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s

Batch Sequential, Pipe and Filter, Process Control 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서 데이터 흐름 (Data-Flow) 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설계하는 대표적인 스타일이다. Batch Sequential 은 일괄 처리, Pipe and Filter 는 연속적 데이터 변환, Process Control 은 실시간 제어 및 피드백에 적합하다. 각각의 구조, 구성 요소, 작동 원리, 장단점, 실무 적용 시 고려사항을 이해하면 다양한 시스템 요구에 맞는 최적의 아키텍처를 설계할 수 있다.

핵심 개념

항목Batch SequentialPipe and FilterProcess Control
핵심 개념전체 데이터를 일괄 처리하고 순차적으로 모듈 실행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며 필터 간 파이프를 통해 전달출력 결과를 입력으로 피드백하여 실시간 제어 수행
처리 단위배치 단위 데이터 집합필터 (Filter) 단위의 증분 처리제어 단위 (센서 + 컨트롤러 + 액추에이터)
데이터 흐름단방향, 고정된 순서의 처리 흐름연속적 스트림 처리 (Pull 또는 Push)루프 기반의 순환 흐름 (Feedback Loop)
동작 방식각 단계가 완전히 종료된 후 다음 단계 실행각 필터가 독립적으로 병렬 실행 가능실시간 감지 → 조정 → 피드백 → 반영 반복
상태성보통 상태 없음 (Stateless), 단계별 상태는 파일로 유지무상태 필터 기반 처리 또는 선택적 상태 유지 가능상태 기반 처리 필수 (시스템 상태 지속 추적)
컴포넌트 간 연결 방식중간 파일, 큐, 임시 저장소 등 간접 연결파이프 (Pipe) 를 통한 직접 연결센서, 액추에이터, 컨트롤러 간 밀접 연결
병렬성 및 확장성병렬 처리 어려움, 순차 구조병렬성 우수, 필터 단위 확장 가능병렬성 제한적, 실시간 응답성과 안정성이 중요
기술 예시Airflow, Spring Batch, cron 기반 ETLKafka, Flink, GStreamer, Unix Pipe (`catgrep
실무 적용 분야ETL 파이프라인 - 금융 일마감 처리 - 로그 집계- 실시간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 미디어 변환 - 컴파일러 (프론트엔드 처리)-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 IoT 자동화 - 클라우드 오토스케일링 시스템
장점단순 명확한 처리, 디버깅 용이모듈화, 병렬성, 재사용성, 스트림 처리 적합실시간 제어, 동적 적응력, 외부 환경 대응 가능
단점지연 큼, 실시간성 부족, 병목 발생 가능복잡한 필터 설계 필요, 상태 공유 어려움복잡한 제어 설계 필요, 높은 실시간성 요구

Batch Sequential vs. Pipe and Filter vs. Process Control 비교

항목Batch SequentialPipe and FilterProcess Control
데이터 처리 방식일괄 처리 (Batch)스트림 단위의 점진적 처리센서 기반 실시간 데이터 감지 및 제어
처리 흐름 제어단계별 순차 실행 (Strict Order)필터 독립 실행, 파이프 연결 (Loosely Coupled)지속적 피드백 루프 기반 제어
동시성 및 실행 모델순차적 실행만 가능필터 단위 병렬 처리 가능실시간 제어 루프 → 제한적 동시성
주요 구성 요소배치 모듈, 스케줄러, 중간 저장소 (파일/DB 등)필터 (Filter), 파이프 (Pipe), 스트림 큐센서, 컨트롤러, 액추에이터
데이터 흐름 방향일방향 (One-way)일방향 스트림 처리 (Stream Push/Pull)양방향 (센서 입력 → 제어 출력 → 피드백)
상태 관리대부분 무상태 (Stateless), 파일 기반 중간 상태 유지대부분 무상태, 필요 시 로컬 상태 유지 가능상태 기반 필수 (센서값 기반 처리 상태 유지)
지연 시간 (Latency)높음 (일괄 처리 후 전달)낮음 (도착 즉시 처리)매우 낮음 (즉시 제어 반응)
처리량 (Throughput)낮음 (단계 간 대기 시간 존재)높음 (병렬 필터 구성 가능)중간 (I/O 와 센서 반응 속도에 따라 달라짐)
확장성 (Scalability)제한적 (스케일 아웃 어려움)높음 (필터 단위 수평 확장 용이)구조적 제약으로 제한적
유지보수성높음 (단계별 모듈 분리, 디버깅 쉬움)높음 (모듈화 구조, 필터 재사용 가능)낮음~중간 (센서/제어 로직 디버깅 복잡)
오류 처리 및 복구단순 (실패 시 배치 전체 재처리 가능)복잡 (스트림 상태 기반 오류 처리 필요)매우 복잡 (센서 신호 오류, 루프 불안정 등 실시간 복구 필요)
적용 분야- 데이터 웨어하우스 정산
- 보고서 생성
- 일간/월간 배치 작업
- 로그 처리 파이프라인
- 미디어 변환 시스템
- 컴파일러 (전처리~코드생성)
- 임베디드 시스템
- IoT 디바이스
- 공정 자동화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대표 구현 기술Airflow, Spring Batch, CRONApache Kafka, Apache Flink, Unix Pipeline, GStreamerRTOS, PID/Kalman Filter, ROS, MQTT, Arduino
설계 및 구현 난이도낮음 (구현 구조 단순)중간 (병렬 구조, backpressure 등 고려 필요)높음 (실시간 제어 알고리즘과 장치 제어 설계 필요)
최적화 포인트배치 주기 조정, 병렬 배치 설계, 디스크 I/O 최적화backpressure 조정, 병렬 필터 구성, 메시지 처리량 최적화루프 주기 튜닝, 센서 정확도 향상, 실시간 스케줄링

강점과 약점 비교

구분Batch SequentialPipe and FilterProcess Control
강점• 단순하고 안정적인 구조
• 독립적인 모듈 테스트
• 높은 신뢰성
• 명확한 데이터 추적
• 높은 모듈화와 재사용성
• 동시 처리로 높은 처리량
• 유연한 파이프라인 구성
• 증분 처리 가능
• 실시간 적응 능력
• 외부 변화에 동적 대응
• 안정적인 출력 유지
• 자동 조정 기능
약점• 높은 지연시간
• 동시성 부족
• 상호작용 불가
• 실시간 처리 어려움
• 동적 상호작용 제한
• 데이터 형식 표준화 필요
• 동적 구성 어려움
• 오류 전파 위험
• 높은 구현 복잡성
• 예측 불가능한 동작
• 디버깅 어려움
• 안정성 보장 어려움

핵심 차이점 요약

기준Batch SequentialPipe and FilterProcess Control
시간 흐름느림 (대기 후 일괄)중간 (지연 허용)빠름 (즉시 제어 필요)
병렬성없음우수 (필터 단위)제한적 (제어 루프)
복잡도낮음중간높음
실무 적용 우선순위데이터 분석/정산스트리밍 처리/ETL실시간 제어/IoT

구조 및 아키텍처

Batch 는 정해진 순서대로 단계별 처리, Pipe-and-Filter 는 스트림 단위로 연속 처리, Process Control 은 피드백 루프를 통한 실시간 제어 구조이다.

Batch Sequential 구조

flowchart LR
    Input[입력 데이터]
    Step1[처리 단계 1]
    Step2[처리 단계 2]
    Step3[처리 단계 3]
    Output[출력 데이터]
    Input --> Step1 --> Step2 --> Step3 --> Output

Pipe and Filter 구조

flowchart LR
    Source[데이터 소스]
    Filter1[필터 1]
    Filter2[필터 2]
    Filter3[필터 3]
    Sink[데이터 싱크]
    Source --> Filter1 --> Filter2 --> Filter3 --> Sink

Process Control 구조

flowchart TD
    Sensor[센서]
    Controller[컨트롤러]
    Actuator[액추에이터]
    Process[프로세스]
    Sensor --> Controller --> Actuator --> Process
    Process --> Sensor

구성 요소

스타일필수 구성 요소선택 구성 요소
Batch Sequential배치 모듈, 스케줄러로깅, 모니터링, 리트라이
Pipe-and-Filter필터, 파이프, 메시지 큐백프레셔, 체크포인트
Process Control센서, 컨트롤러, 액추에이터, 타이머시뮬레이터, RTOS, 안전 모듈

실무 사용 예시

도메인적용 아키텍처대표 사례 / 시스템 구성주요 목적기대 효과
데이터 처리Batch SequentialETL, 로그 수집 및 정제 → 집계 → 저장 → 리포트 생성대용량 일괄 처리 / 정합성 확보안정성, 자동화, 자원 효율성
Pipe-and-Filter실시간 로그 파이프라인 (ingest → transform → enrich → route)스트림 데이터 모듈화 처리낮은 지연시간, 독립적 확장성, 구성 유연성
Pipe-and-FilterSpark Streaming 기반 필터 체인 구성실시간 변환 및 가공병렬 처리, 모듈 재사용, 장애 격리 구조화
멀티미디어Pipe-and-Filter오디오/비디오 처리 (디코딩 → 효과 적용 → 인코딩)실시간 미디어 가공처리 단계 분리, 고속 처리, 필터 재조합 가능성
Pipe-and-Filter컴파일러 구조 (lex → parse → semantic → optimize → generate)복잡한 처리 단계를 모듈화유지보수 용이성, 기능 재사용, 독립 테스트 가능
제어 시스템Process Control로봇 제어 시스템 (센서 → 제어기 → 액추에이터 → 결과 피드백)실시간 피드백 기반 동작 제어고속 응답성, 안정성 확보, 안전 동작
Process Control클라우드 오토스케일링 (CPU 감시 → 제어기 → 인스턴스 조정)동적 자원 제어 / 비용 최적화자원 최적화, SLA 보장, 무중단 확장성
Process Control자동차 크루즈 컨트롤 (속도센서 → 제어기 → 스로틀 조절)실시간 입력 기반 자동 제어속도 안정화, 연비 개선, 사용자 편의성
Process ControlHVAC 기반 건물 온도 제어 시스템환경 상태 기반 실시간 조절에너지 절약, 쾌적한 실내 유지
금융Batch Sequential일일 마감 정산 (거래 기록 → 검증 → 청구서 생성 → 보고서 제출)정기적, 정확한 회계 처리대용량 검증, 오류 재처리 용이, 감사 용이성
Pipe-and-Filter실시간 이상 거래 탐지 (Kafka → Flink 필터 체인 → 알림 전송)이상 탐지 및 반응의 실시간화빠른 사기 탐지, 유연한 탐지 로직 변경 가능
HybridLambda 구조 (실시간 탐지 + 배치 보정)정확성 + 실시간성의 균형즉각 대응 + 분석 정합성 확보
IoT/산업제어Process ControlPLC 기반 센서 제어 및 반응 시스템공정 자동화, 피드백 기반 제어안전성 강화, 자동 반응, 생산성 향상
HybridIoT 센서 데이터: 실시간 제어 + 주기적 분석스트림 + 배치 융합제어 정확도, 시계열 분석, 장비 유지보수 효율화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구성 및 확장 사례

많은 실무 시스템에서는 단일 아키텍처 스타일로는 복잡한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워 혼합 (hybrid) 구성이 일반적이다.

Lambda Architecture (Batch + Pipe-and-Filter)

구성 요소설명
Batch Layer대용량 데이터의 정확하고 완전한 처리
Speed Layer실시간 스트림 처리를 통해 지연 최소화
Serving Layer최종 결과를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
graph LR
  UserQuery --> ServingLayer
  ServingLayer --> BatchView
  ServingLayer --> RealtimeView
  RealtimeView --> StreamProcessor --> Kafka
  BatchView --> BatchProcessor --> HDFS

☑️ 결합 효과: 정확성 (Batch) + 실시간 응답 (Stream) 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음

실무 적용 고려사항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아키텍처 스타일고려 항목위험 요소 / 제약 조건권장 방안
Batch Sequential데이터 일관성장애 발생 시 전체 배치 실패 → 데이터 무결성 손상트랜잭션 처리 도입, 체크포인트 삽입, 단계별 검증 로그 기록
지연 허용 범위전체 데이터 처리 후 결과 산출로 인한 고지연 구조비동기 분산 배치 설계, Lambda/Kappa 구조 혼합 적용
장애 대응 전략단계 실패 시 전체 흐름 중단, 리커버리 어려움재시도/롤백 로직, 에러 핸들러 구성, 배치 작업 단위 분할
모니터링 체계전체 실행 시간 및 작업 실패 원인 파악 어려움배치 로그 집계, Job 상태 대시보드 구성 (예: Airflow UI)
유지보수성스크립트 중심 설계 시 변경 대응 어려움워크플로우 엔진 사용 (Airflow), 명확한 모듈화
Pipe and Filter데이터 포맷 관리필터 간 호환성 부족, 포맷 변환 비용 증가공통 스키마 (JSON/Avro 등) 정의, 스키마 레지스트리 사용
지연 및 병목 관리느린 필터로 인해 backpressure → 전체 흐름 지연동적 버퍼 조절, 필터 단위 autoscaling, Reactive Streams 도입
일관성 및 전달 보장중간 필터 실패 시 메시지 손실 위험Exactly-once 보장 (Kafka), checkpoint 기반 메시지 복구
모니터링 및 관측성필터 간 스트림 흐름 추적 어려움스트림 대시보드 (Grafana, Prometheus), Kafka Lag 모니터링
유지보수성필터 추가/변경 시 테스트 범위 증가인터페이스 표준화, 통합 테스트 자동화 (CI/CD 연동)
Process Control실시간성 보장하드웨어 지연, RTOS 미사용 시 타이밍 이슈우선순위 기반 실시간 스케줄링, RTOS 기반 태스크 설계
센서 신뢰성센서 노이즈 및 고장 시 제어 루프 불안정Kalman Filter, 센서 이중화, 이상 탐지 알고리즘 적용
디버깅 및 유지보수실시간 제어 루프 디버깅 어려움시뮬레이터 기반 테스트, 실시간 디버거, 로그 기반 리플레이 환경 구축
에러 복구 전략센서/액추에이터 장애 시 전체 제어 실패펌웨어 핫스왑, Failover 제어 로직 구현, Watchdog 사용
프로토콜/인터페이스하드웨어 종속성 및 시스템 간 통신 불일치 가능성표준 통신 프로토콜 (MQTT, CAN 등) 사용, 인터페이스 추상화 계층 도입

공통적으로 중요한 고려사항:

아키텍처 스타일 선택 가이드라인

기준 항목Batch SequentialPipe-and-FilterProcess Control
실시간성낮음중간 (지연 허용)매우 높음
처리 데이터 유형정적, 대용량연속적인 스트림센서 이벤트 기반
확장성낮음 (병렬화 필요)높음 (필터 병렬 구성 용이)중간 (RT 설계에 따라 다름)
설계 복잡도낮음중간높음 (상태·센서 고려)
장애 대응비교적 단순스트림 제어 필요하드웨어·펌웨어에 따라 대응 방식 복잡

실무 적용 프레임워크 및 도구 정리

스타일프레임워크 / 도구설명
Batch SequentialApache Airflow, Spring Batch워크플로우 기반 배치 스케줄링 및 트리거링
Pipe-and-FilterApache Kafka, Flink, NiFi실시간 스트리밍, 파이프라인 처리
Process ControlROS, FreeRTOS, Arduino, Simulink제어 시스템, RTOS, 센서 시뮬레이션 도구

테스트 및 검증 전략

스타일테스트 전략도구 예시
Batch Sequential샘플 데이터 기반 결과 비교 테스트PyTest, JUnit + Test DB
Pipe-and-Filter필터 단위 테스트 + 스트림 E2E 테스트Kafka TestKit, TestContainers
Process ControlHIL (Hardware-in-the-Loop), 시뮬레이터MATLAB Simulink, Gazebo

최적화를 위한 고려사항

범주최적화 항목Batch SequentialPipe and FilterProcess Control
성능 최적화처리 효율멀티스레드 / 워커 스케일 아웃 / 샤딩병렬 필터 구조 / 비동기 파이프 / 백프레셔 조정루프 주기 조정 / 읽기 최적화 / RT 우선순위 스케줄링
리소스 관리CPU/메모리 활용스레드 풀 튜닝 / 가비지 컬렉션 조정 / 일괄 버퍼 처리필터 내 메모리 재사용 / 스트림 버퍼 최적화 / GC 압축 주기 조정실시간 태스크 우선순위 / RTOS 메모리 풀 활용
스토리지 최적화I/O 성능SSD 기반 스토리지 / 파티셔닝 / 정렬된 일괄 저장결과 버퍼링 / 임시 데이터 파이프 최적화실시간 로그 압축 저장 / 로컬 버퍼 사용
네트워크 최적화전송 효율성일괄 전송 / 압축 패킷 처리 / 네트워크 토폴로지 고려파이프 내 압축 및 버퍼 조정 / 메타데이터 캐싱피드백 루프 전송 최소화 / 실시간 메시지 경량화
확장성수평/수직 확장 전략마스터 - 슬레이브 구조 / 병렬 단계 확장 / Airflow 병렬 실행모듈 독립 확장 / 이벤트 기반 동적 연결 / 필터 재조합 설계제어 루프 분리 배치 / 노드 단위 확장 / FaaS 제어 로직 분산화
장애 대응복구 및 자동화체크포인트 저장 / 롤백 포인트 지정 / 재처리 설계모듈 단위 장애 격리 / 큐 기반 장애 리다이렉션장애 감지 및 자동 전환 / 제어 변수 디폴트 구성
모니터링지표 추적 및 튜닝 포인트실행 시간, 큐 길이, 오류율 추적필터 처리 지연, 스트림 처리량, 실패율 모니터링응답 지연, 이벤트 누락, 상태 불일치 모니터링

요약:

권장 전략: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항목적용 아키텍처설명
제어 및 복구 전략CheckpointingBatch Sequential, Stream오류 발생 시 중간 상태부터 재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상태 보존 기법
CRON SchedulingBatch Sequential배치 프로세스의 반복 실행을 자동화하는 예약 스케줄링 도구
Back-pressurePipe-and-Filter, Stream처리량이 낮은 필터의 부하를 조절해 상류로 전달하는 흐름 제어 메커니즘
Fault Isolation공통각 필터 혹은 처리 단위의 장애를 전체 시스템 장애로 확산되지 않도록 격리하는 설계
처리 구조 및 특성Stateless FiltersPipe-and-Filter상태 비보존형 필터로서 병렬 확장성과 분산 처리가 용이함
동적 확장성Pipe-and-Filter런타임 중 필터를 추가/제거하여 유연한 처리 파이프라인 구성 가능
트랜잭션 관리Batch Sequential일괄 처리 중 ACID 보장 및 오류 발생 시 롤백 처리를 위한 전략
아키텍처 구현 기술Kafka StreamsPipe-and-Filter, StreamKafka 기반 분산 스트림 처리로 Pipe 구조 구현에 활용 가능
PID ControlProcess Control실시간 제어에서 입력값에 따라 출력을 자동 조정하는 고전적 제어 알고리즘
Real-Time ConstraintsProcess Control일정 시간 내 응답 보장을 요구하는 시스템 제약 조건
아키텍처 발전 흐름Lambda ArchitectureHybrid배치와 스트림을 병합한 대표적 하이브리드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
Kappa ArchitectureStream-centric스트림 중심의 단순화된 아키텍처로 유지보수성과 실시간성을 강화
Event-Driven ArchitectureStream-centric, Process이벤트 트리거 기반의 비동기, 실시간 데이터 흐름을 처리하는 구조
클라우드 연계 기술Serverless ComputingAll (특히 Process, Stream)이벤트 발생 시 함수 단위로 실행되는 서버리스 환경, FaaS 기반 처리 모델
Container OrchestrationAllKubernetes 기반의 컨테이너 파이프라인 자동화 및 확장
Managed ServicesAllGCP Dataflow, AWS Glue 등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관리형 서비스 활용
AI/ML 통합 구조MLOps PipelinePipe-and-Filter, Hybrid머신러닝 모델 학습/서빙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하고 모니터링하는 구조
Real-time InferenceProcess Control, Stream실시간 이벤트에 반응하여 모델 추론 결과를 즉시 제공하는 시스템 구조
AutoMLBatch, Hybrid자동 모델링, 튜닝, 학습 파이프라인 구축을 통해 AI 파이프라인 처리 효율화
공통 품질 속성모듈화 (Modularity)공통각 처리 단위를 독립 모듈로 분리하여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아키텍처 스타일핵심 개념반드시 학습해야 할 항목설명
데이터 흐름 아키텍처Batch Sequential일괄 처리, 단계적 흐름ETL/ELT, 스케줄링, Airflow, Spring Batch고정된 순서의 단계별 처리에 적합하며, 주기적인 대량 처리에 사용
Pipe and Filter스트림 기반 처리, 모듈화, 필터 연결Kafka, Flink, 모듈화, 백프레셔, Reactive Streams각 처리 단계가 독립적인 필터로 구성되어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스트림 처리에 유리
Process Control실시간 피드백 루프, 상태 기반 처리PID 제어, Kalman Filter, RTOS, 실시간 스케줄링제어 시스템 (예: IoT, 공정 제어) 에서 사용되며 실시간 반응성과 안정성 보장이 핵심
스트림 처리 기술-실시간 처리, 이벤트 기반Apache Kafka, Flink, StormPipe and Filter 및 Process Control 의 기반 처리 엔진
제어 이론-시스템 제어, 상태 공간 분석PID, Kalman Filter, 전달함수, 안정성 분석Process Control 의 이론적 기반이며 동적 시스템 제어에 필수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모듈화, 장애 허용성모듈 독립성, Fault Tolerance, 유지보수성 향상Pipe and Filter 아키텍처의 설계 품질을 좌우
스케줄링/실시간 처리-시간 기반 또는 우선순위 기반 실행RTOS, Priority Scheduling, 체크포인트Batch/Process Control 에서 중요한 실행 전략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 패턴Data-Flow Architecture데이터 흐름 중심으로 구성되는 아키텍처 스타일 (예: Pipe-and-Filter 등)
Batch Sequential순차적인 일괄 처리 단계로 구성된 아키텍처 스타일
Pipe-and-Filter처리 기능을 필터로 분리하고 데이터는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구조
Process Control실시간 제어 및 피드백 루프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아키텍처 스타일
Lambda Architecture배치와 스트림 경로를 병행 운영하여 실시간성과 정확성을 조화시키는 아키텍처
Kappa Architecture스트림 기반 단일 경로에서 모든 처리를 수행하는 단순화된 아키텍처
처리 컴포넌트Filter (필터)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변환하는 독립적 처리 유닛
Pipe (파이프)필터 간 데이터를 연결하는 전송 경로 또는 채널
Stream (스트림)연속적으로 생성되어 전달되는 데이터 흐름
Temporal File (임시 파일)배치나 모듈 간 처리 중간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
시스템 개념트랜잭션 관리데이터의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처리 단위 및 커밋 메커니즘
Checkpoint스트림 또는 배치 처리 중 복구 가능한 상태를 저장하는 기술
Exactly-once데이터가 중복 없이 정확히 한 번만 처리되는 보장 방식
Event Sourcing시스템의 상태 변경을 이벤트 로그로 기록하는 설계 패턴
CQRS읽기 모델과 쓰기 모델을 분리하여 확장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 방식
우선순위 스케줄링실시간 시스템에서 중요한 작업을 먼저 처리하는 스케줄링 전략
RTOSReal-time Operating System, 정해진 시간 내 응답을 보장하는 운영체제
품질 속성Modularity (모듈화)시스템을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단위로 분리하는 설계 원칙
Reusability (재사용성)컴포넌트의 재사용 가능성을 높이는 구조적 특성
Scalability (확장성)시스템이 데이터 증가 및 요청 증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
Maintainability (유지보수성)시스템을 쉽게 수정하고 확장할 수 있는 능력
제어 시스템Feedback Loop출력값을 입력으로 다시 사용하는 제어 메커니즘
PID Controller비례 (Proportional), 적분 (Integral), 미분 (Derivative) 제어 알고리즘
Set Point제어 시스템이 도달해야 할 목표값
Control Variable제어 대상이 되는 시스템 변수
Sensor시스템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
Actuator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물리적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처리 특성 및 메트릭Latency (지연시간)데이터가 입력되어 출력되기까지 걸리는 시간
Throughput (처리량)단위 시간 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양
Back-pressure소비자 처리량이 부족할 때 생산자의 전송 속도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운영 기술Kafka스트림 기반 메시지 브로커로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활용
Flink상태 기반 스트림 및 배치 처리를 지원하는 분산 데이터 처리 엔진
Spark대규모 배치 처리 및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범용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RabbitMQ, Pulsar메시지 큐 기반의 비동기 메시징 미들웨어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