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ead-of-Time Compiler

Ahead-of-Time (AOT) Compiler Ahead-of-Time(AOT)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실행 전에 소스 코드나 중간 언어(예: 바이트코드)를 네이티브 머신 코드로 미리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는 런타임 동안의 동적 컴파일 오버헤드를 제거하여,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바로 최적화된 실행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 시작 시간과 예측 가능한 성능을 제공한다. AOT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실행 전에 소스 코드를 네이티브 코드로 변환하여 실행 성능을 최적화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특히 시작 시간, 예측 가능한 성능, 메모리 효율성이 중요한 환경에서 큰 이점을 제공한다. ...

October 14, 2024 · 9 min · Me

Callback Hell

Callback Hell 콜백 지옥은 여러 비동기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해야 할 때 발생하는 중첩된 콜백 구조를 말한다. 코드가 깊게 중첩되어 가독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는 주로 여러 비동기 작업(API 호출, 파일 읽기, 타이머 등)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때 발생하며, 코드가 피라미드 형태로 깊이 중첩되는 특징을 보인다. 콜백 지옥의 원인 비동기 작업의 연속성: A 작업의 결과가 B 작업의 입력으로 필요할 때, 콜백 안에 콜백을 중첩해야 한다. JavaScript의 단일 스레드 특성: 비동기 작업 완료 시점을 콜백 함수로 처리해야 하므로 중첩이 불가피한다. 주요 문제점 문제점 설명 가독성 저하 코드의 들여쓰기 수준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논리 흐름 파악이 어렵다. 에러 처리 복잡 각 콜백마다 별도의 에러 핸들링이 필요해 중복 코드가 발생한다. 유지보수 난이도 기능 수정 시 중첩 구조에서 의도치 않은 버그 발생 가능성이 높다. 해결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getData(function(a) { getMoreData(a, function(b) { getEvenMoreData(b, function(c) { getYetEvenMoreData(c, function(d) { getFinalData(d, function(finalData) { console.log("최종 데이터:", finalData); }, errorCallback); }, errorCallback); }, errorCallback); }, errorCallback); }, errorCallback); 함수 분리 (모듈화) 각 콜백을 별도의 명명된 함수로 분리하여 중첩을 줄인다. ...

October 9, 2024 · 2 min · Me

정수(Integer)

정수 (Integer) 정수(Integer)는 소수점이 없는 양수, 음수, 0을 표현하는 데이터 타입으로, 컴퓨터에서는 이진수로 표현되며, 일정 범위의 정수를 표현할 수 있다. 특징과 특성 고정된 크기의 메모리 사용 빠른 연산 속도 범위의 제한 (오버플로우 가능성) 직접적인 산술 연산 지원 종류 byte 범위: -128 ~ 127 8비트 비트 구성: 1비트 부호 + 7비트 값 특징: 가장 작은 정수 타입 메모리 효율적이지만 표현 범위가 제한적 주로 작은 범위의 데이터나 문자 표현에 사용 short 범위: -32,768 ~ 32,767 16비트 비트 구성: 1비트 부호 + 15비트 값 특징: 8비트보다 넓은 범위 표현 가능 메모리 사용량과 표현 범위의 균형이 좋음 작은 정수 값을 다룰 때 효율적 int ...

October 7, 2024 · 3 min · Me

Programming Language Control Structures

Programming Language Control Structures 프로그래밍에서 코드의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구문이다. Iteration Structures 특정 코드 블록을 반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구조 Language For Loop While Loop Do-While For-Each/Range Python for x in sequence while condition N/A for x in iterable Java for(init;condition;increment) while(condition) do {…} while(condition) for(Type x: collection) JavaScript for(let i=0;i<n;i++) while(condition) do {…} while(condition) for(let x of iterable) TypeScript Same as JavaScript + type safety Same as JavaScript Same as JavaScript Same as JavaScript Golang for i:=0; i<n; i++ for condition N/A for _, v:= range slice Kotlin for (i in range) while(condition) do {…} while(condition) for (item in collection) Rust for x in iter while condition loop {…} for x in collection Conditional Statements 특정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 블록을 실행하도록 하는 구조 ...

October 6, 2024 · 2 min · Me

GitLab Flow

GitLab Flow GitLab Flow는 GitLab에서 제안한 브랜치 전략으로, 기능 중심 개발과 이슈 추적을 통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을 간소화한다. 이는 GitFlow의 복잡성을 줄이고, GitHub Flow의 단순함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배포 환경을 지원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핵심 개념 GitLab Flow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업스트림 퍼스트(Upstream First): 항상 상위 환경으로 먼저 병합하는 원칙 이슈 추적 통합: GitLab 이슈와 머지 리퀘스트(MR)의 긴밀한 연계 상황별 워크플로우: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선택 가능한 세 가지 모델 메인 브랜치: main: 배포 가능한 코드 보유. 환경 브랜치: 개발, 스테이징, 프로덕션 등 각 배포 환경에 대응하는 장수 브랜치 staging, pre-prod, production: 단계별 테스트 및 배포. 기능 브랜치: 새로운 기능 개발을 위한 단기 브랜치 feature/*: 기능 개발 후 main에 병합. 풀 리퀘스트: 코드 리뷰 및 병합 프로세스. graph TD main[main 브랜치] -->|분기| feature[feature/기능] feature -->|풀 리퀘스트| main main -->|병합| staging[staging] staging -->|병합| pre-prod[pre-prod] pre-prod -->|병합| production[production] ▲ GitLab Flow 환경 브랜치 워크플로우[3][6] https://www.linkedin.com/pulse/gitlab-flow-jadson-santos ...

September 29, 2024 · 10 min · Me

Branching and Merging

Branching and Merging Branching and Merging은 Git 과 같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기능이다. 브랜칭은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생성하여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게 하며, 머징은 이러한 작업 결과를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통합한다. 이를 통해 병렬 개발, 기능 분리, 코드 안정성 유지 등이 가능해진다. Git, SVN, Mercurial 등 다양한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지원되며,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수 요소이다. 핵심 개념 Branching (브랜칭): 코드베이스의 복사본 생성으로 기능 개발/버그 수정을 격리한다. Merging (머징): 분리된 변경 사항을 메인 코드베이스에 통합하는 과정이다. HEAD: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이다. graph TD main[main] -->|분기| feature[feature/login] feature -->|머지| main main -->|배포| Production 목적 병렬 개발 환경 제공 코드 충돌 최소화 기능별/작업별 독립적 개발 지원 안정적인 배포 프로세스 구축 필요성 다수의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하는 환경에서 협업 효율성 증대 프로덕션 코드의 안정성 보장 실험적 기능 개발과 버그 수정의 분리 코드 리뷰와 품질 관리 용이성 주요 기능 브랜치 생성/삭제 브랜치 전환 (Checkout) 코드 병합 (Merge) 리베이스 (Rebase) 충돌 해결 (Conflict Resolution) 특징 분산형 개발 지원 비선형적 개발 이력 관리 원격 저장소와의 동기화 다양한 병합 전략 제공 장점과 단점 구분 항목 설명 ✅ 장점 병렬 개발 여러 기능을 동시에 개발 가능 안정성 메인 브랜치의 안정성 유지 실험 용이성 실험적 기능을 안전하게 테스트 롤백 용이성 문제 발생 시 쉽게 이전 상태로 복구 ⚠ 단점 복잡성 브랜치가 많아지면 관리가 복잡 충돌 발생 병합 시 코드 충돌 가능성 학습 곡선 초보자에게 어려운 개념 리소스 사용 브랜치별 리소스 사용량 증가 주요 원리 구성 요소 기능 역할 HEAD 현재 브랜치 참조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를 가리킴 Branch Pointer 커밋 참조 특정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 Commit Object 변경사항 저장 코드 변경 내용과 메타데이터 저장 Tree Object 디렉토리 구조 파일과 디렉토리 구조 표현 Merge Base 공통 조상 커밋 브랜치 분기점 식별 Branching 브랜칭의 주요 원리는 포인터 기반의 참조 시스템이다: ...

September 28, 2024 · 21 min · Me

SVN Mercurial Overview

SVN Mercurial Overview SVN(Subversion)과 Mercurial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하고 협업을 지원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SVN은 중앙 집중형(Centralized) 시스템으로, 모든 버전 이력이 중앙 서버에 저장된다. 반면, Mercurial은 분산형(Distributed) 시스템으로, 각 개발자가 전체 저장소를 로컬에 복제하여 작업한다. 각 시스템은 저장 방식, 협업 모델, 성능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프로젝트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시스템을 선택해야 한다. 핵심 개념 SVN (Subversion) SVN은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개발한 중앙 집중식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

September 28, 2024 · 13 min · Me

2.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Requirements Gathering and Analysis)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Requirements Gathering and Analysis)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시스템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단계 요구사항 도출 주요 목적 프로젝트의 모든 이해관계자로부터 필요한 요구사항을 수집한다. 개발될 시스템의 기능적,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사용자의 실제 니즈와 기대사항을 정확히 이해한다. 프로젝트의 범위와 제약사항을 명확히 한다. 향후 개발 과정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수집한다. 잠재적인 문제점과 리스크를 조기에 식별한다. 세부 활동과 산출물 세부 활동 설명 주요 산출물 이해관계자 식별 및 분석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이해관계자 파악 및 분석 이해관계자 목록 및 분석 보고서 인터뷰 실시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일대일 또는 그룹 인터뷰 진행 인터뷰 기록 및 요약 보고서 설문조사 수행 광범위한 사용자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설문조사 결과 분석 보고서 워크샵 및 브레인스토밍 그룹 토론을 통한 아이디어 및 요구사항 도출 워크샵 결과 문서 현행 시스템 분석 기존 시스템의 기능 및 문제점 분석 현행 시스템 분석 보고서 문서 검토 관련 비즈니스 문서, 정책, 절차 등 검토 문서 검토 요약 관찰 및 현장 조사 실제 업무 환경 관찰 및 사용자 행동 분석 관찰 보고서 프로토타이핑 초기 프로토타입 개발 및 사용자 피드백 수집 프로토타입 및 사용자 피드백 문서 주의해야할 요소 주의 요소 설명 이해관계자 다양성 고려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균형있게 수집 숨겨진 요구사항 발견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잠재적 요구사항 파악 객관성 유지 개인적 편견 없이 중립적인 태도로 요구사항 수집 과도한 요구사항 관리 실현 가능성과 프로젝트 범위를 고려한 요구사항 관리 의사소통 명확성 모호한 표현을 피하고 명확한 언어로 요구사항 기술 일관성 유지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요구사항 간의 일관성 확보 변화하는 요구사항 대응 프로젝트 진행 중 변경되는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 우선순위 설정 요구사항의 중요도와 우선순위 적절히 설정 기술적 제약 고려 기술적 실현 가능성을 고려한 요구사항 수집 문서화의 정확성 수집된 요구사항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문서화 요구사항 분석 주요 목적 수집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구조화한다. 요구사항 간의 관계와 의존성을 파악한다. 모호하거나 불완전한 요구사항을 명확히 한다. 요구사항의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요구사항의 실현 가능성과 일관성을 평가한다. 시스템의 범위와 경계를 명확히 정의한다. 향후 설계 및 개발 단계의 기초를 마련한다. 세부 활동과 산출물 세부 활동 설명 주요 산출물 요구사항 분류 및 구조화 수집된 요구사항을 기능적/비기능적 등으로 분류 구조화된 요구사항 목록 요구사항 모델링 요구사항을 다이어그램 등으로 시각화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데이터 흐름도 요구사항 명세화 각 요구사항을 상세히 기술 상세 요구사항 명세서 요구사항 검증 요구사항의 정확성, 일관성, 완전성 검토 요구사항 검증 보고서 요구사항 우선순위 지정 요구사항의 중요도와 구현 순서 결정 우선순위가 지정된 요구사항 목록 요구사항 협상 충돌하는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관계자 간 협의 협상 결과 문서 요구사항 추적성 분석 요구사항 간의 연관관계 파악 요구사항 추적성 매트릭스 비즈니스 규칙 도출 시스템에 적용될 비즈니스 규칙 식별 비즈니스 규칙 문서 주의해야할 요소 주의 요소 설명 요구사항의 명확성 모호하거나 불명확한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 요구사항 간 일관성 서로 충돌하거나 모순되는 요구사항 해결 실현 가능성 검토 기술적,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 실현 가능한지 평가 범위 관리 프로젝트 범위를 벗어나는 요구사항 식별 및 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분석 과정에 주요 이해관계자의 지속적인 참여 보장 비즈니스 목표 연계 각 요구사항이 비즈니스 목표와 연계되는지 확인 변경 관리 요구사항 변경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프로세스 수립 추적성 확보 요구사항의 출처와 향후 설계/구현과의 연계성 유지 품질 속성 고려 성능, 보안, 사용성 등 비기능적 요구사항 충분히 고려 문서화의 적절성 분석 결과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문서화 요구사항 명세 주요 목적 수집 및 분석된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문서화한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요구사항을 표현한다. 개발 팀이 설계와 구현에 활용할 수 있는 상세한 기준을 제공한다. 테스트 및 검증의 기준이 되는 문서를 작성한다. 프로젝트의 범위와 기능을 명확히 정의한다. 향후 변경 관리와 추적성 확보를 위한 기준점을 마련한다. 세부 활동과 산출물 세부 활동 설명 주요 산출물 기능적 요구사항 작성 시스템이 수행해야 할 기능들을 상세히 기술 기능적 요구사항 문서 비기능적 요구사항 작성 성능, 보안, 사용성 등의 품질 요구사항 정의 비기능적 요구사항 문서 유스케이스 작성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시나리오 형태로 기술 유스케이스 문서 요구사항 모델링 요구사항을 다이어그램 등으로 시각화 UML 다이어그램 (유스케이스, 클래스, 시퀀스 등)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 정의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데이터 요구사항 정의 시스템에서 다룰 데이터의 구조와 특성 정의 데이터 사전, ER 다이어그램 제약사항 및 가정 문서화 프로젝트의 제약사항과 가정사항 명시 제약사항 및 가정 목록 요구사항 명세서 통합 모든 요구사항을 종합한 문서 작성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서(SRS) 주의해야할 요소 주의 요소 설명 명확성과 구체성 모호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요구사항을 기술 일관성 유지 요구사항 간 충돌이나 모순이 없도록 유지 완전성 확보 모든 필요한 요구사항이 누락 없이 포함되도록 함 검증 가능성 각 요구사항이 테스트나 검증 가능하도록 작성 추적성 확보 요구사항의 출처와 향후 설계/구현과의 연계성 유지 우선순위 표시 각 요구사항의 중요도나 구현 우선순위를 명시 사용자 중심 기술 최종 사용자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게 기술 기술적 중립성 특정 기술이나 구현 방식에 치우치지 않도록 주의 변경 용이성 향후 변경이 용이하도록 모듈화하여 작성 표준 준수 조직이나 산업의 요구사항 명세 표준을 준수 요구사항 검증 주요 목적 수집 및 명세된 요구사항의 정확성, 완전성, 일관성을 확인한다. 요구사항이 이해관계자의 실제 니즈를 정확히 반영하는지 검증한다. 요구사항의 실현 가능성과 테스트 가능성을 평가한다. 요구사항 간의 충돌이나 모순을 식별하고 해결한다. 프로젝트의 목표와 범위에 부합하는지 확인한다. 잠재적인 리스크와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해결한다. 요구사항 문서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세부 활동과 산출물 세부 활동 설명 주요 산출물 요구사항 검토 회의 이해관계자와 함께 요구사항을 검토하고 논의 검토 회의록, 수정 요구사항 목록 정형 인스펙션 체계적인 방법으로 요구사항 문서를 검사 인스펙션 보고서 워크스루 요구사항을 단계별로 검토하며 문제점 식별 워크스루 결과 문서 프로토타이핑 요구사항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프로토타입, 사용자 피드백 문서 요구사항 추적성 분석 요구사항 간의 연관관계와 일관성 검증 요구사항 추적성 매트릭스 모델 검증 요구사항 모델(예: UML 다이어그램)의 정확성 검증 모델 검증 보고서 체크리스트 기반 검증 미리 정의된 체크리스트를 사용한 요구사항 검증 체크리스트 결과 문서 자동화 도구를 이용한 검증 요구사항 관리 도구를 사용한 자동 검증 자동화 검증 결과 보고서 주의해야할 요소 주의 요소 설명 객관성 유지 개인적 편견 없이 객관적으로 요구사항을 검증 이해관계자 참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로 다각도 검증 일관성 확보 요구사항 간 일관성과 전체적인 조화 확인 실현 가능성 평가 기술적, 시간적, 비용적 측면에서의 실현 가능성 검토 명확성 검증 모호하거나 해석의 여지가 있는 요구사항 식별 완전성 확인 누락된 요구사항이나 정보가 없는지 확인 테스트 가능성 각 요구사항이 테스트 가능한 형태인지 검증 우선순위 재확인 요구사항의 우선순위가 적절히 설정되었는지 확인 변경 영향 분석 요구사항 변경이 미치는 영향 평가 문서화 품질 요구사항 문서의 가독성과 이해도 확인 요구사항 관리 계획 수립 주요 목적 요구사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와 절차를 정의한다. 요구사항의 변경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한다. 프로젝트 전 과정에 걸쳐 요구사항의 일관성과 추적성을 유지한다. 이해관계자 간의 요구사항 관련 의사소통을 원활히 한다. 요구사항 관련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리한다. 요구사항 변경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관리한다. 요구사항 관리에 필요한 자원과 도구를 계획한다. 세부 활동과 산출물 세부 활동 설명 주요 산출물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정의 요구사항 수집, 분석, 문서화, 검증 등의 프로세스 수립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문서 변경 관리 절차 수립 요구사항 변경 요청, 평가, 승인, 구현 절차 정의 변경 관리 절차서 요구사항 추적성 계획 요구사항 간 및 다른 산출물과의 추적성 유지 방법 정의 요구사항 추적성 계획서 요구사항 우선순위 지정 방법 요구사항 우선순위 결정 기준 및 방법 정의 우선순위 지정 가이드라인 요구사항 속성 정의 각 요구사항에 대해 추적할 속성 정의 (예: 상태, 담당자 등) 요구사항 속성 정의서 도구 및 저장소 선정 요구사항 관리에 사용할 도구와 저장소 결정 도구 선정 보고서 역할 및 책임 정의 요구사항 관리 관련 역할과 책임 할당 RACI 매트릭스 의사소통 계획 수립 요구사항 관련 의사소통 방법 및 빈도 정의 의사소통 계획서 주의해야할 요소 주의 요소 설명 유연성 확보 프로젝트 특성에 맞는 유연한 관리 프로세스 설계 이해관계자 참여 모든 주요 이해관계자의 동의와 참여 보장 변경 영향 분석 요구사항 변경이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방법 포함 버전 관리 요구사항 문서의 효과적인 버전 관리 방법 수립 보안 고려 민감한 요구사항 정보의 보안 유지 방안 마련 통합성 다른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와의 통합성 확보 확장성 프로젝트 규모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확장성 있는 계획 수립 측정 및 개선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의 효과성 측정 및 개선 방안 포함 도구 활용 적절한 요구사항 관리 도구 선정 및 활용 계획 수립 교육 및 훈련 팀원들의 요구사항 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계획 포함 참고 및 출처

September 20, 2024 · 6 min · Me

EUC-KR

EUC-KR EUC-KR은 한국어 컴퓨팅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인터넷 초기에 한국어 웹 페이지와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UTF-8이 표준이 되었으며, EUC-KR은 주로 레거시 시스템이나 특수한 상황에서만 사용된다. EUC-KR의 기본 개념과 역사적 배경 EUC-KR은 한국어 텍스트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문자 인코딩 방식이다. 여기서 ‘EUC’는 ‘Extended Unix Code’의 약자로, 유닉스 시스템에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 인코딩 체계를 의미한다. ‘KR’은 단순히 Korea(한국)를 뜻한다. 역사적 발전 과정 EUC-KR의 역사는 한국의 컴퓨터화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January 24, 2025 · 8 min · Me

Back Tracking vs. Traversal

Back Tracking vs. Traversal 백트래킹과 트래버설은 컴퓨터 과학에서 문제 해결과 데이터 구조 탐색에 사용되는 중요한 알고리즘 패러다임이다. 두 기법은 겉보기에 유사한 점이 있지만, 목적, 동작 방식,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백트래킹과 트래버설은 서로 다른 목적과 접근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복잡한 문제 해결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된다. 트래버설은 데이터 구조의 모든 요소를 효율적으로 방문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백트래킹은 방대한 해결책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유망한 해결책을 찾는 전략을 제공한다. 실제 문제 해결에서는 두 개념의 장점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그래프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로를 찾기 위해 DFS나 BFS와 같은 트래버설 알고리즘으로 그래프를 탐색하면서, 백트래킹 기법을 활용하여 유망하지 않은 경로는 조기에 포기하는 방식이다. ...

December 9, 2024 · 9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