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주관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성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제도. 이 제도는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자의 정보보호를 강화하고 클라우드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CSAP의 주요 특징 인증 유형: CSAP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된다: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SaaS (Software as a Service) DaaS (Desktop as a Service) 인증 등급: 2022년 12월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CSAP 인증 기준을 개선하여 3단계 등급 체계(상, 중, 하)를 도입함. ...

September 19, 2024 · 4 min · Me

API Key Authentication

API Key Authentication API Key Authenticatio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인증 방식이다. API Key Authentication은 클라이언트가 API에 접근할 때 고유한 식별자(API 키)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이다. 이 키는 서버에서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며, 클라이언트는 API 요청 시 이 키를 포함시켜 자신의 신원을 증명한다. API Key Authentication은 구현이 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보안 측면에서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중요한 데이터나 높은 보안이 요구되는 서비스에는 OAuth2나 JWT와 같은 더 강력한 인증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CORS

COR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패턴의 보안 측면에서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CORS는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된 보안 메커니즘으로, 다른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체계이다. 이는 동일 출처 정책(Same-Origin Policy)의 제한을 안전하게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 CORS는 MSA 환경에서 안전하고 유연한 리소스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올바르게 구현된 CORS는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며, 전체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한다. CORS의 작동 원리 브라우저가 다른 출처로 HTTP 요청을 보낼 때 Origin 헤더를 추가한다. 서버는 Access-Control-Allow-Origin 헤더로 응답하여 해당 출처의 접근을 허용할지 결정한다. 브라우저는 이 헤더를 확인하여 요청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Origin의 정의 Origin은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Mutual TLS

Mutual TL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패턴의 보안 측면에서 Mutual TLS(mTLS)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TLS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보안을 강화하는 핵심 기술로, 서비스 간 통신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적절히 구현된 mTLS는 MSA 환경에서 강력한 보안 계층을 제공하여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Mutual TLS는 상호 TLS 또는 양방향 TLS라고도 불린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양쪽 모두가 서로의 신원을 확인하는 인증 방식이다.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access-management/what-is-mutual-tls/ 일반 TLS와의 차이점 일반 TLS: 서버만 인증서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신원을 확인한다. mTLS: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두 인증서를 제공하고 서로의 신원을 확인한다. mTLS의 작동 원리 mTLS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작동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OAuth2/OIDC (OpenID Connect)

OAuth2/OIDC (OpenID Connect) MSA(Microservice Architecture) 패턴의 보안 측면에서 OAuth2와 OIDC(OpenID Connect)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두 프로토콜은 분산 시스템에서의 인증과 권한 부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OAuth 2.0과 OIDC를 적절히 활용하면 MSA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인증 및 권한 부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안전한 통신과 사용자 데이터 보호에 큰 도움이 된다. OAuth 2.0 OAuth 2.0은 권한 부여를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Secret Management

Secret Management Secret Management는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환경에서 민감한 자격 증명(API 키,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 토큰 등)을 안전하게 저장, 관리, 배포하는 핵심 보안 메커니즘이다. 분산 시스템의 특성상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중앙 집중식 보안 관리가 필수적이다. Secret Management는 MSA 보안의 핵심 인프라로, 올바른 도구 선택과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수적이다. 2025년 현재 AI 기반 이상 탐지 기능이 도입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자동화가 강화되는 추세이다. 시크릿 관리의 중요성 보안 강화: 시크릿이 노출되면 악의적인 사용자가 시스템에 무단 접근하거나 데이터를 탈취할 수 있다. 규제 준수: 산업 표준과 규제는 민감한 정보의 안전한 관리를 요구한다. 운영 효율성: 중앙에서 시크릿을 관리하면 변경 시 각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할 필요 없이 일괄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Secret Management의 핵심 기능 암호화 저장: 모든 비밀 정보는 AES-256 또는 **KMS(Key Management Service)**를 통해 암호화되어 저장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Access Token

Access Token Access Toke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를 위해 사용되는 보안 메커니즘이다. Access Token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화된 문자열이다. 이 토큰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Access Token은 MSA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인증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그러나 적절한 구현과 보안 조치가 필수적이며, 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맞게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 Access Token의 특징 유한한 수명: 보통 짧은 유효 기간(예: 1시간)을 가진다. Stateless: 서버에 상태를 저장하지 않아 확장성이 높다. 암호화: 대개 JWT(JSON Web Token) 형식으로 구현된다. 포함 정보: 사용자 ID, 권한 범위, 만료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ess Token의 동작 방식 사용자 인증: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Access Token을 발급한다. 토큰 저장: 클라이언트는 받은 토큰을 안전하게 저장한다(예: 로컬 스토리지). 요청 시 사용: API 요청 시 Authorization 헤더에 토큰을 포함시킨다. 서버 검증: 서버는 토큰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요청을 처리한다. Access Token의 장점 확장성: Stateless 특성으로 서버 확장이 용이하다. 보안성: 암호화된 정보로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한다. 효율성: 매 요청마다 사용자 정보를 조회할 필요가 없다. Access Token의 단점 토큰 탈취 위험: XSS 공격 등으로 토큰이 탈취될 수 있다. 제한된 정보량: 토큰 크기 제한으로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다.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보안 강화를 위해 Access Token과 함께 Refresh Token을 사용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Fundamentals of Security

May 13, 2025 · 0 min · Me

Common Security Attacks

Common Security Attacks in the OSI Layer Model OSI 7계층의 각 계층별 취약점 및 주요 위협 대상 그리고 대응 방안 계층 취약점 주요 위협 대상 보안 위협 대응 방안 응용 계층 • 입력값 검증 부재 • 인증/인가 미흡 • 보안 설정 오류 • 웹 애플리케이션 • API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SQL Injection • XSS • CSRF • Command Injection • 입력값 검증 강화 • WAF 도입 • 보안 코딩 적용 • 정기적인 보안 감사 표현 계층 • 취약한 암호화 • 안전하지 않은 직렬화 • 데이터 변환 취약점 • 암호화 모듈 • 데이터 변환 프로세스 • 인코딩/디코딩 • SSL/TLS 취약점 공격 • 직렬화 공격 • XXE 공격 •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 사용 • 최신 보안 프로토콜 적용 • 안전한 직렬화 구현 세션 계층 • 세션 관리 취약점 • 인증 메커니즘 약점 • 상태 관리 문제 • 세션 관리 시스템 • 인증 시스템 • 상태 저장소 • 세션 하이재킹 • 세션 고정 공격 • 재생 공격 • 안전한 세션 ID 생성 • 세션 타임아웃 설정 • 세션 암호화 전송 계층 • TCP/UDP 프로토콜 취약점 • 연결 관리 문제 • 버퍼 오버플로우 • 네트워크 서비스 • 연결 관리 시스템 • 포트 서비스 • SYN Flood • TCP 하이재킹 • UDP Flood • 연결 제한 설정 • TCP/IP 스택 강화 • 트래픽 모니터링 네트워크 계층 • 라우팅 취약점 • IP 프로토콜 약점 • 패킷 처리 문제 • 라우터 • IP 주소 • 라우팅 테이블 • IP 스푸핑 • 라우팅 공격 • ICMP 공격 • 패킷 필터링 • IPS/IDS 도입 • 라우팅 보안 강화 데이터링크 계층 • MAC 주소 관리 취약점 • 프레임 처리 문제 • 스위치 취약점 • 스위치 • MAC 주소 테이블 • VLAN • MAC 스푸핑 • ARP 스푸핑 • VLAN 호핑 • 포트 보안 설정 • MAC 필터링 • VLAN 보안 강화 물리 계층 • 물리적 접근 취약점 • 전자기 간섭 • 케이블 보안 문제 • 네트워크 케이블 • 네트워크 장비 • 물리적 인프라 • 도청 • 재밍 • 물리적 파괴 • 물리적 접근 통제 • 케이블 보호 • 전자기 차폐 각 계층별로 특징적인 보안 대책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

November 8, 2024 · 3 min · Me

Cybersecurity and Information Security Overview

Cybersecurity and Information Security 현대 사이버보안은 전통적인 경계 기반 보안에서 벗어나 "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 " 는 Zero Trust 원칙을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NIST 프레임워크의 식별 - 보호 - 탐지 - 대응 - 복구 단계와 CIA(Confidentiality, Integrity, Availability) Triad 의 핵심 원칙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우드 환경과 하이브리드 업무 환경에서 지능형 위협에 대응한다. AI/ML 기반 위협 탐지,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다단계 인증 등을 통해 사전 예방적 보안 체계를 구축하여 조직의 디지털 자산을 보호한다. ...

September 19, 2024 · 25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