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vs.TCP/IP Model

OSI vs.TCP/IP Model TCP/IP(Internet Protocol Suite) 와 OSI 참조 모델은 계층화 철학이 다르다. OSI 는 ISO 표준의 개념적 7 계층으로 기능을 세분해 교육·표준화·원인분석에 적합하고, TCP/IP 는 RFC 기반의 실무적 4 계층 (또는 5 계층 변형) 으로 운영체제·네트워크 장비의 실제 프로토콜과 직접 매핑된다. 실무에서는 TCP/IP 를 기준으로 시스템 설계·모니터링·보안 배치를 하고, OSI 모델은 문제 구간 식별과 교육용 틀로 병행 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기초 개념 및 배경 비교 개념 정의 및 본질 차이 TCP/IP 와 OSI 는 둘 다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한 ’ 계층화 ’ 도구다. 다만 TCP/IP 는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들의 집합 (실무 기준)**이고, OSI 는 통신 기능을 세밀하게 나눈 교육·설계용 참조 모델이다. ...

October 19, 2024 · 47 min · Me

OSI Model

OSI 7 계층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OSI 7 계층 모델은 ISO 가 제시한 네트워크 참조모델로, 통신을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용의 7 개 계층으로 분해해 각 계층의 책임을 분명히 한다. 이 구조는 캡슐화와 계층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계·표준화·문제해결을 쉽게 하며, 스위치·라우터·로드밸런서·애플리케이션 서버 등 실무 장비의 역할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다만 실제 인터넷은 TCP/IP 중심이고, TLS·QUIC·HTTP/3 같은 최신 프로토콜은 계층 경계를 넘나들므로 OSI 는 교육·분석 도구로 사용하되 실전에서는 TCP/IP 매핑과 최신 아키텍처 (SDN, eBPF, 서비스 메시) 를 함께 이해해야 효과적이다. ...

October 16, 2024 · 84 min · Me

TCP/IP Model

TCP/IP 4 계층 TCP/IP 4 계층 모델은 ARPANET/DARPA 연구를 바탕으로 IETF 의 RFC 들에서 정리된 실무 중심 네트워크 구조로, 네트워크 접근 (이더넷/와이파이·프레이밍), 인터넷 (IP/라우팅·ICMP), 전송 (TCP 의 신뢰성, UDP 의 비연결성, 최근 QUIC 의 등장), 응용 (HTTP/DNS/SSH 등) 네 계층으로 구성된다. 각 계층은 캡슐화로 데이터를 전달하고 독립적으로 발전 가능해 확장성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한다. 문제 해결은 계층별 증상 매핑 (예: 링크 문제→케이블/스위치, 인터넷 문제→라우팅/MTU, 전송 문제→재전송/포트, 애플리케이션 문제→프로토콜) 을 통해 효율적으로 접근한다. ...

October 17, 2024 · 62 min · Me

Cross-Layer Functions

Cross-Layer Functions 크로스 - 레이어 기능은 네트워크 계층을 엄격히 분리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전송·네트워크 계층이 필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해 전체 성능을 높이는 설계다. 예컨대 패킷 우선표식 (DSCP), 혼잡 표지 (ECN), 경로 정보 (PMTUD) 와 5G 의 5QI 를 와이파이·IP 와 매핑하고, QUIC·L4S 같은 저지연 전송을 함께 쓰면 지연과 손실을 줄이며 확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표준화·보안·운영정책·상호운용성 검증이 병행돼야 실무에서 안정적으로 활용된다. 핵심 개념 네트워크는 여러 계층으로 나뉘지만, 현실에서는 성능·신뢰성 향상을 위해 계층 간 정보를 공유해야 할 때가 많다. ...

May 12, 2025 · 84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