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based Authentication
세션 기반 인증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가장 전통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메커니즘은 웹의 초창기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도 많은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인증 방식으로 채택되고 있다.
세션 기반 인증의 기본 개념
세션 기반 인증은 HTTP 프로토콜의 무상태(stateless)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HTTP는 기본적으로 각 요청이 독립적이며, 서버가 이전 요청의 컨텍스트를 기억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같은 지속적인 상태 관리가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문제가 된다.
세션 기반 인증의 핵심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에 세션이라는 임시 상태 저장소가 생성된다.
- 서버는 이 세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세션 ID를 생성한다.
- 이 세션 ID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쿠키로 저장된다.
- 이후 사용자가 요청을 보낼 때마다 이 세션 ID가 함께 전송되므로, 서버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 로그아웃하거나 세션이 만료되면 서버에서 세션 정보가 삭제된다.
세션 기반 인증의 작동 방식
세션 기반 인증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인증 단계
- 사용자 로그인 시도: 사용자가 자신의 자격 증명(일반적으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을 웹 애플리케이션에 제출한다.
- 자격 증명 검증: 서버는 제출된 자격 증명을 검증한다(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 세션 생성: 자격 증명이 유효하면, 서버는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고 고유한 세션 ID를 할당한다.
- 세션 저장: 서버는 세션 정보(사용자 ID, 권한, 기타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캐시 시스템에 저장한다.
- 세션 ID 전달: 서버는 HTTP 응답의
Set-Cookie
헤더를 통해 세션 ID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 쿠키 저장: 브라우저는 이 세션 ID를 쿠키로 저장한다.
인증 상태 유지 단계
- 후속 요청: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추가 요청을 보낸다.
- 쿠키 전송: 브라우저는 자동으로 저장된 세션 쿠키를 요청 헤더에 포함시킨다.
- 세션 검증: 서버는 받은 세션 ID를 사용하여 저장된 세션 정보를 조회한다.
- 권한 확인: 세션이 유효하면,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고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반환한다.
세션 종료 단계
- 로그아웃 요청: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로그아웃을 요청하거나, 세션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 세션 삭제: 서버는 저장소에서 해당 세션 정보를 삭제한다.
- 쿠키 무효화: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세션 쿠키를 무효화하도록 지시한다(일반적으로 만료 시간을 과거로 설정).
세션 저장소 옵션
세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과 아키텍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주요 저장소 옵션은 다음과 같다:
- 메모리 저장소
- 특징: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메모리에 세션 데이터를 저장한다.
- 장점: 접근 속도가 매우 빠르며, 구현이 간단하다.
- 단점: 서버가 재시작되면 모든 세션 데이터가 손실된다. 다중 서버 환경(로드 밸런싱)에서는 세션 공유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사용 사례: 개발 환경, 단일 서버 애플리케이션, 세션 데이터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 특징: 관계형 또는 NoSQL 데이터베이스에 세션 데이터를 저장한다.
- 장점: 영구적인 저장이 가능하며, 서버 재시작 후에도 세션이 유지된다. 다중 서버 환경에서도 세션 공유가 가능하다.
- 단점: 메모리 저장소보다 접근 속도가 느리며, 데이터베이스 연결 및 쿼리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 사용 사례: 운영 환경, 세션 데이터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다중 서버 환경.
- 분산 캐시 시스템
- 특징: Redis, Memcached와 같은 인메모리 캐시 시스템에 세션 데이터를 저장한다.
- 장점: 메모리 접근 속도에 가까운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다중 서버 환경에서 세션 공유가 가능하다. 일부 시스템은 영구 저장도 지원한다.
- 단점: 추가적인 인프라 구성이 필요하며, 관리 복잡성이 증가한다.
- 사용 사례: 대규모 웹 애플리케이션, 고성능이 요구되는 환경,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세션 기반 인증 구현 예제
다음은 Node.js와 Express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세션 기반 인증의 기본적인 구현 예제:
|
|
이 예제는 기본적인 세션 기반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며 다음 기능을 포함한다:
- 사용자 로그인 처리
- 세션을 통한 사용자 상태 유지
- 보호된 라우트에 대한 인증 요구
- 로그아웃 처리
세션 기반 인증의 장단점
장점
- 상대적 단순성: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많은 웹 프레임워크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한다.
- 서버 측 제어: 서버가 세션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 세션을 즉시 무효화할 수 있다.
- 낮은 클라이언트 부담: 클라이언트는 간단한 세션 ID만 저장하고 관리하면 된다.
- 유연한 데이터 저장: 서버 측에서 다양한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 브라우저 호환성: 오래된 브라우저에서도 잘 작동한다.
단점
- 서버 상태 의존성: 서버가 모든 활성 세션의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서버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 확장성 문제: 다중 서버 환경에서는 세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추가적인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 CSRF 취약성: 적절한 보호 없이는 Cross-Site Request Forgery(CSRF)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 성능 오버헤드: 요청마다 세션 데이터를 조회하고 검증해야 하므로, 일정한 성능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 쿠키 의존성: 쿠키 사용이 제한된 환경(일부 모바일 앱 웹뷰 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세션 보안 고려사항
세션 기반 인증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 세션 ID 보안
- 충분한 엔트로피: 세션 ID는 예측 불가능하도록 충분히 길고 무작위여야 한다(최소 128비트 엔트로피 권장).
- 안전한 전송: HTTPS를 통해서만 세션 쿠키를 전송하도록
Secure
플래그를 설정한다. - XSS 보호: 자바스크립트가 쿠키에 접근할 수 없도록
HttpOnly
플래그를 설정한다. - 세션 고정 공격 방지: 인증 수준이 변경될 때(예: 로그인 성공 후) 새로운 세션 ID를 발급한다.
- 세션 수명 관리
- 절대 만료 시간: 모든 세션에 절대적인 만료 시간을 설정하여, 오래된 세션이 무기한 유효하지 않도록 한다.
- 비활성 타임아웃: 일정 시간 동안 활동이 없는 세션을 자동으로 만료시킨다.
- 안전한 로그아웃: 로그아웃 시 서버 측 세션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고 클라이언트 쿠키를 무효화한다.
- CSRF 보호
- CSRF 토큰: 상태를 변경하는 요청(POST, PUT, DELETE 등)에 CSRF 토큰을 포함시켜 검증한다.
- SameSite 쿠키:
SameSite=Lax
또는SameSite=Strict
속성을 설정하여 교차 사이트 요청에서 쿠키 전송을 제한한다. - Origin 검증: 요청의 Origin 또는 Referer 헤더를 검증하여 예상된 출처에서만 요청을 허용한다.
- 세션 데이터 보호
- 민감 정보 제한: 세션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저장하고, 비밀번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는 절대 저장하지 않는다.
- 서버 측 암호화: 필요한 경우 세션 저장소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 세션 관리 감사: 세션 생성, 사용 및 삭제에 대한 로깅 및 모니터링을 구현한다.
현대적인 세션 관리 접근법
최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세션 기반 인증의 전통적인 접근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 세션 ID와 토큰 기반 접근법의 혼합
- Stateless 세션: 세션 데이터를 서명된 쿠키에 직접 저장하여, 서버 측 세션 저장소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 레디스와 같은 고성능 세션 저장소: 메모리 기반 분산 캐시를 사용하여 세션 조회 성능을 최적화한다.
- JWT + 서버 측 블랙리스트: JWT 토큰을 사용하면서, 로그아웃된 토큰의 ID만 서버에 저장하여 혼합 접근법을 취한다.
- 장치 및 위험 기반 세션 관리
- 적응형 세션 만료: 사용자 활동, 위치, 장치 등의 요소에 따라 세션 수명을 동적으로 조정한다.
- 다중 요소 세션 권한: 중요한 작업에 대해 추가 인증을 요구한다.
- 의심스러운 활동 감지: 비정상적인 세션 활동(예: 급격한 위치 변경)을 감지하여 세션을 무효화합니다.한다.
- 쿠키 대안 및 향상된 쿠키 설정
- 브라우저 스토리지 + CSRF 토큰: 세션 ID를 localStorage에 저장하고, CSRF 방지를 위한 별도의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 SameSite 쿠키 속성:
SameSite=Strict
또는SameSite=Lax
설정을 사용하여 CSRF 공격으로부터 보호한다. - 쿠키 파티셔닝: 최신 브라우저의 쿠키 파티셔닝 정책을 고려한 설계를 적용한다.
사용 사례별 권장 접근법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다른 세션 관리 접근법이 적합할 수 있다:
- 전통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 권장 접근법: 표준 서버 측 세션(Redis 또는 DB 저장소 사용)
- 이유: 간단한 구현, 강력한 보안, 즉시 세션 무효화 가능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권장 접근법: 분산 세션 저장소(Redis) 또는 JWTs
- 이유: 서비스 간 세션 정보 공유 필요성, 확장성 요구 사항
- SPA + API 백엔드
- 권장 접근법: JWT + 리프레시 토큰 또는 세션 쿠키(HttpOnly)
- 이유: API 중심 아키텍처, 잠재적인 CORS 문제, 클라이언트 측 렌더링
- 모바일 앱 + API
- 권장 접근법: OAuth 2.0 / OpenID Connect 또는 커스텀 토큰 시스템
- 이유: 쿠키 지원 제한, 앱별 저장소 사용 가능성
-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 권장 접근법: 짧은 수명의 서버 측 세션 + 추가 인증 요소
- 이유: 완전한 세션 제어 필요성, 위험 관리, 규정 준수 요구 사항
용어 정리
용어 | 설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