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ppa Architecture

Kappa Architecture 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현대적 아키텍처 패턴으로, 스트림 우선 (Stream-First) 접근 방식을 채택한다. 단일 기술 스택으로 실시간 및 배치 처리를 통합하여 Lambda Architecture 의 이중 코드베이스 문제를 해결한다. Apache Kafka, Apache Flink 등을 핵심 기술로 활용하며, Netflix, Uber, LinkedIn 등 글로벌 기업들이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위해 도입하고 있다. 이벤트 소싱과 불변 로그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아키텍처이다.

배경

기술적 배경:

산업적 배경:

목적 및 필요성

주요 목적:

  1. 아키텍처 단순화: Lambda Architecture 의 복잡성 제거
  2. 실시간 처리 우선: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즉각적인 인사이트 제공
  3. 운영 비용 절감: 단일 기술 스택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감소
  4. 개발 생산성 향상: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실시간 및 배치 처리 구현

필요성:

핵심 개념

Kappa Architecture 는 실시간 스트리밍과 배치 데이터 처리를 통합하여 데이터 처리의 복잡성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는 데이터 중심 아키텍처이다.

기본 개념

심화 개념

실무 구현 연관성

주요 기능 및 역할

특징

주요 원리

  1. 모든 것은 스트림 (Everything is a Stream)
    모든 데이터를 연속적인 이벤트 스트림으로 취급하며, 배치 데이터도 스트림의 특수한 형태로 간주한다.

  2. 단일 처리 경로 (Single Processing Path)
    실시간과 배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고, 하나의 스트림 처리 시스템을 사용한다.

  3. 불변 로그 중심 (Immutable Log-Centric)
    모든 이벤트를 불변 로그에 저장하여 언제든지 재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4. 이벤트 기반 처리 (Event-Driven Processing)
    이벤트 발생 시점에 즉시 처리하여 실시간 반응성을 보장한다.

작동 원리 및 방식

데이터는 실시간 스트림으로 처리되고, 필요시 동일 데이터 소스에서 배치 처리를 수행한다.

graph LR
    A[Data Sources] --> B[Message Engine<br/>Apache Kafka]
    B --> C[Stream Processing<br/>Apache Flink/Storm]
    C --> D[Serving Layer<br/>Database/Analytics]
    
    E[Historical Data] --> B
    B --> F[Event Log Storage]
    F --> C
    
    G[Real-time Queries] --> D
    H[Batch Reprocessing] --> C

데이터 플로우

  1. 데이터 수집: 다양한 소스에서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수집
  2. 메시지 엔진 저장: Apache Kafka 등에 이벤트 로그로 저장
  3. 스트림 처리: 실시간으로 데이터 변환, 집계, 분석 수행
  4. 서빙 레이어 저장: 처리된 결과를 쿼리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5. 재처리: 필요 시 동일한 스트림 처리 엔진으로 히스토리 데이터 재처리

구조 및 아키텍처

Kappa 아키텍처는 단일 스트림 중심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되며, Lambda 의 배치 레이어를 대체한다.

graph LR
  A[데이터 소스] --> B["Immutable Log (Kafka)"]
  B --> C["스트림 처리 엔진 (Flink/Kafka Streams)"]
  C --> D[Materialized View / Data Store]
  D --> E[애플리케이션 / 실시간 쿼리]
  B -->|Replay| C

주요 구성 요소

계층주요 역할대표 기술 및 설명
데이터 소스 (Data Source / Event Log)다양한 실시간 이벤트의 유입IoT 센서, DB 트랜잭션, 애플리케이션 로그 등. CDC(Change Data Capture) 를 통해 SoR 변경을 이벤트로 전환
로그 저장소 (Immutable Log)변경 불가능한 이벤트 로그의 수집 및 저장Apache Kafka 등: append-only, 순서 보장, 압축, tiered storage 지원, exactly-once semantics
스트림 처리 엔진 (Processing Engine)실시간 스트림 연산 및 과거 이벤트 재처리Apache Flink, Kafka Streams, Spark Streaming: 필터링, 윈도우, 조인, 집계 등 유니파이된 연산 처리
데이터 저장 및 제공 계층 (Materialized View / Data Store)처리 결과를 저장하고 응용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계층Cassandra, Elasticsearch, RDS, Data Lake 등: 쿼리, 분석, ML 모델 입력 등 실시간 활용 목적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Application Layer)사용자 -facing 시스템 및 비즈니스 기능 제공대시보드, 실시간 API, 추천 시스템, 경고 시스템, ML 모델 등으로 최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

구현 기법

카테고리구현 기법핵심 구성 요소 및 설명적용 시나리오 및 효과
설계 패턴이벤트 소싱 (Event Sourcing)이벤트 스토어, Kafka Topic, 상태 재구성 메커니즘 구성모든 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기록사용자 행동 기록, 상태 복원, 감사 추적이 필요한 시스템
CQRS명령 (Command) 과 조회 (Query) 모델 분리이벤트 동기화로 최종 일관성 유지주문 처리, 이력 시스템 등 읽기/쓰기 성능을 개별 최적화할 필요가 있는 환경
스트림 - 테이블 이중성스트림 ↔ 테이블 상호 변환 개념 적용상태 저장소와 실시간 집계 윈도우 활용매출 집계, 행동 기반 실시간 대시보드, 상태 기반 트리거
처리 엔진스트림 프로세서 구성Apache Flink, Kafka Streams 등윈도우, 집계, 조인, 체크포인트, EOS 세팅 지원상태 기반 연산, 실시간 분석, 이상 탐지
인프라 구성메시지 로그 및 브로커 설정Kafka 클러스터 구성 (파티션, 레플리카, 압축, tiered storage)append-only 로그 저장 및 replay 처리 가능고신뢰 이벤트 저장소, 장애 복구, 데이터 재처리
스키마 레지스트리 관리Avro/Protobuf 기반 스키마 등록호환성 (Backward/Forward) 정책 설정다양한 버전의 데이터 구조 변경 대응, consumer 안전한 스키마 수신
운영 전략백프레셔 제어Rate Limiter, Buffer, Flow Control 구성처리 병목 구간에서 유입량 조절센서/로그 스트림 처리 시 다운스트림 병목 완화
재처리 전략 구성Kafka 오프셋 초기화 (earliest)Stream job 재시작 및 Trigger 기반 Replay 구성모델 업데이트, 오류 복구, 규칙 변경 시 과거 데이터 재처리 필요
상태 저장 최적화Flink RocksDB 백엔드 설정, 상태 파티셔닝, TTL/압축 구성메모리 사용 최소화, 대규모 상태 집계 작업의 안정적 처리

이벤트 소싱 (Event Sourcing)

이벤트를 저장소에 쌓고 이를 재생하여 상태를 재구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event_store.py
from kafka import KafkaProducer, KafkaConsumer
import json

producer = KafkaProducer(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value_serializer=lambda v: json.dumps(v).encode('utf-8')
)

def append_event(topic, event):
    producer.send(topic, event)
    producer.flush()

def replay_events(topic):
    consumer = KafkaConsumer(
        topic,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auto_offset_reset='earliest',
        value_deserializer=lambda m: json.loads(m.decode('utf-8'))
    )
    state = {}
    for msg in consumer:
        ev = msg.value
        # 예: entity_id 기준 상태 재구성
        state[ev['entity_id']] = ev['payload']
    return state

CQRS (명령/조회 분리)

쓰기와 읽기 모델을 분리하여 성능을 최적화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command_handler.py (쓰기 전용 RDB)
def handle_story_post(event):
    # DB에 저장 (ex: PostgreSQL)
    insert_story(event['story_id'], event['content'])

# query_service.js (읽기 전용 ElasticSearch 기반)
const { Client } = require('@elastic/elasticsearch');
const es = new Client({ node: 'http://localhost:9200' });

async function searchStories(query) {
  const resp = await es.search({
    index: 'stories',
    body: { query: { match: { content: query }}}
  });
  return resp.hits.hits;
}

스트림 - 테이블 듀얼리티

Kafka Streams 또는 Flink 에서 스트림을 테이블 형태로 유지하며 실시간 집계를 구현한다.

1
2
3
4
5
6
7
8
9
// Kafka Streams 예시
StreamsBuilder builder = new StreamsBuilder();
KStream<String, Long> sales = builder.stream("sales-topic", Consumed.with(Serdes.String(), Serdes.Long()));

KTable<String, Long> dailySales = sales
    .groupBy((key, value) -> key)
    .reduce(Long::sum, Materialized.as("daily-sales-store"));

dailySales.toStream().to("daily-sales-topic", Produced.with(Serdes.String(), Serdes.Lo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from pyflink.datastream import StreamExecutionEnvironment
from pyflink.table import StreamTableEnvironment, DataTypes
from pyflink.table.window import Tumble

env = StreamExecutionEnvironment.get_execution_environment()
t_env = StreamTableEnvironment.create(env)

t_env.execute_sql("""
CREATE TABLE clicks (
  user_id STRING,
  ts TIMESTAMP(3),
  WATERMARK FOR ts AS ts - INTERVAL '5' SECOND
) WITH (... Kafka Source 설정 ...)
""")

t_env.execute_sql("""
CREATE TABLE click_counts (
  user_id STRING,
  cnt BIGINT,
  window_end TIMESTAMP(3)
) WITH (... Kafka Sink 설정 ...)
""")

t_env.execute_sql("""
INSERT INTO click_counts
SELECT
  user_id,
  COUNT(*) as cnt,
  TUMBLE_END(ts, INTERVAL '1' HOUR) as window_end
FROM clicks
GROUP BY
  user_id,
  TUMBLE(ts, INTERVAL '1' HOUR)
""")

Kafka 브로커 설정 (Python 예시)

브로커를 파티션/레플리카 구성과 압축, tiered storage 로 설정한다.

1
2
3
4
5
6
# server.properties
num.partitions=12
default.replication.factor=3
compression.type=producer
log.retention.hours=168
log.segment.bytes=1073741824

스키마 레지스트리 사용 (Avro 기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from confluent_kafka import avro, SerializingProducer
schema_str = """
{
 "namespace": "example",
 "name": "Purchase",
 "type": "record",
 "fields": [
   {"name": "user_id", "type": "string"},
   {"name": "amount", "type": "double"}
 ]
}
"""
schema = avro.loads(schema_str)

producer = SerializingProducer({
    'bootstrap.servers': 'localhost:9092',
    'key.serializer': avro.dumps(schema),
    'value.serializer': avro.dumps(schema),
    'schema.registry.url': 'http://localhost:8081'
})

백프레셔 제어

Flink 에서 백프레셔 감지 및 리소스 조정을 수행한다.
프로그램 설정 예시는 YAML 구성에서 지정할 수 있다.

1
2
3
4
streaming:
  bufferTimeout: 100
  backpressure:
    samplingInterval: 20

재처리 전략 구성 (Replay)

1
2
3
4
# Kafka 오프셋 초기화
kafka-consumer-groups.sh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
  --group click-processor --topic click-events \
  --reset-offsets --to-earliest --execute

Flink job 재시작 후 과거 데이터를 다시 처리한다.

1
2
3
4
5
6
from pyflink.datastream import StreamExecutionEnvironment
from pyflink.common.state_backend import RocksDBStateBackend

env = StreamExecutionEnvironment.get_execution_environment()
env.set_state_backend(RocksDBStateBackend("file:///flink/checkpoints", incremental=True))
env.set_parallelism(4)

장점

카테고리항목설명
설계 단순성단일 처리 경로배치와 스트림 이중 구조 (Lambda) 를 통합하여 설계 및 구현 복잡도 감소
코드베이스 통합동일 코드 경로에서 모든 처리를 수행하므로 유지보수 효율 및 배포 전략 간소화 가능
구조 일관성 유지배치와 스트림 간 데이터 정합성 문제를 방지하고 일관된 흐름 유지
실시간 처리 최적화낮은 지연 (Low Latency)스트림 기반 구조로 즉시 처리 가능하여 사용자 경험 개선 및 의사결정 반응 속도 향상
빠른 피드백 루프이벤트 발생 직후 데이터 반영으로 실시간 대시보드, 알림, 추천 시스템 등에 적합
운영 효율성유지보수 용이단일 파이프라인, 단일 기술 스택으로 인해 장애 대응, 변경 반영 속도가 빠름
비용 절감배치 레이어 제거로 인프라/개발/운영 비용 절감 (이중 파이프라인 대비)
확장성과 복원력수평 확장 용이Kafka, Flink 등 분산 시스템의 특성을 활용해 노드 추가만으로 확장 가능
장애 내성 및 복원력 확보체크포인트, 멱등성 처리, 이벤트 소싱 등으로 장애 발생 시 안전한 재처리 및 복구 가능
데이터 활용성유연한 재처리Immutable log 기반이므로 과거 이벤트를 기반으로 시점 재처리 또는 모델 재학습 가능
데이터 일관성 강화단일 처리 흐름이기 때문에 중복 저장, 처리 순서 오류 등의 문제를 최소화
스키마 진화 대응스키마 레지스트리 기반으로 이벤트 구조 변경 시에도 하위 호환성 유지 가능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카테고리항목설명해결책
설계 복잡성초기 설정 복잡성스트림 처리 시스템 초기 설계 및 설정이 복잡하고 학습 곡선이 큼관리형 서비스 도입,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복잡한 실시간 처리 로직다양한 이벤트 흐름과 상태 처리 로직이 얽혀 유지보수가 어려움모듈화 및 테스트 자동화
상태 및 저장소상태 관리 복잡성Stateful 연산 증가로 인한 복구/관리 비용 증가RocksDB 최적화, checkpoint 설계
대규모 로그 저장 비용Immutable Log 기반 저장 시 장기 보존 비용 증가Tiered Storage 및 압축 활용
기술 종속성특정 기술에 대한 의존성Kafka/Flink 등 특정 기술에 강하게 종속됨표준 API 및 추상화 레이어 구성
스키마 변경 관리 부담Schema Evolution 이 복잡하고 하위 호환성 보장이 어려움Schema Registry 활용 및 호환성 전략 설계
운영 비용 및 성능리소스 소비지속 스트림 처리로 인해 CPU/메모리 사용률 지속 상승자동 스케일링, 자원 격리
과거 데이터 리플레이 비용전체 로그 재처리 시 계산량 증가 및 처리 시간 증가로그 구간별 처리, 병렬 재처리 샤딩
일관성 및 분석실시간 - 배치 일관성 유지 어려움Lambda 구조에서 두 계층 간 결과 차이 발생 가능일관성 검증 로직 도입, 병합 알고리즘 개선
히스토리 분석 제한Kappa 아키텍처는 실시간 처리에 집중되어 복잡한 배치 분석이 어려움하이브리드 접근법, OLAP 통합
운영 안정성장애 대응 어려움실시간 파이프라인 중단 시 전체 흐름 중단 가능성 존재장애 탐지 자동화, Failover 시스템 구축
순서 보장 문제파티셔닝 변경/리밸런싱 시 메시지 순서 손실 발생Key 기반 파티셔닝 유지, 순서 복원 전략 사용

문제점

카테고리항목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법해결 방법 및 기법
데이터 품질데이터 유실버퍼 초과, 네트워크 장애, retention 설정 누락손실, 불완전 분석offset 모니터링, 로그 경고DLQ 사용, Replica 설정 강화재처리 시스템 구축, S3 복구 병행
데이터 중복 처리재시도, 비정상 재처리, idempotency 누락부정확한 집계, 중복 전송중복 키 분석, 이벤트 수 집계중복 제거 키 설정, 멱등성 설계Exactly-Once 의미론 구현, 트랜잭션 적용
지연 및 성능지연 처리백프레셔, 리소스 부족SLA 미준수, 사용자 불만큐 길이, 처리 지연 측정부하 테스트, 용량 계획우선순위 큐, 자동 스케일링
리플레이 병렬성 부족파티션 수 적음, Task 병목복구 지연, 전체 처리 속도 저하리플레이 커버리지 보고서, 시간 분석파티션 확장, 샤딩 기반 Task 분산CI/CD 연동 오프셋 리셋 자동화
일관성상태 불일치메시지 순서 손실, 장애 중 중복 처리무결성 저하, 오류 결과체크섬 검증, 상태 Snapshot 비교파티셔닝 전략 강화, 순서 보장 키 유지상태 복구 전략, 보상 트랜잭션
스키마 호환성 문제메시지 구조 변경, 처리 로직 미반영처리 실패, 데이터 파싱 오류스키마 버전 로그, 테스트 자동화Schema Registry 사용하위 호환 설계, 점진적 마이그레이션 적용
운영 안정성상태 스냅샷 손상checkpoint 누락/오염장애 복구 불가, 전체 장애 발생checkpoint 상태 비교이중 저장소 구성, 정기 백업외부 저장소 백업, 복구 시나리오 설계
로직 재처리 누락코드 수정 후 Replay 누락오래된 로직 결과가 계속 노출됨Replay 이력 추적오프셋 리셋 자동화, Replay Coverage 테스트 도입CI/CD 파이프라인 통합
이벤트 순서 오류파티션 병합, 키 변경, 병렬 처리 이슈집계 오류, 시간순 쿼리 실패이벤트 타임 분석, 순서 불일치 패턴 감지Key 고정, 순서 복원 로직 내장Kafka Ordering, Flink keyBy 정렬 사용

도전 과제

카테고리도전 과제설명주요 고려사항 및 대응 방안
처리 성능실시간 처리 지연 최소화고속 데이터 유입 시 처리량과 지연 간의 트레이드오프 문제 발생스트림 병렬도 조정, 배치 크기 튜닝, 우선순위 큐 기반 스케줄링
일관성 관리Exactly-once 보장장애 발생 시 중복/손실 없이 이벤트를 한 번만 처리해야 하는 요구사항체크포인팅, 트랜잭션 로그, 멱등성 설계, 메시지 오프셋 재처리 전략 적용
상태 관리상태 기반 스트림 연산의 메모리 한계윈도우, 집계, 조인 등은 상태 유지를 필요로 하며 메모리 자원을 크게 소모함RocksDB 외부 상태 저장소 활용, 증분 체크포인트, 상태 압축 및 만료 주기 설정
인프라 확장성시스템 확장성과 복원력 확보노드 증가, 리플레이, 장애 복구 시 서비스 중단 없이 확장 가능해야 함오토스케일링, Kubernetes 연동, 파티셔닝 전략 및 무중단 배포 설계
운영 자동화모니터링 및 장애 탐지 지연분산 파이프라인에서 지연·오류·병목 지점의 추적이 어려움Prometheus, Grafana, 분산 트레이싱 (Jaeger, Zipkin), JMX Exporter 적용
스키마 관리스키마 진화 및 하위 호환성 유지프로듀서와 컨슈머 간 스키마 버전 차이 발생 시 처리 실패 우려Schema Registry 사용, backward/forward compatibility 준수
보안/규정데이터 보존 및 삭제 정책 준수GDPR, HIPAA 등의 규제에 따라 실시간 로그의 장기 저장 또는 삭제가 요구됨로그 암호화, 저장 기간 제한, 감사 로그 설정, 민감 정보 마스킹
리플레이 성능대규모 이벤트 재처리의 부하장애 복구 시 이벤트 리플레이가 시스템 리소스를 소모하고 전체 처리 흐름을 지연시킴이벤트 파티션 재조정, 서빙 데이터 분리, 슬로우 재처리 큐 설계
테스트 전략스트림 처리 로직의 통합 테스트 어려움순차적/병렬 처리, 상태 기반 흐름 등 단위 테스트보다 시나리오 기반 통합 테스트가 요구됨Kafka TestContainers, End-to-End Replay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구축
데이터 정합성스트림 - 배치 간 정합성 확보Kappa 와 Lambda 혼합 구조 또는 이중 저장 시 데이터 불일치 우려동일 키 기반 머지 정책, 타임라인 우선순위 정의, 원자성 보장 연산 구현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설명특징대표 사용 사례
처리 모델Stream-only Architecture전체 처리를 스트림 기반으로만 수행 (배치 없음)실시간 중심 설계, 단순화된 파이프라인실시간 로그 분석,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처리 범위Stateless Streams개별 이벤트 단위 처리 (이전 상태 참조 없음)낮은 메모리 요구, 병렬 처리 용이트래픽 라우팅, 실시간 필터링
Stateful Streams상태를 유지하며 처리 (누적, 집계, 윈도우 연산 등 포함)복잡한 처리 가능, 높은 리소스 요구실시간 집계, 추천 시스템, IoT 시계열 분석
데이터 소스 유형Event-Driven Kappa도메인 이벤트 발생 시 스트림 생성마이크로서비스 연계 최적화, 이벤트 소싱 기반주문 이벤트 처리, 알림 시스템
CDC-Based KappaDB 변경사항을 캡처하여 스트림 처리 (Change Data Capture)기존 시스템 연동 쉬움, 테이블 동기화 최적화RDBMS → 스트리밍 전환, 실시간 ETL
재처리 전략Replayable ArchitectureImmutable Log 기반으로 이벤트 재처리 가능장애 복구, 지연 처리 대응, 이벤트 정정 가능데이터 수복, 복기 처리, 보정 로직 재실행
저장소 구성 방식Memory-Optimized인메모리 처리 중심 (예: RocksDB, Redis)저지연, 짧은 TTL, 빠른 응답실시간 게임 처리, 고빈도 거래 시스템
Persistent Kappa디스크 기반 저장소 사용 (예: Kafka + HDFS, S3 등)대용량, 영속성 요구, 이력 관리 가능컴플라이언스 로그, 장기 보관 분석 시스템
처리 복잡도Simple Kappa필터링, 라우팅, 맵핑 등 단순 변환 처리 중심개발과 운영이 쉬움실시간 로그 수집, 데이터 전처리
Complex Kappa윈도우 조인, 패턴 탐지, 머신러닝 예측 등 고난이도 처리 포함고급 분석, ML 연동 가능실시간 이상 탐지, 행동 분석, 실시간 대시보드
엔진 구성 방식단일 스트림 파이프라인스트림 처리만으로 전체 흐름 구성 (단일 처리 모델)배치 없음, 단순 아키텍처이벤트 스트리밍 분석, 실시간 알림 시스템
Hybrid Kappa특정 부분에서 배치 처리 보완 (히스토리 복원 등)실시간 중심이되 일부 배치 활용 가능복합 분석 플랫폼, 실시간 + 통계 분석 병행
저장 방식분산 저장 기반데이터 레이크/분산 DB 기반 저장소 사용확장성/가용성 높음Kafka + S3, Flink + Hudi
로깅 구조Immutable Log 기반변경 불가능한 로그를 이벤트 처리의 핵심으로 사용 (Kafka 등)이벤트 소싱 기반 설계, 시간순 재현 가능감사 로그, 상태 복원 기반 시스템

Lambda 아키텍처 Vs Kappa 아키텍처 비교

구분Lambda 아키텍처Kappa 아키텍처
설계 목적정확성과 지연 간의 균형스트림 우선 실시간 처리 단순화
아키텍처 구성Batch Layer + Speed Layer + Serving LayerStream Processing + Materialized View
코드 복잡성배치/스트림 두 개의 처리 코드 필요단일 코드로 모든 처리 수행
재처리 방식Batch Layer 를 통해 과거 데이터를 재처리Kafka 로그 replay 로 전체 재처리
지연 시간상대적으로 높음 (배치 주기 반영)낮음 (스트림 기반 실시간 처리)
배포 및 운영중복된 레이어로 인해 운영 복잡단일 파이프라인으로 운영 단순
대표 기술Hadoop, Spark, Storm, HiveKafka, Flink, Kafka Streams, Faust
사용 적합성대규모 히스토리 데이터 분석 중심실시간 분석, 빠른 응답 필요 환경

분석 요약:
Kappa 는 Lambda 의 운영 복잡성과 유지보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등장했으며, 특히 배치와 스트림 간 코드 이중화를 제거하는 데 탁월하다. 하지만, 복잡한 상태 기반 연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Lambda 구조도 여전히 유효할 수 있다.

실무 사용 예시

사용 분야대표 목적결합 기술 구성기대 효과
실시간 로그 분석사용자 이벤트 분석 및 대응Kafka + Flink + Elasticsearch사용자 행동 기반 분석, 개인화 서비스, 실시간 알림 제공
IoT 센서 데이터 처리대규모 센서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처리Kafka + Spark Streaming + InfluxDB / Cassandra이상 감지, 실시간 모니터링, 예지보전
금융 거래 분석실시간 이상 거래 탐지 및 리스크 대응Kafka + Kafka Streams + Elasticsearch사기 탐지, 자동 알림, 규제 대응
ETL 파이프라인실시간 데이터 정제 및 저장Kafka + Flink + Apache Hudi / Delta Lake스트리밍 ETL, 데이터 레이크 실시간 동기화, 버전 관리
실시간 대시보드KPI 및 비즈니스 지표 실시간 시각화Kafka + Flink + Grafana / Apache Druid운영 지표 가시화, 경고 시스템 구축
추천 시스템사용자 행동 기반 콘텐츠/상품 추천Kafka + Flink + Redis개인화 추천, 클릭율 향상, 실시간 반영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마이크로서비스 간 이벤트 중심 통신Kafka + Schema Registry + KSQL비동기 트리거, 마이크로서비스 디커플링, 이벤트 소싱 구현
소셜 피드 처리유저 피드 정렬, 최신 트렌드 반영Kafka + Flink + Redis실시간 피드 정렬, 실시간 트렌드 분석
사물인터넷 대시보드실시간 IoT 상태 시각화 및 알림Kafka + Flink + TimescaleDB + GrafanaIoT 상태 추적, 실시간 알림, 센서 이상 신속 대응
사건 대응 자동화조건 기반 트리거 및 자동 처리Kafka Streams + HBase / Apache NiFi이벤트 조건 대응 자동화, Alert → 처리 파이프라인 연계
스트리밍 분석 플랫폼대용량 로그/이벤트 스트리밍 통합 처리Kafka + Flink + Apache Pinot / Apache Druid다양한 데이터 소스 통합 분석, 쿼리 응답 최적화
배치 보완용 스트리밍배치 지연 보완, 준실시간 분석 제공Lambda (Spark + Kafka)빠른 피드백 제공, 분석 지연 최소화

활용 사례

사례 1: Netflix 의 실시간 추천 시스템

시스템 구성:

시스템 다이어그램:

graph TD
    A[Netflix Apps] --> B[Kafka Event Streams]
    C[User Viewing Data] --> B
    D[Content Metadata] --> B
    
    B --> E[Flink Stream Processing]
    E --> F[Real-time ML Models]
    F --> G[Recommendation Engine]
    
    G --> H[Cassandra]
    G --> I[Redis Cache]
    
    H --> J[Recommendation API]
    I --> J
    J --> K[Netflix UI]

Workflow:

  1. 사용자가 콘텐츠를 시청하면 실시간 이벤트 생성
  2. Kafka 가 이벤트를 수집하고 파티션별로 분산 저장
  3. Flink 가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 프로필 업데이트
  4. 실시간 머신러닝 모델이 추천 결과 생성
  5. 추천 결과를 Cassandra 와 Redis 에 저장
  6. 사용자가 Netflix 접속 시 즉시 개인화된 추천 제공

Kappa Architecture 의 역할:

Kappa Architecture 적용 전후 차이점:

구분적용 전 (배치 처리)적용 후 (Kappa)
추천 업데이트 주기24 시간실시간
사용자 반응 반영 시간하루 지연즉시
시스템 복잡도배치 + 실시간 이중 구조단일 스트림 처리
개발 생산성이중 코드베이스 유지단일 코드베이스
비즈니스 효과정적 추천동적 개인화 추천

사례 2: 실시간 금융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시스템 구성:

Workflow:

  1. 거래 발생 시 Kafka 로 데이터 유입
  2. Flink 가 실시간으로 데이터 처리 및 이상 거래 탐지
  3. HBase 에 저장, 대시보드에 알림 및 시각화

Kappa Architecture 의 역할:

Kappa Architecture 유무에 따른 차이:

사례 3: IoT 스트림 처리 시스템

시스템 구성:

graph TD
  A[IoT Devices] --> B["Kafka Broker (Immutable Log)"]
  B --> C["Flink Cluster (Stream Processing)"]
  C --> D["Time Series DB (InfluxDB)"]
  D --> E[Grafana Dashboard]

Workflow:

  1. IoT 디바이스 → 센서 데이터를 Kafka 토픽에 실시간 publish
  2. Flink → Kafka 로부터 consume 하여 온도/진동 등 집계
  3. InfluxDB 에 저장 → Grafana 에서 실시간 시각화

역할:

Kappa 아키텍처 유무 차이:

항목Kappa 적용미적용
시스템 단순성단일 스트림으로 구성배치 + 스트림 분리로 이중 관리 필요
재처리 유연성로그 기반 전체 재처리 가능배치 파이프라인 재구성 필요
장애 대응성체크포인트 복구 가능배치 지연 발생 시 장애 전파

구현 예시

Python + Kafka + Faust

IoT 센서 데이터 (온도) 를 Kafka 토픽으로 수집하고, Kappa 아키텍처 기반으로 실시간 이상 온도를 감지하는 시스템을 Faust (Kafka 기반의 Python 스트림 처리 프레임워크) 로 구현.

시스템 구성:

flowchart TD
  A[IoT Device] --> B[Kafka Topic: iot-temp]
  B --> C["Faust Stream App (Python)"]
  C --> D["Alert Service (e.g., Slack, Email)"]
  C --> E["Materialized DB (Redis)"]

구현 예시 (Python - Fau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faust_app.py
import faust

# Kafka Topic 이름과 메시지 구조 정의
class TemperatureEvent(faust.Record, serializer='json'):
    device_id: str
    timestamp: str
    temperature: float

app = faust.App('kappa-iot-app', broker='kafka://localhost:9092')

# 입력 토픽
temp_topic = app.topic('iot-temp', value_type=TemperatureEvent)

# 테이블 (materialized view 역할)
alert_store = app.Table('overheat-events', default=int)

# 스트림 처리 로직
@app.agent(temp_topic)
async def process_temperature(stream):
    async for event in stream:
        if event.temperature > 75.0:
            alert_store[event.device_id] += 1
            print(f"[ALERT] {event.device_id} temperature {event.temperature} exceeds threshold!")
        else:
            print(f"{event.device_id}: temperature is normal ({event.temperature})")

if __name__ == '__main__':
    app.main()
항목설명
Kafka TopicIoT 센서에서 실시간 데이터가 발행되는 주제 (iot-temp)
Faust StreamKafka 스트림을 수신하여 이벤트를 처리
Materialized Table장비별 이상 발생 횟수 저장 및 상태 유지
Event ReplayKafka 오프셋을 처음으로 되돌리면 전체 재처리 가능 (재분석 or 모델 수정 대응)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Kafka에서 거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Flink로 실시간 처리하는 예시

from pyflink.datastream import StreamExecutionEnvironment
from pyflink.datastream.connectors import FlinkKafkaConsumer
from pyflink.common.serialization import SimpleStringSchema

# 환경 설정
env = StreamExecutionEnvironment.get_execution_environment()

# Kafka Consumer 생성
kafka_consumer = FlinkKafkaConsumer(
    topics='transactions',
    deserialization_schema=SimpleStringSchema(),
    properties={'bootstrap.servers': 'localhost:9092', 'group.id': 'monitoring-group'}
)

# 데이터 스트림 생성
stream = env.add_source(kafka_consumer)

# 실시간 이상 거래 탐지 로직 (예시)
def detect_fraud(transaction):
    # 거래 금액이 1000만원 이상이면 이상 거래로 간주
    if transaction.amount > 10000000:
        return True
    return False

# 이상 거래 필터링
fraud_stream = stream.filter(detect_fraud)

# 결과 출력 또는 저장
fraud_stream.print()

env.execute("Real-Time Transaction Monitoring")

Python: 실시간 추천 시스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 Kafka Consumer를 활용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
from kafka import KafkaConsumer, KafkaProducer
import json
import redis
import pandas as pd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import logging

class KappaRecommendationEngine:
    """
    Kappa Architecture 기반 실시간 추천 엔진
    단일 스트림 처리로 사용자 행동을 실시간 분석하여 추천 생성
    """
    
    def __init__(self):
        # Kafka Consumer 설정 - 사용자 이벤트 스트림 수신
        self.consumer = KafkaConsumer(
            'user-events',  # 사용자 행동 이벤트 토픽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value_deserializer=lambda x: json.loads(x.decode('utf-8')),
            group_id='recommendation-engine'  # 컨슈머 그룹 설정
        )
        
        # Kafka Producer 설정 - 추천 결과 스트림 전송
        self.producer = KafkaProducer(
            bootstrap_servers=['localhost:9092'],
            value_serializer=lambda x: json.dumps(x).encode('utf-8')
        )
        
        # Redis 캐시 설정 - 실시간 추천 결과 저장
        self.redis_client = redis.Redis(host='localhost', port=6379, db=0)
        
        # 사용자 프로필 캐시 (메모리 기반 상태 관리)
        self.user_profiles = {}
        
        logging.basicConfig(level=logging.INFO)
        self.logger = logging.getLogger(__name__)

    def process_event_stream(self):
        """
        실시간 이벤트 스트림 처리
        Kappa Architecture의 핵심 - 모든 데이터를 스트림으로 처리
        """
        for message in self.consumer:
            try:
                event = message.value
                self.logger.info(f"Processing event: {event['event_type']}")
                
                # 이벤트 타입별 처리 (스트림 처리 로직)
                if event['event_type'] == 'view':
                    self._handle_view_event(event)
                elif event['event_type'] == 'rating':
                    self._handle_rating_event(event)
                elif event['event_type'] == 'search':
                    self._handle_search_event(event)
                
                # 실시간 추천 생성 및 업데이트
                recommendations = self._generate_recommendations(event['user_id'])
                self._update_recommendations(event['user_id'], recommendations)
                
            except Exception as e:
                self.logger.error(f"Error processing event: {e}")
    
    def _handle_view_event(self, event):
        """
        시청 이벤트 처리 - 사용자 선호도 실시간 업데이트
        """
        user_id = event['user_id']
        content_id = event['content_id']
        watch_duration = event.get('watch_duration', 0)
        
        # 사용자 프로필 업데이트 (상태 관리)
        if user_id not in self.user_profiles:
            self.user_profiles[user_id] = {
                'viewed_content': [],
                'preferences': {},
                'last_activity': None
            }
        
        # 시청 기록 추가
        self.user_profiles[user_id]['viewed_content'].append({
            'content_id': content_id,
            'timestamp': datetime.now().isoformat(),
            'watch_duration': watch_duration
        })
        
        # 선호도 점수 계산 (시청 시간 기반)
        preference_score = min(watch_duration / 3600, 1.0)  # 최대 1시간 기준 정규화
        genre = self._get_content_genre(content_id)
        
        if genre in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
            # 기존 선호도와 가중 평균
            current_score =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genre]
            new_score = (current_score * 0.8) + (preference_score * 0.2)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genre] = new_score
        else: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genre] = preference_score
    
    def _handle_rating_event(self, event):
        """
        평점 이벤트 처리 - 명시적 피드백 반영
        """
        user_id = event['user_id']
        content_id = event['content_id']
        rating = event['rating']
        
        # 평점 기반 선호도 조정
        genre = self._get_content_genre(content_id)
        rating_score = (rating - 2.5) / 2.5  # -1 ~ 1 범위로 정규화
        
        if user_id in self.user_profiles:
            if genre in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
                current_score =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genre]
                # 평점은 더 높은 가중치 적용
                new_score = (current_score * 0.6) + (rating_score * 0.4)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genre] = max(-1, min(1, new_score))
    
    def _generate_recommendations(self, user_id):
        """
        실시간 추천 생성 - 협업 필터링 + 콘텐츠 기반 필터링
        """
        if user_id not in self.user_profiles:
            return self._get_popular_content()  # 신규 사용자 대상 인기 콘텐츠
        
        user_preferences =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
        viewed_content = [item['content_id'] for item in self.user_profiles[user_id]['viewed_content']]
        
        # 선호 장르 기반 콘텐츠 추천
        recommendations = []
        
        # 상위 선호 장르 선택
        top_genres = sorted(user_preferences.items(), key=lambda x: x[1], reverse=True)[:3]
        
        for genre, preference_score in top_genres:
            if preference_score > 0.3:  # 최소 선호도 기준
                genre_content = self._get_content_by_genre(genre)
                # 이미 본 콘텐츠 제외
                new_content = [c for c in genre_content if c not in viewed_content]
                recommendations.extend(new_content[:5])  # 장르별 5개까지
        
        # 유사 사용자 기반 추천 (협업 필터링)
        similar_users = self._find_similar_users(user_id)
        for similar_user in similar_users[:3]:  # 상위 3명의 유사 사용자
            similar_content = [item['content_id'] for item in self.user_profiles[similar_user]['viewed_content']]
            new_content = [c for c in similar_content if c not in viewed_content and c not in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extend(new_content[:3])  # 유사 사용자별 3개까지
        
        return recommendations[:10]  # 최대 10개 추천
    
    def _update_recommendations(self, user_id, recommendations):
        """
        추천 결과를 Redis에 캐시하고 추천 스트림으로 전송
        """
        # Redis에 추천 결과 저장 (TTL 설정)
        cache_key = f"recommendations:{user_id}"
        recommendation_data = {
            'user_id': user_id,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
            'timestamp': datetime.now().isoformat()
        }
        
        self.redis_client.setex(
            cache_key,
            3600,  # 1시간 TTL
            json.dumps(recommendation_data)
        )
        
        # Kafka로 추천 결과 스트림 전송
        self.producer.send('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_data)
        
        self.logger.info(f"Updated recommendations for user {user_id}: {len(recommendations)} items")
    
    def _get_content_genre(self, content_id):
        """
        콘텐츠 장르 조회 (실제 구현에서는 외부 메타데이터 서비스 호출)
        """
        # 간단한 시뮬레이션
        genres = ['action', 'comedy', 'drama', 'thriller', 'documentary']
        return genres[hash(content_id) % len(genres)]
    
    def _get_content_by_genre(self, genre):
        """
        장르별 콘텐츠 조회
        """
        # 실제 구현에서는 콘텐츠 카탈로그 서비스 호출
        return [f"{genre}_content_{i}" for i in range(1, 21)]
    
    def _find_similar_users(self, user_id):
        """
        유사 사용자 찾기 - 코사인 유사도 기반
        """
        if user_id not in self.user_profiles:
            return []
        
        target_preferences = self.user_profiles[user_id]['preferences']
        similar_users = []
        
        for other_user_id, profile in self.user_profiles.items():
            if other_user_id == user_id:
                continue
            
            # 코사인 유사도 계산
            similarity = self._calculate_cosine_similarity(
                target_preferences, 
                profile['preferences']
            )
            
            if similarity > 0.7:  # 유사도 임계값
                similar_users.append((other_user_id, similarity))
        
        # 유사도 순으로 정렬
        similar_users.sort(key=lambda x: x[1], reverse=True)
        return [user_id for user_id, _ in similar_users]
    
    def _calculate_cosine_similarity(self, prefs1, prefs2):
        """
        코사인 유사도 계산
        """
        # 공통 장르 찾기
        common_genres = set(prefs1.keys()) & set(prefs2.keys())
        if not common_genres:
            return 0
        
        # 벡터 내적과 크기 계산
        dot_product = sum(prefs1[genre] * prefs2[genre] for genre in common_genres)
        norm1 = sum(prefs1[genre] ** 2 for genre in common_genres) ** 0.5
        norm2 = sum(prefs2[genre] ** 2 for genre in common_genres) ** 0.5
        
        if norm1 == 0 or norm2 == 0:
            return 0
        
        return dot_product / (norm1 * norm2)
    
    def _get_popular_content(self):
        """
        인기 콘텐츠 조회 (신규 사용자용)
        """
        return [f"popular_content_{i}" for i in range(1, 11)]

# 실행 예시
if __name__ == "__main__":
    """
    Kappa Architecture 추천 엔진 실행
    모든 사용자 이벤트를 실시간 스트림으로 처리하여 즉시 추천 업데이트
    """
    engine = KappaRecommendationEngine()
    
    # 실시간 이벤트 스트림 처리 시작
    print("Starting Kappa Recommendation Engine…")
    print("Processing real-time user events…")
    
    engine.process_event_stream()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 요소설명권장 사항
아키텍처 설계데이터 파티셔닝 전략파티셔닝 키에 따라 처리 성능, 데이터 균형, 핫스팟 여부가 결정됨사용자 ID, 지역 기반 파티셔닝 및 파티션 수 정기 검토
확장성 보장데이터 증가, 트래픽 폭주 등 유동적 변화 대응을 위한 수평 확장 설계 필요분산형 컴포넌트 도입 (Kafka, Flink 등), 무중단 확장 고려
일관성 유지스트림과 배치 처리 간의 데이터 불일치 방지이벤트 타임 병합 전략, timestamp 기준 동기화
기술 선택스트림 처리 엔진 선정처리 복잡도와 언어 생태계에 맞는 엔진 선택 필요 (Flink, Faust 등)상태 기반은 Flink, Python 은 Faust, 지연 최소화는 Storm
데이터 저장소 구성상태 저장 및 서빙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지속성/쿼리 응답 시간 고려RocksDB, HBase, Cassandra 등 역할 기반 분리
데이터 관리스키마 진화 및 호환성 관리데이터 구조 변경 시 이전 메시지와의 호환성 문제 발생 가능Avro/Protobuf + Schema Registry 활용
오프셋 관리 및 재처리 고려재처리나 복구 시 잘못된 오프셋 처리로 데이터 손실/중복 발생 가능CI/CD 에 오프셋 설정 포함, Replay 전략 문서화
성능 최적화Backpressure 대응처리 지연, 큐 포화로 인한 시스템 병목 가능성버퍼 조절, 플로우 제어, 비동기 처리
마이크로 배치 및 병렬도 조정성능과 지연의 균형을 위한 처리 단위와 병렬도 조율 필요Flink 의 parallelism, Spark 의 batchInterval 등 튜닝
운영 관리모니터링 지표 설계 및 시각화처리 지연, 처리량, 오류율 등 핵심 지표의 실시간 추적 필요Prometheus + Grafana, Kafka Exporter, Flink Dashboard
장애 대응 전략상태 저장/복원, 메시지 유실 방지, 재시작 로직 등 장애 대비 필요정기 Checkpoint, Savepoint, 리트라이 및 DLQ 구성
보안 및 거버넌스데이터 보안 및 접근 통제실시간 스트림에도 전송 중 암호화 및 권한 제어가 요구됨TLS 암호화, RBAC 적용, 민감 정보 필터링
비용 관리인프라 사용 최적화스트리밍 환경은 비용이 빠르게 증가하므로 효율적 리소스 관리 필요Auto Scaling, 저장소 Tiering, 비용 알림 설정

실제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전략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최적화 항목설명권장사항
1. 처리 성능 최적화병렬 처리 구조데이터 볼륨 증가에 대비한 동시 처리 구조 확보파티션 수 확장, 태스크 병렬성 조정, 키 기반 파티셔닝
이벤트 크기 제한너무 큰 메시지는 처리 병목 유발Binary 포맷 활용, 적절한 chunking
지연 시간 최소화실시간성 보장을 위한 처리 속도 향상조기 트리거 설정, 윈도우 최적화, 워터마크 튜닝
2. 메모리 및 상태 관리상태 저장소 비용 최적화Stateful 처리에서 메모리·디스크 과다 사용 방지RocksDB 튜닝, TTL 설정, 외부 상태 backend 활용
윈도우/조인 최적화집계·조인 시 과도한 상태 데이터 발생 가능성적절한 윈도우 크기, 조기 폐기 정책 설정
3. 네트워크 및 메시징 최적화네트워크 전송 효율화메시지량 증가 시 네트워크 병목 발생 가능메시지 배칭, 압축, 네트워크 버퍼 조정
메시지 순서 보장순서가 중요한 이벤트 흐름에서 정확한 처리 필요고유 키 기반 파티셔닝 (e.g. user_id, device_id)
4. 저장소 효율화계층형 스토리지 적용핫/콜드 데이터에 따라 스토리지 비용과 접근 성능을 조절SSD + 객체 스토리지 조합, S3 Tier 활용
로그 보존 기간 최적화장기 보존 시 스토리지 비용 증가정책 기반 보존 기간 설정, Archive Storage 활용
5. 리소스 및 확장성 관리수평 확장 구조 설계스케일 아웃 기반 아키텍처 확보상태 비공유 설계,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Kubernetes 적용
리소스 자동화과다/과소 할당 방지오토스케일링, 우선순위 기반 자원 조정
6. 장애 복구 및 재처리재처리 병렬성리플레이 시 느린 병렬성은 복구 지연 유발스트림 태스크 병렬 분산, 파티션 수 증가
체크포인트 최적화상태 저장 비용과 복구 시간 간 균형Checkpoint 주기 조정, 디스크/메모리 사용 최적화
7. 품질 및 신뢰성 보장데이터 검증 강화이상 데이터는 다운스트림 오류를 유발스키마 검증, 이상 탐지, 데이터 프로파일링 도입
테스트 및 배포 안정성전체 파이프라인의 회귀 및 품질 보장자동화 테스트, 블루그린/카나리 배포 적용
8. 운영 자동화 및 DevOpsCI/CD 자동화코드와 인프라의 안정적 관리파이프라인 자동화, GitOps, IaC 도구 사용
관측 가능성 확보운영 지표 기반 이상 탐지 및 대응Prometheus, Grafana, 로그/트레이싱 통합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핵심 항목설명
1. 아키텍처 & 구조Lambda / Kappa Architecture배치 + 실시간 또는 스트림 단일 경로데이터 처리 복잡도, 일관성, 확장성 측면에서 아키텍처 선택의 핵심
Event Sourcing상태를 이벤트로 저장변경 이력 추적 가능, 재생 및 감사 용이
CQRS명령과 조회의 책임 분리성능 최적화, 읽기/쓰기 스케일 분리
Pipe-and-Filter데이터 처리 단계 분리 구조구성요소 간 느슨한 결합과 유연성 제공
2. 메시징 및 로그 시스템Kafka, PulsarImmutable Log 기반 메시징 플랫폼순차 기록 및 로그 기반 재처리 구조 제공
Tiered Storage계층적 스토리지 구조콜드/핫 스토리지 분리로 비용 최적화
3. 스트림 처리 엔진Apache Flink, FaustStateful Stream Processing윈도우 집계, 세션 상태 유지, 정확성 높은 실시간 분석
ksqlDB, Flink SQLSQL 기반 스트림 처리코드 복잡도 감소, 운영 일관성 향상
4. 운영 및 DevOpsReplay MechanismCI/CD 와 통합된 재처리 체계배포 후 로직 변경 시 오프셋 초기화 등 자동화
Schema Registry데이터 스키마 버전 관리 및 호환성 보장데이터 진화 및 오류 최소화 지원
Monitoring & Observability계층별 상태 추적, 지표 수집Prometheus, Grafana 등 활용
5. 데이터 일관성 및 보증Exactly-Once Semantics메시지 중복 없이 한 번만 처리 보장재처리 시 데이터 정합성 확보에 필수
Checkpointing상태 저장 지점장애 복구, 스트림 처리 연속성 보장
6. 성능 최적화 및 확장성Partitioning파티션 기반 병렬 처리 구조처리량 증대, 스케일 아웃 대응
Backpressure처리율 불균형 제어스트림 파이프라인 안정성 유지
7. 보안 및 인증Zero Trust Architecture기본 불신 기반의 보안 모델모든 접근과 흐름을 검증하며 신뢰 최소화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기초 개념Stream Processing연속 스트림 처리 원리실시간 데이터 흐름을 처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
Event-Driven Architecture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구조시스템 간 비동기 이벤트 중심 통신 방식
핵심 기술Apache KafkaTopic, Partition, Offset, 로그 리플레이메시지 기반 실시간 데이터 처리 플랫폼
Apache Flink / SparkWindow, Checkpoint, 상태 처리실시간 처리 엔진의 시간 기반 집계 및 장애 복구
설계 패턴Microservices서비스 분해 및 경계 정의서비스 단위로 시스템 분할 설계
Saga Pattern분산 트랜잭션 처리분산 환경에서 일관성 있는 트랜잭션 처리 패턴
Exactly-Once Semantics중복 없이 한 번 처리 보장정확한 결과를 보장하는 메시지 처리 방식
데이터 관리Schema Registry스키마 저장 및 진화 관리메시지 스키마의 호환성 및 변경 관리 전략
Data Versioning스키마 및 메시지 버전 관리데이터 형식 변경 시 호환성 확보
성능 최적화Partitioning Strategy파티셔닝 및 병렬 처리 구조 설계처리량 향상과 핫스팟 방지
Backpressure Handling시스템 과부하 제어유입량 제어를 통한 안정성 확보
Replay Cost Optimization재처리 비용 고려로그 기반 재처리 시 리소스 소비 최소화
운영 관리Monitoring & ObservabilityLag, Throughput, Consumer Lag성능 지표 수집 및 SLA 모니터링
DevOps Practices배포 자동화, 인프라 관리지속적 통합 및 배포 전략 (CI/CD)
실무 요소Fault ToleranceCheckpoint / Savepoint장애 시 상태 복원 메커니즘
Lambda vs Kappa Architecture아키텍처 비교 분석배치 중심과 스트림 중심의 설계 차이 이해
Distributed StorageHBase, Cassandra고성능 분산형 저장소 설계와 활용
Visualization ToolsPrometheus, Grafana실시간 모니터링 및 알림 설정 도구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 패턴Lambda Architecture배치 처리와 스트림 처리를 이중 경로로 결합하여 데이터 일관성과 실시간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아키텍처
Kappa Architecture모든 데이터 처리를 스트림 방식으로 통합한 단일 경로 아키텍처, 설계 단순성과 실시간성에 초점
Event Sourcing시스템의 모든 상태 변화를 이벤트로 기록하여 상태를 재구성하는 저장 방식
데이터 처리 방식Batch Processing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모아서 일괄 처리하는 방식, 정확성에 유리
Stream Processing데이터가 발생하는 즉시 처리하는 방식, 실시간성과 지연 최소화에 초점
Exactly-Once Semantics메시지가 단 한 번만 처리되도록 보장하는 처리 보증 모델
저장 구조 및 로그Append-Only Log (Immutable Log)기존 데이터를 수정하지 않고 끝에만 추가하는 불변 데이터 저장 방식 (예: Kafka Log)
Event Log시간 순서대로 발생한 이벤트를 기록한 로그, 상태 재생에 활용됨
Replay로그에 기록된 이벤트를 다시 읽어 처리 로직을 재실행하는 기법
메시징 시스템Message Queue비동기적으로 메시지를 저장·전달하는 시스템 구조
OffsetKafka 등에서 소비자가 읽은 메시지의 위치를 추적하는 포인터
상태 관리 및 복구Checkpointing스트림 처리 도중 시스템 상태를 주기적으로 저장하여 장애 발생 시 복구에 활용
State Management스트림 처리 중 발생하는 중간 상태 값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메커니즘
스키마 및 호환성Schema Registry메시지 포맷 (스키마) 의 버전 관리 및 호환성 보장을 위한 중앙 서비스
성능 최적화Backpressure데이터 소비 속도가 느릴 때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흐름 제어 기법
Partitioning데이터를 키 또는 범위에 따라 여러 파티션으로 나눠 병렬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략
시간 기반 처리Watermark스트림 처리에서 지연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현재 이벤트 시간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
Windowing스트림 데이터를 시간이나 수량 단위로 나누어 집계 및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
실행 엔진 및 플랫폼Apache Kafka고성능 분산 메시징 및 로그 저장 플랫폼으로, 스트림 처리와 이벤트 기반 시스템에서 중심 역할 수행
Apache Flink이벤트 기반 스트림/배치 통합 처리 엔진, 상태 기반 처리를 강점으로 가짐
Apache Storm실시간 스트림 처리용 경량 분산 처리 프레임워크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