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벽 (Firewall)
네트워크 보안의 핵심 요소로,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시스템.
방화벽은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에 기반하여 들어오고 나가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으로 신뢰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와 신뢰할 수 없는 외부 네트워크(예: 인터넷) 사이의 장벽 역할을 한다.
방화벽의 기본 동작 원리
|
|
주요 기능
접근 통제(Access Control):
- 패킷 필터링을 통해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통제한다.
- IP 주소와 서비스 포트를 검사하여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인증(Authentication):
- 메시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감사 및 로깅(Auditing & Logging):
- 정책 설정, 관리자 접근, 네트워크 트래픽 등에 대한 로그를 기록한다.
프록시(Proxy) 기능: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받아 서버에 전달하고 결과를 반환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내부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변환하여 통신한다.
동작 원리
방화벽은 기본적으로 모든 접근을 거부(deny)한 후, 허용할 접근만 단계적으로 허용(allow/permit)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약 65,000개의 통신 포트 중 필요한 포트만을 선별적으로 개방하여 보안을 유지한다.
주요 유형
패킷 필터링 방화벽: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방화벽으로, 패킷의 헤더 정보를 기반으로 필터링을 수행한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class PacketFilterFirewall(Firewall): def inspect_packet(self, packet): """패킷 헤더 검사""" # IP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 등 확인 header_info = { 'src_ip': packet.get_source_ip(), 'dst_ip': packet.get_destination_ip(), 'src_port': packet.get_source_port(), 'dst_port': packet.get_destination_port(), 'protocol': packet.get_protocol() } # 규칙 확인 for rule in self.rules: if self.match_rule(header_info, rule): return rule.action return self.default_policy
상태 검사 방화벽:
연결 상태를 추적하여 더 정교한 필터링을 수행한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lass StatefulFirewall(Firewall):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connection_table = {} # 연결 상태 추적 def track_connection(self, packet): """연결 상태 추적""" connection_id = self.get_connection_id(packet) if packet.is_new_connection(): # 새로운 연결 시작 self.connection_table[connection_id] = { 'state': 'NEW', 'start_time': time.time(), 'packets_in': 1, 'packets_out': 0 } else: # 기존 연결 업데이트 if connection_id in self.connection_table: self.update_connection_state(connection_id, packet)
애플리케이션 계층 방화벽: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데이터를 검사할 수 있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class ApplicationFirewall(Firewall): def inspect_application_data(self, packet):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검사""" if packet.protocol == "HTTP": return self.inspect_http_traffic(packet) elif packet.protocol == "DNS": return self.inspect_dns_traffic(packet) # 기타 프로토콜 처리 def inspect_http_traffic(self, packet): """HTTP 트래픽 검사""" http_data = packet.get_http_data() # URL 필터링 if not self.is_allowed_url(http_data.url): return "DENY" # 콘텐츠 검사 if self.contains_malicious_content(http_data.body): return "DENY" return "ALLOW"
구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보안 기능들
접근 제어 목록(ACL) 관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class AccessControlList: def __init__(self): self.acl_rules = {} def add_rule(self, source, destination, permission): """ACL 규칙 추가""" rule_key = f"{source}->{destination}" self.acl_rules[rule_key] = permission def check_access(self, source, destination): """접근 권한 확인""" rule_key = f"{source}->{destination}" return self.acl_rules.get(rule_key, "DENY")
로깅과 모니터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class FirewallLogger: def __init__(self): self.log_file = "firewall.log" def log_event(self, event_type, details): """보안 이벤트 로깅""" timestamp = datetime.now().isoformat() log_entry = { 'timestamp': timestamp, 'type': event_type, 'details': details } with open(self.log_file, 'a') as f: json.dump(log_entry, f) f.write('\n')
침입 탐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class IntrusionDetection: def __init__(self): self.signature_database = self.load_signatures() self.anomaly_detector = AnomalyDetector() def analyze_traffic(self, packet): """트래픽 분석 및 침입 탐지""" # 시그니처 기반 탐지 if self.match_signatures(packet): return "THREAT_DETECTED" # 이상 행동 탐지 if self.anomaly_detector.detect(packet): return "ANOMALY_DETECTED" return "NORMAL"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
성능 최적화:
- 규칙 평가 순서 최적화
- 캐싱 메커니즘 구현
- 병렬 처리 활용
고가용성:
- 이중화 구성
- 장애 복구 메커니즘
- 부하 분산
관리 용이성:
- 직관적인 관리 인터페이스
- 규칙 검증 메커니즘
- 변경 이력 관리
보안 정책:
- 최소 권한 원칙 적용
- 기본 거부(Default Deny) 정책
- 정기적인 규칙 검토 및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