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stead Complexity

Halstead Complexity Halstead 복잡도는 1977년 Maurice Howard Halstead가 제안한 소프트웨어 메트릭으로, 프로그램의 복잡성을 연산자(operators)와 피연산자(operands)의 수를 기반으로 측정한다. 이는 프로그램의 구현 난이도와 이해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코드의 구현을 반영하지만 특정 플랫폼에서의 실행과는 독립적이다. 기본 측정 요소: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n1: 고유 연산자의 수 n2: 고유 피연산자의 수 N1: 총 연산자의 출현 횟수 N2: 총 피연산자의 출현 횟수 예를 들어, 다음 코드를 살펴보자. 1 sum = a + b * 2; 이 코드에서: ...

October 28, 2024 · 2 min · Me

순환 복잡도 (Cyclomatic Complexity)

순환 복잡도 (Cyclomatic Complexity) 순환 복잡도는 1976년 Thomas McCabe가 제안한 메트릭으로, 프로그램의 논리적 복잡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지표이다. 코드 내의 독립적인 경로의 수를 측정하여, 해당 코드를 완전히 테스트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테스트 케이스 수를 나타낸다. 순환 복잡도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V(G) = E - N + 2P 여기서: E는 제어 흐름 그래프의 엣지(연결선) 수 N은 노드(구문) 수 P는 연결된 컴포넌트 수(일반적으로 1) 또는 더 간단하게: V(G) = 분기문의 수 + 1 여기서 분기문은 if, while, for, case 등의 조건문을 의미한다. ...

October 28, 2024 · 6 min · Me

체크리스트 기반 테스팅 (Checklist-based Testing)

체크리스트 기반 테스팅 (Checklist-based Testing) Checklist-based Testing은 테스트 대상의 중요한 항목들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험 기반 테스트 기법이다. 숙련된 테스터가 제품 검증을 위한 일련의 규칙이나 기준, 또는 참고/확인/기억해야 하는 상위수준 아이템 목록을 사용한다. 주요 특징 구조화된 접근 방식: 테스트 과정에 체계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일관성과 반복성: 모든 테스터가 동일한 단계를 따르고 동일한 항목을 확인하도록 보장한다. 중요 항목 누락 방지: 체크리스트를 통해 중요한 테스트 항목을 놓치지 않도록 한다. 경험 활용: 테스터의 경험과 지식을 체크리스트에 반영하여 활용한다. 적용 분야 Checklist-based Testing은 다양한 테스트 유형에 적용될 수 있다: ...

October 27, 2024 · 3 min · Me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 탐색적 테스팅(Exploratory Testing)은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한 접근 방식으로, 테스터의 창의성, 경험, 직관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탐색하며 결함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이 방법은 사전에 정의된 테스트 케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테스트 설계와 실행을 동시에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주요 특징 테스터 중심: 테스터의 경험, 지식, 창의력을 최대한 활용한다. 유연성: 미리 정의된 테스트 케이스 없이도 즉시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다. 학습과 실행의 동시 진행: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테스트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발견 중심: 문서화보다는 결함 발견과 해결에 집중한다. 핵심 구성 요소 테스트 차터: 테스트의 목적과 범위를 정의하는 간단한 문서. 시간 제한(Time Boxing): 정해진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테스트를 수행한다. 테스트 노트: 테스트 중 발견한 사항과 아이디어를 기록한다. 요약 보고(Debriefing): 테스트 결과와 발견된 이슈를 팀과 공유한다. 장점 속도와 비용 효율성: 사전 준비가 적어 빠르게 테스트를 시작할 수 있다. 예상치 못한 버그 발견: 정형화된 테스트로는 찾기 어려운 버그를 발견할 수 있다. 사용성 개선: 사용자 관점에서 제품을 평가할 수 있다. 요구사항 변화에 대응: 애자일 개발 환경에 적합하다. 단점 주관성: 테스터의 개인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테스트 범위 확인 어려움: 체계적인 계획이 없어 테스트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관리와 통제의 어려움: 테스트의 양과 질을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적용 사례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앱을 테스트할 때 다음과 같은 탐색적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다: ...

October 27, 2024 · 2 min · Me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 오류 예측 검사(Error Guessing)는 블랙박스 테스트 기법 중 하나로, 테스터의 경험, 지식, 직관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오류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설계하는 방법. 이 기법은 다른 테스트 기법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운 결함을 보완적으로 찾아내는 데 유용하다. 오류 예측 검사의 특징 경험 기반 접근: 과거의 경험, 유사한 시스템에서 발견된 오류 유형, 그리고 직관을 활용하여 잠재적 오류를 예측한다. 특정한 규칙이나 구조에 의존하지 않고 테스터의 전문성과 감각에 의존한다. 보충적 검사 기법: ...

October 27, 2024 · 3 min · Me

YAML vs. JSON vs. XML

YAML vs. JSON vs. XML 데이터 교환과 구성 파일 형식으로 YAML, JSON, XML은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형식이다. 개요 및 역사 YAML (YAML Ain’t Markup Language) YAML은 2001년에 클라크 에반스(Clark Evans), 이니 넷(Ingy döt Net), 오렌 벤-코바(Oren Ben-Koki)에 의해 개발되었다. 원래는 “Yet Another Markup Language"의 약자였으나, 후에 “YAML Ain’t Markup Language"라는 재귀적 약자로 변경되었다. YAML은 인간 친화적인 구문과 읽기 쉬운 형식에 중점을 둔 데이터 직렬화 형식이다. ...

October 26, 2024 · 7 min · Me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직렬화(Serialization)와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데이터 저장, 네트워크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직렬화와 역직렬화의 개념 직렬화(Serialization)는 데이터 구조나 객체 상태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객체의 상태는 바이트 스트림이나 텍스트 형식(예: JSON, XML)으로 변환된다. 직렬화는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선형적인(linear) 형태로 “펼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역직렬화(Deserialization)는 직렬화의 반대 과정으로, 저장되거나 전송된 바이트 스트림이나 텍스트를 원래의 객체 구조로 다시 변환하는 작업이다. 이 과정을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October 26, 2024 · 7 min · Me

P2P and Hybrid VCS

P2P And Hybrid VCS P2P VCS 는 Git 과 같은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의 진화된 형태로 노드 간 직접 통신으로 센서리스 아키텍처를 구현하며, 하이브리드 VCS 는 메타데이터 관리를 중앙서버에서 처리한다. 주요 구성 요소로 DHT(분산 해시 테이블), 암호화 검증 계층, 자동 동기화 엔진이 포함된다. 도전 과제로 네트워크 지연 시간 최적화와 대규모 분산 트랜잭션 관리가 존재한다. Radicle 과 같은 솔루션은 분산 네트워크에서 Git 기반 협업을, Perforce Helix 와 같은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

October 26, 2024 · 24 min · Me

데이터 불일치 (Data Inconsistency)

데이터 불일치 (Data Inconsistency) 동일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위치에서 서로 다른 형식이나 값으로 존재하는 상황 Source: https://www.geeksforgeeks.org/what-is-data-inconsistency-in-dbms/ 발생 조건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하는 주요 조건: 동시성 작업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데이터를 수정할 때 트랜잭션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을 때 분산 환경 네트워크 지연이나 실패가 발생할 때 데이터 복제 과정에서 시간 차이가 발생할 때 캐싱 문제 캐시 무효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캐시와 원본 데이터 간의 동기화 실패 시스템 오류 하드웨어 오류, 네트워크 문제, 소프트웨어 버그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통합 문제: 서로 다른 소스의 데이터를 통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해결책 및 방지책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형식, 값, 표현을 일관되게 만든다. 데이터 검증: 데이터 입력 시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데이터 정제: 오류를 식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관리에 대한 명확한 정책과 절차를 수립한다. 동기화 메커니즘: 분산 시스템에서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실제 시스템에서의 예방책 데이터 감사: 정기적인 데이터 감사를 통해 불일치를 식별한다. 자동화 도구 사용: 데이터 품질 관리 도구를 활용하여 불일치를 자동으로 탐지한다. 데이터 프로파일링: 데이터의 특성을 이해하고 잠재적 문제를 파악한다. 버전 관리: 데이터 변경 이력을 추적하여 불일치 발생 시 원인을 파악한다. 고려사항 및 주의사항 성능 영향: 데이터 일관성 유지 메커니즘이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확장성: 대규모 분산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 교육: 데이터 입력 및 수정 시 주의사항에 대해 사용자를 교육해야 한다. 비즈니스 규칙 반영: 데이터 일관성 규칙에 비즈니스 로직을 반영해야 한다. 주의 사항 및 모범 사례 버전 관리 모든 데이터 변경에 버전 번호 부여 낙관적 락킹 구현 충돌 감지 및 해결 메커니즘 구축 캐시 전략 Cache-Aside 패턴 사용 적절한 TTL(Time-To-Live) 설정 캐시 무효화 전략 수립 동기화 메커니즘 분산 락 사용 이벤트 기반 동기화 멱등성 보장 모니터링 및 감사 버전 이력 관리 변경 로그 기록 불일치 감지 알림 실제 구현시 고려사항 확장성 수평적 확장을 고려한 설계 샤딩 전략 수립 복제 지연 관리 성능 캐시 적중률 최적화 인덱스 전략 수립 배치 처리 활용 복구 전략 백업 및 복구 계획 롤백 메커니즘 데이터 정합성 검증 모범 사례 단일 진실 소스(Single Source of Truth) 유지 데이터 품질 메트릭 정의 및 모니터링 데이터 소유권 및 책임 명확화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 개선 프로세스 구축 데이터 불일치 해결을 위한 명확한 워크플로우 수립 파이썬 예제로 보는 데이터 불일치 다음은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제 ...

October 25, 2024 · 5 min · Me

GitOps and IaC

GitOps and IaC GitOps 와 IaC(Infrastructure as Code) 는 현대 DevOps 환경에서 인프라스트럭처 관리를 자동화하고 코드화하는 핵심 방법론이다. GitOps 는 Git 을 단일 진실의 소스 (Single Source of Truth) 로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과 인프라의 배포를 자동화하는 접근 방식이다. IaC 는 인프라를 코드로 정의하여 자동화된 프로비저닝과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 두 가지 개념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 선언적 인프라 정의, 버전 관리 및 감사 기능을 통해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혁신하고 있다. 이 두 방법론을 결합하여 조직은 인프라스트럭처 프로비저닝, 애플리케이션 배포, 구성 관리를 자동화하고 일관성 있게 유지하며,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필요시 롤백할 수 있다. ArgoCD 와 FluxCD 는 Kubernetes 환경에서 GitOps 를 구현하는 주요 도구이며, Terraform 은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IaC 를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

October 25, 2024 · 20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