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 Token

Access Token Access Token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에서 인증과 권한 부여를 위해 사용되는 보안 메커니즘이다. Access Token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화된 문자열이다. 이 토큰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Access Token은 MSA 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인증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그러나 적절한 구현과 보안 조치가 필수적이며, 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맞게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 Access Token의 특징 유한한 수명: 보통 짧은 유효 기간(예: 1시간)을 가진다. Stateless: 서버에 상태를 저장하지 않아 확장성이 높다. 암호화: 대개 JWT(JSON Web Token) 형식으로 구현된다. 포함 정보: 사용자 ID, 권한 범위, 만료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cess Token의 동작 방식 사용자 인증: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서버는 Access Token을 발급한다. 토큰 저장: 클라이언트는 받은 토큰을 안전하게 저장한다(예: 로컬 스토리지). 요청 시 사용: API 요청 시 Authorization 헤더에 토큰을 포함시킨다. 서버 검증: 서버는 토큰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요청을 처리한다. Access Token의 장점 확장성: Stateless 특성으로 서버 확장이 용이하다. 보안성: 암호화된 정보로 중요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한다. 효율성: 매 요청마다 사용자 정보를 조회할 필요가 없다. Access Token의 단점 토큰 탈취 위험: XSS 공격 등으로 토큰이 탈취될 수 있다. 제한된 정보량: 토큰 크기 제한으로 포함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다.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보안 강화를 위해 Access Token과 함께 Refresh Token을 사용한다: ...

November 18, 2024 · 3 min · Me

IDS and IPS

IDS and IPS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와 IPS(Intrusion Prevention System)는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IPS와 IDS는 다계층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전반의 보안을 강화하며, 각 계층의 특성에 맞는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IPS와 IDS는 OSI 7계층에서 주로 다음 계층들에서 동작한다: 네트워크 계층(3계층): 패킷 레벨에서의 분석과 필터링을 수행한다 IP 주소,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IP 스푸핑이나 DDoS 공격과 같은 네트워크 계층의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한다. 전송 계층(4계층): TCP/UDP 포트 정보를 분석하여 비정상적인 연결 시도를 탐지한다. 포트 스캔이나 TCP SYN 플러딩과 같은 공격을 모니터링한다. 세션 하이재킹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응용 계층(7계층): ...

November 8, 2024 · 4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