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and-Patch

Get-and-Patch “Get-and-Patch"는 리소스의 부분적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REST API 디자인 패턴으로, 기존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방식의 한계를 보완한다. 이 패턴은 GET과 PATCH 메서드 조합을 통해 리소스의 전체 상태를 검색하지 않고도 특정 필드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핵심 개념 두 단계 프로세스 Get: 리소스의 현재 상태 조회 (필요한 필드 확인) Patch: 변경된 필드만 서버에 전송하여 부분 업데이트 HTTP 메서드 활용 단계 HTTP 메서드 설명 Get GET 리소스의 전체/일부 상태 조회 Patch PATCH 식별된 필드만 부분적으로 업데이트 CRUD vs. Get-and-Patch 구분 CRUD (PUT) Get-and-Patch (PATCH) 업데이트 범위 전체 리소스 교체 특정 필드만 수정 네트워크 효율성 모든 필드 전송 필요 변경된 필드만 전송 멱등성 보장됨 조건부 보장 (구현 방식에 따라 다름) 동시성 제어 전체 리소스 버전 관리 필드 단위 낙관적 잠금 가능 사용 사례 단순 리소스 교체 대규모 객체의 일부 수정 작동 원리 Get 단계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의 현재 상태를 조회한다. ...

February 26, 2025 · 3 min · Me

Get-and-Set

Get-and-Set “Get-and-Set"은 전통적인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방식을 개선한 REST API 디자인 패턴으로, 리소스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단순화된 작업 흐름을 제공한다. 기본 개념 두 가지 핵심 연산 Get: 리소스의 현재 상태 조회 (CRUD의 Read와 동일) Set: Create/Update: 리소스 존재 여부와 무관하게 값을 설정 (Last-Write-Wins 정책) Delete: null 값을 전달하여 리소스 삭제 동작 원리 1 2 3 4 [클라이언트] [서버] Get 요청 → 리소스 상태 확인 Set 요청 → 값 설정/삭제 ← 최종 상태 반환 (옵션: 이전 값 포함) CRUD와의 차이점 기능 CRUD API Get-and-Set API 생성/수정 POST/PUT/PATCH 분리 단일 Set 연산으로 통합 삭제 DELETE 메서드 사용 Set(null)으로 처리 동시성 제어 복잡한 버전 관리 필요 Last-Write-Wins 기본 적용 에러 처리 상태 코드 404/409 등 다양 단순화된 200/400/500 사용 사례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단순 리소스 관리 시스템 작동 원리 상세 Set 연산의 3가지 시나리오 리소스 없음 + 값 전달: 새 리소스 생성 (201 Created) 리소스 존재 + 값 전달: 기존 리소스 덮어쓰기 (200 OK) 리소스 존재 + null 전달: 리소스 삭제 (204 No Content) Last-Write-Wins 동시성 제어 타임스탬프 기반: 최종 쓰기 요청이 우선 적용 ...

February 26, 2025 · 3 min · Me

Timestamp-Checked

Timestamp-Checked Timestamp-Checked 방식은 동시성 제어를 위한 중요한 기법 중 하나로, 주로 낙관적 동시성 제어(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의 맥락에서 사용된다. 기본 원리 타임스탬프 할당: 각 트랜잭션에 고유한 타임스탬프를 부여한다. 이는 주로 트랜잭션이 시작될 때 시스템 시간이나 논리적 카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읽기-검증-쓰기 단계: 트랜잭션은 다음 세 단계로 실행된다. 읽기 단계: 데이터를 읽고 로컬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검증 단계: 다른 트랜잭션과의 충돌을 검사한다. 쓰기 단계: 충돌이 없다면 변경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충돌 감지: 트랜잭션이 커밋하려 할 때, 자신이 읽은 데이터가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변경되었는지 확인한다. 작동 방식 각 데이터 항목에는 두 가지 타임스탬프가 유지된다: 읽기 타임스탬프(R-timestamp): 해당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읽은 트랜잭션 중 가장 큰 타임스탬프 쓰기 타임스탬프(W-timestamp): 해당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정한 트랜잭션 중 가장 큰 타임스탬프 트랜잭션이 데이터를 읽거나 쓰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규칙이 적용된다: 읽기 연산: 트랜잭션의 타임스탬프가 데이터의 쓰기 타임스탬프보다 작으면 연산이 거부되고 트랜잭션은 롤백된다. 쓰기 연산: 트랜잭션의 타임스탬프가 데이터의 읽기 또는 쓰기 타임스탬프보다 작으면 연산이 거부되고 트랜잭션은 롤백된다. 장점 교착 상태(Deadlock) 방지: 락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교착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대기 시간 감소: 트랜잭션이 다른 트랜잭션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실행된다. 높은 동시성: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어 시스템의 처리량이 향상된다. 단점 롤백 가능성 증가: 충돌이 감지되면 트랜잭션이 롤백되어야 하므로, 시스템 부하가 높을 때 롤백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연쇄 롤백: 하나의 트랜잭션 롤백이 다른 트랜잭션의 롤백을 유발할 수 있다. 오버헤드: 각 데이터 항목에 대해 타임스탬프를 유지하고 관리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저장 공간과 처리 시간이 필요하다. Timestamp-Checked 방식은 특히 읽기 작업이 많고 쓰기 충돌이 적은 환경에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높은 동시성 환경에서는 롤백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동시성 제어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 ...

February 26, 2025 · 2 min · Me