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nt Broker vs. Message Broker 이벤트 브로커와 메시지 브로커는 현대 분산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미들웨어로, 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추고 확장성, 신뢰성, 실시간성, 장애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벤트 브로커는 Pub/Sub, 이벤트 스트리밍, 실시간 데이터 분배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메시지 브로커는 큐잉, 복잡한 라우팅, 포맷 변환, 트랜잭션 등 엔터프라이즈 통합에 강점을 보인다. 두 기술은 아키텍처, 메시징 패턴, 처리 방식, 주요 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실제 환경에서는 요구사항에 따라 혼합 적용되기도 한다.
핵심 개념 메시지 브로커는 작업 처리와 안정성 중심의 통신에 적합하며, 명령 (Command), 요청 - 응답, 복잡한 라우팅이 필요한 경우에 효과적이다. 이벤트 브로커는 실시간 스트리밍, 이벤트 소싱, 이벤트 기반 데이터 흐름이 중심인 아키텍처에 최적화되어 있다. 양자 모두 분산 시스템에서의 decoupling, 비동기성, 확장성 확보에 필수적인 미들웨어이며, 도메인/업무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거나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항목 Event Broker (이벤트 브로커) Message Broker (메시지 브로커) 기본 정의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토픽 기반 Pub/Sub 모델로 중계 및 브로드캐스트하는 미들웨어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메시지를 큐 기반 Point-to-Point 방식으로 중개 및 전달하는 미들웨어 기반 모델 Log 기반, Publish-Subscribe 모델 Queue 기반, Routing 기반 (Direct, Topic, Fanout, Headers) 메시지 처리 방식 여러 구독자가 동일 이벤트를 동시에 소비 가능 (1:N, N:N 확장에 유리) 메시지를 수신한 단일 소비자가 처리 (1:1 또는 Load Balancing 처리) 용도 중심성 상태 변화, 알림, 데이터 변경 전파 등 이벤트 스트리밍 중심 (Event-based) 작업 명령, 요청 처리, 커맨드 전송 중심 (Command-based) 재처리 및 리텐션 로그 기반으로 이벤트 보존 가능 (리텐션/압축 설정), 이벤트 재처리 및 타임 트래블 가능 일반적으로 메시지 소비 후 삭제, 재처리는 DLQ 기반 처리 주요 특징 실시간 이벤트 스트리밍, 대용량 데이터 브로드캐스트, 이벤트 소싱 및 추적 가능 신뢰성 높은 메시지 전달, 메시지 포맷 변환, 복잡한 라우팅 지원 대표 구현체 Apache Kafka, Apache Pulsar, Amazon EventBridge, Azure Event Grid, Solace PubSub+ RabbitMQ, Apache ActiveMQ, IBM MQ, Amazon SQS Event Broker vs. Message Broker 비교 이벤트 브로커와 메시지 브로커는 모두 메시지 기반의 비동기 통신 미들웨어이다. 하지만 이벤트 중심 (Event-Driven Architecture) 과 메시지 큐잉 및 라우팅 (Queueing & Routing) 이라는 핵심 원칙과 동작 방식의 차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