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vation

Starvation(기아 상태) 은 동시성 환경에서 특정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자원을 장기간 할당받지 못해 무한히 대기하게 되는 현상이다.
주로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불공정한 자원 접근, 락 경쟁 등에서 발생하며, 시스템은 작동하나 일부 작업은 실행되지 않아 Liveness 를 침해한다.
Deadlock 과 달리 전체 시스템이 멈추지는 않지만, 처리량과 공정성에 악영향을 준다.

예방책으로는 Aging, 공정한 스케줄링 (CFS, Fair Lock), 자원 예약, 우선순위 재조정 등이 있으며, 운영체제, DBMS, 분산 시스템 등에서 중요한 동시성 제어 이슈로 다뤄진다.

핵심 개념

  1. Starvation(기아 상태): 실행 흐름이 자원을 무기한 할당받지 못해 실행되지 못하는 상태
  2. 공정성 (Fairness): 자원이 모든 프로세스에게 균등하게 배분되어야 한다는 원칙
  3. 우선순위 역전 (Priority Inversion): 낮은 우선순위 작업이 높은 우선순위 작업의 실행을 막는 현상
  4. 에이징 (Aging): 대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높여 Starvation 을 방지하는 기법
  5. Fair Lock (공정한 락): 락을 요청한 순서에 따라 공평하게 자원을 할당하는 구조
  6. Liveness & Starvation-Free: 시스템이 멈추지 않고 모든 작업이 결국 실행되어야 하는 성질
  7. Finite Bypass (유한 우회): 어떤 프로세스도 자원 접근이 무한히 지연되면 안 됨
  8. 스케줄링 정책: 자원의 할당 방식에 따라 Starvation 여부가 결정됨

핵심 개념과 실무 구현 연관성 정리

핵심 개념실무 구현 방식예시 시스템 또는 기술
Starvation자원 경합 구조의 비공정성 제거Linux CFS, Java ThreadPool
공정성요청 순서 기반 자원 배분Fair Queue, Fair Lock
우선순위 역전Priority Ceiling ProtocolRTOS, 실시간 제어 시스템
Aging시간 경과에 따른 우선순위 상승OS 스케줄러 (CFS)
Fair LockFIFO 기반 락 대기 큐 사용Java ReentrantLock, Redis RedLock
Finite Bypass자원 접근 횟수 제한Bakery Algorithm, Filter Algorithm
Starvation-Free유한 시간 내 자원 접근 보장Lamport’s Algorithm
스케줄링 정책Round-Robin, Weighted Fair QueuingCloud Task Scheduler, Kubernetes

Starvation(기아 상태) 은 동시성 환경에서 특정 실행 흐름이 자원을 할당받지 못해 무한히 대기하는 현상이다.
주로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이나 불공정한 락 획득에서 발생하며, 시스템 공정성과 응답성을 저하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ging, Fair Lock, 우선순위 역전 방지, Finite Bypass 등을 적용한다.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분산 시스템 등에서 Starvation 방지는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기초 이해 (Foundation Understanding)

개념 정의 및 본질

정의:

본질적 특성:

발생 가능한 자원 범위:

등장 배경 및 발전 과정

등장 배경
발전 과정

발생 원인 및 문제 상황

graph TD
    A[자원 요청] --> B[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러]
    B --> C{낮은 우선순위?}
    C -- Yes --> D[대기 큐로 이동]
    D --> E[다른 태스크에게 계속 선점]
    E --> F[자원 획득 실패 반복 → Starvation 발생]
발생 원인
원인 유형설명실무 사례 또는 기술 근거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고우선순위 작업이 지속적으로 자원을 점유함RTOS, ThreadPool 에서 낮은 우선순위 태스크 무한 대기
불공정 락 구조락이 FIFO 가 아닌 내부 정책 (비공정 모드 등) 으로 작동하여 특정 요청만 수용Java ReentrantLock(false), spinlock
자원 경합자원 수요가 공급 초과되거나 특정 자원이 독점됨DB Read/Write 경합, I/O 채널 부족
정책 미비Aging, Round-Robin 등의 공정성 보정 기법이 미적용됨FIFO 없는 큐, 단일 우선순위 정책 등
무한 재시도자원 요청 실패 후 busy-wait 또는 loop retry 구조while(!lock.try()) 와 같은 구조
자원 누수리소스가 반납되지 않아 접근 불가능 상태로 남음락 미해제, 파일 핸들 누수
악의적 시스템 점유공격성 요청으로 정상 작업이 자원 접근 불가fork bomb, queue flooding

Starvation 은 스케줄링 우선순위의 불균형, 자원 경합, 락의 불공정성, 정책 부재, 자원 누수, 그리고 악의적 부하와 같은 다양한 기술적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원인들은 대부분 자원 분배의 불공정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시스템 수준에서 적절한 보정 메커니즘 없이 방치될 경우 기아 현상으로 이어진다.

문제 상황
문제 유형설명발생 영역 예시
무한 대기특정 태스크가 끝없이 자원 대기 상태에 머무름백엔드 요청 지연, DB 트랜잭션 블로킹
응답성 저하전체 서비스 응답 시간이 증가하거나 일부 요청은 타임아웃 발생API 서버, 실시간 통신 서비스
처리량 감소전체 시스템 처리 효율이 감소함배치 처리, 병렬 작업 큐
자원 불균형특정 자원만 계속 사용되며 나머지 자원은 유휴 상태로 남음I/O 병목, CPU 대기열 불균형
공정성 저하일부 작업에 자원이 지속적으로 배분되고 나머지는 배제됨우선순위 스케줄링, Thread starvation
시스템 불안정성자원 누수나 무한 대기로 인해 서비스 전체가 장애 상태에 근접락 미반납, 스레드 블로킹 누적

Starvation 은 단일 태스크의 무한 대기뿐 아니라 전체 시스템의 응답 지연, 처리량 감소, 자원 불균형, 서비스 불안정 등 다양한 성능 및 신뢰성 문제로 확산될 수 있다. 특히 공정성의 저하는 사용자 경험과 직결되며, 장기적으로는 서비스 가용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원인설명실예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고우선 태스크가 지속적으로 리소스를 선점실시간 OS 에서 낮은 우선순위 태스크 무한 대기
불공정한 락 구조Lock 이 항상 먼저 온 태스크가 아닌 특정 조건에 따라 부여됨Java ReentrantLock(false) 사용
자원 경쟁 심화자원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거나 불균형DB 에서 Write 가 Read 에 의해 계속 밀림
무한 루프 재시도락 획득 실패 후 무한 재시도busy waiting 구조
정책 미비Aging 등 보정 정책 미적용FIFO 대기 없는 큐 처리

주요 특징

구분기술적 특징도출 근거
시스템 동작 유지일부 프로세스만 지연되고 전체 시스템은 계속 동작함Starvation 은 Deadlock 과 달리 시스템이 완전히 멈추지 않음
공정성 저하특정 작업이 반복적으로 자원 할당에서 제외됨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락 경쟁, 자원 선점 정책의 불균형
감지 어려움외형상 실행 가능한 상태이나 실제 실행되지 않음프로세스는 Ready 상태를 유지하지만 자원을 할당받지 못해 실행되지 않음
예측 불가능성작업량 변화, 동적 스레드 수 증가 등으로 예측 어려움우선순위 작업 수나 타이밍에 따라 Starvation 발생 조건이 매번 달라짐
응답성/처리량 저하일부 작업의 무한 대기가 전체 성능 저하로 이어짐SLA 위반, 대기 큐 증가로 시스템 전체 응답 시간이 지연됨
런타임 해결 가능성스케줄링 정책 또는 우선순위 조정으로 해결 가능Aging, Fair Scheduling, Priority Boosting 등 기법 적용 시 해소 가능
우선순위 기반 구조에 민감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밀림Priority Scheduling 환경에서 높은 우선순위 태스크가 자원을 독점
Liveness 위반작업이 완료되지 않고 무기한 대기시스템의 활성성 (Liveness)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전형적인 사례
자원 종속성 없음다른 프로세스의 자원 반환을 기다리는 구조가 아님Deadlock 과 달리 타 프로세스의 락 해제와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자원을 얻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
비결정적 발생코드에 명시되지 않아도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자원 경합 구조, 스케줄링 정책의 편향성에 따라 비의도적으로 발생 가능

Starvation 은 시스템이 계속 동작함에도 특정 작업이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고 무기한 지연되는 비결정적이고 탐지 어려운 동시성 문제이다.
이는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이나 락 경합 구조의 불균형에서 발생하며, 공정성 저하, 응답 지연, 시스템 처리량 감소 등의 실질적인 성능 저하로 이어진다.
Deadlock 과 달리 자원의 상호 의존성이 없고 런타임에서 Aging, Fair Lock, 스케줄링 정책 변경 등을 통해 해결 가능하다.
특히 시스템 설계 초기부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예측 가능한 스케줄링 전략 수립이 중요하다.

핵심 이론 (Core Theory)

핵심 설계 원칙

  1. 공정성 (Fairness)

    • 모든 실행 흐름이 자원 접근 기회를 고르게 가질 수 있어야 하며, 선점 스케줄링에서도 이 원칙이 반영되어야 함
  2. 라이브니스 (Liveness)

    • 시스템이 계속 진행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하며, 어떤 작업도 무한히 차단되면 안 됨
  3. 우선순위 역전 방지 (Priority Inversion Prevention)

    • 낮은 우선순위 작업이 고우선순위 작업을 차단하지 않도록 Priority Inheritance 등을 사용
  4. Bounded Waiting (유한 대기 보장)

    • 어떤 프로세스도 유한 횟수 이상 자원 요청에서 밀려서는 안됨
  5. 자원 할당 예측 가능성 (Predictability)

    • 시스템은 최대 대기 시간이나 자원 할당 시점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실시간 시스템에 필수
  6. 비선점 제어 (Controlled Preemption)

    • 선점형 스케줄링일 경우, 지속적인 선점으로 특정 작업이 starvation 에 빠지지 않도록 빈도를 제어해야 함
설계 원칙설명Starvation 방지 방식 및 적용 예시
공정성 (Fairness)자원과 기회를 모든 실행 흐름에 균등하게 부여Fair Lock, Round-Robin, Weighted Fair Queuing
라이브니스 (Liveness)모든 프로세스가 언젠가는 반드시 실행 기회를 가져야 함Aging, Finite Bypass 정책
우선순위 역전 방지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가 높은 우선순위를 차단하지 않도록 보장Priority Inheritance, Priority Ceiling
유한 대기 보장 (Bounded Waiting)각 태스크가 유한 횟수 이내 자원에 접근 가능해야 함Starvation-Free Algorithm, Ticket Lock
예측 가능성 (Predictability)자원 할당 시점을 예상할 수 있어야 하며, 최대 대기 시간이 보장되어야 함Real-Time OS 스케줄러, Deadline 설정
비선점 제어 (Preemption Control)낮은 우선순위 작업이 지속적으로 선점되지 않도록 제어CFS(Linux), 태스크 Aging

기본 원리 및 동작 메커니즘

기본 원리
항목설명
우선순위 기반 선점스케줄러가 항상 높은 우선순위의 태스크에 자원을 먼저 할당함
반복적 자원 요청높은 우선순위 태스크가 반복적으로 자원을 요청하여 낮은 우선순위 태스크는 계속 밀림
자원 독점 구조락 또는 공유 자원을 특정 스레드가 독점하게 되면, 다른 스레드는 접근 불가 → 무한 대기 상태 발생
정책적 편향성스케줄러 또는 자원 관리 정책이 공정성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특정 태스크가 지속적으로 배제될 수 있음
실행 불가능 상태 유지외형상 Ready 상태이나 실제로는 자원 할당 기회를 얻지 못해 실행되지 못함
해결 지연 및 누락 가능성탐지가 어렵고 시스템이 정상처럼 보이므로 실시간 대응이 늦어질 수 있음

Starvation 은 우선순위 기반 또는 자원 경합 상황에서 특정 작업이 반복적으로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면서 무한 대기에 빠지는 현상이다. 이는 정책적 불공정성, 자원 독점 구조, 그리고 반복 요청 구조에 의해 강화되며 시스템의 일부 작업이 무기한 실행되지 않는 문제를 초래한다. 외형상 시스템은 정상 동작하므로 탐지와 해결이 지연될 수 있으며, 스케줄러 설계 및 락 정책이 주요 원인이 된다.

동작 메커니즘 흐름
sequenceDiagram
    participant LP as 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 (P1)
    participant HP as 높은 우선순위 프로세스 (P2, P3, …)
    participant SCHED as 스케줄러
    participant RES as 자원

    LP->>SCHED: 자원 요청
    SCHED-->>LP: 대기 (낮은 우선순위)

    loop 반복
        HP->>SCHED: 자원 요청
        SCHED->>RES: 자원 할당
        RES-->>HP: 자원 사용
        SCHED-->>LP: 대기 유지
    end

    Note over LP: 높은 우선순위 프로세스의 지속적 선점으로 인해 P1은 무한 대기  

**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 (P1)**가 자원을 요청하지만, 지속적으로 도착하는 높은 우선순위 프로세스 (P2, P3 등) 에 의해 자원이 계속 선점되는 구조를 표현한다.
스케줄러는 항상 높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에 자원을 할당하고, 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는 반복적으로 대기만 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 구조가 지속되면 P1 은 실행 기회를 얻지 못한 채 무기한 대기 상태, 즉 Starvation 상태에 빠지게 된다.
겉보기에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특정 작업이 영원히 처리되지 않는 비활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graph TB
    subgraph Application Layer
        T1["작업 요청(Task/Thread)"]
    end

    subgraph Scheduling Layer
        A1[Scheduler]
        A2[Priority Queue]
        A3[Aging Engine]
        A4[Policy Manager]
    end

    subgraph Resource Layer
        B1[Resource Manager]
        B2[Fair Lock / Semaphore]
        B3[Resource Pool]
        B4[Reservation Manager]
        B5[Resource Leak Detector]
    end

    subgraph Monitoring Layer
        C1[Fairness Monitor]
        C2[Logging / Alerting]
    end

    T1 --> A1
    A1 --> A2
    A2 --> A3
    A3 --> A4
    A1 --> B1
    B1 --> B2
    B1 --> B3
    B3 --> T1

    B1 --> B4
    B1 --> B5

    A1 --> C1
    C1 --> C2
    C2 --> A4

Starvation 방지 또는 완화는 시스템 구조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 간의 협업을 필요로 한다:

아키텍처 구성 요소
구성 요소필수/선택설명역할 및 기능Starvation 관련 기여/대응
스케줄러 (Scheduler)필수태스크 실행 순서 및 자원 할당 우선순위 결정우선순위 기반 실행, 대기 큐 관리, 자원 배분우선순위 편중 시 Starvation 유발
자원 관리자 (Resource Manager)필수CPU, Memory, IO 등 시스템 자원을 분배실제 자원 할당/회수, 충돌 회피잘못된 분배 시 자원 경합 발생
락 / 세마포어필수자원 접근 제어 메커니즘 (뮤텍스, 세마포어 등)경쟁 제어, 상호 배제, 임계영역 보호FIFO 미보장 시 Starvation 유발
우선순위 큐선택우선순위 기반 태스크 분류 및 스케줄링대기열 분류, 선별적 실행저우선순위 작업 지속 배제
에이징 엔진 (Aging Engine)선택대기 시간이 길수록 태스크의 우선순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정책 적용공정성 보장, 우선순위 자동 보정Starvation 완화 핵심 기법
공정성 큐잉 (Fair Queueing)선택작업별 자원 할당 비율을 일정하게 조절Weighted Fair Queuing 등 적용자원 독점 방지
자원 예약 시스템선택작업 실행 전 필요한 최소 자원을 선예약리소스 보장, QoS 유지Starvation 예방 기능 (간접)
모니터링 시스템선택스케줄링 로그, 자원 점유율, 응답 시간 등을 실시간 분석이상 감지, 리포트 생성, 정책 알림Starvation 조기 감지
정책 관리자선택동적으로 스케줄링 및 락 정책을 조정시스템 부하/상황에 따라 우선순위 정책 변경구조적 편중 완화
자원 누수 탐지기선택자원 미반환 상태 실시간 탐지락 미해제, 파일 핸들 누수 등 감지자원 점유 장기화 차단
우선순위 추론기선택대기 시간, 실행 이력, 작업 중요도를 기반으로 우선순위 재계산자동 우선순위 조정공정성 강화

주요 기능과 역할

기능설명
자원 할당 정책프로세스/스레드에 자원을 공정하게 배분 (예: Fair Scheduling)
우선순위 관리 및 에이징대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실행 기회 보장
락 동기화 제어락/세마포어 등 동기화 메커니즘에서 락 점유 순서를 공정하게 관리 (예: Fair Lock)
자원 대기 시간 모니터링각 프로세스의 대기 시간 추적 및 Starvation 의심 시점 탐지
자원 예약 및 타임아웃일정 자원을 미리 확보하거나, 대기 시간을 초과하면 재시도/우선순위 조정 등으로 기회를 보장
정책 실행 및 조정위의 감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우선순위 재조정, 자원 분배 방식 변경 등 실제 정책을 반영하고 집행함
기능과 역할 간 관계 정리
기능담당 주체연계 역할
자원 할당 정책스케줄러시스템 공정성 유지, 프로세스 간 자원 편향 방지
우선순위 관리 및 에이징스케줄러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의 실행 기회 보장
락 동기화 제어락 관리자 (동기화 모듈)자원 경합 시 특정 스레드 독점 방지
자원 대기 시간 모니터링감시자 / 리소스 관리자Starvation 발생 조건 사전 탐지 및 경고
자원 예약 및 타임아웃리소스 풀, 프로세스 자체자원 선점 방지 및 예측 가능한 실행 환경 보장
정책 실행 및 조정운영 정책 관리자 (OS/앱)감지된 문제에 대한 동적 정책 반영 (Aging, Priority Boost 등)

Starvation 을 방지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시스템은 자원 할당, 우선순위 관리, 락 동기화, 모니터링, 정책 실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 기능들은 스케줄러, 리소스 관리자, 락 제어기, 감시자 등 시스템 내 서로 다른 주체들이 맡아 수행하며, 각 기능은 " 공정성 유지 “, " 대기 시간 보장 “, " 자원 독점 방지 " 등의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 존재한다.
기능은 시스템이 무엇을 하는가를 나타내며, 역할은 왜 그 기능이 필요한가에 대한 목적을 명확히 해준다.
이 둘의 연결을 이해하면 Starvation 문제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설계 수준에서 대응할 수 있다.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예방 및 해결 방안

구분항목설명기술적 근거
예방Aging (에이징)대기 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선순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실행 기회 보장낮은 우선순위 작업이 무기한 대기하지 않도록 보장 (Liveness 향상)
Fair SchedulingFCFS, Round Robin 등 비차별적 자원 배분 방식 적용모든 프로세스에게 동등한 실행 기회를 보장하여 기아 현상 예방
Resource Reservation특정 프로세스에 대해 자원을 사전 예약하여 실행 시점에 보장실시간 시스템, 트랜잭션 환경에서 자원 확보 선제 전략으로 사용됨
Priority Inversion Avoidance우선순위 역전 발생 시, 자원을 가진 낮은 우선순위 태스크에게 임시로 높은 우선순위 부여리눅스 RT 커널, Java RTS 에서 우선순위 상속 기법으로 활용
해결Timeout & Retry자원 요청이 일정 시간 이상 대기하면 자동 포기 또는 재시도무한 대기 방지, 시스템 부하를 줄이며 Deadlock 방지에도 기여
Preemption (선점 회수)장시간 자원을 점유한 프로세스의 자원을 강제로 회수하여 다른 작업에 할당처리 시간 분산 및 공정한 자원 사용 유도 (OS 타임슬라이스 기반 스케줄러)
동적 우선순위 조정시스템 부하나 대기 상황에 따라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실시간으로 변경우선순위 기반 시스템에서 부하 적응적 자원 분배 구현에 효과적
모니터링 및 알림 시스템Starvation 의심 조건 (대기 시간, 자원 사용률 등) 을 탐지하고 관리자에게 경고Prometheus, Grafana, OpenTelemetry 기반 운영 감시 시스템에서 사용
예방/해결Multilevel Queue + Aging우선순위에 따라 큐를 나누고 Aging 을 적용하여 하위 큐도 점진적으로 상위로 이동우선순위 기반 시스템에서 하위 태스크에게도 실행 기회를 보장
Rate Limiting & Resource Quota태스크/유저 단위의 자원 요청 빈도 제한 또는 사용량 할당Kubernetes ResourceQuota, Linux cgroups 등 시스템 자원 보호 메커니즘에 적용

Starvation 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은 **자원 분배의 공정성 (Fairness)**과 **대기 시간에 따른 실행 보장 (Liveness)**을 균형 있게 유지해야 한다.

발생 시 영향 및 피해

Starvation 이 발생하면 단순히 하나의 태스크가 대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시스템 전체 성능, 자원 활용도, 공정성, 신뢰성에 걸쳐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한다. 응답 시간 증가, 자원 낭비, 데이터 일관성 붕괴, 서비스 품질 저하, 심지어 보안 위협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

구분항목원인영향탐지/진단 도구예방 방법해결 기법
성능 문제응답 지연저우선순위 태스크 반복 배제SLA 미달, 사용자 대기 증가대기 시간 모니터링, 로그 분석Aging, 우선순위 조정동적 스케줄링, 타임아웃 적용
자원 문제자원 독점특정 작업이 자원 반복 선점자원 집중 → 병목, 다른 작업 대기자원 점유율 분석, 큐 상태 추적공정 락, 자원 쿼터 설정Fair Lock, 자원 제한 정책
공정성 문제시스템 불균형불공정 스케줄링, 고정 우선순위 정책일부 작업이 계속 밀림, 전체 시스템 불균형히스토리 기반 분석, 우선순위 패턴 로그FCFS, Weighted Scheduling우선순위 보정, Aging 적용
처리량 문제전체 처리량 감소일부 태스크의 무한 대기시스템 전체 효율 하락, Throughput 저하시스템 TPS 측정, 병렬 큐 대기량 확인자원 분산, 공정 스케줄링Load Balancer, Task Shuffling
데이터 문제데이터 무결성 위협 (DB)트랜잭션 락 획득 실패 지속DB 일관성 손실, 트랜잭션 실패락 대기 모니터링, 트랜잭션 로그트랜잭션 타임아웃, Deadlock 감지기롤백, 재시도 전략
예측 문제QoS 예측 불가완료 시간의 불확실성QoS 위반, 실시간 시스템 불안정화응답 시간 패턴 분석, SLA 모니터링Deadline 기반 스케줄러Hard Timeout, Reordering
에너지 문제리소스 대기 상태 유지유휴 태스크의 메모리/CPU 점유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서버 리소스 낭비리소스 사용량 모니터링Idle Task 회수, 자원 할당 제한태스크 종료, 비활성화
보안 문제서비스 거부 공격 유사 효과 발생의도적인 자원 점유 유도정당한 요청 처리 지연, 서비스 불능화이벤트 패턴 이상 감지, 공격 탐지 시스템자원 제한 정책, Anti-DoS 알고리즘요청 속도 제한, 타임아웃, 격리 처리

Starvation 은 단순한 " 작업 대기 " 현상을 넘어, 시스템 성능 저하, 서비스 품질 악화, 공정성 침해, 데이터 무결성 붕괴, 에너지 낭비, 그리고 보안 위협까지 야기할 수 있는 복합적인 위험 요소다. 이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모니터링 및 진단 도구가 필요하며, 사전 예방과 사후 복구를 위한 정책 기반의 스케줄링 전략, 자원 관리 기법, 타임아웃, 보안 설계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트레이드오프 관계 분석

Starvation 방지를 위한 시스템 설계에서 공정성, 효율성, 예측 가능성, 성능 오버헤드, 자원 활용률 간에는 피할 수 없는 상충 관계가 존재한다. 각 정책과 메커니즘은 하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다른 가치를 희생시킬 수 있으며, 실무 설계자는 시스템 목적과 SLA 를 기준으로 적절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항목상반 요소 A상반 요소 B트레이드오프 설명실무 고려사항
스케줄링 공정성우선순위 스케줄링FCFS / Round-Robin성능 최적화 ↔ 기아 발생 가능성실시간 시스템은 우선순위, 일반 시스템은 공정성 중시
Aging 적용Aging 적용 (기아 방지)Aging 미적용 (정적 우선순위 유지)예측성 감소 ↔ 우선순위 기반 정책의 단순성과 안정성Aging 최대 한계값 설정 필요
락 구조공정 락 (Fair Lock)비공정 락 (성능 위주)Starvation 방지 ↔ 컨텍스트 스위칭 증가로 인한 성능 저하동시성 수준과 작업 중요도에 따라 락 방식 선택 필요
자원 예약자원 선예약 (QoS 보장)동적 할당 (최대 자원 활용)안정성 보장 ↔ 리소스 유휴 상태 증가 → 전체 활용률 저하리소스 예측 정확도 중요
우선순위 조정 정책동적 우선순위 (Aging 등)정적 우선순위 유지공정성 향상 ↔ 우선순위 정책 왜곡, 실시간 예측성 저하태스크 특성에 따른 동적 조정 여부 판단 필요
공정성 보장 알고리즘 사용Weighted Fair Queue 등 공정성 강화 기법단순 큐 구조 (성능 중심)공정성 보장 ↔ 처리 복잡도 및 스케줄러 부하 증가부하 기반 공정성 적용 범위 제한 필요
작업 응답 시간짧은 작업 우선 처리 (응답 시간 최소화)긴 작업 연속 실행 (처리량 최적화)응답 속도 향상 ↔ 긴 작업 starvation 가능성짧은 작업에 time-slicing 적용

Starvation 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는 단순히 한 가지 정책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공정성 보장성능 최적화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다.

구현 및 분류 (Implementation & Classification)

탐지 및 진단 기법

분류정의구성 요소원리목적사용 상황특징
대기 시간 기반 진단각 태스크의 대기 시간 및 횟수를 기반으로 starvation 가능성 평가대기 시간 로그, 스레드 ID, 타이머대기 시간 > 임계값 시 알람 발생조기 탐지 및 우선순위 조정서버 큐, ThreadPool, 커널 스케줄링 등구현 간단, 민감도 조정 가능
자원 활용 분석자원 할당률과 점유 시간의 불균형을 확인해 특정 태스크의 기아 가능성 분석CPU/메모리 사용률, 컨테이너 자원 메트릭자원 할당률이 0% 근처로 장시간 지속될 경우 경고 발생비정상 자원 배분 탐지K8s, JVM, DB 커넥션 풀 등노이즈 있음, long-term 패턴 필요 분석
스케줄러 및 락 추적 분석락 획득 실패, 선점 횟수, 우선순위 변화 등 시스템 로그 추적으로 starvation 판단스케줄링 로그, 락 충돌 로그, 선점 카운터특정 작업만 반복 선점되거나 락 독점 시 이상 판단락 병목 지점, 비공정 분배 경로 탐지커널 tracing, 실시간 시스템설정 복잡도 있음, 고급 시스템 진단에 적합
공정성 지표 기반 평가Jain’s Fairness Index 등을 활용하여 리소스 분배의 평등성 분석처리량 로그, 공정성 계산 엔진공정성 지수 계산: (∑x)^2 / (n∑x^2) 공식 적용시스템 전체 수준 공정성 진단시스템 성능 최적화, 정책 적용 전후 평가수학적 모델 기반, 정량화 가능
예측 기반 진단비정상적인 리소스 트렌드 및 대기 행태를 예측하여 사전 대응ML 예측 엔진, 큐 길이 트렌드, 우선순위 변화 패턴이상 탐지 모델 학습 후 특정 큐/락 패턴 발생 시 경보선제적 대응, SLA 보장대규모 마이크로서비스, 고빈도 요청 시스템정확도 높지만 모델 구축 필요, 고비용
대기 시간 기반 Starvation 탐지기

Starvation 탐지 구조를 Prometheus + Grafana + Slack 알림까지 실서비스 환경 수준으로 확장하는 아키텍처 및 구현 구조를 구현

확장 목표:

항목목적
Prometheus ExporterStarvation 탐지 데이터를 Prometheus 로 수집
Grafana Alert Rule일정 시간 이상 대기한 스레드를 시각화 및 임계치 경보 설정
Slack Webhook 연동Starvation 발생 시 실시간 Slack 알림 전송

전체 아키텍처:

flowchart TD
    A[Python Starvation Monitor] --> B[Prometheus Exporter Endpoint]
    B --> C[Prometheus Server]
    C --> D[Grafana Dashboard]
    C --> E[Alert Rule Engine]
    E --> F[Slack Webhook]
    F --> G[Slack 채널 알림 전송]

구성 요소별 확장 방식:

  1. Prometheus Exporter 통합 (Python)

    • http://localhost:8000/metrics 에서 starving_thread_count 지표 확인 가능
    • threshold 기준 이상으로 대기한 스레드를 탐지
    • start_waitingstop_waiting 으로 상태 추적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from prometheus_client import start_http_server, Gauge
    import threading
    import time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 지표 정의: starving_thread_count
    starving_thread_gauge = Gauge('starving_thread_count', 'Number of starving threads')
    
    class StarvationMonitorExporter:
        def __init__(self, threshold_sec=10):
            self.wait_start = defaultdict(float)
            self.lock = threading.Lock()
            self.threshold = threshold_sec
    
        def start_waiting(self, tid):
            with self.lock:
                self.wait_start[tid] = time.time()
    
        def stop_waiting(self, tid):
            with self.lock:
                if tid in self.wait_start:
                    del self.wait_start[tid]
    
        def check_starvation(self):
            now = time.time()
            starving = []
            with self.lock:
                for tid, start in self.wait_start.items():
                    if now - start > self.threshold:
                        starving.append(tid)
            starving_thread_gauge.set(len(starving))  # Prometheus 지표 설정
            return starving
    
    def exporter_runner(monitor):
        while True:
            monitor.check_starvation()
            time.sleep(5)  # 5초마다 지표 갱신
    
    # 실행
    if __name__ == "__main__":
        monitor = StarvationMonitorExporter(threshold_sec=10)
        start_http_server(8000)  # Prometheus가 수집할 HTTP endpoint
        threading.Thread(target=exporter_runner, args=(monitor,), daemon=True).start()
    
        # 예시: 테스트용 쓰레드
        def test_thread(tid, delay):
            monitor.start_waiting(tid)
            time.sleep(delay)
            monitor.stop_waiting(tid)
    
        threading.Thread(target=test_thread, args=("T1", 15)).start()
    
  2. Grafana Alert Rule 구성

    • 예시 YAML (Grafana Alert rule as code)
    • Grafana UI 에서도 Alert → New Alert Rule 로 설정 가능
    • 조건: starving_thread_count > 0 이 1 분 이상 지속될 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apiVersion: 1
    groups:
      - name: starvation-alerts
        rules:
          - uid: starving-threads
            title: "Starvation 감지 알림"
            condition: "B"
            data:
              - refId: "A"
                queryType: "instant"
                relativeTimeRange:
                  from: 0
                  to: 300
                datasourceUid: "prometheus"
                model:
                  expr: starving_thread_count
                  interval: ""
                  legendFormat: ""
                  refId: "A"
              - refId: "B"
                condition: "A > 0"
            annotations:
              summary: "Starvation 발생"
              description: "1개 이상의 스레드가 임계 대기 시간을 초과했습니다."
            for: 1m
            labels:
              severity: critical
    
  3. Slack 알림 연동

    1. Slack Webhook 설정
      • Slack → App → Incoming Webhook 생성
      • Webhook URL 복사 (예: https://hooks.slack.com/services/TXXXX/BXXXX/XXXX)
    2. Grafana 알림 채널 설정 (UI)
      • Alerting > Contact points > Add contact point

      • 이름: Slack-Starvation

      • Type: Slack

      • Webhook URL 입력

      • 메시지 템플릿:

        1
        2
        3
        
        🚨 Starvation Alert 🚨  
        {{ .CommonLabels.severity }} - {{ .CommonAnnotations.summary }}  
        {{ .CommonAnnotations.description }}
        
에이징 기법 (Aging Technique)
 1
 2
 3
 4
 5
 6
 7
 8
 9
10
11
12
class AgingScheduler:
    def __init__(self, aging_factor=1, aging_interval=10):
        self.aging_factor = aging_factor
        self.aging_interval = aging_interval
        self.processes = []
    
    def age_processes(self):
        """대기 중인 프로세스들의 우선순위를 증가"""
        for process in self.processes:
            if process.waiting_time >= self.aging_interval:
                process.priority += self.aging_factor
                process.waiting_time = 0

분류 기준에 따른 유형 구분

분류 기준유형특징 및 설명대표 발생 환경대표 해결 방법
발생 원인 기준우선순위 기반 Starvation고우선 작업이 지속적으로 자원을 선점하여 저우선 작업이 무한히 대기실시간 시스템, RTOS에이징, 우선순위 천장, 우선순위 상속
자원 경합 Starvation제한된 자원을 특정 스레드/프로세스가 독점하며 다른 작업이 접근 못함멀티스레딩, 락 경합Fair Lock, 타임아웃, 리트라이
네트워크 Starvation특정 노드/세션이 네트워크 대역폭을 독점하여 다른 요청이 전송 불가분산 시스템, 클러스터, 마이크로서비스QoS 설정, 대역폭 제한, Rate Limiting
알고리즘 결함 Starvation스케줄링 알고리즘 설계 오류로 특정 작업이 무한 대기됨자체 구현 스케줄러, 임베디드 시스템스케줄링 알고리즘 개선, 검증
시스템 환경 기준OS 레벨 Starvation커널의 스케줄러가 특정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제외함리눅스, 윈도우 스케줄러커널 파라미터 조정, 공정 스케줄링 정책 적용
애플리케이션 레벨 Starvation애플리케이션 내부 스레드 간의 불공정 자원 경쟁Java, Python 멀티스레딩공정 락, Thread Join 관리
분산 시스템 Starvation특정 노드/인스턴스가 지속적으로 작업에서 제외됨Kubernetes, Cloud SchedulerTaint/Toleration, 로드 밸런싱
Thread-pool Starvation모든 워커가 블로킹 상태여서 신규 요청 처리 불가웹 서버, 백엔드 API 서버비동기 처리, 워커 확장, 작업 큐 분리
지속 시간 기준일시적 Starvation순간적 자원 부족으로 짧은 시간 동안 대기고부하 상황, 스파이크 트래픽자동 복구 정책, 스로틀링 정책
지속적/영구적 Starvation설계 결함 또는 정책 오류로 해결되지 않고 장시간 지속잘못 설계된 스케줄러, 제한 자원 시스템정책 변경, 우선순위 조정, Aging 적용
영향 범위 기준프로세스/스레드 수준 Starvation특정 태스크 단위의 실행 지연CPU 스케줄링, 락 경쟁우선순위 조정, 에이징
그룹 수준 Starvation사용자 그룹 또는 노드 그룹 전체가 자원에서 배제됨멀티 테넌시 클러스터그룹 단위 리소스 보장, 분산 자원 할당 정책 적용
자원 유형 기준Queue 기반 Starvation특정 요청이 큐 tail 로만 밀려서 계속 처리되지 않음FIFO 큐, 메시지 브로커 시스템큐 재정렬 정책, 샤딩 큐 도입

Starvation 은 시스템의 우선순위 구조, 자원 경쟁, 설계 오류,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다.

이러한 유형 구분은 Starvation 을 정확히 진단하고 유형에 맞는 대응책을 설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며, 각 유형별로 공정성 확보, 우선순위 보정, 자원 할당 개선, 스케줄링 정책 교체와 같은 맞춤형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실무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실제 도입 사례

분야/환경사례/기술적용 방식Starvation 대응 방식효과
운영체제Linux CFS 스케줄러vruntime 기반 공정 분배우선순위 편중 방지, Aging 내장낮은 우선순위 프로세스도 CPU 시간 확보
Java 애플리케이션ReentrantLock(true)FIFO 락 대기 큐, 공정성 보장락 Starvation 방지스레드 간 락 점유 기회 공정 분배
DBMSPostgreSQL Lock Manager트랜잭션 대기 큐, Deadlock 감지기대기 순서 보장, Lock Timeout 설정짧은 쿼리 기아 방지, 트랜잭션 공정성 유지
클러스터/분산 시스템Kubernetes ResourceQuota + PriorityClass네임스페이스/Pod 우선순위 기반 리소스 스케줄링리소스 독점 방지, 낮은 우선순위 Pod 의 스케줄링 보장다중 테넌트 환경에서의 공정한 자원 사용
웹 서버ThreadPool + 비동기 처리 개선blocking I/O 작업을 분리된 워커에 위임, 워커 풀 확장모든 요청이 워커를 점유하지 않도록 설계백엔드의 요청 Starvation 방지, 응답 시간 향상
클라우드 서비스AWS Auto Scaling + Load Balancing동적 인스턴스 확장, 균형 잡힌 요청 분산특정 인스턴스에만 로드 집중되는 현상 완화인스턴스 기아 방지, 서비스 안정성 향상
실시간 시스템FreeRTOS 우선순위 상속임계 구역 내 락 보유 시 낮은 우선순위 태스크가 높은 우선순위를 임시 상속우선순위 역전에 의한 기아 방지실시간성 보장, 데드라인 위반 방지
이벤트/메시지 큐RabbitMQ / Kafka 큐 재정렬오래된 메시지 우선 처리, 큐 파티셔닝큐 tail 에 밀린 작업이 영원히 대기하지 않도록 설계메시지 처리 지연 해소, 대기 균형 유지
GPU 스케줄링CUDA Task Fairness Scheduler동일 GPU 내에서 태스크 우선순위 기반 자원 분배Low-priority job 무한 대기 방지학습/추론 병렬성 확보, GPU 사용 효율 증대

실제 시스템들은 Starvation 을 단순한 성능 문제로 넘기지 않고, **공정성 (Fairness)**과 **활성성 (Liveness)**을 보장하기 위한 설계 요소로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처럼 Starvation 은 모든 계층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시스템적 현상이므로, 정책적·구조적·운영적 대응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실습 예제 및 코드 구현

실습 예제: 웹 서버에서 높은 우선순위 요청

시나리오: 웹 서버에서 높은 우선순위 요청으로 인한 일반 요청 처리 지연

시스템 구성:

graph TB
    subgraph "Client Requests"
        HR[High Priority Requests]
        NR[Normal Priority Requests]
    end
    
    subgraph "Web Server"
        LB[Load Balancer]
        subgraph "Request Processing"
            PQ[Priority Queue with Aging]
            TP[Thread Pool]
            FM[Fairness Monitor]
        end
        subgraph "Backend Services"
            DB[(Database)]
            CACHE[(Cache)]
        end
    end
    
    HR --> LB
    NR --> LB
    LB --> PQ
    PQ --> TP
    TP --> DB
    TP --> CACHE
    FM --> PQ
    
    style NR fill:#ffcccc
    style FM fill:#ccffcc

Workflow:

  1. 클라이언트 요청 수신 및 우선순위 분류
  2. 우선순위 큐에 요청 삽입
  3. 에이징 메커니즘으로 대기 시간 기반 우선순위 조정
  4. 스레드 풀에서 요청 처리
  5. 공정성 모니터로 기아 상태 감지 및 조정

핵심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import heapq
import time
import threading
from dataclasses import dataclass
from typing import Optional
from enum import Enum

class Priority(Enum):
    HIGH = 1
    NORMAL = 2
    LOW = 3

@dataclass
class Request:
    """웹 요청을 나타내는 클래스"""
    id: str
    priority: Priority
    created_at: float
    data: dict
    
    def get_effective_priority(self) -> float:
        """에이징을 적용한 실제 우선순위 계산"""
        wait_time = time.time() - self.created_at
        # 대기 시간에 따라 우선순위 향상 (낮은 숫자가 높은 우선순위)
        aging_factor = min(wait_time / 10, 1.0)  # 10초마다 우선순위 1단계 향상
        return self.priority.value - aging_factor
    
    def __lt__(self, other):
        """우선순위 큐 정렬을 위한 비교 연산자"""
        return self.get_effective_priority() < other.get_effective_priority()

class FairRequestProcessor:
    """기아 상태를 방지하는 공정한 요청 처리기"""
    
    def __init__(self, max_workers=10, starvation_threshold=30):
        self.request_queue = []  # 우선순위 큐
        self.queue_lock = threading.Lock()
        self.max_workers = max_workers
        self.starvation_threshold = starvation_threshold
        
        # 기아 상태 모니터링
        self.processing_times = {}  # request_id -> start_time
        self.starvation_alerts = []
        
        # 워커 스레드 풀
        self.workers = []
        self.shutdown_event = threading.Event()
        self._start_workers()
        
        # 공정성 모니터링 스레드
        self.monitor_thread = threading.Thread(target=self._monitor_fairness)
        self.monitor_thread.daemon = True
        self.monitor_thread.start()
    
    def submit_request(self, request: Request):
        """요청을 큐에 추가"""
        with self.queue_lock:
            heapq.heappush(self.request_queue, request)
            print(f"Request {request.id} queued with priority {request.priority.name}")
    
    def _start_workers(self):
        """워커 스레드들을 시작"""
        for i in range(self.max_workers):
            worker = threading.Thread(target=self._worker_loop, args=(i,))
            worker.daemon = True
            worker.start()
            self.workers.append(worker)
    
    def _worker_loop(self, worker_id: int):
        """워커 스레드의 메인 루프"""
        while not self.shutdown_event.is_set():
            request = self._get_next_request()
            if request:
                self._process_request(request, worker_id)
            else:
                time.sleep(0.1)  # 큐가 비어있을 때 잠시 대기
    
    def _get_next_request(self) -> Optional[Request]:
        """큐에서 다음 요청을 가져옴 (우선순위 + 에이징 적용)"""
        with self.queue_lock:
            if self.request_queue:
                # 에이징 적용을 위해 큐 재정렬
                heapq.heapify(self.request_queue)
                return heapq.heappop(self.request_queue)
            return None
    
    def _process_request(self, request: Request, worker_id: int):
        """실제 요청 처리"""
        start_time = time.time()
        wait_time = start_time - request.created_at
        
        print(f"Worker {worker_id} processing request {request.id} "
              f"(waited {wait_time:f}s, effective_priority: {request.get_effective_priority():f})")
        
        # 실제 작업 시뮬레이션
        if request.priority == Priority.HIGH:
            time.sleep(0.5)  # 빠른 처리
        else:
            time.sleep(1.0)   # 일반 처리
        
        processing_time = time.time() - start_time
        print(f"Request {request.id} completed in {processing_time:f}s")
    
    def _monitor_fairness(self):
        """공정성 모니터링 및 기아 상태 감지"""
        while not self.shutdown_event.is_set():
            current_time = time.time()
            starving_requests = []
            
            with self.queue_lock:
                for request in self.request_queue:
                    wait_time = current_time - request.created_at
                    if wait_time > self.starvation_threshold:
                        starving_requests.append((request.id, wait_time))
            
            if starving_requests:
                print(f"🚨 STARVATION ALERT: {len(starving_requests)} requests waiting too long:")
                for req_id, wait_time in starving_requests:
                    print(f"   - Request {req_id}: {wait_time:f}s")
                self.starvation_alerts.extend(starving_requests)
            
            time.sleep(5)  # 5초마다 모니터링
    
    def get_queue_status(self):
        """현재 큐 상태 반환"""
        with self.queue_lock:
            return {
                'queue_length': len(self.request_queue),
                'starvation_alerts': len(self.starvation_alerts),
                'requests_by_priority': {
                    priority.name: sum(1 for req in self.request_queue if req.priority == priority)
                    for priority in Priority
                }
            }
    
    def shutdown(self):
        """처리기 종료"""
        self.shutdown_event.set()
        for worker in self.workers:
            worker.join()

# 사용 예제
def main():
    """공정한 요청 처리 시스템 데모"""
    processor = FairRequestProcessor(max_workers=3, starvation_threshold=15)
    
    try:
        # 다양한 우선순위의 요청들을 시간차를 두고 추가
        requests = [
            Request("REQ-001", Priority.NORMAL, time.time(), {"type": "user_query"}),
            Request("REQ-002", Priority.HIGH, time.time(), {"type": "admin_task"}),
            Request("REQ-003", Priority.NORMAL, time.time(), {"type": "user_query"}),
            Request("REQ-004", Priority.HIGH, time.time(), {"type": "critical_update"}),
            Request("REQ-005", Priority.LOW, time.time(), {"type": "background_job"}),
        ]
        
        # 요청들을 순차적으로 제출
        for i, request in enumerate(requests):
            processor.submit_request(request)
            time.sleep(1)  # 1초 간격으로 요청 제출
            
            # 중간에 더 많은 높은 우선순위 요청 추가 (기아 상황 시뮬레이션)
            if i == 2:
                for j in range(5):
                    high_priority_req = Request(f"HIGH-{j}", Priority.HIGH, time.time(), {"type": "urgent"})
                    processor.submit_request(high_priority_req)
                    time.sleep(0.5)
        
        # 처리 상황 모니터링
        for _ in range(10):
            status = processor.get_queue_status()
            print(f"\n📊 Queue Status: {status}")
            time.sleep(3)
            
    except KeyboardInterrupt:
        print("\n⏹️  Shutting down processor…")
    finally:
        processor.shutdown()

if __name__ == "__main__":
    main()
실습 예제: 다수의 쓰레드가 동시에 공유 자원을 요청

시나리오: 다수의 쓰레드가 동시에 공유 자원 (예: DB Connection Pool) 을 요청할 때, 특정 쓰레드가 계속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는 상황을 구현.

시스템 구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import threading
import time
import random

class ResourcePool:
    def __init__(self, size):
        self.pool = [True] * size  # True: 비어있음, False: 사용중
        self.lock = threading.Lock()

    def acquire(self, thread_id):
        # 불공정한 자원 할당(Starvation 유발)
        while True:
            with self.lock:
                for i, available in enumerate(self.pool):
                    if available:
                        self.pool[i] = False
                        print(f"Thread {thread_id} acquired resource {i}")
                        return i
            # 공정한 할당을 위해 짧은 sleep 추가(예: time.sleep(0.1))
            time.sleep(1)  # 이 부분이 없으면 Starvation 발생 가능

    def release(self, idx):
        with self.lock:
            self.pool[idx] = True
            print(f"Resource {idx} released")

def worker(thread_id, pool):
    res_idx = pool.acquire(thread_id)
    time.sleep(random.random())  # 자원 사용 시간
    pool.release(res_idx)

def main():
    pool = ResourcePool(3)
    threads = []
    for i in range(10):
        t = threading.Thread(target=worker, args=(i, pool))
        threads.append(t)
        t.start()
    for t in threads:
        t.join()

if __name__ == "__main__":
    main()

실행 결과 해석:
acquire() 메서드에서 락을 획득한 쓰레드가 자원을 탐색할 때, 항상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검사하므로, 운이 나쁘면 특정 쓰레드는 자원을 할당받지 못하고 무한 대기 (Starvation) 에 빠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공정한 스케줄링(예: 요청 순서 큐, Aging 등) 이 필요하다.

유무에 따른 차이점

실습 예제: 운영체제 (OS) 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CPU 를 사용하는 상황

시나리오: 운영체제 (OS) 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CPU 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 (Priority Scheduling) 을 적용하여 낮은 우선순위의 프로세스가 계속 선점되지 못하는 경우 Starvation(기아 현상) 이 발생.

시스템 구성:

flowchart TD
  HighP[고우선 프로세스] --요청--> Sched1[우선순위 스케줄러]
  LowP[저우선 프로세스] --요청--> Sched1
  Sched1 --자원할당(CPU)--> HighP
  Sched1 --반복대기--> LowP
  subgraph Aging Process
    Sched1 --우선순위 상승--> LowP
  end

Workflow: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Pytho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import time
from queue import PriorityQueue

# 우선순위와 도착시간을 기준으로 프로세스 관리
class Process:
    def __init__(self, name, priority, arrival_time):
        self.name = name
        self.priority = priority
        self.arrival_time = arrival_time

    def __lt__(self, other):
        # 우선순위와 도착시간(aging 고려)로 비교
        return (self.priority, self.arrival_time) > (other.priority, other.arrival_time)

# 프로세스 생성 (도착시간에 따라 aging 적용 가능)
pq = PriorityQueue()
now = time.time()
pq.put(Process('Low', 1, now))
pq.put(Process('High', 10, now + 1))

# Aging 알고리즘: 일정 시간마다 낮은 우선순위의 priority 증가
def apply_aging(processes, current_time):
    for p in processes:
        if current_time - p.arrival_time > 5:  # 5초 이상 대기 시 우선순위 1 상승
            p.priority += 1

# 실행 시뮬레이션
processes = [Process('Low', 1, now), Process('High', 10, now + 1)]
for _ in range(10):
    apply_aging(processes, time.time())
    next_p = max(processes, key=lambda p: (p.priority, -p.arrival_time))
    print(f"실행 프로세스: {next_p.name}, 우선순위: {next_p.priority}")
사례: 대용량 웹 서비스에서 사용자 요청 처리

시나리오: 대용량 웹 서비스에서 사용자 요청 처리 시 스타베이션 방지

시스템 구성:

graph TB
    A[클라이언트 요청] --> B[로드 밸런서<br/>가중 라운드 로빈]
    B --> C[웹 서버 1<br/>공정 큐 스케줄러]
    B --> D[웹 서버 2<br/>공정 큐 스케줄러]
    B --> E[웹 서버 3<br/>공정 큐 스케줄러]
    
    C --> F[커넥션 풀]
    D --> F
    E --> F
    
    F --> G[데이터베이스<br/>Wait-Die 스키마]
    
    H[모니터링 시스템] --> B
    H --> C
    H --> D
    H --> E
    H --> G
    
    I[캐시 서버<br/>LRU + 에이징] --> C
    I --> D
    I --> E

Workflow: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import time
import threading
from queue import Queue, PriorityQueue
from dataclasses import dataclass
from typing import Dict, List

@dataclass
class Request:
    """웹 요청을 나타내는 클래스"""
    id: str
    priority: int
    arrival_time: float
    waiting_time: float = 0.0
    
    def __lt__(self, other):
        return self.priority < other.priority

class FairQueueScheduler:
    """공정한 큐 스케줄러 구현"""
    
    def __init__(self, aging_factor: int = 1, aging_interval: float = 5.0):
        self.request_queue = PriorityQueue()
        self.aging_factor = aging_factor
        self.aging_interval = aging_interval
        self.running = False
        self.lock = threading.Lock()
        
    def add_request(self, request: Request):
        """요청을 큐에 추가"""
        with self.lock:
            self.request_queue.put(request)
    
    def age_requests(self):
        """대기 중인 요청들의 우선순위를 에이징"""
        current_time = time.time()
        temp_requests = []
        
        with self.lock:
            # 큐에서 모든 요청을 꺼내어 에이징 적용
            while not self.request_queue.empty():
                request = self.request_queue.get()
                request.waiting_time = current_time - request.arrival_time
                
                if request.waiting_time >= self.aging_interval:
                    # 에이징 적용: 우선순위 증가
                    request.priority -= self.aging_factor
                    print(f"Request {request.id} aged: priority = {request.priority}")
                
                temp_requests.append(request)
            
            # 에이징이 적용된 요청들을 다시 큐에 추가
            for request in temp_requests:
                self.request_queue.put(request)
    
    def process_requests(self):
        """요청 처리 메인 루프"""
        while self.running:
            try:
                # 에이징 적용
                self.age_requests()
                
                # 가장 높은 우선순위 요청 처리
                if not self.request_queue.empty():
                    with self.lock:
                        request = self.request_queue.get()
                    
                    print(f"Processing request {request.id} "
                          f"(priority: {request.priority}, "
                          f"waiting: {request.waiting_time:f}s)")
                    
                    # 실제 요청 처리 시뮬레이션
                    time.sleep(1)
                    
                time.sleep(0.5)  # 스케줄링 간격
                
            except Exception as e:
                print(f"Error in scheduler: {e}")
    
    def start(self):
        """스케줄러 시작"""
        self.running = True
        threading.Thread(target=self.process_requests, daemon=True).start()
    
    def stop(self):
        """스케줄러 정지"""
        self.running = False

class WebServerMonitor:
    """웹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def __init__(self):
        self.request_stats: Dict[str, float] = {}
        self.starvation_threshold = 10.0  # 10초 이상 대기 시 스타베이션으로 간주
    
    def check_starvation(self, requests: List[Request]) -> List[str]:
        """스타베이션 발생 요청 탐지"""
        starved_requests = []
        current_time = time.time()
        
        for request in requests:
            waiting_time = current_time - request.arrival_time
            if waiting_time > self.starvation_threshold:
                starved_requests.append(request.id)
                print(f"ALERT: Request {request.id} may be starving "
                      f"(waiting: {waiting_time:f}s)")
        
        return starved_requests

# 사용 예시
if __name__ == "__main__":
    # 공정 큐 스케줄러 생성
    scheduler = FairQueueScheduler(aging_factor=2, aging_interval=3.0)
    scheduler.start()
    
    # 모니터링 시스템 생성
    monitor = WebServerMonitor()
    
    # 다양한 우선순위의 요청 생성
    requests = [
        Request("req_1", priority=10, arrival_time=time.time()),
        Request("req_2", priority=5, arrival_time=time.time()),
        Request("req_3", priority=15, arrival_time=time.time()),
        Request("req_4", priority=1, arrival_time=time.time()),  # 높은 우선순위
    ]
    
    # 요청들을 스케줄러에 추가
    for request in requests:
        scheduler.add_request(request)
        print(f"Added request {request.id} with priority {request.priority}")
    
    # 시뮬레이션 실행
    try:
        time.sleep(20)  # 20초간 실행
    except KeyboardInterrupt:
        print("\nSimulation stopped")
    finally:
        scheduler.stop()
사례: 멀티스레드 기반 주문 처리 시스템에서 고우선 알림 처리 쓰레드가 무한 반복

시나리오: 멀티스레드 기반 주문 처리 시스템에서 고우선 알림 처리 쓰레드가 무한 반복적으로 실행됨에 따라, 주문 저장 스레드가 자원을 얻지 못해 고객의 주문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

시스템 구성:

flowchart TB
    Client --> Web[Web API]
    Web --> ThreadPool
    ThreadPool --> Notify[알림 처리 스레드]
    ThreadPool --> Order[주문 저장 스레드]
    Notify --> DB[공용 데이터베이스 락 점유]
    Order --> DB

Workflow:

역할:

유무에 따른 차이점:

구현 예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from threading import Lock, Thread
import time

db_lock = Lock()

def notify_thread():
    while True:
        if db_lock.acquire(timeout=0.1):
            print("알림 처리 중…")
            time.sleep(0.1)
            db_lock.release()
        time.sleep(0.05)

def order_thread():
    while True:
        if db_lock.acquire(timeout=0.1):
            print("주문 저장 중…")
            time.sleep(0.2)
            db_lock.release()
        else:
            print("주문 대기 중… (Aging 필요)")

# aging 혹은 우선순위 보정 필요
Thread(target=notify_thread).start()
Thread(target=order_thread).start()

운영 및 최적화 (Operations & Optimization)

보안 및 거버넌스

구분항목설명Starvation 관련 사례/대응 방안
보안Access Control (RBAC)역할 기반 자원 접근 제한으로 특정 사용자/태스크의 자원 독점 방지특정 태스크만 지속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지 않도록 제한
보안QoS 정책낮은 우선순위 작업에도 최소 자원을 보장하여 기아 상태 방지Kubernetes LimitRange, ResourceQuota, PriorityClass
보안Rate Limiting & Quota자원 요청 폭주 방지를 통해 정상 요청의 기아 방지대량 요청 사용자 차단, 정상 요청의 리소스 확보 보장
보안우선순위 권한 상승 차단낮은 권한의 사용자/태스크가 우선순위 역전 구조를 악용하지 않도록 제한우선순위 맵핑 테이블, 인증된 정책 기반 우선순위 부여
보안Audit Log자원 할당 이력, 선점 시도, 우선순위 조정 등을 추적하여 반복적 Starvation 상황 분석 가능높은 우선순위 요청이 반복적으로 특정 자원을 선점하는 패턴 파악
거버넌스우선순위 정책서비스 중요도 기반 우선순위 설정 및 균형 있는 스케줄링 보장업무 중요도 vs 대기 시간 균형 조정
거버넌스자원 할당 정책사용자/그룹 단위 자원 쿼터 설정 및 공정한 배분 보장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특정 그룹만 리소스를 독점하지 않도록 격리
거버넌스SLA 정책최대 대기 시간, 평균 응답 시간 등 명확한 기준 설정태스크가 Starvation 상태로 일정 시간 이상 대기하지 않도록 감시 및 대응
거버넌스자동화된 정책 집행 및 대응 시스템Starvation 징후 감지 시 자동 우선순위 조정, 큐 재정렬 등Prometheus, AlertManager, Operator 기반 자동 정책 반영
거버넌스멀티 테넌시 자원 분리네임스페이스, cgroup, CPU shares 등으로 사용자 간 자원 분리특정 테넌트가 전체 자원을 점유해 다른 테넌트가 starving 상태에 빠지는 것 방지

Starvation 은 단순한 기술적 이슈가 아닌 정책적 통제 실패로부터 비롯된 구조적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보안 및 거버넌스 측면에서의 대응은 다음 세 가지 관점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안 및 거버넌스 체계는 특히 멀티 테넌시 환경, 클라우드, 분산 시스템에서 필수적이며, Starvation 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 위의 정책적 방패 역할을 한다.

모니터링 및 관측성

분류정의구성 요소측정 원리목적활용 도구특징
대기 시간 메트릭요청 또는 스레드의 대기 시간 측정평균 대기 시간, 최대 대기 시간, p95/p99 latency대기 시작~자원 획득 시점 간 차이 계산Starvation 감지, SLA 만족 여부 확인Prometheus, Python ExporterAlerting 임계값 설정 가능
처리량 메트릭단위 시간당 처리된 요청 수 측정Throughput (req/sec), 평균 처리 시간완료 요청 수 / 시간성능 지표 관리Prometheus, Grafana전반적 서비스 처리율 모니터링
공정성 메트릭작업별 자원 분배의 균형성 측정Jain’s Fairness Index, 우선순위별 처리량(Σxi)^2 / (n * Σxi^2) 공식 기반우선순위 불균형 감지Custom Exporter, Grafana임계값 초과 시 경고 가능
스레드 상태 추적스레드/태스크의 상태 지속 추적WAITING/READY/LOCKED 상태 비율스레드 덤프 또는 Runtime 상태 조회기아 상태 지속 여부 확인Python threading, JVM, Go프로파일링 기반 세부 추적 가능
락 충돌 분석자원 접근 시 경쟁 상태 추적Lock 획득 실패 횟수, 대기 시간획득 요청 횟수 대비 실패율, 지연 시간 분석Lock 병목 여부 확인perf, Flight Recorder, gprof락 관련 starvation 원인 분석
자원 사용률 모니터링시스템 자원의 사용 편중 및 병목 확인CPU, Memory, Disk I/O 사용률, Queue Depth노드/컨테이너 단위 자원 소모량 수집자원 독점 및 과부하 식별cAdvisor, kube-state-metrics, Node ExporterKubernetes 기반 확장 가능
스케줄링 추적태스크가 스케줄러에 의해 어떻게 배치되는지 분석우선순위 기반 선점 횟수, 스케줄링 큐 잔존 시간커널 Trace, BPF 기반 태스크 실행 이력 분석우선순위 역전 및 스케줄 편중 탐지eBPF, SystemTap, Kernel Trace운영체제 레벨에서 정확한 흐름 분석 가능

실무 적용 고려사항 및 주의점

카테고리고려 항목설명권장 사항
정책 설계우선순위 설계너무 복잡하면 관리 어려움. 적절한 단계로 단순화 필요3~5 단계 수준으로 제한, 명확한 기준 설정
에이징 파라미터 설정에이징 속도에 따라 우선순위 체계 왜곡 또는 방지 효과 약화 가능시스템 부하에 따른 적절한 속도 설정, 필요 시 동적 조정
공정성 설정완전한 공정성은 성능 저하 야기 가능충분한 공정성 수준 설정 (Hybrid 스케줄링 등)
동기화/자원 관리공정 락 설계비공정 락은 기아 발생 위험공정 락 (FIFO 기반), 락 범위 최소화 적용
타임아웃 설정무한 대기 방지를 위한 기본 정책모든 자원 접근 시 타임아웃 적용
자원 예약 및 요청량 설정자원 부족으로 기아 발생 가능성Kubernetes requests/limits 명시 설정
시스템 운영ThreadPool 구성워커 고정 시 blocking 작업으로 starvation 유발 가능I/O 분리, 비동기 처리 우선
스케줄링 전략우선순위 기반만 사용 시 공정성 부족RR + Priority 혼합 전략
관측성대기 시간/공정성 추적메트릭이 없다면 Starvation 조기 탐지 어려움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메트릭 추적, fairness 지수 포함
알림 체계 구성임계치 초과 경고 누락 시 장애 대응 지연Grafana alert rule + Slack 연동
테스트/이식성점진적 도입 전략기존 시스템에 전면 도입 시 예기치 못한 영향파일럿 테스트 후 단계적 확대 적용
장애 복구 메커니즘기아 방지 메커니즘 자체 실패 대비 필요fallback 처리 경로 마련, 복구 정책 수립

최적화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주의할 점

카테고리고려사항설명권장사항
1. 스케줄링 및 우선순위 관리우선순위 조정 알고리즘에이징, 동적 우선순위 조정priority += wait_time / α 와 같이 가중치 계산
우선순위 변경 빈도지나친 변경은 컨텍스트 스위칭 증가 유발제한적 조정 또는 이벤트 기반 변경
예측 가능한 정책 설계동작 불확실성은 디버깅 및 SLA 만족도 저하결정론적 알고리즘 우선 적용
2. 락 구조 및 동기화 전략공정 락 도입락 획득 순서 보장으로 기아 방지Java ReentrantLock(true)
락 범위 최소화임계구역이 클수록 병목 증가세분화된 락 또는 lock-free 자료구조 도입
3. 자원 관리 및 분산 설계자원 격리자원 독점 방지 및 다중 사용자 환경 대응Kubernetes ResourceQuota, cgroups
리소스 파편화 방지고정 할당 자원이 낭비로 이어질 수 있음동적 할당 정책 또는 공유 자원화
4. 성능/오버헤드 최적화알고리즘 오버헤드우선순위 조정 로직, 락 큐 계산 등이 과부하 유발 가능힙/트리 기반 자료구조, 연산 배치 처리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우선순위 큐 관리 비용 고려필요 최소한의 상태만 유지
5. 모니터링 및 대응상태 모니터링 체계기아 발생 위치 및 시간 감지APM 연동, 지연 메트릭 수집
자동 대응 메커니즘수동 조치만으로는 실시간 대응 어려움SLA 위반 시 우선순위 자동 조정 등
6. 확장성 및 예측성 유지분산 환경 확장클러스터 확장 시 정책 유지가 어려움계층적 큐, 분산 스케줄러 사용
이벤트 기반 조정부하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정책 전환조건부 Trigger 적용 (e.g., 지연 시간 > 95%tile)

Starvation 방지 메커니즘은 시스템의 성능, 안정성,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이지만, 무조건적 적용은 오히려 새로운 병목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우선순위 조정, 락 구조 설계, 자원 할당 정책, 모니터링 체계는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하며, 이 중 하나라도 과도하게 동작하거나 무시되면 Starvation 완화보다는 예측 불가능한 시스템 동작으로 이어진다.

효과적인 최적화를 위해선 다음이 중요하다:

결국, Starvation 방지는 기술보다 운영 전략과 시스템 이해의 문제이며, 최적화는 단순한 속도 향상이 아니라 ” 예측 가능하고 공정한 시스템 " 을 구축하는 과정이다.

고급 주제 (Advanced Topics)

현재 도전 과제

카테고리도전 과제원인영향해결 방안구현 복잡도
공정성/스케줄링분산 시스템에서의 글로벌 공정성 확보네트워크 지연, 상태 불일치, 로컬 중심 스케줄링전체 시스템 레벨에서 공정한 자원 분배 실패 → 일부 노드의 starvation글로벌 스케줄러, 분산 합의 알고리즘, 메타 스케줄링 도입매우 높음
실시간 시스템에서의 예측 가능성 확보동적 우선순위 변경이 실시간 제약 위반 유도데드라인 미스, 지연 전파, 실시간 서비스 신뢰도 저하정적 분석, WCET(Worst Case Execution Time) 분석, 실시간 스케줄링 적용높음
클라우드/멀티테넌시멀티테넌트 환경에서의 자원 Starvation리소스 선점형 워크로드, 불균형한 우선순위 또는 QoS 정책 부재낮은 우선순위 또는 일반 서비스의 처리 지연QoS 정책 정의, namespace 격리, resource quota 활용중간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의 스케일링 실패HPA/VPA 가 실제 자원 부족을 반영하지 못함스케일링 되어도 실제 자원 미할당 → Starvation 지속예약 기반 스케줄링, predict-aware scaling높음
AI/ML머신러닝 워크로드의 GPU 자원 starvationGPU 자원 희소성, 대규모 학습이 전체 자원 독점우선순위 낮은 실험 작업 기아, 학습 지연GPU time-sharing, priority-aware preemption중간
마이크로서비스마이크로서비스 간의 백프레셔 연쇄 기아 문제병목 서비스의 처리 지연 → 연쇄적 요청 지연 전파전체 서비스 메시 불안정, 사용자 응답 지연Circuit Breaker, backpressure 제한, timeout 설정중간
관측/모니터링분산 환경에서의 Starvation 감지 난이도상태/로그 분산, 노드 간 지표 통합 어려움문제 조기 탐지 실패 → 장기화된 리소스 기아글로벌 로그 수집, BPF, eBPF 기반 커널 추적 강화높음

생태계 및 관련 기술

카테고리기술 또는 구성요소연계 방식Starvation 방지 기여
운영체제 및 스케줄링Linux CFS, POSIX SCHED_FIFO, SCHED_RR가상 런타임 기반 공정 스케줄링, 실시간 우선순위 정책CPU 자원 공정 분배, 우선순위 기반 starvation 방지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Java ReentrantLock(fair), Go Scheduler, Python asyncioFIFO 기반 락 할당, 비동기 태스크 스케줄링스레드 락 독점 방지, 비동기 starvation 방지
자원 관리 플랫폼Kubernetes QoS, cgroups, ResourceQuotaPod 우선순위 설정, 자원 격리 및 제한낮은 우선순위 작업에 최소 자원 보장, 과점 방지
분산 처리 및 메시지 큐Kafka, RabbitMQ, Flink, Redis Lock백프레셔, 락 타임아웃, 체크포인팅이벤트 처리 및 메시지 소비의 공정성 보장
모니터링 및 관측성 도구Prometheus, OpenTelemetry, OpenMetrics메트릭 기반 지연 추적, 이상 탐지Starvation 지표 기반 조기 대응 가능
표준 및 프로토콜POSIX, Kubernetes CRD, OpenMetrics정책 정의, 우선순위 aging 및 fairness 구성시스템 간 통합 정책 적용 가능

결론적으로, Starvation 은 단일 기술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계 전반에 걸친 통합 전략이 필요하며, 운영체제 - 프로그래밍 - 자원관리 - 관측성 - 표준이 유기적으로 연동되어야 근본적인 방지가 가능하다.

최신 기술 트렌드와 미래 방향

카테고리기술/전략설명적용 기술/예시
AI 기반 동적 스케줄링예측 기반 자원 할당 최적화머신러닝으로 시스템 상태를 분석하고 starvation 가능성 예측IBM Turbonomic, Predictive Scheduler (Python 예시)
이벤트/서버리스 기반 처리정적 우선순위 없는 함수 단위 처리 모델요청마다 짧은 생명 주기의 자원 할당으로 기아 상태 완화AWS Lambda, Google Functions, KEDA
엣지 및 계층형 스케줄링Cloud–Edge–Device 구조에서의 분산 자원 처리엣지 단에서의 공정성 유지 및 클라우드와의 스케줄링 조율K3s, GKE Edge, Azure IoT Hub, 분산 스케줄러 구조 (mermaid 참조)
보안 및 투명성 중심 자원 처리블록체인 기반 요청 기록 및 동형암호 기반 우선순위 처리변조 불가능한 요청 순서 보장 및 암호화된 공정성 비교 수행Ethereum, Hyperledger, Post-Quantum Safe Priority Mgmt
실시간 관측 기반 대응메트릭 및 이벤트 기반 이상 탐지 및 정책 전환starvation 지표 탐지 후 적응형 정책으로 전환Prometheus, OpenTelemetry, Latency-aware Scheduling

기타 고급 사항

항목설명
우선순위 역전과 Starvation 간의 연계우선순위 역전 (Priority Inversion) 이 장기화되면 Starvation 으로 발전 가능.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선순위 상속 (Priority Inheritance) 또는 Ceiling Protocol 이 필요
락 계층화 전략다중 자원 락이 필요한 경우 자원 접근 순서 정렬을 통해 교착과 Starvation 을 함께 방지
eBPF 기반 시스템 레벨 진단Linux 커널 내에서 락 충돌, 큐 대기 분석 가능 → Starvation 조기 탐지

정리 및 학습 가이드

내용 정리

학습 로드맵

단계목표주요 학습 주제주요 기술/도구
1 단계 (기초 이론)Starvation 개념 이해동시성, Deadlock/Starvation 구분, 우선순위 기반 스케줄링OS 이론, Java Thread
2 단계 (기초 실습)단일 시스템 내 기아 방지 실습락 메커니즘, 에이징 구현, 공정성 락 비교Java, Python, ReentrantLock
3 단계 (시스템 적용)실제 시스템에서의 탐지/예방JVM, DBMS, Kubernetes 환경에서 Starvation 분석K8s, SQL, GC, Thread Dump
4 단계 (운영/최적화)실시간 대응 및 자동화 구성모니터링, SLA 기반 정책, 백프레셔 관리Prometheus, OpenTelemetry, Circuit Breaker
5 단계 (고급 트렌드 & 응용)예측·자율적 스케줄링 구현AI 기반 스케줄링, 멀티테넌시 고려, Edge 환경 설계ML 모델, AIOps, K8s Scheduling Framework

학습 항목 매트릭스

단계 (Phase)학습 영역학습 항목중요도
1 (기초)개념 이해Starvation 정의, 우선순위 메커니즘, 공정성 개념필수
2 (이론)탐지 및 해결 기법Aging, Fair Scheduling, Lock Fairness, Priority Inversion 대응필수
3 (분석)원인 분석/균형성능 vs 공정성 트레이드오프, 탐지 가능성 평가필수
4 (구현–실무)코드 및 환경 실습Java ReentrantLock, Kubernetes Priority/Quota 설정, 메시지 큐 관리권장
5 (운영)모니터링/운영지연/대기 시간 모니터링, 알람 체계, SLA 기반 자동 대응필수
6 (고급)최신 트렌드AI 기반 스케줄링, 분산 환경 공정성, 엣지/서버리스 고려선택

용어 정리

카테고리용어 (한글/영문)정의관련 개념
핵심 개념Starvation (기아 상태)자원을 할당받지 못해 무한 대기Deadlock, Fairness
Aging (에이징)대기 시간에 비례한 우선순위 상승Priority Scheduling
Fairness (공정성)자원의 합리적 접근 보장Jain’s Index
Liveness (활성성)모든 작업이 결국 완료됨을 보장Starvation, Deadlock
스케줄링/동시성Priority Inversion (우선순위 역전)낮은 우선순위가 고우선 작업을 막음Inheritance Protocol
Fair Lock (공정 락)FIFO 락 정책ReentrantLock
Round Robin시간 분할 순환 실행Time Slice
MLFQ다단계 큐로 우선순위 동적 조정Aging, Feedback
리소스 관리Lock, Mutex, Semaphore동기화 기법Thread Safety
Timeout자원 요청 제한 시간 설정Deadlock 회피
Resource Quota자원 사용량 제한 정책K8s, Multi-tenancy
Preemption우선순위 기반 자원 선점RTOS, QoS Policy
운영/관측QoS서비스 품질 보장 정책Kubernetes QoS Class
Observability시스템 상태 외부에서 관측 가능Logging, Tracing
SLA서비스 품질 계약SLI, SLO
Jain’s Index자원 공정성 측정 수치Fairness Metric
Backpressure처리속도 역방향 조절 메커니즘Flow Control
Dashboard실시간 시각화 UIGrafana
Auto Alert알림 자동화 시스템Alertmanager, Slack
분산 시스템/클라우드Orchestration자원/작업 조율 자동화Kubernetes
Service Mesh마이크로서비스 통신 관리Istio, Linkerd
WFQ (가중치 공정 큐)가중치 기반 요청 공정 분배Network QoS
Wait-Die / Wound-Wait타임스탬프 기반 DB Starvation 방지DB 동시성 제어
Finite Bypass유한한 횟수만 자원 접근 우회 허용Fair Queue

참고 및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