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MAScript

ECMAScript ECMAScript는 자바스크립트의 표준 규격으로, Ecma International이 ECMA-262 기술 규격을 통해 정의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1997년 처음 표준화되었으며, 자바스크립트의 핵심 문법과 기능을 규정한다. ECMAScript는 ECMA 인터내셔널(ECMA International)에서 제정한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의 표준 사양이다. 이 표준은 다양한 스크립트 언어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JavaScript, JScript, ActionScript 등이 ECMAScript 표준을 준수한다. ECMAScript는 1997년에 첫 번째 버전이 발표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주요 버전으로는 2015년에 발표된 ECMAScript 6(ES6), 2016년의 ECMAScript 2016(ES7), 2017년의 ECMAScript 2017(ES8) 등이 있으며, 각 버전마다 새로운 기능과 개선 사항이 추가되었다. ...

December 4, 2024 · 3 min · Me

Python vs Javascript vs Typescript vs Java

Python vs. Javascript vs. Typescript vs. Java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각기 다른 설계 철학과 실행 방식, 개발 생태계 및 목적이 존재한다. Python은 배우기 쉽고 다양한 분야(데이터 분석, 웹 개발, 자동화 등)에서 활용되는 동적 인터프리터 언어 JavaScript는 웹 브라우저 내에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팅 언어로 빠른 반응형 인터페이스 구성에 적합하다. TypeScript는 JavaScript의 상위 집합으로 정적 타입 검사와 클래스, 인터페이스, 제네릭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안정성을 높인다. Java는 JVM 위에서 동작하는 컴파일러 기반의 정적 타입 언어로,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과 멀티스레드 환경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각 언어는 고유한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프로젝트나 도메인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최근 트렌드는 다중 언어 개발(polyglot programming)로,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여러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는 Python, 웹 프론트엔드는 TypeScript/React, 백엔드는 Java로 개발하는 방식이 흔하다. ...

January 19, 2025 · 7 min · Me

Typescript vs. Javascript

Typescript vs. Javascript JavaScript와 TypeScript는 둘 다 웹 및 기타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지만, 설계와 사용 목적에 있어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다. JavaScript는 인터프리터(또는 JIT 컴파일러)에 의해 실행되는 동적 타입의 스크립트 언어로, 유연성과 간편함을 제공하며 브라우저와 Node.js 등에서 기본 언어로 사용된다. TypeScript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JavaScript의 상위 집합(superset)으로, 정적 타입 시스템과 클래스, 인터페이스, 제네릭 등 강력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기능을 추가하여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이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JavaScript JavaScript는 1995년 Brendan Eich에 의해 만들어진 웹 브라우저용 스크립트 언어이다. 원래는 웹 페이지에 상호작용을 추가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현재는 브라우저 환경 외에도 서버 사이드(Node.js), 모바일 앱 개발(React Native),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Electron)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

January 19, 2025 · 4 min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