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Flow Architecture
Data-Flow Architecture 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데이터 변환의 연속으로 모델링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Batch Sequential, Pipe-and-Filter, Process Control 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다른 실행 방식과 적용 영역을 갖는다. 이 아키텍처는 높은 모듈성, 재사용성, 병렬처리 가능성을 제공하지만 동적 상호작용과 상태 공유에 제약이 있다. 현대의 빅데이터 처리, 실시간 스트림 분석,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배경
- 역사적 맥락: 1970 년대, 전통적 von Neumann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병렬성 (parallelism) 과 데이터 주도 실행 (data-driven execution) 을 강조한 Data‑Flow 구조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쪽에서 연구됨.
- 이론적 기반: 태그된 토큰 (tagged-token) 과 정적인 데이터 흐름 그래프 (static dataflow graph) 를 이용한 동적 데이터 흐름 모델이 적용됨.
목적 및 필요성
- 모듈성 향상: 각 변환 단계를 독립적인 모듈로 분리하여 재사용성 극대화
- 확장성 제공: 새로운 필터 추가나 기존 필터 수정 시 다른 구성요소에 최소한의 영향
- 병렬 처리 지원: 독립적인 필터들의 동시 실행으로 성능 향상
- 유지보수성 개선: 각 단계별 독립적인 테스트와 디버깅 가능
핵심 개념
Data-Flow Architecture는 시스템을 데이터의 흐름 중심으로 구성하며, 각 연산 단위를 모듈화하여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연결하는 구조이다.
주요 구현 방식에는 Batch Sequential
, Pipe-and-Filter
, Process Control
이 있으며, 데이터 파이프라인, 스트리밍 처리, IoT, ETL 시스템 등 실무 전반에 널리 활용된다.
기본 개념
항목 | 설명 |
---|---|
데이터 중심 구동 | 연산 순서가 고정되지 않고, 데이터의 도착에 따라 실행 흐름이 결정됨 |
Pipe-and-Filter 패턴 | 데이터 처리 필터들이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흐름을 구성 |
Batch Sequential | 순차적인 배치 처리 기반 구성: 이전 모듈이 끝나야 다음 단계 실행 |
Process Control | 제어 로직 분리 및 제어 루프 구성 (제어 유닛 ↔ 처리 유닛 분리) |
모듈 병렬성 | 각 필터 (모듈) 는 독립적이고 병렬적으로 실행 가능 |
이론적 관점
항목 | 설명 |
---|---|
데이터 중심 설계 | 시스템 주요 설계 단위가 기능보다 데이터 흐름에 집중됨 |
컴포넌트 독립성 | 각 필터는 입력 → 처리 → 출력의 독립적 실행 단위를 형성 |
비동기 처리 지원 | 각 컴포넌트는 이벤트/데이터 도착 즉시 처리, 전체 시스템은 비동기적으로 작동 |
실무적 관점
항목 | 설명 |
---|---|
확장성 | 필터 단위로 구성되어, 새로운 처리 로직 추가/교체가 쉬움 |
재사용성 | 각 필터는 독립적으로 개발 및 테스트 가능 |
분산 처리 | 필터 단위로 멀티노드에 분산 배치 가능 |
스트리밍 적합성 | 실시간 분석 및 데이터 스트리밍 환경에 최적화됨 |
아키텍처 유형별 상세 특징
Batch Sequential
요소 | 설명 |
---|---|
배치 처리 |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묶어 순차적으로 처리 |
순차 실행 | 완료 → 다음 단계 방식의 단방향 흐름 |
Pipe-and-Filter
요소 | 설명 |
---|---|
파이프 | 데이터 이동 경로 역할 (필터 간 연결) |
필터 | 입력 → 처리 → 출력 수행하는 모듈 |
스트림 처리 | 데이터 스트림이 필터 체인을 통해 실시간 처리됨 |
Process Control
요소 | 설명 |
---|---|
제어 변수 | 시스템 상태를 제어하는 파라미터 |
피드백 루프 | 출력이 다시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순환 구조 (제어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됨) |
실무 구현 연관성 및 적용 기술
영역 | 설명 |
---|---|
ETL/ELT 파이프라인 | Pipe-and-Filter 패턴 기반으로 모듈화된 데이터 전처리 구성 |
Kafka / Flink / Spark Streaming | Stream Processing 기반의 실시간 파이프라인 처리 구조 |
IoT 제어 시스템 | Process Control 패턴 활용하여 센서 제어/모니터링 구성 |
데이터 파이프라인 일반 | 데이터 중심 흐름을 설계하여 확장성과 유지보수 용이성 확보 |
성능 및 운영 관점의 주요 개념
항목 | 설명 |
---|---|
병렬 처리 | 여러 필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처리량 (throughput) 향상 |
파이프라이닝 | 각 필터가 동시다발적으로 다른 데이터 세트를 처리 |
백프레셔 (Backpressure) |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로 인한 압력 조정 메커니즘 |
오류 격리 | 각 필터에서 발생한 오류는 독립적으로 처리 가능 |
데이터 형식 표준화 | 필터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공통 포맷 유지 필요 |
상태 관리 | Stateless 설계 권장되며, 필요 시 상태 공유 전략 설계 필요 |
주요 기능 및 역할
graph LR A[입력 데이터] --> B[변환 모듈 1] B --> C[변환 모듈 2] C --> D[변환 모듈 3] D --> E[출력 데이터] F[제어 정보] --> B F --> C F --> D
주요 기능:
- 데이터 추출 및 수집
- 데이터 변환 및 정제
- 데이터 전송 및 라우팅
- 오류 검출 및 복구
- 성능 모니터링
특징
특징 | 설명 |
---|---|
데이터 중심성 | 데이터의 흐름이 시스템 구조를 결정 |
독립성 | 각 처리 단계가 독립적으로 동작 |
변환 지향 | 데이터의 점진적 변환에 중점 |
재사용성 | 필터의 다양한 조합으로 재사용 가능 |
확장성 | 필터 추가/제거를 통한 유연한 확장 |
핵심 원칙
- 단일 책임 원칙: 각 필터는 하나의 명확한 기능만 수행
- 데이터 무결성: 각 단계에서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 유지
- 느슨한 결합: 필터 간 최소한의 의존성 유지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모든 필터가 동일한 입출력 형식 사용
- 오류 격리: 한 필터의 오류가 다른 필터에 전파되지 않도록 격리
주요 원리
- Pipe-and-Filter: 입력이 연속적으로 필터를 통과하며 처리됨.
- Batch Sequential: 일괄 순차 처리 방식.
- Process Control: 제어 유닛 분리, 실시간 제어 시스템에 적합.
- Stream Processing: 도착한 데이터를 바로 처리하는 방식.
- Idempotency: 필터 간 반복 실행에도 일관성을 보장해야 함.
flowchart TD subgraph "Batch Sequential" A1[배치 1] --> B1[처리 모듈 1] B1 --> C1[완료] C1 --> A2[배치 2] A2 --> B2[처리 모듈 2] B2 --> C2[완료] end subgraph "Pipe and Filter" D1[데이터 스트림] --> E1[필터 1] E1 --> F1[파이프 1] F1 --> E2[필터 2] E2 --> F2[파이프 2] F2 --> E3[필터 3] E3 --> G1[출력 스트림] end subgraph "Process Control" H1[제어 변수] --> I1[컨트롤러] I1 --> J1[처리 유닛] J1 --> K1[피드백] K1 --> I1 end
Batch Sequential 방식:
- 전체 데이터를 배치 단위로 분할
- 각 배치를 순차적으로 처리 모듈에 전달
- 이전 배치 처리 완료 후 다음 배치 시작
- 모든 배치 처리 완료 후 결과 통합
Pipe-and-Filter 방식:
- 데이터 스트림이 첫 번째 필터로 전달
- 각 필터가 데이터를 변환하여 파이프로 출력
- 파이프가 데이터를 다음 필터로 전송
- 모든 필터 처리 완료 후 최종 결과 생성
Process Control 방식:
- 제어 변수가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
- 컨트롤러가 현재 상태와 목표 상태 비교
- 처리 유닛이 필요한 조정 작업 수행
- 피드백을 통해 결과를 컨트롤러로 전달
작동 원리 및 주요 원리
flowchart LR A["데이터 소스 (Pump)"] subgraph Pipeline F1[Filter 1] --> F2[Filter 2] --> F3[Filter 3] end A --> Pipeline --> B(데이터 싱크)
- Pipe: 필터 간 데이터 전송용 버퍼 채널.
- Filter: 변환 수행, 무상태 (stateless) 또는 상태 공유 가능.
- Pump & Sink: 데이터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입출력 엔티티.
- Token 기반 실행: 각 필터는 입력 토큰이 도착해야 활성화됨.
- 병렬 실행: 필터 인스턴스를 병렬로 확장 가능.
구조 및 아키텍처
Data-Flow Architecture 의 전체 구조:
graph TB subgraph "Data Flow Architecture" subgraph "입력 계층" A[데이터 소스 1] B[데이터 소스 2] C[데이터 소스 N] end subgraph "처리 계층" D[추출 필터] E[변환 필터] F[정제 필터] G[집계 필터] end subgraph "전송 계층" H[파이프 1] I[파이프 2] J[파이프 3] end subgraph "출력 계층" K[데이터 웨어하우스] L[데이터 레이크] M[실시간 대시보드] end A --> D B --> D C --> D D --> H H --> E E --> I I --> F F --> J J --> G G --> K G --> L G --> M end
구성 요소
구분 | 구성요소 | 기능 | 역할 | 특징 |
---|---|---|---|---|
필수 | 데이터 소스 (Data Source) | 데이터 생성 및 제공 | 시스템의 입력점 역할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지원 |
필터 (Filter) | 데이터 처리 및 변환 | 핵심 비즈니스 로직 수행 |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 | |
파이프 (Pipe) | 데이터 전송 | 필터 간 데이터 연결 | 버퍼링 및 동기화 제공 | |
데이터 싱크 (Data Sink) | 최종 결과 저장 | 시스템의 출력점 역할 | 다양한 저장 형식 지원 | |
선택 | 모니터링 시스템 | 성능 및 상태 감시 | 시스템 안정성 보장 | 실시간 알림 및 로깅 |
오류 처리기 | 예외 상황 처리 | 시스템 복원력 향상 | 자동 복구 및 재시도 | |
캐시 시스템 | 임시 데이터 저장 | 성능 최적화 | 빠른 데이터 접근 | |
스케줄러 | 배치 작업 관리 | 자동화된 실행 제어 | 시간 기반 트리거 |
구현 기법
카테고리 | 구현 기법 | 핵심 개념 / 정의 | 주요 도구·기술 | 주요 목적 | 대표 실전 사례 | 장·단점 요약 |
---|---|---|---|---|---|---|
처리 모델 (Processing Models) | Batch Processing | 일정 주기마다 대량 데이터를 일괄 처리 | Apache Spark, Hadoop, Airflow | 대용량 ETL·집계 | 자정 전날 트랜잭션 ETL | ✔ 대량·복잡 계산 최적 ✘ 지연 (latency) 큼 |
Stream Processing | 데이터 도착 즉시 실시간 처리 | Kafka/Flink, Kinesis, Spark Structured Streaming | 실시간 분석·경보 | IoT 센서 실시간 집계 | ✔ 저지연·즉각 대응 ✘ 처리 순서·정확도 관리 필요 | |
Micro‑Batch (Spark Streaming 등) | 수초 단위 미니 배치로 실시간성↑·모델 단순화 | Spark, Storm Trident | near‑real‑time ETL | 실시간 IoT 로그 정제 | ✔ 모델·코드 재사용 ↑ ✘ 완전 실시간 대비 약간 지연 | |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 Lambda Architecture | Batch + Speed Layer 이중 파이프라인 | Hadoop (Spark) + Flink/Kafka | 정확성 + 즉시성 | 추천 엔진 재계산 | ✔ 정밀·실시간 균형 ✘ 이중 코드, 운용 복잡 |
Kappa Architecture | 스트림 단일 레이어로 재처리까지 해결 | Kafka + Flink | 단순성·재처리 용이 | 실시간 로그 플랫폼 | ✔ 단일 코드 기반 ✘ 과거 데이터 재처리 비용 ↑ | |
오케스트레이션 & 워크플로 | Workflow Orchestration | DAG 기반 작업 순서·의존성·재시도 관리 | Airflow, Dagster, NiFi, AWS Step Functions | 파이프라인 자동화·운영 | 종속성 많은 ETL DAG | ✔ 리트라이·모니터링 내장 ✘ 운용 메타스토어 필요 |
실행 모델 (Execution Models) | Token‑Based / Data‑Driven | 토큰 (데이터) 도착이 연산 트리거 → 자연 병렬 | TStreams, StreamC, Google Dataflow SDK | 코어 병렬 알고리즘·DSP | FPGA/DSP 데이터플로 컴파일 | ✔ 최대 병렬도 ✘ 디버깅 난이도 |
Process Control | 제어 루프·피드백 기반 데이터‑제어 분리 | PLC, SCADA, ROS2 | IoT·산업 제어 | 공정 자동화, 로봇 제어 | ✔ 실시간 안전제어 ✘ 하드 RT 보장 필요 | |
인프라 & 통신 | Event‑Driven Microservices | 각 단계 독립 서비스 + 메시지 브로커 | gRPC/REST + Kafka, NATS | 독립 배포·스케일 | 주문/결제 이벤트 파이프라인 | ✔ 팀 단위 자율성 ↑ ✘ 관측성·계약 관리 필수 |
운영 보조 기술 | Backpressure & Flow‑Control | 필터 간 속도 차를 제어해 버퍼 폭주 방지 | Reactive Streams, Flink Watermarks | 시스템 안정성 | 대용량 로그 스트림 | ✔ 메모리 보호 ✘ 조정 파라미터 복잡 |
State Management | 무상태 권장, 필요 시 외부 상태 저장소 | RocksDB, Redis, Flink State | 정확한 계산/재시작 | 세션 윈도 집계 | ✔ 정확도 ↑ ✘ 상태 크기·복제 비용 |
Batch Processing (Apache Spark 활용)
예시: PySpark 를 활용한 일괄 ETL 처리
|
|
- 설명: 주기적으로 (raw → clean → transform) 수행되며,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됨.
Stream Processing (Kafka + Flink 기반)
예시: Java + Flink 기반 실시간 스트림 처리
|
|
- 설명: Kafka 토픽을 실시간으로 소비 → 조건 필터링/변환 → 새 토픽에 발행.
Hybrid (Lambda / Kappa Architectures)
Lambda Architecture 예시:
- Batch layer: Spark 배치 작업
- Speed layer: Flink 를 이용한 실시간 보강
- Serving layer: 합쳐진 결과 제공
Kappa Architecture 예시:
- 모든 데이터 흐름을 Kafka 스트림으로 처리, 재처리 시 재입력 및 다시 소비
- 중복 처리를 피하면서 단일 코드베이스 유지 가능.
Workflow Orchestration (Airflow DAG 예시)
|
|
- 설명: DAG 기반 배치 연동 & 에러 및 재시도 제어 관리.
Token-Based / Data‑Driven Execution
- 예시 도구: TStreams, StreamC, Google Dataflow SDK
- 설명: 데이터 (토큰) 유입 시 직접 트리거되어 병렬 처리 진행. ↳ DSP 나 파이프라인 구현에 유용.
Process Control (산업 & IoT 시스템)
- 예시: ROS2 기반 토픽/노드 구조 또는 PLC/SCADA 피드백 루프
- 설명: 센서 입력에 따라 실시간 제어 루프 수행. 산업 자동화, 로봇 제어에 적합.
Event‑Driven Microservices (Kafka + Microservices)
- 설명:
- 이벤트 발행: 서비스 1 → Kafka
- 서비스 2 → 소비 → 처리 → Kafka/postgres 저장
- 사례: 주문속성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파이프라인
Backpressure & State Management
예시 (Flink SQL):
- Time-window aggregation + watermarks 설정
- Kafka 스트림에서 윈도우 기반 집계 시 지연 및 backlog 조절
설명: 정확한 stateful 처리와 안정적 streaming 을 위한 핵심 기술.
장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기여 요인 |
---|---|---|---|
설계적 가치 | 낮은 결합도 | 필터 간 인터페이스 최소화로 각 컴포넌트가 독립적으로 동작 | 흐름 중심 설계, 명확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
모듈화 | 각 필터는 독립적으로 개발·테스트·배포 가능 | 컴포넌트 독립성 | |
유연한 확장성 | 새로운 필터의 삽입/삭제/교체가 용이하며 시스템 기능 확장에 유리 | 느슨한 결합 구조, 단방향 흐름 기반 | |
운영적 효율성 | 병렬 처리 가능 | 독립적인 필터를 멀티스레드 또는 분산 환경에서 병렬 처리 가능 | 병렬성 설계, 비동기 실행 기반 |
고처리량 처리 | 모듈 단위로 최적화 및 부하 분산 가능,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 | 비동기/스트리밍 처리 구조 | |
유연한 실행 모델 | 배치 처리와 스트리밍 처리 방식 모두 지원 가능 | 파이프라인 흐름에 기반한 유연한 제어 | |
개발 생산성 | 재사용성 | 동일 필터 로직을 여러 워크플로우 또는 시스템 간에 공유 가능 | 컴포넌트화된 필터 구조 |
유지보수 용이성 | 문제 발생 시 해당 필터만 수정/대체 가능, 영향 범위 최소화 | 모듈화된 구조, 필터 단위 테스트 용이성 | |
디버깅 및 검증 용이성 | 각 단계에서 데이터 로깅, 검증 포인트 설정 가능 → 오류 추적 및 분석에 유리 | 파이프라인 구성의 투명성, 필터별 데이터 관찰 가능 | |
테스트 용이성 | 유닛 단위 테스트가 가능하여 CI/CD 파이프라인과 통합에 유리 | 단일 책임 원칙, 독립 컴포넌트 구성 |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카테고리 | 항목 | 설명 | 대표 해결 방안 |
---|---|---|---|
구조적 복잡성 | 흐름 제어의 복잡성 | 조건 분기, 병합, 이벤트 기반 흐름이 복잡하게 설계됨 | 조건 라우팅 필터, Flow Controller 도입 |
상호작용 제한 | 동적 상호작용 제약 | 필터 간 동기식 호출, 상태 공유가 어려움 | 메시지 브로커 (예: Kafka), 상태 저장소 (Redis 등) 활용 |
유지보수 비용 | 파이프라인 확장 시 관리 비용 증가 | 대형 파이프라인은 필터 수 증가로 복잡해지고 디버깅 난이도 상승 | 모듈화된 관리 도구 (Airflow, NiFi), 분리된 필터 디버깅 도입 |
상태 관리 한계 | 상태 보존이 어려움 | 무상태 구조로 인해 이벤트 순서 보장, 세션 상태 관리가 복잡 | 체크포인트, 이벤트 소싱, 상태 저장 스토어 (State Store) 사용 |
성능 문제 | 직렬화/파싱 오버헤드 | 파이프 간 메시지 전달에서 직렬화 비용이 누적되어 전체 처리 성능 저하 가능 | Protobuf, Apache Arrow 등 경량 포맷 적용 |
데이터 형식 문제 | 필터 간 호환성 문제 | 포맷/스키마 불일치 시 예외 발생 및 처리 실패 가능 |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사용 (Avro, JSON Schema), 어댑터 패턴 적용 |
문제점
카테고리 | 문제 항목 | 원인 | 영향 | 탐지 및 진단 | 예방 방법 | 해결 방법 및 기법 |
---|---|---|---|---|---|---|
신뢰성 문제 | 데이터 유실 | 파이프 오류, ACK 미수신, 예외 누락 | 분석 오류, 불완전한 결과 생성 | 로그 모니터링, ACK 확인 | Retry/ACK 시스템 연동 | DLQ(Dead Letter Queue), 재처리 로직 구현 |
정확도 문제 | 데이터 중복 | 배치 - 스트림 중복 적재, 필터 재시도 미처리 | 결과 왜곡, 비용 증가 | 중복 Key 확인, 해시/타임스탬프 추적 | Idempotent 설계, 중복 감지 파이프라인 설정 | SCD2 전략, Dedup 필터 적용 |
성능 문제 | 필터 병목 | 특정 필터만 느린 처리 속도로 전체 흐름 지연 | 파이프라인 처리 속도 저하 | 큐 길이, 처리 시간 모니터링 | 동시성 확장, 병렬 분산 설계 | Auto-scaling, 필터 리팩토링 |
안정성 문제 | 장애 전파 | 하나의 필터 오류가 전체 흐름을 차단 | 전체 시스템 중단 | 헬스 체크, SLA 모니터링 | 회로 차단기 (Circuit Breaker), 필터 격리 | 롤백, 대체 경로 우회 (Retry Path) |
자원 문제 | 메모리 누수 | 장시간 실행 시 GC 실패, 큐 누적, 캐시 미해제 | 시스템 다운, GC Overhead 상승 | Heap/GC 추적, 리소스 누수 탐지 | 정기적 풀링 사용, 메모리 스냅샷 검증 | 가비지 컬렉션 튜닝, 필터 내 메모리 해제 패턴 적용 |
일관성 문제 | 데이터 일관성 저하 | 필터 간 비동기 처리, 버전 불일치, 분산 동시성 이슈 | 비일관성 결과, 데이터 정합성 상실 | 체크섬 검증, 이벤트 순서 추적 | 버전 태깅, 트랜잭션 경계 도입 | 이벤트 소싱, 분산 락, 옵저버블 패턴 적용 |
흐름 제어 문제 | Backpressure 현상 | 소비자 속도가 생산자를 따라가지 못해 큐/버퍼 초과 | 지연 증가, OOM 발생 위험 | 큐 길이, 처리률 모니터링 | 적응형 처리율 조절, 임계값 설정 | 백프레셔 제어 알고리즘 (Exponential Wait 등) 적용 |
도전 과제
카테고리 | 도전 과제 | 원인 | 영향 | 해결 방안 및 전략 |
---|---|---|---|---|
1. 성능 및 실시간성 | 대규모 실시간 처리 성능 저하 | 데이터량 증가, 병렬성 부족, 지연 발생 | 처리 병목, 실시간 분석 지연 | 스트림 처리 프레임워크 도입 (Flink, Spark Streaming), 인메모리 처리, GPU/FPGA 활용 |
정확도 vs 지연 트레이드오프 | Lambda 아키텍처의 중복 처리 및 지연 구조 | 정확도 희생 또는 응답 시간 지연 | Kappa 아키텍처 전환, 정교한 watermark 기반 처리 | |
2. 일관성 및 상태 관리 | 스트림 상태 불안정 및 체크포인팅 문제 | 상태 저장소 장애, 비결정적 처리 순서 | 데이터 손실, 재처리 실패, 재시작 불가 | 정확한 상태 백업 관리, RocksDB 또는 External State Store 활용 |
분산 환경 내 데이터 일관성 보장 | 다양한 노드/파티션에서 동시에 처리 | 결과 불일치, 중복 또는 유실 발생 | Exactly-once 보장, Kafka + Flink 상태 일관성 설정 | |
3. 데이터 품질 및 스키마 관리 | 다양한 소스와 스키마 진화 문제 | 형식이 상이한 이벤트, 비정형 데이터 증가 | 분석 정확도 하락, ML 모델 학습 실패 | 스키마 레지스트리 적용, JSON Schema/Avro 기반 유효성 검증 |
데이터 품질 저하 | 이상치, 누락, 중복 데이터 유입 | 잘못된 분석 결과, 비즈니스 오류 | 품질 필터 삽입, Great Expectations, 데이터 리니지 추적 | |
4. 흐름 제어 및 복잡성 | 복잡한 분기/병합 흐름 제어 | 다양한 조건 분기, 다중 토픽 조인, 유동적인 라우팅 구조 | 파이프라인 오류 발생, 관리 어려움 | DAG 기반 정의, 라우팅 룰 표준화, Flink SQL 등 고수준 DSL 활용 |
마이크로서비스 결합으로 인한 복잡성 | 서비스 간 데이터 교환 많고 흐름이 분산됨 | 디버깅/테스트/추적 어려움 | 서비스 메시 (Istio), Dapr, 메시지 지향 처리로 추상화 | |
5. 모니터링 및 디버깅 | 통합 모니터링 구성의 어려움 | 배치, 스트림, 서빙 간 이기종 시스템 존재 | 병목 탐지/장애 대응 지연 | Prometheus + Grafana, OpenTelemetry 기반 분산 추적 도입 |
디버깅/재현성 부족 | 상태 기반 처리에서 재현 어려움 | 장애 원인 분석 난이도 상승 | 리플레이 가능한 로그 저장, 이벤트 소싱 기반 재처리 구조 도입 | |
6. 거버넌스 및 규정 준수 | 데이터 리니지 추적 어려움 | 복잡한 파이프라인과 연계된 트랜스포머/모델 없음 | 데이터 흐름 불투명 → 감사 및 규제 대응 불가 | OpenLineage, Marquez 등 lineage 시스템 구축 |
7. 비용 및 자원 관리 | 리소스 중복 및 과소/과다 프로비저닝 | 멀티 파이프라인/컨슈머 중복 실행 | 클라우드 비용 폭증, CPU/MEM 낭비 | AutoScaler 설정, 워크로드 프로파일링, 버퍼 기반 트리거 조정 |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 분류 기준 | 유형 | 설명 | 주요 적용 분야 |
---|---|---|---|
1. 구조 구성 방식 | 직렬 구조 (Serial Flow) | 필터/모듈이 선형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단계별로 처리 | 단순 파이프라인, ETL, 로그 수집 |
병렬 구조 (Parallel Flow) | 여러 필터가 병렬로 데이터 처리 → 성능 향상과 처리량 증가 | 스트리밍 분석, 복잡한 분기 처리 | |
혼합 구조 (Hybrid Flow) | 직렬과 병렬 흐름이 혼합된 복합 처리 구조 | 대규모 데이터플로우 플랫폼, AI/ML 파이프라인 | |
2. 실행 및 처리 방식 | 배치 순차 처리 (Batch Sequential) | 일괄 수집 후 순차적으로 처리 (시간 지연 허용) | DWH, 정기 리포트,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파이프 - 필터 처리 (Pipe-and-Filter) | 필터 간 데이터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구조 | 실시간 로그 분석, 파이프라인 변환 처리 | |
피드백 제어 처리 (Process Control) |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 기반 구조 |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 자동화 시스템 | |
3. 데이터 처리 시점 | 실시간 (Real-time) | 데이터가 도착하는 즉시 처리, 초단위 이하 지연 허용 | 금융 거래, IoT 센서 데이터 처리 |
준실시간 (Near real-time) | 몇 초 ~ 몇 분 내 처리. 일정 지연 허용 | 추천 시스템, 이벤트 트리거, 알림 시스템 | |
배치 처리 (Batch) |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일괄 처리 | 보고서 생성, 백오피스 처리 | |
4. 처리 아키텍처 | Lambda Architecture | 배치 + 스트림을 병합한 이중 처리 경로 구조 |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로그 분석 시스템 |
Kappa Architecture | 스트리밍 중심 구조. 일관된 경로로 모든 데이터 처리 | 이벤트 중심 시스템, 실시간 분석 플랫폼 | |
Event-driven Architecture | 이벤트 발생을 기반으로 처리 트리거됨. 비동기 흐름에 적합 | 마이크로서비스, SOA, 알림 시스템 | |
5. 배포 및 환경 구성 | 단일 시스템 | 단일 머신/프로세스 상에서 데이터 흐름 처리 | 로컬 테스트, 임베디드 처리 |
분산 시스템 | 여러 머신에 필터/처리 노드가 분산 배치됨 | 클러스터 기반 실시간 스트리밍, MSA 환경 | |
컨테이너 기반 처리 | 각 필터/연산을 컨테이너화하여 분산 오케스트레이션 처리 | Kubernetes 기반 데이터 파이프라인 운영 |
실무 사용 예시
카테고리 | 주요 사례 | 사용 목적 | 함께 사용하는 기술/도구 | 기대 효과 및 특징 |
---|---|---|---|---|
데이터 처리 (ETL/ELT) | BI 파이프라인 구축 | 일 단위 데이터 집계, 클렌징, 변환 | Apache Airflow, Spark, dbt, Snowflake | 대용량 배치 처리, 유연한 스케줄링, 데이터 품질 확보 |
로그 데이터 적재 및 분석 | 실시간 로그 수집, 정규화, 지표 생성 | Kinesis, Kafka, Logstash, Elasticsearch, Athena | 실시간 분석 + 장기 저장 병행 처리 | |
실시간 스트리밍 | IoT 센서 모니터링 | 온도/습도/장비 이상 탐지 등 실시간 상태 감시 | Kafka, Apache Flink, InfluxDB | 지연 1 초 이하 경보 시스템, CEP 가능 |
사용자 행동 분석 | 클릭, 스크롤, 검색 로그 실시간 처리 및 세션 기반 분석 | Kafka, Flink, Redis Streams | 실시간 세션 분석, 마케팅 자동화 | |
멀티미디어 처리 | 이미지 및 비디오 처리 | 변환, 필터 적용, 포맷 변경 등 스트리밍 방식의 멀티미디어 파이프라인 구성 | GStreamer, FFmpeg, OpenCV | 저지연 변환, 병렬처리 기반 스트리밍 편집 |
컴파일러 | 컴파일 단계 구성 | 소스 코드 분석 → 중간 코드 생성 → 최적화 → 코드 생성 | Lexer, Parser, AST, Optimizer, LLVM | 각 단계 독립 구성, 최적화 재사용 용이 |
서버/네트워크 | 웹 서버 요청 처리 | 요청 → 필터 체인 → 응답 패턴의 흐름 기반 처리 | nginx, Apache, Express.js | 라우팅, 인증, 압축 등 모듈화된 HTTP 요청 흐름 |
추천 시스템 | 실시간/배치 하이브리드 추천 | 이벤트 기반 피드백 반영 + 주기적 전체 모델 재학습 | Kafka, Spark, Batch Job, Feature Store | 정밀도 향상, 최신성 유지 (Lambda Architecture 활용) |
시스템 자동화/유틸리티 | UNIX 파이프라인 처리 | 텍스트 변환, 로그 필터링, grep/sort/awk 등 쉘 기반 파이프 연산 | Bash, awk, sed, grep | 단순한 구성으로도 효율적인 흐름 처리 |
활용 사례
사례 1: 실시간 로그 분석 시스템
시스템 구성:
- 로그 수집 → 필터 (전처리) → 필터 (분석) → 필터 (알림) → 출력
Workflow:
graph LR A[로그 수집] --> B[전처리 필터] B --> C[분석 필터] C --> D[알림 필터] D --> E[출력]
- 로그는 수집 → 전처리 → 분석 → 알림 → 출력 순으로 흐르며, 각 필터는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역할:
- 각 필터는 로그를 전처리, 분석, 알림 등으로 처리.
차이점: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가 없으면 모듈화 및 확장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움.
사례 2: Lambda 아키텍처
시스템 구성:
- 스트림 계층: Kafka → Flink 에서 실시간 집계
- 배치 계층: 하루 단위 Spark ETL→ 데이터 웨어하우스
- 서빙 계층: Elasticsearch 와 BI 툴 (PowerBI 등)
워크플로우:
- 센서·운영 로그 → Kafka
- Flink 로 실시간 처리
- Spark 배치로 전체 재계산
- 결과 서빙 → Elasticsearch/BW
역할:
- 스트림 계층: 실시간 알람, 즉각 반응
- 배치 계층: 정확한 집계/재정렬
- 서빙 계층: 분석 요청 대응
접근 차이:
- 단일 스트림: 실시간성 우위, 정확도 낮음
- Lambda: 실시간 + 정확도 둘 다 향상
6.16 활용 사례
Netflix 의 실시간 추천 시스템
시스템 구성:
Netflix 는 사용자의 시청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제공하는 Data-Flow Architecture 를 구축했습니다.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
graph TB subgraph "Netflix 추천 시스템" A[사용자 이벤트] --> B[이벤트 수집기] B --> C[Apache Kafka] C --> D[스트림 처리 필터] D --> E[특성 추출 필터] E --> F[ML 모델 필터] F --> G[추천 결과 필터] G --> H[캐시 레이어] H --> I[사용자 인터페이스] J[배치 처리] --> K[모델 훈련] K --> F end
Workflow:
- 사용자의 클릭, 시청, 평가 등의 이벤트 실시간 수집
- Kafka 를 통한 이벤트 스트림 분산 처리
- 스트림 처리 필터에서 이벤트 정규화 및 정제
- 특성 추출 필터에서 사용자 선호도 특성 계산
- ML 모델 필터에서 개인화 추천 생성
- 추천 결과 필터에서 비즈니스 규칙 적용
- 캐시를 통한 빠른 응답 제공
Data-Flow Architecture 의 역할:
- 모듈성: 각 처리 단계를 독립적인 마이크로서비스로 구현
- 확장성: 트래픽 증가에 따른 개별 필터의 수평 확장
- 실시간성: 스트림 처리를 통한 즉시 추천 업데이트
- 재사용성: 다양한 추천 시나리오에 동일한 필터 재활용
Data-Flow Architecture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분 | Data-Flow Architecture 적용 | 전통적 아키텍처 |
---|---|---|
응답 시간 | 실시간 (< 100ms) | 배치 기반 (시간~일) |
확장성 | 개별 필터 독립 확장 | 전체 시스템 확장 필요 |
유지보수 | 모듈별 독립 수정 | 전체 시스템 영향 |
복구 능력 | 부분 장애 격리 | 전체 시스템 중단 |
개발 속도 | 병렬 개발 가능 | 순차 개발 필요 |
6.17 구현 예시
Netflix 추천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를 Python 으로 구현한 예시:
|
|
이 구현 예시는 Data-Flow Architecture 의 핵심 개념들을 보여줍니다:
- 필터 독립성: 각 필터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다른 필터의 내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음
- 파이프를 통한 연결: 비동기 큐를 사용하여 필터 간 데이터 전송
- 병렬 처리: 각 필터가 독립적인 태스크로 실행되어 병렬 처리 지원
- 확장성: 새로운 필터 추가나 기존 필터 수정이 용이
- 오류 격리: 한 필터의 오류가 다른 필터에 영향을 주지 않음
12. 구현 예시 (Python 코드 예시)
|
|
- 스트림에서는 이벤트 필터링·알람 처리
- 배치는 하루 단위 전체 데이터 집계
6.16. 구현 예시
Python 예시 (간단한 파이프라인):
|
|
설명:
각 필터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파이프라인 형태로 데이터가 흐릅니다.
7. 기타 사항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는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Event-Driven Architecture) 와 유사점이 많으나, 데이터 흐름에 더 초점을 둡니다.
- 실시간 데이터 처리, 분산 시스템, 데이터 파이프라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14. 적용 및 최적화 고려사항
카테고리 | 주의할 점 | 권장사항 |
---|---|---|
실무 적용 | 시스템 복잡 증가 | 단계별 구축 + 모니터링 자동화 |
데이터 호환성 | 스키마 명세, 계약 관리 (Confluent Schema Registry) | |
확장성 설계 | 필터별 독립 서비스 배포 | |
최적화 | 중복 방지 | Idempotent 정의/적용 |
배치 간격 조정 | 실시간성과 자원 비용 절충 | |
리소스 할당 | Auto-scaling, Spot 인스턴스 활용 |
6.18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사항 | 주의할 점 | 권장사항 |
---|---|---|---|
아키텍처 설계 | 필터 간 의존성 최소화 | 순환 의존성 발생 방지 | 의존성 그래프 작성 및 검토 |
성능 최적화 | 병목 지점 식별 및 해결 | 모든 필터를 동일하게 확장하지 말 것 | 성능 프로파일링 도구 활용 |
데이터 관리 | 표준화된 데이터 스키마 정의 | 스키마 변경 시 하위 호환성 고려 | 버전 관리 및 스키마 진화 전략 수립 |
오류 처리 | 각 필터별 오류 처리 로직 구현 | 오류 정보 손실 방지 | 구조화된 로깅 및 모니터링 |
모니터링 | 실시간 성능 지표 수집 | 과도한 모니터링으로 인한 성능 저하 | 핵심 지표에 집중한 모니터링 |
테스트 | 단위 테스트 및 통합 테스트 | 프로덕션 환경과의 차이 간과 | 테스트 환경의 프로덕션 환경 근사화 |
6.19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 | 고려사항 | 주의할 점 | 권장사항 |
---|---|---|---|
처리량 최적화 | 배치 크기 조정 | 너무 큰 배치로 인한 메모리 부족 | 동적 배치 크기 조정 알고리즘 |
지연시간 최적화 | 파이프 버퍼 크기 최적화 | 과도한 버퍼링으로 인한 메모리 사용량 증가 | 적응형 버퍼 관리 |
리소스 활용 | CPU 및 메모리 사용량 균형 | 특정 리소스의 과도한 사용 | 리소스 모니터링 및 자동 스케일링 |
네트워크 최적화 | 데이터 압축 및 직렬화 | 압축으로 인한 CPU 오버헤드 | 압축 비율과 성능의 균형점 찾기 |
캐싱 전략 | 중간 결과 캐싱 | 캐시 무효화 및 일관성 문제 | TTL 기반 캐시 및 이벤트 기반 무효화 |
확장성 | 수평 확장 설계 | 상태를 가진 필터의 확장 어려움 | 무상태 필터 설계 및 외부 상태 저장소 활용 |
8. 추가로 알아야 할 내용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차이점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에서의 에러 처리 및 복구 메커니즘
-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서의 성능 최적화 기법
9.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모듈화 | 각 필터는 독립적으로 개발·테스트·배포 가능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확장성 | 새로운 필터 추가 및 기존 필터 변경이 쉬움 |
실시간 처리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스트리밍 |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적합 |
분산 시스템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병렬 처리 | 여러 필터를 분산 환경에 배치하여 병렬 처리 |
17.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구조 | 패턴 | Pipe-and-Filter | 모듈 간 결합도를 낮추고 독립성을 높이는 핵심 아키텍처 스타일 |
성능 | 병렬성 | Token 기반 처리 | 데이터 기반으로 실행되어 자연스럽게 병렬 처리 가능 |
확장성 | 하이브리드 모델 | Lambda/Kappa | 정확성과 실시간성을 균형 있게 통합하는 구조 |
운영 | 오케스트레이션 | Airflow, NiFi | 복잡한 파이프라인 스케줄링 및 모니터링 자동화 |
품질 | Idempotency | 재실행 안정성 | 중복 실행에도 동일 결과 보장하는 안전한 처리 구조 |
보안 | 데이터 흐름 보안 | Encryption, Access Control | 파이프 전 구간의 데이터 보호와 접근 제어 |
7. 주제와 관련하여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최신 기술 | 클라우드 네이티브 | Kubernetes 기반 배포 | 컨테이너화된 필터의 자동 확장 및 관리 |
최신 기술 | 서버리스 아키텍처 | Function-as-a-Service | 이벤트 기반 필터 실행으로 비용 최적화 |
최신 기술 | 엣지 컴퓨팅 | 분산 데이터 처리 | 네트워크 지연 감소 및 대역폭 절약 |
AI/ML 통합 | 자동 최적화 | 머신러닝 기반 튜닝 | 실시간 성능 데이터 기반 자동 파라미터 조정 |
AI/ML 통합 | 지능형 라우팅 | 예측 기반 부하 분산 | 과거 패턴 분석을 통한 효율적 데이터 라우팅 |
보안 | 데이터 암호화 | 파이프라인 내 암호화 | 데이터 전송 및 저장 시 보안 강화 |
보안 | 접근 제어 | 필터별 권한 관리 | 세밀한 권한 제어를 통한 보안 강화 |
성능 | 백프레셔 제어 | 적응형 흐름 제어 | 처리 속도 차이에 따른 동적 조절 |
성능 | 지연 최적화 | 제로카피 데이터 전송 | 메모리 복사 없는 데이터 전달로 성능 향상 |
8.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기초 이론 | 아키텍처 패턴 | 파이프라인 패턴 | 데이터 변환 단계의 연결 방법 |
기초 이론 | 동시성 프로그래밍 | 비동기 처리 | 독립적 필터 실행을 위한 동시성 기법 |
기초 이론 | 데이터 구조 | 큐와 스트림 | 파이프 구현을 위한 기본 자료구조 |
구현 기술 | 메시지 큐 | Apache Kafka, RabbitMQ | 분산 파이프라인 구현을 위한 메시징 |
구현 기술 | 스트림 처리 | Apache Flink, Spark Streaming | 실시간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
구현 기술 | 컨테이너화 | Docker, Kubernetes | 필터의 독립적 배포 및 확장 |
모니터링 | 관찰가능성 | 로깅, 메트릭, 추적 | 분산 시스템의 상태 파악 |
모니터링 | 성능 측정 | 처리량, 지연시간 측정 | 시스템 성능 평가 지표 |
설계 원칙 | SOLID 원칙 | 단일 책임, 개방 - 폐쇄 | 유지보수 가능한 필터 설계 |
설계 원칙 | 분산 시스템 | CAP 정리, BASE | 분산 환경에서의 일관성 관리 |
18.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기본 원리 | Data‑Driven Execution | 데이터 도착에 따라 처리 순서 결정 | 전통적 제어 흐름과 구분되는 핵심 실행 모델 |
패턴 이해 | Batch Sequential / Stream Processing | 두 가지 주요 흐름 형태 | 유형별로 사용 시나리오와 장단점 다름 |
응용 기술 | Kafka, Spark, Flink | Data‑Flow 구현에 사용되는 실무 도구 | 스트림과 배치를 함께 다룰 수 있음 |
성능 관리 | Checkpointing & Replay | 중단 대비 복구 메커니즘 | 장애 발생 시 처리 재시작 기반 |
운영 도구 | Dagster / Airflow / NiFi | 워크플로우 구성 도구 | 실제 구현과 유지관리 시 필수 |
보안 및 감사 | Lineage / Data Contracts | 데이터 흐름 추적 및 정의 계약 | 데이터 신뢰성과 컴플라이언스 확보 |
10. 반드시 학습해야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파이프와 필터 | 데이터 흐름 중심의 설계 원리 |
실시간 처리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스트리밍 시스템 |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방법 |
분산 시스템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분산 처리 | 필터 분산 및 병렬 처리 기법 |
에러 처리 | 데이터 플로우 아키텍처 | 복구 메커니즘 | 데이터 손실 및 에러 처리 방법 |
15. 추가로 학습해야 할 내용
카테고리 | 주제 | 항목 | 설명 |
---|---|---|---|
Data Governance | Data Lineage | 출처 추적 | Data‑Flow 에서 lineage 구현 및 디버깅 이해 (en.wikipedia.org, geeksforgeeks.org, cs.cmu.edu) |
Fault Tolerance | Exactly-once 처리 | Idempotency & ACK | 스트림 중복·누락 제어 기법 이해 |
CI/CD | Pipeline 배포 자동화 | Terraform, Helm | 아키텍처 코드화 및 무중단 배포 |
Security | 데이터 보호 및 접근 제어 | Encryption, ACL | 파이프 전 구간 데이터 보안 설계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필터 (Filter) | 데이터를 변환 또는 처리하는 모듈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파이프 (Pipe) | 필터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채널 |
분산 시스템 | 분산 처리 (Distributed Processing) | 여러 시스템에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 |
실시간 처리 | 스트리밍 (Streaming) |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 및 전송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기본 개념 | Pipe‑and‑Filter |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작은 필터 컴포넌트를 지나며 처리되는 아키텍처 구조 |
기본 개념 | Batch Sequential | 배치 단위로 순차 처리되는 데이터 플로우 방식 |
기본 개념 | Process Control | 처리 유닛과 제어 유닛이 분리된 실시간 제어 중심 구조 |
관련 패턴 | Dataflow architecture | 자료 흐름에 따라 시스템 실행이 결정되는 컴퓨터 아키텍처 (airbyte.com) |
관련 패턴 | Stream Processing | 실시간 데이터 흐름 처리 모델, Pipe‑and‑Filter 기반 |
관련 패턴 | Lambda Architecture | 배치 + 스트림 결합 아키텍처 (airbyte.com) |
16.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아키텍처 | Batch Sequential | 배치 단위로 순차 처리하는 Data‑Flow 형태 |
아키텍처 | Pipe-and-Filter | 필터 컴포넌트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해 데이터 처리 |
아키텍처 | Process Control | 제어 장치와 처리 유닛을 분리한 실시간 제어 구조 |
모델 | Lambda Architecture | 배치 + 스트림 병행 모델로 정확도와 실시간성 보장 |
모델 | Kappa Architecture | 스트림 중심 단일 모델, 스트림 및 리플레이 수행 |
개념 | Idempotency | 중복 실행되어도 결과 동일한 처리 특성 |
도구 | Orchestration | 파이프라인 작업 스케줄링 및 종속성 관리 도구 |
용어 정리
카테고리 | 용어 | 설명 |
---|---|---|
핵심 개념 | 필터 (Filter) |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독립적인 처리 단위 |
핵심 개념 | 파이프 (Pipe) | 필터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연결체 또는 채널 |
핵심 개념 | 데이터 싱크 (Data Sink) | 파이프라인의 최종 출력을 받는 목적지 |
핵심 개념 | 데이터 소스 (Data Source) | 파이프라인의 입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원천 |
처리 방식 | 백프레셔 (Backpressure) | 하위 구성요소의 처리 속도가 느려 상위로 압박이 전달되는 현상 |
처리 방식 | 파이프라이닝 (Pipelining) | 여러 처리 단계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 |
처리 방식 | 스트림 처리 (Stream Processing) | 연속적으로 유입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방식 |
처리 방식 | 배치 처리 (Batch Processing) |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방식 |
아키텍처 | 람다 아키텍처 (Lambda Architecture) | 배치와 스트림 처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아키텍처 |
아키�ecture | 카파 아키텍처 (Kappa Architecture) | 스트림 처리만을 사용하는 단순화된 아키텍처 |
기술 구현 | ETL (Extract, Transform, Load) | 데이터 추출, 변환, 적재의 순서로 진행되는 데이터 처리 |
기술 구현 | ELT (Extract, Load, Transform) | 데이터 추출, 적재, 변환의 순서로 진행되는 데이터 처리 |
참고 및 출처
- Data Flow Architecture - TutorialsPoint
- Data Pipeline Design Patterns - Start Data Engineering
- Architectural Design - Software Engineering - GeeksforGeeks
- What Is Data Flow Architecture - Airbyte
- Data Flow Architecture - Tutorial Ride
- Pipe and Filter Architecture - System Design - GeeksforGeeks
- Pipes and Filters pattern - Azure Architecture Center
- Understanding ETL Batch Processing - Astera
- Extract, transform, load - Wikipedia
- Real-Time Operating System (RTOS) - GeeksforGeeks
- Real-Time Embedded Systems - SaM Solutions
- Dataflow architecture - Wikipedia
참고 및 출처
- Dagster–Data Pipeline Design Patterns (airbyte.com, dagster.io)
- Tutorialspoint–Data Flow Architecture 장점 (tutorialspoint.com)
- Airbyte–Data Flow Architecture 유형 및 장단점 (airbyte.com)
- GeeksforGeeks–Data Pipeline Patterns (geeksforgeeks.org)
- CS.CMU–Pure Dataflow 하드웨어 관점 (cs.cmu.edu)
- Wikipedia–Dataflow Architecture 특징 (en.wikipedia.org)
- Wikipedia–Data Lineage (en.wikipedia.org)
참고 및 출처
- Data‑Flow 개념 및 세 가지 형태 설명 (en.wikipedia.org)
- 장단점, 병렬성 및 실행 방식
- Dataflow architecture vs von Neumann 구조 비교 (en.wikipedia.org)
참고 및 출처
- Data Flow Architecture – Wikipedia
- Pipe and Filter Architecture – O’Reilly
- Dataflow Programming – Martin Fow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