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테스트 (Stress Testing)#
스트레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극한의 조건에서 테스트하여 그 한계를 파악하는 성능 테스트의 한 유형이다.
이는 시스템이 정상적인 운영 범위를 넘어선 상황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평가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스트레스 테스트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import time
from locust import HttpUser, task, between
class StressTestUser(HttpUser):
wait_time = between(0.1, 0.5) # 매우 짧은 대기 시간
@task
def stress_test_scenario(self):
"""극한 상황 시뮬레이션"""
# 대용량 데이터 요청
with self.client.get("/api/products",
params={"page_size": 1000},
catch_response=True) as response:
# 응답 검증
if response.elapsed.total_seconds() > 5.0:
response.failure("응답 시간 초과")
elif response.status_code != 200:
response.failure(f"에러 발생: {response.status_code}")
# 시스템 복구 능력 테스트
time.sleep(0.1) # 잠시 대기
# 후속 요청으로 시스템 회복 확인
recovery_response = self.client.get("/api/health")
assert recovery_response.status_code == 200
|
특징과 목적#
스트레스 테스트의 주요 특징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시스템 한계 파악: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최대 부하를 찾아낸다.
- 안정성 평가: 극한 상황에서의 시스템 안정성을 확인한다.
- 오류 처리 능력 검증: 과부하 상황에서 시스템의 오류 처리 능력을 테스트한다.
- 복구 능력 평가: 시스템이 과부하 후 정상 상태로 돌아오는 능력을 확인한다.
테스트 범위#
스트레스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범위를 포함한다:
- 애플리케이션 서버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네트워크 인프라
- 하드웨어 리소스 (CPU, 메모리, 디스크 I/O)
수행 시점#
스트레스 테스트는 주로 다음 시점에 수행된다:
- 시스템 개발의 후반부
- 주요 업데이트나 변경 후
- 실제 운영 환경에 배포하기 전
검증 대상#
주요 검증 대상은 다음과 같다:
- 시스템 안정성
- 오류 처리 메커니즘
- 데이터 무결성
- 복구 능력
스트레스 테스트의 종류#
- 애플리케이션 스트레스 테스트: 애플리케이션 내의 데이터 잠금, 차단, 네트워크 문제 등을 테스트한다.
- 트랜잭션 스트레스 테스트: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극한 상황을 테스트한다.
- 시스템 통합 스트레스 테스트: 전체 시스템의 통합된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수행한다.
진행 방식#
스트레스 테스트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 테스트 계획 수립: 목표 설정, 시나리오 정의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stress_test_plan = {
"테스트_시나리오": [
"데이터베이스 과부하",
"네트워크 대역폭 포화",
"CPU 극한 사용",
"메모리 한계 상황"
],
"측정_지표": [
"시스템 응답 시간",
"에러율",
"복구 시간",
"자원 사용률"
],
"성공_기준": {
"복구_시간": "5분 이내",
"데이터_손실": "없음",
"정상화_확인": "필수"
}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def setup_monitoring():
"""스트레스 테스트 모니터링 설정"""
# 시스템 메트릭 모니터링
monitor_system_metrics([
"CPU_Usage",
"Memory_Usage",
"Disk_IO",
"Network_Traffic"
])
# 로그 모니터링
setup_log_monitoring()
# 알림 설정
configure_alerts({
"CPU": 95, # CPU 사용률 95% 초과
"Memory": 90, # 메모리 사용률 90% 초과
"Error_Rate": 0.1 # 에러율 10% 초과
})
|
- 테스트 환경 구축: 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환경 준비
- 테스트 실행: 점진적으로 부하를 증가시키며 테스트 수행
- 결과 분석: 시스템 동작, 오류 발생, 복구 능력 등을 분석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def analyze_stress_test_results(results):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분석"""
analysis = {
"시스템_한계점": {
"최대_동시_사용자": find_max_concurrent_users(results),
"최대_처리량": find_max_throughput(results),
"장애_발생_지점": find_failure_points(results)
},
"성능_지표": {
"평균_응답시간": calculate_average_response_time(results),
"최대_응답시간": find_max_response_time(results),
"에러_발생률": calculate_error_rate(results)
},
"복구_능력": {
"평균_복구시간": calculate_average_recovery_time(results),
"복구_성공률": calculate_recovery_success_rate(results)
}
}
return analysis
|
- 보고서 작성: 발견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 정리
스트레스 테스트 수행 시 주요 고려사항#
- 안전성 확보
테스트로 인한 실제 시스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한다. - 단계적 접근
갑작스러운 극한 부하보다는 단계적으로 부하를 증가시킨다. - 복구 계획 준비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한다. - 상세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든 구성 요소를 면밀히 모니터링한다.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예로 들어보자:
- 목표 설정: 최대 100,000명의 동시 접속자 처리 능력 확인
- 시나리오: 블랙프라이데이 세일 상황을 가정한 대규모 트래픽 유입
- 테스트 실행: 가상 사용자 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며 시스템 반응 관찰
- 결과 분석:
- 80,000명 이상에서 응답 시간 급격히 증가
- 95,000명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 오류 발생
- 시스템 복구에 5분 소요
- 개선 방안: 데이터베이스 최적화, 서버 자원 증설, 로드 밸런싱 개선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