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Systems and Data Management

Database Systems and Data Management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현대 디지털 환경에서 모든 정보의 저장소 역할을 담당하는 핵심 기술이다. DBMS 소프트웨어 위에서 데이터 저장, 조회, 트랜잭션 처리, 동시 제어, 회복, 보안을 수행한다. 관계형, NoSQL, 계층형, 네트워크형 등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제공하며, 3 계층 아키텍처를 통해 데이터 독립성과 보안을 확보한다. 트랜잭션 처리, 동시성 제어, 백업 및 복구 등의 기능을 통해 데이터 무결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며, 인덱싱과 쿼리 최적화를 통해 성능을 향상시킨다. 설계 시에는 스키마 설계, 인덱싱, 파티셔닝, 샤딩, 캐싱, 데이터 확장성, CAP 정리 등을 고려해야 한다. ...

June 8, 2025 · 31 min · Me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직렬화(Serialization)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렬화와 역직렬화의 개념 직렬화(Serialization)는 데이터 구조나 객체 상태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객체의 상태는 바이트 스트림이나 텍스트 형식(예: JSON, XML)으로 변환된다. 직렬화는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선형적인(linear) 형태로 “펼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직렬화의 반대 과정으로, 저장되거나 전송된 바이트 스트림이나 텍스트를 원래의 객체 구조로 다시 변환하는 작업이다. 이 과정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October 26, 2024 · 7 min · Me

데이터 불일치 (Data Inconsistency)

데이터 불일치 (Data Inconsistency) 동일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위치에서 서로 다른 형식이나 값으로 존재하는 상황 Source: https://www.geeksforgeeks.org/what-is-data-inconsistency-in-dbms/ 발생 조건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하는 주요 조건: 동시성 작업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정할 때 트랜잭션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을 때 분산 환경 네트워크 지연이나 실패가 발생할 때 데이터 복제 과정에서 시간 차이가 발생할 때 캐싱 문제 캐시 무효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캐시와 원본 데이터 간의 동기화 실패 시스템 오류 하드웨어 오류, 네트워크 문제, 소프트웨어 버그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통합 문제: 서로 다른 소스의 데이터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해결책 및 방지책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형식, 값, 표현을 일관되게 만든다. 데이터 검증: 데이터 입력 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데이터 정제: 오류를 식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관리에 대한 명확한 정책과 절차를 수립한다. 동기화 메커니즘: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실제 시스템에서의 예방책 데이터 감사: 정기적인 데이터 감사를 통해 불일치를 식별한다. 자동화 도구 사용: 데이터 품질 관리 도구를 활용하여 불일치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링: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잠재적 문제를 파악한다. 버전 관리: 데이터 변경 이력을 추적하여 불일치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한다. 고려사항 및 주의사항 성능 영향: 데이터 일관성 유지 메커니즘이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확장성: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교육: 데이터 입력 및 수정 시 주의사항에 대해 사용자를 교육해야 한다. 비즈니스 규칙 반영: 데이터 일관성 규칙에 비즈니스 로직을 반영해야 한다. 주의 사항 및 모범 사례 버전 관리 모든 데이터 변경에 버전 번호 부여 낙관적 락킹 구현 충돌 감지 및 해결 메커니즘 구축 캐시 전략 Cache-Aside 패턴 사용 적절한 TTL(Time-To-Live) 설정 캐시 무효화 전략 수립 동기화 메커니즘 분산 락 사용 이벤트 기반 동기화 멱등성 보장 모니터링 및 감사 버전 이력 관리 변경 로그 기록 불일치 감지 알림 실제 구현시 고려사항 확장성 수평적 확장을 고려한 설계 샤딩 전략 수립 복제 지연 관리 성능 캐시 적중률 최적화 인덱스 전략 수립 배치 처리 활용 복구 전략 백업 및 복구 계획 롤백 메커니즘 데이터 정합성 검증 모범 사례 단일 진실 소스(Single Source of Truth) 유지 데이터 품질 메트릭 정의 및 모니터링 데이터 소유권 및 책임 명확화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 개선 프로세스 구축 데이터 불일치 해결을 위한 명확한 워크플로우 수립 파이썬 예제로 보는 데이터 불일치 다음은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 ...

October 25, 2024 · 5 min · Me

프로시저 (Procedure)

프로시저 (Procedure) 데이터베이스 프로시저(Database Procedure)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실행되는 일련의 SQL 문들의 집합으로, 자주 사용하는 SQL 명령어들을 하나의 작은 프로그램으로 미리 작성해두고 필요할 때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SQL Server에서의 프로시저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주문 처리를 위한 저장 프로시저 생성 CREATE PROCEDURE ProcessOrder @OrderID int, @CustomerID int, @TotalAmount decimal(10,2) AS BEGIN -- 트랜잭션 시작 BEGIN TRANSACTION TRY -- 주문 정보 입력 INSERT INTO Orders (OrderID, CustomerID, OrderDate, TotalAmount) VALUES (@OrderID, @CustomerID, GETDATE(), @TotalAmount) -- 재고 수량 업데이트 UPDATE Inventory SET Quantity = Quantity - 1 WHERE ProductID IN ( SELECT ProductID FROM OrderDetails WHERE OrderID = @OrderID ) -- 고객 포인트 업데이트 UPDATE Customers SET Points = Points + (@TotalAmount * 0.01) WHERE CustomerID = @CustomerID -- 트랜잭션 완료 COMMIT TRANSACTION CATCH -- 오류 발생 시 롤백 ROLLBACK TRANSACTION -- 오류 정보 반환 SELECT ERROR_MESSAGE() AS ErrorMessage END END -- 프로시저 사용 예시 EXEC ProcessOrder @OrderID = 1001, @CustomerID = 500, @TotalAmount = 150000 프로시저의 주요 특징과 장점 성능 최적화 프로시저는 최초 실행 시 컴파일되어 캐시에 저장되므로, 반복 실행 시 더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 ...

October 24, 2024 · 4 min · Me

keyword

Keyword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조작하기 위한 표준 언어로, 다양한 키워드를 통해 데이터 정의, 조작, 제어, 트랜잭션 관리 등을 수행한다. 데이터 조회 (Query) 키워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SELECT: 데이터를 조회하는 기본 키워드 -- 지정된 컬럼의 데이터를 결과셋으로 반환 SELECT employee_id, first_name, salary FROM employees; -- FROM: 데이터를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 -- 여러 테이블을 콤마로 구분하거나 JOIN을 사용할 수 있음 SELECT * FROM employees, departments; -- DISTINCT: 결과에서 중복된 행을 제거하는 데 사용 -- 기본 DISTINCT 사용 -- 부서별 unique한 직무 목록 조회 SELECT DISTINCT job_id FROM employees; -- 여러 컬럼에 DISTINCT 적용 -- 부서와 직무의 unique한 조합 조회 SELECT DISTINCT department_id, job_id FROM employees; -- COUNT와 함께 사용 -- 회사에 존재하는 직무 개수 조회 SELECT COUNT(DISTINCT job_id) as unique_jobs FROM employees; -- GROUP BY와 함께 사용 SELECT department_id, COUNT(DISTINCT job_id) as job_types FROM employees GROUP BY department_id; 결과 제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LIMIT - 반환되는 결과의 최대 행 수를 제한합니다. SELECT * FROM employees LIMIT 10 -- 상위 10개 행만 반환 -- OFFSET - 결과의 시작 위치를 지정합니다. LIMIT와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SELECT * FROM employees LIMIT 10 OFFSET 20 -- 21번째부터 30번째 행을 반환 -- FETCH - SQL 표준의 LIMIT와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SELECT * FROM employees FETCH FIRST 10 ROWS ONLY -- 페이지당 10개 항목, 3번째 페이지 조회 SELECT * FROM products ORDER BY name LIMIT 10 OFFSET 20; -- (페이지 번호 - 1) * 페이지 크기 = OFFSET 조건 연산자 키워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WHERE: 조건절을 지정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만 조회 -- AND, OR을 사용하여 여러 조건 조합 가능 SELECT * FROM employees WHERE salary > 50000 AND department_id = 10; -- IN: 값 목록 중 포함 여부 -- BETWEEN: 범위 조건 -- LIKE: 패턴 매칭 -- IS NULL: NULL 값 확인 SELECT * FROM employees WHERE department_id IN (10, 20, 30) AND salary BETWEEN 40000 AND 60000 AND first_name LIKE '김%' AND manager_id IS NOT NULL; -- CASE - 조건에 따라 다른 값을 반환합니다. -- WHEN - CASE 문에서 조건을 지정합니다. -- THEN - 조건이 참일 때 반환할 값을 지정합니다. -- ELSE -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반환할 값을 지정합니다. SELECT name, CASE WHEN age < 20 THEN 'Young' WHEN age < 60 THEN 'Adult' ELSE 'Senior' END as age_group FROM users; 정렬과 그룹화 키워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GROUP BY: 지정된 컬럼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화 -- 주로 집계 함수와 함께 사용 SELECT department_id, AVG(salary) FROM employees GROUP BY department_id; -- ORDER BY: 결과를 정렬 -- ASC(오름차순), DESC(내림차순) 지정 가능 SELECT * FROM employees ORDER BY salary DESC, first_name ASC; -- HAVING: GROUP BY로 그룹화된 데이터에 대한 조건 지정 -- WHERE는 개별 행에 대한 조건, HAVING은 그룹에 대한 조건 SELECT department_id, AVG(salary) FROM employees GROUP BY department_id HAVING AVG(salary) > 50000; 조인(Join) 관련 키워드 JOIN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검색하는 방법이다. JOIN을 사용하면 여러 테이블의 데이터를 하나의 결과 집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

October 24, 2024 · 15 min · Me

Data Pipeline Pattern

Data Pipeline Pattern 데이터 파이프라인 패턴은 데이터를 원천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아키텍처 패턴이다. 이 패턴은 데이터의 수집, 처리, 저장, 분석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된다. 데이터 파이프라인 패턴을 효과적으로 구현하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각 조직의 요구사항과 데이터 특성에 맞는 최적의 패턴을 선택하고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https://www.informatica.com/blogs/data-processing-pipeline-patterns.html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주요 구성요소 데이터 수집 (Data Ingestion) 다양한 소스(데이터베이스, API, 로그 파일 등)에서 데이터를 추출한다. 실시간 또는 배치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및 변환 (Data Processing and Transformation) ...

November 19, 2024 · 2 min · Me

Architectures

Architectures Lambda Architecture(람다 아키텍처) 는 대용량 데이터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배치 처리와 실시간 스트림 처리를 결합한 구조로, 데이터의 신속한 처리와 정확한 결과를 동시에 제공한다. 반면 Kappa Architecture(카파 아키텍처) 는 모든 처리를 스트림 기반으로 단순화하여, 데이터 재처리와 시스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두 아키텍처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데이터 신뢰성, 확장성, 실시간성 확보를 위한 대표적인 설계 방식으로, 각각의 특징과 적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된다. 핵심 개념 Lambda Architecture 핵심 개념: 배치 계층 (Batch Layer): 대용량 히스토리컬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하는 불변 데이터 저장소 스피드 계층 (Speed Layer):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을 낮은 지연시간으로 처리 서빙 계층 (Serving Layer): 배치와 스피드 계층의 결과를 통합하여 쿼리 서비스 제공 휴먼 내결함성 (Human Fault Tolerance): 코드 오류나 알고리즘 변경 시 히스토리컬 데이터 재처리 지원 Kappa Architecture 핵심 개념: ...

July 14, 2025 · 12 min · Me

Processing Types

Processing Types 데이터 처리 방식은 시스템의 요구 사항에 따라 배치 (Batch), 스트림 (Stream), 하이브리드 (Hybrid) 로 구분된다. Batch Processing 은 데이터의 대량 집계와 정확성에 적합하고, Stream Processing 은 실시간 응답성과 낮은 지연 시간에 유리하다. Hybrid Processing 은 Lambda Architecture 처럼 두 방식을 조합해 실시간성과 정확성을 모두 확보하려는 전략이다. 각각은 처리량, 지연 시간, 아키텍처 복잡도 등에서 상호 보완적이며, 시스템 목적에 따라 선택 또는 병행된다. 핵심 개념 Batch는 대용량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하고, 일정 간격으로 분석과 보고서를 생성하는 데 적합하다. Stream은 지연 없이 이벤트를 실시간 처리하고, 즉시 반응해야 하는 시스템에 사용된다. Hybrid는 두 방식의 강점을 조합하여, 실시간성과 정합성이 모두 중요한 복잡한 비즈니스 도메인에서 사용된다. 예: 이상 탐지, 실시간 사용자 분석, 추천 시스템 등. 구분 Batch Processing Stream Processing Hybrid Processing 정의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서 일괄 처리 데이터가 생성되는 즉시 실시간으로 처리 배치와 스트림 방식을 병행하여 처리 지향점 정확성, 정합성 중심 실시간성, 즉시 반응 중심 정확성과 실시간성의 균형 처리 방식 고정 주기 실행 (예: 하루 1 회) 이벤트 기반으로 연속 처리 배치 레이어 + 스피드 레이어 (Lambda) / 통합 레이어 (Kappa) 주요 특징 지연 허용, 대용량 처리, 분석 최적화 낮은 지연, 빠른 대응, 상태 기반 처리 가능 복합적 요구 대응, 운영 복잡도 증가 활용 분야 리포트 생성, ETL, 통계 분석 실시간 알림, 이상 탐지, 모니터링 금융 거래 분석, 사용자 행동 예측, 마케팅 실시간 반응 시스템 등 실무 기술 스택 매핑 구성 요소 Batch Stream Hybrid (Lambda/Kappa) 엔진 Apache Spark, Hadoop MapReduce, Hive Apache Flink, Kafka Streams, Spark Streaming Lambda: Spark + Storm / Kappa: Flink 단독 사용 메시징 시스템 Kafka, Amazon Kinesis Kafka, Pulsar, RabbitMQ Kafka (공통 메시지 버퍼링), Kinesis 저장소 HDFS, Amazon S3, RDBMS NoSQL, Elasticsearch, Redis 데이터 레이크 + 실시간 인덱싱 레이어 스케줄링 Airflow, Oozie Kafka Consumer, Flink Job 조합: Airflow + Flink / Kappa 구조에서는 Flink 단독 사용 서빙 레이어 Presto, Druid, BI 도구 Redis, Elasticsearch Redis + Druid/ES 통합 서빙 실무 적용 사례 및 고려 사항 구분 적용 사례 처리 우선순위 적합성 설명 Batch 월간 리포트 생성, 로그 정제 및 보관 정합성 우선 대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하며, 처리 지연 허용 가능 Stream 실시간 트래픽 분석,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 반응 속도 우선 지연이 적고 상태 기반 처리가 필요한 실시간 이벤트 처리에 적합 Hybrid 광고 클릭 분석, 이상 금융 거래 탐지 정합성 + 실시간성 정확성과 즉시 반응이 동시에 필요한 복합적 시스템에 최적화 하위 처리 기준 비교 기준 Batch Stream Hybrid 지연 허용 여부 있음 (분 ~ 시 단위) 없음 (ms ~ s 단위) 부분 허용 정확성 ✅ ❌ ✅ 실시간성 ❌ ✅ ✅ 구현 복잡도 낮음 보통 높음 운영 복잡도 단순 보통 복잡 아키텍처 연계 요약 처리 방식 연계 아키텍처 설명 Batch ETL Pipeline, Data Warehouse 데이터 수집 → 변환 → 적재 → 분석 (정기적 리포트 등) Stream Event-Driven, Reactive 실시간 이벤트 수신 및 처리, CEP 등 이벤트 흐름 중심 구조 Hybrid Lambda, Kappa Architecture Lambda: 배치 + 스피드 레이어 / Kappa: 단일 스트림 기반 배치 + 실시간 통합 구조 Batch Processing vs. Stream Processing vs. Hybrid Processing 비교 각 처리 방식은 데이터의 시간적 특성과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된다. 배치 처리는 정확성과 효율성을, 스트림 처리는 실시간성과 반응성을, 하이브리드 처리는 두 방식의 균형을 추구한다. ...

July 14, 2025 · 19 min · Me

Data Warehouse

Data Warehouse Data Warehouse 는 기업 내외부의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정제·적재 (ETL) 하여, 통합·정형화된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하는 중앙 집중형 데이터 저장소다. 데이터 모델링, 정합성, 품질 관리가 엄격하게 적용되며,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기반의 고성능 분석과 BI 를 지원한다. 데이터의 일관성, 신뢰성, 보안, 확장성을 보장하며, 대규모 조직의 전략적 의사결정과 실시간/배치 분석, 리포팅, 예측 분석 등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를 충족한다. 배경 운영 데이터베이스 (OLTP) 만으로는 복잡한 분석·리포팅 한계 데이터 사일로, 데이터 품질 저하, 중복 등 문제 해결 필요 전략적 의사결정·BI·예측 분석의 수요 증가 목적 및 필요성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지원: 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 기반 통찰력 제공 데이터 통합: 이기종 시스템의 데이터를 단일 관점으로 통합 성능 최적화: OLAP 쿼리에 최적화된 구조로 분석 성능 향상 데이터 품질 보장: 데이터 정제와 표준화를 통한 신뢰성 확보 핵심 개념 Data Warehouse (DWH) 는 조직의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정제·통합·구조화하여, 비즈니스 분석 (OLAP: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목적에 맞게 저장하는 고성능 데이터 저장소이다. ...

July 8, 2025 · 29 min · Me

ACID Properties

ACID Properties 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는 1983 년 Andreas Reuter 와 Theo Härder 가 정의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4 대 핵심 특성으로, 데이터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한다. 원자성 (Atomicity) 은 트랜잭션이 전부 실행되거나 전혀 실행되지 않음을, 일관성 (Consistency) 은 데이터 제약과 규칙 준수를, 격리성 (Isolation) 은 동시 실행 간 간섭 방지를, 지속성 (Durability) 은 커밋된 결과의 영구 보존을 의미한다. 이 원칙은 은행 거래, 재고 관리, 의료 기록 등 오류와 장애에 강한 시스템에서 필수적이다. 현대의 분산·클라우드 환경에서는 CAP 정리와의 균형 속에서 2PC, 합의 알고리즘 (Paxos, Raft) 등으로 ACID 를 구현하며, NewSQL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DBMS 에서도 표준 설계 지침으로 적용된다. ...

May 15, 2025 · 60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