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Driven Architecture

Event-Driven Architecture Event‑Driven Architecture(EDA) 는 시스템 내 이벤트 (예: 주문 생성, 결제 완료) 가 브로커/채널을 통해 퍼블리시되고, 이를 구독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하는 패턴이다. 이 구조는 Pub/Sub 기반 메시지 전송, 이벤트 라우팅, 비동기 처리, 이벤트 저장소, Eventual Consistency 등을 활용해 서비스 간 느슨한 결합과 독립적 확장성을 확보한다. 또한, 복잡한 업무 흐름 (Orchestration vs Choreography) 및 CQRS/Event Sourcing 패턴도 지원하며, 이기종 시스템 통합, IoT, 마이크로서비스, 실시간 분석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배경 Event-Driven Architecture 는 전통적인 모놀리식 아키텍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2000 년대 초반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의 발전과 함께 비동기 메시징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클라우드 컴퓨팅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산으로 EDA 가 주목받게 되었다. ...

February 1, 2025 · 58 min · Me

Cloud Networking

Cloud Networking 클라우드 네트워킹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리소스들을 연결하고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인프라를 의미한다. 기존의 물리적 네트워크와 달리,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더욱 유연하고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적인 제공과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를 위해서는 견고한 네트워크 인프라가 필수적이다. 기본 개념 클라우드 네트워킹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사용하여 조직의 직원,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는 기업 네트워크를 배포하는 것. 이는 가상 라우터, 방화벽,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 WAN(Wide Area Network)이다. ...

October 20, 2024 · 5 min · Me

gRPC API

gRPC gRPC는 Google에서 개발한 고성능, 오픈소스 RPC(Remote Procedure Call) 프레임워크이다. ‘g’는 원래 Google을 의미했지만, 현재는 “gRPC Remote Procedure Calls"의 재귀적 약자로 사용된다. 2015년에 공개되었으며, 현재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CNCF)의 졸업 프로젝트이다. gRPC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와 높은 성능이 필요한 시스템에 이상적인 강력한 RPC 프레임워크이다. Protocol Buffers, HTTP/2, 코드 생성 및 다양한 통신 패턴을 통해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API를 구축할 수 있다. 시작하기 전에 Protocol Buffers 문법, HTTP/2 기본 사항, 스트리밍 패턴 및 오류 처리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초를 다진 후에는 점진적으로 더 복잡한 기능을 탐색하고 실제 프로젝트에 gRPC를 통합할 수 있다. ...

October 19, 2024 · 19 min · Me

Network Traffic

네트워크 트래픽 (Network Traffic) 네트워크 트래픽은 데이터가 패킷 단위로 네트워크를 흐르는 양과 특성을 뜻하며, 처리량·대역폭·지연·손실 같은 지표로 성능을 평가한다. 최적화는 경로 (BDP·MTU), 엔드포인트 (혼잡제어·멀티플렉싱), 장비 (QoS·AQM),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2·3, TLS1.3) 협응을 기반으로 한다. IPFIX·sFlow·eBPF 측정을 통해 기준선을 세우고, fq_codel/PIE·ECN/L4S·BBR·QUIC 같은 최신 기법을 적용한다. 실무에서는 Linux tc·iperf3·클라우드 Flow Logs·K8s NetworkPolicy 로 운영하며, 머신러닝 기반 이상 탐지와 AI 자동화 관리가 점차 결합된다. 트래픽 관리는 성능 최적화뿐 아니라 보안·컴플라이언스·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IT 인프라 핵심 역량이다. ...

October 16, 2024 · 12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