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tch Sequential

Batch Sequential 은 데이터‑플로우 아키텍처의 전통적 형태로, 큰 단위의 데이터를 일괄 처리 (batch) 하면서 순차적 단계 (연속 처리) 를 거치는 구조다. 각 단계는 독립 실행되며 임시 저장을 통해 이전 단계 결과를 전달한다. 과거 메인프레임 및 비즈니스 시스템 (회계, 청구 등) 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대량 데이터 처리, ETL, 스케줄 기반 작업 등에서 활용된다. 장점으로 모듈화∙재사용성, 단순화된 디버깅 등이 있으며 단점으로 높은 지연 시간, 낮은 실시간 대응성, 병렬 처리 부족이 있다.

배경

배치 순차 처리는 1950 년대 메인프레임 시대부터 시작된 개념으로, 컴퓨터 자원이 제한적이던 시절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개발되었다.

역사적 발전: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1. 대용량 데이터 처리: 메모리 제약을 극복한 효율적 처리
  2. 복잡한 변환 작업: 다단계 데이터 변환의 체계적 관리
  3. 시스템 신뢰성: 단계별 검증과 오류 복구 지점 제공
  4. 자원 효율성: 시스템 자원의 최적 활용

필요성:

핵심 개념

Batch Sequential(배치 순차 처리) 는 데이터를 일정한 배치 단위로 모아, 여러 독립적인 처리 단계 (프로그램/모듈) 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처리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각 단계는 입력 파일을 받아 처리 후 결과를 출력 파일로 저장하며, 이 출력이 다음 단계의 입력이 된다.

실무 구현과의 연관성

  1. 시스템 설계 측면

    • 모듈화: 각 처리 단계를 독립적인 모듈로 설계
    • 확장성: 단계별 독립적인 스케일링 가능
    • 유지보수성: 단계별 개별 수정 및 테스트 가능
  2. 성능 최적화 측면

    • 리소스 관리: 단계별 리소스 할당 최적화
    • 병렬 처리: 동일 단계 내 배치 병렬 처리
    • 메모리 효율성: 배치 크기 조정을 통한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

주요 기능 및 역할

핵심 기능:

  1. 데이터 분할 (Data Partitioning):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배치로 분할
  2. 순차 처리 (Sequential Processing): 각 단계의 순차적 실행 보장
  3. 중간 결과 저장: 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
  4. 상태 관리: 처리 진행 상황과 오류 상태 추적

시스템 내 역할:

특징

  1. 배치 기반 처리

    • 개별 항목이 아닌 데이터 묶음 단위 처리
    • 배치 크기에 따른 성능 특성 변화
  2. 순차적 실행 흐름

    • 엄격한 단계별 순서 준수
    • 이전 단계 완료 후 다음 단계 시작
  3. 단계별 독립성

    • 각 단계의 독립적인 실행 환경
    • 단계 간 느슨한 결합 (Loose Coupling)
  4. 완전한 데이터 전달

    • 한 단계의 전체 출력이 다음 단계 입력
    • 부분적 데이터 전달 없음

핵심 원칙

  1. 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각 단계는 하나의 명확한 기능만 수행
    • 기능별 명확한 경계 설정
  2. 데이터 무결성 원칙

    • 단계 간 완전한 데이터 전달 보장
    • 데이터 손실 방지 메커니즘
  3. 독립성 원칙

    • 각 단계의 독립적인 실행 가능성
    • 단계 간 최소한의 의존성
  4. 재사용성 원칙

    • 단계별 모듈의 다른 파이프라인에서 재사용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

주요 원리 및 작동 원리

작동 원리

graph LR
    A[Input Data] --> B[Stage 1: Extract]
    B --> C[Intermediate Storage 1]
    C --> D[Stage 2: Transform]
    D --> E[Intermediate Storage 2]
    E --> F[Stage 3: Load]
    F --> G[Output Data]
    
    H[Batch Controller] --> B
    H --> D
    H --> F
    
    I[Error Handler] --> B
    I --> D
    I --> F

처리 흐름

sequenceDiagram
    participant Controller as 배치 컨트롤러
    participant Stage1 as 단계 1
    participant Stage2 as 단계 2
    participant Stage3 as 단계 3
    participant Storage as 중간 저장소
    
    Controller->>Stage1: 배치 처리 시작
    Stage1->>Storage: 처리 결과 저장
    Stage1->>Controller: 완료 신호
    
    Controller->>Stage2: 다음 단계 시작
    Stage2->>Storage: 데이터 읽기
    Stage2->>Storage: 처리 결과 저장
    Stage2->>Controller: 완료 신호
    
    Controller->>Stage3: 최종 단계 시작
    Stage3->>Storage: 데이터 읽기
    Stage3->>Controller: 전체 완료

작동 메커니즘:

  1. 배치 초기화: 입력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배치로 분할
  2. 단계별 순차 실행: 각 단계가 완전히 완료된 후 다음 단계 시작
  3. 중간 결과 저장: 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
  4. 상태 추적: 각 단계의 진행 상황과 결과 모니터링
  5. 오류 처리: 단계별 오류 발생 시 적절한 복구 또는 중단

구조 및 아키텍처

graph TB
    subgraph "Input Layer"
        A[Data Source]
        B[Data Partitioner]
    end
    
    subgraph "Processing Pipeline"
        C[Stage 1]
        D[Intermediate Storage 1]
        E[Stage 2]
        F[Intermediate Storage 2]
        G[Stage N]
    end
    
    subgraph "Control Layer"
        H[Batch Controller]
        I[Scheduler]
        J[Monitor]
    end
    
    subgraph "Storage Layer"
        K[Persistent Storage]
        L[Temporary Storage]
    end
    
    subgraph "Error Handling"
        M[Error Handler]
        N[Recovery Manager]
    end
    
    A --> B
    B --> C
    C --> D
    D --> E
    E --> F
    F --> G
    
    H --> C
    H --> E
    H --> G
    
    I --> H
    J --> H
    
    M --> C
    M --> E
    M --> G
    
    D --> L
    F --> L
    G --> K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기능역할특징
필수배치 컨트롤러전체 처리 흐름 제어 및 조정단계별 실행 순서 관리, 상태 추적중앙집중식 제어, 오류 감지 및 대응
필수처리 단계 (Stages)실제 데이터 변환 및 처리 수행특정 비즈니스 로직 실행독립적 실행, 재사용 가능한 모듈
필수중간 저장소단계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한 임시 저장데이터 버퍼링, 백프레셔 관리고성능 읽기/쓰기, 자동 정리
필수데이터 분할기대용량 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배치로 분할메모리 효율성 보장, 병렬 처리 지원동적 배치 크기 조정, 데이터 특성 고려
선택스케줄러배치 작업의 시간 기반 실행 관리자동화된 작업 실행, 리소스 최적화조건부 실행, 의존성 관리
선택모니터링 시스템실시간 성능 모니터링 및 알림시스템 상태 가시성 제공메트릭 수집, 대시보드 제공
선택캐싱 계층자주 접근하는 데이터의 캐시 관리성능 향상, 네트워크 부하 감소지능형 캐시 정책, 분산 캐시 지원
선택부하 분산기여러 처리 인스턴스 간 작업 분산시스템 확장성 제공동적 부하 분산, 장애 감지

구현 기법

구현 전략정의 및 구성 방식주요 목적대표 도구 및 예시
1. 커스텀 스크립트 기반단계별 Shell, Python 스크립트 작성 + Cron/Task Scheduler 로 순차 실행간단한 구조, 빠른 프로토타이핑bash + cron, Python + schedule, Airflow CLI
2. 프레임워크 기반 배치Job, Step, Reader/Writer 등 명세 중심 처리. 상태 저장, 재시작, 병렬 처리 지원재시작, 로깅, 트랜잭션 제어, 대용량 처리Spring Batch, terasoluna-batch, Quartz
3. 워크플로우 오케스트레이션DAG(Task Graph) 기반으로 단계 연결, 스케줄링 + 모니터링 + 재실행 자동화복잡한 워크플로우 구성, 장애 대응, 확장성Apache Airflow, AWS Step Functions, Argo Workflow
4. GUI 기반 ETL 도구Drag & Drop 방식의 시각적 흐름 정의, 연동된 임시 저장소 또는 메타데이터 기반 처리빠른 설계, 비개발자 접근성, 시각화Informatica, Talend, Pentaho, Nifi
5. 분산 실행 기반 배치Spark/Flink 기반 Job 을 순차 구성하고, YARN/Oozie 등으로 실행 흐름 제어분산 병렬 처리, 대용량 데이터 파이프라인Apache Spark + Oozie, Flink Batch + Airflow
6. 파이프라인 기반 처리각 단계를 독립 프로세스로 구성하고, 메시지 큐/파일/표준 I/O 기반으로 연결유연한 단계 연결, 시스템 격리, Fault IsolationUNIX pipeline, Kafka → ETL → Loader, GStreamer
7. 스트리밍 - 배치 하이브리드실시간 스트림을 시간 윈도우 단위로 배치화하여 마이크로 배치 처리실시간성과 안정성 결합Spark Structured Streaming, Flink with Windowing
8. 메모리 매핑 처리대용량 파일을 가상 메모리에 매핑하여 페이지 단위로 처리메모리 효율적 접근, 랜덤 액세스mmap (Unix), memoryview, Apache Arrow
9. 체크포인트 기반 복구각 단계 실행 후 상태를 저장하여 장애 시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하게 구성장애 대응, 증분 복구, 안정성 확보Airflow XCom, Spring Batch JobRepository, Flink Savepoint

장점

카테고리항목설명
성능 및 처리 효율대용량 데이터 처리 적합전체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배치 단위로 처리함으로써, 메모리 효율적으로 수 TB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 가능
병렬 처리 지원동일 단계 내에서 배치를 분할하여 병렬로 실행할 수 있어 처리량 증가 및 Throughput 향상 가능
예측 가능한 리소스 사용단계별로 필요한 리소스를 정적으로 추산하고 할당 가능하므로, 안정적인 성능 보장 및 비용 최적화
운영 및 관리 용이성오류 격리각 Step 이 독립적이므로 한 단계의 오류가 전체 플로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
재시작 용이성각 단계별 완료 시점이 명확히 기록되어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부터 재처리 가능
디버깅 및 추적 용이중간 결과가 저장되므로 실행 로그 및 중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 추적 및 원인 파악이 쉬움
설계 및 구조적 유연성모듈화 및 유지보수성 향상각 처리 단계를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모듈로 분리하여 개발, 테스트, 배포가 용이함
로직 단순화 및 명확한 흐름순차적 실행 흐름이 명확하여 복잡한 로직 없이도 전체 시스템 이해가 쉬움
재사용성공통 처리 로직을 단일 모듈로 구성하여 다른 플로우에서도 쉽게 재사용 가능
시스템 안정성낮은 결합도 (Loose Coupling)각 단계가 Intermediate Storage 를 통해 연결되어 시스템 간 결합도를 낮춰 변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구간별 테스트 가능성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가 용이함
장애 영향 최소화전체 시스템이 아닌 개별 단계에 대한 장애 대응이 가능하여 전체 다운 타임 최소화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구분항목설명해결 방안
처리 지연지연 시간 증가모든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전체 처리 시간이 길어짐마이크로 배치 도입, 스트리밍과의 하이브리드 처리 병행
운영 복잡성복잡한 제어 로직실행 순서, 의존성, 에러 처리를 수동 제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가 어려움워크플로우 엔진 (Airflow, Spring Batch 등) 도입, 선언적 파이프라인 사용
저장소 오버헤드중간 파일/저장소 과다 사용각 단계의 결과를 파일이나 테이블로 저장하면서 스토리지 사용량 증가임시 저장소 최적화, 주기적 정리 자동화, 메모리 기반 임시 저장소 활용
실시간성 부족실시간 요청에 대응 불가사용자 요청에 대해 실시간 응답이 불가능하며 인터랙티브한 시스템과 병행 사용 불가이벤트 기반 시스템 또는 스트림 처리 병행 구조 설계
리소스 독점외부 트랜잭션 영향대용량 배치가 시스템 전체 리소스를 점유하여 실시간 시스템 성능 저하리소스 제한 설정, QoS 기반 스케줄링, 배치 시간대 분리 운영

문제점

구분문제 항목원인영향탐지/진단 방법예방 및 해결 방안
데이터 품질데이터 불일치단계 간 전달 중 누락/중복 발생, 중간 결과 검증 누락결과 오류, 데이터 신뢰도 저하로그/체크섬 기반 검증, 정합성 비교트랜잭션 보장, 멱등성 적용, 데이터 무결성 검증
장애 대응성복구 어려움체크포인트 부재, 임시 저장소 의존배치 실패 시 전체 재시작, 시간/비용 증가상태 모니터링, 실패 단계 추적체크포인트 저장, 스테이지별 재시작 기능 도입
리소스 병목특정 단계 병목불균형한 처리 로직, 고비용 연산 존재전체 성능 저하, SLA 지연단계별 처리 시간 측정, 시스템 모니터링병목 단계 분산 처리, 리팩토링, 리소스 증설
저장소 오류중간 저장소 손상/삭제디스크 오류, 네트워크 문제, 파일 충돌 등데이터 손실, 재처리 필요스토리지 상태 모니터링, 백업 주기 관리저장소 이중화, 자동 백업/복원 스크립트
스키마 호환성스키마 변경 시 파이프라인 오류 발생하위 모듈 미준비, 버전 불일치다운스트림 오류, 배치 실패Schema Registry 로그, 버전 비교 분석스키마 레지스트리 도입, 정/역방향 호환 정책 수립
성능 저하대용량 데이터 처리 지연단일 노드 처리, 비효율적 알고리즘전체 처리 지연, 시간 초과처리 시간 프로파일링, GC 로그 분석병렬 처리 도입, 파티셔닝 및 리팩토링, 메모리 튜닝
에러 은닉오류 탐지 누락로그 미흡, 예외 처리 부재문제 진단 어려움, 배치 실패 원인 파악 불가상세 로그/알림 시스템 구축자동화된 에러 감지, 알림 설정, 로깅 레벨 고도화

도전 과제

카테고리과제원인영향해결 방안
기술적 과제대용량 처리 병목 (Scalability)데이터 증가, 병렬화 부족, 단일 스레드/노드 처리 한계처리 지연, 시스템 부하, 병목 발생멀티 파티션 처리, Kubernetes 기반 수평 확장스케줄러 병렬화 전략
실시간 요구 대응 (Hybrid Integration)실시간 분석 수요 증가, 순수 배치 구조의 한계분석 지연, 비즈니스 인사이트 지연Lambda/Kappa 아키텍처 도입배치 - 스트림 하이브리드화
체크포인트 처리 최적화지나친 메타데이터 쓰기, 상태 저장 비용 증가I/O 및 DB 부하 증가, 처리 지연배치 크기 조정, Checkpoint 주기 최적화
정확한 처리 보장 (Exactly-once)장애 시 재처리 중복 가능성데이터 중복 저장, 결과 불일치트랜잭션 격리, 키 기반 중복 제거, Idempotent 처리 설계
운영 과제운영 자동화 부족수작업 배포/모니터링/복구 구성운영 복잡성, 오류 대응 지연자동화된 CI/CD, 통합 모니터링, 장애 감지 및 복구 자동화
장애 복구 시 처리 불안정수동 복구 전략, 처리 중 상태 유실 가능성처리 재시작 불가 또는 중복 처리Checkpointing, 재시작 가능한 워크플로우 구성
품질/신뢰성데이터 품질 관리 (Quality)다양한 소스 및 변환으로 인한 오류 발생 가능성잘못된 분석 결과, 다운스트림 오류데이터 린나지 관리, 단계별 데이터 검증 및 프로파일링
신뢰성 있는 처리 보장변동성 있는 소스 입력, 일시적 오류 무시 전략 등결과 불신, SLA 미달데이터 검증 룰 기반 유효성 검증, 오류 알림 및 보정 정책
비용/인프라비용 최적화클라우드 리소스 과소/과다 사용비용 낭비 또는 성능 저하스팟 인스턴스 활용, 비용 기반 스케줄링, 적응형 리소스 할당
리소스 할당/확장 설계 부족과도한 고정 리소스, 수동 확장트래픽 증가 시 처리 실패, 리소스 낭비오토스케일링, 동적 리소스 할당 전략 적용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정의 및 특징적용 사례
1. 배치 크기 기준Fixed-size 배치일정한 데이터 건수 단위로 처리. 예: 1,000 건씩 고정대금 정산 처리, 고정 건수 마이그레이션 배치
Time-window 배치시간 간격 단위로 처리. 예: 1 시간마다, 매일 새벽 3 시로그 수집, 시간 기반 로그 집계
2. 처리 구조 기준순차 단일 프로세스모든 단계를 단일 프로세스로 순차 실행. 단순하나 확장성 부족DB 백업 스크립트, 단일 cron job
병렬 파티셔닝 처리데이터를 파티션으로 나누어 여러 인스턴스에서 병렬 처리사용자 활동 로그 병렬 수집, 청구서 병렬 처리
3. 실행 주기 기준정기 배치 (Scheduled)cron, scheduler 등을 이용한 고정 주기 실행야간 배치, 월말 회계 정산
온디맨드 배치 (On-demand)사용자의 명시적 요청 또는 이벤트 발생 시 실행실시간 보고서 생성, 수동 데이터 재처리
4. 실행 환경 기준온프레미스자체 서버 및 물리적 인프라 기반 처리금융권 사내 시스템, ERP 일괄 처리
클라우드 기반AWS Batch, Dataflow 등 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 활용데이터 웨어하우스 적재, BigQuery ETL 처리
5. 데이터 전달 방식파일 기반각 단계가 파일 입출력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CSV 처리, Hadoop Input/Output
메시지 큐 기반Kafka, RabbitMQ 등으로 각 단계 연결. 병렬·비동기 처리가 가능실시간 수집 후 배치 적재, 이벤트 기반 ETL
6. 실행 제어 방식스크립트 기반 실행Shell/Python 등의 스크립트와 cron 기반 수동 제어레거시 배치 시스템, 단순 자동화
프레임워크 기반 실행Spring Batch, Airflow 등으로 정의된 워크플로우 기반 배치 처리병렬 파이프라인, 재시작·트랜잭션 보장되는 정형 배치
7. 장애 처리 전략체크포인트 기반중간 단계마다 상태 저장 → 오류 발생 시 해당 시점부터 재처리 가능장시간 금융 마감 배치, 단계 복구 필수 파이프라인
재시도 기반실패 시 전체 재처리. 구조는 단순하나 자원 소모 큼소규모 간단 배치 작업, 알림 이메일 발송

실무 사용 예시

적용 분야목적연계 기술 및 도구효과
데이터 파이프라인 (ETL)데이터 추출, 정제, 적재 (정기 배치)Apache Airflow, Spark, SQL, Staging Tables대용량 데이터 자동 변환, 정형화된 웨어하우스 구축 가능
통신/요금 정산JSON 기반 로그 분석 및 요금 청구 변환 처리Spring Batch, DBMS, JSON Parser요금 정산 정확도 향상, 체크포인트 기반 안정성 확보
매출 집계일일/월별 매출 통계 처리Spark SQL, Python, CSV/Parquet비즈니스 인사이트 제공, 시간 단위 리포트 자동화
로그 분석대량 로그 수집 및 이벤트 분석ELK Stack (Logstash, Kibana), Hadoop, Spark실시간 이상 탐지, 트렌드 분석 최적화
이미지/미디어 처리이미지/영상 데이터의 일괄 변환ImageMagick, OpenCV, PIL병렬 이미지 처리, 사이즈 변환, 포맷 통일 등 일괄 처리
금융/재무 분석일별 거래내역 정산 및 리포팅 자동화SQL, Python Pandas, 파일시스템, FTP정산 신뢰성 확보, 자동 보고서 생성
ML 파이프라인모델 학습 / 재학습, 주기적 배포MLflow, Kubeflow, Spark MLlib학습 - 배포 자동화, 성능 관리 반복 주기 최적화
백업 및 복구정기적 데이터 백업 및 재해 복구rsync, 분산 파일 시스템 (HDFS, S3), cron, Kubernetes데이터 안정성 확보, 비용 최소화
클라우드 기반 확장대규모 배치 스케일링 및 자원 최적화Spring Batch + Kubernetes, AutoscalerAuto-Restart, 내결함성, 리소스 효율 극대화

활용 사례

사례 1: 통신사 요금 청구 배치 (Spring Batch 기반)

시스템 구성:

graph TD
  A[Usage JSON Files] --> B[Step1: Reader/Processor]
  B --> C[Intermediate Storage: BILL_STATEMENTS table]
  C --> D[Step2: Aggregation/Finalization]
  D --> E[Reporting/Table Load]
  B & D --> F[Job Repository: 상태/체크포인트]
  F & E --> G[JobLauncher & Scheduler triggering]

Workflow:

  1. Scheduler 가 JobLauncher 로 billrun Job 호출
  2. Step1 읽기 처리 후 BILL_STATEMENTS 에 임시 저장
  3. Step2 에서 계산 및 테이블 업데이트
  4. 각 Step 종료 시 트랜잭션 커밋, 체크포인트 기록
  5. Job 종료 후 상태 로그와 메타 기록
  6. 오류 시 체크포인트 기준 재시작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Bean
public Job billJob(JobBuilderFactory jb, StepBuilderFactory sb, 
                   ItemReader<JsonUsage> reader,
                   ItemProcessor<JsonUsage, Bill> processor,
                   ItemWriter<Bill> writer) {
  Step step1 = sb.get("usageToBill")
    .<JsonUsage,Bill>chunk(1000)
    .reader(reader)
    .processor(processor)
    .writer(writer)
    .build();
  return jb.get("billJob")
    .incrementer(new RunIdIncrementer())
    .repository(jobRepository())
    .start(step1)
    .build();
}

하이브리드 확장 팁 (대규모 사용량 처리 시):

사례 2: ETL(Extract, Transform, Load) 파이프라인

시스템 구성: 원본 데이터 → 추출 프로그램 → 변환 프로그램 → 적재 프로그램 → 데이터 웨어하우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원본 데이터]
   |
[추출 프로그램]
   |
[중간 파일 1]
   |
[변환 프로그램]
   |
[중간 파일 2]
   |
[적재 프로그램]
   |
[데이터 웨어하우스]

워크플로우: 원본 데이터 수집 → 추출 (Extract) → 변환 (Transform) → 적재 (Load)

Batch Sequential 적용 시: 각 단계가 독립적으로 실행되어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만 재처리 가능, 데이터 품질 관리 용이
미적용 시: 전체 파이프라인 장애 시 복구 어려움, 오류 추적 어려움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각 단계별로 독립적인 배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예시
# 1. 데이터 추출
def extract_data(input_path, output_path):
    with open(input_path, 'r') as infile, open(output_path, 'w') as outfile:
        for line in infile:
            # 데이터 전처리 및 필터링
            if '필요한 조건' in line:
                outfile.write(line)

# 2. 데이터 변환
def transform_data(input_path, output_path):
    with open(input_path, 'r') as infile, open(output_path, 'w') as outfile:
        for line in infile:
            # 데이터 변환 로직 적용
            transformed = line.replace('old', 'new')
            outfile.write(transformed)

# 3. 데이터 적재
def load_data(input_path, db_conn):
    with open(input_path, 'r') as infile:
        for line in infile:
            # 데이터베이스에 적재
            db_conn.insert(line)

# 각 단계는 배치 스케줄러로 순차적으로 실행

각 단계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중간 파일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됩니다. 장애 발생 시 해당 단계만 재실행 가능합니다.

사례 3: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일일 매출 분석 시스템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데이터 소스"
        A[주문 DB]
        B[결제 시스템]
        C[배송 추적]
        D[고객 DB]
    end
    
    subgraph "배치 처리 파이프라인"
        E[데이터 추출]
        F[데이터 정제]
        G[비즈니스 로직 적용]
        H[집계 및 계산]
        I[보고서 생성]
    end
    
    subgraph "출력"
        J[매출 대시보드]
        K[경영진 보고서]
        L[부서별 리포트]
    end
    
    A --> E
    B --> E
    C --> E
    D --> E
    
    E --> F
    F --> G
    G --> H
    H --> I
    
    I --> J
    I --> K
    I --> L

Workflow:

  1. 데이터 추출 단계: 각 시스템에서 일일 데이터 추출 (오전 1 시 시작)
  2. 데이터 정제 단계: 중복 제거, 누락 데이터 보정, 형식 통일
  3. 비즈니스 로직 적용: 할인율 적용, 세금 계산, 배송비 정산
  4. 집계 및 계산: 카테고리별, 지역별, 고객군별 매출 집계
  5. 보고서 생성: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 및 대시보드 데이터 생성

배치 순차 처리의 역할:

배치 순차 처리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319
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import asyncio
import logging
from abc import ABC, abstractmethod
from dataclasses import dataclass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from typing import List, Dict, Any, Optional
import pandas as pd
import json

# 로깅 설정
logging.basicConfig(level=logging.INFO)
logger = logging.getLogger(__name__)

@dataclass
class BatchData:
    """배치 데이터 클래스 - 단계 간 전달되는 데이터 구조"""
    data: pd.DataFrame
    metadata: Dict[str, Any]
    batch_id: str
    timestamp: datetime
    
class ProcessingStage(ABC):
    """추상 처리 단계 클래스 - 모든 처리 단계의 기본 인터페이스"""
    
    def __init__(self, stage_name: str):
        self.stage_name = stage_name
        self.logger = logging.getLogger(f"Stage.{stage_name}")
    
    @abstractmethod
    async def process(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실제 처리 로직을 구현하는 추상 메서드"""
        pass
    
    async def execute(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단계 실행 래퍼 - 로깅 및 오류 처리 포함"""
        self.logger.info(f"Starting stage: {self.stage_name}")
        start_time = datetime.now()
        
        try:
            result = await self.process(batch_data)
            
            # 처리 시간 계산 및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processing_time = (datetime.now() - start_time).total_seconds()
            result.metadata[f"{self.stage_name}_processing_time"] = processing_time
            result.metadata[f"{self.stage_name}_completed_at"] = datetime.now().isoformat()
            
            self.logger.info(f"Completed stage: {self.stage_name} in {processing_time:f}s")
            return result
            
        except Exception as e:
            self.logger.error(f"Error in stage {self.stage_name}: {str(e)}")
            raise

class DataExtractionStage(ProcessingStage):
    """데이터 추출 단계 -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 추출"""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DataExtraction")
    
    async def process(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시뮬레이션된 데이터 추출 - 실제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
        
        # 시뮬레이션: 주문 데이터 생성
        sample_data = {
            'order_id': range(1, 10001),
            'customer_id': [f"CUST_{i%1000:04d}" for i in range(1, 10001)],
            'product_category': ['Electronics', 'Clothing', 'Books', 'Home'] * 2500,
            'order_amount': [100 + (i % 500) for i in range(1, 10001)],
            'order_date': ['2024-01-15'] * 10000,
            'payment_status': ['PAID', 'PENDING', 'FAILED'] * 3334
        }
        
        # 데이터 추출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연
        await asyncio.sleep(1)
        
        extracted_df = pd.DataFrame(sample_data)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batch_data.data = extracted_df
        batch_data.metadata.update({
            'extracted_records': len(extracted_df),
            'extraction_source': ['orders_db', 'payments_db', 'customers_db']
        })
        
        self.logger.info(f"Extracted {len(extracted_df)} records")
        return batch_data

class DataCleaningStage(ProcessingStage):
    """데이터 정제 단계 - 데이터 품질 향상"""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DataCleaning")
    
    async def process(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데이터 정제 로직 수행"""
        
        df = batch_data.data.copy()
        
        # 데이터 정제 작업들
        original_count = len(df)
        
        # 1. 중복 제거
        df = df.drop_duplicates(subset=['order_id'])
        
        # 2. 잘못된 결제 상태 데이터 필터링
        df = df[df['payment_status'].isin(['PAID', 'PENDING'])]
        
        # 3. 음수 금액 제거
        df = df[df['order_amount'] > 0]
        
        # 4. 날짜 형식 정규화
        df['order_date'] = pd.to_datetime(df['order_date'])
        
        # 정제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연
        await asyncio.sleep(0.5)
        
        cleaned_count = len(df)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batch_data.data = df
        batch_data.metadata.update({
            'original_records': original_count,
            'cleaned_records': cleaned_count,
            'removed_records': original_count - cleaned_count,
            'cleaning_rules_applied': ['duplicate_removal', 'payment_validation', 'amount_validation']
        })
        
        self.logger.info(f"Cleaned data: {original_count} -> {cleaned_count} records")
        return batch_data

class BusinessLogicStage(ProcessingStage):
    """비즈니스 로직 적용 단계 - 도메인 특화 계산"""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BusinessLogic")
    
    async def process(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비즈니스 로직 적용"""
        
        df = batch_data.data.copy()
        
        # 비즈니스 로직 적용
        # 1. 카테고리별 할인 적용
        discount_rates = {
            'Electronics': 0.1,
            'Clothing': 0.15,
            'Books': 0.05,
            'Home': 0.12
        }
        
        df['discount_rate'] = df['product_category'].map(discount_rates)
        df['discount_amount'] = df['order_amount'] * df['discount_rate']
        df['final_amount'] = df['order_amount'] - df['discount_amount']
        
        # 2. 세금 계산 (10%)
        df['tax_amount'] = df['final_amount'] * 0.1
        df['total_amount'] = df['final_amount'] + df['tax_amount']
        
        # 3. 고객 등급 계산
        customer_totals = df.groupby('customer_id')['total_amount'].sum()
        customer_tiers = pd.cut(customer_totals, 
                              bins=[0, 1000, 5000, float('inf')], 
                              labels=['Bronze', 'Silver', 'Gold'])
        
        df['customer_tier'] = df['customer_id'].map(customer_tiers.to_dict())
        
        # 비즈니스 로직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연
        await asyncio.sleep(0.8)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batch_data.data = df
        batch_data.metadata.update({
            'business_rules_applied': ['category_discount', 'tax_calculation', 'customer_tiering'],
            'total_revenue': df['total_amount'].sum(),
            'total_discount_given': df['discount_amount'].sum()
        })
        
        self.logger.info(f"Applied business logic. Total revenue: {df['total_amount'].sum():f}")
        return batch_data

class AggregationStage(ProcessingStage):
    """집계 단계 - 보고서용 집계 데이터 생성"""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Aggregation")
    
    async def process(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데이터 집계 수행"""
        
        df = batch_data.data
        
        # 다양한 관점에서 집계
        aggregations = {}
        
        # 1. 카테고리별 집계
        category_agg = df.groupby('product_category').agg({
            'total_amount': ['sum', 'mean', 'count'],
            'discount_amount': 'sum'
        }).round(2)
        aggregations['by_category'] = category_agg
        
        # 2. 고객 등급별 집계
        tier_agg = df.groupby('customer_tier').agg({
            'total_amount': ['sum', 'mean'],
            'customer_id': 'nunique'
        }).round(2)
        aggregations['by_tier'] = tier_agg
        
        # 3. 결제 상태별 집계
        payment_agg = df.groupby('payment_status').agg({
            'total_amount': 'sum',
            'order_id': 'count'
        }).round(2)
        aggregations['by_payment_status'] = payment_agg
        
        # 집계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연
        await asyncio.sleep(0.3)
        
        # 집계 결과를 새로운 DataFrame으로 저장
        summary_data = {
            'metric': ['total_orders', 'total_revenue', 'avg_order_value', 'total_customers'],
            'value': [
                len(df),
                df['total_amount'].sum(),
                df['total_amount'].mean(),
                df['customer_id'].nunique()
            ]
        }
        
        summary_df = pd.DataFrame(summary_data)
        
        # 메타데이터 업데이트
        batch_data.data = summary_df
        batch_data.metadata.update({
            'aggregations': aggregations,
            'summary_metrics': summary_data
        })
        
        self.logger.info(f"Generated aggregations for {len(df)} records")
        return batch_data

class ReportGenerationStage(ProcessingStage):
    """보고서 생성 단계 - 최종 보고서 작성"""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ReportGeneration")
    
    async def process(self, batch_data: BatchData) -> BatchData:
        """보고서 생성"""
        
        # 보고서 생성
        report = {
            'report_date': datetime.now().isoformat(),
            'batch_id': batch_data.batch_id,
            'processing_summary': {
                'total_processing_time': sum([
                    batch_data.metadata.get(f"{stage}_processing_time", 0)
                    for stage in ['DataExtraction', 'DataCleaning', 'BusinessLogic', 'Aggregation']
                ]),
                'records_processed': batch_data.metadata.get('extracted_records', 0),
                'data_quality_score': (
                    batch_data.metadata.get('cleaned_records', 0) / 
                    max(batch_data.metadata.get('original_records', 1), 1) * 100
                )
            },
            'business_metrics': batch_data.metadata.get('summary_metrics', {}),
            'aggregation_results': {
                k: v.to_dict() if hasattr(v, 'to_dict') else str(v)
                for k, v in batch_data.metadata.get('aggregations', {}).items()
            }
        }
        
        # 보고서 생성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연
        await asyncio.sleep(0.2)
        
        # 보고서를 DataFrame으로 저장 (실제로는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report_df = pd.DataFrame([report])
        
        batch_data.data = report_df
        batch_data.metadata['final_report'] = report
        
        self.logger.info("Generated final report")
        return batch_data

class BatchSequentialController:
    """배치 순차 처리 컨트롤러 - 전체 파이프라인 제어"""
    
    def __init__(self):
        self.stages: List[ProcessingStage] = []
        self.logger = logging.getLogger("BatchController")
    
    def add_stage(self, stage: ProcessingStage):
        """처리 단계 추가"""
        self.stages.append(stage)
        self.logger.info(f"Added stage: {stage.stage_name}")
    
    async def execute_pipeline(self, initial_batch: Optional[BatchData] = None) -> BatchData:
        """전체 파이프라인 실행"""
        
        # 초기 배치 데이터 생성
        if initial_batch is None:
            initial_batch = BatchData(
                data=pd.DataFrame(),
                metadata={'pipeline_start': datetime.now().isoformat()},
                batch_id=f"BATCH_{datetime.now().strftime('%Y%m%d_%H%M%S')}",
                timestamp=datetime.now()
            )
        
        self.logger.info(f"Starting pipeline execution for batch: {initial_batch.batch_id}")
        pipeline_start = datetime.now()
        
        current_batch = initial_batch
        
        try:
            #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
            for i, stage in enumerate(self.stages):
                self.logger.info(f"Executing stage {i+1}/{len(self.stages)}: {stage.stage_name}")
                
                # 단계 실행
                current_batch = await stage.execute(current_batch)
                
                # 중간 체크포인트 로깅
                self.logger.info(f"Stage {stage.stage_name} completed successfully")
            
            # 파이프라인 완료
            pipeline_duration = (datetime.now() - pipeline_start).total_seconds()
            current_batch.metadata['pipeline_duration'] = pipeline_duration
            current_batch.metadata['pipeline_completed_at'] = datetime.now().isoformat()
            
            self.logger.info(f"Pipeline execution completed in {pipeline_duration:f}s")
            return current_batch
            
        except Exception as e:
            self.logger.error(f"Pipeline execution failed: {str(e)}")
            current_batch.metadata['pipeline_error'] = str(e)
            current_batch.metadata['pipeline_failed_at'] = datetime.now().isoformat()
            raise

# 메인 실행 함수
async def main():
    """메인 실행 함수 - 전체 시스템 데모"""
    
    print("=== 배치 순차 처리 시스템 시작 ===\n")
    
    # 배치 컨트롤러 생성
    controller = BatchSequentialController()
    
    # 처리 단계들을 순서대로 추가
    controller.add_stage(DataExtractionStage())      # 1. 데이터 추출
    controller.add_stage(DataCleaningStage())        # 2. 데이터 정제
    controller.add_stage(BusinessLogicStage())       # 3. 비즈니스 로직 적용
    controller.add_stage(AggregationStage())         # 4. 집계
    controller.add_stage(ReportGenerationStage())    # 5. 보고서 생성
    
    try:
        # 파이프라인 실행
        result = await controller.execute_pipeline()
        
        # 결과 출력
        print("\n=== 실행 결과 ===")
        print(f"배치 ID: {result.batch_id}")
        print(f"총 처리 시간: {result.metadata.get('pipeline_duration', 0):f}초")
        print(f"데이터 품질 점수: {result.metadata.get('final_report', {}).get('processing_summary', {}).get('data_quality_score', 0):f}%")
        
        # 최종 보고서 출력
        final_report = result.metadata.get('final_report', {})
        if final_report:
            print("\n=== 비즈니스 메트릭 ===")
            for metric in final_report.get('business_metrics', {}).get('metric', []):
                idx = final_report['business_metrics']['metric'].index(metric)
                value = final_report['business_metrics']['value'][idx]
                print(f"{metric}: {value:,f}" if isinstance(value, (int, float)) else f"{metric}: {value}")
        
        print("\n=== 배치 순차 처리 완료 ===")
        
    except Exception as e:
        print(f"\n❌ 파이프라인 실행 중 오류 발생: {e}")

# 비동기 실행
if __name__ == "__main__":
    asyncio.run(main())

이 구현 예시는 전자상거래 매출 분석 시스템의 배치 순차 처리를 보여준다. 각 단계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이전 단계의 완전한 출력을 받아 처리한 후 다음 단계로 전달한다.

주요 구현 특징: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사항상세 설명권장사항
설계단계별 독립성 보장각 처리 단계 간 의존성 최소화로 유연한 유지보수 및 재사용 가능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및 API 설계
배치 크기 최적화과도한 배치 크기는 메모리 부족 유발, 너무 작으면 오버헤드 증가시스템 리소스의 70~80% 활용 기준으로 설정
병렬 처리 설계단일 단계의 처리 병목 제거를 위해 병렬 실행 전략 필요스레드 풀 또는 멀티 파티션 구조 채택
단계 분할 구조 설계데이터 증가에 대비해 병렬화 가능한 구조로 각 단계를 세분화논리적 책임 기준으로 처리 단계를 분리
구현체크포인트 전략장애 발생 시 중복 없이 재처리 가능한 시점 기록 필요처리 시간의 10~20% 단위로 checkpoint 설정
중간 저장소 선택I/O 병목 또는 장애 발생 방지용 고신뢰 저장소 필요SSD 기반 로컬 디스크 또는 인메모리 DB
스키마 변경 대응스키마 변경 시 파이프라인 전체 실패 가능성 있음Schema Registry + Backward 호환성 검증
Idempotent 처리재시작 시 중복 처리 방지 필요키 기반 중복 제거, 트랜잭션 기반 처리
운영모니터링 체계 구축각 단계의 처리 시간, 실패율 등 실시간 추적 가능해야 함Prometheus, SLA 기반 Alert 구성
리소스 관리 및 최적화고정 리소스는 비용 낭비, 낮은 활용률 문제 발생 가능오토스케일링, 동적 리소스 할당 (KEDA 등)
배치 스케줄링 자동화정기적 실행 및 재시작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구조 필요Airflow, Argo Workflows, CronJob 사용
중간 파일 무결성 관리중간 결과 파일 손상 시 전체 플로우 오류 발생 가능성Checksum, 버전 관리, 백업 주기 설정
성능데이터 압축중간 데이터 저장소의 I/O, 디스크 공간 최적화Gzip 또는 Snappy 적용, 컬럼 포맷 사용
직렬화 포맷 최적화데이터 직렬화는 네트워크 및 디스크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Avro, Protobuf 등 이진 포맷 권장
장애 대응단계별 오류 감지 및 복구특정 단계 오류 시 전체 재실행보다 국소적 복구가 효과적상세 로깅 + 재시작 가능 구조 설계
재시작 시 안정성 확보재시작 시 상태 불일치 또는 중복 실행 위험 있음상태 기반 처리 보완, 정확한 처리 순서 보장
비용/유지보수리소스 비용 최적화고정 VM 기반 구성 시 사용량 대비 과금 손실스팟 인스턴스, 비용 스케줄러 도입
고비용 시간 회피리전 또는 시간대에 따라 리소스 비용 차이 발생비용 인식형 스케줄링 정책 구성 (예: 야간 실행)

성능 측정 지표 (Performance Metrics)

배치 순차 처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한 핵심 지표들:

보안 고려사항 (Security Considerations)

배치 처리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보안 요소들:

테스트 전략 (Testing Strategy)

배치 시스템의 효과적인 테스트 방법:

데이터 거버넌스 (Data Governance)

배치 처리에서의 데이터 관리 원칙:

최적화를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항목설명권장 사항
1. 시스템 자원 최적화배치 크기 (Chunk Size)크기가 너무 작으면 I/O 오버헤드, 너무 크면 메모리 초과500~2000 건 단위로 테스트 후 최적값 설정
메모리 관리 및 GC 튜닝JVM/Python 환경에서 GC 설정 미흡 시 성능 저하 발생세대별 GC 전략 설정, 힙 사이즈 최적화, -XX:+UseG1GC 등 활용
파일/스토리지 정리중간 파일 방치 시 디스크 사용량 증가임시 파일 압축 저장, 종료 후 자동 삭제 스크립트 실행
캐싱 전략자주 참조되는 중간 데이터를 재처리하지 않고 활용메모리 기반 LRU 캐시, Redis 등 외부 캐시 활용
병렬도 제어병렬 처리 시 DB Lock 또는 리소스 경합 발생 가능파티셔닝 기반 병렬 처리, Lock 발생 여부 사전 테스트, 스레드 수 제한 설정
2. 성능 최적화디스크/네트워크 I/O 최적화랜덤 액세스 및 병목 발생 시 전체 처리 지연순차 I/O 처리, 대용량 블록 설정, TCP 버퍼 튜닝, 압축 및 전송 최소화
정렬/인덱싱 알고리즘중간 결과 정렬 시 메모리 초과/속도 저하 가능외부 정렬 알고리즘 (Merge Sort), B+ 트리 기반 인덱싱 활용
로드 밸런싱 및 스케줄링병렬 처리 시 특정 노드/프로세스에 부하 집중라운드 로빈 또는 가중치 기반 작업 분산, 작업 단위 재조정
3. 운영 및 관리실행 제어 자동화cron 기반 수동 제어 시 에러 대응 어려움Airflow, Spring Batch 등 프레임워크 기반 실행 제어
모니터링 및 알림로그 부족 시 에러 추적/운영 가시성 저하Prometheus, ELK, Grafana 등 통합 대시보드 구축
리소스 스케줄 제어병렬 Job 간 리소스 경합으로 인한 처리 실패 가능QoS 설정,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야간 처리 시간 분산 운영
4. 장애 복원력체크포인트 설정 빈도잦은 저장은 성능 저하, 없을 경우 복구 어려움1,000~5,000 건 단위 또는 단계별로 커밋, 실패 대비를 위한 증분 스냅샷 적용
자동 재처리 및 복구 전략실패 시 전체 재시작으로 운영 부담 가중단계별 재시작 구조 설계, 실패 알림 및 복구 자동화 스크립트 도입
스키마 변경 대응스키마 변경 시 파이프라인 붕괴 가능성Schema Registry 도입, 역방향/정방향 호환 정책 명문화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1. 아키텍처 패턴파이프라인 아키텍처단계별 직렬 처리 구조데이터가 입력 → 처리 → 출력 단계로 순차적으로 흐르는 고전적 처리 방식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트리거 기반 비동기 실행특정 이벤트 발생 시 실행되는 트리거 방식으로 배치 스케줄링 또는 실시간 이벤트 처리와 결합 가능
2. 데이터 처리 방식ETL/ELT 파이프라인추출 → 변환 → 적재전통적인 대용량 배치 처리 구조. ELT 는 저장소 후 변환 방식으로 Cloud DW 에서 채택 중
스트림 - 배치 하이브리드실시간 흐름의 마이크로 배치화실시간성과 일괄 처리를 융합하여 배치 지연을 줄이고 스트림 특성도 흡수. 예: Spark Structured Streaming
3. 분산 처리 구조마이크로서비스처리 단계를 독립적 서비스로 구성각 Step 을 서비스화하여 모듈 간 결합도 낮추고 병렬 실행 또는 장애 격리 용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Kubernetes 기반 배치 실행배치 작업을 컨테이너화하여 K8s Job/CronJob 으로 스케줄링 및 확장성 확보
4. 클라우드 전략서버리스 배치Function 기반 실행 모델AWS Lambda, Azure Functions 등에서 이벤트 기반으로 배치 단위 실행 가능
관리형 배치 서비스배치 실행/오케스트레이션 제공 플랫폼AWS Batch, Google Cloud Dataflow 등 클라우드에서 배치 실행과 리소스 관리를 추상화
5. 운영 및 자동화배치 스케줄러정기 실행 및 의존성 관리cron, Airflow, Spring Batch 등을 통해 주기적 또는 DAG 기반 제어 가능
자동 복구/재처리실패 시 자동 재시작 또는 롤백 지원체크포인트, 트랜잭션 단위 재실행 전략 도입으로 운영 효율성 증대
6. 성능 및 확장성병렬 처리 및 파티셔닝대용량 처리 속도 개선데이터를 파티션 단위로 나누어 병렬 실행, 멀티 쓰레드 또는 다중 노드 확장 구조 가능
Dynamic Scaling자원 자동 할당 및 조정클러스터 또는 서버리스 기반으로 수요에 따라 리소스 자동 확장 가능
7. 보안 및 관찰성데이터 암호화저장 및 전송 시 암호화 적용Encryption-at-rest/in-transit 로 보안 요건 충족
통합 관찰성 (Observability)로그, 메트릭, 트레이싱 통합 관제OpenTelemetry, Prometheus, Grafana 기반 통합 대시보드로 배치 상태 추적 및 알림 가능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이론 기초데이터 구조 및 알고리즘큐, 스택, 정렬, 검색, B+ 트리배치 처리에 적합한 기본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이해
운영체제 개념프로세스 스케줄링, 가상 메모리배치 작업의 OS 수준 자원 제어 방식
네트워킹 및 통신 원리TCP/IP, 부하 분산분산 배치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효율성 확보
분산 시스템 이론CAP 정리, Raft, Paxos일관성 - 가용성 균형과 분산 환경의 상태 관리 핵심
시스템 구조 및 아키텍처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Batch Sequential, Pipe-and-Filter 등단계 기반 데이터 처리 방식과 흐름 제어 이해
하이브리드 처리 아키텍처Lambda, Kappa, Hybrid 모델배치 - 실시간 결합 처리 방식 구조 이해
프레임워크 및 도구배치 처리 프레임워크Spring Batch (Job, Step, Repository 등)표준 오픈소스 배치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이해
워크플로우 및 스케줄링 엔진Apache Airflow, Azure Data Factory (DAG, Sensor 등)배치 실행 흐름 및 의존성 제어 도구
운영 및 실무 전략배치 자동화 및 운영 최적화스케줄러 활용, 모니터링 지표 정의반복 작업 자동화 및 실시간 운영 대응 전략
장애 대응 및 복구 전략오류 감지, 체크포인트, 재시작, 로그 추적장애 시 정확한 재처리와 SLA 보장
데이터 품질 및 일관성데이터 정합성 보장ACID 트랜잭션, CDC, Idempotency데이터 중복 제거 및 일관성 유지 메커니즘
스키마 및 데이터 무결성 관리스키마 버전 관리, 검증, 프로파일링데이터 처리 중 스키마 변경 대응 및 오류 방지
성능 최적화 전략병렬 처리 및 파티셔닝멀티 파티션 처리, 병렬 Step 설계대용량 데이터 처리 성능 극대화
리소스/비용 최적화리소스 격리, 배치 크기 튜닝, 오토스케일링비용 - 성능 균형 유지 및 클라우드 운영 효율화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 패턴배치 순차 처리 (Batch Sequential)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순차 처리하는 구조적 아키텍처 스타일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Data-Flow Architecture)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아키텍처. 각 처리 단계를 명확히 분리하여 구성
파이프라인 (Pipeline)입력 → 처리 → 출력 구조로 순차적 단계를 거치는 처리 방식
백프레셔 (Backpressure)처리 속도 불균형을 감지하고 생산자 또는 중간단계에 압력을 가해 흐름을 제어하는 메커니즘
배치 구성 요소Job전체 배치 작업 단위를 나타내는 추상적 개념
StepJob 내 개별 처리 단계. Reader, Processor, Writer 등으로 구성
Chunk트랜잭션 단위 데이터 묶음. 예: 1000 건 단위 커밋
Checkpoint실패 발생 시 재처리를 위한 상태 저장 지점. 장애 복구에 필수
Partitioning데이터를 파티션 단위로 분할하여 병렬 처리하는 전략
Intermediate Storage / File단계 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 파일, 큐, 테이블 등 활용 가능
데이터 처리ETL (Extract, Transform, Load)데이터 추출, 변환, 적재의 일괄 처리 과정
마이크로 배치 (Micro-batch)소규모 배치를 연속 처리하여 스트리밍과 유사한 성능을 얻는 방식 (Spark Structured Streaming 등)
데이터 린나지 (Data Lineage)데이터가 어떤 경로와 변환을 거쳐 현재 상태에 도달했는지를 추적하는 메타 정보
CDC (Change Data Capture)소스 시스템에서 발생한 변경 사항을 실시간 또는 배치로 추출하는 기술
운영/자동화배치 스케줄러 (Batch Scheduler)정해진 시간에 작업을 자동 실행하는 도구. 예: cron, Airflow 등
DAG (Directed Acyclic Graph)배치 실행의 순서를 정의하는 비순환 방향성 그래프 구조. 의존성 관리에 유용
워크플로우 엔진여러 작업 단계를 정의하고 실행 순서 및 조건을 관리하는 시스템 (ex. Spring Batch, Airflow)
시스템 속성멱등성 (Idempotency)동일 작업이 여러 번 실행되어도 결과가 변하지 않는 특성
장애 허용성 (Fault Tolerance)일부 실패에도 시스템 전체가 계속 작동하도록 설계된 특성
수평적 확장 (Horizontal Scaling)서버/노드 수 증가를 통해 시스템 성능을 확장하는 구조적 방식
성능 최적화지연 로딩 (Lazy Loading)필요할 때만 데이터를 불러와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는 방식
메모리 풀링 (Memory Pooling)자주 사용하는 객체를 메모리에 미리 할당하고 재사용하여 성능 향상
외부 정렬 (External Sorting)메모리보다 큰 데이터를 디스크 기반으로 정렬하는 알고리즘 (예: Merge Sort 기반 정렬)
클라우드/인프라Serverless서버 관리 없이 함수 단위로 실행하는 클라우드 실행 모델. 비용 효율성과 유연성 제공
Kubernetes CronJobKubernetes 환경에서 배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리소스
Auto Scaling부하에 따라 컴퓨팅 리소스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메커니즘
보안/관찰성Encryption-at-rest저장 상태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기법
Distributed Tracing분산 시스템에서 트랜잭션 또는 요청의 흐름을 추적하는 기법. 예: OpenTelemetry, Zipkin 등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