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olithic Architecture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이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통합된 구조로, 단일 실행 파일로 배포된다. 초기 개발과 테스트, 배포가 단순하고 성능도 우수하지만, 시스템 규모가 커지면 확장성, 유지보수, 기술 유연성, 장애 격리 등에 제약이 발생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도메인 기반으로 내부를 분리한 **모듈형 모놀리스 (Modular Monolith)**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MSA) 로의 점진적 전환이 활용되고 있다.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등장 배경

항목설명
역사적 출발점1960~1970 년대 메인프레임 환경에서 시작. 하나의 실행 파일에 모든 기능을 통합하는 단일 구조 방식으로 출발.
리소스 제약 환경초기 컴퓨팅 환경은 제한된 CPU, 메모리, 네트워크 성능으로 인해 분산 처리보다 단일 프로세스 중심 설계가 적합했음.
개발 효율성 우위컴파일 및 배포가 간단하고 전체 시스템을 한눈에 파악 가능해 소규모 팀, 스타트업, 초기 단계 시스템에 적합했음.
표준 아키텍처마이크로서비스, SOA 등의 분산 아키텍처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모놀리식이 디폴트 설계 방식으로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사용됨.

발전 과정 (시대별 흐름)

시대기술 변화 및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형태
1970~1980 년대메인프레임 기반 배치 처리 및 시분할 환경에서 모놀리식 구조 채택. 단일 프로그램에 모든 로직 포함.
1990 년대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확산. 2-Tier, 3-Tier 아키텍처로 진화했지만 여전히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
2000 년대웹 애플리케이션 확산으로 JSP/Servlet, Spring 등 웹 프레임워크 기반의 모놀리식 웹 아키텍처가 주류.
2010 년대 이후클라우드, 컨테이너, DevOps 확산으로 MSA 와 분산 아키텍처가 부상. 대규모 시스템에서 점차 대체되며 일부 영역에선 혼합 사용.

현대적 관점과 지속성

항목설명
현대적 사용 사례Netflix, Amazon, eBay 등도 초기엔 모놀리식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MSA 로 전환.
지속적인 사용 이유단순한 구조, 낮은 진입장벽, 빠른 MVP 구현에 유리하여 스타트업, 내부 시스템, 프로토타이핑에 여전히 적합.
진화 경로단일 코드 → 모듈화 구조 → 레이어 아키텍처 → API 기반 분리 → 마이크로서비스 또는 하이브리드 구조로 발전 중.

목적 및 필요성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초기 개발 속도, 단순한 배포 구조, 낮은 인프라 비용, 일관된 데이터 처리가 중요한 상황에서 매우 적합하다. 특히 MVP, 스타트업, 내부 시스템, 단일 트랜잭션 서비스에 효과적이며, 복잡한 아키텍처나 분산 시스템이 오히려 과도한 경우 실용적인 선택지가 된다.

목적

  1. 개발과 운영의 단순화
    모든 기능이 하나의 프로젝트에 통합되어 있어 전체 시스템의 구조 파악과 수정이 용이하며, 배포도 단일 실행 파일 수준으로 단순화된다.

  2. 빠른 프로토타이핑 및 시장 검증
    MVP(Minimum Viable Product) 나 초기 제품을 빠르게 구현하고 시장 반응을 검증하기 위한 최적의 구조로 사용된다.

  3. 일관성 유지와 통합 관리
    단일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모든 기능과 트랜잭션을 통합 관리할 수 있어 일관된 비즈니스 로직과 데이터 흐름을 구현하기 쉽다.

  4. 성능 오버헤드 최소화
    동일 프로세스 내에서 모든 계층이 실행되므로 구성 요소 간 RPC 나 네트워크 통신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필요성

  1. 소규모 팀 또는 단순 프로젝트 환경
    2~5 인 규모의 소규모 개발팀이나 복잡도가 낮은 서비스에서는 모놀리식 구조가 오히려 생산성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

  2. 제한된 인프라 자원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API 게이트웨이 등 복잡한 배포 구조가 부담스러운 환경에서는 단일 서버 배포가 유리하다.

  3. 빠른 배포와 비용 효율성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한 번에 빌드하고 배포하므로 인프라 비용이 적고 운영도 단순하여 초기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4. 복잡한 트랜잭션 관리가 필요한 서비스
    데이터 일관성이 중요한 서비스에서는 단일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트랜잭션 처리 (ACID) 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가 유리하다.

핵심 개념

모놀리식 아키텍처는 단순하고 강력한 구조를 바탕으로 빠른 개발과 운영이 가능하지만, 강한 결합성과 단일 배포 구조로 인해 확장성과 유연성에 제약이 있다.
실무에서는 초기 개발, 스타트업, 내부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며, CI/CD, 로깅, 테스트 등의 구성도 단일화된 방식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일정 규모 이상에서는 구조적 병목이 발생하므로, 내부 모듈화, 점진적 마이크로서비스 전환, 기능 중심 분리 전략이 핵심 대응책으로 적용된다.

기본 개념

항목설명
단일 배포 단위 (Single Deployable Unit)전체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실행 파일 (WAR, JAR, Binary 등) 혹은 컨테이너 이미지로 패키징되어 일괄 배포된다.
단일 코드베이스 (Single Codebase)모든 기능 (UI, 로직, DB 접근 등) 이 하나의 프로젝트에 통합되어 하나의 저장소 및 빌드 단위로 관리된다.
계층형 아키텍처 (Layered Architecture)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으로 구성된 구조가 일반적이며, 각 계층은 동일한 실행 환경 내에서 작동한다.
내부 호출 구조 (Intra-process Communication)모듈 간 통신은 동일 프로세스 내의 함수 또는 메서드 호출로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지연이 없다.
강한 결합 (Tight Coupling)모듈 간 의존성이 높아 한 부분의 변경이 전체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독립적인 기능 교체가 어렵다.
공유 데이터베이스 (Shared Database)모든 모듈이 동일한 RDB 인스턴스 및 스키마를 공유하며, 트랜잭션 일관성이 비교적 쉽게 보장된다.
동기 호출 기반 (Synchronous Interaction)내부 로직 실행은 대부분 동기 방식으로 동작하며, 비동기 구조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기술 스택 일관성 (Single Technology Stack)전체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언어,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자체 완비형 실행 (Self-contained Execution)외부 API 나 플랫폼 의존도가 낮아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며, 최소한의 환경만 갖추면 실행할 수 있다.

실무 구현 연관성

측면구현 및 운영 관점
개발 측면모든 기능을 단일 프로젝트에서 구현하므로 진입 장벽이 낮고, 초기 개발 속도가 빠르다.
단일 저장소 및 IDE 내 통합 개발이 일반적이다.
테스트/디버깅모든 모듈이 하나의 실행 환경에서 동작하므로 디버깅과 테스트가 단일 컨텍스트 내에서 이루어져 빠르고 직관적이다.
CI/CD하나의 아티팩트 (WAR, JAR 등) 를 대상으로 빌드 및 테스트를 일괄 수행하며, GitHub Actions, Jenkins, GitLab CI 등으로 단일 파이프라인을 구성한다.
배포 전략전체 시스템을 한 번에 배포하므로 프로세스는 단순하지만, 변경이 잦은 경우 반복적인 전체 재배포로 인한 병목이 발생한다.
운영 및 모니터링단일 실행 프로세스로 구성되어 로깅, APM, 메트릭 수집이 단일 지점에서 이루어지며, 구조화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스케일링 전략수직 확장 (Scale-Up) 이 기본이며, 동일한 전체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를 여러 대 복제하는 수평 확장도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보안 및 인증 처리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전역 보안 설정을 일괄 적용 가능하며, JWT 또는 세션 기반 인증 처리가 일반적이다.
유지보수 측면 리스크전체 코드베이스가 커질수록 빌드 시간 증가, 테스트 시간 증가, 협업 충돌 가능성이 커지므로 일정 수준 이후 구조적 리팩토링이 필요하다.

주요 기능 및 역할

Monolithic Architecture 는 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통합 및 보안 계층을 단일 프로세스 내에 통합하여 구성된다.
각 계층은 명확한 역할과 책임을 가지며, 모든 기능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단위로 관리되므로 설계, 개발, 테스트, 배포, 운영이 단순화된다.
특히, 트랜잭션 일관성, 통합된 인증·보안, 단일화된 로그 및 모니터링 구조로 인해 초기 시스템이나 내부 시스템에 유리한 특성이 존재한다.
이 구조는 관심사 분리와 내부 기능 통합 간 균형을 통해 안정성과 성능, 관리 용이성을 확보한다.

구성 계층주요 기능핵심 역할
UI 계층사용자 요청 수신, 결과 출력, 화면 렌더링사용자 경험 (UX) 제공, 입력 데이터 검증, UI 흐름 제어
비즈니스 로직 계층도메인 규칙 처리, 트랜잭션 처리, 유효성 검사, 프로세스 흐름 관리핵심 업무 로직 실행, 규칙 기반의 응답 생성, 기능별 책임 중심 설계
데이터 접근 계층데이터베이스 연결, SQL 또는 ORM 기반 CRUD 처리데이터 무결성 보장, 트랜잭션 일관성 유지, 비즈니스 로직에 필요한 데이터 제공
통합 계층 (선택적)외부 API 연동, 메시징 시스템 (RabbitMQ, Kafka 등) 연동시스템 간 데이터 흐름 제어, 서드파티 시스템 연계, 백오피스 또는 외부 플랫폼 연동
보안 및 인증 계층사용자 인증 (Authentication), 권한 부여 (Authorization), 세션/쿠키/토큰 관리단일 보안 경계 설정, 애플리케이션 전반의 인증/인가 정책 통합 관리
공통 서비스 계층로깅, 에러 핸들링, 구성 설정, 캐싱, 설정 관리 등시스템 운영 안정성 강화, 관측 가능성 확보 (Observability), 진단 및 운영 효율 향상

특징

분류특징 명칭설명
구조적 특성단일 코드베이스모든 기능이 하나의 프로젝트 내에서 구현되며, 하나의 저장소 (Git) 로 관리됩니다.
단일 배포 단위 (Atomic Deploy)전체 시스템이 하나의 실행 단위 (WAR/JAR/Docker Image) 로 패키징되어 일괄 배포됩니다.
계층형 아키텍처 구조일반적으로 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 등으로 구분된 수평적 구조를 가집니다.
운영적 특성내부 호출의 고성능모든 호출이 동일 프로세스 내에서 동기적으로 이루어져 통신 오버헤드가 거의 없습니다.
공유 데이터베이스모든 기능이 하나의 DB 인스턴스와 스키마를 공유하여 트랜잭션 일관성 확보가 수월합니다.
일관된 기술 스택단일 언어와 프레임워크로 통일되어 개발 환경이 단순하며 표준화가 쉽습니다.
개발 생산성테스트 및 디버깅 용이전체 시스템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통합 테스트 및 디버깅이 빠르고 간단합니다.
빠른 초기 개발개발 구조가 단순해 스타트업, MVP, PoC 등 초기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내재적 한계강한 결합 (Tight Coupling)모듈 간 종속성이 높아 한 부분의 변경이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며, 유지보수에 부담이 됩니다.
변경·배포 단위가 큼부분 기능만 수정해도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재빌드·재배포해야 하므로 배포 병목이 생깁니다.
팀 확장 시 병목코드 충돌 및 작업 중복 등 협업 갈등이 발생하기 쉬워 규모 확장에 비효율적입니다.
기술 스택 유연성 부족시스템 전체가 하나의 기술 기반으로 구성되므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기 어렵습니다.

핵심 원칙

구분원칙명설명비고
1. 구조적 일관성일관된 코드베이스 유지 (Consistency)전체 시스템이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통합되어 있으며, 공통 코딩 스타일, 설계 패턴 유지가 필수코드 품질, 유지보수성 확보
2. 계층화 설계관심사의 분리 (Separation of Concerns)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 간의 역할 분리로 변경 영향 최소화Layered Architecture 와 연계
3. 책임 중심 구조화단일 책임 원칙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각 기능 블록 (모듈 또는 레이어) 은 하나의 책임만을 갖고 변경 이유를 최소화단일 시스템 전체가 하나의 책임이라는 오해는 주의
4. 모듈화 설계모듈성 (Modularity)내부적으로도 모듈 단위로 코드 분리 및 컴포넌트화를 통해 기능 재사용성 및 테스트 용이성 확보내부 분리도 필수 (패키지, 디렉토리 기준)
5. 확장 가능성 고려수평 확장성 고려 (Scalable Design)모놀리식이라도 Stateless 설계, 부하 분산 등을 통해 성능 확장 구조 고려 가능클라우드 환경, 부하 예측 시 고려
6. 운영 단순화 지향단일 배포 단위 원칙 (Unified Deployment)모든 기능이 단일 빌드 및 배포 아티팩트로 관리되므로 운영 및 배포 전략은 단일화되어야 함CI/CD 단순화에 유리
7. 재사용성 강화공통 로직 및 유틸리티 중심 재사용 (Code Reuse)중복 코드 제거, 유틸리티 클래스, 헬퍼 함수 중심 재사용 설계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경량 라이브러리 또는 내장 모듈 활용
8. 성능 중심 설계로컬 호출 기반 고성능 설계 (Local Efficiency)내부 컴포넌트 간 메서드 호출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IO, 네트워크 오버헤드 제거 설계가 필요로컬 메모리, 캐시 활용 등을 통한 최적화

주요 원리 및 작동 원리와 방식

주요 원리

작동 원리

graph TB
    A[사용자 요청] --> B[웹 서버/로드밸런서]
    B --> C[모놀리틱 애플리케이션]
    
    subgraph C [모놀리틱 애플리케이션]
        D[프레젠테이션 계층]
        E[비즈니스 로직 계층]
        F[데이터 접근 계층]
        
        D --> E
        E --> F
        F --> E
        E --> D
    end
    
    F --> G[데이터베이스]
    G --> F
    
    C --> B
    B --> A

작동 방식:

  1. 요청 처리: 사용자 요청이 웹 서버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
  2. 계층별 처리: 프레젠테이션 → 비즈니스 로직 → 데이터 접근 순으로 요청 처리
  3. 로컬 호출: 모든 구성 요소 간 통신이 메모리 내 메소드 호출로 수행
  4. 응답 반환: 처리 결과가 역순으로 사용자에게 전달

구조 및 아키텍처

graph TB
  subgraph Monolith Application
    UI
    Logic
    DataAccess
  end
  UI --> Logic --> DataAccess --> Database[(DB)]

구성 요소

구성유형역할특징
Presentation/UI필수사용자 요청 수신, 응답 반환요청 흐름의 시작점
Business Logic필수핵심 도메인 처리시스템 기능 중심
Data Access필수DB 쿼리 및 CRUD데이터 영속화 구현
Auth/Logging/Kafka Adapter선택보안, 모니터링, 메시징기능 보완 및 확장

구현 기법 및 방법

분류구현 기법설명실무 예시 또는 적용 방안
구조적 구성계층형 아키텍처 (Layered Architecture)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으로 수평 분리됨. 관심사 분리를 통한 유지보수성 확보 목적.Spring MVC, Django, ASP.NET MVC
N-Tier 구조Layered 구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배포 가능하게 설계 (서버 분리).Web → App → DB 서버 분리 구성
모듈화 전략단일 모듈 방식 (Classic)모든 기능이 하나의 프로젝트, 하나의 모듈로 구현됨.레거시 ERP 시스템 등
멀티 모듈 방식내부적으로 도메인 또는 책임 단위로 모듈을 나누되, 단일 배포 단위를 유지.Java Maven 멀티모듈 프로젝트
Vertical Slice 방식기능별로 레이어를 관통하는 단위 (예: 주문 기능) 를 독립 구성하여 응집도 향상.도메인 중심 설계 적용 시 유용
코드 및 호출 구조Main 진입점 구성단일 진입점 (main.py, main() 등) 에서 모든 구성 요소가 시작됨.Flask, Spring Boot 앱
내부 호출 방식 (Intra-process)모듈 간 메서드/객체 직접 호출로 네트워크 레이턴시 없이 처리.Python import, Java DI
배포 및 실행 방식단일 빌드/배포 파이프라인 구성하나의 빌드 스크립트로 전체 시스템을 패키징 및 배포.Gradle/Maven + CI
단일 배포 파일 구성WAR, JAR, Docker Image 등 하나의 아티팩트로 패키징.java -jar app.jar 실행
환경 구성 분리 (Config-driven)환경별 설정을 파일/환경변수로 분리하여 다중 환경 배포 가능..env, application-prod.yml
데이터 및 통신공유 데이터베이스 접근모든 기능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동일한 커넥션/트랜잭션 범위를 공유함.PostgreSQL, MySQL 등
단일 언어/프레임워크 사용전체 시스템이 하나의 기술 스택 (Single Tech Stack) 으로 구성됨.Spring, Django, Express 등

장점

카테고리항목설명근거 원인/배경
개발 생산성개발 용이성단일 코드베이스와 일관된 프로젝트 구조로 개발자가 시스템을 쉽게 이해하고 빠르게 개발 가능단일 프로젝트 구조, 강한 응집성
빠른 초기 구축설정과 구성요소가 단순해 스타트업이나 초기 프로젝트에 적합설정 파일 단순화, 의존성 관리 일원화
코드 일관성 유지동일한 환경/도구/코드 스타일을 전체 시스템에 적용 가능통합 환경 내 코드 규칙 일관성
테스트·디버깅테스트 용이성통합된 구조 덕분에 E2E 테스트, 통합 테스트, 로컬 테스트가 쉽고 환경 재현도 간단동일 프로세스 내 모든 기능 배치
디버깅 용이성호출 흐름이 단일 프로세스 내부에서 발생하므로 전체 플로우 추적 및 문제 해결이 쉬움네트워크 분산 없이 로컬 디버깅 가능
배포·운영배포 간편성단일 빌드/단일 배포 아티팩트로 인해 전체 시스템의 배포 프로세스가 간단하고 빠름배포 대상 단일화, 배포 파이프라인 최소화
중앙화된 관리로깅, 인증, 보안 정책, 설정 등의 관리가 중앙에서 일괄 처리 가능통합된 운영 환경
성능 효율성낮은 호출 오버헤드로컬 메소드 호출로 인해 IPC/네트워크 오버헤드 없이 고속 응답 가능내부 함수 호출 기반 아키텍처
리소스 활용 효율성단일 프로세스 구조로 CPU, 메모리 등의 자원 효율적 사용 가능단일 런타임 인스턴스
비용 효율성초기 인프라 비용 절감단순한 구조와 적은 인스턴스로 인해 초기 인프라/라이선스/구성 비용이 낮음서버/DB 수 감소, 설정 간소화
운영 오버헤드 최소화팀 규모나 전문화된 인프라 운영 인력이 없이도 관리 가능DevOps 자동화 도구 최소 필요
데이터 일관성트랜잭션 관리 용이단일 DB 기반의 로컬 트랜잭션으로 ACID 속성을 자연스럽게 보장 가능DB 공유, 단일 트랜잭션 범위
보안 단순화보안 경계 단순화외부 노출 지점이 제한적이고 내부 통신이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 및 방어가 수월함내부 모듈 간 네트워크 통신 불필요

단점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

단점

카테고리항목설명해결 방안 요약
확장성 제약전체 단위 확장 필요특정 기능 하나만 확장해도 전체 시스템을 확장해야 함모듈 기반 수평 확장, 기능 분리, 점진적 서비스화 전환
기술 유연성 부족단일 스택 종속다양한 기술 적용 어려움, 전체 기술 교체 어려움플러그인 아키텍처, 모듈별 기술 적용, 기술 전환 시나리오 수립
배포 리스크전역 배포 구조작은 코드 변경에도 전체 빌드 및 배포 필요블루그린/카나리 배포, 기능 플래그, 부분 배포 전략
복잡도 증가코드베이스 커짐코드량이 증가할수록 구조 복잡도와 기술 부채 심화모듈화, 코드 표준화, 정기적 리팩토링, 테스트 커버리지 확보
협업 병목팀 간 충돌여러 개발자가 동일한 코드베이스에 의존, 협업 갈등 유발모듈별 소유권, 브랜치 전략, 코드 오너십 모델 적용

단점은 대부분 전체 시스템을 하나로 묶는 구조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확장성 한계, 기술 유연성 부족, 배포 리스크는 모두 " 모듈별 독립적 운영이 불가능한 단일 구조 " 에 기인한다. 따라서 해결책은 내부 모듈화 → 부분 분리 → 점진적 서비스화로 이어지는 구조적 전환을 포함해야 하며, 배포 전략 개선팀 간 협업 체계 구축도 병행되어야 한다.

문제점

카테고리항목원인 또는 상황탐지/진단 방법해결 방안 요약
성능리소스 병목단일 프로세스에서의 연산 집중, GC 지연, 캐시 미활용 등APM, 프로파일링, 시스템 메트릭 분석캐싱 전략, 코드 최적화, GC 튜닝, 리드 복제 활용
DB 병목모든 기능이 단일 DB 에 의존, 과도한 쿼리 발생쿼리 분석 도구, DB 모니터링인덱스 최적화, 읽기 복제본 활용, 쿼리 튜닝
운영 안정성장애 전파하나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줌 (강결합 구조)헬스체크, 로그 분석장애 격리 설계, Circuit Breaker, 자동 복구 스크립트 구성
배포 실패작은 오류에도 전체 배포 중단CI/CD 로그, 배포 이력 분석Canary/Blue-Green 배포, 기능 플래그, 자동 롤백 구성
유지보수성코드 복잡도 증가신규 기능 추가, 기술 부채 누적 → 가독성 저하, 테스트 어려움코드 분석 도구, 커버리지 도구문서화, 모듈 경계 설정, 도메인 중심 설계 적용
빌드 및 테스트 지연코드베이스 증가에 따른 테스트·빌드 시간 증가빌드 시간 로깅, 병목 구간 추적증분 빌드, 병렬 테스트, 빌드 캐싱 적용
시스템 안정성메모리 누수장기 실행 프로세스의 메모리 해제 실패 또는 GC 미튜닝메모리 모니터링, GC 로그 분석커넥션 풀 설정, GC 옵션 조정, Leak Detection 도구 활용

문제점은 운영 중 발생하는 실질적 병목과 실패 지점으로, 구조적 단점이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드러난 결과물이다. 대표적으로 성능 병목 (리소스/DB), 장애 전파, 배포 실패, 코드 복잡도 증가는 모두 내부 모듈 간 강한 결합과 전역 배포 구조에서 비롯된다. 이를 해결하려면 APM, 로깅, 트레이싱 같은 운영 가시성 확보 도구와 함께, 테스트 자동화, 장애 격리 설계, 빌드 최적화 전략이 요구된다.

도전 과제

카테고리도전 과제원인영향탐지 및 진단예방 방안해결 방안
확장성리소스 낭비 및 부분 확장 불가 문제단일 배포 단위, 전체 시스템 수준의 스케일링 한계리소스 과잉 사용, 비용 증가, 성능 병목APM, 부하 테스트, 리소스 모니터링기능/도메인 단위 모듈 분리수평 확장, 캐싱, 로드 밸런싱, 점진적 분리 설계
기술 유연성기술 스택 교체 및 도입 어려움강한 내부 결합, 전체 통합 코드베이스기술 부채 누적, 신기술 도입 지연기술 스택 분석, 종속성 시각화인터페이스 기반 설계, 분리 가능한 구조 도입플러그인 아키텍처, 점진적 리팩토링, 기술 단위 모듈화
조직/협업코드 소유권 충돌 및 팀 간 협업 병목모든 팀이 하나의 코드베이스에서 작업리뷰 병목, 생산성 저하, 병합 충돌Git 히스토리 분석, 리뷰 병목 진단모듈 단위 팀 소유권 분리, 브랜치 전략 명확화DDD 기반 모듈화, 계약 기반 인터페이스 정의
배포/운영릴리즈 위험 및 무중단 배포 어려움전체 빌드/재배포 구조, 부분 배포 전략 부재배포 지연, 장애 확산 위험CI/CD 로그, 배포 실패율 분석배포 단위 최소화, Feature Flag 도입Blue-Green, Canary 배포, 배포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장애 관리장애 격리 불가 및 전체 시스템 영향모듈 간 높은 결합, 공통 리소스 사용시스템 전체 장애, 복구 지연로그/트레이스 분석, 장애 패턴 탐지Circuit Breaker, Bulkhead 설계 적용분리된 스케일링, 메시징 기반 처리 구조 적용
마이그레이션마이크로서비스 전환의 경계/인터페이스 문제도메인 설계 미비, 단일 DB 구조, 내부 결합 인터페이스점진적 전환 어려움, 통합 실패 위험도메인 분석, 의존성 맵핑Bounded Context 명확화, 데이터 분리API 게이트웨이 도입, 이벤트 기반 분리, Hybrid 구조 채택
개발/품질코드베이스 복잡도 및 테스트 범위 부족거대화된 단일 프로젝트, 테스트 설계 부족유지보수 비용 증가, 회귀 버그 증가커버리지 리포트, 정적 분석 도구테스트 피라미드 전략, 단위/통합 테스트 자동화코드 리팩토링, 테스트 모듈 분리, 테스트 격리 강화
클라우드화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어려움상태 유지형 구조, 컨테이너화 미흡스케일아웃 및 배포 자동화 제한클라우드 자원 사용 패턴 분석상태 분리, 무상태 API 구조 설계컨테이너 기반 배포, 서비스 메시 도입, 모놀리스 분해 전략

Monolithic Architecture vs. Microservices Architecture 비교 및 전환 전략

Monolithic Architecture vs. Microservices Architecture 비교

항목모놀리식 아키텍처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조단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각 기능이 독립된 서비스로 구성
배포 단위전체 앱을 하나의 단위로 배포서비스별로 독립 배포 가능
개발 팀 구성하나의 팀이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담당서비스 별로 크로스 기능 팀 구성 가능
기술 스택단일 기술 스택 사용이 일반적서비스마다 다른 기술 스택 사용 가능
스케일링전체 앱 단위 스케일링독립 서비스별 수평 확장
유지보수변경이 전체에 영향로컬화된 영향도 관리 용이
장애 전파하나의 서비스 문제로 전체 서비스 중단 가능개별 서비스 장애가 전체 서비스에 영향 없음
확장성전체 시스템 확장이 필요필요한 서비스만 개별 확장 가능
테스트 및 디버깅전체 통합 테스트 용이서비스 간 연동 테스트 복잡
배포 복잡도단순함 (단일 배포)서비스 수 증가에 따른 배포 복잡도 증가
데이터 관리중앙 집중형 DB서비스별 개별 DB (데이터 분산)
운영 복잡도낮음 (초기)높음 (배포, 로깅, 통신 등)
운영/모니터링단일 로그, 모니터링 구조서비스별 로깅, 모니터링 체계 필요
성능통신 비용 적음서비스 간 통신 비용 증가 (HTTP/gRPC 등)
DevOps 요구사항상대적으로 단순고도화된 CI/CD, 모니터링 필요

모놀리식에서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 전략

전환 목적
전환 절차 단계별 전략
단계전략설명
1 단계모놀리식 개선모듈화, 코드 리팩토링으로 기능 분리 준비
2 단계도메인 분할DDD(Domain-Driven Design) 기반으로 Bounded Context 정의
3 단계분리 대상 선정변화가 잦은 기능, 병목 기능, 독립성이 높은 기능부터 분리
4 단계독립 서비스 개발기존 기능을 마이크로서비스로 재작성 또는 추출
5 단계통신 구현REST API, gRPC, 메시지 브로커 (Kafka 등) 를 활용한 서비스 간 통신 구성
6 단계데이터 분리서비스별 DB 구성 (데이터 정합성 보장 전략 필요: Eventual Consistency 등)
7 단계배포 자동화서비스 단위 CI/CD 구축
8 단계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체계Prometheus, Grafana, ELK Stack 등 도입
9 단계트래픽 전환점진적 트래픽 이전 (Canary, Blue/Green 배포)
10 단계모놀리식 제거 또는 유지완전 전환 또는 하이브리드 구조 유지 결정
전환 구조 예시
Before (모놀리식)
graph TD
  A[User Interface] --> B[Monolith App]
  B --> C[Database]
After (MSA 전환)
graph TD
  A[User Interface] --> S1[Order Service]
  A --> S2[Payment Service]
  A --> S3[Inventory Service]
  S1 --> DB1[Order DB]
  S2 --> DB2[Payment DB]
  S3 --> DB3[Inventory DB]
전환 시 고려할 문제 및 해결책
문제설명해결 방법
서비스 간 트랜잭션분산 환경에서 ACID 보장 어려움SAGA 패턴, 이벤트 기반 보상 트랜잭션
성능 저하서비스 간 네트워크 호출 증가gRPC 도입, API Gateway 캐싱, Circuit Breaker
데이터 정합성DB 가 분리되어 Join 불가CQRS, Eventual Consistency, Kafka 활용
배포 복잡도 증가여러 서비스의 독립적 배포 필요서비스별 CI/CD 파이프라인 구축
개발 생산성 저하분산 시스템 설계 복잡도 증가명확한 서비스 경계와 표준화된 프로토콜 설계

분류 기준에 따른 종류 및 유형

분류 기준유형설명적용 예시
계층 구조2-Tier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UI/데이터 혼합 또는 최소한의 비즈니스 로직)데스크톱 앱, 간단한 내부 시스템
3-Tier프레젠테이션 - 비즈니스 - 데이터 계층 분리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
N-Tier3 계층 이상으로 세분화된 복잡한 계층 구조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모듈화 수준Classic Monolith모든 코드가 단일 모듈 내 밀접하게 결합레거시 ERP 시스템 등
Modular Monolith내부적으로 도메인 기반 수직 모듈 분리 (물리적 배포는 단일)도메인 분리 적용된 모놀리식 웹 앱
Multi-Module Monolith역할/레이어 기반으로 명확한 모듈화가 되어 있으며 인터페이스로 연결됨팀 분리 기반의 중대형 모놀리식 시스템
배포 방식Single-Binary하나의 실행 파일 (또는 JAR, EXE 등) 로 구성콘솔 앱, Spring Boot Fat JAR 등
Containerized MonolithDocker 기반으로 단일 컨테이너 이미지로 패키징쿠버네티스 단일 Pod 에 배포된 모놀리식 앱
Distributed Monolith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나, 논리적으로는 강하게 결합된 모놀리식 시스템비효율적인 초기 MSA 전환 실패 사례 등
기술 구조Layered Architecture수평 계층 구조 (MVC, Clean Architecture 등 포함)전통적 웹 프레임워크 기반 애플리케이션
Hexagonal Architecture포트 - 어댑터 구조로 내부 도메인과 외부 인터페이스를 분리테스트 용이성과 유연한 기술 교체가 필요한 시스템
Onion Architecture의존성 역전 원칙 적용, 도메인 중심 설계 강화클린 아키텍처 구현 시 구조적 선택지
배포 전략단일 서버 배포모든 계층이 하나의 서버에 배치되어 운영됨초기 MVP, 개발용 환경 등
다중 서버/로드밸런싱 배포동일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서버에 배포하여 확장운영 환경에서의 스케일아웃 구성
도메인 중심 여부기능 기반기능별 (회원, 결제 등) 로 코드가 분산되어 있으나 모듈화나 명확한 경계는 없음전통적인 서비스 구조 시스템
도메인 중심 (Domain-Driven)DDD 기반으로 모듈 경계가 명확하며 Aggregate 등 개념을 반영DDD 기반 Modular Monolith 등
개발 목적Greenfield Monolith신규 구축 시 빠른 기획과 통합 개발을 위해 선택스타트업 초기 프로젝트 등
Refactored Monolith기존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리팩토링하여 구조적 개선유지보수 중심의 구조 최적화 프로젝트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사항설명권장사항
팀 및 조직 규모팀 규모소규모 팀 (5 인 이하) 에 적합, 협업 부담 적음팀 규모 증가 시 모듈 경계 재정립, 점진적 분리 고려
도메인 복잡성비즈니스 로직 복잡도단순한 도메인이나 CRUD 중심 시스템에 적합복잡도 증가 시 기능별 모듈화 및 DDD 기반 Slice 설계 적용
변경 및 배포 관리전체 재빌드/재배포변경 시 전체 시스템 재배포로 인해 배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기능 플래그 활용, Blue-Green/Canary 배포 전략 도입
테스트 전략단위 테스트는 용이하지만 전체 통합 테스트가 중요E2E 자동화 테스트와 테스트 피라미드 구조 설계 적용
설계 및 구조화모듈화 수준 및 계층 분리기능별, 계층별 명확한 분리가 없으면 코드 충돌 및 복잡도 증가패키지 구조 명확화, 의존성 주입 패턴 (DI) 활용, 클린 아키텍처 적용
내부 의존성공통 라이브러리와 유틸리티 사용이 많을수록 결합도 증가유틸리티 제한, 인터페이스 기반 추상화
운영 환경트래픽 규모 및 배포 빈도저트래픽, 배포주기 짧은 서비스에 적합트래픽 증가 시 캐싱, 복제, 로드밸런싱 전략 도입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장애 발생 시 전체 시스템에 영향 가능APM, 로그 기반 추적, 모듈별 상태 체크 도입
기술 스택 관리기술 선택의 제약전체 시스템에 동일한 기술 스택이 사용되어 도입 유연성 낮음파일럿 모듈을 통한 점진적 기술 도입 검증
전환 가능성아키텍처 진화 로드맵확장성 한계 도달 시 아키텍처 전환이 어려움마이크로서비스 전환 고려 시 API 추상화 및 분리 경계 명확화 필요
보안 및 표준화보안 정책 일괄 적용중앙 집중적 보안 적용은 용이하나, 세분화된 정책은 어려움역할 기반 인증, 계층별 보안 적용 방안 설계
문서화 및 유지보수시스템 구조 문서화의존성 및 코드 구조가 복잡해질 경우 전체 시스템 파악이 어려움아키텍처 다이어그램, API 문서, 의존성 맵 등 명확한 문서화 필요

CI/CD & 모니터링 설정 예시

GitHub Actions + Blue-Green 배포 워크플로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github/workflows/ci-cd.yml
name: CI/CD Pipeline

on:
  push:
    branches: [ main ]

jobs:
  build-test:
    runs-on: ubuntu-latest
    steps:
      - uses: actions/checkout@v3
      - name: Setup Node.js
        uses: actions/setup-node@v3
        with:
          node-version: '16'
      - name: Install deps
        run: npm ci
      - name: Run tests
        run: npm test
      - name: Build
        run: npm run build
      - name: Publish artifact
        uses: actions/upload-artifact@v3
        with:
          name: app
          path: build/

  deploy:
    needs: build-test
    runs-on: ubuntu-latest
    steps:
      - name: Download artifact
        uses: actions/download-artifact@v3
        with:
          name: app
      - name: Deploy to Staging
        run: ./scripts/deploy.sh staging
      - name: Smoke test
        run: npm run smoke
      - name: Deploy to Production (Blue-Green)
        run: ./scripts/deploy.sh production bluegreen

모니터링 구성 (Prometheus + Grafana + APM)

 1
 2
 3
 4
 5
 6
 7
 8
 9
10
11
12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client = require('prom-client');
const app = express();
const collectDefaultMetrics = client.collectDefaultMetrics;
collectDefaultMetrics({ prefix: 'myapp_' });

app.get('/metrics', (req, res) => {
  res.set('Content-Type', client.register.contentType);
  res.end(client.register.metrics());
});

app.listen(3000);

JavaScript 구현 예시 (Checkout 모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inventory = require('./inventory');
const payment = require('./payment');
const order = require('./order');
const metrics = require('./metrics');

const app = express();
app.use(express.json());
app.use(metrics.requestCounter);

app.post('/checkout', async (req, res) => {
  try {
    const { userId, items, paymentInfo } = req.body;
    await inventory.reserve(items);
    const paymentResult = await payment.process(paymentInfo);
    const orderResult = await order.create(userId, items, paymentResult);
    res.status(201).json(orderResult);
  } catch (err) {
    metrics.errorCounter.inc();
    res.status(500).json({ error: err.message });
  }
});

app.listen(3000, () => console.log('Listening on :300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inventory.js
async function reserve(items) { /*DB 호출*/ }
module.exports = { reserve };

// payment.js
async function process(info) { /*외부 API 호출*/ }
module.exports = { process };

// order.js
async function create(userId, items, paymentResult) { /*DB 저장*/ }
module.exports = { create };

// metrics.js
const client = require('prom-client');
const counter = new client.Counter({ name: 'http_requests_total', help: 'Total requests', labelNames: ['route', 'status'] });
module.exports.requestCounter = (req, res, next) => {
  res.on('finish', () => counter.labels(req.path, res.statusCode.toString()).inc());
  next();
};
module.exports.errorCounter = counter;

Contract Testing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contract.test.js
const { Pact } = require('@pact-foundation/pact');
const path = require('path');

describe('Payment Service', () => {
  const provider = new Pact({
    port: 1234,
    dir: path.resolve(process.cwd(), 'pacts'),
    consumer: 'CheckoutApp',
    provider: 'PaymentService',
  });

  beforeAll(() => provider.setup());
  afterAll(() => provider.finalize());

  describe('when a payment is successful', () => {
    beforeAll(() =>
      provider.addInteraction({
        uponReceiving: 'a payment request',
        withRequest: {
          method: 'POST',
          path: '/process',
          body: { amount: 100, method: 'card' },
        },
        willRespondWith: {
          status: 200,
          body: { status: 'OK', transactionId: 'txn_ABC123' },
        },
      })
    );

    it('processes payment', async () => {
      const resp = await require('./payment').process({ amount: 100 });
      expect(resp.status).toBe('OK');
    });

    afterEach(() => provider.verify());
  });
});

로깅 및 감사 (Audit) 설정 예시

구조
Node.js 예시: Winston, Morgan, Express-winston 사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logger.js
const winston = require('winston');
const logger = winston.createLogger({
  format: winston.format.json(),
  transports: [ new winston.transports.File({ filename: 'combined.log' }) ],
});
module.exports = logger;

// server.js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morgan = require('morgan');
const logger = require('./logger');

app.use(morgan('combined', {
  stream: { write: msg => logger.info(msg.trim()) }
}));

app.post('/checkout', (req, res, next) => {
  logger.info('Checkout started', { user: req.body.userId, items: req.body.items });
  /* … */
}, (err, req, res, next) => {
  logger.error('Checkout failed', { error: err.message, stack: err.stack });
  res.status(500).send();
});

효과:

테스트 전략

모놀리식 아키텍처에서의 테스트 접근
테스트 유형설명도구 예시전략
단위 테스트 (Unit Test)개별 함수, 클래스 수준 테스트JUnit, Pytest비즈니스 로직 핵심 검증
통합 테스트 (Integration Test)DB, API 등 외부 모듈 포함Spring Test, Postman계층 간 연결 보장
엔드투엔드 테스트 (E2E)사용자 시나리오 중심 전체 흐름 검증Selenium, Cypress전체 기능 점검
회귀 테스트 (Regression Test)기존 기능 정상 작동 검증TestRail, Allure릴리즈 자동화 연동

단일 배포 환경이므로 단일 테스트 스위트로 자동화된 정합성 테스트가 쉽다. 그러나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병렬 실행 환경 필요.

관찰성 (Observability) 구성 방안

구성 요소설명도구 예시적용 방식
로그 수집로그 중앙화, 검색 가능ELK Stack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Loki로그 레벨 관리, 표준 포맷 통일
메트릭 수집시스템/애플리케이션 지표Prometheus, GrafanaCPU, Memory, 요청 수 등 시각화
트레이싱호출 흐름 추적Jaeger, ZipkinAPI 호출 간 성능 병목 추적
알림이상 징후 탐지 및 통지PagerDuty, Opsgenie, Slack알림 조건 설정 (예: 5xx 증가 시)

보안 전략 (Security in Monolith)

보안 계층설명적용 기법
인증 (Authentication)사용자 인증 처리JWT, OAuth2, 세션 기반 로그인
권한 (Authorization)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역할 기반), ABAC (속성 기반)
입력 검증XSS, SQL Injection 방지정규식, PreparedStatement
로그 보안민감 정보 로그 제외마스킹, 필터링 적용
데이터 암호화저장/전송 데이터 보호HTTPS, TLS, AES 기반 암호화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 전략

전략설명적용 방법
코드베이스 모듈화기능 단위로 폴더/패키지 재조직화기능 → 계층 구조로 리팩토링
테스트 커버리지 확보신뢰성 유지 위한 자동화 테스트 도입커버리지 도구 활용 (Jacoco 등)
API 게이트웨이 프록시화외부 요청을 게이트웨이로 통일모놀리식 경로 일부 마스킹
명세 문서화Swagger, Postman 등으로 API 정의레거시 분석 효율화
변경 영향도 분석코드 변경 영향 영역 시각화모듈 간 의존도 분석 도구 사용 (CodeScene 등)

CI/CD 구성 예시

CI/CD Pipeline 구성도
graph TB
  Developer -->|Push| GitRepo
  GitRepo --> CI[CI: Build & Test]
  CI --> CD[CD: Docker Build]
  CD --> Registry[(Docker Registry)]
  Registry --> Staging[(Staging Server)]
  Staging --> Prod[(Production)]
CI/CD 도구 구성
단계도구설명
소스 관리GitHub, GitLabGitOps 기반 관리
빌드 자동화Jenkins, GitHub Actions빌드/유닛 테스트 실행
테스트 실행JUnit, Jest, Selenium정적/동적 테스트 병합
배포 자동화ArgoCD, FluxDocker 이미지 배포
모니터링 연동Prometheus, Grafana릴리즈 이후 상태 추적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최적화 요소설명권장사항
구조 및 코드코드 모듈화관심사 분리 및 유지보수 용이성을 위해 모듈 단위로 분리Vertical Slicing, 인터페이스 명세, 의존성 주입 적용
코드 리팩토링기술 부채 축소 및 코드 품질 유지를 위한 정기적 구조 개선린 리팩토링 전략, 코드 리뷰 프로세스, 문서화 강화
성능 최적화캐싱 전략요청 응답 시간 최소화 및 부하 감소Redis, CDN, 애플리케이션 캐시 활용
쿼리 및 DB 최적화DB 병목 해소 및 트랜잭션 효율화정규화, 인덱싱, N+1 문제 해결 (ORM 튜닝)
메모리 관리GC 튜닝 및 리소스 누수 방지를 통한 안정성 확보커넥션 풀링 (HikariCP), JVM 튜닝, 메모리 모니터링 도구 활용
CI/CD 및 배포빌드 최적화빌드 시간 단축 및 배포 속도 향상Gradle/Webpack 캐시, 증분 빌드, 병렬 빌드 적용
배포 전략무중단 배포 및 롤백 가능한 구조 설계Blue-Green, Canary 배포, GitOps, Docker 레이어 재사용
자동화 테스트 전략릴리즈 안정성과 회귀 방지를 위한 테스트 체계 구축유닛 + 통합 테스트, 테스트 커버리지 기준 강화, 테스트 캐싱
운영 및 모니터링장애 대응단일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Circuit Breaker, 헬스체크, 모듈 단위 복구 로직 포함
성능 모니터링실시간 성능 분석과 병목 탐지Prometheus, Grafana, Datadog, 로그 기반 메트릭 통합 분석 도구 사용
로깅 및 추적구조화된 로그를 통해 문제 추적 및 감사 가능ELK Stack, OpenTelemetry 기반 분산 트레이싱 도입
보안 및 인증계층별 보안 적용각 계층별 인증/인가 및 공격 방지 체계 구축OAuth 2.0, JWT, Prepared Statement, 보안 스캐너 도입
전환 및 확장성점진적 분리기능 단위로 모듈을 외부화하거나 서비스화하는 전략Strangler Fig Pattern, ACL, 외부 API Gateway 연동
확장성 고려증가하는 트래픽과 부하에 대비한 구조적 설계Stateless 설계, 수평 확장, 세션 분리, 부하 분산 적용
문서화 및 협업시스템 문서화유지보수와 협업을 위한 구조화된 문서 관리시스템 구성도, API 문서, 모듈 의존성 명세 등 주기적 관리

실무 사용 예시

카테고리적용 시나리오사용 목적 / 특징효과주요 기술 스택 예시
스타트업/초기 단계MVP 개발, 빠른 시장 진입빠른 개발 주기, 단일 코드베이스 운영아이디어 검증, 출시 속도 향상, 유지비용 절감Spring Boot, Django, Node.js + MongoDB
내부 관리 시스템인트라넷, 사내 포탈, 업무 자동화복잡도 낮고 사용자 제한적, 통합 관리 용이개발 인력 최소화, 유지관리 단순화Java EE,.NET, PHP
소규모/단일 팀 개발소규모 웹사이트, 커뮤니티, 리포트 툴작은 팀 규모에 적합, 협업 충돌 최소화병합 이슈 감소, 팀 내 통합 관리Ruby on Rails, Flask, Express.js
전통적 엔터프라이즈ERP, CRM, POS 시스템고정된 비즈니스 로직, 강력한 트랜잭션 요구트랜잭션 무결성 확보, 신뢰성 높은 운영Java EE, Oracle, SAP
레거시 시스템 유지기존 모놀리식 시스템 유지보수기술 전환 부담 존재, 안정성 유지 우선위험 회피, 기존 아키텍처 유지 가능Oracle DB, WebLogic, JSP
산업/도메인 특화 시스템정부/공공 행정, 의료정보시스템표준화 및 보안 요구사항 존재, 장기 운영 전제규제 대응 용이, 고신뢰성 확보.NET, SQL Server,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성장 전 대규모 트래픽 대응StackOverflow, Facebook (초기)초기엔 단일 시스템으로 확장 대응, 이후 분산 전환 고려고성능 응답 처리, 단순한 장애 격리ASP.NET, MySQL, Custom C++ Backend 등

활용 사례

사례 1: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

시나리오: 중간 규모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

시스템 구성:

graph TB
    A[사용자] --> B[로드밸런서]
    B --> C[웹 서버 1]
    B --> D[웹 서버 2]
    B --> E[웹 서버 3]
    
    subgraph "각 웹 서버"
        F[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subgraph "애플리케이션 계층"
            G[상품 관리]
            H[주문 처리]
            I[사용자 관리]
            J[결제 처리]
        end
    end
    
    C --> K[(MySQL 데이터베이스)]
    D --> K
    E --> K
    
    C --> L[(Redis 캐시)]
    D --> L
    E --> L

Workflow: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Flask 기반 모놀리틱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jsonify
from flask_sqlalchemy import SQLAlchemy
from flask_login import LoginManager

app = Flask(__name__)
app.config['SQLALCHEMY_DATABASE_URI'] = 'mysql://user:pass@localhost/ecommerce'
db = SQLAlchemy(app)

# 데이터 모델 정의
class User(db.Model):
    id = db.Column(db.Integer, primary_key=True)
    username = db.Column(db.String(80), unique=True, nullable=False)
    email = db.Column(db.String(120), unique=True, nullable=False)

class Product(db.Model):
    id = db.Column(db.Integer, primary_key=True)
    name = db.Column(db.String(100), nullable=False)
    price = db.Column(db.Float, nullable=False)
    stock = db.Column(db.Integer, default=0)

class Order(db.Model):
    id = db.Column(db.Integer, primary_key=True)
    user_id = db.Column(db.Integer, db.ForeignKey('user.id'), nullable=False)
    total_amount = db.Column(db.Float, nullable=False)
    status = db.Column(db.String(20), default='pending')

# 비즈니스 로직 - 상품 관리
@app.route('/products', methods=['GET'])
def get_products():
    """상품 목록 조회"""
    products = Product.query.all()
    return jsonify([{
        'id': p.id, 
        'name': p.name, 
        'price': p.price, 
        'stock': p.stock
    } for p in products])

@app.route('/products', methods=['POST'])
def create_product():
    """새 상품 생성"""
    data = request.get_json()
    product = Product(
        name=data['name'],
        price=data['price'],
        stock=data.get('stock', 0)
    )
    db.session.add(product)
    db.session.commit()
    return jsonify({'message': 'Product created', 'id': product.id}), 201

# 비즈니스 로직 - 주문 처리
@app.route('/orders', methods=['POST'])
def create_order():
    """주문 생성 - 트랜잭션 처리"""
    data = request.get_json()
    
    try:
        # 트랜잭션 시작
        db.session.begin()
        
        # 재고 확인 및 차감
        product = Product.query.get(data['product_id'])
        if product.stock < data['quantity']:
            return jsonify({'error': 'Insufficient stock'}), 400
        
        product.stock -= data['quantity']
        
        # 주문 생성
        order = Order(
            user_id=data['user_id'],
            total_amount=product.price * data['quantity'],
            status='confirmed'
        )
        db.session.add(order)
        
        # 트랜잭션 커밋
        db.session.commit()
        
        return jsonify({
            'message': 'Order created successfully',
            'order_id': order.id
        }), 201
        
    except Exception as e:
        # 트랜잭션 롤백
        db.session.rollback()
        return jsonify({'error': 'Order creation failed'}), 500

# 사용자 관리
@app.route('/users', methods=['POST'])
def register_user():
    """사용자 등록"""
    data = request.get_json()
    user = User(
        username=data['username'],
        email=data['email']
    )
    db.session.add(user)
    db.session.commit()
    return jsonify({'message': 'User registered', 'id': user.id}), 201

# 헬스체크 엔드포인트
@app.route('/health')
def health_check():
    """애플리케이션 상태 확인"""
    return jsonify({'status': 'healthy', 'version': '1.0.0'})

if __name__ == '__main__':
    # 데이터베이스 초기화
    with app.app_context():
        db.create_all()
    
    # 애플리케이션 실행
    app.run(host='0.0.0.0', port=5000, debug=False)

사례 2: 초기 스타트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나리오: 초기 스타트업의 온라인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구성: Monolith 기반으로 UI, 주문, 상품, 결제 모듈 통합

graph TB
  Customer -->|HTTP| MonolithApp
  MonolithApp --> UI
  UI --> OrderLogic
  UI --> ProductLogic
  UI --> PaymentLogic
  OrderLogic --> DataAccess
  ProductLogic --> DataAccess
  PaymentLogic --> DataAccess
  DataAccess --> Database[(MySQL)]

Workflow:

역할:

유무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Node.js/Express 예시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app.use(express.json());

// 주문 로직
app.post('/order', async (req, res) => {
  const { productId, quantity } = req.body;
  // 재고 확인
  const stock = await db.query('SELECT stock FROM products WHERE id=?', [productId]);
  if (stock < quantity) return res.status(400).send('재고 부족');
  // 주문 생성
  await db.query('INSERT INTO orders (productId, qty) VALUES (?,?)', [productId, quantity]);
  res.send('Order placed');
});

// 데이터 접근 단일 모듈 예시
module.exports.query = async (sql, params) => {
  // 데이터베이스 연결 및 쿼리 실행
};

사례 3: 사내 인트라넷 온라인 결재 시스템

시나리오: 사내 인트라넷 온라인 결재 시스템을 모놀리식 아키텍처로 구현해, 모든 기능 (사용자 인증, 결재 신청, 승인, 보고서 출력 등) 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관리된다.

시스템 구성:

graph TD
    U[사용자 요청]
    FE["프런트엔드(UI) 계층"]
    BL[비즈니스 로직 계층]
    DB[데이터베이스]
    EM[외부 이메일 알림]

    U --> FE --> BL --> DB
    BL --Optional--> EM

Workflow: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app.py
from flask import Flask, request, render_template
app = Flask(__name__)

# 사용자 인증
def login(user, password):
    # 인증 로직
    pass

# 결재 신청 처리
@app.route("/apply", methods=["POST"])
def apply():
    # 결재 데이터 처리 후 DB 저장
    pass

# 승인 처리
@app.route("/approve", methods=["POST"])
def approve():
    # 승인 로직 처리 후 이메일 알림
    pass

if __name__ == "__main__":
    app.run(debug=True)

주목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아키텍처 구조결합도강한 결합 (Tight Coupling)구성 요소 간 상호 의존도가 높아 변경 파급이 큼
모듈화 전략Modular Monolith도메인 기반 내부 모듈화를 통해 구조 개선 가능
계층 구조Layered Architecture프레젠테이션,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등 수평 분리 구조
배포 전략단일 배포Atomic Deployment전체 시스템을 하나의 단위로 빌드 및 배포
배포 자동화GitOps, CI/CD, Docker단일 컨테이너로 구성된 모놀리스를 자동화하여 운영
배포 방식Blue-Green, Canary전체 단위의 배포지만 무중단 혹은 점진적 방식 일부 적용 가능
확장 전략수평 확장Scale-Out동일 인스턴스를 복제하여 부하 분산 (부분 확장 불가)
수직 확장Scale-Up리소스 증설을 통한 처리량 증가 (하드웨어 제약 존재)
성능 최적화캐싱 전략Multi-level Caching애플리케이션, DB, CDN 등 계층별 캐싱 적용
연결 풀링Connection PoolingDB 연결 효율화로 성능 및 안정성 확보
DB 최적화Sharding, Read ReplicaDB 부하 분산 및 읽기 성능 향상
마이그레이션 전략점진적 전환Strangler Fig Pattern도메인 단위로 기능을 MSA 로 단계적 분리
데이터 분리Database Decomposition단일 DB → 서비스별 DB 로 전환
이벤트 모델링Event Storming전환 설계 시 도메인 이벤트 중심 분석 기법
운영 및 테스트장애 영향도SPOF 위험일부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
테스트 전략통합 테스트기능들이 결합되어 있어 전체 테스트가 중요
프로세스 모니터링Health Check & Metrics전체 시스템 상태 추적 필요 (예: liveness, readiness probe)
보안단일 진입점 보안API Gateway 보호모든 요청이 집중되므로 인증/인가가 중요
보안 운영Secret Management, Scanning민감 정보 관리 및 CI/CD 통합 보안 검사
개발 및 협업협업 충돌Merge Conflict 빈도↑동일 코드베이스에서 다수 개발자 작업 시 충돌 증가
개발 방식Monorepo 관리모놀리식 코드베이스에 효과적인 저장소 관리 방식
마이크로프론트엔드UI 모듈화프론트엔드도 기능별로 분리 가능한 접근
현대화 트렌드컨테이너화Dockerization컨테이너 기반의 모놀리스 운영 최적화
오케스트레이션Kubernetes 적용모놀리식도 Kubernetes 로 스케줄링 및 배포 가능
서버리스화Serverless MonolithLambda 단위로 모놀리식 코드를 실행하는 접근
  1. 아키텍처 구조:
    Monolithic Architecture 는 구성 요소 간 결합도가 높아 유지보수와 확장이 어렵지만, 내부 모듈화를 적용한 Modular Monolith 형태로 개선 가능하다. Layered Architecture 구조가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2. 배포 전략:
    단일 배포 방식은 빠르고 간단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다. CI/CD, GitOps, Docker 등을 활용해 자동화하면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Blue-Green, Canary 와 같은 배포 방식도 제한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3. 확장 전략:
    부분 확장이 어려워 전체 인스턴스를 복제하는 수평 확장이 주로 사용된다. 리소스 한계 도달 시 수직 확장이 가능하지만 한계가 존재한다.

  4. 성능 최적화:
    애플리케이션/DB 수준에서의 캐싱, DB 샤딩, 읽기 복제본 등으로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연결 풀링은 필수적인 기본 최적화 전략이다.

  5. 마이그레이션 전략:
    Strangler Fig Pattern 을 활용해 도메인 단위로 MSA 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이벤트 스토밍 기법을 통해 도메인 분석을 진행하고, DB 는 서비스별로 분리된다.

  6. 운영 및 테스트:
    모놀리스 구조는 SPOF 에 민감하며, 통합 테스트의 중요성이 크다. 상태 모니터링 및 헬스체크는 전체 시스템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이다.

  7. 보안:
    단일 진입점 (API Gateway) 을 중심으로 인증 및 인가가 집중되어 보안 중요도가 높다. 비밀 관리와 자동 스캐닝은 DevSecOps 관점에서 적용된다.

  8. 개발 및 협업:
    코드베이스가 단일한 만큼 병합 충돌이 잦으며, 협업 시 분명한 역할 분담과 코드 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프론트엔드 영역도 마이크로프론트엔드로 모듈화를 적용할 수 있다.

  9. 현대화 트렌드:
    Docker, Kubernetes, Serverless 환경에서도 모놀리스는 운영될 수 있으며, 현대화 전략의 일환으로 컨테이너 기반 패키징과 오케스트레이션이 필수적으로 고려된다.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

카테고리주제항목설명
아키텍처 스타일구조 비교모놀리식 vs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 전환 시 고려 요소와 장단점 비교 분석
내부 모듈화Vertical Slice기능별로 모놀리식 내부를 관통하는 모듈화 기법
전환 전략Strangler Fig Pattern마이크로서비스 전환을 위한 점진적 분리 전략
설계 원칙Clean Architecture의존성 역전, 관심사 분리 중심의 레이어드 구조 적용
경계 구분Bounded Context (DDD)도메인 기반의 서비스/모듈 경계 정의
빌드 및 배포CI/CD단일 아티팩트, 자동화 파이프라인Monolith 용 통합 빌드, GitHub Actions, Jenkins 등 활용
배포 전략Blue-Green, Canary, GitOps 배포무중단 배포 및 단계적 롤아웃 구성
테스트 전략통합 테스트End-to-End Testing전체 플로우 보장을 위한 통합 테스트 설계
계약 기반 테스트Contract Testing모듈 간 API 및 데이터 스키마 테스트 (JSON Schema 등)
성능 최적화병목 식별Performance Profiling응답 시간, 리소스 사용 분석 (e.g., Python cProfile)
부하 테스트Load Testing시스템 처리 한계 및 확장성 평가
모니터링APM 도구NewRelic, Datadog 기반 실시간 모듈 성능 측정
운영 및 장애 대응장애 복구 전략SPOF 대응, 모듈 장애 격리장애 확산을 막기 위한 설계 및 대응 전략
로깅/관찰성Structured Logging, Metrics, Tracing문제 진단 및 예측을 위한 시스템 상태 기록
백업 및 재해 복구 전략Disaster Recovery장애 시 데이터 복구와 복원 시나리오 구성
데이터 관리트랜잭션 일관성ACID Properties일관성 있는 데이터 처리 보장 메커니즘
ORM 최적화Lazy/Eager Load, N+1 방지객체 - 관계 매핑 시 성능 병목 최소화 전략
정규화 및 인덱싱데이터 구조 최적화중복 제거 및 검색 성능 개선을 위한 DB 설계 전략
보안 및 인증인증/인가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OAuth2, 세션, JWT 기반 보안 적용
보안 설계OWASP Top 10 대응구조 내 보안 취약점 방지 설계
감사 로깅Audit Trail시스템 내 사용자 및 시스템 행위 추적 기록
리팩토링/전환점진적 마이그레이션Anti-Corruption Layer외부화된 마이크로서비스와의 안정적 연결 계층
코드 리팩토링모듈화 전략, 코드 품질 유지관심사 분리 기반의 리팩토링 및 코드 재구성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설명
아키텍처 스타일Monolithic Architecture모든 기능이 단일 코드베이스/프로세스에 통합된 구조
Modular Monolith내부적으로 도메인/기능 단위로 모듈화된 모놀리식 아키텍처
Layered ArchitectureUI, 비즈니스 로직, 데이터 접근 계층으로 분리된 논리적 구조
N-Tier Architecture물리적으로 분리된 다계층 구조 (프레젠테이션, API, 비즈니스, DB 등)
Microservice Architecture각 기능을 독립된 서비스로 분산 운영하는 구조
Hybrid ArchitectureMonolith 과 MSA 구조를 혼합한 형태
설계 원칙Separation of Concerns관심사 분리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 확보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하나의 모듈/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는 원칙
Tight Coupling컴포넌트 간 의존도가 높아 유연성과 확장성 저하
Modularity기능별로 코드를 분리하여 독립성과 재사용성 확보
설계 및 구조 패턴MVC (Model-View-Controller)모델 - 뷰 - 컨트롤러 구조의 디자인 패턴
Vertical Slice Pattern기능 단위로 계층을 관통하는 모듈 구성 방식
Strangler Fig Pattern기존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대체하는 마이그레이션 전략
Repository Pattern데이터 접근 로직을 추상화하여 도메인과 분리
Facade Pattern복잡한 서브시스템을 단순화한 단일 인터페이스 제공
DevOps 및 배포 전략CI (Continuous Integration)소스코드 변경을 자동으로 통합하는 프로세스
CD (Continuous Deployment)코드 변경 후 자동으로 실서버에 배포하는 절차
Blue-Green Deployment두 개의 환경을 번갈아 배포해 무중단 서비스 유지
Canary Deployment일부 사용자 대상으로 점진적 배포 후 전체 적용
Rolling Deployment서버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배포 중단 방지
운영 및 인프라Container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캡슐화한 경량화된 가상화 기술
Load Balancing트래픽을 여러 인스턴스에 분산시켜 성능 확보
Scale-out (Horizontal Scaling)인스턴스 수를 늘려 확장
Scale-up (Vertical Scaling)기존 인스턴스의 성능을 향상시켜 확장
Single Point of Failure (SPOF)단일 장애로 전체 시스템 중단을 유발하는 지점
관찰성 및 모니터링Observability시스템 상태를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로 파악하는 체계
Distributed Tracing여러 컴포넌트에 걸친 요청 흐름을 추적 분석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실시간 분석하고 시각화
Log Aggregation분산 로그를 통합 수집하고 조회 가능하게 하는 기법
보안 및 인증JWT (JSON Web Token)토큰 기반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 전송에 활용
OAuth 2.0외부 서비스 인증을 위한 권한 위임 프로토콜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역할 기반 사용자 접근 제어
데이터 처리 및 최적화ACID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신뢰성 보장 속성 (원자성 등)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DB 기본 연산
Database Sharding데이터베이스를 수평으로 분할하여 확장성 확보
Connection PoolingDB 연결을 미리 생성·재사용하여 성능 향상
Caching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응답 속도 향상
Indexing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생성
이벤트 및 메시징Event BrokerKafka, RabbitMQ 등 이벤트를 중계하는 시스템
Event Sourcing상태 변경을 이벤트로 기록하고 재구성
CQRS명령과 조회를 분리하여 성능과 복잡성 분산
개발 방법론DDD (Domain-Driven Design)도메인 중심으로 모델을 설계하는 접근법
TDD (Test-Driven Development)테스트를 먼저 작성하고 구현하는 개발 방식
Refactoring코드 기능은 유지하면서 구조를 개선하는 활동
기타 아키텍처 구성요소Presentation LayerUI/사용자 인터페이스 담당 계층
Business Logic Layer도메인 규칙/로직을 담당하는 핵심 계층
Data Access LayerDB 와의 CRUD 및 ORM 연결 계층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