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Sent Events vs. Webhook

Server-Sent Events vs. Webhook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효율적인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서버 전송 이벤트(Server-Sent Events, SSE)와 웹훅(Webhook)은 모두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이지만, 그 작동 방식과 적합한 사용 사례가 크게 다르다. 서버 전송 이벤트(SSE) 기본 개념 서버 전송 이벤트(SSE)는 HTTP 연결을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단방향 실시간 이벤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HTML5 표준의 일부로, 웹 브라우저에서 EventSource API를 통해 구현된다. SSE는 표준 HTTP 프로토콜 위에서 작동하며, 별도의 프로토콜 전환 없이 실시간 데이터 푸시가 가능하다. ...

March 8, 2025 · 7 min · Me

setup.cfg vs pyproject.toml

setup.cfg vs. pyproject.toml setup.cfg와 pyproject.toml은 Python 프로젝트의 구성과 메타데이터를 정의하는 파일 형식이다. 이 두 파일은 프로젝트 설정, 의존성, 빌드 시스템 등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있다. setup.cfg는 setuptools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Python 패키징 시스템의 일부이다. 형식: INI 스타일의 설정 파일 주요 용도: 프로젝트 메타데이터 정의 (이름, 버전, 설명 등) 의존성 선언 패키지 데이터 및 스크립트 설정 특징: setup.py와 함께 사용되어 왔음 정적 메타데이터를 선언적으로 정의하는 데 적합 레거시 도구와의 호환성 유지 pyproject.toml은 PEP 518에서 도입된 새로운 표준 구성 파일이다. ...

November 27, 2024 · 3 min · Me

CCE vs CVE vs CWE

CCE vs. CVE vs. CWE CCE, CVE, CWE는 모두 컴퓨터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분류하기 위한 표준화된 체계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각각 다른 측면의 보안 취약점을 다루고 있다. 구분 CCE (Common Configuration Enumeration) CVE (Common Vulnerabilities and Exposures) CWE (Common Weakness Enumeration) 정의 시스템 보안 구성 문제를 식별하고 추적하기 위한 표준 명명 체계 공개된 사이버 보안 취약점에 대한 표준 식별자 시스템 소프트웨어/하드웨어 보안 취약점의 유형을 분류하는 표준 목록 주요 목적 보안 구성 설정의 표준화된 참조 제공 특정 보안 취약점의 고유한 식별과 추적 취약점의 유형과 원인에 대한 분류 체계 제공 식별자 형식 CCE-XXXX-X CVE-YYYY-NNNNN CWE-XXX 사용 범위 시스템 구성 및 설정 특정 제품의 구체적 취약점 취약점의 유형과 분류 주요 내용 - 구성 매개변수 - 권장 설정 값 - 구성 지침 - 취약점 설명 - 영향받는 시스템 - 해결 방안 - 취약점 유형 - 원인과 결과 - 완화 방법 구조 특징 - 플랫폼별 구성 항목 - 기술적 메커니즘 - 검증 기준 - 타임라인 기반 - 영향도 평가 - 참조 정보 - 계층적 구조 - 다중 뷰 - 관계 정의 주요 활용 - 보안 구성 관리 - 컴플라이언스 점검 - 시스템 강화 - 취약점 관리 - 패치 관리 - 위험 평가 - 보안 설계 - 코드 리뷰 - 취약점 분석 관리 주체 NIST MITRE MITRE 업데이트 주기 새로운 구성 항목 발견 시 새로운 취약점 발견 시 정기적 업데이트 연관 표준 - SCAP XCCDF OVAL - CVSS NVD SCAP - CVE CAPEC SANS Top 25 주요 이점 - 구성 표준화 - 자동화 지원 - 감사 효율성 - 취약점 추적 - 명확한 의사소통 - 위험 관리 - 체계적 분류 - 원인 분석 - 예방 가이드 한계점 - 플랫폼 의존성 - 구성 복잡성 - 업데이트 지연 - 공개된 취약점만 포함 - 시간 지연 - 상세도 차이 - 추상적 성격 - 복잡한 분류 - 실제 적용 어려움 이러한 세 가지 표준은 각각 다른 관점에서 보안 취약점을 다루며,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

November 7, 2024 · 2 min · Me

Decompose by Business Capability vs Decompose by Subdomain

Decompose by Business Capability vs. Decompose by Subdomain Decompose by Business Capability 정의: 비즈니스의 기능적 역량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조직의 주요 기능(예: 판매, 마케팅, 고객 서비스 등)에 따라 모듈을 나누는 방법. 특징: 비즈니스의 주요 역량을 중심으로 서비스나 모듈을 설계. 시스템의 경계가 기능적인 책임(Functional Responsibility)에 맞춰 설정됨. 기술적으로 독립적이고 명확한 책임 분리가 가능. 조직 구조와 자연스럽게 연계되므로 비즈니스와 IT의 연계성이 높아짐. 비즈니스의 장기적 확장성과 변화를 쉽게 수용할 수 있음. 예시: 주문 관리 시스템(Order Management System), 재고 관리 시스템(Inventory Management System) 등으로 분할. Decompose by Subdomain ...

November 13, 2024 · 2 min · Me

Mediator Pattern vs Observer Pattern

Mediator Pattern Vs Observer Pattern Mediator 패턴과 Observer 패턴은 객체 간 통신을 관리하는 디자인 패턴이지만, 그 접근 방식과 용도에 차이가 있다. Mediator 패턴: 객체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캡슐화하여 중재자 객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하게 하는 패턴 객체 간 결합도를 낮추고 상호작용을 중앙 집중화함 복잡한 다대다 관계를 단순화하는 데 유용 Observer 패턴: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들에게 자동으로 알리는 패턴 주체 객체와 다수의 관찰자 객체 간의 일대다 관계를 정의함 상태 변경에 대한 효율적인 알림 메커니즘을 제공 Mediator 패턴은 객체 간 복잡한 상호작용을 중재자를 통해 관리하여 객체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상호작용 로직을 집중시키는 데 적합하다. Observer 패턴은 상태 변화에 따른 자동 알림 및 실시간 동기화를 구현할 때 적합하며, 이벤트 기반 시스템에 자주 사용된다. 두 패턴 모두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는 데 기여하지만, Mediator는 상호작용을 캡슐화하고 Observer는 상태 변경에 반응하는 방식으로 목적과 활용 분야가 다르다. ...

September 24, 2024 · 3 min · Me

NodeJS vs. Javascript

NodeJS vs. Javascript JavaScript는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언어이다. 동적이며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이벤트 중심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며, HTML 문서와 함께 사용된다. 프로토타입 기반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한다. 1 2 3 4 5 6 7 8 9 10 // JavaScript 예시 // DOM 조작 document.getElementById('myButton').addEventListener('click', function() { alert('버튼이 클릭되었습니다!'); }); // 비동기 처리 fetch('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console.log(data));**** Node.js는 JavaScript를 서버 측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런타임 환경이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November 23, 2024 · 2 min · Me

import vs require

Import vs. Require 참고 및 출처

November 23, 2024 · 1 min · Me

Web Application Server (WAS) vs. Web Server

Web Application Server (WAS) vs. Web Server Web Server와 Application Server는 모두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반환하는 서버이지만, 역할과 기능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이 두 서버는 종종 함께 사용되며,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정의 및 주요 역할 Web Server 주로 정적 콘텐츠(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한다. 정적 리소스를 빠르게 처리하며, 동적 요청은 Application Server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Application Server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버이다.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실행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맞춤형 데이터를 반환한다. 동적 콘텐츠를 처리하기 때문에 복잡한 트랜잭션 관리 및 비즈니스 로직 수행이 가능하다. 기능 Web Server 정적 콘텐츠 제공: HTML, CSS, 이미지 파일 등. 요청 전달: 동적 콘텐츠 요청은 Application Server로 전달. 캐싱 및 로드 밸런싱: 웹사이트 성능 최적화를 위한 기능 제공. Application Server 동적 콘텐츠 생성: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생성. 비즈니스 로직 처리: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거나 복잡한 연산 수행. 트랜잭션 관리: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 사용 사례 Web Server ...

October 22, 2024 · 3 min · Me

QA vs QC vs Testing

Quality Assurance (QA) and Quality Control (QC) and Testing Quality Assurance (QA)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들의 집합이다. QA는 프로세스 중심적이며, 품질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체 개발 수명주기에 걸쳐 품질 기준과 절차를 수립하고 관리한다. Quality Control (QC)는 개발된 제품이나 서비스가 정해진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활동이다. QC는 제품 중심적이며, 실제 결과물을 검사하고 결함을 찾아내는 데 중점을 둔다. 주로 테스트와 검토를 통해 이루어진다. Testing은 소프트웨어가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구체적인 실행 활동이다. 버그를 찾아내고, 시스템의 기능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QC의 중요한 하위 활동으로 볼 수 있다. ...

November 5, 2024 · 2 min · Me

Lost Update

Lost Update Lost Update 는 여러 트랜잭션이 같은 행을 동시에 읽어 수정할 때 한쪽 갱신이 나중 갱신에 의해 덮여 사라지는 현상이다. MVCC(스냅샷) 는 일부 읽기 문제를 막지만, 클라이언트 측에서 Read–Modify–Write 패턴을 쓰면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실무 대응은 가능한 경우 UPDATE … SET v = v + 1 처럼 원자적 SQL 사용 충돌이 잦지 않으면 낙관적 잠금(버전/타임스탬프 비교) 으로 충돌 감지 후 재시도 핫스팟엔 비관적 잠금(SELECT … FOR UPDATE) 사용 강제 일관성이 필요하면 DBMS 의 Serializable/SSI 선택이다 운영에서는 충돌률·재시도율·락 대기 시간을 관측하고 재시도·백오프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 ...

September 12, 2025 · 44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