점유하여 실시간 시스템 성능 저하 | 리소스 제한 설정, QoS 기반 스케줄링, 배치 시간대 분리 운영 |
문제점
구분 | 문제 항목 | 원인 | 영향 | 탐지/진단 방법 | 예방 및 해결 방안 |
---|---|---|---|---|---|
데이터 품질 | 데이터 불일치 | 단계 간 전달 중 누락/중복 발생, 중간 결과 검증 누락 | 결과 오류, 데이터 신뢰도 저하 | 로그/체크섬 기반 검증, 정합성 비교 | 트랜잭션 보장, 멱등성 적용, 데이터 무결성 검증 |
장애 대응성 | 복구 어려움 | 체크포인트 부재, 임시 저장소 의존 | 배치 실패 시 전체 재시작, 시간/비용 증가 | 상태 모니터링, 실패 단계 추적 | 체크포인트 저장, 스테이지별 재시작 기능 도입 |
리소스 병목 | 특정 단계 병목 | 불균형한 처리 로직, 고비용 연산 존재 | 전체 성능 저하, SLA 지연 | 단계별 처리 시간 측정, 시스템 모니터링 | 병목 단계 분산 처리, 리팩토링, 리소스 증설 |
저장소 오류 | 중간 저장소 손상/삭제 | 디스크 오류, 네트워크 문제, 파일 충돌 등 | 데이터 손실, 재처리 필요 | 스토리지 상태 모니터링, 백업 주기 관리 | 저장소 이중화, 자동 백업/복원 스크립트 |
스키마 호환성 | 스키마 변경 시 파이프라인 오류 발생 | 하위 모듈 미준비, 버전 불일치 | 다운스트림 오류, 배치 실패 | Schema Registry 로그, 버전 비교 분석 | 스키마 레지스트리 도입, 정/역방향 호환 정책 수립 |
성능 저하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지연 | 단일 노드 처리, 비효율적 알고리즘 | 전체 처리 지연, 시간 초과 | 처리 시간 프로파일링, GC 로그 분석 | 병렬 처리 도입, 파티셔닝 및 리팩토링, 메모리 튜닝 |
에러 은닉 | 오류 탐지 누락 | 로그 미흡, 예외 처리 부재 | 문제 진단 어려움, 배치 실패 원인 파악 불가 | 상세 로그/알림 시스템 구축 | 자동화된 에러 감지, 알림 설정, 로깅 레벨 고도화 |
도전 과제
카테고리 | 과제 | 원인 | 영향 | 해결 방안 |
---|---|---|---|---|
기술적 과제 | 대용량 처리 병목 (Scalability) | 데이터 증가, 병렬화 부족, 단일 스레드/노드 처리 한계 | 처리 지연, 시스템 부하, 병목 발생 | 멀티 파티션 처리, Kubernetes 기반 수평 확장스케줄러 병렬화 전략 |
실시간 요구 대응 (Hybrid Integration) | 실시간 분석 수요 증가, 순수 배치 구조의 한계 | 분석 지연, 비즈니스 인사이트 지연 | Lambda/Kappa 아키텍처 도입배치 - 스트림 하이브리드화 | |
체크포인트 처리 최적화 | 지나친 메타데이터 쓰기, 상태 저장 비용 증가 | I/O 및 DB 부하 증가, 처리 지연 | 배치 크기 조정, Checkpoint 주기 최적화 | |
정확한 처리 보장 (Exactly-once) | 장애 시 재처리 중복 가능성 | 데이터 중복 저장, 결과 불일치 | 트랜잭션 격리, 키 기반 중복 제거, Idempotent 처리 설계 | |
운영 과제 | 운영 자동화 부족 | 수작업 배포/모니터링/복구 구성 | 운영 복잡성, 오류 대응 지연 | 자동화된 CI/CD, 통합 모니터링, 장애 감지 및 복구 자동화 |
장애 복구 시 처리 불안정 | 수동 복구 전략, 처리 중 상태 유실 가능성 | 처리 재시작 불가 또는 중복 처리 | Checkpointing, 재시작 가능한 워크플로우 구성 | |
품질/신뢰성 | 데이터 품질 관리 (Quality) | 다양한 소스 및 변환으로 인한 오류 발생 가능성 | 잘못된 분석 결과, 다운스트림 오류 | 데이터 린나지 관리, 단계별 데이터 검증 및 프로파일링 |
신뢰성 있는 처리 보장 | 변동성 있는 소스 입력, 일시적 오류 무시 전략 등 | 결과 불신, SLA 미달 | 데이터 검증 룰 기반 유효성 검증, 오류 알림 및 보정 정책 | |
비용/인프라 | 비용 최적화 | 클라우드 리소스 과소/과다 사용 | 비용 낭비 또는 성능 저하 | 스팟 인스턴스 활용, 비용 기반 스케줄링, 적응형 리소스 할당 |
리소스 할당/확장 설계 부족 | 과도한 고정 리소스, 수동 확장 | 트래픽 증가 시 처리 실패, 리소스 낭비 | 오토스케일링, 동적 리소스 할당 전략 적용 |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 | 유형 | 정의 및 특징 | 적용 사례 |
---|---|---|---|
1. 배치 크기 기준 | Fixed-size 배치 | 일정한 데이터 건수 단위로 처리. 예: 1,000 건씩 고정 | 대금 정산 처리, 고정 건수 마이그레이션 배치 |
Time-window 배치 | 시간 간격 단위로 처리. 예: 1 시간마다, 매일 새벽 3 시 | 로그 수집, 시간 기반 로그 집계 | |
2. 처리 구조 기준 | 순차 단일 프로세스 | 모든 단계를 단일 프로세스로 순차 실행. 단순하나 확장성 부족 | DB 백업 스크립트, 단일 cron job |
병렬 파티셔닝 처리 | 데이터를 파티션으로 나누어 여러 인스턴스에서 병렬 처리 | 사용자 활동 로그 병렬 수집, 청구서 병렬 처리 | |
3. 실행 주기 기준 | 정기 배치 (Scheduled) | cron, scheduler 등을 이용한 고정 주기 실행 | 야간 배치, 월말 회계 정산 |
온디맨드 배치 (On-demand) | 사용자의 명시적 요청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실행 | 실시간 보고서 생성, 수동 데이터 재처리 | |
4. 실행 환경 기준 | 온프레미스 | 자체 서버 및 물리적 인프라 기반 처리 | 금융권 사내 시스템, ERP 일괄 처리 |
클라우드 기반 | AWS Batch, Dataflow 등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활용 | 데이터 웨어하우스 적재, BigQuery ETL 처리 | |
5. 데이터 전달 방식 | 파일 기반 | 각 단계가 파일 입출력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 | CSV 처리, Hadoop Input/Output |
메시지 큐 기반 | Kafka, RabbitMQ 등으로 각 단계 연결. 병렬·비동기 처리가 가능 | 실시간 수집 후 배치 적재, 이벤트 기반 ETL | |
6. 실행 제어 방식 | 스크립트 기반 실행 | Shell/Python 등의 스크립트와 cron 기반 수동 제어 | 레거시 배치 시스템, 단순 자동화 |
프레임워크 기반 실행 | Spring Batch, Airflow 등으로 정의된 워크플로우 기반 배치 처리 | 병렬 파이프라인, 재시작·트랜잭션 보장되는 정형 배치 | |
7. 장애 처리 전략 | 체크포인트 기반 | 중간 단계마다 상태 저장 → 오류 발생 시 해당 시점부터 재처리 가능 | 장시간 금융 마감 배치, 단계 복구 필수 파이프라인 |
재시도 기반 | 실패 시 전체 재처리. 구조는 단순하나 자원 소모 큼 | 소규모 간단 배치 작업, 알림 이메일 발송 |
실무 사용 예시
적용 분야 | 목적 | 연계 기술 및 도구 | 효과 |
---|---|---|---|
데이터 파이프라인 (ETL) | 데이터 추출, 정제, 적재 (정기 배치) | Apache Airflow, Spark, SQL, Staging Tables | 대용량 데이터 자동 변환, 정형화된 웨어하우스 구축 가능 |
통신/요금 정산 | JSON 기반 로그 분석 및 요금 청구 변환 처리 | Spring Batch, DBMS, JSON Parser | 요금 정산 정확도 향상, 체크포인트 기반 안정성 확보 |
매출 집계 | 일일/월별 매출 통계 처리 | Spark SQL, Python, CSV/Parquet | 비즈니스 인사이트 제공, 시간 단위 리포트 자동화 |
로그 분석 | 대량 로그 수집 및 이벤트 분석 | ELK Stack (Logstash, Kibana), Hadoop, Spark | 실시간 이상 탐지, 트렌드 분석 최적화 |
이미지/미디어 처리 | 이미지/영상 데이터의 일괄 변환 | ImageMagick, OpenCV, PIL | 병렬 이미지 처리, 사이즈 변환, 포맷 통일 등 일괄 처리 |
금융/재무 분석 | 일별 거래내역 정산 및 리포팅 자동화 | SQL, Python Pandas, 파일시스템, FTP | 정산 신뢰성 확보, 자동 보고서 생성 |
ML 파이프라인 | 모델 학습 / 재학습, 주기적 배포 | MLflow, Kubeflow, Spark MLlib | 학습 - 배포 자동화, 성능 관리 반복 주기 최적화 |
백업 및 복구 | 정기적 데이터 백업 및 재해 복구 | rsync, 분산 파일 시스템 (HDFS, S3), cron, Kubernetes | 데이터 안정성 확보, 비용 최소화 |
클라우드 기반 확장 | 대규모 배치 스케일링 및 자원 최적화 | Spring Batch + Kubernetes, Autoscaler | Auto-Restart, 내결함성, 리소스 효율 극대화 |
활용 사례
사례 1: 통신사 요금 청구 배치 (Spring Batch 기반)
시스템 구성:
graph TD A[Usage JSON Files] --> B[Step1: Reader/Processor] B --> C[Intermediate Storage: BILL_STATEMENTS table] C --> D[Step2: Aggregation/Finalization] D --> E[Reporting/Table Load] B & D --> F[Job Repository: 상태/체크포인트] F & E --> G[JobLauncher & Scheduler triggering]
- Step1: JSON 파일 사용량 입력 → DTO 매핑 →
BILL_STATEMENTS
테이블 임시 삽입 - Step2: SQL 기반 집계를 통한 최종 청구서 작성 및 결과 적재
- Job Repository: Spring Batch 내 메타데이터 저장, 체크포인트 관리
- Scheduler: cron 이나 클라우드 태스크 큐를 통한 배치 실행 제어
Workflow:
- Scheduler 가 JobLauncher 로
billrun
Job 호출 - Step1 읽기 처리 후
BILL_STATEMENTS
에 임시 저장 - Step2 에서 계산 및 테이블 업데이트
- 각 Step 종료 시 트랜잭션 커밋, 체크포인트 기록
- Job 종료 후 상태 로그와 메타 기록
- 오류 시 체크포인트 기준 재시작
구현 예시
|
|
- chunk 기반 처리: 1000 건 단위 트랜잭션, 체크포인트 기능 포함
- ItemReader/Processor/Writer 역할 분리로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하이브리드 확장 팁 (대규모 사용량 처리 시):
Partitioner
및StepScope
사용하여 Step1 병렬화 적용 가능
사례 2: ETL(Extract, Transform, Load) 파이프라인
시스템 구성: 원본 데이터 → 추출 프로그램 → 변환 프로그램 → 적재 프로그램 → 데이터 웨어하우스
워크플로우: 원본 데이터 수집 → 추출 (Extract) → 변환 (Transform) → 적재 (Load)
Batch Sequential 적용 시: 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실행되어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만 재처리 가능, 데이터 품질 관리 용이
미적용 시: 전체 파이프라인 장애 시 복구 어려움, 오류 추적 어려움
구현 예시:
|
|
각 단계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중간 파일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됩니다.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합니다.
사례 3: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일일 매출 분석 시스템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데이터 소스" A[주문 DB] B[결제 시스템] C[배송 추적] D[고객 DB] end subgraph "배치 처리 파이프라인" E[데이터 추출] F[데이터 정제] G[비즈니스 로직 적용] H[집계 및 계산] I[보고서 생성] end subgraph "출력" J[매출 대시보드] K[경영진 보고서] L[부서별 리포트] end A --> E B --> E C --> E D --> E E --> F F --> G G --> H H --> I I --> J I --> K I --> L
Workflow:
- 데이터 추출 단계: 각 시스템에서 일일 데이터 추출 (오전 1 시 시작)
- 데이터 정제 단계: 중복 제거, 누락 데이터 보정, 형식 통일
- 비즈니스 로직 적용: 할인율 적용, 세금 계산, 배송비 정산
- 집계 및 계산: 카테고리별, 지역별, 고객군별 매출 집계
- 보고서 생성: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 및 대시보드 데이터 생성
배치 순차 처리의 역할:
- 데이터 일관성 보장: 모든 소스 데이터가 완전히 추출된 후 다음 단계 진행
- 메모리 효율성: 수백만 건의 거래 데이터를 배치 단위로 처리
- 오류 복구: 특정 단계 실패 시 해당 단계부터 재시작
- 모니터링: 각 단계별 처리 현황 실시간 추적
배치 순차 처리 유무에 따른 차이점:
- 적용 시:
- 안정적인 대용량 데이터 처리
- 명확한 오류 지점 파악
- 단계별 품질 검증 가능
- 예측 가능한 처리 시간
- 미적용 시:
-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시스템 다운 위험
- 전체 재처리 필요 시 비용 증가
- 복잡한 디버깅 과정
- 데이터 일관성 문제 발생 가능
구현 예시
|
|
이 구현 예시는 전자상거래 매출 분석 시스템의 배치 순차 처리를 보여준다. 각 단계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이전 단계의 완전한 출력을 받아 처리한 후 다음 단계로 전달한다.
주요 구현 특징:
- 추상화된 단계 설계:
ProcessingStage
추상 클래스로 일관된 인터페이스 제공 - 메타데이터 추적: 각 단계의 처리 시간과 품질 지표 추적
- 오류 처리: 단계별 예외 처리와 상세한 로깅
- 배치 데이터 구조: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를 함께 관리하는 구조화된 접근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사항 | 상세 설명 | 권장사항 |
---|---|---|---|
설계 | 단계별 독립성 보장 | 각 처리 단계 간 의존성 최소화로 유연한 유지보수 및 재사용 가능 |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및 API 설계 |
배치 크기 최적화 | 과도한 배치 크기는 메모리 부족 유발, 너무 작으면 오버헤드 증가 | 시스템 리소스의 70~80% 활용 기준으로 설정 | |
병렬 처리 설계 | 단일 단계의 처리 병목 제거를 위해 병렬 실행 전략 필요 | 스레드 풀 또는 멀티 파티션 구조 채택 | |
단계 분할 구조 설계 | 데이터 증가에 대비해 병렬화 가능한 구조로 각 단계를 세분화 | 논리적 책임 기준으로 처리 단계를 분리 | |
구현 | 체크포인트 전략 | 장애 발생 시 중복 없이 재처리 가능한 시점 기록 필요 | 처리 시간의 10~20% 단위로 checkpoint 설정 |
중간 저장소 선택 | I/O 병목 또는 장애 발생 방지용 고신뢰 저장소 필요 | SSD 기반 로컬 디스크 또는 인메모리 DB | |
스키마 변경 대응 | 스키마 변경 시 파이프라인 전체 실패 가능성 있음 | Schema Registry + Backward 호환성 검증 | |
Idempotent 처리 | 재시작 시 중복 처리 방지 필요 | 키 기반 중복 제거, 트랜잭션 기반 처리 | |
운영 | 모니터링 체계 구축 | 각 단계의 처리 시간, 실패율 등 실시간 추적 가능해야 함 | Prometheus, SLA 기반 Alert 구성 |
리소스 관리 및 최적화 | 고정 리소스는 비용 낭비, 낮은 활용률 문제 발생 가능 | 오토스케일링, 동적 리소스 할당 (KEDA 등) | |
배치 스케줄링 자동화 | 정기적 실행 및 재시작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구조 필요 | Airflow, Argo Workflows, CronJob 사용 | |
중간 파일 무결성 관리 | 중간 결과 파일 손상 시 전체 플로우 오류 발생 가능성 | Checksum, 버전 관리, 백업 주기 설정 | |
성능 | 데이터 압축 | 중간 데이터 저장소의 I/O, 디스크 공간 최적화 | Gzip 또는 Snappy 적용, 컬럼 포맷 사용 |
직렬화 포맷 최적화 | 데이터 직렬화는 네트워크 및 디스크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 | Avro, Protobuf 등 이진 포맷 권장 | |
장애 대응 | 단계별 오류 감지 및 복구 | 특정 단계 오류 시 전체 재실행보다 국소적 복구가 효과적 | 상세 로깅 + 재시작 가능 구조 설계 |
재시작 시 안정성 확보 | 재시작 시 상태 불일치 또는 중복 실행 위험 있음 | 상태 기반 처리 보완, 정확한 처리 순서 보장 | |
비용/유지보수 | 리소스 비용 최적화 | 고정 VM 기반 구성 시 사용량 대비 과금 손실 | 스팟 인스턴스, 비용 스케줄러 도입 |
고비용 시간 회피 | 리전 또는 시간대에 따라 리소스 비용 차이 발생 | 비용 인식형 스케줄링 정책 구성 (예: 야간 실행) |
성능 측정 지표 (Performance Metrics)
배치 순차 처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핵심 지표들:
- 처리량 (Throughput):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레코드 수
- 지연 시간 (Latency): 배치 시작부터 완료까지의 총 시간
- 리소스 사용률: CPU, 메모리, 디스크 I/O 사용률
- 에러율: 전체 배치 중 실패한 배치의 비율
- 데이터 품질 점수: 입력 대비 성공적으로 처리된 데이터 비율
보안 고려사항 (Security Considerations)
배치 처리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보안 요소들:
- 데이터 암호화: 전송 중 및 저장 시 데이터 암호화
- 접근 제어: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 감사 로그: 모든 처리 단계의 상세 로그 기록
- 데이터 마스킹: 민감한 정보의 마스킹 처리
테스트 전략 (Testing Strategy)
배치 시스템의 효과적인 테스트 방법:
- 단위 테스트: 각 처리 단계의 개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전체 파이프라인의 종단간 테스트
- 성능 테스트: 대용량 데이터를 이용한 부하 테스트
- 장애 테스트: 의도적 장애 주입을 통한 복구 테스트
데이터 거버넌스 (Data Governance)
배치 처리에서의 데이터 관리 원칙:
- 데이터 린나지: 데이터의 출처와 변환 과정 추적
- 데이터 품질 관리: 자동화된 품질 검증 체계
- 메타데이터 관리: 데이터 스키마와 의미 정보 관리
- 규정 준수: GDPR, CCPA 등 데이터 보호 규정 준수
최적화를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권장 사항 |
---|---|---|---|
1. 시스템 자원 최적화 | 배치 크기 (Chunk Size) | 크기가 너무 작으면 I/O 오버헤드, 너무 크면 메모리 초과 | 500~2000 건 단위로 테스트 후 최적값 설정 |
메모리 관리 및 GC 튜닝 | JVM/Python 환경에서 GC 설정 미흡 시 성능 저하 발생 | 세대별 GC 전략 설정, 힙 사이즈 최적화, -XX:+UseG1GC 등 활용 | |
파일/스토리지 정리 | 중간 파일 방치 시 디스크 사용량 증가 | 임시 파일 압축 저장, 종료 후 자동 삭제 스크립트 실행 | |
캐싱 전략 | 자주 참조되는 중간 데이터를 재처리하지 않고 활용 | 메모리 기반 LRU 캐시, Redis 등 외부 캐시 활용 | |
병렬도 제어 | 병렬 처리 시 DB Lock 또는 리소스 경합 발생 가능 | 파티셔닝 기반 병렬 처리, Lock 발생 여부 사전 테스트, 스레드 수 제한 설정 | |
2. 성능 최적화 | 디스크/네트워크 I/O 최적화 | 랜덤 액세스 및 병목 발생 시 전체 처리 지연 | 순차 I/O 처리, 대용량 블록 설정, TCP 버퍼 튜닝, 압축 및 전송 최소화 |
정렬/인덱싱 알고리즘 | 중간 결과 정렬 시 메모리 초과/속도 저하 가능 | 외부 정렬 알고리즘 (Merge Sort), B+ 트리 기반 인덱싱 활용 | |
로드 밸런싱 및 스케줄링 | 병렬 처리 시 특정 노드/프로세스에 부하 집중 | 라운드 로빈 또는 가중치 기반 작업 분산, 작업 단위 재조정 | |
3. 운영 및 관리 | 실행 제어 자동화 | cron 기반 수동 제어 시 에러 대응 어려움 | Airflow, Spring Batch 등 프레임워크 기반 실행 제어 |
모니터링 및 알림 | 로그 부족 시 에러 추적/운영 가시성 저하 | Prometheus, ELK, Grafana 등 통합 대시보드 구축 | |
리소스 스케줄 제어 | 병렬 Job 간 리소스 경합으로 인한 처리 실패 가능 | QoS 설정,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야간 처리 시간 분산 운영 | |
4. 장애 복원력 | 체크포인트 설정 빈도 | 잦은 저장은 성능 저하, 없을 경우 복구 어려움 | 1,000~5,000 건 단위 또는 단계별로 커밋, 실패 대비를 위한 증분 스냅샷 적용 |
자동 재처리 및 복구 전략 | 실패 시 전체 재시작으로 운영 부담 가중 | 단계별 재시작 구조 설계, 실패 알림 및 복구 자동화 스크립트 도입 | |
스키마 변경 대응 | 스키마 변경 시 파이프라인 붕괴 가능성 | Schema Registry 도입, 역방향/정방향 호환 정책 명문화 |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1. 아키텍처 패턴 | 파이프라인 아키텍처 | 단계별 직렬 처리 구조 | 데이터가 입력 → 처리 → 출력 단계로 순차적으로 흐르는 고전적 처리 방식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 트리거 기반 비동기 실행 |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실행되는 트리거 방식으로 배치 스케줄링 또는 실시간 이벤트 처리와 결합 가능 | |
2. 데이터 처리 방식 | ETL/ELT 파이프라인 | 추출 → 변환 → 적재 | 전통적인 대용량 배치 처리 구조. ELT 는 저장소 후 변환 방식으로 Cloud DW 에서 채택 중 |
스트림 - 배치 하이브리드 | 실시간 흐름의 마이크로 배치화 | 실시간성과 일괄 처리를 융합하여 배치 지연을 줄이고 스트림 특성도 흡수. 예: Spark Structured Streaming | |
3. 분산 처리 구조 | 마이크로서비스 | 처리 단계를 독립적 서비스로 구성 | 각 Step 을 서비스화하여 모듈 간 결합도 낮추고 병렬 실행 또는 장애 격리 용이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 Kubernetes 기반 배치 실행 | 배치 작업을 컨테이너화하여 K8s Job/CronJob 으로 스케줄링 및 확장성 확보 | |
4. 클라우드 전략 | 서버리스 배치 | Function 기반 실행 모델 | AWS Lambda, Azure Functions 등에서 이벤트 기반으로 배치 단위 실행 가능 |
관리형 배치 서비스 | 배치 실행/오케스트레이션 제공 플랫폼 | AWS Batch, Google Cloud Dataflow 등 클라우드에서 배치 실행과 리소스 관리를 추상화 | |
5. 운영 및 자동화 | 배치 스케줄러 | 정기 실행 및 의존성 관리 | cron, Airflow, Spring Batch 등을 통해 주기적 또는 DAG 기반 제어 가능 |
자동 복구/재처리 | 실패 시 자동 재시작 또는 롤백 지원 | 체크포인트, 트랜잭션 단위 재실행 전략 도입으로 운영 효율성 증대 | |
6. 성능 및 확장성 | 병렬 처리 및 파티셔닝 | 대용량 처리 속도 개선 | 데이터를 파티션 단위로 나누어 병렬 실행, 멀티 쓰레드 또는 다중 노드 확장 구조 가능 |
Dynamic Scaling | 자원 자동 할당 및 조정 | 클러스터 또는 서버리스 기반으로 수요에 따라 리소스 자동 확장 가능 | |
7. 보안 및 관찰성 | 데이터 암호화 | 저장 및 전송 시 암호화 적용 | Encryption-at-rest/in-transit 로 보안 요건 충족 |
통합 관찰성 (Observability) | 로그, 메트릭, 트레이싱 통합 관제 | OpenTelemetry, Prometheus, Grafana 기반 통합 대시보드로 배치 상태 추적 및 알림 가능 |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이론 기초 | 데이터 구조 및 알고리즘 | 큐, 스택, 정렬, 검색, B+ 트리 | 배치 처리에 적합한 기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이해 |
운영체제 개념 | 프로세스 스케줄링, 가상 메모리 | 배치 작업의 OS 수준 자원 제어 방식 | |
네트워킹 및 통신 원리 | TCP/IP, 부하 분산 | 분산 배치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효율성 확보 | |
분산 시스템 이론 | CAP 정리, Raft, Paxos | 일관성 - 가용성 균형과 분산 환경의 상태 관리 핵심 | |
시스템 구조 및 아키텍처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Batch Sequential, Pipe-and-Filter 등 | 단계 기반 데이터 처리 방식과 흐름 제어 이해 |
하이브리드 처리 아키텍처 | Lambda, Kappa, Hybrid 모델 | 배치 - 실시간 결합 처리 방식 구조 이해 | |
프레임워크 및 도구 | 배치 처리 프레임워크 | Spring Batch (Job, Step, Repository 등) | 표준 오픈소스 배치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이해 |
워크플로우 및 스케줄링 엔진 | Apache Airflow, Azure Data Factory (DAG, Sensor 등) | 배치 실행 흐름 및 의존성 제어 도구 | |
운영 및 실무 전략 | 배치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 | 스케줄러 활용, 모니터링 지표 정의 | 반복 작업 자동화 및 실시간 운영 대응 전략 |
장애 대응 및 복구 전략 | 오류 감지, 체크포인트, 재시작, 로그 추적 | 장애 시 정확한 재처리와 SLA 보장 | |
데이터 품질 및 일관성 | 데이터 정합성 보장 | ACID 트랜잭션, CDC, Idempotency | 데이터 중복 제거 및 일관성 유지 메커니즘 |
스키마 및 데이터 무결성 관리 | 스키마 버전 관리, 검증, 프로파일링 | 데이터 처리 중 스키마 변경 대응 및 오류 방지 | |
성능 최적화 전략 | 병렬 처리 및 파티셔닝 | 멀티 파티션 처리, 병렬 Step 설계 | 대용량 데이터 처리 성능 극대화 |
리소스/비용 최적화 | 리소스 격리, 배치 크기 튜닝, 오토스케일링 | 비용 - 성능 균형 유지 및 클라우드 운영 효율화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아키텍처 패턴 | 배치 순차 처리 (Batch Sequential) |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순차 처리하는 구조적 아키텍처 스타일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Data-Flow Architecture) | 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아키텍처. 각 처리 단계를 명확히 분리하여 구성 | |
파이프라인 (Pipeline) | 입력 → 처리 → 출력 구조로 순차적 단계를 거치는 처리 방식 | |
백프레셔 (Backpressure) | 처리 속도 불균형을 감지하고 생산자 또는 중간단계에 압력을 가해 흐름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 |
배치 구성 요소 | Job | 전체 배치 작업 단위를 나타내는 추상적 개념 |
Step | Job 내 개별 처리 단계. Reader, Processor, Writer 등으로 구성 | |
Chunk | 트랜잭션 단위 데이터 묶음. 예: 1000 건 단위 커밋 | |
Checkpoint | 실패 발생 시 재처리를 위한 상태 저장 지점. 장애 복구에 필수 | |
Partitioning | 데이터를 파티션 단위로 분할하여 병렬 처리하는 전략 | |
Intermediate Storage / File | 단계 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 파일, 큐, 테이블 등 활용 가능 | |
데이터 처리 | ETL (Extract, Transform, Load) | 데이터 추출, 변환, 적재의 일괄 처리 과정 |
마이크로 배치 (Micro-batch) | 소규모 배치를 연속 처리하여 스트리밍과 유사한 성능을 얻는 방식 (Spark Structured Streaming 등) | |
데이터 린나지 (Data Lineage) | 데이터가 어떤 경로와 변환을 거쳐 현재 상태에 도달했는지를 추적하는 메타 정보 | |
CDC (Change Data Capture) | 소스 시스템에서 발생한 변경 사항을 실시간 또는 배치로 추출하는 기술 | |
운영/자동화 | 배치 스케줄러 (Batch Scheduler) | 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자동 실행하는 도구. 예: cron, Airflow 등 |
DAG (Directed Acyclic Graph) | 배치 실행의 순서를 정의하는 비순환 방향성 그래프 구조. 의존성 관리에 유용 | |
워크플로우 엔진 | 여러 작업 단계를 정의하고 실행 순서 및 조건을 관리하는 시스템 (ex. Spring Batch, Airflow) | |
시스템 속성 | 멱등성 (Idempotency) | 동일 작업이 여러 번 실행되어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 특성 |
장애 허용성 (Fault Tolerance) | 일부 실패에도 시스템 전체가 계속 작동하도록 설계된 특성 | |
수평적 확장 (Horizontal Scaling) | 서버/노드 수 증가를 통해 시스템 성능을 확장하는 구조적 방식 | |
성능 최적화 | 지연 로딩 (Lazy Loading) | 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불러와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식 |
메모리 풀링 (Memory Pooling) | 자주 사용하는 객체를 메모리에 미리 할당하고 재사용하여 성능 향상 | |
외부 정렬 (External Sorting) | 메모리보다 큰 데이터를 디스크 기반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 (예: Merge Sort 기반 정렬) | |
클라우드/인프라 | Serverless | 서버 관리 없이 함수 단위로 실행하는 클라우드 실행 모델.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 제공 |
Kubernetes CronJob | Kubernetes 환경에서 배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리소스 | |
Auto Scaling | 부하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메커니즘 | |
보안/관찰성 | Encryption-at-rest | 저장 상태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기법 |
Distributed Tracing | 분산 시스템에서 트랜잭션 또는 요청의 흐름을 추적하는 기법. 예: OpenTelemetry, Zipkin 등 |
참고 및 출처
- Batch Processing 개념 및 사례 - IBM
- Batch Sequential Architecture Pattern 설명 - Microsoft Docs
- Pipes and Filters Pattern - Martin Fowler
- Apache Airflow Documentation - Batch Processing
- Apache Spark SQL Programming Guide - Apache Spark
- AWS Batch User Guide - Amazon Web Services
- Google Cloud Dataflow Documentation - Google Cloud
- Microsoft Azure Batch Documentation - Azure
- Spring Batch 아키텍처 개요 및 구성요소 - Spring.io
- Airflow DAG 패턴 및 사용 사례 - Apache Airflow
- CDC 개념 및 도입 전략 - Debezium
- 스키마 레지스트리 도입 전략 - Confluent
- Kubernetes CronJob 및 Job 설명 - Kubernetes.io
- Serverless 기반 배치 처리 전략 - AWS Lambda
- OpenTelemetry 분산 추적 소개 - OpenTelemetry
- Spring Batch Partitioning 확장 기능 설명 - Medium
- Fast-food 매출 집계 배치 방식 - Estuary.dev
- ETL 파이프라인과 배치 처리 - AWS
- Batch Processing Best Practices - Ora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